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889A -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대응 소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대응 소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889A
KR20240040889A KR1020220119759A KR20220119759A KR20240040889A KR 20240040889 A KR20240040889 A KR 20240040889A KR 1020220119759 A KR1020220119759 A KR 1020220119759A KR 20220119759 A KR20220119759 A KR 20220119759A KR 20240040889 A KR20240040889 A KR 20240040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electric vehicle
cover
driving device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남
안계현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
Priority to KR1020220119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0889A/ko
Publication of KR20240040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re Alarm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질식소화덮개는 주차구역 내에 구비되어 주차되어 있는 전기차의 하부에 위치한 배터리의 이상온도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와, 상기 열감지센서와 연계되고 상기 주차구역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열감지센서에서 상기 전기차 배터리의 이상온도가 감지되었을 시 구동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상기 전기차의 상단으로 투망되는 투망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질식소화덮개{suffocation fire extinguisher cover}
본 발명은 질식소화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차 화재발생 시 자동으로 투망되어 초기 진화를 할 수 있는 질식소화덮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기차 보급량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전기차 특성상 차량에 화재가 발생했을 시 확산 속도가 5~10분으로 매우 빠르며, 이로 인해 화재현장에 소방(펌프)차가 즉각 대응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전기차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는 차량 하부의 배터리를 꼽을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 단시간 내 주변으로의 화재 확산과 더불어 최고온도 1400도 가까운 화염에 의해 바닥, 보, 기둥 등과 같은 지하주차장 구조물에 큰 피해로 야기되어 건물 붕괴의 우려를 낳는다.
전기차 화재 시 대응 방안으로는 대표적으로 물이 담겨있는 수조에 차량을 직접 넣는 방식과 외부로부터의 공기유입 차단하는 질식소화방식이 있다.
그 중 질식소화방식은 유리섬유를 이용한 질식소화덮개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사람이 직접 질식소화용 덮개를 전개해야 하는 위험성과 초기 화재 진압을 위한 빠른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기차 화재 시 빠른 화재 대응 및 화재진압에 투입되는 인원의 안전성이 보장된 질식소화방식의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05417호(2022.06.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차 화재발생 시 자동으로 투망되어 초기 진화를 할 수 있는 질식소화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기계적 자동투망방식을 통해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질식소화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질식소화덮개는 주차구역 내에 구비되어 주차되어 있는 전기차의 하부에 위치한 배터리의 이상온도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와, 상기 열감지센서와 연계되고 상기 주차구역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열감지센서에서 상기 전기차 배터리의 이상온도가 감지되었을 시 구동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상기 전기차의 상단으로 투망되는 투망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투망장치가 내장되어 평상시 상기 투망장치가 보관되는 보관부분과, 상기 보관부분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열감지센서에서 상기 전기차 배터리의 이상온도가 감지되었을 시 상기 투망장치가 상기 보관부분으로부터 투망되도록 하는 구동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분은 원통형의 외부본체와, 상기 외부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외부본체의 상단에 노출되는 내부본체와, 상기 외부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외기가 주입되는 외기주입홀과, 상기 외기주입홀과 연통되고 상기 외부본체와 상기 내부본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외기주입홀을 통해 주입된 외기가 상기 보관부분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이동부분과, 상기 내부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망장치가 투망된 후 상기 투망장치의 외부에 도포되는 소화액과, 상기 내부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소화액이 상기 보관부분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이동부분과, 상기 내부본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공기압력으로 상기 제1이동부분에 이동된 외기와 상기 제2이동부분에 이동된 상기 소화액을 상기 보관부분으로 이동시키는 압축공기가 내장된 피스톤과, 상기 제2이동부분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투망장치와 연결되어 평상시 상기 소화액의 누수를 방지하고 상기 투망장치가 투망될 시 상기 전기차의 상단에 부착되어 상기 투망장치의 투망정확도를 높이는 자성 발사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투망장치는 망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자성 발사체와 결합하는 가이드덮개와, 상기 가이드덮개와 연결되어 상기 전기차를 덮는 메인덮개와, 일단이 상호 간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덮개 및 상기 메인덮개와 결합하는 다수의 폴대와, 상기 폴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장대가 접히도록 하는 다수의 관절과, 상기 폴대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폴대의 중량을 늘리는 무게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관부분에는 평상시 상기 투망장치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보호막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감지센서와 상기 구동장치는 무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장치에는 상기 열감지센서에서 상기 전기차 배터리의 이상온도가 감지되었을 시 상기 투망장치가 투망되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부본체는 상기 보관부분과 동일선상을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보관부분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질식소화덮개에 의하면, 전기차 화재발생 시 자동으로 투망되어 초기 진화를 할 수 있다.
또한, 기계적 자동투망방식을 통해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질식소화덮개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질식소화덮개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질식소화덮개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동장치를 통해 투망되는 투망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투망장치가 투망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질식소화덮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질식소화덮개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질식소화덮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질식소화덮개(10)는 주차구역(20) 내에 구비되어 주차되어 있는 전기차(30) 배터리의 이상온도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100)와, 열감지센서(100)와 연계되고 주차구역(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열감지센서(100)에서 전기차(30) 배터리의 이상온도가 감지되었을 시 구동되는 구동장치(200)와, 구동장치(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구동장치(200)에 의해 구동장치(200)로부터 투망되는 투망장치(3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열감지센서(100)와 구동장치(200)는 무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되고, 구동장치(200)에는 열감지센서(100)에서 전기차(30) 배터리의 이상온도가 감지되었을 시 투망장치(300)가 투망되도록 구동장치(200)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400)가 연결될 수 있다.
열감지센서(100)는 전기차(30) 전용 주차구역(20)의 바닥에 매립 또는 부착되어 전기차(30) 화재의 주요 원인인 충전중 또는 주차중인 상태에서 전기차의(30) 하부에 위치하는 배터리의 이상온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동장치(200)는 주차구역(20)에 주차되는 전기차(3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별도의 고정장치(미도시)에 의해 주차구역(20)의 상부에 구비되며, 평상시에는 작동하지 않고, 열감지센서(100)에서 전기차(30)의 하부에 위치한 배터리의 이상온도를 감지하였을 시 전달받은 정보에 따라 제어장치(400)를 통해 작동되어 투망장치(300)가 구동장치(200)로부터 투망되도록 할 수 있다.
투망장치(300)는 평상시 구동장치(200)에 내장된 상태로 구비되고, 열감지센서(100)에서 배터리의 이상온도를 감지하였을 시 전달받은 정보에 따라 제어장치(400)를 통해 작동하는 구동장치(200)에 의해 구동장치(200)로부터 투망되어 전기차(30)를 덮어 질식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감지센서(100)를 통해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투망장치(300)가 구동장치(200)를 통해 신속하게 화재발생 차량을 덮어 질식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초기 진화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적 자동투망방식을 통해 사람이 직접 소화행위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직접 소화행위를 했을 시 발생하는 위험성을 줄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질식소화덮개(10)의 구동장치(2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질식소화덮개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질식소화덮개(10)의 구동장치(200)는 투망장치(300)가 내장되어 평상시 투망장치(300)가 보관되는 보관부분(210)과, 보관부분(2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열감지센서(100)에서 전기차(30) 배터리의 이상온도가 감지되었을 시 투망장치(300)가 보관부분(210)으로부터 투망되도록 하는 구동부분(220)을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분(22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구동부분(220)은 원통형의 외부본체(221)와, 외부본체(2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일단이 외부본체(221)의 상단에 노출되는 내부본체(222)와, 외부본체(221)의 상면에 형성되어 외기가 주입되는 외기주입홀(223)과, 외기주입홀(223)과 연통되고 외부본체(221)와 내부본체(222) 사이에 형성되어 외기주입홀(223)을 통해 주입된 외기가 보관부분(210)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이동부분(224)과, 내부본체(222)의 내부에 구비되어 투망장치(300)가 투망된 후 투망장치(300)의 외부에 도포되는 소화액(225)과, 내부본체(222)에서 연장되어 소화액(225)이 보관부분(210)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이동부분(226)과, 내부본체(222)의 상단에 구비되어 공기압력으로 제1이동부분(224)에 이동된 외기와 제2이동부분(226)에 이동된 소화액(225)을 보관부분(210)으로 이동시키는 피스톤(227)과, 제2이동부분(226)의 일단에 구비되고 투망장치(300)와 연결되어 평상시 소화액(225)의 누수를 방지하고 투망장치(300)가 투망될 시 전기차(30)의 상단에 부착되어 투망장치(300)의 투망정확도를 높이는 자성 발사체(228)를 구비할 수 있다.
외부본체(221)는 보관부분(210)과 동일선상을 형성하는 몸체부(221a)와, 몸체부(221a)에서 연장되어 보관부분(210)에 삽입되는 삽입부(221b)를 구비하여 보관부분(210)과 결합할 수 있다.
내부본체(222)는 외부본체(221)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단이 외부본체(221)의 상단에 노출되며, 노출된 일단에는 피스톤(227)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본체(222)는 진공상태의 내부공간(미부호)이 형성되고, 내부공간(미부호)에는 일정량의 소화액(225)이 저장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외기주입홀(223)은 외부본체(221)의 상면에 형성되어 외기가 제1이동부분(224)에 주입되도록 하고, 제1이동부분(224)은 외기주입홀(223)과 연통되어 외부본체(221)와 내부본체(222) 사이에서 구동부분(220)과 보관부분(210)의 경계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이동부분(226)은 내부본체(222)에서 연장되어 구동부분(220)과 보관부분(210)의 경계선을 넘어서까지 길게 구비되며, 제2이동부분(226)의 일단에는 자성 발사체(228)가 구비되어 평상시 내부본체(222)에 저장된 소화액(225)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피스톤(227)이 작동하여 소화액(225)에 압력이 가해져 제2이동부분(226)에 위치한 소화액(225)이 자성 발사체(228)를 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1이동부분(224)에 위치한 외기가 보관부분(210)으로 이동하면서 투망장치(300)를 전기차(30) 방향으로 밀어 투망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스톤(227)에 의한 압력을 통해 투망장치(300)를 신속하게 투망할 수 있고, 투망장치(300)가 투망된 후 소화액(225)이 도포되어 투망장치(300)의 내열성을 보조함으로써 소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성 발사체(228)가 발사된 후 전기차(30)의 상단에 부착됨에 따라 투망장치(300)가 전기차(30)를 완전히 덮지 못하거나 외부의 충격 또는 바람 등에 의해 투망장치(300)가 전기차(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투망장치(300)의 투망정확도를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보관부분(210)에는 보호막(211)이 구비되고, 보호막(211)은 평상시 투망장치(300)의 외부노출을 방지하여 투망장치(300)가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화재시 투망장치(300)가 문제없이 전기차(30)를 덮어 질식소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질식소화덮개(10)의 구동장치(2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동장치를 통해 투망되는 투망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투망장치가 투망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망장치(300)는 망 형태로 구비되어 자성 발사체(228)와 결합하는 가이드덮개(310)와, 가이드덮개(310)와 연결되어 전기차(30)를 덮는 메인덮개(320)와, 일단이 상호 간에 연결되어 가이드덮개(310) 및 메인덮개(320)와 결합하는 다수의 폴대(330)와, 폴대(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장대가 접히도록 하는 다수의 관절(340)과, 폴대(330)의 타단에 구비되어 폴대(330)의 중량을 늘리는 무게추(350)를 구비할 수 있다.
관절(340)에는 탄성체(미도시)가 내장되어 투망장치(300)가 투망됨과 동시에 접혀있던 폴대(330)가 탄력적으로 펴지도록 하고, 가이드덮개(310)는 폴대(330)가 펼쳐질 시 다수의 폴대(330)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해 메인덮개(320)가 반구 형태로 전기차(30)를 덮도록 할 수 있다.
무게추(350)는 폴대(330)의 중량을 늘려 중량에 의해 폴대(330)의 타단이 지면에 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메인덮개(320)가 자연스럽게 반구 형태가 되도록 하며, 외부의 충격 또는 바람 등에 의해 메인덮개(320)가 지면으로부터 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질식소화덮개(10)는 열감지센서(100)를 통해 화재를 즉각 감지하고, 투망장치(300)를 통해 질식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화재 확산 전 초기 진화를 할 수 있다.
또한, 구동장치(200)에 의한 기계적 자동투망방식을 통해 사람이 직접 작동하지 않아도 질식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직접 작동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줄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질식소화덮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질식소화덮개 20: 주차구역
30: 전기차 100: 열감지센서
200: 구동장치 210: 보관부분
211: 보호막 220: 구동부분
221: 외부본체 221a: 몸체부
221b: 삽입부 222: 내부본체
223: 외기주입홀 224: 제1이동부분
225: 소화액 226: 제2이동부분
227: 피스톤 228: 자성 발사체
300: 투망장치 310: 가이드덮개
320: 메인덮개 330: 폴대
340: 관절 350: 무게추
400: 제어장치

Claims (7)

  1. 주차구역 내에 구비되어 주차되어 있는 전기차의 하부에 위치한 배터리의 이상온도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와,
    상기 열감지센서와 연계되고 상기 주차구역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열감지센서에서 상기 전기차 배터리의 이상온도가 감지되었을 시 구동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상기 전기차의 상단으로 투망되는 투망장치를 포함하는 질식소화덮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투망장치가 내장되어 평상시 상기 투망장치가 보관되는 보관부분과,
    상기 보관부분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열감지센서에서 상기 전기차 배터리의 이상온도가 감지되었을 시 상기 투망장치가 상기 보관부분으로부터 투망되도록 하는 구동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식소화덮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분은 원통형의 외부본체와,
    상기 외부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외부본체의 상단에 노출되는 내부본체와,
    상기 외부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외기가 주입되는 외기주입홀과,
    상기 외기주입홀과 연통되고 상기 외부본체와 상기 내부본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외기주입홀을 통해 주입된 외기가 상기 보관부분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이동부분과,
    상기 내부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망장치가 투망된 후 상기 투망장치의 외부에 도포되는 소화액과,
    상기 내부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소화액이 상기 보관부분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이동부분과,
    상기 내부본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공기압력으로 상기 제1이동부분에 이동된 외기와 상기 제2이동부분에 이동된 상기 소화액을 상기 보관부분으로 이동시키는 압축공기가 내장된 피스톤과,
    상기 제2이동부분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투망장치와 연결되어 평상시 상기 소화액의 누수를 방지하고 상기 투망장치가 투망될 시 상기 전기차의 상단에 부착되어 상기 투망장치의 투망정확도를 높이는 자성 발사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식소화덮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투망장치는 망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자성 발사체와 결합하는 가이드덮개와,
    상기 가이드덮개와 연결되어 상기 전기차를 덮는 메인덮개와,
    일단이 상호 간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덮개 및 상기 메인덮개와 결합하는 다수의 폴대와,
    상기 폴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장대가 접히도록 하는 다수의 관절과,
    상기 폴대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폴대의 중량을 늘리는 무게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식소화덮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분에는 평상시 상기 투망장치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보호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식소화덮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센서와 상기 구동장치는 무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장치에는 상기 열감지센서에서 상기 전기차 배터리의 이상온도가 감지되었을 시 상기 투망장치가 투망되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식소화덮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본체는 상기 보관부분과 동일선상을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보관부분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식소화덮개.
KR1020220119759A 2022-09-22 2022-09-22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대응 소화 시스템 KR20240040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759A KR20240040889A (ko) 2022-09-22 2022-09-22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대응 소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759A KR20240040889A (ko) 2022-09-22 2022-09-22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대응 소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889A true KR20240040889A (ko) 2024-03-29

Family

ID=90483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759A KR20240040889A (ko) 2022-09-22 2022-09-22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대응 소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088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417B1 (ko) 2021-11-09 2022-06-07 주식회사 라지 질식소화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417B1 (ko) 2021-11-09 2022-06-07 주식회사 라지 질식소화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1474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KR101304229B1 (ko) 발사 가능한 원격 조종 공격 장치
KR102412188B1 (ko)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60130100A (ko) 화재 진압용 장비 및 화재진압 방법
KR102372971B1 (ko) 전기자동차 소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20011378A (ko) 다관절 접이식 무인원격 소화장치
KR101873234B1 (ko) 소화구 자동 탑재 타겟 지정형 화재 진압 로봇
KR102530655B1 (ko) 자동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방법
CN209361720U (zh) 一种高空消防系统
KR102579072B1 (ko) 레일 이동식 전기차 소방 시스템
KR20170079150A (ko) 소방용 드론
KR20240040889A (ko)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대응 소화 시스템
KR20200095012A (ko) 원격 컨트롤이 가능한 방수포
KR102577099B1 (ko)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시스템
KR102584199B1 (ko) 자동차화재 진압 및 방어용 커버
KR102211442B1 (ko) 이동형 소방장치
CN109331387B (zh) 一种高楼层遥控温控扑火装置及扑火方法
KR101410136B1 (ko) 정찰 로봇
WO2011071266A2 (ko) 패널형 소화기용기
KR102633796B1 (ko) 소화탄이 탑재된 화재진압용 소방드론
KR101778238B1 (ko) 자립형 소화장치
CN215084486U (zh) 一种灭火侦察机器人
WO2018178496A4 (es) Protector ignífugo para vehículos
KR102539154B1 (ko) 질식소화포를 상단에 구비한 튜브형 전기차 화재진압장치
KR101226447B1 (ko) 안전캡이 부착된 소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