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513Y1 - 운전자용 겨드랑이 받침구 - Google Patents

운전자용 겨드랑이 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513Y1
KR200270513Y1 KR2020020001659U KR20020001659U KR200270513Y1 KR 200270513 Y1 KR200270513 Y1 KR 200270513Y1 KR 2020020001659 U KR2020020001659 U KR 2020020001659U KR 20020001659 U KR20020001659 U KR 20020001659U KR 200270513 Y1 KR200270513 Y1 KR 2002705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upport
armpit
driv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세영
Original Assignee
주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영 filed Critical 주세영
Priority to KR2020020001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5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513Y1/ko

Links

Landscapes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전자가 자동차 운행중에 핸들(101)을 잡고 운전할 때에 운전자의 양측 어깨 아래부의 겨드랑이(103)를 받쳐줄 수 있도록 고안된 운전자용 겨드랑이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장거리 운행시에 운전가가 양쪽 손으로 핸들(101)을 잡고서 운행할 때, 겨드랑이 받침구를 구성하는 쿳션겨드랑이지지대(14)를 운전자의 양쪽 겨드랑이(103)에 끼우고 운전함으로서, 운전자의 팔(102) 무게에 의하여 팔(102)이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장시간 운전하여도 어깨에 무리를 주는 피로를 줄여 주며, 또한 항상 안전한 운전자세를 유지시켜 주어 안전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운전자용 겨드랑이 받침구{DRIVER'S ARM SUPPORTER}
본 고안은 운전자가 자동차 운행중에 핸들을 잡고 운전할 때에 운전자의 양측 어깨 아래부의 겨드랑이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고안된 운전자용 겨드랑이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장거리 운행시에 운전가가 양쪽손으로 핸들을 잡고서 운행할 때, 겨드랑이 받침구를 겨드랑이에 끼우고 운전함으로서, 운전자의 팔 무게에 의하여 팔이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장시간 운전하여도 어깨에 무리를 주는 피로를 적게하며, 또한 항상 안전한 운전자세를 유지시켜 주어 안전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을 함에 있어서 운전자는 좌석에 가장 편안한 자세로 앉은 상태에서 두 손으로 핸들을 잡고 자동차 운행을 함으로써 안전운행을 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를 장거리 혹은 장시간 운전하는 경우 계속하여서 두 손으로 핸들을 잡고 운전하는 것은 오히려 피로를 가중시키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 한 손으로는 핸들을 잡고 운행을 하고 다른 한 손은 핸들에서 손을 내려 휴식을 취하는 행동을 오른 손과 왼손을 계속 번갈아 가면서 휴식을 취한다.
이때, 변속기의 레버위에 손을 올려놓고 있거나 혹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된 콘솔박스위에 팔을 올려 놓거나 또는 도어의 내측 손잡이부 위에 올려 놓으므로서 팔의 휴식과 몸의 균형유지를 가져왔던 것이다.
그런데 변속기는 높이가 맞지 않을 뿐더러 콘솔박스의 경우 높이가 낮을 경우 높이를 적절히 하기 위하여 별도의 콘솔박스를 구비 설치하여 팔의 휴식과 안정된 몸의 균형을 유지하였던 것이다 .
또, 반대편의 도어측 손잡이 위에 팔을 올려 놓더라도 몸과 도어 손잡이부의 간격이 멀어 자세가 흐트러져 안전운행에 좋지 않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차에 기존 설치된 콘솔박스는 목적이 물품의 수납을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 것으로 운전자의 신체조건을 고려하지 아니하고 설치되어 있으므로 장시간 운전시 운전자세의 흐트러짐을 최소화 시키거나 운전자의 피로를 덜어 주는데는 적절치 못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결점을 적게 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자동차 운행중에 핸들을 잡고 운전할 때에 운전자의 양측 어깨 아래부의 겨드랑이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겨드랑이 받침구를 구성하는 쿳션겨드랑이지지대를 운전자의 양쪽 겨드랑이에 끼우고 운전함으로서, 운전자의 팔 무게에 의하여 팔이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받쳐주도록 하여 장거리 및 장시간 운전시에 운전자의 피로를 적게하고, 운전자의 자세가 흐트러짐이 없이 안전운행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도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중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주름관형지지대 11 횡설지지대
12 입설지지대 13 끼움봉
14 쿳션겨드랑이지지대 20 브래킷
21a,21b,21c 끼움부 22 끼움홈
24 고정홀 25 고정부재
도1내지 도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은 만곡조절이 용이한 횡설지지대(11) 및 입설지지대(12) 와 끼움봉(13)으로 형성되는 주름관형지지대(10)를 구성하되,
상기 상단부로 형성되는 횡설지지대(11)에는 쿳션겨드랑이지지대(14)를 끼움 형성하며,
상기 하단부로 형성되는 끼움봉(13)에는 상기 끼움봉(13)에 대응하여 끼움 설치할 수 있는 끼움홈(22)이 형성된 다수의 끼움부(21a)(21b)(21c)가 형성된 고정브래킷(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고정브래킷(20)에는 다수의 고정홀(24)이 형성되어 별도의 고정부재(25)에 의하여 부착하고자 하는 곳(예로서, 시이트)에 부착 고정되도록 구성하였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 100은 운전석의 등받이, 101은 차량의 핸들, 102은 운전자의 팔, 103는 운전자의 겨드랑이부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주름관형지지대(10)와 고정브래킷(20)으로 구성되는 겨드랑이 받침구는 고정브래킷(20)을 운전석의 등받이(100) 양측부에 별도의 고정부재(25)를 이용하여 부착 고정한 후에 상기 주름관형지지대(10)의 저부를 구성하는 끼움봉(13)을 고정브래킷(20)에 형성된 끼움홈(22)에 끼워 고정한다.
한편, 상기의 주름관형지지대(10)를 구성하는 입설지지대(12)는 자유롭게 구부려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고정브래킷(20)에는 소정의 등간격으로 다수의 끼움부(21a)(21b)(21c)를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주름관형지지대(10)를 착설할 때에사용자의 겨드랑이(103) 높이에 맞게 설치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끼워져 고정된 주름관형지지대(10)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유롭게 변형되는 입설지지대(12)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운적석에 앉아서 양측의 겨드랑이(103) 높이에 안정적으로 맞도록 입설지지대(12)를 조정하여 겨드랑이(103)사이로 쿳션겨드랑이지지대(14)가 끼워져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양측의 겨드랑이(103) 사이로 쿳션겨드랑이지지대(14)가 삽입되어 양쪽의 어깨가 받쳐진 상태로 양쪽 손으로 핸들(101)을 잡고서 운전을 하게 됨으로서, 양쪽 팔(102)이 쿳션겨드랑이지지대(14)에 편안하게 의지되게 된다.
따라서, 운전중에 양쪽 손으로 핸들(101)을 잡고 있음으로 하여 양쪽 팔(102)의 무게에 의하여 밑으로 쳐지면서 어깨에 무리를 가하는 것을 운전석의 등받이(100) 양측으로 부착 구성된 쿳션겨드랑이지지대(14)에 의하여 겨드랑이(103)가 지지되어 양쪽 팔(102)의 무게에 의한 쳐짐을 방지하여 양쪽 팔(102)의 피로도가 감소되고 동시에 운전자세가 안정되게 되므로 안전운전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운전자가 자동차 운행중에 핸들을 잡고 운전할 때에 운전자의 양측 어깨 아래부의 겨드랑이부에 겨드랑이 받침구를 끼우고 운전함으로서, 운전자의 팔 무게에 의하여 팔이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며 장시간 운전하여도 어깨에 무리를 주는 피로를 적게 줄여주며, 또한 항상 안전한 운전자세를유지함으로서 운전자가의 안전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만곡조절이 용이한 횡설지지대(11) 및 입설지지대(12) 와 끼움봉(13)으로 형성되는 주름관형지지대(10)를 구성하되,
    상기 상단부로 형성되는 횡설지지대(11)에는 쿳션겨드랑이지지대(14)를 끼움 형성하며,
    상기 하단부로 형성되는 끼움봉(13)에는 상기 끼움봉(13)에 대응하여 끼움 설치할 수 있는 끼움홈(22)이 형성된 다수의 끼움부(21a)(21b)(21c)가 형성된 고정브래킷(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운전자용 겨드랑이 받침구.
KR2020020001659U 2002-01-18 2002-01-18 운전자용 겨드랑이 받침구 KR2002705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659U KR200270513Y1 (ko) 2002-01-18 2002-01-18 운전자용 겨드랑이 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659U KR200270513Y1 (ko) 2002-01-18 2002-01-18 운전자용 겨드랑이 받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513Y1 true KR200270513Y1 (ko) 2002-04-03

Family

ID=7307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659U KR200270513Y1 (ko) 2002-01-18 2002-01-18 운전자용 겨드랑이 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5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388B1 (ko) 2015-04-28 2016-10-21 김재건 운전자 겨드랑이 지지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388B1 (ko) 2015-04-28 2016-10-21 김재건 운전자 겨드랑이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31132B1 (en) Lumbar support for car seat
AU728411B3 (en) Suspension seat
KR200270513Y1 (ko) 운전자용 겨드랑이 받침구
KR20190089354A (ko) 목받침 헤드레스트
US20020043842A1 (en) Back rest for seat back
US4904021A (en) Leaning support for a vehicle seat back
KR200172039Y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200326836Y1 (ko) 자동차용 의자의 목-머리 받침대
KR200269126Y1 (ko) 운전자의 팔 받침구
JPH0761265A (ja) 乗物用座席
JP4171462B2 (ja) 寝台を具備する運転室
KR200347664Y1 (ko) 운전자용 어깨결림 방지 쿠션
KR20060097783A (ko) 의자용 목받침대
JP4563111B2 (ja) 椅子用バックレスト
EP1419928A3 (en) Folding type center headrest for vehicle
KR200426703Y1 (ko) 차량용 안전 베개
KR20240048682A (ko) 양손이 편한 고리형 기둥부재 손잡이
KR200291452Y1 (ko) 차량의자용 등쿠션
JPH0430935Y2 (ko)
KR20170063104A (ko) 자동차용 발 받침대
JPS6348202Y2 (ko)
KR0162170B1 (ko) 흉추 받침대가 부설된 자동차용 쿠션 시트
KR890004557Y1 (ko) 자동차용 의자머리 받이
KR950008601Y1 (ko) 자동차용 애기의자
KR200302811Y1 (ko) 의자용 머리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