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784A - 화장 시트, 및 화장판 - Google Patents

화장 시트, 및 화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784A
KR20240040784A KR1020247006491A KR20247006491A KR20240040784A KR 20240040784 A KR20240040784 A KR 20240040784A KR 1020247006491 A KR1020247006491 A KR 1020247006491A KR 20247006491 A KR20247006491 A KR 20247006491A KR 20240040784 A KR20240040784 A KR 20240040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heet
design
resin
conca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6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이치 이세모리
다카야 오노
가즈키 모멘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2374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301921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2374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3019213A/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40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78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도안층의 도안 모양과 오목부가 안정적으로 동조하고 있고, 매우 우수한 의장성과 우수한 내상성을 갖는 화장 시트를 제공한다.
기재 시트의 한쪽에, 도안층과, 투명성 수지층과, 표면 보호층을 적어도 이 순서로 갖는 화장 시트로서, 상기 도안층은, 특징 부분과 비특징 부분을 구비한 나뭇결 무늬이고, 상기 투명성 수지층은, 상기 도안층을 갖는 측과 반대측에, 상기 도안층의 특징 부분과 동조한 오목부(D1)를 가지며, 상기 기재 시트는,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고온 환경하에서는 상온 환경하와 비교하여 연질의 거동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Description

화장 시트, 및 화장판
본 발명은 화장 시트, 및 상기 화장 시트를 이용한 화장판에 관한 것이다.
건재, 가구, 가전 제품 등에 있어서, 사용하는 부재를 가식(加飾)하고 싶은 경우에는, 의장이 실시된 화장 시트를 접착한 화장판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화장판에 시각에 의한 의장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화장 시트에 엠보스 가공 등을 실시하여, 요철 형상을 형성하여, 입체적인 시각 효과를 부여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서는, 기재 시트의 한쪽 면측에, 도안이 인쇄된 도안 인쇄층, 상기 도안과 동조하는 요철 모양을 갖는 투명 열가소성 수지층, 상기 투명 열가소성 수지층의 표면을 보호하는 표면 보호층, 및 상기 도안과 동조하는 광택 상태에 의한 모양을 갖는 광택 조정층을 이 순서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및 그 화장 시트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화장 시트에서는, 투명 열가소성 수지층의 표면 보호층을 갖는 측의 면에 요철 모양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안 인쇄층의 도안과 투명 열가소성 수지층의 요철 모양을 동조시켜, 촉감 및 입체감을 향상시켜, 도안의 리얼함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화장 시트는 기재 시트가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시트형의 층이기 때문에, 기재 시트의 한쪽 면측에 형성된 도안 인쇄층의 도안과 투명 열가소성 수지층의 요철 모양을 동조시킬 때, 기재 시트의 로트 차이에 있어서의 경미한 성능의 불균일이나 제조 시의 작업 환경(온도 등)의 변화에 의해 동조시키는 것이 곤란하여 동조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것, 즉 동조 의장의 안정성이 없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최근, 도안층의 도안 모양과, 화장 시트에 형성된 요철 형상의 동조에 있어서, 동조가 어긋나 있지 않은 매우 정밀도가 높은 의장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허문헌 1의 화장 시트에서는 아직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고, 한층 더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화장 시트는 창호(도어, 문 등)나 바닥재에 이용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충분한 내상성도 요구되는 것이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6-221871호 공보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도안층의 도안 모양과 오목부가 안정적으로 동조하고 있고, 우수한 의장성과 우수한 내상성을 갖는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기재 시트의 한쪽에, 도안층과, 투명성 수지층과, 표면 보호층을 적어도 이 순서로 갖는 화장 시트에 있어서, 상기 도안층에 나뭇결 무늬를 구비하고, 기재 시트가 고온 환경하에서는 상온 환경하와 비교하여 연질의 거동을 나타냄으로써, 도안층의 특징 부분과 투명성 수지층에 형성한 오목부가 안정적으로 동조하는 구성을 적합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기재 시트의 한쪽에, 도안층과, 투명성 수지층과, 표면 보호층을 적어도 이 순서로 갖는 화장 시트로서, 상기 도안층은, 특징 부분과 비특징 부분을 구비한 나뭇결 무늬이고, 상기 투명성 수지층은, 상기 도안층을 갖는 측과 반대측에, 상기 도안층의 특징 부분과 동조한 오목부(D1)를 가지며, 상기 기재 시트는,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고온 환경하에서는 상온 환경하와 비교하여 연질의 거동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이다.
본 발명의 화장 시트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는, 40℃ 환경하에서의 흐름 방향의 탄성률이 350 ㎫ 이상 6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장 시트의 열기계 분석에 있어서, 20℃ 환경하에서의 길이에 대해, 하중 속도 50 mN/min, 120℃ 환경하에서의 흐름 방향 신장률이 6%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 시트는, 20℃ 환경하에서의 흐름 방향의 탄성률(EMD)과 폭 방향의 탄성률(ECD)이 모두 750 ㎫ 이상 1100 ㎫ 이하이고, 상기 흐름 방향과 폭 방향의 탄성률의 비율(EMD/ECD)이 1.00 이상 1.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안층의 특징 부분은, 나뭇결의 도관, 마디, 나이테 및 반점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안층의 특징 부분과 비특징 부분의 색차 ΔE가 1.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시트는, 두께가 50 ㎛ 이상 70 ㎛ 이하의 착색 폴리올레핀계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성 수지층은, 두께가 75 ㎛ 이상 110 ㎛ 이하이고, 상기 표면 보호층은, 두께가 12 ㎛ 이상 3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피착재 상에 상기 화장 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도안층의 도안 모양과 오목부가 안정적으로 동조하고 있고, 매우 우수한 의장성과 우수한 내상성을 갖는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화장 시트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의 (a)∼(c)는 본 발명의 화장 시트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화장 시트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의 화장 시트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며, (c)는 본 발명의 화장 시트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장 시트의 바람직한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화장 시트>
이하, 본 발명의 화장 시트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로 표시되는 수치 범위의 하한 상한은 「이상 이하」를 의미한다(예컨대, α∼β이면, α 이상 β 이하임).
본 발명의 화장 시트는, 기재 시트의 한쪽에, 적어도 도안층과, 투명성 수지층과, 투명 열가소성 수지층과, 표면 보호층을 이 순서로 갖는다.
도 1은 화장 시트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화장 시트의 일례에 있어서, 화장 시트(10)는, 기재 시트(1)의 한쪽에, 적어도 도안층(2)과, 투명성 수지층(3)과, 표면 보호층(4)을 이 순서로 갖고, 도안층(2)은, 특징 부분(2a)과 비특징 부분(2b)을 갖고 있다.
또한, 투명성 수지층(3)은, 도안층(2)을 갖는 측과 반대측에, 도안층(2)의 특징 부분과 동조한 오목부(D1)를 갖고,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화장 시트(10)에서는, 도안층(2)은, 기재 시트(1)를 갖는 측과 반대측에, 오목부(D1)의 적층 방향에 위치하는 오목부(D2)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 시트(10)는, 20℃ 환경하에서의 흐름 방향의 탄성률(EMD)과 폭 방향의 탄성률(ECD)이 모두 750 ㎫ 이상 1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750 ㎫ 미만이면, 본 발명의 화장 시트(10)의 도안층(2)의 도안 모양과 오목부(D1)의 동조에 어긋남이 발생하여 시각적인 입체감이 손상되어 의장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고, 1100 ㎫을 초과하면 지나치게 강직해져 본 발명의 화장 시트(10)를 바닥재에 사용했을 때에 용이하게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흐름 방향의 탄성률(EMD)과 폭 방향의 탄성률(ECD)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77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050 ㎫이고,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790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000 ㎫이다.
여기서, 흐름 방향의 탄성률(EMD)이란, 본 발명의 화장 시트(10)의 도안층의 나뭇결 무늬의 흐름에 수평인 방향이고, 폭 방향의 탄성률(ECD)이란, 상기 나뭇결 무늬의 흐름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며, 모두 본 발명의 화장 시트(10)에 나타난 나뭇결 무늬로부터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흐름 방향의 탄성률(EMD) 및 폭 방향의 탄성률(ECD)은, 예컨대, JIS K6732에 준거한 덤벨형 시험편으로 펀칭한 화장 시트를, 흐름 방향의 탄성률(EMD) 및 폭 방향의 탄성률(ECD)용으로 각각 준비하고, 20℃의 온도 조건하에서, 인장 압축 시험기를 이용하여, 인장 속도 50 ㎜/min, 척 간 거리 80 ㎜의 조건으로 측정하여 얻어진 인장 응력-변형 곡선의 처음의 직선 부분으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E=Δρ/Δε
E: 탄성률
Δρ: 직선 상의 2점 간의 원래 평균 단면적에 의한 응력차
Δε: 동일한 2점 간의 변형차
또한, 본 발명의 화장 시트(10)는, 상기 흐름 방향과 폭 방향의 탄성률의 비율(EMD/ECD)이 1.00 이상 1.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의 범위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장 시트(10)를 흐름 방향으로 신축시켜 도안층과 오목부(D1)의 형상이 맞도록 조정한 경우, 수평 방향의 도안층과 오목부(D1)의 형상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 높은 의장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율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19,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18이다.
상기 흐름 방향의 탄성률(EMD) 및 폭 방향의 탄성률(ECD)이나 이들의 비율은, 예컨대, 표면 보호층을 제조할 때의 조건(원료의 배합비나 경화 조건, 에이징 처리 조건 등)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전술한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화장 시트(10)를 구성하는 각 층에 대해 설명한다.
(기재 시트)
본 발명의 화장 시트(10)는, 기재 시트(1)를 갖는다.
상기 기재 시트(1)는,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고온 환경하에서는 상온 환경하와 비교하여 연질의 거동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고온 환경하에서는 상온 환경하와 비교하여 연질의 거동을 나타낸다」란, 유리 전이 온도 이상, 융해 온도 이하의 온도 영역에 있어서의 시트의 신축 거동으로서, 인쇄 시의 건조 등에서 상정되는 상온 환경하보다 약간 높은 온도 영역에 있어서는 시트의 탄성률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기재 시트(1)는, 40℃ 환경하에서의 흐름 방향의 탄성률(EMD)이 350 ㎫ 이상 6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350 ㎫ 미만이면 본 발명의 화장 시트(10)의 도안층(2)의 도안 모양과 오목부(D1)의 동조에 어긋남이 발생하여 시각적인 입체감이 손상되어 의장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고, 600 ㎫을 초과하면 지나치게 강직해져 본 발명의 화장 시트(10)를 바닥재에 사용했을 때에 용이하게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40℃ 환경하에서의 흐름 방향의 탄성률(EMD)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8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40 ㎫이다.
상기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함),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α 올레핀 공중합체, 호모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부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메타아크릴산메틸, 폴리메타아크릴산에틸, 폴리아크릴산에틸, 폴리아크릴산부틸 등의 아크릴계 열가소성 수지, 나일론-6, 나일론-66 등의 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그중에서도, 도안층(2)의 인쇄 적성이 우수하고, 저렴한 점에서,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기재 시트(1)는, 착색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에 대해 착색제(안료 또는 염료)를 첨가하여 착색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로서는, 예컨대, 이산화티탄, 카본 블랙, 산화철 등의 무기 안료, 프탈로시아닌 블루 등의 유기 안료 외에, 각종의 염료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공지 또는 시판의 것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착색제의 첨가량도, 원하는 색조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기재 시트(1)는, 필요에 따라, 충전제, 무광택제, 발포제, 난연제, 활제(滑劑),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화제 등의 각종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기재 시트(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40 ㎛ 이상 200 ㎛ 이하가 바람직하다.
기재 시트(1)는, 단층 또는 다층의 어느 것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중에서도, 본 발명의 화장 시트(10)에 있어서, 기재 시트(1)는, 두께가 50 ㎛ 이상 70 ㎛ 이하의 착색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두께의 착색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포함하는 기재 시트(1)를 구비함으로써 후술하는 투명성 수지층(3), 표면 보호층(4)의 두께 범위의 조합에 있어서, 후술하는 탄성률의 요건을 만족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두께가 50 ㎛ 이상 70 ㎛ 이하의 착색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포함하는 기재 시트(1)는, 40℃ 환경하에서의 흐름 방향의 탄성률이 350 ㎫ 이상 6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80 ㎫ 이상 58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 이상 570 ㎫ 이하이다.
이러한 흐름 방향의 탄성률의 두께가 50 ㎛ 이상 70 ㎛ 이하의 착색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포함하는 기재 시트(1)를 구비함으로써, 오목부(D1)의 형성 시에 투명성 수지층(3), 표면 보호층(4)의 두께 범위의 조합 후에 적외선 비접촉 방식의 히터로 가열에 의한 기재 시트(1) 및 투명성 수지층(3)을 연화 및 열압(熱壓)에 의한 엠보스 가공을 하는 경우에 기재 시트(1)의 신축이 안정화됨으로써 도안층(2)의 도안 모양과 오목부(D1)의 동조성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또한, 기재 시트(1)의 흐름 방향이란, 전술한 나뭇결 도안의 도관에 대해 수평이 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기재 시트(1)의 흐름 방향의 탄성률을 전술한 범위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수지 분자량의 조정, 어닐링 등에 의한 결정화 정도의 조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재 시트(1)의 40℃ 환경하에서의 흐름 방향의 탄성률은, 전술한 화장 시트(10)의 흐름 방향의 탄성률(EMD)의 측정 방법에 있어서 기재 시트(1)를 이용하여 덤벨형 시험편을 이용하여 온도 조건을 40℃로 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기재 시트(1)는, 열기계 분석(Thermomechanical analyzer: TMA)에 있어서, 20℃ 환경하에서의 길이에 대해, 하중 속도 50 mN/min, 120℃ 환경하의 흐름 방향 신장률이 6%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6.1% 이상 9.7%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2% 이상 9.4% 이하이다.
또한, 기재 시트(1)의 열기계 특성을 전술한 범위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수지 분자량을 조정하는 방법, 어닐링 등에 의한 결정화 정도를 조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장률의 기재 시트(1)는, 두께가 50 ㎛ 이상 70 ㎛ 이하의 착색 폴리올레핀계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투명성 수지층(3), 표면 보호층(4)의 두께 범위를 조합한 후에 적외선 비접촉 방식의 히터로 가열에 의한 기재 시트 및 투명성 수지층을 연화 및 열압에 의한 엠보스 가공을 하는 경우에 기재 시트(1)의 신축이 안정화됨으로써 도안층의 도안 모양과 오목부의 동조성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도안층)
화장 시트(10)는, 도안층(2)을 갖는다.
도안층(2)은, 화장 시트(10)에 장식성을 부여하는 층이다.
도안층(2)으로서는, 예컨대, 여러 가지 모양을 잉크와 인쇄기를 사용하여 인쇄함으로써 형성되는 무늬층이어도 좋고, 은폐층과 무늬층을 조합한 층이어도 좋다.
상기 은폐층을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기재 시트(1)가 착색되어 있거나 색 얼룩이 있거나 하는 경우에, 의도한 색채를 부여하여 표면의 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무늬층을 형성함으로써, 나뭇결 무늬의 도안층(2)을 적합하게 얻을 수 있다.
이들 도안 모양은 통상의 황색, 적색, 청색, 및 흑색의 프로세스 컬러에 의한 다색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것 외에, 모양을 구성하는 개개의 색을 준비하여 행하는 특색에 의한 다색 인쇄 등에 의해서도 형성된다.
도안층(2)에 이용되는 잉크 조성물로서는, 바인더 수지에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 체질 안료, 용제, 안정제, 가소제, 촉매, 경화제 등을 적절히 혼합한 것이 사용된다.
상기 바인더 수지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아크릴 수지, 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로서는 이들 중에서 임의의 것을,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로서는, 카본 블랙(먹), 철흑, 티탄백, 안티몬백, 황연, 티탄황, 벵갈라, 카드뮴적, 군청, 코발트 블루 등의 무기 안료, 퀴나크리돈 레드, 이소인돌리논 옐로우, 프탈로시아닌 블루 등의 유기 안료, 또는 염료, 알루미늄, 놋쇠 등의 인편(鱗片)형 박편으로 이루어진 금속 안료, 이산화티탄 피복 운모, 염기성 탄산납 등의 인편형 박편으로 이루어진 진주 광택(펄) 안료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안층(2)은, 특징 부분(2a)과 비특징 부분(2b)을 갖는 나뭇결 무늬이다.
특징 부분(2a)이란, 도안층(2)의 도안 모양을 인식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 부분을 말하며, 예컨대, 나뭇결의 도관, 마디 및 나이테 및 반점이 해당된다.
또한, 비특징 부분(2b)이란, 상기 특징 부분(2a) 이외의 부분을 말한다.
도안층(2)에 있어서, 특징 부분(2a)과 비특징 부분(2b)의 색차 ΔE는, 1.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색차 ΔE로 함으로써, 의장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색차 ΔE는, 1.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8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2.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색차 ΔE는, 나뭇결 의장 표현의 관점에서,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색차 ΔE의 측정 방법 및 산출 방법은 이하와 같다.
화장 시트(10)에 있어서, 특징 부분(2a)과 비특징 부분(2b)의 L*a*b* 표색계의 L*, a* 및 b*를, 분광 측색계(닛폰 덴쇼쿠 고교사 제조 SE6000)를 사용하여, 화장 시트(10)의 투명성 수지층(3)을 갖는 측(표면 보호층(4)을 갖는 경우에는 표면 보호층을 갖는 측)의 표면에 입사각 10도(투명성 수지층(3)측 표면의 법선 방향을 0도로 함)로 광(D65 광원)을 조사하고, 전광선 반사광(경면 반사광+확산 반사광)에 기초하여 측정한다.
여기서, 특징 부분(2a)에 있어서의 L*, a* 및 b*를 각각 L1 *, a1 * 및 b1 *로 하고, 비특징 부분(2b)에 있어서의 L*, a* 및 b*를 각각 L2 *, a2 * 및 b2 *로 한다.
또한, 「L*a*b* 표색계」는, CIE(국제 조명 위원회)에서 규격화되어, JIS Z8781-4:2013에서 채용되고 있는 표색계를 의미한다. 또한, L*a*b* 표색계에 있어서, 명도는 L*로 표시되고, 색상 및 채도를 나타내는 색도는 a*, b*로 표시된다.
상기 측정한 수치를 하기 식에 대입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색차 ΔE=((L1 *-L2 *)2+(a1 *-a2 *)2+(b1 *-b2 *)2)1/2
도안층(2)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0.1 ㎛ 이상이 바람직하고, 0.5 ㎛ 이상 6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안층(2)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화장 시트(10)에 우수한 의장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은폐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안층(2)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그라비아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정전 인쇄법, 잉크젯 인쇄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은폐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롤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에어나이프 코트법, 다이 코트법, 립 코트법, 콤마 코트법, 키스 코트법, 플로우 코트법, 딥 코트법 등의 각종 코팅법 등도 들 수 있다.
(투명성 수지층)
화장 시트(10)는, 투명성 수지층(3)을 갖는다.
투명성 수지층(3)으로서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성 수지층(3)은, 도안층(2)을 가시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무색 투명, 착색 투명, 반투명 등의 어느 것도 포함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메틸펜텐,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올레핀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에틸렌글리콜-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공중합체 수지, 테레프탈산-에틸렌글리콜-1,4 시클로헥산디메탄올 공중합체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수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등의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이오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인장 강도가 높고, 내약품 성능이 우수하며, 생산 공정면에서 우수한 점에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여도 좋고, 에틸렌과, 에틸렌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코모노머(예컨대,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 등의 α-올레핀, 아세트산비닐, 비닐알코올 등)의 공중합체여도 좋다.
폴리에틸렌 수지로서는,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가교 폴리에틸렌(PEX)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에틸렌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여도 좋고, 프로필렌과, 프로필렌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코모노머(예컨대, 에틸렌, 1-부텐, 1-헥센, 1-옥텐 등의 α-올레핀; 아세트산비닐, 비닐알코올 등)의 공중합체여도 좋다.
이들 폴리프로필렌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우수한 내찰상성과 굽힘 가공성의 관점에서,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호모폴리프로필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투명성 수지층(3)은, 1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2층 이상의 층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투명성 수지층(3)의 두께는, 75 ㎛ 이상 1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의 두께의 투명성 수지층(3)을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화장 시트(10)는, 우수한 내찰상성과 굽힘 가공성을 적합하게 얻을 수 있다. 투명성 수지층(3)의 두께는, 95 ㎛ 이상 105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성 수지층(3)이 2층 이상의 층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투명성 수지층(3)의 총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것이 필요하다.
투명성 수지층(3)이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형성하는 수지의 종류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좋고, 또한 복수의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의 두께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좋다.
투명성 수지층(3)을 2층 이상으로 적층하는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인 방법이면 한정되지 않고,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이나 압출 열라미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투명성 수지층(3)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비누화 처리, 글로 방전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방전 처리, 자외선(UV) 처리, 및 화염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행해도 좋다.
(표면 보호층)
화장 시트(10)는, 투명성 수지층(3)의 도안층(2)을 갖는 측과 반대측에 표면 보호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보호층(4)은, 도 1의 (a)와 같이, 오목부를 갖고 있어도 좋고, 도 1의 (b)와 같이, 오목부를 갖지 않아도 좋다.
표면 보호층(4)은, 화장 시트(10)에 내구성(내상성, 내오염성, 내후성 등)을 부여하는 층이고, 표면 보호층(4)을 가짐으로써, 보다 적합하게 도안층(2)의 보호가 가능해져, 화장 시트(10) 자체의 흠집에 의한 의장성의 저하를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면 보호층(4)은, 단일의 층 구성이어도 좋고, 동일 또는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진 복수의 층 구성이어도 좋으며, 하기에 나타내는 재료를 적절히 혼합시켜도 좋다.
표면 보호층(4)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2액 경화성 수지나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가교 경화물로 이루어진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가교 경화물은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고, 투명한 한, 도안층(2)을 시인할 수 있는 범위이면, 반투명이어도 착색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2액 경화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주제에 경화제를 첨가하여 경화하는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주제가 폴리올(다가 알코올)이고, 경화제가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인 2액 경화성 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분자 중에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 결합 또는 양이온 중합성 작용기를 갖는 올리고머(이하, 소위 프리폴리머, 매크로 모노머 등도 포함함) 및/또는 분자 중에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 결합 또는 양이온 중합성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여기서 전리 방사선이란, 분자를 중합 혹은 가교시킬 수 있는 에너지를 갖는 전자파 또는 하전 입자를 의미하고, 통상은, 전자선(EB) 또는 자외선(UV)이 일반적이다.
상기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분자 중에 (메트)아크릴로일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 에폭시기 등의 양이온 중합성 작용기 등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올리고머, 모노머는,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혹은 복수 종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로일기란,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를 의미한다.
상기 분자 중에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올리고머로서는, 예컨대,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멜라민(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아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올리고머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더욱 바람직하다. 분자량으로서는, 통상 250∼10만 정도의 것이 이용된다.
상기 분자 중에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다작용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컨대,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에틸렌옥사이드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5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6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다작용 모노머란, 복수의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를 말한다.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다작용 모노머를 포함하는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성분으로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다작용 모노머(질량비)가 6/4∼9/1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질량비의 범위이면, 내찰상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성분에 더하여, 단작용 모노머를 적절히 사용해도 좋다.
상기 단작용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자외선으로 가교시키는 경우,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광중합 개시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수지계의 경우,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티오크산톤류, 벤조인류, 벤조인메틸에테르류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양이온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수지계의 경우,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술포늄염, 방향족 요오도늄염, 메탈로센 화합물, 벤조인술폰산에스테르 등을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광중합 개시제의 첨가량으로서는,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0.1∼10 질량부 정도이다.
또한,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첨가해도 좋다. 이들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우레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세탈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실리콘 수지, 왁스, 불소 수지 등의 활제, 벤조트리아졸, 벤조페논, 트리아진 등의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 아민계 라디칼 포착제 등의 광안정제, 염료, 안료 등의 착색제 등이다.
또한, 전리 방사선의 전자선원으로서는, 예컨대, 콕크로프트 월턴형, 반데그라프형, 공진 변압기형, 절연 코어 변압기형, 혹은,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를 이용하여, 70∼1000 keV의 에너지를 갖는 전자를 조사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리 방사선의 조사선량은, 예컨대, 1∼10 Mrad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리 방사선의 자외선원으로서는, 예컨대,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 아크등, 블랙 라이트,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의 광원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자외선의 파장으로서는 통상 190∼380 ㎚의 파장 영역이 주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화장 시트(10)에 있어서, 표면 보호층(4)의 두께는 12 ㎛ 이상 3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 이상 3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 보호층(4)의 두께가 12 ㎛ 미만이면, 충분히 내구성(내상성, 내오염성, 내후성 등)을 부여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35 ㎛를 초과하면, 투과율이 저하되어 도안층의 도안의 시인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표면 보호층(4)의 두께의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8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33 ㎛이다.
표면 보호층(4)은, 단층으로 구성되어도 2 이상의 복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복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각 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좋으나, 합계의 막 두께가 12 ㎛ 이상 3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보호층(4)에는 우수한 내상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실리카 미립자 등의 무기 미립자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 미립자로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그 평균 입경은 함유시키는 표면 보호층(4)의 층의 막 두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의 층)
화장 시트(10)는, 필요에 따라, 프라이머층, 접착제층 및 백커층 등을 가져도 좋다.
상기 프라이머층으로서는, 공지된 프라이머제를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제로서는, 예컨대, 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아크릴우레탄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우레탄 수지계 프라이머제, 우레탄-셀룰로오스계 수지(예컨대, 우레탄과 질화면의 혼합물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제, 아크릴과 우레탄의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계 프라이머제 등을 들 수 있다. 프라이머제에는,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배합해도 좋다.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탄산칼슘, 클레이 등의 충전제,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난연제, 산화 방지제, 활제, 발포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의 배합량은, 제품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필요에 따라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해도 좋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공지된 자외선 흡수제를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0.01∼10 ㎛가 바람직하고, 0.1∼1 ㎛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층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접착제를 이용하면 된다. 예컨대, 폴리우레탄, 아크릴, 폴리올레핀,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이오노머 등 외에, 부타디엔-아크릴니트릴 고무, 네오프렌 고무, 천연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접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한다.
상기 접착제층은, 건조 후의 두께가 0.1∼30 ㎛ 정도가 바람직하고, 1∼5 ㎛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화장 시트(10)는, 내상성, 내충격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기재 시트(1)의 최하층(상기 도안층(2)이 적층되는 측과 반대측)에 백커층을 가져도 좋다.
상기 백커층으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88941호 공보 등에 개시된 공지된 백커층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기재 시트(1)의 이면(화장 시트(10)의 최이면측에 다른 층을 형성한 경우에는 상기 다른 층의 이면)에, 합성 수지 백커층을 형성한다. 합성 수지 백커층을 형성함으로써, 화장 시트에 우수한 내캐스터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합성 수지 백커층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으로서는 한정적이지 않으나,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PE)(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함), 폴리프로필렌(PP)(호모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함),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메틸렌, 폴리메틸펜텐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비정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PET); 내열성이 높은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예컨대, 에틸렌글리콜의 일부를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이나 디에틸렌글리콜 등으로 치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이른바 상품명 PET-G〔이스트만 케미컬 컴퍼니 제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이미드;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합성 수지 백커층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 중에서도, 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오목부(D1) 및 (D2))
본 발명의 화장 시트는, 도 1에 도시된 화장 시트(10)와 같이, 투명성 수지층(3)은, 도안층(2)을 갖는 측과 반대측에, 도안층(2)의 특징 부분(2a)과 동조한 오목부(D1)를 갖는다. 또한, 이 도안층(2)은, 기재 시트(1)를 갖는 측과 반대측에, 오목부(D1)의 적층 방향에 위치하는 오목부(D2)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D1)는, 도안층(2)의 특징 부분(2a)과 동조한 형상이다.
오목부(D1)는, 도안층(2)의 모양의 특징 부분(2a)의 외곽을 본뜬 형상이어도 좋고, 도안층(2)의 모양의 특징 부분(2a)의 외곽을 간략화한 형상이나, 특징 부분(2a)의 외곽을 축소 또는 확대한 상사(相似) 형상이어도 좋다.
오목부(D1)는, 도안층(2)의 특징 부분(2a)과 동조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도 2의 (a)∼(c)는 본 발명의 화장 시트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오목부(D1)와, 도안층(2)의 특징 부분(2a)의 위치 관계는, 도 2의 (a)∼(c)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즉,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방향에 있어서, 도안층(2)의 특징 부분(2a)과, 오목부(D1)가, 중복되도록 위치해도 좋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안층(2)의 특징 부분(2a)과, 오목부(D1)가, 일부 중복되도록 위치하고 있어도 좋으며,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안층(2)의 특징 부분(2a)과, 오목부(D1)가 중복되어 있지 않도록 위치해도 좋다.
단, 도 2의 (c)라도, 평면에서 본 경우에, 오목부(D1)는, 도안층(2)의 특징 부분(2a)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근방이란, 평면에서 본 경우에, 상기 특징 부분(2a)의 위치와, 상기 특징 부분(2a)에 해당하는 형상의 오목부(D1)의 위치가 3 ㎜ 이하인 것을 말한다.
이들은, 도안층(2)의 디자인에 의해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D1)와 특징 부분(2a)의 동조 관계는, 반드시 의장 전면에 있어서 성립시킬 필요는 없고, 전체의 의장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면, 동조하고 있지 않은 영역이 부분적으로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오목부(D1)의 폭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오목부(D2)는, 오목부(D1)의 적층 방향에 위치한다.
도 2의 (a)∼(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D2)는, 적층 방향에 있어서 오목부(D1)와 중복되는 위치에 갖는다.
또한, 오목부(D2)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안층(2)의 특징 부분(2a)에, 오목부(D2)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안층(2)의 특징 부분(2a)으로부터 비특징 부분(2b)에 걸쳐 오목부(D2)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안층(2)의 특징 부분(2a)에 오목부(D2)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비특징 부분(2b)에 오목부(D2)가 형성되어 있음).
화장 시트(10)에 있어서, 오목부(D1)의 깊이(H)는, 오목부(D2)의 깊이(h)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목부(D1) 및 오목부(D2)를 가짐으로써, 도안층의 도안 모양과, 오목부가 동조하여, 시각적으로 입체감을 갖는 매우 우수한 의장성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D1)의 깊이(H)와, 오목부(D2)의 깊이(h)의 관계는, 서로 적층 방향에 위치하는(평면에서 본 경우에 중복되는) 오목부(D1)와 오목부(D2) 사이에서 각각 성립한다.
화장 시트(10)에 있어서, 입체감을 적합하게 부여하는 관점에서, 오목부(D1)의 깊이(H)에 대한 오목부(D2)의 깊이(h)의 비율(h/H)은, 0.25 이상 0.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6 이상 0.5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28 이상 0.5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30 이상 0.48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오목부(D1)의 깊이(H)로서는, 입체감을 적합하게 부여할 수 있는 크기이면 되고, 예컨대, 50 ㎛ 이상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5 ㎛ 이상 19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부(D2)의 깊이(h)로서는, 예컨대, 13 ㎛ 이상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7 ㎛ 이상 92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깊이(H) 및 깊이(h)의 수치 범위는, 반드시 모든 오목부(D1) 및 오목부(D2)에 있어서 성립시킬 필요는 없고, 전체의 의장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면,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시키지 않는 오목부(D1), 오목부(D2)가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예컨대, 전체의 의장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면, 동조하는 오목부(D1) 및 오목부(D2)에 있어서 깊이(H)>깊이(h)의 대소 관계를 만족시키지 않는 것이 일부 존재해도 좋다.
단, 의장성을 적합하게 부여하는 관점에서는, 화장 시트(10)를 평면에서 보아, 임의의 10 ㎝×10 ㎝의 면적의 서로 적층 방향에 위치하는 오목부(D1)와 오목부(D2)를 확인한 경우에, 깊이(H)>깊이(h)의 대소 관계를 만족시키지 않는 것이 전체의 3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확인은, 후술하는 전자 현미경과 그 측정 조건을 적용하여 행할 수 있다.
오목부(D1)의 폭(W)으로서는, 도안층(2)에 형성된 도안 모양에 따라서도 달라지지만, 예컨대, 400 ㎛ 이상 2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 이상 15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오목부(D2)의 폭(w)으로서는, 예컨대, 5 ㎛ 이상 4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 1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장 시트(10)에서는, 오목부(D1) 및 오목부(D2)의 적층 방향에 위치하는, 기재 시트(1)의 도안층(2)측의 오목부(D3으로 함), 기재 시트(1)의 도안층(2)과 반대측의 오목부(D4로 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오목부의 깊이는, 오목부(D1), 오목부(D2), 오목부(D3), 오목부(D4)의 순서로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장 시트(10)가, 표면 보호층(4)을 갖고, 오목부(D1) 및 오목부(D2)의 적층 방향에 위치하는 표면 보호층(4)의 투명성 수지층(3)과 반대측의 오목부(D5로 함)를 갖는 경우에는, 오목부의 깊이는, 오목부(D5), 오목부(D1), 오목부(D2), 오목부(D3), 오목부(D4)의 순서로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목부(D1∼D5)를 가짐으로써, 도안층의 도안 모양과, 오목부가 동조한 의장성을 적합하게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오목부(D1∼D5)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화장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적합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D1∼D5)의 깊이의 관계는, 서로 적층 방향에 위치하는(평면에서 본 경우에 중복되는) 오목부(D1∼D5) 사이에서 각각 성립한다.
오목부(D1)의 폭(W) 및 깊이(H), 및 오목부(D2)의 폭(w) 및 깊이(h)의 측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화장 시트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의 화장 시트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며, (c)는 본 발명의 화장 시트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 시트(10)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를 선택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한 오목부의 장축 및 단축을 결정한다. 계속해서,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축을 따라 절단하고, 그 절단면을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오목부(D1) 및 (D2)의 폭(W 및 w) 및 깊이(H 및 h)를 측정한다.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D1)의 깊이(H)란, 투명성 수지층(3)의 표면으로부터 오목부(D1)의 최심부까지의 수직 거리를 의미하고, 오목부(D2)의 깊이(h)란, 도안층(2)의 표면으로부터 오목부(D2)의 최심부까지의 수직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오목부의 장축이란, 오목부의 외주의 2점을 연결하는 직선의 길이가 최대가 되는 개소를 말하고, 오목부의 단축이란, 상기 장축의 수직 방향에서 최대가 되는 개소를 말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 시트(10)는, 기재 시트(1)의 한쪽에, 적어도 도안층(2)과, 투명성 수지층(3)과, 표면 보호층(4)을 이 순서로 갖기 때문에, 오목부(D1)의 폭(W)은, 화장 시트(10)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단축보다 작은 값이 된다. 이 경우에는, 오목부의 단축으로 절단한 단면을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b)와 같이 표면 보호층(4)을 갖는 경우라도, 표면 보호층(4)을 통해 전자 현미경 관찰을 함으로써, 오목부(D1)의 폭(W)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D1)의 폭(W) 및 깊이(H), 및 오목부(D2)의 폭(w) 및 깊이(h)는, 화장 시트(10)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를 무작위로 10개소 선택하고, 전술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여 산출한 평균값을 의미한다.
전자 현미경으로의 측정 조건으로서는, 예컨대, 형상 해석 레이저 현미경(측정부 『VK-X1050』, 대좌 『VK-D1』, 컨트롤러 『VK-X1000』(KEYENCE사 제조))을 이용하여, 배율 300배로 관찰하는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착색된 표면 보호층으로 할 때에 사용하는 수지 도료로서는, 예컨대, 우레탄 수지, 아크릴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포함하는, 속건성(速乾性)이 우수한 유기 용제계 도료나, 자연 환경·작업 환경 등에 친화적인 수계 도료 등이 사용 가능하고, 그중에서도, 우레탄계 수지가 혼합된 수계 도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착색제로서는, 전술한 도안층에서 기재한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도료에 의해 착색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제4569720호에 기재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화장 시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화장 시트의 제조 방법은, 예컨대, 도 1의 (a)에 도시된 구성의 경우, 기재 시트의 한쪽에, 특징 부분과 비특징 부분을 구비한 도안층과, 투명성 수지층과, 표면 보호층을 적어도 이 순서로 적층하는 적층 공정과, 상기 표면 보호층의 상기 도안층을 갖는 측과 반대측으로부터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여, 상기 투명성 수지층의 상기 도안층을 갖는 측과 반대측에 상기 도안층의 특징 부분과 동조한 오목부(D1)를 부형(賦形)하는 부형 공정을 갖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형 공정에서는, 상기 도안층의 상기 기재를 갖는 측과 반대측에 상기 오목부(D1)의 적층 방향에 위치하는 오목부(D2)도 부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목부(D1)의 깊이(H)는, 상기 오목부(D2)의 깊이(h)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층 공정은, 기재 시트의 한쪽에, 도안층과, 투명성 수지층과, 표면 보호층을 적어도 이 순서로 적층하는 공정이다.
상기 적층 공정에서는, 전술한 기재 시트(1), 도안층(2), 투명성 수지층(3) 및 표면 보호층(4)을 이용할 수 있고, 기재 시트(1)의 한쪽에, 도안층(2)과, 투명성 수지층(3)과, 표면 보호층(4)을 적어도 이 순서로 적층하면 된다.
전술한 각 층의 한쪽 면이나 층 사이에는, 전술한 접착제층이나 프라이머층을 형성해도 좋다.
이때, 투명성 수지층 및 표면 보호층의 두께를 전술한 범위가 되도록 하고, 또한, 표면 보호층의 원료의 배합비나 경화 처리 조건, 에이징 처리 조건 등을 조정하여, 흐름 방향의 탄성률(EMD) 및 폭 방향의 탄성률(ECD)이나 이들의 비율을 전술한 범위 내가 되도록 조정한다.
상기 적층 공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특징 부분과 비특징 부분을 갖는 도안층을 한쪽 면에 구비하는 기재 시트를 준비하는 준비 공정, 상기 도안층 상에, 투명성 수지층을 라미네이트하는 라미네이트 공정, 및 상기 투명성 수지층 상에, 표면 보호층을 코팅하는 코팅 공정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준비 공정, 라미네이트 공정 및 코팅 공정에 있어서, 도안층, 투명성 수지층 및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각각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부형 공정은, 표면 보호층의 도안층을 갖는 측과 반대측으로부터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여, 도안층의 특징 부분과 동조한 오목부를 부형하는 공정이다.
상기 부형 공정을 가짐으로써, 상기 도안층의 특징 부분과 동조한 오목부(D1)와, 오목부(D1)의 적층 방향의 위치에, 오목부(D1)보다 작은 오목부(D2)가, 오목부(D1)에 추종하여 형성된다.
상기 엠보스 가공으로서는, 예컨대, 주지의 매엽(枚葉), 또는, 윤전식(輪轉式)의 엠보스기에 의한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안층의 도안 모양과 오목부가 안정적으로 동조하고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데, 상기 효과, 동조 의장의 안정성(불균일)은, 상기 엠보스 가공을 윤전식의 엠보스기에 의한 엠보스 가공을 사용한 연속 생산을 전제로 하여 평가하고 있다.
상기 엠보스 가공에서 이용하는 무늬 모양으로서는, 전술한 도안층(2)과 동조하는 디자인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엠보스 가공할 때의 온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가열 압착 성형 시에 오목부가 소실되는 소위 엠보스 복귀가 적어지는 온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의 (b)에 도시된 구성의 경우, 상기 적층 공정에서 표면 보호층을 적층하는 코팅 공정을 행하지 않고, 상기 부형 공정에서 엠보스 가공을 투명성 수지층의 도안층을 갖는 측과 반대측으로부터 행한 후, 표면 보호층을 적층하는 코팅 공정을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장 시트는, 기재의 한쪽에, 도안층과, 투명성 수지층과, 표면 보호층을 적어도 이 순서로 갖고 있고, 투명성 수지층이 도안층의 특징 부분과 동조한 오목부(D1)를 갖고 있으며, 또한 흐름 방향의 탄성률(EMD) 및 폭 방향의 탄성률(ECD)이나 이들의 비율이 소정의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도안층의 도안 모양과, 오목부가 동조한 매우 우수한 의장성을 구비한 것이며, 내상성도 우수한 것이다.
<화장판>
본 발명의 화장판은, 피착재 상에 본 발명의 화장 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착재로서는, 예컨대, 목재 단판, 목재 합판, 파티클 보드, MDF(중밀도 섬유판) 등의 목질판; 석고판, 석고 슬래그판 등의 석고계 판; 규산칼슘판, 석면 슬레이트판, 경량 발포 콘크리트판, 중공 압출 시멘트판 등의 시멘트판; 펄프 시멘트판, 석면 시멘트판, 목편 시멘트판 등의 섬유 시멘트판; 도기, 자기, 토기, 유리, 법랑 등의 세라믹스판; 철판, 아연 도금 강판, 폴리염화비닐졸 도포 강판, 알루미늄판, 동판 등의 금속판; 폴리올레핀 수지판, 폴리염화비닐 수지판, 아크릴 수지판, ABS판, 폴리카보네이트판 등의 열가소성 수지판; 페놀 수지판, 요소 수지판,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판, 폴리우레탄 수지판, 에폭시 수지판, 멜라민 수지판 등의 열경화성 수지판;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수지를, 유리 섬유 부직포, 포백, 종이, 그 외의 각종 섬유질 기재에 함침 경화하여 복합화한 이른바 FRP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이들의 2종 이상을 적층한 복합 기판으로서 이용해도 좋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판이나 열경화성 수지판은 필요에 따라, 착색재(안료 또는 염료), 목분(木粉)이나 탄산칼슘 등의 충전제, 실리카 등의 무광택제, 발포제, 난연제, 탤크 등의 활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화제 등의 각종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피착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피착재에 본 발명의 화장 시트를 적층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전술한 프라이머층을 통해 적층하거나, 전술한 접착제층을 통해 적층하거나 하는 수단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기재 시트로서 60 ㎛ 두께의 착색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준비하여, 기재 시트의 이면에 이면 프라이머층(두께 2 ㎛)을 형성하고, 기재 시트의 표면에, 두께 2 ㎛가 되도록 나뭇결 무늬의 도안층을 그라비아 인쇄에 의해 형성하였다.
도안층 상에 우레탄계 수지를 이용하여 두께 2 ㎛가 되도록 투명성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형성한 투명성 접착제층 상에, 두께 100 ㎛가 되도록 투명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시트를 압출 라미네이트 방식으로 적층하여, 투명성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투명성 수지층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후, 2액 경화형 우레탄 수지를 도공함으로써 프라이머층(표면 보호층 형성용 프라이머층, 두께 2 ㎛)을 형성하였다.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전자선 경화형 수지(EB 수지)를 경화 후 두께 30 ㎛(하층 15 ㎛, 상층 15 ㎛)가 되도록 그라비아 코트 방식으로 다층 도공한 후, 산소 농도 200 ppm 이하의 환경하, 전자선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가속 전압 175 KeV, 5 Mrad의 조건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여, 전자선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하층 및 상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이하와 같았다.
하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전자선 경화형 수지는, 도막 두께 이하의 입자 직경의 실리카 미립자(입자 직경 6 ㎛)를 전자선 경화형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30 질량부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상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전자선 경화형 수지는, 도막 두께 이하의 입자 직경의 실리카 미립자(입자 직경 12 ㎛)를 전자선 경화형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10 질량부 함유하고, 또한, 도막 두께보다 큰 입자 직경의 실리카 미립자(입자 직경 20 ㎛)를 전자선 경화형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10 질량부 함유하고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된 표면 보호층을, 적외선 비접촉 방식의 히터로 가열함으로써, 기재 시트 및 투명성 수지층을 연화시키고, 즉시 열압에 의한 엠보스 가공을 행하여, 표면 보호층 상에 나뭇결 무늬의 오목부를 형성하여,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이용한 기재 시트는, 고온 환경하에서는 상온 환경하와 비교하여 연질의 거동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4, 비교예 1)
투명성 수지층, 표면 보호층의 두께, 및 흐름 방향의 탄성률(EMD)과 폭 방향의 탄성률(ECD)이 하기 표 1에 나타낸 값이 되도록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비교예 1은 기재 시트로서 제막(製膜) 후에 어닐링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 시트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5)
기재 시트로서 60 ㎛ 두께의 착색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준비하여, 기재 시트의 이면에 이면 프라이머층(두께 2 ㎛)을 형성하고, 기재 시트의 표면에, 두께 2 ㎛가 되도록 나뭇결 무늬의 도안층을 그라비아 인쇄에 의해 형성하였다.
도안층 상에 우레탄계 수지를 이용하여 두께 2 ㎛가 되도록 투명성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형성한 투명성 접착제층 상에, 두께 100 ㎛가 되도록 투명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시트를 압출 라미네이트 방식으로 적층하여, 투명성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투명성 수지층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후, 2액 경화형 우레탄 수지를 도공함으로써 프라이머층(표면 보호층 형성용 프라이머층, 두께 2 ㎛)을 형성하였다.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전자선 경화형 수지(EB 수지)를 경화 후 두께 30 ㎛(하층 15 ㎛, 상층 15 ㎛)가 되도록 그라비아 코트 방식으로 다층 도공한 후, 산소 농도 200 ppm 이하의 환경하, 전자선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가속 전압 175 KeV, 5 Mrad의 조건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여, 전자선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하층 및 상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이하와 같았다.
하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전자선 경화형 수지는, 도막 두께 이하의 입자 직경의 실리카 미립자(입자 직경 6 ㎛)를 전자선 경화형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30 질량부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상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전자선 경화형 수지는, 도막 두께 이하의 입자 직경의 실리카 미립자(입자 직경 12 ㎛)를 전자선 경화형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10 질량부 함유하고, 또한, 도막 두께보다 큰 입자 직경의 실리카 미립자(입자 직경 20 ㎛)를 전자선 경화형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10 질량부 함유하고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된 표면 보호층을, 적외선 비접촉 방식의 히터로 가열함으로써, 기재 시트 및 투명성 수지층을 연화시키고, 즉시 열압에 의한 엠보스 가공을 행하여, 표면 보호층 상에 나뭇결 무늬의 오목부를 형성하여,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이용한 기재 시트는, 고온 환경하에서는 상온 환경하와 비교하여 연질의 거동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8, 비교예 2)
투명성 수지층, 표면 보호층의 두께, 및 흐름 방향의 탄성률(EMD)과 폭 방향의 탄성률(ECD)이 하기 표 2에 나타낸 값이 되도록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비교예 2는 기재 시트로서 제막 후에 40℃ 환경하에서 96시간 추가 어닐링 처리를 행하여, 시트의 결정화를 촉진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의장성>
제작한 실시예, 비교예에 따른 화장 시트를 상면으로부터 육안으로 관찰하여, 도안층의 도안 모양과, 오목부가 동조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이하에 나타내는 판단 기준에 의해, 사람의 감성에 기초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그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동조하고 있는 것처럼 느끼고, 보다 입체적인 의장성을 느낀다.
+: 동조하고 있는 것처럼 느낀다.
-: 어긋남이 시인되어, 동조하고 있는 것처럼 느끼지 않는다.
<탄성률(화장 시트)>
JIS-K6732에 준거한 덤벨형 시험편에 실시예, 비교예에 따른 화장 시트를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펀칭하여, 제작한 시험편을 20℃의 온도 조건하에서, 인장 속도 50 ㎜/min, 척 간 거리 80 ㎜의 조건으로 인장 시험(사용 기계: ORIENTEC 제조 텐실론 만능 재료 시험기 RTC-1250A)을 행하고, 얻어진 인장 응력-변형 곡선의 처음의 직선 부분으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흐름 방향의 탄성률(EMD) 및 폭 방향의 탄성률(ECD)을 계산하였다.
E=Δρ/Δε
E: 탄성률
Δρ: 직선 상의 2점 간의 원래 평균 단면적에 의한 응력차
Δε: 동일한 2점 간의 변형차
<탄성률(기재 시트)>
JIS-K6732에 준거한 덤벨형 시험편에 실시예, 비교예에 이용한 기재 시트를 흐름 방향으로 펀칭하여, 제작한 시험편을 40℃의 온도 조건하에서, 인장 속도 50 ㎜/min, 척 간 거리 80 ㎜의 조건으로 인장 시험(사용 기계: ORIENTEC 제조 텐실론 만능 재료 시험기 RTC-1250A)을 행하고, 얻어진 인장 응력-변형 곡선의 처음의 직선 부분으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흐름 방향의 탄성률(EMD-b)을 계산하였다.
E=Δρ/Δε
E: 탄성률
Δρ: 직선 상의 2점 간의 원래 평균 단면적에 의한 응력차
Δε: 동일한 2점 간의 변형차
<내상성>
제작한 실시예, 비교예에 따른 화장 시트를 MDF 기재에 라미네이트한 후, JAS 플로어링 마모 A 시험에 기초하여 마모 시험을 행하여, 내상성을 평가하였다.
테이버 마모 시험기를 사용하여, 연마지: S-42, 하중 1000 g(편륜(片輪) 하중 500 g×2개, 고무제 원반의 하중을 포함함)의 조건으로 1200 회전의 시험을 행하고,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를 행하였다.
+: 시험 부분의 도안층의 잔존 면적이 50% 이상인 것.
-: 시험 부분의 도안층의 잔존 면적이 50% 미만인 것.
<동조 의장 안정성: 불균일>
제작한 실시예, 비교예에 따른 화장 시트 1000장을 상면으로부터 육안으로 관찰하여, 도안층의 도안 모양과, 투명성 수지층의 오목부의 흐름 방향의 어긋남량을 메저(measure)로 계측한 후, 예상 어긋남에 대한 표준 정규 분포를 산출하고, 표준 편차 ±3σ의 값으로부터 이하의 내용으로 불균일의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3σ란, 표준 편차의 정규 분포의 히스토그램의 총 면적 100%에 대해 99.7%의 확률로 측정 데이터가 존재하고 있는 범위이다.
그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표준 편차 ±3σ가 3 ㎜ 미만
-: 표준 편차 ±3σ가 3 ㎜ 이상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성 수지층이 도안층의 특징 부분과 동조한 오목부(D1)를 갖고, 기재 시트의 40℃ 환경하에 있어서의 흐름 방향의 탄성률(EMd-b)이 소정의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도안층의 나뭇결 무늬와 오목부가 동조한 매우 우수한 의장성을 발휘하고, 내상성 및 동조 의장 안정성도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기재 시트의 흐름 방향의 탄성률이 작은 비교예 1에 따른 화장 시트는, 의장성이나 내상성은 우수하였으나 동조 의장 안정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성 수지층이 도안층의 특징 부분과 동조한 오목부(D1)를 갖고, 투명성 수지층 및 표면 보호층의 두께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도안층의 나뭇결 무늬와 오목부가 동조한 매우 우수한 의장성을 발휘하고, 내상성 및 동조 의장 안정성도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기재 시트의 열기계 특성이 작은 비교예 2에 따른 화장 시트는, 의장성이나 내상성은 우수하였으나 동조 의장 안정성이 뒤떨어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화장 시트는, 도안층의 도안 모양과 오목부가 동조한 매우 우수한 의장성과 우수한 내상성을 갖기 때문에, 화장판 등에 구비하는 화장 시트로서 매우 유용하다.
1: 기재 시트 2: 도안층
2a: 특징 부분 2b: 비특징 부분
3: 투명성 수지층 4: 표면 보호층
10: 화장 시트

Claims (8)

  1. 기재(基材) 시트의 한쪽에, 도안층과, 투명성 수지층과, 표면 보호층을 적어도 이 순서로 갖는 화장 시트로서,
    상기 도안층은, 특징 부분과 비특징 부분을 구비한 나뭇결 무늬이고,
    상기 투명성 수지층은, 상기 도안층을 갖는 측과 반대측에, 상기 도안층의 특징 부분과 동조한 오목부(D1)를 가지며,
    상기 기재 시트는,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고온 환경하에서는 상온 환경하와 비교하여 연질의 거동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는, 40℃ 환경하에서의 흐름 방향의 탄성률이 350 ㎫ 이상 600 ㎫ 이하인 화장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 시트의 열기계 분석에 있어서, 20℃ 환경하에서의 길이에 대해, 하중 속도 50 mN/min, 120℃ 환경하에서의 흐름 방향 신장률이 6% 이상 10% 이하인 화장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 시트는, 20℃ 환경하에서의 흐름 방향의 탄성률(EMD)과 폭 방향의 탄성률(ECD)이 모두 750 ㎫ 이상 1100 ㎫ 이하이고,
    상기 흐름 방향과 폭 방향의 탄성률의 비율(EMD/ECD)이 1.00 이상 1.20 이하인 화장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안층의 특징 부분은, 나뭇결의 도관, 마디, 나이테 및 반점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안층의 특징 부분과 비특징 부분의 색차 ΔE가 1.3 이상인 화장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는, 두께가 50 ㎛ 이상 70 ㎛ 이하의 착색 폴리올레핀계 필름인 화장 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성 수지층은, 두께가 75 ㎛ 이상 110 ㎛ 이하이고, 상기 표면 보호층은, 두께가 12 ㎛ 이상 35 ㎛ 이하인 화장 시트.
  8. 피착재 상에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 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KR1020247006491A 2021-07-28 2021-09-30 화장 시트, 및 화장판 KR202400407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23747A JP2023019214A (ja) 2021-07-28 2021-07-28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JP-P-2021-123746 2021-07-28
JPJP-P-2021-123747 2021-07-28
JP2021123746A JP2023019213A (ja) 2021-07-28 2021-07-28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PCT/JP2021/036153 WO2023007757A1 (ja) 2021-07-28 2021-09-30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784A true KR20240040784A (ko) 2024-03-28

Family

ID=85086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6491A KR20240040784A (ko) 2021-07-28 2021-09-30 화장 시트, 및 화장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0784A (ko)
WO (1) WO202300775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1871A (ja) 2015-06-01 2016-12-28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の製造装置、及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7407A (ja) * 1997-02-03 1998-08-18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569720B2 (ja) 2000-04-05 2010-10-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床材用化粧材
JP2008143017A (ja) * 2006-12-08 2008-06-26 Toppan Cosmo Inc エンボス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065709B2 (ja) 2013-03-28 2017-01-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6520129B2 (ja) * 2014-01-10 2019-05-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1871A (ja) 2015-06-01 2016-12-28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の製造装置、及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07757A1 (ja)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9908B2 (en) Shaping sheet, resin decorative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481300B2 (en) Mirror surface decorative sheet having crack elongation and specified surface roughness, and mirror surface decorative plate using same
JP4978362B2 (ja) 化粧シート
US8187695B2 (en) Shaping sheet, resin decorative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6507473B2 (ja) 化粧シート
US20230382156A1 (en) Raised woodgrain finish decorative material
KR101170872B1 (ko) 화장 시트
JP2019038195A (ja) 暗色絵柄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部材
JP6369084B2 (ja)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板
JP4858053B2 (ja) 化粧シート
KR20240040784A (ko) 화장 시트, 및 화장판
JP5760900B2 (ja) 真空成形用化粧シート
JP7225635B2 (ja) 化粧材
WO2021149803A1 (ja) 化粧シート、化粧板及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23019214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2023019213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2022149354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2022149353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AU2019242685B2 (en) Raised woodgrain finish decorative material
JP2019038194A (ja)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材
JP2022148249A (ja)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WO2021066035A1 (ja) 床用化粧材
JP7119825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2022151531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2022057604A (ja)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化粧シートの製造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