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1412A -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방법 및 생산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방법 및 생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1412A
KR20240041412A KR1020220120241A KR20220120241A KR20240041412A KR 20240041412 A KR20240041412 A KR 20240041412A KR 1020220120241 A KR1020220120241 A KR 1020220120241A KR 20220120241 A KR20220120241 A KR 20220120241A KR 20240041412 A KR20240041412 A KR 20240041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tage
blank
cutting
d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우
Original Assignee
서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0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1412A/ko
Publication of KR2024004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1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6Shoulder or burr prevention, e.g. fine-bla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06Making more than one part out of the same blank; Scrapless wo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16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gravity, e.g.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0Storage arrangements; Piling or unpiling
    • B21D43/22Devices for piling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방법 및 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이지에 로딩된 판재를 연속적으로 커팅하여 블랭크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송피치 만큼 연속적으로 상기 판재 제품의 이송을 시작하는 단계; 커팅기를 통해 상기 제품의 테두리 부분을 커팅하고, 커팅에 의해 생성된 스크랩을 제거하는 단계; 커팅된 상기 제품이 하중에 의해 자유낙하하여 드랍다운되는 단계; 드랍다운된 상기 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 최종커팅기에 의해 상기 제품을 커팅하여 블랭크 완제품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블랭크 완제품을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방법 및 생산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blanking using drop down}
본 발명은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방법 및 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 생산에 사용되는 박판재료는 쉐어링(Sharing) 또는 블랭킹(Blanking)을 통해 자재를 재단한다. 특히 포밍(Forming) 성형에 사용되는 자재는 블랭킹 금형을 이용하여 원자재를 재단한다.
포밍성형에 적용되는 블랭킹은 재단되는 소재가 제품이기 때문에 제품 한장을 생상하기 위해 피치(Pitch)를 증대시킴에 따라 원자재 수율이 떨어지고, 생산원가는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도 1은 통상의 블랭킹 프레스 라인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스트립레이아웃을 나타낸 것이다.
블랭킹 프레스(Blanking Press)에서 재단되는 자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트립레이아웃(Strip Layout)처럼 재단되며 제품영역과 스크랩이 구분되어 생산된다(사용하는 제품은 보관, 스크랩은 고철폐각). 양호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스크랩브릿지(S) 값과, 피치(P) 값의 결정에 따라 원자재 수율이 결정된다.
도 3a는 종래 스트립레이아웃에서의 스크랩브릿지(S)와 이송피치(P)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블랭킹 완제품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a는 종래 이송피치와 스크랩을 나타낸 스크립레이아웃, 도 4b는 블랫킹 완제품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밍공정의 블랭크 완제품은 제품윤곽과 동일하게 표시의 R(라운드)을 형성시켜서 블랭크를 생산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와 유사한 제품의 경우 제품이 밑으로 빠져서 취출되어야 함에 따라 컴파운드 타입으로 블랭킹 금형을 제작하여 생산한다.
블랭크 끝부분에 대하여 R처리를 해야하는 아이템의 경우는 상기의 컨셉과 같은 컨셉으로 생산해야 한다. 상기의 생산방식을 컴파운드 생산 방식이라고 말하며, 컴파운드 생산방식을 선택할 시에는 스크랩브릿지(S) 거리를 확보해야 하는데 일반적인 설계 유효거리가 15 ~ 20mm를 확보해야함에 따라 이송피치(P)가 증대될 수 밖에 없다. 스크랩브릿지(S)와 이송피치(P)가 증대될수록 원자재 수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9913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886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340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랭크 제품의 R처리가 요구되는 제품의 경우, 드랍다운(Drop Down) 블랭킹을 적용하여 제품간 브릿지(S)의 값을 “0”으로 만들어 이송피치(P) 값을 최소화시켜 원자재 수율을 최대한 줄여주어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는,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방법 및 생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스테이지에 로딩된 판재를 연속적으로 커팅하여 블랭크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송피치 만큼 연속적으로 상기 판재 제품의 이송을 시작하는 단계; 커팅기를 통해 상기 제품의 테두리 부분을 커팅하고, 커팅에 의해 생성된 스크랩을 제거하는 단계; 커팅된 상기 제품이 하중에 의해 자유낙하하여 드랍다운되는 단계; 드랍다운된 상기 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 최종커팅기에 의해 상기 제품을 커팅하여 블랭크 완제품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블랭크 완제품을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랩브릿지를 0으로, 이송피치를 제조될 블랭크 완제품의 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하는 단계는, 제1스테이지 영역에서 1차 커팅기에 의해 상기 제품의 테두리부분을 커팅하고, 생성된 스크랩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품이 제2스테이지 영역으로 이송된 후, 2차 커팅기에 의해 1차 커팅된 제품의 모서리 부분을 커팅하여 라운드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품이 제3스테이지 영역으로 이송되어 생성된 스트랩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드랍다운되는 단계 및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품이 이송되면 제품의 하중에 의해 드랍다운 영역인 제4스테이지 영역으로 자유낙하되는 단계; 상기 제4스테이지 영역에 설치된 이송롤러에 의해 상기 제품이 제5스테이지 영역으로 이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제5스테이지에서, 파일럿 핀에 의해 제품 일측면을 구속하고, 타측면으로 스토퍼 및 게이지를 이송시켜 상기 제품을 규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블랭크 완제품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블랭크 완제품을 취출하는 단계는, 최종커팅기에 의해 상기 제품에 대한 정밀커팅을 진행하여 블랭크 완제품을 제조하는 단계; 스토퍼 구동기에 의해 상기 스토퍼 및 게이지를 이동시켜 상기 블랭크 완제품 타측 방향으로의 이송구속을 해제하는 단계; 및 킥커 실린더가 작동되어 상기 블랭크 완제품을 타측방향으로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스테이지에 로딩된 판재를 연속적으로 커팅하여 블랭크를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설정된 이송피치 만큼 연속적으로 상기 판재 제품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제1스테이지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품의 테두리 부분을 커팅하는 1차 커팅기; 1차 커팅되어 제2스테이지 영역으로 이송된 제품의 모서리 부분을 커팅하여 라운드 처리하는 2차 커팅기; 제3스테이지를 거쳐 제품의 하중에 의해 드랍다운된 제품을 제5스테이지 영역을 이송시키기 위해 제4스테이지 영역에 설치된 다수의 이송롤러; 상기 제5스테이지에 설치되어 제품 일측면을 구속하는 파일럿 핀과, 제품의 타측면 위치되어 상기 제품을 규제하는 스토퍼 및 게이지; 상기 제5스테이지에 설치되어 상기 제품에 대한 정밀커팅을 진행하여 블랭크 완제품을 제조하는 최종커팅기; 및 제5스테이지에 설치되어, 상기 블랭크 완제품 일측에 접촉되어 상기 블랭크 완제품이 타측방향으로 취출시키는 킥커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시스템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방법 및 생산시스템에 따르면, 블랭크 제품의 R처리가 요구되는 제품의 경우, 드랍다운(Drop Down) 블랭킹을 적용하여 제품간 브릿지(S)의 값을 “0”으로 만들어 이송피치(P) 값을 최소화시켜 원자재 수율을 최대한 줄여주어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통상의 블랭킹 프레스 라인의 사시도,
도 2는 스트립레이아웃,
도 3a는 종래 스트립레이아웃에서의 스크랩브릿지(S)와 이송피치(P),
도 3b는 블랭킹 완제품 평면도,
도 4a는 종래 이송피치와 스크랩을 나타낸 스크립레이아웃,
도 4b는 블랫킹 완제품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시스템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랍다운 영역인 제4, 제5스테이지 영역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랍다운 블랭킹 방법과 생산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가.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랍다운 영역인 제4, 제5스테이지 영역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랍다운 블랭킹 시스템은, 스테이지(10)에 로딩된 판재를 연속적으로 커팅하여 블랭크를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설정된 이송피치 만큼 연속적으로 판재 제품(2)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스테이지(11), 제2스테이지(12), 제3스테이지(13), 제4스테이지(14), 제5스테이지(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테이지간 이동거리가 이동피치가 된다.
1차 커팅기(20)는 제1스테이지(11) 영역에 설치되어 제품(2)의 테두리 부분을 커팅하기 위해 구성된다. 또한 2차 커팅기(30)는 1차 커팅되어 제2스테이지(12) 영역으로 이송된 제품(2)의 모서리 부분을 커팅하여 라운드 처리하기 위해 구성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스테이지(13)를 거쳐 제품(2)의 하중에 의해 드랍다운된 제품을 제5스테이지(15) 영역을 이송시키기 위해 제4스테이지(14) 영역에 설치된 다수의 이송롤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5스테이지(15)에는 제품(2) 일측면을 구속하는 파일럿 핀(62)과, 제품(2)의 타측면 위치되어 제품을 규제하는 스토퍼 및 게이지(60)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5스테이지(15)에 설치된 최종커팅기(50)는 제품에 대한 정밀커팅을 진행하여 블랭크 완제품(3)을 제조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5스테이지(15)의 일측 영역에 킥커 실린더(64)가 설치되어, 블랭크 완제품(3) 일측에 접촉되어 블랭크 완제품(3)이 타측방향으로 취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5스테이지에는 볼플런저(63)가 설치되어 블랭크 완제품(3)이 큰 마찰없이 취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70)는 이송수단(1)을 제어하여 설정된 이송피치 만큼 각 스테이지에서의 공정완료후 제품을 다음스테이지에 이동시키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70)는 1차 커팅기(20), 2차 커팅기(30), 최종커팅기(50)의 구동을 제어하며, 스토퍼 및 게이지(60)를 제어하여 제5스테이지(15)에서 제품을 고정하며, 블랭크 완제품(3) 제조 후, 킥커 실린더(64)를 구동시켜 블랭크 완제품(3)을 취출시키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이송피치를 설정하게 된다. 즉 스크랩브릿지가 0이 되도록 이송피치를 제조될 블랭크 완제품의 폭으로 설정한다(S1).
그리고 설정된 이송피치 만큼 연속적으로 판재 제품(2)의 이송을 시작하게 된다(S2).
제1스테이지(11)에서, 1차 커팅기(20)를 통해 제품의 테두리 부분을 커팅하고, 커팅에 의해 생성된 스크랩을 제거하게 된다(S3).
그리고 1차 커팅이 완료된 제품(2)은 이송피치만큼 이송되어 제2스테이지(12) 영역으로 이동되며, 제2스테이지(12)에서는 2차 커팅기(30)에 의해 1차 커팅된 제품(2)의 모서리 부분을 커팅하여 라운드처리하게 된다(S4).
그리고 제3스테이지(13)로 이송되면, 생성된 스트랩을 제거하게 된다(S5).
이송수단(1)에 의해 제3스테이지(13)의 제품(2)을 이송피치만큼 이송하면, 커팅된 제품(2)은 하중에 의해 자유낙하 드랍다운되어 제4스테이지(14)로 옮겨지게 된다(S6).
그리고 제품(2)은 제4스테이지(14) 영역에 설치된 이송롤러(40)에 의해 제5스테이지(15) 영역으로 이동되게 된다(S7).
그리고 제5스테이지(15)에서, 파일럿 핀(61)에 의해 제품(2) 일측면을 구속하고, 타측면으로 스토퍼 및 게이지(60)를 이송시켜 제품(2)을 정밀 규제하게 된다(S8).
그리고 최종커팅기(50)에 의해 제품(2)의 불필요한 스크랩을 커팅하여 블랭크 완제품(3)을 제조하게 된다(S9).
마지막으로 블랭크 완제품(3)이 제조되면, 킥커 실린더(64)에 의해 블랭크 완제품(3)을 취출한다(S10).
즉, 제5스테이지(15)에서는 제품(2)을 파일럿 핀(61)과, 스토퍼 및 게이지(60)에 의해 고정, 위치를 정밀규체한 후, 최종커팅기(50)에 의해 제품에 대한 정밀커팅을 진행하여 블랭크 완제품(3)을 제조하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구동기(62(에 의해 스토퍼 및 게이지(60)를 하부측으로 이동시켜 블랭크 완제품 타측 방향(도 8 기준 우측)으로의 이송구속을 해제한 후, 블랭크 완제품(3) 일측에 위치된 킥커 실린더(64)가 작동되어 블랭크 완제품(3)이 타측방향으로 취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이송수단
2:제품
3:블랭크 완제품
10:이송스테이지
11:제1스테이지
12:제2스테이지
13:제3스테이지
14:제4스테이지
15:제5스테이지
20:1차 커팅기
30:2차 커팅기
40:이송롤러
50:최종커팅기
60:스토퍼 및 케이지
61:파일럿핀
62:스토퍼구동기
64:킥커 실린더
70:제어부

Claims (5)

  1. 스테이지에 로딩된 판재를 연속적으로 커팅하여 블랭크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송피치 만큼 연속적으로 상기 판재 제품의 이송을 시작하는 단계;
    커팅기를 통해 상기 제품의 테두리 부분을 커팅하고, 커팅에 의해 생성된 스크랩을 제거하는 단계;
    커팅된 상기 제품이 하중에 의해 자유낙하하여 드랍다운되는 단계;
    드랍다운된 상기 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
    최종커팅기에 의해 상기 제품을 커팅하여 블랭크 완제품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블랭크 완제품을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스크랩브릿지를 0으로, 이송피치를 제조될 블랭크 완제품의 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하는 단계는,
    제1스테이지 영역에서 1차 커팅기에 의해 상기 제품의 테두리부분을 커팅하고, 생성된 스크랩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품이 제2스테이지 영역으로 이송된 후, 2차 커팅기에 의해 1차 커팅된 제품의 모서리 부분을 커팅하여 라운드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품이 제3스테이지 영역으로 이송되어 생성된 스트랩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드랍다운되는 단계 및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품이 이송되면 제품의 하중에 의해 드랍다운 영역인 제4스테이지 영역으로 자유낙하되는 단계;
    상기 제4스테이지 영역에 설치된 이송롤러에 의해 상기 제품이 제5스테이지 영역으로 이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제5스테이지에서, 파일럿 핀에 의해 제품 일측면을 구속하고, 타측면으로 스토퍼 및 게이지를 이송시켜 상기 제품을 규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블랭크 완제품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블랭크 완제품을 취출하는 단계는,
    최종커팅기에 의해 상기 제품에 대한 정밀커팅을 진행하여 블랭크 완제품을 제조하는 단계;
    스토퍼 구동기에 의해 상기 스토퍼 및 게이지를 이동시켜 상기 블랭크 완제품 타측 방향으로의 이송구속을 해제하는 단계; 및
    킥커 실린더가 작동되어 상기 블랭크 완제품을 타측방향으로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방법.
  5. 스테이지에 로딩된 판재를 연속적으로 커팅하여 블랭크를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설정된 이송피치 만큼 연속적으로 상기 판재 제품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제1스테이지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품의 테두리 부분을 커팅하는 1차 커팅기;
    1차 커팅되어 제2스테이지 영역으로 이송된 제품의 모서리 부분을 커팅하여 라운드 처리하는 2차 커팅기;
    제3스테이지를 거쳐 제품의 하중에 의해 드랍다운된 제품을 제5스테이지 영역을 이송시키기 위해 제4스테이지 영역에 설치된 다수의 이송롤러;
    상기 제5스테이지에 설치되어 제품 일측면을 구속하는 파일럿 핀과, 제품의 타측면 위치되어 상기 제품을 규제하는 스토퍼 및 게이지;
    상기 제5스테이지에 설치되어 상기 제품에 대한 정밀커팅을 진행하여 블랭크 완제품을 제조하는 최종커팅기; 및
    제5스테이지에 설치되어, 상기 블랭크 완제품 일측에 접촉되어 상기 블랭크 완제품이 타측방향으로 취출시키는 킥커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시스템.

KR1020220120241A 2022-09-22 2022-09-22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방법 및 생산시스템 KR20240041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241A KR20240041412A (ko) 2022-09-22 2022-09-22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방법 및 생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241A KR20240041412A (ko) 2022-09-22 2022-09-22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방법 및 생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412A true KR20240041412A (ko) 2024-04-01

Family

ID=90667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241A KR20240041412A (ko) 2022-09-22 2022-09-22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방법 및 생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141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409B1 (ko) 2012-09-13 2013-05-10 주식회사 대동강업 고강성 씨형강 연속자동생산을 위한 씨형강 업다운 및 공급이송제어장치
KR101468868B1 (ko) 2012-12-21 2014-12-05 (주)지엔에스쏠리텍 다공정 프레스 시스템
KR102399131B1 (ko) 2021-02-10 2022-05-18 주식회사 케디엠 분리 이동구조를 갖는 블랭킹 제품 고속 적재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409B1 (ko) 2012-09-13 2013-05-10 주식회사 대동강업 고강성 씨형강 연속자동생산을 위한 씨형강 업다운 및 공급이송제어장치
KR101468868B1 (ko) 2012-12-21 2014-12-05 (주)지엔에스쏠리텍 다공정 프레스 시스템
KR102399131B1 (ko) 2021-02-10 2022-05-18 주식회사 케디엠 분리 이동구조를 갖는 블랭킹 제품 고속 적재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03678B2 (ja) 無段変速機用ベルトのエレメントの打抜き加工方法
US20050211032A1 (en) Cutting technology for metal sheet
US6427512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blanking elements of belt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EP3260402B1 (de) Kistenstapelsystem
JP2016132034A (ja) スタックへの搬入積層装置
KR20150061601A (ko) 유리판의 절단 장치, 유리판의 절단 방법 및 유리판의 제조 방법
JPWO2019117278A1 (ja) 段ボール箱の分割装置及び段ボール箱の製造装置
JP7081690B2 (ja) 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プレスライン
CN113365750B (zh) 冲压成形品的制造方法和冲压生产线
KR20240041412A (ko) 드랍다운 블랭킹 생산방법 및 생산시스템
CN113165299A (zh) 冲压成形品的制造方法、金属板集、冲压装置以及冲压生产线
JP5434877B2 (ja) 車体パネル製造用ブランキング装置
CN112658122A (zh) 一种无搭边连续模
US20150174780A1 (en) In-line punching machine
KR101263117B1 (ko)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
JP6786032B2 (ja) 加工処理装置及びシートの加工処理方法
JP3561164B2 (ja) 打ち抜き加工装置および打ち抜き加工方法
KR102049949B1 (ko) 차량의 시트레일 제조장치
JP4606731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積層体製造装置
KR960000287Y1 (ko) 캠(Cam)을 이용한 트랜스퍼 프레스용 블랭킹금형(Transfer Press Blanking Die)
KR101549405B1 (ko) 연속 프레스기 및 연속 프레스기의 판소재 가공 방법
US20240092008A1 (en) Method and production system for the simple separation of scrap arising in the manufacture of extruded plates
US11919195B2 (en) Apparatus for forming soft mud cladding and paving articles
WO2024009582A1 (ja) ブランキング用金型、ブランキング集積装置及びブランキング方法
JP2016175097A (ja) 金属薄板の加工装置及び加工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