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531A - 때죽나무 숙성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때죽나무 숙성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531A
KR20240047531A KR1020220126694A KR20220126694A KR20240047531A KR 20240047531 A KR20240047531 A KR 20240047531A KR 1020220126694 A KR1020220126694 A KR 1020220126694A KR 20220126694 A KR20220126694 A KR 20220126694A KR 20240047531 A KR20240047531 A KR 20240047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
bamboo
aged
tree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완식
Original Assignee
최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완식 filed Critical 최완식
Priority to KR1020220126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7531A/ko
Publication of KR20240047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53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때죽나무 숙성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때죽나무 숙성꿀의 제조방법은, 때죽나무꿀을 1차 숙성시켜 때죽나무꿀 숙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때죽나무꿀 숙성물에 감로꿀을 넣고 혼합하여 때죽나무꿀 혼합숙성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때죽나무꿀 혼합숙성물을 밀봉한 후 2차 숙성하여 때죽나무 숙성꿀을 제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때죽나무꿀 특유의 맛과 향은 살리면서 색변화가 거의 없어 장기보관이 가능한 때죽나무 숙성꿀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때죽나무 숙성꿀 및 이의 제조방법{Styrax Japonicus Aged hone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때죽나무 숙성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때죽나무꿀 특유의 맛과 향은 살리면서 색변화가 거의 없어 장기보관이 가능한 때죽나무 숙성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식품공전에는 「벌꿀이라 함은 꿀벌들이 꽃꿀을 채집하여 벌집에 저장 숙성한 것을 말한다.」라고 정의되어 있다. 꿀은 주로 포도당과 과당으로 이루어진 꿀벌의 기본 탄수화물 먹이이며, 생물학적으로 가장 가치 있는 영양물질이다.
꿀은 그의 기원과 가공방법에 따라 천연꿀과 인조꿀로 나누어지며, 천연꿀은 꿀벌들이 식물의 꽃꿀이나 즙액 또는 진딧물의 분비물을 날라다가 가공한 것이며, 그것은 단순꽃꿀, 복합꽃꿀, 감로꿀로 구분한다.
이러한 천연꿀은 특수한 풍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꿀술이나 제과 원료로 이용되기도 하며, 예로부터 약용으로 귀중하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천연꿀은 다량의 효소들이 함유되어 있어, 산소와 접촉한 후에는 색변화가 잘 일어나 소비자들이 용이하게 보관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때죽나무꿀의 경우에는 색변화를 막기위해 단순 살균처리할 경우 때죽나무꿀이 갖고 있는 고유의 좋은 향과 맛이 떨어지게 되는 바, 이를 해결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2428726호 '숙성꿀의 제조방법' 2. 한국 등록특허 제10-2428727호 '숙성꿀의 발효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때죽나무꿀 특유의 맛과 향은 살리면서 색변화가 거의 없어 장기보관이 가능한 때죽나무 숙성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때죽나무 숙성꿀의 제조방법은, 때죽나무꿀을 1차 숙성시켜 때죽나무꿀 숙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때죽나무 숙성물에 감로꿀을 넣고 혼합하여 때죽나무 혼합숙성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때죽나무꿀 혼합숙성물을 밀봉한 후 2차 숙성하여 때죽나무 숙성꿀을 제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때죽나무꿀 숙성물에 쌍화농축액을 추가하는 것이 특징이며,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쌍화농축액은 유자과피 속에 혼합약재를 넣고 찐 후 보온숙성한 다음 이를 건조시켜 건조물을 제조하며, 이를 9회 반복하여 제조된 구증구포물의 즙을 짜낸 후 농축시켜 제조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때죽나무꿀 특유의 맛과 향은 살리면서 색변화가 거의 없어 장기보관이 가능한 때죽나무 숙성꿀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때죽나무 숙성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때죽나무 숙성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때죽나무 숙성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때죽나물꿀 숙성물 제조단계(S10), 때죽나무꿀 혼합숙성물 제조단계(S20) 및 때죽나무 숙성꿀 제조단계(S30)를 통해 때죽나무꿀 특유의 맛과 향은 살리면서 색변화가 거의 없어 장기보관이 가능한 때죽나무 숙성꿀 제조가 가능한 것이 큰 특징인 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때죽나무 숙성꿀의 제조단계>
1. 제1단계: 때죽나무꿀 숙성물 제조단계(S10)
본 단계에서는 먼저 때죽나무꿀을 1차 숙성시켜 때죽나무꿀 숙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설명하면, 때죽나무꿀은 일벌이 때죽나무(Styrax japonica Sieb. et Zucc.)의 꽃에서 모아들인 꿀로, 통상 6월에 채밀되며, 색상은 아카시아와 비슷하거나 약간 노란빛을 띠고 당도는 아카시아보다 덜하며, 그 맛이 부드럽고 진하며 만성변비, 관절염, 위장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입안 가득 그윽하고 진한 맛과 향을 갖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이러한 때죽나무꿀에는 다량의 효소들이 함유되어 있어, 개봉후에는 산소와 접촉되어 색변화가 잘 일어나 소비자들이 용이하게 보관하기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이 여러 연구한 결과, 상기와 같이 채취된 때죽나무꿀을 그대로 용기에 넣고 1차 숙성시켜 때죽나무 꿀을 숙성시킨 상태로 먼저 준비한다.
이때, 상기 1차 숙성은 15~20℃에서 2~3일동안 이루어져 때죽나무꿀 숙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숙성이 15℃미만 또는 2일 미만으로 시행될 경우 개봉후 여전히 색변화가 일어나거나 포도당이 응집되는 현상을 나타내어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떨어뜨리게 될 우려가 있게 되며, 20℃ 초과 또는 3일 초과하여 숙성시키게 되면 때죽나무꿀 특유의 맛과 향이 떨어지게 된다.
2. 제2단계: 때죽나무꿀 혼합숙성물 제조단계(S20)
본 단계에서는 상기 때죽나무꿀 숙성물에 감로꿀을 넣고 혼합하여 때죽나무꿀 혼합숙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설명하면, 감로꿀은 한자로 달감, 이슬로라고 하며, 일반꿀처럼 꽃에서 가져온 꿀이 아닌 나무의 진액을 벌이 물어 나른 꿀이다.
다시말해, 긴 가뭄이 오면 식물들은 자기 보호를 위해 스스로 잎 표면에 분비물을 발생시키며, 잎을 코팅함으로서 수분의 증발을 막아 스스로 가뭄을 이겨내는데, 이때 벌들이 그 진액을 물어 벌통으로 가져가서 생성된 꿀이다.
이렇게 생성된 감로꿀의 맛은 일반적인 꽃의 밀샘에서 나온 꿀에 비해 단맛이 덜하고 군고구마의 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색은 진한 갈색을 띠며 일반꿀의 2배에 달하는 항산화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단계에서는 상기 때죽나무꿀 숙성물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감로꿀을 넣고 혼합하는 것으로써,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감로꿀은 상기 때죽나무꿀 숙성물 100 중량을 기준으로 1~2 중량부로 넣고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1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할 경우에는 때죽나무꿀 숙성물의 변색을 방지하기 어려우며, 2 중량부를 초과하여 넣을 경우 감로꿀 특유의 향과 맛으로 인해 오히려 때죽나무꿀 고유의 맛과 향을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본 단계에서는 상기 때죽나무꿀 숙성물에 쌍화농축액을 추가하여 구성되기도 하는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쌍화농축액은 유자과피 속에 혼합약재를 넣고 찐 후 보온숙성한 다음 이를 건조시켜 건조물을 제조하며, 이를 9회 반복하여 제조된 구증구포물의 즙을 짜낸 후 농축시켜 제조한 것이 특징이다.
설명하면, 우선 유자는 다른 감귤류와는 다르게 과육뿐만 아니라 과피까지 이용할 수 있는 과실로 유자 특유의 향과 무기질, 구연산 등이 함량이 높아 주로 차, 음료 및 향료로 이용되고 있는데, 특히 성숙과는 과육에 비해 과피의 비율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유자에는 비타민 A, B, C, 유기산 및 무기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유자의 비타민 C는 레몬보다 3배 많은 양으로 피부미용 및 감기에 효과적이다. 또한, 유자에 함유되어 있는 헤스페리딘 및 리모닌 등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항염증, 항산화, 혈압강하, 항알러지 및 라디컬 소거능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렇듯, 최근 들어 유자가 가지는 면역력 증진효과, 미백효과, 항산화 효과, 항비만 효과, 항암 효과 및 항아토피 효과 등의 건강 기능성이 과학적으로 규명되면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를 위한 신규 가공품의 개발과 고부가가치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쌍화(ssanghwa, 雙和)는 여러 종류의 나무껍질이나 잎, 줄기, 열매, 뿌리 등을 이용해 모두 함께 넣어서 끓여낸 것으로, 쌍화탕으로 탕약에서 유래된 것으로 한방 약재가 포함된 차는 한방 쌍화차로 널리 알려지고 있으며, 이는 진한 약성분을 내는 탕약으로서의 쌍화탕보다 가볍게 차로써 음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으로, 몸을 따뜻하게 해주고 체력을 증진시켜 주는데 흔히 알려진 쌍화차에는 황기, 당귀, 감초, 작약, 천궁, 계피, 숙지황 등의 재료를 끓여서 대추나 잣을 띄워서 마치는 겨울철의 대표적인 보양차 중 하나이다.
이러한 상기 약재들은 소비자들이 선호할 수 있도록 적절한 배합비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여러차례 연구한 결과, 황기, 당귀, 감초, 작약, 천궁, 계피, 숙지황을 1 : 0.5~1 : 0.5~1 : 2~3 : 0.5~1 : 0.5~1 : 0.5~1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중량비율을 벗어나 혼합할 경우 약재가공처리물들의 잔존하는 특유의 향과 맛이 잘 어우러지지 않아 상품적 가치를 떨어뜨리게 된다.
이렇게 준비된 상기 한약재들은 우선 통 유자의 상단부를 수평으로 절단한 후 과육을 제거하여 유자 과피 내부에 넣고 가열하는 것으로써, 설명하면, 유자는 그 자체가 향긋한 향과 맛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재료인 바, 상기 한약재들에 잘 스며들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통 유자의 내부에 한약재들을 투여할 수 있도록 통유자의 상단부 즉, 하단부 기준 높이 1~3cm 정도되는 부분을 수평으로 절단한 후, 그 안에 존재하는 과율을 제거하여 유자과피를 준비한다.
그 다음 상기 유자과피 속에 상기 한약재들을 넣고 찐 후 60~80℃에서 12~24시간동안 보온숙성한 다음 이를 2~3일동안 자연건조시켜 건조물을 제조하며, 이를 9회 반복하여 구증구포물을 제조한다.
설명하면, 먼저 상기 준비해 둔 유자과피의 내부에 상기 혼합약재들을 가득 넣은 후 찌는 과정 동안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끈으로 결속시킨 다음 유자의 향긋한 향과 맛이 상기 혼합액재 내부에 서서히 잘 스며들도록 하기위해 증기로 5~10시간동안 찐 후 60~80℃에서 12~24시간동안 보온숙성한다.
그 다음 수분의 함량을 맞추기 위해 2~3일동안 자연건조시켜 40~50 중량%의 수분함량을 갖는 건조물을 제조하며, 이를 다시 상기 찌기 및 보온숙성과정을 거치고 건조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총 9회 반복하여 구증구포물을 제조한 후 농축시켜 쌍화농축액을 제조한다.
이러한 구증구포과정을 거쳐 한약재들에 함유되어 있는 기능성 성분들은 보다 더 상승되고 한약재들의 특유의 맛과 향은 나지 않고 다만 유자가 갖고 있는 향긋한 향과 맛이 더 가미가 되어 때죽나무 숙성꿀 제조시 매우 적합한 소재로 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쌍화농축액은 상기 때죽나무꿀 숙성물 100 중량을 기준으로 0.1~0.2 중량부로 넣고 혼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쌍화농축액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할 경우에는 함량이 너무 적어 쌍화농축액이 발휘하는 그 효과가 미비하며, 0.2 중량부를 초과하여 넣을 경우 유자 향이 오히려 강하게 나타나 꿀 자체 고유의 맛과 향을 떨어뜨리게 되기 때문이다.
3. 제3단계: 때죽나무 숙성꿀 제조단계(S20)
본 단계에서는 상기 때죽나무꿀 혼합숙성물을 밀봉한 후 2차 숙성하여 때죽나무 숙성꿀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설명하면, 상기 때죽나무꿀 혼합숙성물 내에 존재하는 때죽나무꿀 숙성물과 상기 감로꿀이 잘 어우러져 결속된 형태를 얻고자 2차 숙성시키는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2차 숙성은 40~50℃에서 4~5시간동안 이루어져 최종 때죽나무 숙성꿀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숙성이 40℃미만 또는 4시간 미만으로 시행될 경우 2가지 꿀의 배합이 잘 어우러지지 못하여 개봉후 여전히 일부 색변화가 일어나거나 포도당이 응집되는 현상을 나타내어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떨어뜨리게 될 우려가 있게 되며, 50℃ 초과 또는 5시간 초과하여 숙성시키게 되면 때죽나무꿀 특유의 맛과 향이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제조한 때죽나무 숙성꿀은 때죽나무꿀 특유의 맛과 향은 거의 남아있으며 개봉후에도 색변화가 거의 없어 기존 첨가물을 넣은 사양꿀의 정도는 보관기간이 2년인 반면 본 발명의 때죽나무 숙성꿀은 천연꿀 보관과 비슷하게 4년이상 장기보관이 가능하여 소비자들이 보다 용이하게 때죽나무꿀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때죽나무 숙성꿀 1 제조
먼저, 채취된 때죽나무 꿀을 20℃에서 2일동안 1차 숙성시켜 때죽나무꿀 숙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때죽나무꿀 숙성물 100g에 감로꿀 1g을 넣고 혼합하여 때죽나무꿀 혼합숙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때죽나무꿀 혼합숙성물을 밀봉한 후 40℃에서 5시간동안 2차 숙성하여 때죽나무 숙성꿀1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때죽나무 숙성꿀 2 제조
먼저, 채취된 때죽나무 꿀을 20℃에서 2일동안 1차 숙성시켜 때죽나무꿀 숙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때죽나무꿀 숙성물 100g에 감로꿀 1g, 쌍화농축액 0.1g을 넣고 혼합하여 때죽나무꿀 혼합숙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쌍화농축액은 먼저, 황기 3g, 당귀 3g, 감초 4g, 작약 10g, 천궁 3g, 계피 3g, 숙지황 4g을 혼합하여 한약재들을 준비한 다음, 통 유자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높이 2cm정도의 상단부를 수평으로 절단한 후 과육을 제거하여 유자 과피를 제조한 다음, 유자과피 속에 상기 한약재들을 가득 넣고 100℃에서 7시간동안 찐 후, 이를 60℃에서 24시간동안 보온숙성한 다음 40 중량%의 수분함량이 되도록 25℃ 상온에서 자연건조시켜 건조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러한 상기 보온숙성 및 건조과정을 9회 반복하여 구증구포물을 제조하고, 이 구증구포물의 즙을 짜낸 후 농축하여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때죽나무꿀 혼합숙성물을 밀봉한 후 40℃에서 5시간동안 2차 숙성하여 때죽나무 숙성꿀2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때죽나무 숙성꿀3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1차 숙성을 40℃에서 1일동안 수행하여 때죽나무 숙성꿀3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때죽나무 숙성꿀4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1차 숙성과정 없이 그대로 감로꿀과 혼합하여 때죽나무 숙성꿀4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때죽나무 숙성꿀5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2차 숙성을 20℃에서 5시간동안 수행하여 때죽나무 숙성꿀5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때죽나무 숙성꿀6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2차 숙성과정 없이 그대로 밀봉하여 때죽나무 숙성꿀6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때죽나무 숙성꿀7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감로꿀 3g을 넣고 혼합하여 때죽나무 숙성꿀7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때죽나무 숙성꿀8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감로꿀 대신 아가씨아꿀을 넣고 혼합하여 때죽나무 숙성꿀8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때죽나무 숙성꿀9 제조
상기 실시예2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쌍화농축액으로 구증구포물이 아닌 한약재들 그대로를 물에 넣고 100℃에서 48시간동안 끓여서 농축시킨 것으로 준비하여 때죽나무 숙성꿀9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8> 때죽나무 숙성꿀10 제조
상기 실시예2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쌍화농축액으로 황기 3g, 당귀 3g, 감초 4g, 작약 10g, 천궁 3g, 계피 3g, 숙지황 4g을 혼합하여 한약재들을 준비한 다음, 통 유자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높이 2cm정도의 상단부를 수평으로 절단한 후 과육을 제거하여 유자 과피를 제조한 다음, 유자과피 속에 상기 한약재들을 가득 넣고 100℃에서 24시간동안 찐 것의 즙을 짜낸 후 농축하여 제조한 것을 적용하여 때죽나무 숙성꿀10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관능검사
1. 실험방법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7의 때죽나무 숙성꿀들의 관능검사를 시행하였다.
이때, 훈련된 70명(때죽나무꿀을 자주 섭취해본 훈련생들)의 평가요원을 대상으로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향, 맛, 색, 전체적인 품질을 5점법으로 평가한 후, 각 점수를 항목별로 평균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각 항목별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항목의 선호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보관기간도 함께 확인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하기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기호도 보관기간
실시예1 4.3 4.3 4.5 4.5 4년이상
실시예2 4.7 4.5 4.7 4.6 5년이상
비교예1 3.7 2.0 3.5 3.0 2년
비교예2 2.5 2.2 2.0 2.1 2년
비교예3 2.8 2.5 2.1 2.3 2년
비교예4 3.1 2.7 2.5 2.7 2년
비교예5 3.2 2.8 2.6 2.6 1년
비교예6 2.0 2.1 2.3 2.3 1년
비교예7 1.5 3.0 1.2 1.7 1년
비교예8 1.2 3.2 1.0 1.9 1년
상기 표 1에 나타나 있듯이, 실시예1의 때죽나무 숙성꿀1은 맛과 향이 진하고 달콤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때죽나무꿀 채취 당시 그 자체의 맛과 향과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뚜껑을 자주 열어두고 사용하여도 색변화가 거의 없어 첨가물들을 넣더라도 최대 4년이상까지 보관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의 때죽나무 술성꿀2 역시 맛과 향이 진하고 달콤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때죽나무꿀 채취 당시 그 자체의 맛과 향과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오히려 유자향이 더 가미되어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면, 비교예 1,2,3,4의 때죽나무 숙성꿀 3,4,5,6의 경우에는 1, 2차 숙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때죽나무꿀의 맛과 향이 약하게 나타나 때죽나무꿀을 자주 섭취해본 시식자들에게는 그 선호도가 떨어지게 되고 특히 섭취하는데는 이상이 없었으나 1년째부터 색변화가 일어나 보관기간이 2년 정도됨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5의 때죽나무 숙성꿀 7의 경우에는 오히려 추가된 감로꿀의 함량비율이 맞지 않아 때죽나무꿀 자체의 맛과 향을 떨어뜨려 때죽나무꿀을 자주 섭취해본 시식자들에게는 그 선호도가 떨어지게 되었고, 비교예 6의 때죽나무 숙성꿀 8의 경우에는 오히려 추가된 아카시아꿀로 인해 이 역시 때죽나무꿀 자체의 맛과 향을 떨어뜨려 때죽나무꿀을 자주 섭취해본 시식자들에게는 그 선호도가 떨어뜨려 전체적인 기호도가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색변화가 금방 일어나 보관기간이 1년 정도 밖에 안됨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6, 7의 때죽나무 숙성꿀 9 및 10의 경우에는 한약재의 향이 너무 강하여 이 역시 때죽나무꿀 자체의 맛과 향을 떨어뜨려 때죽나무꿀을 자주 섭취해본 시식자들에게는 그 선호도가 떨어뜨려 전체적인 기호도가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색변화가 금방 일어나 보관기간이 1년 정도 밖에 안됨을 확인하였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때죽나무꿀 특유의 맛과 향은 살리면서 색변화가 거의 없어 장기보관이 가능한 때죽나무 숙성꿀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때죽나무꿀을 1차 숙성시켜 때죽나무꿀 숙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때죽나무꿀 숙성물에 감로꿀을 넣고 혼합하여 때죽나무꿀 혼합숙성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때죽나무꿀 혼합숙성물을 밀봉한 후 2차 숙성하여 때죽나무 숙성꿀을 제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때죽나무 숙성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때죽나무꿀 숙성물에 쌍화농축액을 추가하는 것이 특징인,
    때죽나무 숙성꿀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쌍화농축액은 유자과피 속에 혼합약재를 넣고 찐 후 보온숙성한 다음 이를 건조시켜 건조물을 제조하며, 이를 9회 반복하여 제조된 구증구포물의 즙을 짜낸 후 농축시켜 제조된 것이 특징인,
    때죽나무 숙성꿀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때죽나무 숙성꿀.
KR1020220126694A 2022-10-05 2022-10-05 때죽나무 숙성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475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694A KR20240047531A (ko) 2022-10-05 2022-10-05 때죽나무 숙성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694A KR20240047531A (ko) 2022-10-05 2022-10-05 때죽나무 숙성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531A true KR20240047531A (ko) 2024-04-12

Family

ID=90680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694A KR20240047531A (ko) 2022-10-05 2022-10-05 때죽나무 숙성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753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726B1 (ko) 2022-04-29 2022-08-05 주식회사 알피에프 숙성꿀의 제조방법
KR102428727B1 (ko) 2022-04-29 2022-08-05 주식회사 알피에프 숙성꿀의 발효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726B1 (ko) 2022-04-29 2022-08-05 주식회사 알피에프 숙성꿀의 제조방법
KR102428727B1 (ko) 2022-04-29 2022-08-05 주식회사 알피에프 숙성꿀의 발효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0616B2 (ja) オリーブ薬膳酒の製造方法
JP4248595B2 (ja) モリンダ・シトリフォリア食物繊維
Yahia et al. Cactus pear (Opuntia species)
Biswas et al. Passion to profession: A review of passion fruit processing
Bukya et al. Preaparation and standardization of jamun jam (Syzygium cumini) it’s chemical and storage studies
KR101885684B1 (ko) 무즙 및 배즙을 이용한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30693B1 (ko) 더덕 고추장 절임의 제조방법
KR101348311B1 (ko) 마늘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CN105146653A (zh) 一种辣木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348313B1 (ko) 구아바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Jat et al. Commercial products of aonla fruits, increasing the value addition
KR20170065452A (ko) 연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90199A (ko) 씨레기 제조방법
KR20120071890A (ko) 동/식물성 식재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KR10103757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KR20240047531A (ko) 때죽나무 숙성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89292A (ko) 여주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82266B1 (ko) 새싹삼 장아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새싹삼 장아찌
CN107279626B (zh) 一种养胃的柠檬香茅混合果汁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327802B1 (ko) 장어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KR102498229B1 (ko) 항암성분과 유효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마늘 액상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56954B1 (ko) 스틱 형태의 포장 용기에 충전된 도라지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97742A (ko)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한 식물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Bairwa et al. Study on changes in organoleptic quality of value added blended herbal Ready-to-serve (RTS) of aonla (Emblica officinalis Garetn.) CV. NA-6 during storage period
KR101348312B1 (ko) 양파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