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8682A - 양손이 편한 고리형 기둥부재 손잡이 - Google Patents

양손이 편한 고리형 기둥부재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682A
KR20240048682A KR1020220128296A KR20220128296A KR20240048682A KR 20240048682 A KR20240048682 A KR 20240048682A KR 1020220128296 A KR1020220128296 A KR 1020220128296A KR 20220128296 A KR20220128296 A KR 20220128296A KR 20240048682 A KR20240048682 A KR 20240048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
pillar member
handle
arm
r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주
Original Assignee
이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주 filed Critical 이정주
Priority to KR1020220128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8682A/ko
Publication of KR20240048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68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탑승공간에 설치되는 양 손이 편한 고리형 기둥부재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탑승공간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기둥부재, 상기 기둥부재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중앙으로는 탑승자의 팔을 집어 넣은 상태에서 거치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며 그 외측은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탑승자의 팔을 지지하여 탐승자의 균형을 잡아주도록 하는 팔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 손이 편한 고리형 기둥부재 손잡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손이 편한 고리형 기둥부재 손잡이{Ringed Columnar HANDLE with both hands comfortable}
본 발명은 버스 등에 설치되어 있는 기둥부재 손잡이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에 탑승한 탑승자의 팔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여 양 손을 쓰지 않더라도 운행중에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한 양손이 편한 고리형 기둥부재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 등의 차량에서 서있는 승객의 안전을 위해 손잡이가 구비된다.
즉, 버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드레일에 손잡이가 일정높이를 갖도록 밴드로 고정되게 설치되어, 그 일단에 손을 끼워 잡을 수 있도록 자리면이 형성된다. 이는 차량에 승객이 서가는 경우에 손잡이를 잡음으로써 주정차시나 회전시 관성력에 의해 넘어지거나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버스 손잡이는 어린이나 키가 비교적 작은 여성 등의 경우, 버스 천정에 위치하고 있는 손잡이를 잡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22-0082679 호(명칭: 버스 손잡이의 길이조절 및 고정 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가드레일에 고정 브라켓이 설치되어 밴드가 고정 브라켓에 의해 고정된다.
높이조절을 하기 위한 손잡이 버튼, 상기 손잡이 버튼에 상기 손잡이 버튼을 손으로 누르면 외부프레임에 힘을 가해 움직이게 하는 지렛대장치, 상기 지렛대 장치와 연결되어 내부에 길이 고정대 스프링, 내부장치 심, 내부프레임을 포함하는 외부프레임, 상기 외부프레임 표면에 돌출된 형태의 철로 만들어진 길이 고정대, 상기 길이 고정대의 삽입구멍인 고정대 홈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비록 손잡이의 높이를 조절하여 어린이 등도 쉽게 손잡이를 잡을 수 있도록 한 고안이기는 하나, 손잡이를 반드시 손으로만 잡아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버스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경우에는 양 손에 짐을 들고 있는 경우가 많고, 또한 근래에는 버스에 탑승한 상태에서 스마트폰 등을 시청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상황에서는 양 손을 쓰기가 어려워 버스 손잡이를 잡기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22-0082679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에 설치되어 있는 기둥부재에 고리 형태의 팔거치대를 상, 하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다수개를 설치하여 팔거치대에 탑승자의 양 손이 아닌 팔을 집어 넣어 지지토록 함으로서 탑승자가 양 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운행중에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한 양손이 편한 고리형 기둥부재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스의 탑승공간에 설치되는 양 손이 편한 고리형 기둥부재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탑승공간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기둥부재, 상기 기둥부재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중앙으로는 탑승자의 팔을 집어 넣은 상태에서 거치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며 그 외측은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탑승자의 팔을 지지하여 탐승자의 균형을 잡아주도록 하는 팔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둥부재에 팔거치대를 설치하여 탑승자가 양 손이 아닌 팔을 팔거치대에 직접 집어넣어 사용토록 함으로서 균형을 잡기 위해 양 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탑승자는 서있는 상태로 버스가 운행하더라도 안정적으로 균형을 잡을 수 있으며, 또한 양 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자유로워진 양 손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거나 혹은 중요한 물건등을 손에 직접 든 상태로 목적지 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 손이 편한 고리형 기둥 손잡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손이 편한 고리형 기둥부재 손잡이의 전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손이 편한 고리형 기둥부재 손잡이(100)는 크게 기둥부재(10)와, 팔거치대(2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기둥부재(10)는 버스의 내부 탑승공간(200)에 설치되는 데, 다수의 탑승자(3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내구성을 가지는 금속성의 재질로 성형한다. 또한 기둥부재(10)의 선단 및 끝단은 버스의 탑승공간(200)에 마련된 바닥(210)과 천정(220)에 각각 고정시켜 탑승자(300)의 하중에 의해 흔들리거나 휘어지지 않도록 한다.
팔거치대(20)는 버스에 탑승한 탑승자(300)가 양 손을 사용하지 않고 팔(310)을 집어 넣어 흔들리는 버스안에서 탑승자(300)의 균형을 잡아주도록 한 것으로서, 탑승자(300)는 팔거치대(20)에 팔을 집어 넣는 동작을 통해 양 손이 자유로워지게 됨으로서 운행중에도 스마트폰을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짐이나 기타 물품들을 양 손으로 든 상태에서도 균형을 잃지 않고 편안하게 대중 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팔거치대(20)는 "C"형상을 가지도록 중앙에는 구멍(22)이 형성되고 그 외측은 개구부(24)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팔거치대(20)의 내측은 기둥부재(10)에 고정되도록 하되, 고정방식은 용접을 이용하거나 또는 기둥부재(1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팔거치대(20)를 같이 일체화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팔거치대(20)의 구멍은 탑승자(300)의 팔이 여유있게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도록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팔거치대(20)의 개구부(24)는 자칫 사용과정에서 팔(310)이 의도하지 않게 빠져나올 위험이 있는 바, 팔거치대(20)의 개구부(24)는 팔거치대(20)의 구멍(2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여 탑승자(300)의 팔(310)은 빠져나오지 못하는 대신 탑승자(300)의 손목은 빠져나올 수 있을 정도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팔거치대(20)는 동일한 구조로 하여 상기 기둥부재(10)의 외면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펼쳐진 상태로 상, 하 일정간격 유지하며 다수개를 배치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하나의 기둥부재(10) 주변에 여러 명의 탑승자가 모여있더라도 각각의 탑승자(300)가 팔거치대(20)를 하나씩 이용하도록 하여 여러 명의 탑승자(300)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 하로 배치되는 각 팔거치대(20)는 상, 하 일정간격 유지한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각 팔거치대(20)의 높이가 서로 차이가 남으로서 키가 큰 성인 남성이나 키가 작은 어린이는 자기 키에 맞는 높이에 위치한 팔거치대(20)를 사용하면 됨으로 실용성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팔거치대(20)의 사용방법은 먼저 탑승자(300)는 자신의 체형에 맞는 높이에 위치하고 있는 팔거치대(20)를 확인한 다음, 탑승자(300)의 팔(310)을 팔거치대(20)의 구멍(22)으로 집어넣게 되면 탑승자(300)의 팔(310)은 팔거치대(20)에 구멍(22)에 위치한 상태로 팔거치대(20)를 지지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팔거치대(20)에 팔(310)을 집어 넣어 지지수단으로 사용하면 균형을 잡기 위해 양 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탑승자(300)는 서있는 상태로 버스가 운행하더라도 안정적으로 균형을 잡을 수 있으며, 특히 양 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자유로워진 양 손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거나 혹은 중요한 물건등을 손에 직접 든 상태로 목적지 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10: 기둥부재 20: 팔거치대
22: 구멍 24: 개구부
100: 양손이 편한 고리형 기둥부재 손잡이
200: 탑승공간
300: 탑승자

Claims (1)

  1. 버스의 탑승공간(200)에 설치되는 양 손이 편한 고리형 기둥부재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탑승공간(200)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기둥부재(10);
    상기 기둥부재(10)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중앙으로는 탑승자(300)의 팔(310)을 집어 넣은 상태에서 거치할 수 있도록 구멍(22)이 형성되며 그 외측은 개구부(24)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탑승자(300)의 팔(310)을 지지하여 탐승자(300)의 균형을 잡아주도록 하는 팔거치대(2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 손이 편한 고리형 기둥부재 손잡이.

KR1020220128296A 2022-10-07 2022-10-07 양손이 편한 고리형 기둥부재 손잡이 KR202400486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296A KR20240048682A (ko) 2022-10-07 2022-10-07 양손이 편한 고리형 기둥부재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296A KR20240048682A (ko) 2022-10-07 2022-10-07 양손이 편한 고리형 기둥부재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682A true KR20240048682A (ko) 2024-04-16

Family

ID=90882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296A KR20240048682A (ko) 2022-10-07 2022-10-07 양손이 편한 고리형 기둥부재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868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679A (ko) 2020-12-10 2022-06-17 이웅희 버스 손잡이의 길이조절 및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679A (ko) 2020-12-10 2022-06-17 이웅희 버스 손잡이의 길이조절 및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6358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ирания и удержания пассажиров любого роста в общественном транспорте
JP2006240437A (ja) 車両用スタンションポール
KR20240048682A (ko) 양손이 편한 고리형 기둥부재 손잡이
US11584281B2 (en) Bus handrail and bus vehicle interior structure
JP2001047969A (ja) 乗合自動車における車椅子用シートベルト装置
EP2578447B1 (en) Retaining device for passenger transport vehicle and passenger transport vehicle comprising such a device
JP2016128301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6035969A (ja) 鉄道車両の優先席ガード装置
JP5214699B2 (ja) 車両用スタンションポール
KR101775573B1 (ko) 척추 허리 보호 및 하지 정맥류 방지 겨드랑이 지지대
JPS61196834A (ja) 安全補助用マイハンド
WO2005025948A1 (en) Seat belt system for a vehicle
KR20060013450A (ko) 차량용 손잡이
WO2015189854A1 (en) Luggage carrier for a two wheeler.
KR101885792B1 (ko) 버스 손잡이 조립체
KR100212261B1 (ko) 자동차의 운전자 팔받침 장치
EP1157880A1 (en) Child seat
JP6475529B2 (ja) 把持部材
KR102668214B1 (ko) 휴대용 안전벨트
JP2002114072A (ja) 自動車用アシストグリップ構造
JP3186443U (ja) スタンションポール
KR101991726B1 (ko)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
JP3214349U (ja) ステップ付き杖
KR200270513Y1 (ko) 운전자용 겨드랑이 받침구
CN206086456U (zh) 一种汽车用儿童安全座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