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6203A - 스파, 실내 수영장, 실외 수영장, 피트니스 센터 등의 변경 영역 - Google Patents

스파, 실내 수영장, 실외 수영장, 피트니스 센터 등의 변경 영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6203A
KR20240046203A KR1020247007330A KR20247007330A KR20240046203A KR 20240046203 A KR20240046203 A KR 20240046203A KR 1020247007330 A KR1020247007330 A KR 1020247007330A KR 20247007330 A KR20247007330 A KR 20247007330A KR 20240046203 A KR20240046203 A KR 20240046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ge
storage
cubicles
user
cub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7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브레히트 버마이스터
루카스 로이슈너
월터 클라스
코스민 마가니안
Original Assignee
델타-엑스 게엠베하 인제니어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타-엑스 게엠베하 인제니어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델타-엑스 게엠베하 인제니어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40046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620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04H1/1266Cubicles for dressing; Toil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3Solvency che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 G07F11/5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about vertical axes
    • G07F11/5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about vertical axe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oth rotating and moving axial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means for safe-keeping of property, left temporarily, e.g. by fastening the property
    • G07F17/1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means for safe-keeping of property, left temporarily, e.g. by fastening the property comprising lockable containers, e.g. for accepting clothes to be clea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발명은 스파, 실내 또는 실외 수영장, 피트니스 어매니티 뿐만 아니라 공장의 변경 영역들에 관한 것으로, 보관 박스는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할당되고, 보관 박스는 사용자가 점유하는 변경 영역으로 운반된다.

Description

스파, 실내 수영장, 실외 수영장, 피트니스 센터 등의 변경 영역
본 발명은 스파, 공중 수영장(실외 또는 실외 수영장), 상업적 피트니스 스튜디오의 변경 영역(changing area)에 관한 것이지만, 또한 작업자가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그들의 옷을 변경하고, 그들의 일상복을 작업복으로 교환하는 산업 공장의 변경 영역에 관한 것이다.
수십년 동안, 매우 정적이고, 거의 편안함을 제공하지 않으며, 넓은 공간을 요구하는 이러한 변경 영역에서 시스템이 확립되어 왔다. 사용자가 옷을 갈아입는 변경 큐비클(changing cubicle)들이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일상복을 벗고, 예를 들어, 수영복, 수영 슈츠, 운동복, 또는 작업복을 입는다. 보관된 모든 옷들은 옷걸이에 걸려 있고, 라커에 잠겨져 있다. 라커는 변경 큐비클에 위치되지 않고, 다른 위치에 있다. 사용자는 이 라커의 키를 그것들과 함께 가져간다.
스파 또는 작업장을 떠나고 싶을 때, 사용자는 먼저 라커로 가서, 옷이 걸려있는 옷걸이를 꺼내 자유 변경 큐비클로 간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가 갈아입기를(change) 원할 때마다 변경 큐비클 및 라커가 위치된 장소 두 곳으로 가야 하므로, 그다지 사용자-친화적이지 않다.
넓은 변경 영역들에서, 이는 사용자들이 변경 큐비클들 및 라커들 사이의 복도 및 회랑(hallway)에서 이동하게 한다. 이 “보행자 트래픽(pedestrian traffic)”은 넓은 통로(aisle) 및 복도를 필요로 한다. 즉, 공간 요구가 상당하다. 그러나, 이는 사용자들 사이의 접촉 수도 증가시킨다. 이러한 접촉은 감기, 독감, 또는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감염의 전염에 기여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보다 사용자-친화적이고, 매력적이며, 변경 영역의 통로 및 복도에서 보행자 트래픽을 더 유발하고, 또한 사용자 수에 비해 적은 공간을 요구하는 변경 영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적은 여러 변경 큐비클들 및 적어도 하나의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을 포함하는 변경 영역에 의해 달성되며, 각각의 변경 큐비클은 여러 벽들 및 도어를 포함하고, 보관 박스들을 위한 선반 시스템은 벽의 외부 사이드에 배치되며, 보관 박스들을 위한 여러 보관 위치들은 선반 시스템에서 나란하고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배치되어서 격자(grid)를 형성하고, 변경 큐비클은 오프닝을 가지며, 오프닝은 변경 큐비클의 바깥쪽에 위치되는 선반 시스템의 보관 박스를 위한 보관 위치를 노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변경 큐비클은, 다른 변경 큐비클들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4개의 벽들을 포함한다. 벽들 중 하나는 사용자가 변경 큐비클의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하는 도어를 가진다. 변경 큐비클의 하나의 벽에는 오프닝이 있다. 이 벽은 통상적으로 도어에 반대되는 벽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해 보이는 변경 큐비클의 벽들은 변경 큐비클의 “내부 벽들”이라고 지칭된다. 따라서, 이러한 벽들의 후방 사이드 또는 외부는 변경 큐비클의 벽의 외부라고 지칭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프닝이 위치되는 벽의 바깥쪽에 선반 보관 시스템이 배치되도록 제공된다. 이 선반 시스템에는 다수의 보관 위치들이 있다. 보관 박스는 이러한 보관 위치들 각각에 보관될 수 있다. 큐비클 내부의 사용자는 선반 시스템의 어떠한 것도 볼 수 없다.
변경 큐비클의 벽 내의 오프닝은 변경 큐비클 내부로부터 선반 시스템의 보관 위치로의 접근(access)을 제공하도록 치수화되고 위치된다. 다시 말하면, 변경 큐비클 내에 위치되는 사용자는 선반 시스템의 보관 위치에서 오프닝 뒤에 위치하는 보관 박스의 내용물 또는 내부에 접근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오프닝 내의 보관 박스에 그들의 옷 또는 다른 물품들을 채울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들은 나중에 보관 박스로부터 옷 또는 물품들을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옷을 갈아입은 후, 변경 큐비클을 떠나고자 하는 경우, 이 보관 박스는 이 보관 위치로부터 제거되고, 선반 시스템 또는 다른 변경 큐비클의 외측의 선반 시스템 내의 다른 보관 위치에 보관된다. 결과적으로, 오프닝 및 오프닝 뒤의 보관 위치는 자유로워진다.
변경 큐비클 안에 있는 사용자들은 다른 보관 위치들에 보관된 보관 박스들에 접근할 수 없다. 유일한 예외는 변경 큐비클의 벽의 오프닝 “뒤”의 보관 위치에 위치된 보관 박스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치는 사용자가 예를 들어, 도어를 열고 들어가는 것과 같이 변경 큐비클을 선택한 직후에, 이 사용자에게 할당된 보관 박스를 선반 시스템의 보관 위치로부터 제거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변경 큐비클의 오프닝 뒤에 위치된 선반 시스템의 보관 위치로 가져오게 된다.
사용자는 자신에게 할당된 보관 박스를 열거나, 채우거나, 비울 수 있으며, 그들의 옷을 갈아입을 수 있다. 사용자가 변경 큐비클을 다시 떠나거나, 탈의 과정이 완료되었음을 다른 신호로 표시하는 즉시, 사용자에게 할당된 보관 박스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 의해 오프닝 뒤에 보관 위치로부터 제거되어 변경 큐브클의 안쪽으로부터 접근할 수 없는 다른 보관 위치에 보관된다.
따라서, 변경 큐비클은 다른 사용자에 의해 다시 사용 가능하다. 늦어도, 이 다른 사용자가 변경 큐비클에 들어오면, 그들에게 할당된 보관 박스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도움을 통해 오프닝 뒤에 보관 위치로 이동되어서, 다른 사용자가 옷을 갈아입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변경 큐비클은 각 사용자가 변경 큐비클에 있을 때, 그들에게 할당된 (“그들의”) 보관 박스에 항상 접근할 수 잇게 한다. 또한, 나중에 변경 큐비클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된 라커에 보관 박스를 잠글 필요도 없다. 이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이는 변경 큐비클 및 라커 사이 또는, 라커 및 변경 큐비클 사이의 “불필요한” 거리가 없으므로,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이는 변경 영역에서 많은 수의 걸음을 줄이고,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트랙픽 영역들도 그에 따라 더 작아질 수 있다.
과소평가 되어서는 안 되는 편의성 및 사용자-친화성 측면의 또 다른 이점은 사용자가 자신의 물품을 보관한 라커가 어디에 있는지 기억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이다.
사용자는 변경 큐비클을 완전히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그들의” 보관 박사는 임의의 변경 큐비클 바깥에 있는 랙 보관 시스템의 무료 보관 위치에 자동으로 임시 보관된다. 사용자가 스파를 방문한 후 다른 변경 큐비클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배정된 보관 박스는 사용자들이 큐비클에 입장한 후 즉시 그들의 큐비클의 오프닝 뒤에 있는 보관 위치로 이동된다. 사용자는 옷을 갈아입을 수 있고, 그동안 “그들의” 보관 박스에 있는 물품에 접근할 수 있다.
이 디자인의 또 다른 장점은 변경 큐비클들 및 보관 박스들을 더 쉽게 청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보관 박스들이 비워지면, 자동으로 청소 및/또는 소독이 가능하다. 이는 보관함을 통한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대중이 접근할 수 있는 라커 영역들이 없기 때문에, 공간/트래픽 영역이 절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트래픽 영역들의 청소 및 유지관리도 제거될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 및 보관 박스 간의 개별 할당으로 인해 가능한 다양한 기능들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변경 영역 또는 스파 및/또는 시설에서 떠나려고 할 때마다, 사용자에게 할당된 보관함이 비어 있는지 자동으로 체크될 수 있다.
보관 박스에 물품이 남아 있는 경우, 시설을 떠날 때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고 물품을 건내 줄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변경 영역의 사용자에 대한 편의성의 또 다른 주요 이점이자 이득이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선반 시스템은 격자 형태로 배치되고, 여기서 “m” 보관 위치들은 서로의 옆에 배치되고, “n” 보관 위치들은 서로의 위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5개의 저장 위치들이 서로 옆에 배치되고, 4개의 보관 위치들이 서로의 위에 배치된 경우, 선반 시스템은 총 20개의 보관 위치들을 가진다. 이들 보관 위치들 중 하나는 변경 영역의 벽에 있는 오프닝에 할당되어 있고, 변경 영역의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는 19개의 보관 위치들은 보관 박스들의 도난-방지 임시 보관소로 사용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많은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이 보관 및 회수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품 물류, 특히, 높은 천장의 창고 또는 소형 부품용 선반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 상업적으로 확립되었으며, 이는 변경 큐비클 또는 스파의 변경 영역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 예에서, 여러 변경 큐비클들이 원형 및/또는 원호 형태로 배치된다. 그 결과, 매력적이고, 사용자-친화적이며, 공간-절약형으로, 변경 큐비클들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변경 큐비클들 바깥의 선반 시스템에도 충분히 많은 보관 위치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변경 영역의 용량을 요구에 따라 쉽게 적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변경 영역의 중앙의 변경 큐비클은 바람직하게는 (내부) 원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변겨 큐비클들을 갖는 복수의 원호들은 중간 직경 및/또는 외부 직경 상에 동심으로 배치된다.
트래픽 영역 또는 복도는 원에 있는 변경 큐비클들 및 원호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변경 큐비클들 사이에 제공된다. 사용자들은 이러한 트래픽 영역들을 통해 변경 큐비클의 도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도어들이 방사상 외부 벽들에 배치되고 선반 시스템이 방사상 내부 벽들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내부 원들에 놓여진 변경 큐비클들이 배치되는 것이 제공되어서, 선반 시스템은 원 또는 다각형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 예에서, 내부 원에 배열된 변경 큐비클 안쪽에 제1보관 및 회수 시스템이 제공된다.
원형으로 배열된 변경 큐비클들에 대해 동심원적으로, 추가 변경 큐비클들이 원호 형태로 나란히 배열된다. 이러한 원호의 직경은 중간 직경이라고 지칭된다. 중간 직경에 배치된 변경 큐비클들의 도어들은 변경 큐비클들의 반경 내측 벽들에 제공된다. 이러한 변경 큐비클들의 선반 시스템들은 변경 큐비클들의 반경 외측 벽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원형으로 배치된 변경 큐비클들 및 이에 동심원적으로 배치된 변경 큐비클들의 복도 양 벽들에 도어들이 존재한다. 이는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트래픽 영역의 필요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변경 큐비클들의 용량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 변경 큐비클의 외부 직경에 원호 형태로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변경 큐비클들은 바람직하게는 선반 시스템이 있는 벽들이 방사상 안쪽을 향하고, 변경 큐비클들의 도어들이 바깥쪽을 향하는 벽들에 배치되게 정렬된다.
이는 중간 직경에 있는 변경 큐비클들의 선반 시스템 및 외부 직경에 있는 변경 큐비클들의 선반 시스템이 서로 근접해 있음을 의미한다. 그들은 좁은 원형 통로로만 분리되어 있다. 제2보관 및 회수 시스템이 이 통로에 설치될 수 있고, 이는 통로 양 사이드들의 선반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다. 이는 선반 시스템 중 하나의 보관 위치에서 보관 박스에 할당된 사용자가 위치된 변경 큐비클의 오프닝까지 보관 박스를 운반하는데 필요한 평균 거리를 단축한다. 또한, 이는 용량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거기에서 사용되는 제2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전송 용량을 늘린다.
예를 들어, 변경 큐비클이 중간 직경의 4개의 원호 및 외부 직경의 4개의 원호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4개의 제2보관 및 회수 시스템들이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서, 수평 컨베이어 장치는 서로 다른 원호의 선반 시스템에서 보관 박스들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2보관 및 회수 시스템 위에 제공된다.
수평 컨베이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폐쇄된 트랙에서 이동 가능하고, 제2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보관 박스를 수용할 수 있고 이 보관 박스를 다른 원형 아크에 있는 제2보관 및 회수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보관 및 회수 시스템 위에 배치된 수평 컨베이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변경 큐비클로 들어가는 반경 방향으로 이어지는 접근 경로를 연결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변경 영역의 사용자들을 방해하지 않고 서로 다른 원호의 선반 시스템들 사이에서 보관 박스들을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경 영역의 유연성은,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운송 장치가 제공되는 경우, 더욱 증가되며, 각각의 방사상 운송 장치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으로부터 보관 박스를 수용하고, 이를 다른 직경의 보관 및 회수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사상 운송 장치는 제1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 의해 픽업된 보관 박스를 수용하고, 이를 방사상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제2방사상 보관 및 회수 시스템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그 반대의 경로도 가능하다.
방사상 운송 장치가 수평 컨베이어 장치에서 보관 박스를 수용하고 이를 다른 직경의 보관 및 회수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반대 경로도 가능하다.
수평 컨베이어 장치 및/또는 방사상 운송 장치들을 통해, 임의의 선반 시스템의 임의의 보관 위치를 보관 박스의 임시 보관부로 사용할 수 있다. 원호 형태로 배치된 변경 큐비클들의 보관 영역들 및 원형으로 배치된 변경 큐비클 사이의 보관 박사들의 운송 및 교환은 어느 경우에나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변경 영역의 확장성을 보장하기 위해, 전술한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2개 또는 3개의 변경 영역들은 동일한 레벨에서 서로 옆에 설치될 수 있고, 보관 박스들이 변경 영역들 사이에서 왕복 운송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방사상 운송 장치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다.
이 디자인은 여러 변경 영역들을 서로의 위에 배치함으로써, 수직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수직 운송 장치들 또한 제공되며, 이는 서로 다른 레벨의 방사상 운송 장치들을 서로 연결한다. 이후, 보관 박스들은 서로 다른 레벨 사이에서 수직으로 왕복 운송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장점들은 여러 변경 큐비클들 및 보관 박스를 포함하는 변경 영역을 운영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되며, 각 변경 큐비클들은 여러 벽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변경 큐비클들의 벽에는 오프닝이 있고, 오프닝의 치수 및 보관 박스들의 치수는 오프닝에 위치된 보관 박스를 변경 큐비클에 넣거나 비울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매칭된다. 이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변경 큐비클이 선택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변경 큐비클의 오프닝으로 사용자에게 할당된 보관 박스를 운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적으로, 이는 사용자가 선택한 변경 큐비클들에 들어갈 때, 사용자에게 할당된 보관 박스가 사용자가 들어가는 변경 큐비클의 벽의 오프닝에 이미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에 의한 변경 큐비클의 선택은 어느 경우에는 사용자가 점유되지 않은 (“자유(free)”) 변경 큐비클의 도어를 여는 점에서, 매우 통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이나 지문을 입력하거나,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해 자동으로 자신을 식별하면, 사용자 및 사용자가 진입한 변경 큐비클 사이의 할당이 설정된다.
사용자가 RFID 칩을 갖는 입장 티켓을 소지하면, RFID로부터 식별 번호를 판독하여 사용자가 변경 큐비클에 입장하는 것이 자동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에게 할당된 보관 박스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변경 큐비클의 벽의 오픈이 뒤에 위치된 보관 위치로 완전히 자동으로 운송된다.
물론 이미 시설에 입장할 때, 즉, 사용자가 티켓을 받을 때, 현재 자유인 변경 큐비클이 예약되어 사용자에게 할당되고, 사용자가 입구 영역으로부터 그들에게 할당된 변경 큐비클로 이동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예약된 변경 큐비클의 벽의 오프닝으로 사용자에게 할당된 보관 박스가 운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유형의 할당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특정 날짜에 처음 시설에 입장할 때만 발생한다. 즉, 사용자는 판매 카운터 영역에 있다.
낮 동안,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옷을 갈아입거나 보관 박스에 있는 개인 물품에 접근하려는 경우, 점유되지 않은 변경 큐비클의 도어 핸들을 눌러서 변경 큐비클이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변경 큐비클을 떠나자마자, 그들에게 할당된 보관 박스는 그들이 사용하던 변경 큐비클의 오프닝에서 제거되고, 다른 보관 위치로 운송된다. 이 다른 보관 위치는 변경 큐비클의 벽의 오프닝 뒤에 위치되지 않는다. 즉, 보관 박스는 스파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는 보관 위치에 임시로 보관된다. 이는 권한이 없는 사람이 보관 박스의 내용물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한다. 따라서, 보관 박스는 잠겨질 필요조차 없다. 예를 들어, 자석 클로서 또는 간단한 래칭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보관 박스의 도어가 의도치 않게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면 충분하다.
변경 큐비클의 마지막 사용자에게 할당된 보관 박스가 변경 큐비클의 오프닝 뒤에 있는 보관 위치에서 제거되자마자, 변경 큐비클이 다른 사용자에게 다시 접근가능해질 수 있다. 늦어도, 다른 사용자가 변경 큐비클에 들어갈 때, 다른 사용자에게 할당된 보관함은 변경 큐비클의 벽에 있는 오프닝에 배치된다.
또한, 사용자가 시설에 입장한 후 처음으로 빈 변경 큐비클에 들어갈 때까지 보관 박스를 배정받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럼, 빈 보관 박스가 이 큐비클의 오프닝으로 운송되고, 식별 번호와, 사용자 카드, RFID 또는 보관 박스 사이의 할당이 확립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서, 보관 박스 및 사용자 사이의 할당은 예를 들어, 시설을 떠날 때 취소될 수 잇다. 그러나, 본 방법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보관 박스가 실제고 비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검사가 먼저 수행된다. 보관함에 아직 물품이 남아 있는 경우, 해당 메시지가 사용자 또는 시설 운영자에게 전송되므로, 사용자는 “잊어버린” 물품을 회수하거나 시설을 떠나기 전에 가져갈 수 있다.
예를 들어, 5일동안 할당을 저장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시설을 떠난 후에 분실 신고를 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할당된 보관 박스가 스태프에 의해 식별 및 검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 및 유리한 실시예는, 다음의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확인될 수 있다. 도면 및 설명에 개시된 모든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본 발명에 필수적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경 큐비클의 내부를 도시한다.
도 2는 선반 시스템이 그 앞에 배치되어 있는 도 1의 벽의 외부를 도시한다.
도 3은 2개의 변경 큐비클들, 2개의 선반 시스템들, 및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을 갖는 이들 사이의 복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경 큐비클들을 갖는 변경 영역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두번째 예시적인 실시예의 추가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2개의 변경 큐비클들, 선반 시스템들, 보관 및 회수 시스템, 및 수평 운송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7은 선반 시스템, 보관 및 회수 시스템, 및 수평 컨베이어 장치로의 이동을 갖는 변경 영역의 추가적인 단면을 도시한다.
도 8은 추가 방사상 운송 장치들이 있는 사시도이다.
도 9는 3개의 변경 영역들이 서로의 위에 배치되어 있는 추가적인 예시적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변경 영역들의 추가적인 예시적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경 큐비클의 벽(1)을 도시한다. 사이드 벽들, 바닥(floor), 및 변경 큐비클들의 천장(ceiling)은 부분적으로만 도시되어 있으며 참조 부호가 주어지지 않는다. 출입 도어가 있는 벽은 도시되지 않는다.
벽(1)은 변경 큐비클의 출입 도어(entrance door)(미도시)의 반대측 벽이다. 따라서, 이는 후방(rear) 벽이라고도 지칭된다. 벽(1)에는 오프닝(3)이 있다. 이 오프닝(3)은 플랩(flap) 또는 슬라이드(미도시)로 닫아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경 큐비클에서, 벽(1) 뒤, 즉, 변경 큐비클의 외부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선반 시스템이 배치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벽(1)의 외부 모습을 도시한다. 도 2에서, 벽(1)은 전술한 선반 시스템에 의해 대부분 숨겨져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선반 시스템은 서로에 위에 수직으로 쌓인 4개의 레벨과, 서로에 대해 나란히 배치된 5개의 열들을 가진다. 따라서, 랙 선반 시스템은 총 20개의 보관 위치들을 가진다(보관 위치의 수는 열의 수(m=5) 및 서로의 위에 배치된 행의 수(n=4)의 곱이다).
보관 위치(LP)가 실행 인덱스에 따라 번호가 매겨지면, 저장 위치(LP 4, 2)는 오프닝(3) 뒤에 있도록 위치된다(도 1 참조). 오프닝(3) 앞에 배치된 플랩(참조부호 없음)이 도 2에 도시된다.
보관 위치(LP 4, 2)에 보관 박스(미도시)가 있는 경우, 변경 큐비클의 사용자는 오프닝(3)을 통해 보관 위치(LP 4, 2)에 위치된 보관 박스의 내용물에 접근할 수 있다. 유저는 보관 박스를 채우거나 그로부터 물체를 제거할 수 있다.
다른 19개의 보관 위치들은 변경 큐비클 안쪽의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는데, 이는 벽(1)이 오직 하나의 오프닝(3)을 가져서, 변경 큐비클(의 안쪽으로부터 전확히 하나의 보관 위치(여기서, LP 4, 2)에 접근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도 2는 또한 변경 큐비클의 벽(1) 뒤의 선반 시스템(5)이 변경 큐비클보다 상당히 높다는 것을 도시한다. 변경 큐비클의 높이(HUK) 및 선반 시스템(5)의 높이(HLR)이 도 2에 도시된다.
선택적인 중간 천장(7)이 선반 시스템(5) 위에 설치되어, 선반 시스템(5) 위의 운송 레벨이 사용자 영역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사고 위험을 줄이고 변경 영역이 더욱 매력적으로 보이게 한다.
중간 천장(7)의 위에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수평 컨베이어 장치(9)를 갖는 운송 레벨이 있다. 수평 컨베이어 장치(9)는 보관 박스들(11)을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이 중 하나만이 도 1에 도시된다.
도 3은 두개의 변경 큐비클들(UK1, UK2)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변경 큐비클(UK1, UK2)의 오프닝들(3)이 있는 벽들(1)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되어서, 두개의 선반 시스템들(5)이 두 개의 변경 큐비클들의 벽들(1) 사이에 배열되게 한다. 선반 시스템들(5) 사이에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미도시) 및 보관 박스(11)가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치수화된 (보행) 통로(13)가 있다.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은 도 3의 도면의 평면에 직교하도록 이동하고, 보관 박스(11)를 임의의 보관 위치, 즉, 선반 시스템(5. 1)로부터 변경 큐비클(UK2)의 보관 위치(4. 2)로 가져올 수 있게 한다. 도 3은 벽(1)의 오프닝(3)을 개폐할 수 있는 플랩(15)을 도시한다.
2개의 보관 영역들(5. 1, 5. 2) 사이의 통로(13)에 있는 보관 박스(11)가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보관 및 회수 시스템 및 보관 박스들(!1)이 통고(13)에서 왕복 이동하므로, 통로(13)에는 사람이 들어갈 수 없다. 유지보수 담당자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유지보수 또는 수리 목적으로만 통로(13)에 들어갈 수 있다.
도 13은 중간 천장(7)이 통로(13) 위에서 차단되어서, 보관 박스들(11)이 통로(13)로부터 수직 위쪽으로 운송되고 수평 컨베이어 장치(9)로 전달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하게 도시한다.
도 3은 보관 및 운송 시스템으로부터 수평 컨베이어 장치(9)로 보관 박스(11)를 전달하는 세부 사항들을 도시하지 않는다. 상품 물류에 익숙한 솔루션들이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변경 영역(17)의 첫번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변경 큐비클들은 최종적으로 3개의 다른 직경들로 배치된다. 변경 영역(17)의 중앙에는 총 14개의 변경 큐비클들(참조 부호 없음)이 원형으로 배치된다. 변경 큐비클들은 대략 사다리꼴 평면도(floor plan)을 가진다. 이 변경 큐비클들의 오프닝들(3)을 갖는 벽들(1)은 이러한 변경 큐비클들의 내경에 배치된다. 따라서, 벽(1)의 외부에 각각 제공된 선반 시스템들은 원형으로 배치된 변경 큐비클들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 4에는 보여지지 않는, 제1보관 및 회수 시스템(22)이 이러한 선반 시스템들(5)의 안쪽에 위치된다.
14개의 변경 큐비클들이 원형으로 배치된 직경은 내경이라 한다.
이러한 변경 큐비클들의 도어들은 이러한 변경 큐비클들의 바깥에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스파 방문객들은 원형 복도(19) 및 방사형 복도(21)를 통해 변경 큐비클들의 도어들에 접근할 수 있다.
복도(19)의 바깥에는 총 4개 그룹의 변경 큐비클들이 원호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변경 큐비클들이 위치된 직경을 중간 직경이라고 한다.
이러한 큐비클들의 도어들은 원형 복도(19)를 통해 방사상 안쪽으로 개방된다. 이는 관련한 선반 시스템들이 중간 직경에 배치된 변경 큐비클들의 외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선반 시스템들 중 하나에는 5m(m은 중간 직경을 나타냄)으로 라벨링 되어 있다.
중간 직경(m)에 배치된 변경 큐비클들은 폐쇄된 원으로서 배치될 수 없는다, 이는 그렇지 않으면 방사상으로 이어지는 복도(21)를 통해 복도(19)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중앙 직경에 배치된 변경 큐비클들을 갖는 원호 외부에는 외부 직경에 배치된 추가 변경 큐비클들이 있다. 이들은 더 안쪽에 배치된 원호 또는 변경 큐비클 내부에 원형으로 배치된 변경 큐비클들과 동심원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외경에 배치된 변경 큐비클들은 방사상 바깥쪽으로 향하게 되낟. 선반 시스템들(5A)는 방사상 안쪽으로 정렬되어서, 선반 시스템들(5M, 5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13)의 범위를 정한다. 따라서, 이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총 4개의 커브진 통로(13)가 있으며, 각각은 대략적으로 90도로 커버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각각의 통로(13)에는, 도 4에서 보이지 않는 제2보관 및 회수 시스템(23)이 배치된다. 보관 및 회수 시스템(23)은 세그먼트 내의 통로(13) 내에서 이동되고, 또한 그 높이에서도 이동될 수 있어서, 보관 및 회수 시스템(5M, 5A)의 모든 보관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제2보관 및 회수 시스템(23)은 사용자 친화성, 편의성 및 변경 영역의 사용자와의 사고 방지를 위해 방사형 복도(21)를 횡단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23)의 이동 경로가 통로(13) 내의 이동으로 제한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수평 컨베이어 장치(9) 뿐만 아니라 방사상 운송 장치(25)의 일부 및 선택적인 수직 컨베이어 장치(27)를 도시한다.
도 5에서, 추가적인 예시적 실시예 또한 사시도로 도시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3개의 변경 영역들이 한 레벨에서 서로의 옆에 배치된다. 변경 영역들(18)은 방사상 운송 장치들(25)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방사상 운송 장치들(25)은 중앙에서 만난다. 수직 컨베이어 장치들(27)은 방사상 운송 장치(25)의 단부들에 선택적으로 제공된다. 여러 변경 영역들이 서로의 위에 배치되는 실시예에서(예: 도 9 참조), 이러한 수직 컨베이어 장치들(27)은 이들을 서로 연결한다.
수평 컨베이어 장치들(9)은 도 5에 도시된다. 이들은 통로(13)를 통해 작동하고 변경 영역의 세그먼트들 사이에서 보관 박스들(11)을 운송한다. 수평 컨베이어들(9) 및 방사상 운송 장치들(25)은 보관 박스들(11)이 그들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예를 들어, 변경 영역 내부의 보관 영역들(5I)에 위치된 보관 박스들을 선반 시스템들(5M, 5A) 사이의 통로(13)로 운반하고, 그곳에서 제2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도움으로 선반 시스템들(5M, 5A)의 임의의 자유 보관 위치로 운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은 수평 컨베이어 장치(9)와 협력하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23)의 첫번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보관 및 회수 시스템(23)은 선반 시스템(H=HLR))의 하단 및 상부에 있는 레일(29) 상에서 가이드 된다. 이는 세그먼트 내에서 수직 방향(수직으로 배향된 이중 화살표로 표시됨), 및 원형 경로(커브진 이중 화살표로 표시됨) 상에서 이동할 수 있고, 세그먼트 내의 임의의 보관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제2보관 및 회수 시스템(23)은 보관 박스(11)를 보관 위치에서 제거하거나 그곳에 배치할 수 있다. 제2보관 및 회수 시스템(23)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 위까지 이동되면, 중간 천장(7)(도 3 참조) 및 운송 레벨에 위치될 수 있다. 그곳에서, 수평 컨베이어 장치(9)로부터 보관 박스(11)를 픽업하거나, 박스를 이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저장 및 보관 시스템(23)은 필요에 따라 화살표(#1)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7은 내부 보관 및 회수 시스템(22)을 도시하며, 이는 변경 영역(17)의 중앙에 제공되고, 보관 박스들(11)을 이 내부 원을 형성하는 변경 큐비클들로 운송한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들을 다른 관점에서 도시한다.
도 9는 9개(3x3)의 변경 영역들이 결합되어 3층 변경 영역을 형성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보관 박스들은 수직 컨베이어 장치(27)를 통해 다른 레벨 사이에서 운송된다. 수직 컨베이어 장치(27) 및 방사상 운송 장치(25) 사이의 보관 박스들(11)의 전달은 보관 및 회수 시스템(22, 23) 및 수평 컨베이어 장치(9) 사이의 운반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변경 영역들의 추가적인 예시적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이는 제1예시적 실시예와 동일한 변경 큐비클들을 기반으로 한다. 저장 및 회수 시스템들(22, 23), 수평 컨베이어 장치(9), 선택적 방사상 운송 장치(들)(25), 및 선택적 수직 컨베이어 장치(들)(27)의 기능도 또한 동일하다.
도 1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오프닝(3)이 있고, 외벽에 매치된 선반 시스템(5) 상에 있는 변경 큐비클들의 두 행이 서로 “선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들은 변경 영역(1)을 형성한다. 보관 및 회수 시스템(23)이 그 사이에 배치된다. 서로의 옆에 배치된 변경 큐비클들의 선반 시스템들(5)이 서로 병합되고, 그들은 연속적이고 매우 긴 선반 시스템(5)을 형성한다.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레일들(29)은 일반적으로 직선형이고, 선반 시스템들(5)과 평행하게 이어진다.
본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변경 큐비클들의 행의 시작 및 끝에 “일반” 변경 큐비클들보다 큰 방이 제공된다. 이는 장애인을 위한 변경 큐비클들이나, 또는 직원을 위한 레크레이션 룸일 수 있다.
도 11에서, 4개의 “선형” 변경 영역들(17)이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변경 영역들(17) 사이에는 넉넉한 크기 및 가구가 배치된 라운지 영역이 있다. 보관 박스들(11)은 하나 이상의 수평 컨베이어 장치들(9) 또는 방사상 운송 장치(25)에 의해 변경 영역들(17) 사이에서 운송된다. “방사상 운송 장치”라는 명칭은, 변경 큐비클들의 선형 배열을 고려하면 언뜻 보기에 다소 놀랍다. 이는 첫번째 예시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사상 운송 장치들에 기술적으로 대응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려는 의도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수평 컨베이어 장치(9) 또는 하나의 방사상 컨베이어 장치(25)를 설치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는 설정을 단순화하고, 운송 시간을 단축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변경 영역(17)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4는 3개 레벨에 분산된 12개(3x4)의 변경 영역들(17)을 도시한다. 도 14는 도 9와 동일하며, 변경 큐비클들은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4는 수평 컨베이어 장치(9)를 단순화된 도면으로 도시한다.
보관 박스들은 하나 이상의 수직 컨베이어 장치들(27)에 의해 3개의 레벨 사이에서 운송된다. 수직 컨베이어 장치(27)의 작은 부분이 도 14에 도시된다.
수직 컨베이어 장치(27) 및 수평 컨베이어 장치(9), 또는 방사상 운송 장치(25) 사이에서 보관 박스들(11)의 운송은, 보관 및 회수 시스템(22, 23) 및 수평 컨베이어 장치(9) 사이의 운송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1)

  1. 여러 변경 큐비클들 및 적어도 하나의 보관 및 회수 시스템(22, 23)을 포함하는 변경 영역에 있어서,
    각각의 변경 큐비클(UK)은 여러 벽들(1) 및 도어를 포함하고, 벽(1)의 외부 사이드 상에는 보관 박스들(11)을 위한 선반 시스템(5)이 배치되고, 보관 박스들(11)을 위한 여러 개의 보관 위치들(LPi, j)은 상기 선반 시스템(5)에서 나란하게 및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배치되어서 격자를 형성하고, 변경 큐비클(UK)의 벽(1)은 오프닝(3)을 가지고, 상기 오프닝(3)은 보관 박스(1)를 위한 보관 위치(LP4, 2)를 노출시키는, 변경 영역.
  2. 제1항에 있어서,
    “m” 보관 위치들은 선반 시스템(5)에 나란히 배치되고, “n” 보관 위치들은 서로의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 영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변경 큐비클들(UK)은 원 또는 원호 형태로 서로의 옆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 영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큐비클들(UK)은 원 형태로 배치되고, 복수의 원형 원호들이 동심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 영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영역은 내경(D1)을 갖는 내부 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변경 큐비클들(UK) 및, 중간 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변경 큐비클들(UK)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변경 큐비클들(UK) 및 상기 중간 직경(DM)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변경 큐비클들(UK) 사이에는 복도(corridor)(19)이 형성되고, 상기 변경 큐비클들(UK)의 상기 도어는 상기 복도(19)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 영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영역은 외부 원 상에 배치되는 추가 변경 큐비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변경 큐비클들의 도어들은 바깥쪽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 영역.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내부 원에 배치된 변경 큐비클들(UK)의 내부에는 제1보관 및 회수 시스템(22)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 영역.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보관 및 회수 시스템(23)이 중간 직경 상에 배치된 변경 큐비클들(UK)의 선반 시스템들(5M) 사이 및, 상기 외부 원에 배치된 추가 변경 큐비클들(UK)의 선반 시스템들(5A)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 영역.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관 및 회수 시스템(23)의 개수(p)는 적어도 상기 중간 원 및/또는 외부 원 상에 배치된 변경 큐비클들(UK)에 있는 원형 아크들의 개수(q)만큼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 영역.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변경 큐비클들(UK)은 서로에 대해 행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 영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큐비클들(UK)의 두개의 행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두개의 선반 시스템들(5)은 상기 변경 큐비클들(UK)의 상기 두개의 행들 사이에 배치되고, 보관 및 회수 시스템(22, 23)이 선반 시스템들(5)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 영역.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평 컨베이어 장치(9)가 제2보관 및 회수 시스템들(23)의 위에 동심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평 컨베이어 장치(9)는 폐쇄된 궤도 상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수평 컨베이어 장치(9)는 제2보관 및 회수 시스템(23)으로부터 보관 박스(11)를 수용할 수 잇고, 보관 박스(11)를 제2보관 및 회수 시스템(23)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 영역.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운송 장치(25)를 포함하고, 각각의 방사상 운송 장치(25)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22, 23)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보관 박스들(11)을 수용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보관 박스들(11)을 다른 보관 및 회수 시스템(22, 23) 및/또는 다른 수평 컨베이어 장치(9)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 영역.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2개 또는 3개의 변경 영역들(17)을 가지고, 상기 2개 또는 3개의 변경 영역들은 1개, 2개, 또는 3개의 방사상 운송 장치(25)를 가지고, 보관 박스들(1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운송 장치(25)를 통해 상기 변경 영역들 사이를 왕복 운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 영역.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변경 영역들(17)은 2개 이상의 레벨에 걸쳐 서로의 위에 배치되고, 서로 다른 레벨의 수평 운송 장치들(9) 및/또는 방사상 운송 장치(25)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운송 장치(27)가 제공되어서, 보관 박스들(11)이 서로 다른 레벨들 사이에 왕복 운송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 영역.
  16. 복수의 변경 큐비클들(UK) 및 보관 박스들11)을 포함하는 변경 영역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변경 큐비클들(UK)은 복수의 벽들을 포함하고, 변경 큐비클의 벽(1)에는 오프닝(3)이 있고, 오프닝(3)의 치수((B, H)) 및 보관 박스들(11)의 치수((B, H))은 상기 오프닝(3)에 위치된 보관 박스(11)가 변경 큐비클(UK)로부터 적재되고 비워질 수 있도록 서로 매칭되고,
    - 사용자(Ni)에 의해 변경 큐비클(UK)을 선택하는 단계, 및
    - 상기 사용자(Ni)에 의해 선택된 변경 큐비클(UKi)의 오프닝(3)으로 상기 사용자(Ni)에게 할당된 보관 박스(11i)를 운송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Ni)에게 할당된 상기 보관 박스(11i)는 상기 사용자(Ni)에 의해 선택된 변경 큐비클(UKi)의 오프닝(3)에서 제거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변경 큐비클(UKi)을 해제하는 즉시 선반 시스템(5)의 자유 보관 위치(LP)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보관 박스(11Bi)는 늦어도 상기 사용자(Ni)가 최초로 변경 큐비클(UK)을 선택할 때, 상기 사용자(Ni)에게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Ni)에 대한 보관 박스(11Bi)의 할당은 상기 사용자(Ni)가 변경 영역이 속하는 시설을 떠날 때까지 계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사용자(Ni)에 대한 보관 박스(11Bi)이 취소되기 전에, 상기 보관 박스(11Bi)가 비어 있는지 체크하고, 상기 보관 박스(11Bi)가 비어있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Ni) 및/또는 상기 시설의 운영자에게 메시지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Ni)에 대한 보관 박스(Abi)의 할당은, 할당이 취소된 후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47007330A 2021-08-17 2022-08-12 스파, 실내 수영장, 실외 수영장, 피트니스 센터 등의 변경 영역 KR202400462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21356.8A DE102021121356A1 (de) 2021-08-17 2021-08-17 Umkleidebereich für Badethermen, Hallenbäder, Freibäder, Fitness-Studios und Ähnliches
DE102021121356.8 2021-08-17
PCT/EP2022/072704 WO2023020972A1 (de) 2021-08-17 2022-08-12 Umkleidebereich für badethermen, hallenbäder, freibäder, fitness-studios und ähnlich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6203A true KR20240046203A (ko) 2024-04-08

Family

ID=83192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330A KR20240046203A (ko) 2021-08-17 2022-08-12 스파, 실내 수영장, 실외 수영장, 피트니스 센터 등의 변경 영역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70759A1 (ko)
KR (1) KR20240046203A (ko)
CA (1) CA3227646A1 (ko)
DE (1) DE102021121356A1 (ko)
WO (1) WO2023020972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813408U (de) 1960-02-18 1960-06-15 Georg Spaun Seitlicher ladegatterhalter umklappbar mit ausleger und befestigungsmanschette.
JPS63165047U (ko) * 1987-04-16 1988-10-27
JPH07107718B2 (ja) * 1987-10-13 1995-11-15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貸し更衣室システム
JPH0733719B2 (ja) * 1990-04-03 1995-04-12 直志 中津 物品収納装置
DE20001122U1 (de) 2000-01-24 2000-08-17 Knapp Logistik Automation Schließfach-Anordnung, insbesondere im Bankwesen
EP2886020A1 (de) 2014-07-10 2015-06-24 Dorian Freudenreich Logistiksystem für einen Modeladen
KR101512817B1 (ko) * 2014-08-21 2015-04-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듈러 가변형 벽체를 이용하여 서랍식 수납공간에 형성되는 화장실 모듈 유닛 및 그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70759A1 (de) 2024-05-22
CA3227646A1 (en) 2023-02-23
WO2023020972A1 (de) 2023-02-23
DE102021121356A1 (de)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41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ation of buildings or storage
AU2020206025B2 (en) Autonomous mobile delivery robot and chain of custody system
US11465877B2 (en) Elevator system accommodating elevator cars having different sizes
US20070074471A1 (en) Hotel area for family reunions and the like
JP2009050577A (ja) 配達物受取システム
CA2772841A1 (en) Automated storage rack and storage product carrier with access control
KR20240046203A (ko) 스파, 실내 수영장, 실외 수영장, 피트니스 센터 등의 변경 영역
US20040069572A1 (en) Device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products in small packets
CA2446104A1 (en) Device for storing and disposing articles for withdrawal
US20200071075A1 (en) Fully Automated Autonomous Self Storage System
JP2010196295A (ja) 宅配ボックスおよび建物
JPS5948579A (ja) 格納設備
US20210206001A1 (en) Fully automated columbarium niche storage system
KR100831042B1 (ko) 지능형 건물 및 건물의 공간 활용도 개선 방법
JPH03293492A (ja) 地下式トランクルーム
Garg Entrance Lobby
JP2022043771A (ja) 荷物保管装置及び受付システム
CN114856272A (zh) 一种车间配置
SA122431038B1 (ar) جهاز وطريقة نقل وتسليم أمتعة السفر آليا
JPH08260719A (ja) 集合住宅の構造
ITUB20153030A1 (it) Apparato per lo stoccaggio temporaneo di oggetti.
JPH04191202A (ja) ロッカーシステム
JPH04244115A (ja) 自動搬送式仏壇
JPH0441235B2 (ko)
JPH07228314A (ja) 被収納物の収納機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