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590A - 완충장치용 유체 주입모듈 - Google Patents

완충장치용 유체 주입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590A
KR20240047590A KR1020220126796A KR20220126796A KR20240047590A KR 20240047590 A KR20240047590 A KR 20240047590A KR 1020220126796 A KR1020220126796 A KR 1020220126796A KR 20220126796 A KR20220126796 A KR 20220126796A KR 20240047590 A KR20240047590 A KR 20240047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injection
cylinder
unit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일복
용석필
길형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Priority to KR1020220126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7590A/ko
Publication of KR20240047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3Filling or drainage arrangements, e.g. for supply of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이 개구된 실린더에 장착되어 장착되어 유체의 주입을 유도하는 유체 주입모듈에 관한 것으로, 외형을 이루며 상기 실린더의 개구부의 상부에서 안착되고, 중앙부에는 적어도 일부가 관통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유체를 상기 실린더 내부로 전달하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바디유닛 및 상기 바디유닛의 상단부에서 상기 주입부로 이어지며 연통 형성되어 상기 유체를 상기 주입부로 유도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형태로 배출되도록 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바디유닛의 하면에서 상기 주입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주입홀에서 배출되는 상기 유체가 확장되며 하부로 전달되도록 유도하는 확장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주입부는 복수 개의 주입홀로 형성되어 상기 유체를 분산해 상기 실린더 내부로 전달하여 상기 유체 내부의 기포를 제거한다.

Description

완충장치용 유체 주입모듈{Fluid injection module for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완충장치용 유체 주입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를 복수 개의 미세한 주입홀로 통과 시키며 분산시켜 기포를 제거하고 하부로 전달하는 기포의 제거가 가능한 유체 주입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이스트 상의 액체 중에 기포가 혼입되면, 기포가 액체의 압송 시 압력손실의 원인이 되어 유량이 불안정해지거나 형성되는 패턴에 도포 결함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고점도 유체를 실린더 등과 같은 용기에 채울 때 기포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액체 중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일반적인 탈포 기술로는,예를 들면,액체를 대기압 하에서 또는 감압 하에 서 정치 보관하여 액체 중의 기포를 액면까지 이동시켜 소멸시키는 방법이나,원심력에 의해 기포를 제거하는 원심 탈포법 등이 있다.
그러나,비뉴턴성을 가지는 고점도의 페이스트상 액체에서는 기포의 이동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특히 일정 수준 이상의 고점도의 액체에서는,상기의 기술에 의한 탈 포 작용은 사실상 거의 기대할 수 없다.
또한,가열에 의해 기포의 이탈을 촉진하는 기술도 있지만,가열에 의해 액체가 변질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도 없다. 점성을 가지는 일반적인 유체의 경우,온도가 상승되면 점도가 감소한다.
이렇게 유체의 점도가 감소할 경우,작업성을 증가시켜 사용 가능 시간을 단축시킨다.
이와 같이 성형 재료 중에 공기가 혼입하여 기포가 되면,성형 재료의 정량 공급이 불가능해지고,또한,성형품 중에 기포나 일그러짐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을 완충시키는 뎀퍼같은 경우 내부에 기포가 존재하는 경우 완충작용을 충분히 할 수 없으며 기포 부분으로 인해 의도하지 않게 움직임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고점도의 유체를 실린더나 대상 장치에 공급하기 전에 탈포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고,예를 들면,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6-14240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성형 재료를 교반하여 탈포하는 타입의 탈포장치 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점성 유체의 경우는 균일한 교반이 물리적으로 곤란하고,교반에 의한 기포의 완전한 제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교반 기구 등에 의해 탈포장치가 복잡화되기 때문에,교반에 의한 탈포는 실용상 바람직한 것이 아니며, 기포의 제거 역시 제한적이므로, 고점성 유체에서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자동차 부품의 경우,자동차 탑승자의 안전이 필수이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을 요구하며, 완충장치 등에 사용되는 경우 유체내 기포 내재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고점도의 유체를 대상 실린더에 주입 시 복수 개의 주입홀을 통해 분산하여 주입 후 진공펌프를 이용해 실린더 내부의 공기를 제거해 기포의 발생을 억제하는 완충장치용 유체 주입모듈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이 개구된 실린더에 장착되어 장착되어 유체의 주입을 유도하는 유체 주입모듈에 관한 것으로, 외형을 이루며 상기 실린더의 개구부의 상부에서 안착되고, 중앙부에는 적어도 일부가 관통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유체를 상기 실린더 내부로 전달하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바디유닛 및 상기 바디유닛의 상단부에서 상기 주입부로 이어지며 연통 형성되어 상기 유체를 상기 주입부로 유도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형태로 배출되도록 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바디유닛의 하면에서 상기 주입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주입홀에서 배출되는 상기 유체가 여러 개의 가닥으로 분산되어 주입되도록 유도하는 확장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주입부는 복수 개의 주입홀로 형성되어 상기 유체를 분산해 상기 실린더 내부로 전달하여 상기 유체 내부의 기포를 제거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바디유닛의 상단부에서 제1둘레를 가지며 하부로 갈수록 둘레가 감소하여 제2둘레가 되도록 형성되며 제1경사부 및 상기 제1경사부의 하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경사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경사각도를 가지며 상기 주입부로 연결되는 제2경사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부는 복수 개의 상기 주입홀이 상기 제2둘레 내에 위치하며, 각각에 상기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유체가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유닛은 상기 제2둘레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며 상기 주입부에서 연직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방사형으로 둘레가 증가하며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유닛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중앙부가 상기 주입부와 연통되고, 상기 실린더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 고정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기 설정된 둘레를 가지며, 하부로 갈수록 둘레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둘레를 가지는 상기 실린더에 대응하여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면에 접촉하며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제1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유닛은 일측이 상기 실린더 내부와 연통되고 타측이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의 주입 시 상기 실린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유체 주입모듈.
또한,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유닛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를 상기 가이드부로 공급하는 별도의 주입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유닛은 기 설정된 둘레를 가지며 함몰 형성되어 상기 주입유닛의 하측 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며 유체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밀폐하는 별도의 안착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완충장치용 유체 주입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앙에 복수 개의 주입홀이 형성된 바디유닛 및 바디유닛에 결합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주입유닛을 포함하며 유체를 실린더 내부로 주입 시 유체를 분산시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바디유닛에는 유로형태로 실린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에어 배출부가 형성되어, 별도의 진공펌프를 통해 실린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린더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유도하여 공기의 유입을 원천 차단함과 동시에 실린더 내부로 유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유체 주입모듈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유체유체 주입모듈에서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유체유체 주입모듈에서 주입부의 배치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유체유체 주입모듈에서, 유체가 주입부를 관통해 확장유닛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도 1의 유체유체 주입모듈에서 에어배출부에 의해 실린더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체유체 주입모듈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유체 주입모듈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유체유체 주입모듈에서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유체유체 주입모듈에서 주입부의 배치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용 유체 주입모듈은 실린더(10) 형태로 적용된 완충장치에서 유압을 이용해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장치가 많이 이용되며, 이러한 유압식 완충장치에서 고점성 유체(20)를 주입하는 수단으로써 크게 바디유닛(100), 가이드유닛(200), 확장유닛(300) 및 주입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유닛(100)은 상기 유체(20)를 충진할 실린더(10)와 후술하는 상기 주입유닛(4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20)가 상기 실린더(10) 내부로 주입됨과 동시에 상기 유체(20)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산하여 주입된 복수 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져 하부로 전달됨으로써 기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유닛(100)은 외형을 이루며 상기 실린더(10)의 개구부의 상부에서 안착되고, 중앙부에는 적어도 일부가 관통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유체(20)를 상기 실린더(10) 내부로 전달하는 주입부(110)를 한다.
여기서, 상기 바디유닛(100)은 기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에 상기 실린더(10)가 배치되고 상부에 상기 유체 주입모듈이 배치되어 상기 유체 주입모듈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유체(20)가 상기 주입부(110)를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10) 내부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디유닛(100)이 결합됨으로써 내부가 밀폐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상기 에어 배출부(140)를 통해 상기 실린더(1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유체(20)가 주입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바디유닛(100)은 일정 면적을 가지며, 중앙부에 상기 주입부(110)가 형성되고, 이를 중심으로 하여 상부에 안착부(130)가 구비되고, 하부에 장착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주입부(110)는 상기 바디유닛(100)의 중앙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유체(20)가 통과하는 영역으로써, 복수 개의 주입홀(112)이 기 설정된 영역에서 인접하게 형성되어 각각 상기 유체(20)를 독립적으로 통과시킨다. 즉, 복수 개의 상기 주입홀(112)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유체(20)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산하여 통과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주입부(110)는 후술하는 상기 가이드유닛(200)을 통해 각각의 상기 주입홀(112) 내부로 상기 유체(20)가 가이드되어 고르게 분산된 후 상기 주입홀(112)을 관통한 상태에서 하부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주입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제2둘레를 가지는 B영역 내에 위치하며 각각이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유체(20)가 분산 유도되어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주입부(110)는 복수 개의 주입홀(112)을 통해 상기 유체(20)를 세분화 하여 통과시키며 기포를 최대한 제거한 후 하부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장착부(120)는 상기 바디유닛(100)과 상기 실린더(10)를 결합시키며, 결합 시 밀폐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바디유닛(100)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중앙부가 상기 주입부(110)와 연통되고, 상기 실린더(10)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부(120)는 상기 바디유닛(100)의 하부에서 기 설정된 둘레를 가지며 돌출 형성되고, 중앙이 상기 주입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10)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장착부(120)는 상기 실린더(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실린더(10) 내부에 삽입되어 밀폐시킨다.
이때, 상기 장착부(120)는 서로 다른 둘레의 실린더(10)들에 적용 할 수 있도록 돌출된 부분의 둘레가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10)의 둘레에 대응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부(120)는 하나의 단턱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실린더(1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링 형태의 제1실링부재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장착부(120)가 상기 실린더(10)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돌출된 부분의 측면이 상기 실린더(10)의 내면과 마주보며, 상기 제1실링부재가 상기 실린더(10)의 내면에 접촉해 밀폐시킴으로써 공기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장착부(120)는 단턱 형태로 돌출되어 돌출된 측면이 상기 실린더(10) 내면과 마주보며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10)와 결합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장착부(120)는 기 설정된 둘레를 가지며, 하부로 갈수록 둘레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둘레를 가지는 상기 실린더(10)에 대응하여 삽입 고정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장착부(120)는 하부로 갈수록 둘레가 작아지는 형태로 복수 개의 단턱을 가지는 계단식 돌출형태 또는 원뿔식 돌출형태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10)의 둘레가 다양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30)는 기 설정된 둘레를 가지며 상기 바디유닛(100)의 상부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주입유닛(400)의 하측 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며 유체(20)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밀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부(130)는 상술한 상기 장착부(120)와 반대로 함몰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주입부(110)가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함몰된 내부에 상기 주입유닛(400)이 삽입 고정된다.
이때, 상기 안착부(130)는 함몰된 측면이 상기 주입유닛(400)의 외측면에 접촉하며, 삽입 고정되며, 밀폐를 위한 제2실링부재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30)는 하나의 단턱 형태로 기 설정된 둘레를 가지며 함몰 형성되어 내측면에 상기 제2실링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10)가 상기 안착부(130)의 둘레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삽입됨과 동시에 밀폐된다.
물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안착부(130)는 상기 장착부(120)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단턱 또는 원뿔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둘레가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상기 주입유닛(400)이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에어 배출부(140)는 상기 유체(20)의 주입 시 상기 실린더(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으로써, 유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유닛(100)이 상기 실린더(10)와 결합 시 상기 실린더(10) 내부와 외부를 연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유닛(100)은 일측이 상기 실린더(10) 내부와 연통되고 타측이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20)가 상기 실린더(10) 내부로 주입되는 경우, 기존에 존재하던 상기 실린더(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즉, 상기 장착부(120)에 의해 상기 실린더(10) 내부가 밀폐됨에 따라 상기 유체(20)의 주입 시 공기를 배출해줄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에어 배출부(140)를 통해 실린더(1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 배출부(140)는 상기 바디유닛(100)과 결합되는 별도의 진공펌프를 통해 상기 실린더(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10)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유도하여 공기의 유입을 원천 차단함과 동시에 실린더(10) 내부로 상기 유체(20)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에어 배출부(140)는 별도의 차단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에어 배출부(140)를 통해 상기 유체(20)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바디유닛(100)은 외형을 이루며 상기 주입유닛(400)과 상기 실린더(10) 사이에서 상호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10) 내부를 밀폐한 상태로 상기 주입유닛(400)으로부터 상기 유체(20)를 받은 후 복수 개로 분산시켜 상기 실린더(10) 내부로 공급한다.
한편, 가이드유닛(200)은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주입유닛(40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체(20)를 상기 주입부(110)로 유도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바디유닛(100)의 상단부에서 상기 주입부(110)로 이어지며 연통 형성되어 상기 유체(20)가 기 설정된 형태로 배출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유닛(200)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형태로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주입부(110)와 이어지는 구성으로써 크게 제1경사부(210) 및 제2경사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경사부(210)는 상기 바디유닛(100)의 상단부에서 제1둘레를 가지며 하부로 갈수록 둘레가 감소하여 제2둘레가 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둘레는 상기 주입유닛(400)의 개구된 부분의 둘레와 같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주입유닛(40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경사부(210)는 상기 주입유닛(400)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유체(20)가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전달되며, 상기 제2둘레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집중된다.
즉, 상기 제1경사부(210)는 상기 바디유닛(100)의 상면에서 하부로 함몰 형성되되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형태의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주입홀(112)이 배치된 영역으로 상기 유체(20)를 유도한다.
그리고 상기 제2경사부(220)는 상기 제1경사부(210)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주입홀(112)로 이어지는 구성으로써, 상기 제1경사부(210)에 이어 상기 유체(20)를 주입홀(112)로 유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경사부(210)의 하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경사부(210)보다 상대적으로 큰 경사각도를 가지며 상기 주입부(110)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주입부(110)는 복수 개의 상기 주입홀(112)을 가지며, 상기 주입홀(112) 각각에 상기 제2경사부(220)가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경사부(210)는 상기 제1둘레를 가지는 A영역에서 상기 제2둘레를 가지는 B영역으로 상기 유체(20)를 유도하고, 상기 제2경사부(220)는 B영역에서는 복수 개의 상기 주입홀(112) 각각에 연결된 경사면을 통해 상기 유체(20)가 분산되도록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제2경사부(220)는 상기 제1경사부(210)보다 상대적으로 경사각도가 큰 경사면을 가지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주입홀(112) 각각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제2경사부(2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경사부(210)를 통해 유도된 상기 유체(20)가 고르게 분산되어 각각의 상기 주입홀(112)로 유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유닛(200)은 상기 제1경사부(210) 및 상기 제2경사부(220)를 통해 상기 유체(20)를 상기 주입홀(112)로 유도하여 복수 개로 분산시키며 상기 실린더(10) 내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확장유닛(300) 상기 주입부(110)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유닛(200)과 대응하여 상기 바디유닛(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주입부(110)를 통과한 상기 유체(20)가 상기 실린더(10) 내부에서 분산된 상태로 하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장유닛(300)은 상기 바디유닛(100)의 하면에서 상기 주입부(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주입홀(112)에서 배출되는 상기 유체(20)가 확장되어 분산될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크게 연장부(310) 및 확장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310)는 상기 확장유닛(300)은 상기 제2둘레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며 상기 주입부(110)에서 연직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주입홀(112)의 하부에서 상기 유체(20)가 확장되며 분산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310)는 상기 주입홀(112)을 통해 가압되어 배출되는 상기 유체(20)가 배출 직후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확장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분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연장부(310)가 연직 하부로 일정길이를 가지며 형성 됨으로써, 해당 길이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유체(20)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분산되어 상기 유체(20)가 이동하며 복수 개의 가닥 상태로 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확장부(320)는 상기 연장부(310)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방사형으로 둘레가 증가하며 확장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확장부(320)는 상기 연장부(310)를 경유하며 분산된 상기 유체(20)가 상기 실린더(1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하부로 갈수록 둘레가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체(20)가 상기 실린더(10) 내부에서 구석까지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확장유닛(300)은 상기 연장부(310) 및 상기 확장부(320)를 포함하여, 복수 개의 상기 주입홀(112)을 경유하며 분산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기포의 추가적인 발생을 최대한 억제함과 동시에 상기 유체(20)를 상기 실린더(10) 내부로 고르게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입유닛(400)은 상기 안착부(130)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20)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 설정된 둘레를 가지며,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바디유닛(10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주입유닛(400)은 기둥 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유체(20)가 수용되며, 개구된 하부를 통해 상기 바디유닛(100)으로 상기 유체(20)를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입유닛(400)은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유닛(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20)를 상기 가이드부로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주입유닛(400)은 일반적인 주사기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통형상으로 상기 안착부(130)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주입부(110)로 상기 유체(20)를 전달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든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주입모듈은 상기 바디유닛(100), 상기 가이드유닛(200), 상기 확장유닛(300) 및 상기 주입유닛(400)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20)를 내부로 공급하되, 복수 개의 상기 주입홀(112)을 통해 분산시킴과 동시에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주입모듈을 통해 상기 실린더(10) 내부로 상기 유체(20)가 공급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1의 유체(20)유체 주입모듈에서, 유체(20)가 주입부(110)를 관통해 확장부(320)를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유체(20)유체 주입모듈에서 에어 배출부(140)에 의해 실린더(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바디유닛(100)이 상기 실린더(10)와 결합되어 상기 주입유닛(400)을 통해 상기 유체(20)를 전달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유체(20)는 상기 제1경사부(210)를 경유하며 상기 주입부(110)의 상부로 이동한 후 다시 상기 제2경사부(220)를 통해 복수 개의 상기 주입홀(112) 각각으로 분산되어 전달된다.
이때, 상기 주입홀(112)은 복수 개 각각에 상기 제2경사부(220)가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입홀(112)을 향해 내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홀(112)에 의해 복수 개로 분산되어 통과한 상기 유체(20)는 상기 연장부(310)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310)는 상기 제2둘레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며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주입홀(112)을 통과한 상기 유체(20)가 복수 개의 가닥으로 확장된다.
이때, 상기 유체(20)는 고압으로 상기 주입홀(112)을 통과하며, 통과 직후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확장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다른 주입홀(112)을 통과한 상기 유체(20)가 분산된 상태로 하부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주입홀(112)를 통과한 상기 유체(20)는 복수 개의 가닥으로 분산되어 하부로 전달되며, 일부는 확장됨에 따라 합쳐질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연장부(310)에서 복수 개의 가닥으로 분산된 상기 유체(20)는 상기 확장부(320)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실린더(10) 내부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유체 주입모듈에서 상기 유체(20)가 공급이 이루어지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펌프도 함께 작동하여 상기 실린더(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실린더(10) 내부의 압력을 낮추며 상기 유체(20)의 주입을 유도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1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해당 공간에 상기 유체(20)가 주입 시 추가적인 기포가 생성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주입모듈은, 상기 실린더(10)와 결합되어 상기 유체(20)를 상기 실린더(10) 내부로 주입 시 유체(20)를 분산시켜 기포를 제거함과 동시에 실린더(10) 내부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추가적인 기포의 발생을 억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실린더
20: 유체
100: 바디유닛
200: 가이드유닛
300: 확장유닛
400: 주입유닛

Claims (10)

  1. 일측이 개구된 실린더에 장착되어 유체의 주입을 유도하는 유체 주입모듈에 관한 것으로,
    외형을 이루며 상기 실린더의 개구부의 상부에서 안착되고, 중앙부에는 적어도 일부가 관통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유체를 상기 실린더 내부로 전달하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바디유닛; 및
    상기 바디유닛의 상단부에서 상기 주입부로 이어지며 연통 형성되어 상기 유체를 상기 주입부로 유도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형태로 분산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바디유닛의 하면에서 상기 주입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주입홀에서 배출되는 상기 유체가 확장되며 하부로 전달되도록 유도하는 확장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주입부는 복수 개의 주입홀을 가지며 각각의 상기 주입홀을 통해 상기 유체를 분산시켜 상기 실린더 내부로 전달하여 상기 유체 내부의 기포를 제거할 수 있는 유체 주입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바디유닛의 상단부에서 제1둘레를 가지며 하부로 갈수록 둘레가 감소하여 제2둘레가 되도록 형성되며 제1경사부; 및
    상기 제1경사부의 하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경사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경사각도를 가지며 상기 주입부로 연결되는 제2경사부;
    을 포함하는 유체 주입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복수 개의 상기 주입홀이 상기 제2둘레를 가지는 영역 내에 위치하며, 각각에 상기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유체가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주입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유닛은 상기 제2둘레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며 상기 주입부에서 연직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방사형으로 둘레가 증가하며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
    를 포함하는 유체 주입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유닛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중앙부가 상기 주입부와 연통되고, 상기 실린더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 고정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유체 주입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기 설정된 둘레를 가지며, 하부로 갈수록 둘레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둘레를 가지는 상기 실린더에 대응하여 삽입 고정되는 유체 주입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면에 접촉하며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제1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체 주입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유닛은,
    일측이 상기 실린더 내부와 연통되고 타측이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의 주입 시 상기 실린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유체 주입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유닛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를 상기 가이드부로 공급하는 별도의 주입유닛을 더 포함하는 유체 주입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유닛은,
    기 설정된 둘레를 가지며 함몰 형성되어 상기 주입유닛의 하측 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며 유체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밀폐하는 별도의 안착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유체 주입모듈.

KR1020220126796A 2022-10-05 2022-10-05 완충장치용 유체 주입모듈 KR20240047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796A KR20240047590A (ko) 2022-10-05 2022-10-05 완충장치용 유체 주입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796A KR20240047590A (ko) 2022-10-05 2022-10-05 완충장치용 유체 주입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590A true KR20240047590A (ko) 2024-04-12

Family

ID=9068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796A KR20240047590A (ko) 2022-10-05 2022-10-05 완충장치용 유체 주입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75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1236B1 (ko) 압축유체의 계량밸브
US4147306A (en) Foam producing apparatus
JP3801003B2 (ja) 液体供給システム、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および液体充填方法
CN100376815C (zh) 润滑液体注入设备
KR100802234B1 (ko) 액제 토출 디스펜서
KR20080009717A (ko) 유체 배출 노즐
JPH10299644A (ja) 集積回路のエポキシ樹脂封止用の吐出ポンプ
US50353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 pressure within a product dispenser
JP2014000564A (ja) 定量分注装置
KR20050020495A (ko) 잉크카트리지
KR20240047590A (ko) 완충장치용 유체 주입모듈
KR20090107497A (ko) 탈포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성형 장치
US4459029A (en) Device for mixing and for dose-feeding a product, and application to feeding especially epoxy-resin based adhesives
KR101386999B1 (ko) 액체 재료의 토출 방법 및 장치
MXPA04008429A (es) Casquillo para un distribuidor de espuma en el sitio.
KR20050036839A (ko) 액재의 토출방법 및 그 장치
WO2010058661A1 (ja) シームレスカプセル製造装置
JPS62261668A (ja) ガス圧縮噴射内燃機関の燃焼室への燃料噴射のための噴射ノズル
KR20040062568A (ko) 액재의 토출방법 및 그 장치
KR101942018B1 (ko) 고점도 액체의 탈포장치
KR100257572B1 (ko) 액체 분배 주입용 노즐
JP4136493B2 (ja) 液材吐出用マルチノズル
JP6412700B2 (ja) 泡吐出器
KR20210117054A (ko) 거품 생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거품 발생 장치
US20140366985A1 (en) Multijet filler spout with incorporated v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