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316A - 선회식 클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선회식 클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5316A
KR20240045316A KR1020247008850A KR20247008850A KR20240045316A KR 20240045316 A KR20240045316 A KR 20240045316A KR 1020247008850 A KR1020247008850 A KR 1020247008850A KR 20247008850 A KR20247008850 A KR 20247008850A KR 20240045316 A KR20240045316 A KR 20240045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hole
retainer
axial direction
protruding member
key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8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로 요시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멕
Publication of KR20240045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531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4Clamps with pivoted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2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 F15B15/06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for mechanically converting rectilinear movement into non- rectilinea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구성이 높고 콤팩트한 선회식 클램프 장치를 제공한다. 하우징 본체(2) 내에 대경 구멍(6)과 중경 구멍(7)이, 축 방향의 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연속해서 형성된다. 상기 대경 구멍(6)에 보밀상으로에 삽입되는 통형상의 상기 돌출 부재(3)가 상기 하우징 본체(2)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중경 구멍(7) 내에 삽입되는 통형상의 리테이너(15)와 상기 중경 구멍(7) 사이에 키 부재(22)가 삽입된다. 그 키 부재(22)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15)가 상기 하우징 본체(2)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Description

선회식 클램프 장치
이 발명은 클램프 암을 회전 및 하강시킴으로써, 그 클램프 암에 의해 고정 대상물의 워크나 금형이나 툴 등을 테이블이나 로봇 암 등에 고정하는 선회식 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선회식 클램프 장치에는, 종래에는 특허문헌 1(일본국·실용신안공개 평5-52304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그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도 5에 나타내는 선회식 클램프 장치에서는, 실린더 튜브의 통구멍 내에 피스톤이 삽입된다. 그 실린더 튜브의 통구멍 선단부에 통형상의 로드 커버가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 튜브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그 로드 커버의 통구멍에 피스톤으로부터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가 삽입되고, 그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 로드 커버는, 실린더 튜브의 통구멍의 내주벽에 형성되는 단차부에 하방으로부터 수용되고, 스냅 링에 의해 실린더 튜브의 통구멍으로부터 빠짐 방지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튜브의 통벽에 나사 구멍이 지름 방향으로 관통되고, 그 나사 구멍에 나사가 나사 결합된다. 그 나사의 선단부가, 로드 커버의 외주벽에 형성되는 오목부에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실린더 튜브에 대해서 로드 커버가 회전 방지된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도 1의 선회식 클램프 장치에서는, 상기 스냅 링 대신에, 링 너트에 의해 로드 커버가 실린더 튜브에 고정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 5-52304호 공보
상기 종래 기술은 다음 문제가 있다.
상기 실린더 튜브와 로드 커버 사이에서 실린더 튜브의 내주벽에 장착되는 스냅 링에 의해 로드 커버가 상기 실린더 튜브로부터 빠짐 방지된다. 그 스냅 링을 실린더 튜브와 로드 커버 사이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실린더 튜브와 로드 커버 사이에 스냅 링을 삽입하는 공간과, 삽입 작업을 위한 공간과, 장착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 등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실린더 튜브의 지름 방향의 치수가 커진다. 또한, 피스톤이 선단 한계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피스톤이 로드 커버에 충돌한 것에 의한 충격을 나사나 스냅 링이 수용하게 된다. 그 충격을 견디는 구조로 하기 위해, 예를 들면 나사의 지름 치수를 극력 크게 하거나, 나사홈의 감음수를 늘리거나 하는 등의 풀림을 방지하는 구조가 필요해지는 것 외, 스냅 링의 두께나 폭 치수를 크게 해서 내구성을 높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실린더 튜브의 통벽이 충분한 두께가 되도록 설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선회식 클램프 장치의 지름 방향의 치수는 커진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도 1에 나타내는 선회식 클램프 장치에서는, 로드 커버의 외주면과 실린더 튜브의 내주면 사이에 링 너트가 상방으로부터 장착된다. 이 때문에, 그 링 너트를 실린더 튜브와 로드 커버 사이에 삽입하기 위한 공간과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 등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선회식 클램프 장치의 지름 방향의 치수가 커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이 높고 콤팩트한 선회식 클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식 클램프 장치를 다음과 같이 구성했다.
하우징 본체(2) 내에 대경 구멍(6)과 중경 구멍(7)과 소경 구멍(8)이 축 방향의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으로 순서대로 형성된다. 상기 대경 구멍(6)에 통형상의 돌출 부재(3)가 보밀(保密)상으로 삽입된다. 상기 돌출 부재(3)의 외주벽에 형성되는 수나사부(11)가 상기 중경 구멍(7)의 내주벽에 형성되는 암나사부(10)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중경 구멍(7) 내에 통형상의 리테이너(15)가 삽입된다. 상기 중경 구멍(7)의 내주벽에 제 1 키홈(20)이 상기 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키홈(20)에 대면하는 제 2 키홈(21)이 상기 리테이너(15)의 외주벽에 상기 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키홈(20)과 상기 제 2 키홈(21) 사이에 키 부재(22)가 장착된다. 상기 소경 구멍(8)에 피스톤(25)이 보밀상이며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피스톤(25)으로부터 상기 축 방향의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30)가, 상기 리테이너(15)의 통구멍(31) 및 상기 돌출 부재(3)의 통구멍(19)을 통과해서 상기 돌출 부재(3)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리테이너(15)의 내주면으로부터 맞물림 부재(38)가 지름 방향의 내방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피스톤 로드(30)의 외주벽에 상기 축 방향의 기단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연속하도록 형성되는 나선홈(39)과 직선홈(40)에는 상기 맞물림 부재(38)가 삽입된다. 상기 제 1 키홈(20)의 주벽의 일부는 상기 대경 구멍(6)의 내주면보다 지름 방향의 외방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음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돌출 부재가 하우징 본체를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에 의해 직접 또한 강고하게 나사 결합되므로 돌출 부재와 하우징 본체의 맞물림 부분의 내구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돌출 부재와 하우징 본체 사이에 연결시키기 위한 별도 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선회식 클램프 장치를 작게 만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선회식 클램프 장치의 단면으로부터 봤을 때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상기 선회식 클램프 장치 클램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우징, 돌출 부재, 리테이너, 키 부재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도 2 및 도 3에 의해 설명한다.
상기 선회식 클램프 장치의 하우징(1)은 하우징 본체(2)와 돌출 부재(3)와 덮개 부재(4)를 갖고, 하우징 본체(2)가 알루미늄제의 뽑기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하우징 본체(2) 내에 실린더 구멍(5)이 형성된다. 그 실린더 구멍(5)은 상측(축 방향의 선단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형성되는 대경 구멍(6), 중경 구멍(7), 소경 구멍(8)을 갖는다.
상기 대경 구멍(6)에 돌출 부재(3)의 하부가 삽입된다. 상기 중경 구멍(7)의 상반 부분에 암나사부(10)가 형성되고, 그 암나사부(10)에, 돌출 부재(3)에 형성되는 수나사부(11)가 나사 결합된다. 이 때문에, 돌출 부재(3)가 하우징 본체(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 본체(2)에 고정된다. 그 돌출 부재(3)의 수나사부(11)의 상측에 수용홈(12)이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수용홈(12)에 O링 등의 밀봉 부재(13)가 장착된다. 그 돌출 부재(3)가 하우징 본체(2)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대경 구멍(6)의 내주면에 의해 구성되는 피밀봉면에 밀봉 부재(13)가 밀착됨으로써, 대경 구멍(6)의 내주면과 돌출 부재(3)의 외주면 사이가 밀봉된다.
상기 중경 구멍(7)의 하반 부분에는 통형상의 리테이너(15)가 삽입되고(도 3(A), 도 3(B) 참조), 그 리테이너(15)가 소경 구멍(8)과 중경 구멍(7)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부(16)에 하방으로부터 수용되어 있다. 그 리테이너(15)는, 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형성되는 대경부(17)와 소경부(18)를 갖고 있다. 그 소경부(18)가 돌출 부재(3)의 통구멍(19)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중경 구멍(7)의 내주벽에 제 1 키홈(20)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리테이너(15)의 대경부(17)의 외주벽 상이며 제 1 키홈(20)에 대면하는 위치에 제 2 키홈(21)이 형성된다. 그 제 1 키홈(20)의 저면이며 가장 깊은 부분이, 대경 구멍(6)의 내주면보다 지름 방향의 외방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그 제 1 키홈(20)과 제 2 키홈(21) 사이에 키 부재(22)로서의 평행 핀이 슬라이딩 간극을 두고 장착된다(도 3(B) 참조). 리테이너(15)에는, 소경부(18)측에 제 2 키홈(21)에 연속하는 통과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키 부재(22)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 본체(2)에 대해서 리테이너(15)가 둘레 방향으로 위치 결정됨과 아울러, 회전 방지된다.
상기 소경 구멍(8)에는, 피스톤(25)이 보밀상이며 상하 방향(실린더 구멍(5)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 피스톤(25)의 상측에 클램프실(26)이 형성됨과 아울러, 피스톤(25)의 하측에 언클램프실(27)이 형성된다. 또한, 압축 공기원으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급배하는 클램프용 급배 포트(28)가 하우징 본체(2)의 몸통부에 형성되고, 그 클램프용 급배 포트(28)가 클램프실(26)에 연통된다. 그 클램프용 급배 포트(28)의 하측이며 하우징 본체(2)의 몸통부에 언클램프용 급배 포트(29)가 형성되고, 그 언클램프용 급배 포트(29)가 언클램프실(27)에 연통된다.
상기 피스톤(25)으로부터 피스톤 로드(30)가 상방으로 돌출되고, 그 피스톤 로드(30)가 리테이너(15)의 통구멍(31)에 삽입됨과 아울러, 돌출 부재(3)의 통구멍(19)에 보밀상이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 피스톤 로드(30)가 돌출 부재(3)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 피스톤 로드(30)의 선단부에 클램프 암(33)의 일단부(33a)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그 클램프 암(33)의 타단부(33b)의 이면에 압압부(34)가 형성되고, 그 압압부(34)가 워크(고정 대상물)(35)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15)의 내주벽에 형성된 오목부(37)에 구상의 맞물림볼(맞물림 부재)(38)이 장착되어 있다. 그 맞물림볼(38)이 리테이너(15)의 내주면으로부터 지름 방향의 내방으로 돌출된다. 그 맞물림볼(38)이, 피스톤 로드(30)의 외주벽에 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연속해서 형성되는 나선홈(39)과 직선홈(40)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 로드(30)의 외주벽 상이며 나선홈(39)보다 상측에 단차부(41)가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돌출 부재(3)의 통구멍(19)의 내주면으로부터 지름 방향의 내방으로 돌기부(42)가 돌출된다. 그 통구멍(19)의 내주벽상이며 돌기부(42)의 하측에 수용홈(43)이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 수용홈(43)에 고무나 수지나 금속제의 스프링재 등의 충격 흡수 부재(44)가 장착된다. 상기 피스톤 로드(30)가 상한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피스톤 로드(30)의 단차부(41)가 충격 흡수 부재(44)를 통해 돌출 부재(3)의 돌기부(42)에 수용된다.
상기 선회식 클램프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1의 초기 상태(언클램프 상태)에서는, 클램프실(26)로부터 압축 공기(압력 유체)가 배출됨과 아울러, 언클램프실(27)에 압축 공기(압력 유체)가 공급되어 있다. 그 언클램프실(27)의 압축 공기에 의해 피스톤(25) 및 피스톤 로드(30)가 상한 위치로 이동되고, 피스톤 로드(30)의 단차부(41)에 형성되는 맞물림부가 충격 흡수 부재(44)에 상방으로부터 수용되어 있다.
도 1의 언클램프 상태로부터 도 2의 클램프 상태로 스위칭될 때에는, 우선 언클램프실(27)의 압축 공기가 언클램프용 급배 포트(29)를 통과해서 외부로 배출됨과 아울러, 압축 공기원으로부터의 압축 공기가 클램프용 급배 포트(28)를 통과해서 클램프실(26)로 공급된다. 그 클램프실(26)의 압축 공기에 의해 피스톤(25)이 하방으로 이동되고, 그 피스톤(25)이 나선홈(39)과 맞물림볼(38)에 의해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시계 회전의 방향으로 선회되면서 하방으로 이동된다. 즉, 피스톤(25)이 직선홈(40)과 맞물림볼(38)에 의해 곧게 하방으로 이동된다. 클램프 암(33)이, 테이블(T)에 적재되는 워크(35)를 상방으로부터 압압해서 피스톤(25)의 하강이 정지된다. 이것에 의해, 선회식 클램프 장치는 도 1의 언클램프 상태로부터 도 2의 클램프 상태로 스위칭된다.
도 2의 클램프 상태로부터 도 1의 언클램프 상태로 스위칭될 때에는 클램프실(26)의 압축 공기가 배출됨과 아울러, 언클램프실(27)에 압축 공기가 공급된다. 그러면, 언클램프실(27)의 압축 공기가 피스톤(25)과 피스톤 로드(30)를 곧게 상방으로 이동시켜 간다. 즉, 클램프 암(33)이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반시계 회전의 방향으로 선회되면서 상방으로 이동되어 간다. 피스톤 로드(30)의 맞물림부가 돌출 부재(3)의 충격 흡수 부재(44)에 상방으로부터 수용되어 피스톤 로드(30)의 상승이 정지된다. 이것에 의해, 선회식 클램프 장치는 도 2의 클램프 상태로부터 도 1의 언클램프 상태로 스위칭된다.
상기 실시형태는 다음 장점을 나타낸다.
상기 돌출 부재(3)가, 그 암나사부(10)와 하우징 본체(2)의 수나사부(11)에 의해 상기 하우징 본체(2)에 직접 또한 강고하게 나사 결합되므로, 돌출 부재(3)와 하우징 본체(2) 사이에 연결시키기 위한 부재를 별도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 본체(2) 및 돌출 부재(3)의 지름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선회식 클램프 장치를 작게 만들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식 클램프 장치를 단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제 1 키홈(20)의 저면이 하우징 본체(2)의 대경 구멍(6)의 내주면보다 지름 방향의 외방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 본체(2)와 돌출 부재(3)가 접촉되는 대경 구멍(6)의 내주면을 사이에 두고 키 부재(22)가 상기 지름 방향의 외방과 내방에 걸친 위치에 밸런스 좋게 배치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 본체(2)의 통벽의 두께 및 리테이너(15) 통벽의 두께를 작게 만들 수 있으므로, 하우징 본체(2) 및 리테이너(15)의 지름 방향의 치수를 작게 만들 수 있다. 그 결과, 선회식 클램프 장치의 전체 치수를 작게 만들 수 있다.
상기 피스톤(25) 및 피스톤 로드(3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피스톤 로드(30)의 나선홈(39)의 주벽이 맞물림볼(38)을 통해 리테이너(15)를 둘레 방향으로 압압한다. 그 리테이너(15)는, 키 부재(22)를 통해 하우징 본체(2)에 확실하게 수용되어 회전 방지된다. 이 때문에, 리테이너(15)와는 다른 부재인 돌출 부재(3)에는 그 둘레 방향으로 압압력이 전달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 본체(2)와 돌출 부재(3)의 나사 결합 부분에 둘레 방향으로의 압압력이 작용함으로써 상기 나사 결합 부분의 풀림이 방지된다. 따라서, 풀림에 의해 발생하는 나사 결합 부분이나 그 주변 부재의 마모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선회식 클램프 장치의 내구성을 높게 할 수 있다.
상기 암나사부(10)의 나사홈은, 하우징 본체(2)의 중경 구멍(7)에 복수 감아 형성된다. 상술한 종래의 선회식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의 실린더 튜브벽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의 나사홈에 비해, 본 발명의 암나사부(10)의 나사홈은 길게 형성된다. 이 때문에, 그 암나사부(10)가 돌출 부재(3)의 수나사부(11)에 넓은 면적의 맞물림 부분에서 나사 결합됨으로써, 그 맞물림 부분에 있어서의 큰 마찰력이 작용 가능해진다. 따라서, 피스톤 로드(30)가 돌출 부재(3)에 충돌했을 때의 충격이 맞물림 부분에 작용해도, 그 맞물림 부분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풀림에 의한 맞물림 부분이나 그 주변 부재의 마모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선회식 클램프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 가능하다.
압력 유체는 예시한 압축 공기 대신에, 다른 기체 또는 압유나 물 등의 액체여도 좋다.
상기 하우징 본체(2)는 알루미늄 대신에, 다른 금속, 예를 들면 철, 또는 다른 소재로 형성해도 좋다. 그 하우징 본체(2)는 뽑기재에 한정되지 않고, 기계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부재여도 좋다.
상기 돌출 부재(3)를 하우징 본체(2)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돌출 부재(3)가 리테이너(15)를 통해 하우징 본체(2)의 단차부(16)에 수용되는 것 대신에, 돌출 부재(3)가 키 부재(22)를 통해 하우징 본체(2)(제 1 키홈(20)의 하단벽)에, 또는 직접 하우징 본체(2)에 수용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돌출 부재(3)와 리테이너(15)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피스톤(25) 등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나선홈(39)의 주벽이 맞물림볼(38)을 통해 리테이너(15)를 축심 둘레의 방향으로 작용시키는 압압력이 돌출 부재(3)에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하우징 본체(2)와 돌출 부재(3)의 나사 결합 부분에 둘레 방향으로의 압압력이 작용하는 것에 의한 상기 나사 결합 부분의 풀림이 방지된다. 따라서, 풀림에 의해 발생하는 마모나 파손을 방지해서 선회식 클램프 장치의 내구성을 높게 할 수 있다.
상기 맞물림 부재는 구상의 맞물림볼(38) 대신에, 대략 원주상이나 직사각형 등 다른 형상의 부재여도 좋다.
상기 맞물림 부재가 리테이너(15)에 설치되는 것 대신에, 피스톤 로드(30)의 외주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리테이너(15)의 주벽에 직선홈과 나선홈이 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연속하도록(주벽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키 부재(22)는 원주상의 평행 핀에 의해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 기둥상의 핀이어도 좋고, 또한 구상의 부재여도 좋다. 또한, 키 부재(22)를 1개만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리테이너의 주벽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설치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충격 흡수 부재(44)는 돌출 부재(3)의 돌기부(42)에 장착되는 것 대신에, 하우징 본체(2)의 대경 구멍(6)의 내주벽, 리테이너(15)의 하단부, 피스톤(25)의 상부, 피스톤 로드(30)의 단차부(41)에 장착되도록 해도 좋다.
그 외에, 당업자가 상정할 수 있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2: 하우징 본체 3: 돌출 부재
6: 대경 구멍 7: 중경 구멍
8: 소경 구멍 10: 암나사부
11: 수나사부 15: 리테이너
20: 제 1 키홈 21: 제 2 키홈
22: 키 부재 25: 피스톤
30: 피스톤 로드 31: 통구멍
19: 통구멍 38: 맞물림볼
39: 나선홈 40: 직선홈

Claims (1)

  1. 하우징 본체(2)와,
    상기 하우징 본체(2) 내에 축 방향의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으로 순서대로 형성되는 대경 구멍(6)과 중경 구멍(7)과 소경 구멍(8)과,
    상기 대경 구멍(6)에 보밀상으로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 본체(2)로부터 상기 축 방향의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통형상의 돌출 부재(3)와,
    상기 돌출 부재(3)의 외주벽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중경 구멍(7)의 내주벽에 형성되는 암나사부(10)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11)와,
    상기 중경 구멍(7) 내에 삽입되는 통형상의 리테이너(15)와,
    상기 중경 구멍(7)의 내주벽에 상기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키홈(20)과,
    상기 제 1 키홈(20)에 대면하도록 상기 리테이너(15)의 외주벽에 상기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키홈(21)과,
    상기 제 1 키홈(20)과 상기 제 2 키홈(21) 사이에 장착되는 키 부재(22)와,
    상기 소경 구멍(8)에 보밀상이며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25)과,
    상기 피스톤(25)으로부터 상기 축 방향의 선단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리테이너(15)의 통구멍(31) 및 상기 돌출 부재(3)의 통구멍(19)을 통과해서 상기 돌출 부재(3)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30)와,
    상기 리테이너(15)의 내주면으로부터 지름 방향의 내방을 향해 돌출되는 맞물림 부재(38)와,
    상기 피스톤 로드(30)의 외주벽에 상기 축 방향의 기단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형성되는 나선홈(39)과 직선홈(40)이며, 상기 맞물림 부재(38)가 삽입되는 나선홈(39)과 직선홈(40)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키홈(20)의 주벽의 일부가 상기 대경 구멍(6)의 내주면보다 지름 방향의 외방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클램프 장치.
KR1020247008850A 2021-10-18 2022-09-12 선회식 클램프 장치 KR202400453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70480 2021-10-18
JPJP-P-2021-170480 2021-10-18
PCT/JP2022/033996 WO2023067945A1 (ja) 2021-10-18 2022-09-12 旋回式クランプ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316A true KR20240045316A (ko) 2024-04-05

Family

ID=86059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8850A KR20240045316A (ko) 2021-10-18 2022-09-12 선회식 클램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3067945A1 (ko)
KR (1) KR20240045316A (ko)
TW (1) TWI828357B (ko)
WO (1) WO202306794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304U (ja) 1991-12-18 1993-07-13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ロータリクランプシリンダ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01013C2 (de) * 1982-01-15 1984-11-29 Maschinenfabrik Hilma Gmbh, 5912 Hilchenbach Hydraulisch betätigbarer Schwenkspanner
JP2556523Y2 (ja) * 1992-01-20 1997-12-03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スイングクランプ装置
TW405483U (en) * 1999-04-13 2000-09-11 Shen Tzung Lin Plunger type rotary chuck
TW544361B (en) * 2002-04-03 2003-08-01 Kosmek Kk Rotary clamp
DE10252549A1 (de) * 2002-11-08 2004-05-27 A. Römheld GmbH & Co KG Druckmittelbetätigter Schwenkspanner sowie Steuerung für einen solchen Schwenkspanner
JP4241100B2 (ja) * 2003-03-07 2009-03-18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JP4072683B2 (ja) * 2003-08-19 2008-04-09 豊和工業株式会社 旋回式クランプシリンダ
CN100551590C (zh) * 2007-01-23 2009-10-21 董祥义 一种刀具回转的车削工作头及具有该工作头的车床
JP6147623B2 (ja) * 2013-09-17 2017-06-14 株式会社スギノマシン タレット装置
CN110418693B (zh) * 2017-04-05 2021-04-06 克斯美库股份有限公司 回转式夹紧装置
CN110529455A (zh) * 2019-09-12 2019-12-03 无锡君帆科技有限公司 一种活塞杆可旋转的液压油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304U (ja) 1991-12-18 1993-07-13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ロータリクランプシリン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28357B (zh) 2024-01-01
JPWO2023067945A1 (ko) 2023-04-27
WO2023067945A1 (ja) 2023-04-27
TW202330148A (zh)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1466B2 (en) Fluid pressure cylinder and clamp device
US9951799B2 (en) Fluid pressure cylinder and twist-type clamp device technical field
US9789588B2 (en) Fluid pressure cylinder
KR101753426B1 (ko) 클램프 장치
US10316870B2 (en) Hydraulic cylinder and clamp device
JP2014108490A5 (ko)
KR100411829B1 (ko) 워크 서포트
WO2012111666A1 (ja) 位置決め装置
JP2012066373A (ja) クランプ装置
JP2018001380A (ja) スイング式クランプ装置
JP4877787B2 (ja) 位置決め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備えた位置決めシステム
JP5734173B2 (ja) クランプ装置
JP4818947B2 (ja) クランプ装置およびその装置のオーバーストローク検出システム
KR20240045316A (ko) 선회식 클램프 장치
JP6285655B2 (ja) クランプ装置
KR20150141998A (ko) 위치결정 장치
JP6218308B2 (ja) ワークパレット
WO2011037091A1 (ja) ネジ係合式クランプ装置及びクランピングシステム並びに流体圧アクチュエータ
JP4094339B2 (ja) 旋回式クランプ
JP2017040372A (ja) 流体圧シリンダ及び旋回式クランプ装置
JP3239951U (ja) クランプ装置
JP4851218B2 (ja) 位置決め装置
CN218093709U (zh) 一种具有位移检测功能的中空油压打刀缸
WO2024070394A1 (ja) クランプ装置
JP2005028535A (ja) クランプ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