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698A -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698A
KR20240047698A KR1020220127035A KR20220127035A KR20240047698A KR 20240047698 A KR20240047698 A KR 20240047698A KR 1020220127035 A KR1020220127035 A KR 1020220127035A KR 20220127035 A KR20220127035 A KR 20220127035A KR 20240047698 A KR20240047698 A KR 20240047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ide sill
vehicle
outer panel
reinforce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언
송승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7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7698A/ko
Priority to US18/099,562 priority patent/US20240116575A1/en
Priority to DE102023103533.9A priority patent/DE102023103533A1/de
Priority to CN202310115259.XA priority patent/CN117842189A/zh
Publication of KR20240047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7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pecial steel or specially treated steel, e.g. stainless steel or locally surface hardened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아우터패널로 구성되고, 아우터패널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사이드실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아우터멤버; 및 아우터멤버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이너패널로 구성되고, 각각의 이너패널의 일측은 아우터패널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각각의 이너패널의 타측은 내부공간 내부에서 상호 마주하며 접하여 고정된 이너보강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어셈블리{VEHICLE SIDE-SILL REINFORCEMENT MEMBER AND VEHICLE SIDE-SIL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사이드실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마련된 보강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이드 실은, 자동차의 측면 개구부를 구성하는 강도 멤버 중 하나로, 도어 밑에 위치하고, 승강성을 위해서는 그리 높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낮게 설정하면 지면의 장해물과 접촉해서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강성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단면적을 유지하면서 적절한 치수를 가져야 한다.
상기 사이드 실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센터 플로우 패널(center floor panel)에 연결되는 이너 패널(inner panel), 및 아우터패널(out panel)을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하여 내부 공간(실공간, sill space)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 실에 형성되는 내부 빈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에 따라, 사이드 실의 내부 빈 공간은 대부분 자동차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변형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활용되어 왔다.
즉, 자동차 사이드 실의 내부 단면에서, 자동차 사이드 실 공간이 비어 있음에 따라 쉽게 찌그러지는 등 변형강도가 낮았기 때문에 상기 사이드 실 공간에 보강재를 삽입하여 충격으로부터 탑승자 및 자동차를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보강재는 알루미늄 소재의 압출재를 통해 멤버를 재조하여 사이드실의 내부공간에 삽입하였으며, 이러한 알루미늄 압출재와 스틸 소재의 사이드실 아우터패널을 결합시키기 위해 복수의 결합부재가 마련됨에 따라 체결 구조가 복잡해지며, 알루미늄 소재로 인해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9-0001990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복수의 패널로 형성된 아우터패널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복수의 패널로 형성된 이너패널이 내부공간의 내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각각이 스틸 재질로 형성되어 용접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보강멤버로 구성된 차량의 사이드실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아우터패널로 구성되고, 아우터패널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아우터멤버; 및 아우터멤버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이너패널로 구성되고, 각각의 이너패널의 일측은 아우터패널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각각의 이너패널의 타측은 내부공간 내부에서 상호 마주하며 접하여 고정된 이너보강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아우터패널은 상부 및 하부가 서로 결합되고, 이너패널에는 제1 패널이 포함되며, 제1 패널은 아우터멤버의 내부공간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 및 하단이 아우터패널의 상부 및 하부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이너패널에는 제2 패널이 포함되며, 제2 패널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공간에서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아우터패널과 제1 패널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패널은 중앙부가 절곡된 패널로써 절곡된 중앙부가 제1 패널과 접합되고, 중앙부에서 연장된 연결부의 양단부에 각각 절곡된 플랜지부가 포함되고, 플랜지부는 아우터패널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은 한 쌍으로 형성되고, 아우터패널에는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절곡된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가 포함되고, 한 쌍의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에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접합시키는 접합기구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이 포함되고, 제1 관통홀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에는 상면 또는 하면에 제1 비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패널에는 상면 또는 하면에 돌출된 제2 비드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 또는 이너패널에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된 비드가 형성되며, 비드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 및 이너패널은 스틸 재질로 제조되고, 서로 용접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가 구비된 차량용 사이드실 어셈블리는, 사이드실 보강멤버를 감싸는 사이드실 이너패널 및 사이드실 아우터패널;을 포함하고, 아우터패널의 외측면은 사이드실 이너패널 또는 사이드실 아우터패널에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실 이너패널 및 사이드실 아우터패널은 상부 및 하부가 서로 결합되어 사이드실 보강멤버를 감싸며, 제1 패널에는 상측 및 하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포함되고, 연장부는 사이드실 이너패널 및 사이드실 아우터패널의 상부 및 하부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제1 패널에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아우터패널에는 제3 관통홀이 형성되며, 아우터패널과 사이드실 이너패널 또는 사이드실 아우터패널을 접합시키는 접합기구의 삽입을 위해 제2 관통홀과 제3 관통홀은 측방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홀 및 제3 관통홀은 제1 패널 및 아우터패널의 중앙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는 아우터패널 및 이너패널로 구성되며, 아우터패널 및 이너패널은 모두 스틸재질로 제조됨으로써 종래의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보강멤버에 대비하여 원가를 절감하면서 두께가 감소되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접결합에 의해 아우터패널과 이너패널이 용접 결합되어 볼트와 같은 별물의 결합부재가 없음으로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아우터패널 및 이너패널에는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비드가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측면 충돌시 보강멤버의 단면을 유지시키며 추가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의 단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보강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패널과 아우터패널이 결합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널이 아우터패널 및 제2 패널에 결합되는 단면도,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어셈블리를 결합시키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차량에는 측면 충돌을 보호하기 위해 차량의 플로어 측면에는 사이드실이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실은 복수의 멤버 또는 패널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사이드실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멤버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종래의 차량에는 사이드실 보강멤버는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하여 멤버형상으로 마련하고, 알루미늄 멤버를 스틸 재질로 형성된 사이드실의 외부패널에 결합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멤버와 외부패널을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알루미늄과 결합하기 위해 볼트와 같은 다수의 기구가 마련되어 제조 공정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멤버가 알루미늄으로 제조됨에 따라 원자재 가격의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출원발명에는 사이드실 보강멤버를 복수의 스틸 패널로 형성하여 원가를 절감시키며, 제조 공정을 간소화 시키는 사이드실 보강멤버를 제안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1)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1)의 단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보강부(20)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패널(220)과 아우터패널(100)이 결합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널(210)이 아우터패널(100) 및 제2 패널(220)에 결합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1)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아우터패널(100)로 구성되고, 아우터패널(100)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사이드실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아우터멤버(10); 및 아우터멤버(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이너패널(200)로 구성되고, 각각의 이너패널(200)의 일측은 아우터패널(10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각각의 이너패널(200)의 타측은 내부공간 내부에서 상호 마주하며 접하여 고정된 이너보강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멤버(10)는 중공인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아우터패널(100)이 절곡된 상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너보강부(20)는 복수의 이너패널(200)로 형성되어 아우터멤버(10)의 내부공간에서 아우터패널(100)을 연걸하도록 아우터멤버(1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00)과 이너패널(200)은 모두 스틸재질로 제조됨으로써 종래의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보강멤버에 대비하여 원가를 절감하면서 두께가 감소되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용접결합에 의해 아우터패널(100)과 이너패널(200)이 용접 결합되어 볼트와 같은 별물의 결합부재가 없음으로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아우터멤버(10)는 구체적으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아우터패널(100)이 서로 대칭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부 및 하부가 서로 결합되어 아우터멤버(10)의 상면, 하면 및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아우터패널(100)에는 상측 및 하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부플랜지(110)는 서로 면 접촉하여 용접 결합되며, 각각의 하부플랜지(120)는 서로 면 접촉하여 용접 결합되어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아우터패널(100)이 아우터멤버(1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너패널(200)에는 제1 패널(210) 및 제2 패널(220)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패널(210)은 아우터멤버(10)의 내부공간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아우터멤버(10)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도록 상단 및 하단이 아우터패널(100)의 상부 및 하부와 함께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패널(220)은 제2 패널(220)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공간에서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아우터패널(100)과 제1 패널(21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널(210) 및 제2 패널(220)은 아우터패널(100)과 동일하게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널(210)은 아우터패널(100)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가 용접 결합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측면 충돌시 제1 패널(210)이 차량의 횡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제2 패널(220)은 한 쌍으로 형성되고, 제1 패널(210)의 양측으로 배치되어 제1 패널(210)과 아우터패널(100)의 측면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패널(210) 및 제2 패널(220)은 아우터멤버(10) 내부에 마련되어 아우터멤버(1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패널(100)의 측면과 제1 패널(210)을 연결하는 제2 패널(220)은 구체적으로 중앙부(222)가 절곡된 패널로써 절곡된 중앙부(222)가 제1 패널(210)과 접합되고, 중앙부(222)에서 연장된 연결부(221)의 양단부가 아우터패널(100)의 내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패널(220)은 제1 패널(210)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제1 패널(210)과 제2 패널(220)을 함께 아우터멤버(10)의 내부공간을 6등분으로 분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패널(220)은 제1 패널(210)이 분할한 내부공간의 높이를 동일한 높이로 3등분함으로써 차량의 측면 충돌시 사이드실 보강멤버(1)가 충격을 균일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패널(220)의 중앙부(222)는 제1 패널(210)과 평행되도록 절곡되고, 제2 패널(220)의 양단부는 상하방향으로 절곡된 플랜지부(223)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패널(220)은 제1 패널(210)의 양측에서 중앙부(222)가 제1 패널(210)과 면착된 이후 용접 결합에 의해 결합되며, 제2 패널(220)의 양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223)는 아우터멤버(10)의 내부공간 측면에 면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2 패널(220)이 제1 패널(210) 및 아우터패널(100)에 서로 면 접촉된 상태로 용접 결합됨에 따라 각각의 결합부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패널(210)을 기준으로 차량의 외측방향으로 배치된 제2 패널(220)이 차량의 측면 충돌시 1차 변형구간으로 형성되고, 차량의 내측방향으로 배치된 제2 패널(220)은 차량의 측면 충돌시 2차 변형구간으로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측면 충돌시 충돌 하중에 대해 횡방향으로 단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승객실 내부로 외부 충돌에 의한 하중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 쌍의 아우터패널(100)의 하부플랜지(120)는 상부플랜지(110)와 차량의 너비방향으로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가 서로 이격된 만큼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에 함께 결합되는 제1 패널(210)은 하부에서 하부플랜지(120) 측으로 절곡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플랜지(120)는 상부플랜지(110)보다 차량의 실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이드실 보강멤버(1)가 사이드실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차체의 플로어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00), 제1 패널(210) 및 제2 패널(220)의 결합 순서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우선, 한 쌍의 아우터패널(100)에 각각 제2 패널(220)을 접촉시킨 이후 용접 결합을 통해 플랜지부(223)를 아우터패널(100)의 내측면에 결합시키고,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패널(210)을 아우터패널(100) 사이에 배치시킨 이후 아우터패널(100)의 상단, 하단 및 이너패널(200)의 중앙부(222)를 용접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패널(210) 및 제2 패널(220)로 형성된 이너보강부(20) 및 아우터패널(100)로 형성된 아우터멤버(10) 사이의 결합력을 강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도 1 내지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패널(220)의 중앙부(222)를 제1 패널(210)과 용접 결합시키기 위해 용접기구가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야 한다. 용접기구를 내부공간으로 삽입시키기 위해 아우터패널(100)에는 관통된 제1 관통홀(130)이 형성되고, 제1 관통홀(130)로 용접기구가 삽입되어 제2 패널(220)과 제1 패널(210)을 서로 용접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쉽게 용접기구를 아우터멤버(10) 내부로 삽입하여 제1 패널(210)과 제2 패널(220)을 용접시킬 수 있어 사이드실 보강멤버(1)의 강건성을 향상시키며, 제조 과정시 신속하게 결합공정을 진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통홀(130)은 구체적으로 아우터패널(100)의 외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며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패널(210)과 제2 패널(220) 사이의 용접 부위를 연장할 수 있으며, 제1 패널(210)과 제2 패널(220) 사이의 결합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패널(10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제1 비드(14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우터패널(100)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제1 비드(140)는 차량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그 길이는 설계자에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비드(140)는 아우터패널(10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하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측면 충돌시 제1 비드(140)가 충격을 흡수하여 단면을 유지함에 따라 아우터멤버(1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패널(200)에 포함된 제2 패널(220)에는 중앙부(222)에서 연장된 연결부(221)에서 상면 또는 하면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된 제2 비드(224)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패널(220)의 연결부(221)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제2 비드(224)는 차량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그 길이는 설계자에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비드(224)는 패널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하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측면 충돌시 제2 비드(224)가 충격을 흡수하여 단면을 유지함에 따라 이너보강부(2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비드(140) 및 제2 비드(224)를 형성하는 일 실시예에서는 아우터패널(100) 및 제2 패널(220)을 프레스 장치로 가압하여 제1 비드(140) 및 제2 비드(224)를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비드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고, 길이방향으로는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측방 충돌시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며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어셈블리를 결합시키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사이드실 보강멤버(1)를 감싸는 사이드실 이너패널(310) 및 사이드실 아우터패널(320);을 포함하고, 아우터패널(100)의 외측면은 사이드실 이너패널(310) 또는 사이드실 아우터패널(320)에 결합될 수 있다.
차체에 결합되는 사이드실은 상기 사이드실 보강멤버(1)가 내부에 삽입되고, 보강멤버의 외부를 감싸는 사이드실 이너패널(310) 및 사이드실 아우터패널(320)이 마련되어 차량의 사이드실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이드실 어셈블리는 차체의 플로어 측면에 결합되어 차량의 측면 충돌이 발생시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 내부 및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사이드실 이너패널(310) 및 사이드실 아우터패널(3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사이드실 보강멤버(1)는 외측면 중 일면이 사이드실 이너패널(310) 또는 사이드실 아우터패널(320)에 용접 결합을 통해 결합되며 사이드실 이너패널(310) 및 사이드실 아우터패널(3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실 이너패널(310) 및 사이드실 아우터패널(320)은 상부와 하부가 각각 서로 용접 결합되며 사이드실 보강멤버(1)를 감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사이드실 보강멤버(1)의 제1 패널(210)의 상부 및 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211)가 마련되어 사이드실 이너패널(310) 및 사이드실 아우터패널(320)이 결합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패널(210)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211)는 사이드실 이너패널(310) 및 사이드실 아우터패널(320)의 상부와 함께 용접 결합되고, 제1 패널(210)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211)는 사이드실 이너패널(310) 및 사이드실 아우터패널(320)의 하부와 함께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이드실 이너패널(310) 및 사이드실 아우터패널(320)에 사이드실 보강멤버(1)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211)가 결합되기 이전에 사이드실 보강멤버(1)의 외측면이 사이드실 이너패널(310) 또는 사이드실 아우터패널(320)의 내측면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우터패널(100)에는 관통된 제3 관통홀(132)이 형성되고, 제1 패널(210)에는 제3 관통홀(132)과 측방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된 제2 관통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관통홀(132) 및 제2 관통홀(212)은 제2 패널(220)과 제1 패널(210)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을 회피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관통홀(132)이 아우터패널(100)의 차량의 실외측에서 형성될 경우 용접기구가 제3 관통홀(132) 및 제2 관통홀(212)을 통과하여 실내측의 아우터패널(100)과 사이드실 이너패널(310)을 서로 용접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관통홀(132)이 아우터패널(100)의 차량의 실내 측에서 형성될 경우 용접기구가 제3 관통홀(132) 및 제2 관통홀(212)을 통과하여 실외 측의 아우터패널(100)과 사이드실 아우터패널(320)을 서로 용접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패널(210)이 사이드실 이너패널(310)과 사이드실 아우터패널(320)에 결합되며, 아우터패널(100)의 일면이 사이드실 이너패널(310) 또는 사이드실 아우터패널(320)에 결합되어 사이드실 보강멤버(1)와 사이드실 이너패널(310) 및 사이드실 아우터패널(3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사이드실 보강멤버 10 ; 아우터멤버
20 ; 이너보강부 100 ; 아우터패널
110 ; 상부플랜지 120 ; 하부플랜지
130 ; 제1 관통홀 140 ; 제1 비드
200 ; 이너패널 210 ; 제1 패널
211 ; 연장부 212 ; 제2 관통홀
220 ; 제2 패널 221 ; 연결부
222 ; 중앙부 223 ; 플랜지부
224 ; 제2 비드 310 ; 사이드실 이너패널
320 ; 사이드실 아우터패널

Claims (14)

  1.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아우터패널로 구성되고, 아우터패널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아우터멤버; 및
    아우터멤버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이너패널로 구성되고, 각각의 이너패널의 일측은 아우터패널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각각의 이너패널의 타측은 내부공간 내부에서 상호 마주하며 접하여 고정된 이너보강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아우터패널은 상부 및 하부가 서로 결합되고,
    이너패널에는 제1 패널이 포함되며, 제1 패널은 아우터멤버의 내부공간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 및 하단이 아우터패널의 상부 및 하부와 함께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이너패널에는 제2 패널이 포함되며, 제2 패널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공간에서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아우터패널과 제1 패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2 패널은 중앙부가 절곡된 패널로써 절곡된 중앙부가 제1 패널과 접합되고,
    중앙부에서 연장된 연결부의 양단부에 각각 절곡된 플랜지부가 포함되고, 플랜지부는 아우터패널의 내측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
  5. 청구항 2에 있어서,
    아우터패널은 한 쌍으로 형성되고,
    아우터패널에는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절곡된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가 포함되고, 한 쌍의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가 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
  6. 청구항 4에 있어서,
    아우터패널에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접합시키는 접합기구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이 포함되고, 제1 관통홀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아우터패널에는 상면 또는 하면에 제1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너패널에는 상면 또는 하면에 제2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아우터패널 또는 이너패널에는 상면 또는 하면에 비드가 형성되며, 비드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아우터패널 및 이너패널은 스틸 재질로 제조되고, 서로 용접 결합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
  11. 청구항 2의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가 구비된 차량용 사이드실 어셈블리로서,
    사이드실 보강멤버를 감싸는 사이드실 이너패널 및 사이드실 아우터패널;을 포함하고,
    아우터패널의 외측면은 사이드실 이너패널 또는 사이드실 아우터패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어셈블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사이드실 이너패널 및 사이드실 아우터패널은 상부 및 하부가 서로 결합되어 사이드실 보강멤버를 감싸며,
    제1 패널에는 상측 및 하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포함되고,
    연장부는 사이드실 이너패널 및 사이드실 아우터패널의 상부 및 하부에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어셈블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제1 패널에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아우터패널에는 제3 관통홀이 형성되며, 아우터패널과 사이드실 이너패널 또는 사이드실 아우터패널을 접합시키는 접합기구의 삽입을 위해 제2 관통홀과 제3 관통홀은 측방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어셈블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제2 관통홀 및 제3 관통홀은 제1 패널 및 아우터패널의 중앙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어셈블리.
KR1020220127035A 2022-10-05 2022-10-05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어셈블리 KR20240047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035A KR20240047698A (ko) 2022-10-05 2022-10-05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어셈블리
US18/099,562 US20240116575A1 (en) 2022-10-05 2023-01-20 Side sill reinforcement member for vehicle and side sil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DE102023103533.9A DE102023103533A1 (de) 2022-10-05 2023-02-14 Seitenlängsträgerverstärkungselement für ein Fahrzeugund Seitenlängsträgeranordnung mit derselben
CN202310115259.XA CN117842189A (zh) 2022-10-05 2023-02-15 车辆的侧梁加强构件以及包括该侧梁加强构件的侧梁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035A KR20240047698A (ko) 2022-10-05 2022-10-05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698A true KR20240047698A (ko) 2024-04-12

Family

ID=90355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035A KR20240047698A (ko) 2022-10-05 2022-10-05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116575A1 (ko)
KR (1) KR20240047698A (ko)
CN (1) CN117842189A (ko)
DE (1) DE10202310353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990A (ko) 2017-06-29 2019-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990A (ko) 2017-06-29 2019-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842189A (zh) 2024-04-09
DE102023103533A1 (de) 2024-04-11
US20240116575A1 (en) 202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3546B2 (ja) 車両のサイドシル構造
KR101097018B1 (ko) 측면 충돌 성능을 강화시킨 자동차용 도어
KR101108451B1 (ko) 차량 전방 구조
JP6122969B2 (ja) 車体上部構造
US20120256448A1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CN113825693B (zh) 用于机动车辆的侧门槛部件
CN111361590B (zh) 一种双层轨道车辆及其车体
CN117480677A (zh) 电池壳体结构和电池壳体结构的制造方法
CN102619448B (zh) 一种优化偏置碰效果的车门加强结构
JPH05238418A (ja) 車体強度メンバの結合構造
KR20240047698A (ko) 차량용 사이드실 보강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어셈블리
KR102440753B1 (ko) 차량용 사이드 실
CN209776577U (zh) 一种汽车门槛加强板结构
JP4431161B2 (ja) 側面衝突性能を強化させた自動車用ドア
KR102245229B1 (ko) 차량용 사이드 실
JPS6320619Y2 (ko)
KR101734686B1 (ko) 트러스 필러멤버 및 이를 적용한 차량
CN220363403U (zh) 车身结构及汽车
CN216301241U (zh) 用于车辆的侧围加强板总成、用于车辆的白车身及车辆
US20230311798A1 (en) Vehicle body rear structure
CN218877398U (zh) 一种车身结构和车辆
CN209814124U (zh) 车辆驾驶室的顶盖骨架以及车辆运输车
CN218858537U (zh) A柱与门槛梁交汇处的传力结构及车辆
CN216332327U (zh) 一种电动车的门槛梁总成及车辆
CN210793344U (zh) 车身骨架和具有其的车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