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122A - 스크린 프린터 장치 및 스크린 프린팅 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린 프린터 장치 및 스크린 프린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122A
KR20240044122A KR1020220123486A KR20220123486A KR20240044122A KR 20240044122 A KR20240044122 A KR 20240044122A KR 1020220123486 A KR1020220123486 A KR 1020220123486A KR 20220123486 A KR20220123486 A KR 20220123486A KR 20240044122 A KR20240044122 A KR 20240044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eegee
printing
screen
finding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은혁
서재민
Original Assignee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3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122A/ko
Publication of KR20240044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12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34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4Squeegees or do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F33/0009Central contro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24Stencils; Stencil materials; Carrier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H05K3/1233Methods or means for supplying the conductive material and for forcing it through the screen or stenc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부분에 배치된 부품; 상기 기판 및 상기 부품을 커버하는 스크린 마스크; 및 상기 스크린 마스크 상에 도포되는 솔더 페이스트를, 상기 부품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에서 가압하는 스퀴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크린 프린터 장치 및 스크린 프린팅 방법{SCREEN PRINTER DEVICE AND SCREEN PRINTING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크린 프린터 장치 및 스크린 프린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품 실장 공정에서 스크린 프린터 장치를 사용한 일반적인 인쇄 공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마스크의 아래에 인쇄 회로 기판(PCB)을 위치시킨 다음, 솔더 페이스트가 마스크의 상면에 도포되고, 마스크와 인쇄 회로 기판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마스크 상면을 스퀴지 블레이드로 균일한 힘으로 누르면서 이동시켜 인쇄 회로 기판 위에 솔더 페이스트를 인쇄한다.
일반적으로 스크린 프린터 장치는 부품이 실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기판에 솔더 페이스트를 인쇄하거나, 양면 인쇄를 하는 경우에는 밑면에는 부품이 실착되어 있으나 윗면에는 부품이 실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인쇄를 수행한다. 즉, 인쇄되는 면에는 부품이 없는 상태로 인쇄를 수행한다.
다만 부품이 실착되어 있는 기판에서 인쇄를 하는 경우에는, 마스크에 단차를 적용하고 해당 마스크에 대응되는 스퀴지 블레이드를 사용하면, 인쇄 자체는 가능하나 마스크의 가공 오차나 마스크의 고정 상태에 따라 인쇄 품질 저하가 우려될 수 있다. 또한 기존 스크린 인쇄 공정에서는 X축 또는 Y축으로 단방향 인쇄만 가능하며, 이에 따라 마스크의 고정 상태나 마스크의 가공 공차에 따라 인쇄 품질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크린 프린터 장치 및 스크린 프린팅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 장치는, 기판에 솔더 페이스트를 인쇄하는 스크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기판; 상기 기판의 일부분에 배치된 부품; 상기 기판 및 상기 부품을 커버하는 스크린 마스크; 및 상기 스크린 마스크 상에 도포되는 솔더 페이스트를, 상기 부품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의 표면에 가압 또는 접촉하는 스퀴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퀴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스퀴지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마스크는, 상기 부품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을 커버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부품이 배치된 부분을 커버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스퀴지 블레이드는 상기 제1 부분의 표면에 접촉 또는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방법은, 스퀴지부를 프린팅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기판의 기준 마크의 위치를 찾고, 두 개의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기준 마크의 위치를 통해 상기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의 위치를 찾는 단계; 상기 기준 마크에서 기판 상단 끝점을 찾고, 제1 옵셋만큼 떨어진 B위치를 찾는 단계; 상기 기준 마크에서 기판 하단 끝점을 찾고, 제2 옵셋만큼 떨어진 C위치를 찾는 단계; 상기 B위치를 통해 상기 스퀴지부의 인쇄 시작 위치를 찾는 단계; 상기 C위치를 통해 상기 스퀴지부의 인쇄 종료 위치를 찾는 단계; 및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퀴지부를 프린팅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스퀴지부를 스테이지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의 x축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를 상기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의 x축 위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마크의 위치를 통해 상기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의 위치를 찾는 단계 후, 두 개의 상기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의 위치를 통해 상기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의 A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위치를 통해 상기 스퀴지부의 인쇄 시작 위치를 찾는 단계에서, 상기 스퀴지부의 인쇄 시작 위치는, 상기 B위치에서, 상기 A 각도를 고려한 상기 스퀴지 블레이드의 위치 보정 값 및 상기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의 위치와 상기 두 개의 상기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가 이루는 연장선 사이의 간격(Gap)을 보정한 위치일 수 있다.
상기 C위치를 통해 상기 스퀴지부의 인쇄 종료 위치를 찾는 단계에서, 상기 스퀴지부의 인쇄 종료 위치는, 상기 C위치에서, 상기 A 각도를 고려한 상기 스퀴지 블레이드의 위치 보정 값 및 상기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의 위치와 상기 두 개의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가 이루는 연장선 사이의 간격(Gap)을 보정한 위치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 장치 및 스크린 프린팅 방법은, 단방향 스퀴지가 아닌 X축, Y축 동시 구동이 가능한 스퀴지를 이용하여 솔더 페이스트의 인쇄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X축, Y축, 대각선, 지그재그 타입의 다방향 인쇄가 가능하여 3차원 형상의 기판이나 부품을 탑재한 상태에서도 새로운 부품을 위한 스크린 프린팅을 가능하게 하며 인쇄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 장치 및 스크린 프린팅 방법은, 인쇄 시작 위치 및 인쇄 종료 위치를 각 단계로 분리할 수 있어, 여러 방향으로 세분화된 인쇄가 가능하여 인쇄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방향을 바라본 모습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방향을 바라본 모습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 방향을 바라본 모습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 장치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5는 스퀴지부가 프린팅 위치로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기판의 기준 마크의 위치 및 일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일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의 위치와 대응되는 기판의 일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스퀴지부의 인쇄 시작 위치 및 인쇄 종료 위치에 대한 내용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방향을 바라본 모습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방향을 바라본 모습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 방향을 바라본 모습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 장치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 장치는, 기판(PCB)에 솔더 페이스트(B)를 인쇄하는 스크린 프린터 장치(100)로, 기판(PCB), 기판의 일 부분에 배치된 부품(C), 기판(PCB) 및 부품(C)을 커버하는 스크린 마스크(M) 및 스크린 마스크(M) 상에 도포되는 솔더 페이스트(B)를, 부품(C)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에서 가압하는 스퀴지부(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 장치(100)는, 기판(PCB)에 솔더 페이스트(B)를 인쇄한다. 스크린 마스크(M)에는 기판(PCB)에 솔더 페이스트를 인쇄하기 위한 패턴(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는데, 솔더 페이스트(B)는 스크린 마스크(M)에서 패턴을 형성하는 개구부(O)을 통해 기판(PCB)에 인쇄된다.
스퀴지부(120)는 스퀴지 블레이드(12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퀴지 블레이드(121)는 스크린 마스크(M) 상에 도포되는 솔더 페이스트(B)를 가압할 수 있다.
스퀴지부(120) 및 스퀴지 블레이드(121)는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스퀴지 블레이드(121)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를 받아 스퀴지 블레이드(121)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퀴지부(120)는 스퀴지 블레이드 회전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퀴지 블레이드 회전 구동부(미도시)는 모터, 감속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퀴지부(120)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를 받아, 이동 장치(미도시)를 통해 X-Y 평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스퀴지부(120)는 갠트리 장치를 통해 X-Y 평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제어부는 스퀴지 블레이드(121)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스퀴지부(120)의 이동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여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전기 회로 기판, 집적 회로칩 등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 또는 제어 알고리즘의 제어를 받아 구동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퀴지부(120) 기판(PCB)에 비스듬히 위치한 상태에서 인쇄 방향을 따라 인쇄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스퀴지부(120)를 소정 각도(θ)로 회전시켜 비스듬한 상태에서 기판(PCB)의 인쇄 방향을 따라 인쇄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퀴지 블레이드(121)와 기판(PCB)의 모서리부가 소정 각도(θ)를 이룰 수 있다. 소정 각도(θ)는 기판의 소재, 두께 등이 고려되어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퀴지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스퀴지 블레이드(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마스크(M)는, 부품(C)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을 커버하는 제1 부분(M1) 및 부품이 배치된 부분을 커버하는 제2 부분(M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퀴지 블레이드(121)는 제1 부분(M1)을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 장치는, 부품(C)이 장착된 기판의 경우에도, 스퀴지 블레이드가 부품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인 제1 부분(M1)을 가압하며, 부품이 장착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인쇄 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 장치는, 스퀴지부가 단방향 이동이 아닌 X, Y축 평면에서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부품이 장착된 기판을 커버하는 마스크의 가공 오차나 마스크의 고정 상태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인쇄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도록, 스퀴지 블레이드를 부품이 배치되지 않은 제1 부분 상에서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게 설계할 수 있다.
이때, 스퀴지부의 스퀴지 블레이드(121)는, 기판에 배치된 부품(C)의 배치에 따라 개수 및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스퀴지 블레이드(121)는 기판에 배치된 부품(C)을 회피하여 인쇄 공정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 부품이 배치되지 않은 제1 부분(M)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는 개수 및 크기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내용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내용 및 그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5는 스퀴지부가 프린팅 위치로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기판의 기준 마크의 위치 및 일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일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의 위치와 대응되는 기판의 일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스퀴지부의 인쇄 시작 위치 및 인쇄 종료 위치에 대한 내용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방법은, 스퀴지부(120)를 프린팅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100), 기판(PCB)의 기준 마크(fb, fc)의 위치를 찾고, 두 개의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f1, f2)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S200),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f3)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S300), 기준 마크(fb, fc)의 위치를 통해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f3)의 위치를 찾는 단계(S400), 기준 마크(fb)에서 기판 상단 끝점을 찾고, 제1 옵셋만큼 떨어진 B위치를 찾는 단계(S500), 기준 마크(fc)에서 기판 하단 끝점을 찾고, 제2 옵셋만큼 떨어진 C위치를 찾는 단계(S600), 상기 B위치를 통해 스퀴지부(120)의 인쇄 시작 위치를 찾는 단계(S700), 상기 C위치를 통해 스퀴지부(120)의 인쇄 종료 위치를 찾는 단계(S800) 및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S900)를 포함한다.
스퀴지부(120)를 프린팅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퀴지부(120)를 스테이지(ST)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퀴지부(120)를 통한 인쇄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 스퀴지부(120)의 z축을 프린팅 위치로 이동시켜, 인쇄 공정 준비 단계를 완료할 수 있다. 이때, 스퀴지부(120)를 스테이션(ST)에 고정시킴으로써 스퀴지부(120)가 스테이션(ST)에 고정되어 흔들리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퀴지부(120)의 z축을 프린팅 위치로 이동한 후, 스퀴지부 기준 마크(fa)를 통해 프린팅 위치로 이동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스퀴지부(120)를 프린팅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는, 기판(PCB)의 기준 마크(fb, fc)의 위치를 찾고, 두 개의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f1, f2)의 위치를 저장(S200)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의 기준 마크(fb, fc)의 위치를 찾은 후, 부품이 위치한 부분의 돌출된 마스크 부분인, 두 개의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f1, f2)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판(PCB)을 기준으로 두 개의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의 X, Y 좌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의 기준 마크의 위치 및 두 개의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는, 스크린 마스크(M)가 변경될 경우 수행될 수 있다.
기판의 기준 마크,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의 위치를 저장한 후에는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f3)의 위치를 저장(S300)한다. 이때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f3)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S300)는,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f1, f2)의 x축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를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f3)의 위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f3)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는, 스퀴지 블레이드가 교체될 때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갠트리 모터를 통해 스퀴지부(120)를 이동시켜, 이동된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가 두 개의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f1, f2)의 x축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왔을 때의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f3)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f3)의 z축 위치는 스크린 마스크(M)의 제1 부분(M1)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f3)의 y축 위치는 인쇄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프린팅 시작 위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퀴지부(120)의 스퀴지 블레이드(121)는 2개가 앞뒤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프론트(Front) 스퀴지 블레이드 및 리어(Rear) 스퀴지 블레이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솔더 페이스트의 인쇄 공정에서 가압 공정이 2차례 진행되어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f3)의 위치를 저장하는 과정은 프론트 스퀴지 블레이드 및 리어 스퀴지 블레이드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f3)의 위치를 찾은 후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마크(fb)에서 기판 상단 끝점을 찾고, 제1 옵셋만큼 떨어진 B위치를 찾는 단계(S500)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기준 마크(fc)에서 기판 하단 끝점을 찾고, 제2 옵셋만큼 떨어진 C위치를 찾는 단계(S600)를 진행할 수 있다.
기준 마크(fb)는 기판의 상측부에 배치되며, 기준 마크(fb)를 통해 기판의 상단 끝점을 찾고, 발견된 기판의 상단 끝점을 중심으로, 기판의 모서리 부분과 평행한 가상 선을 그어 PCB 상단 엔드 라인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기준 마크(fc)는 기판의 하측부에 배치되며, 기준 마크(fc)를 통해 기판의 하단 끝점을 찾고, 발견된 기판의 하단 끝점을 중심으로, 기판의 모서리 부분과 평행한 가상 선을 그어 PCB 하단 엔드 라인을 마련할 수 있다.
기판의 PCB 엔드 라인은 기판의 모서리 부분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PCB 하단 엔드 라인 및 PCB 상단 엔드 라인 사이 공간에서 인쇄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1 옵셋 및 제2 옵셋만큼 인쇄 공간을 상하로 여유있게 설정하여 기판 전체 표면에 인쇄 공정이 오차를 최소화하여 진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준 마크의 위치를 통해 상기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의 위치를 찾는 단계(S400) 후,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f3)의 위치를 통해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f1, f2)의 A각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계산된 A 각도는 후술할 스퀴지 블레이드의 위치 보정 값에 활용될 수 있다.
B위치를 통해 스퀴지부(120)의 인쇄 시작 위치를 찾는 단계(S700)에서, 스퀴지부(120)의 인쇄 시작 위치는, B위치에서, 상기 A 각도를 고려한 스퀴지 블레이드(121)의 위치 보정 값 및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f3)의 위치와,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의 위치(f3)와 상기 두 개의 상기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f1, f2)가 이루는 연장선 사이의 간격(Gap)을 보정한 위치일 수 있다. 이때 스퀴지부(120)의 인쇄 시작 위치는 스퀴지부(120)의 각각의 스퀴지 블레이드(121)마다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에는 스퀴지 블레이드(121) 중 왼쪽에서 두번째 스퀴지 블레이드(121)의 인쇄 시작 위치를 찾는 단계를 표시한 것일 수 있다.
또한 C위치를 통해 스퀴지부(120)의 인쇄 종료 위치를 찾는 단계(S800)에서, 스퀴지부(120)의 인쇄 종료 위치는, C위치에서, 상기 A 각도를 고려한 스퀴지 블레이드(121)의 위치 보정 값 및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f3)의 위치와,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의 위치(f3)와 상기 두 개의 상기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f1, f2)가 이루는 연장선 사이의 간격(Gap)을 보정한 위치일 수 있다. 이때 스퀴지부(120)의 인쇄 종료 위치는 스퀴지부(120)의 각각의 스퀴지 블레이드(121)마다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에는 B위치를 통해 스퀴지부의 인쇄 시작 위치를 찾는 내용만 도시되어 있으나, C위치를 통해 스퀴지부의 인쇄 종료 위치를 찾는 내용 또한 B위치를 통해 스퀴지부의 인쇄 시작 위치를 찾는 내용과 대응되게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퀴지부(120) 및 스퀴지 블레이드(121)의 인쇄 시작 위치 및 인쇄 종료 위치는, 부품을 회피하기 위한 스퀴지 블레이드의 진행 방향에 따른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와 스퀴지 블레이드 사이의 각도,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와 스퀴지 블레이드 사이의 거리를 보정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인쇄 시작 위치와 인쇄 종료 위치가 결정된 후에는 인쇄 공정이 수행(S900)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X축과 Y축 방향으로 동시 구동이 가능한 스퀴지부(120)를 통해, X축 방향, Y축 방향, 대각선 방향 및 지그재그 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의 솔더 페이스트 인쇄 공정이 가능해 질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기판에 부품이 실착된 상태에서도 부품이 없는 기판의 복잡한 표면부에 대한 솔더 페이스트 인쇄 공정이 보다 정밀하게 가능해 지게 되어 인쇄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배치된 부품으로 인해 복잡한 인쇄 표면이 형성될 경우에도, 기판의 각 영역별로 인쇄 시작 및 종료 위치를 각각 설정 하는 등 기판의 인쇄 영역을 세분화하여 인쇄 공정을 진행할 수 있어, 인쇄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스크린 프린터 장치
120: 스퀴지부
121: 스퀴지 블레이드
PCB: 기판
세타: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의 각도
C: 부품
M: 스크린 마스크
M1: 제1 부분
M2: 제2 부분
O: 개구부
f1: 제1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 위치
f2: 제2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 위치
f3: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 위치
fa: 스퀴지부 기준 마크
ST: 스테이지
fb: 제1 기판 기준 마크
fc: 제2 기판 기준 마크

Claims (8)

  1. 기판에 솔더 페이스트를 인쇄하는 스크린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기판;
    상기 기판의 일부분에 배치된 부품;
    상기 기판 및 상기 부품을 커버하는 스크린 마스크; 및
    상기 스크린 마스크 상에 도포되는 솔더 페이스트를, 상기 부품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에서 가압하는 스퀴지부를 포함하는 스크린 프린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스퀴지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마스크는,
    상기 부품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을 커버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부품이 배치된 부분을 커버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스퀴지 블레이드는 상기 제1 부분을 가압하는 스크린 프린터 장치.
  3. 스퀴지부를 프린팅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기판의 기준 마크의 위치를 찾고, 두 개의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기준 마크의 위치를 통해 상기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의 위치를 찾는 단계;
    상기 기준 마크에서 기판 상단 끝점을 찾고, 제1 옵셋만큼 떨어진 B위치를 찾는 단계;
    상기 기준 마크에서 기판 하단 끝점을 찾고, 제2 옵셋만큼 떨어진 C위치를 찾는 단계;
    상기 B위치를 통해 상기 스퀴지부의 인쇄 시작 위치를 찾는 단계;
    상기 C위치를 통해 상기 스퀴지부의 인쇄 종료 위치를 찾는 단계; 및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린 프린팅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부를 프린팅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스퀴지부를 스테이지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크린 프린팅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의 x축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를 상기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의 x축 위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린 프린팅 방법.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마크의 위치를 통해 상기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의 위치를 찾는 단계 후,
    두 개의 상기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의 위치를 통해 상기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의 A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크린 프린팅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B위치를 통해 상기 스퀴지부의 인쇄 시작 위치를 찾는 단계에서,
    상기 스퀴지부의 인쇄 시작 위치는,
    상기 B위치에서, 상기 A 각도를 고려한 상기 스퀴지 블레이드의 위치 보정 값 및 상기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의 위치와 상기 두 개의 상기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가 이루는 연장선 사이의 간격(Gap)을 보정한 위치인 스크린 프린팅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C위치를 통해 상기 스퀴지부의 인쇄 종료 위치를 찾는 단계에서,
    상기 스퀴지부의 인쇄 종료 위치는,
    상기 C위치에서, 상기 A 각도를 고려한 상기 스퀴지 블레이드의 위치 보정 값 및 상기 스퀴지 블레이드 돌출부의 위치와 상기 두 개의 스크린 마스크 돌출부가 이루는 연장선 사이의 간격(Gap)을 보정한 위치인 스크린 프린팅 방법.

KR1020220123486A 2022-09-28 2022-09-28 스크린 프린터 장치 및 스크린 프린팅 방법 KR20240044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486A KR20240044122A (ko) 2022-09-28 2022-09-28 스크린 프린터 장치 및 스크린 프린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486A KR20240044122A (ko) 2022-09-28 2022-09-28 스크린 프린터 장치 및 스크린 프린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122A true KR20240044122A (ko) 2024-04-04

Family

ID=9063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486A KR20240044122A (ko) 2022-09-28 2022-09-28 스크린 프린터 장치 및 스크린 프린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41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6994A (en) Screen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6863980B2 (ja) 高解像度電子パターニングのためのスティッチレス直接イメージング
JP5029586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WO2006075669A1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US6861269B2 (en) Electric-circuit fabricating method and system, and electric-circuit fabricating program
JP4840997B2 (ja) 部品実装方法
JP4857828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KR20240044122A (ko) 스크린 프린터 장치 및 스크린 프린팅 방법
US20060186182A1 (en) Cream solder printing metal mask with positioning function and its positioning method
JP2001507521A (ja) Pcボードの修理のための細密ピッチ構成部品の配置及びはんだペーストのステンシリング方法及び装置
JP2006086515A (ja) 電子部品実装用の基準位置決定方法及び基準位置決定装置、接合材料の印刷方法及び印刷装置、電子部品の実装方法、並びに電子部品実装用の処理制御方法
CN110744920B (zh) 一种印品定位方法及系统
JP7144523B2 (ja) 実装ライン
US6885905B2 (en) Electric-circuit fabricating system and method, and electric-circuit fabricating program
JP3613055B2 (ja) スクリーン印刷における基板の位置合わせ方法
JP2003113577A (ja) 裁断機における裁断位置補正方法
JPH06182965A (ja) クリームはんだ印刷装置
KR102554316B1 (ko) 판처리장치 및 판처리방법
JP6738898B2 (ja) 対基板作業機
JPH0858058A (ja) クリーム半田印刷機
JP2003311919A (ja) スクリーン印刷機
CN203661423U (zh) 一种可调节的电路板对位治具
JP3692912B2 (ja) 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3858008B2 (ja) 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2004153061A (ja) 基板用印刷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