KR20240049880A -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9880A
KR20240049880A KR1020220129327A KR20220129327A KR20240049880A KR 20240049880 A KR20240049880 A KR 20240049880A KR 1020220129327 A KR1020220129327 A KR 1020220129327A KR 20220129327 A KR20220129327 A KR 20220129327A KR 20240049880 A KR20240049880 A KR 20240049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flator
protector
dispose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9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9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9880A/ko
Publication of KR20240049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9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021/2172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cover being connected to the surrounding part and to the module, e.g. floating mou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7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characterised by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제작 시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개선된 에어백용 하드 커버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용 하드 커버는 에어백 쿠션의 일측을 커버하는 제1 커버 및 에어백 쿠션의 타측을 커버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제1 커버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복수의 제1 축을 포함하고, 제2 커버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복수의 제1 축 중 어느 하나의 축과 접촉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제2 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PROTECTOR FOR INFLATOR}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사고 발생 시 충돌센서의 신호에 따라 가스가 순식간에 분출되어 수축되어 있던 에어백 쿠션이 급속히 팽창함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한다.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운전자 에어백 장치, 글로브박스의 상측에 장착되는 조수석 에어백 장치 및 시트의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 쿠션이 시트의 측면에서 전방으로 팽창 전개되어 가슴에서 엉덩이에 이르는 탑승자의 측면을 차량의 도어 구조물로부터 보호하는 장치이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 쿠션(Cushion), 에어백 쿠션을 팽창시키도록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Inflator) 및 인플레이터를 지지하며, 에어백 쿠션에 인플레이터를 고정시키는 프로텍터(Prot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프로텍터는 인플레이터에서 생성되는 고온의 가스가 에어백 쿠션에 직접 접촉하여 에어백 쿠션에 멜팅홀이 형성되지 않도록 에어백 쿠션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프로텍터는 인플레이터에 결합되어 인플레이터의 배출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러나, 종래의 프로텍터는 인플레이터에서 생성되어 배출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쉽게 변형된다. 이에 의해, 변형된 부위가 날카로운 모서리 형상을 가지게되며, 모서리 형상으로 변형된 프로텍터가 에어백 쿠션에 접촉되어 에어백 쿠션이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인플레이터에서 생성되어 배출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도 에어백 쿠션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에어백용 하드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는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플레이터의 배출부의 일측을 둘러싸는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부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배치되며, 단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외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 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외면을 향해 밴딩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외면에서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부와 상기 인플레이터의 배출부의 일부는 서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는 내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단부까지의 제1 거리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기 이탈방지돌기의 단부까지의 제2 거리와 같거나 짧을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밴딩 영역은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단부는 상기 이탈방지돌기보다 상기 인플레이터의 배출부의 중심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밴딩되는 밴딩부; 및 상기 밴딩부의 단부에 배치되며, 일부분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외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접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플레이터에서 생성되어 배출되는 가스에 의해 가압되어도 2단 충격흡수구조를 통해 변형량이 감소되어 에어백 쿠션의 손상 확률이 감소되므로, 에어백 쿠션의 전개 지연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가 인플레이터에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가 인플레이터에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제2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2 플레이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가 인플레이터에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가 인플레이터에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100)는 에어백 쿠션(미도시)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플레이터(10)의 배출부(14)의 일측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100)는 인플레이터(10)를 따라 에어백 쿠션(미도시)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100)는 인플레이터(10)에서 생성되는 고온의 가스에 의해 에어백 쿠션(미도시)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인플레이터(10)는 가스를 생성하는 물질 및 가스 생성 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부(12), 본체부(12)의 단부에 배치되어 본체부(12)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가스를 본체부(12)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14) 및 본체부(12)의 외면에 배치되어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100)와 결합하고 에어백 쿠션(미도시)에 고정되는 스터드(16)를 포함할 수 있다.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100)는 제1 플레이트(120) 및 제2 플레이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0)는 인플레이터(10)의 본체부(1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0)는 인플레이터(10)의 본체부(12)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0)는 인플레이터(10)의 본체부(12)의 일측을 커버할 수 있으며, 인플레이터(10) 본체부(12)의 일측과 접촉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0)는 밴딩(Bending) 작업을 통해 단면 형상이 'U'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플레이트(120)는 접촉부(122), 커버부(124), 이탈방지돌기(126) 및 결합홀(128)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122)는 제1 플레이트(120)에 결합되는 인플레이터(10)의 본체부(12)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다. 접촉부(122)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인플레이터(10)의 본체부(12)의 형상을 따라 곡선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촉부(122)의 형상은 인플레이터(10)의 본체부(1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124)는 접촉부(122)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124)는 인플레이터(10)의 본체부(1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124)는 인플레이터(10)의 본체부(12)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방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124)는 접촉부(122)에 결합된 인플레이터(10)의 본체부(12)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인플레이터(10)의 배출부(14)의 중심에서 커버부(124)의 단부까지의 높이는 인플레이터(10)의 배출부(14)의 중심에서 배출부(14)의 단부까지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인플레이터(10)의 배출부(14)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는 커버부(124)의 내면(120a)에 접촉되어 반사되므로, 고온의 가스가 에어백 쿠션(미도시)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미도시)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126)는 커버부(124)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126)는 커버부(1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커버부(124)의 내면에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126)는 커버부(124)의 내면(120a)으로부터 커버부(124)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탈방지돌기(126)의 형상을 반구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탈방지돌기(126)는 인플레이터(10)의 본체부(12)의 이탈을 방지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커버부(124)에 배치된 이탈방지돌기(126)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인플레이터(10)의 본체부(12)의 직경보다 좁을 수 있다. 따라서, 인플레이터(10)가 프로텍터(100)에 결합될 때, 억지끼움 형식으로 이탈방지돌기(126)를 통과하여 접촉부(122)에 접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10)의 본체부(12)가 이탈방지돌기(126)를 통과하여 접촉부(122)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 3을 기준으로 이탈방지돌기(126)는 인플레이터(10)의 본체부(12)의 중심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부(122)에 인플레이터(10)의 본체부(12)가 결합되면, 이탈방지돌기(126)는 인플레이터(10)의 본체부(12)를 가압하지 않으므로 인플레이터(10)의 본체부(12)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돌기(126)는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인플레이터(10)의 본체부(12)가 흔들려도 인플레이터(10)의 본체부(12)가 프로텍터(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탈방지돌기(126)를 통해 인플레이터(10)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결합홀(128)은 접촉부(122)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홀(128)은 접촉부(122)의 중앙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홀(128)은 인플레이터(10)의 본체부(12)에 배치된 스터드(16)를 통과시킬 수 있다. 결합홀(128)에 스터드(16)가 통과되면, 접촉부(122)에 접촉되어 결합된 인플레이터(10)의 본체부(12)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40)는 제1 플레이트(120)의 양단부, 보다 자세하게는, 커버부(124)의 양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40)는 커버부(124)의 양단부로부터 제1 플레이트(120)의 외면(120b), 보다 자세하게는, 커버부(124)의 외면을 향해 밴딩될 수 있다. 커버부(124)의 외면을 향해 밴딩된 제2 플레이트(140)는 단부(142)가 커버부(124)의 외면(120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은, 밴딩된 제2 플레이트(140)의 단부(142)가 커버부(124)의 외면(120b)에 접촉하거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24)의 단부에서 제2 플레이트(140)의 단부(142)까지의 제1 거리(D1)는 커버부(124)의 단부에서 이탈방지돌기(126)의 단부까지의 제2 거리(D2)와 같거나 짧을 수 있다. 이는, 인플레이터(10)의 배출부(14)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제1 플레이트(120)의 커버부(124)가 가압되어 변형이 일어날 때, 제2 플레이트(140)가 커버부(124)를 지지하여 커버부(124)의 변형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140)는 커버부(124)의 변형에 의해 커버부(124)가 에어백 쿠션(미도시)의 내면에 접촉하여 에어백 쿠션(미도시)이 찢어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120)의 외면(120b)에서 내면(120a)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플레이트(140)의 단부(142)와 인플레이터(10)의 배출부(14)의 일부는 서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40)의 단부(142)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인플레이터(10)의 배출부(14)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는 인플레이터(10)의 배출부(14)에서 제1 플레이트(120)의 커버부(124)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스의 압력에 의해 커버부(124)가 가압되면, 커버부(124)를 지지하고 있는 제2 플레이트(140)가 커버부(124)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140)에 의해 커버부(124)가 가압되어 발생되는 변형이 멈추게 되어 커버부(124)의 변형이 정지될 수 있다. 이 때, 커버부(124)가 받은 충격을 흡수한 제2 플레이트(140)는 커버부(124)의 변형보다 적게 변형되므로, 제2 플레이트(140)가 에어백 쿠션(미도시)과 접촉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140)는 커버부(124)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커버부(124)의 변형보다 적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140)가 에어백 쿠션(미도시)에 접촉된다 하더라도 에어백 쿠션(미도시)이 찢어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될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140)의 밴딩 영역(Bending Area)(BA)은 만곡된 형상을 가지므로, 제2 플레이트(140)가 커버부(124)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변형이 일어난다 하더라도 만곡된 형상에 의해 에어백 쿠션(미도시)이 찢어지는 등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100)는 인플레이터(10)에서 생성되는 고온의 가스를 에어백 쿠션(미도시)에 직접 접촉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가스의 압력에 의해 제1 플레이트(120)가 벌어지는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100)를 통해 에어백 쿠션(미도시)의 수명이 유지되며, 에어백 쿠션(미도시)의 전개를 방해하거나 전개가 지연되는 것이 방지되어 에어백 쿠션(미도시)이 설계과정에서 의도한대로 전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플레이트(140)의 다양한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제2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140)는 이탈방지돌기(126)와 중첩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측면으로 볼 때, 제2 플레이트(140)의 단부(142)는 이탈방지돌기(126)보다 인플레이터(10)의 배출부(14)의 중심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2 플레이트(140)가 이탈방지돌기(126)와 중첩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제1 플레이트(120)의 외면(120b)을 커버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와 동시에 제2 플레이트(140)의 단부(142)가 이탈방지돌기(126)의 단부와 인플레이터(10)의 배출부(14)의 중심 사이의 영역에 해당하는 제1 플레이트(120)의 외면(120b)을 커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140)는 인플레이터(10)의 배출부(14)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제1 플레이트(120)의 커버부(124)가 인플레이터(10)의 본체부(12)를 중심으로 일측(예: 좌측)과 타측(예: 우측)을 향해 벌어지는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120)의 커버부(124)의 외측에 배치된 제2 플레이트(140)가 에어백 쿠션(미도시)에 접촉하는 확률이 감소되어 에어백 쿠션(미도시)이 손상될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도 5는 제2 플레이트(14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140)는 제1 밴딩부(144)와 제2 밴딩부(146)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밴딩부(144)는 제1 플레이트(120)의 커버부(124)의 단부로부터 밴딩되는 부분이며, 제2 밴딩부(146)는 제1 밴딩부(144)의 단부에서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부분이 밴딩되어 제1 플레이트(120)의 커버부(124)의 외면(120b)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2 밴딩부(146)의 단부(146a)는 제1 플레이트(120)의 커버부(124)의 외면(120b)과 접촉될 수 있다.
제2 밴딩부(146)가 제1 플레이트(120)의 커버부(124)의 외면(120b)을 지지하므로, 인플레이터(10)의 가스 생성 전에는 차량의 이동에 의해 제1 플레이트(120)의 커버부(124)가 흔들려 인플레이터(10)가 프로텍터(10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밴딩부(146)에 의해 인플레이터(10)의 가스 생성 후에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제1 플레이트(120)의 커버부(124)가 인플레이터(10)의 본체부(12)를 중심으로 일측(예: 좌측)과 타측(예: 우측)으로 향해 벌어지는 거리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인플레이터(10)의 작동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에어백 쿠션(미도시)의 수명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인플레이터 12: 본체부
14: 배출부 16: 스터드
100: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 120: 제1 플레이트
120a: 내면 120b: 외면
122: 접촉부 124: 커버부
126: 이탈방지돌기 128: 결합홀
140: 제2 플레이트 142: 제2 플레이트의 단부
144: 제1 밴딩부 146: 제2 밴딩부
146a: 제2 밴딩부의 단부 BA: 밴딩 영역
D1: 제1 거리 D2: 제2 거리

Claims (7)

  1.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플레이터의 배출부의 일측을 둘러싸는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부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배치되며, 단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외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외면을 향해 밴딩되는,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외면에서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부와 상기 인플레이터의 배출부의 일부는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내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단부까지의 제1 거리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기 이탈방지돌기의 단부까지의 제2 거리와 같거나 짧은,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밴딩 영역은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단부는 상기 이탈방지돌기보다 상기 인플레이터의 배출부의 중심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밴딩되는 밴딩부; 및
    상기 밴딩부의 단부에 배치되며, 일부분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외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접촉부; 를 포함하는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
KR1020220129327A 2022-10-11 2022-10-11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 KR202400498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327A KR20240049880A (ko) 2022-10-11 2022-10-11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327A KR20240049880A (ko) 2022-10-11 2022-10-11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9880A true KR20240049880A (ko) 2024-04-18

Family

ID=9084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327A KR20240049880A (ko) 2022-10-11 2022-10-11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98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9454B1 (en) Unification airbag module
US6193272B1 (en) Knee protector with load distribution cage
US9296359B2 (en) Airbag with multiple layers of cushioning effect
CN103328276A (zh) 安全气囊装置
KR20240049880A (ko)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
US20100171295A1 (en) Driver's air bag
US20210354648A1 (en) Airbag device for drivers seat
US8602447B2 (en) Airbag device
KR100230764B1 (ko) 에어백의 충돌감지 센서
KR102398272B1 (ko) 에어백 커버
US11325558B2 (en) Airbag apparatus
KR101198837B1 (ko) 차량용 무릎에어백 어셈블리
KR100564356B1 (ko) 조수석 에어백의 쿠션
KR100616437B1 (ko) 에어백모듈장치
KR100707889B1 (ko) 차량용 에어백의 쿠션 어셈블리
KR100643585B1 (ko) 자동차용 에어백 쿠션
KR20230149005A (ko) 인플레이터용 프로텍터, 이와 조립된 에어백쿠션 및 커튼에어백
KR20240015337A (ko) 차량용 에어백 커버
WO2021018662A1 (en) Airbag assembly, seat assembly, motor vehicle and inflating unit
KR20210000906A (ko) 루프 에어백 장치
KR20100099551A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9980064968U (ko) 자동차용 2중 에어백 쿠션
KR20090020308A (ko) 운전석 에어백장치
KR20050076047A (ko) 외부 띠를 가지는 조수석 에어백
KR20050083345A (ko)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의 벤트홀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