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036A -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036A
KR20240037036A KR1020220115811A KR20220115811A KR20240037036A KR 20240037036 A KR20240037036 A KR 20240037036A KR 1020220115811 A KR1020220115811 A KR 1020220115811A KR 20220115811 A KR20220115811 A KR 20220115811A KR 20240037036 A KR20240037036 A KR 20240037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screen door
railway
entranc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서준
정재환
Original Assignee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5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036A/ko
Priority to PCT/KR2023/009586 priority patent/WO2024058382A1/ko
Publication of KR20240037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0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61L25/025Absolute localisation, e.g. providing geodetic coordin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responsive to devices carried by persons or objects, e.g. magnets or refl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3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 E06B11/026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horizont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철도 차량이 정차하는 승강장에 설치되어 선로와 승강장을 분리하며, 서로 다른 종류의 철도 차량에 대한 출입 도어와 선택적으로 또는 공통으로 대응되게 개폐 가능한 출입구를 설치하고, 진입하는 철도 차량에 대응되는 출입구만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제어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의 철도 차량에 대해서도 모두 안정적인 승하차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PLATFORM SCREEN DOOR SYSTEM FOR DIFFERENT RAIL VEHICLE}
본 발명은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종류의 철도 차량이 정차하는 승강장에 설치되어 선로와 승강장을 분리하며, 서로 다른 종류의 철도 차량에 대한 출입 도어와 선택적으로 또는 공통으로 대응되게 개폐 가능한 출입구를 설치하고, 진입하는 철도 차량에 대응되는 출입구만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제어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의 철도 차량에 대해서도 모두 안정적인 승하차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철역이나 지하철역에는 전동차가 이동 또는 정지할 수 있는 선로와, 승객이 전동차에 승차하거나 하차하기 위한 승강장이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있다. 이 같은 구조에 따라 선로를 통해 전동차가 승강장으로 진입하여 정차한 상태에서, 전동차의 도어가 개방되면 승객은 승차하거나 하차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승강장과 선로 사이에는 아무런 보호대 또는 경계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승객이 선로로 떨어져 부상을 입거나, 전동차의 진입시 자,타의적으로 떨어져 치명적인 상해를 입거나 생명을 잃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승강장의 일정위치에 다양한 형태의 안전보호대 등을 설치하고 있으나, 전동차가 정지한 경우 도어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이들 안전보호대를 설치할 수 없어 전술된 바와 같은 사고를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동차의 도어와 연계하여 스크린도어를 슬라이딩 작동시켜 승객들로 하여금 안정적으로 승하차할 수 있도록 승강장 스크린 도어(PSD: Platform Screen Door)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승강장 스크린 도어는 승강장의 연단부에 전동차의 진행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수직빔이 복수개 설치되고, 서로 인접한 수직빔의 사이에 각각 스크린 도어 모듈이 설치된다. 스크린 도어 모듈은, 일반적으로 수직빔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수평 레일과, 수직빔 사이 영역 중 일부 영역에 승객이 승하차하는 출입구가 형성되도록 수직빔 사이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 도어와, 수직빔 사이에서 수평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하며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작동하는 가동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동 도어는 전동차의 출입도어와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제어부에 의해 동작 제어된다.
일반적인 승강장은 어느 한 종류의 전동차가 진입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승강장 스크린 도어 또한 해당 전동차가 진입 정차한 상태에서 전동차의 출입도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전동차의 출입도어 개폐 상태에 연동하여 가동 도어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최근 철도 노선의 확대에 따라 하나의 철도 역사에 지하철 형태의 전동차 뿐만 아니라 일반 철도 차량 또는 고속 철도 차량 등 다양한 종류의 철도 차량이 모두 진입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철도 역사의 공간 활용 측면 등을 고려하여 하나의 승강장에 여러가지 종류의 철도 차량이 모두 진입 가능한 형태로 승강장이 설계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승강장에 다양한 종류의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철도 차량의 길이, 형상을 비롯하여 출입 도어의 위치 등이 각 철도 차량마다 서로 다르게 형성되므로, 기존의 일반적인 승강장 스크린 도어만으로는 서로 다른 종류의 철도 차량에 대한 안전 승하차 기능을 제공할 수 없다. 특히, 철도 차량의 종류마다 출입 도어의 위치가 다르므로, 가동 도어에 의해 개페되는 스크린 도어의 출입구 위치가 고정된 일반적인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는 서로 다른 철도 차량에 모두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3-0024614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종류의 철도 차량이 정차하는 승강장에 설치되어 선로와 승강장을 분리하며, 서로 다른 종류의 철도 차량에 대한 출입 도어와 선택적으로 또는 공통으로 대응되게 개폐 가능한 출입구를 설치하고, 진입하는 철도 차량에 대응되는 출입구만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제어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의 철도 차량에 대해서도 모두 안정적인 승하차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각 차량마다 일측면에 4개씩의 출입 도어가 형성되는 제 1 철도 차량과, 각 차량마다 일측면에 1개씩의 출입 도어가 형성되는 제 2 철도 차량이 정차하는 승강장에 설치되어 선로와 승강장을 분리 구획하는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로서, 승강장의 연단부를 따라 복수개 설치되고, 각각 가동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출입구는 상기 제 1 철도 차량 또는 제 2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정차한 상태에서 제 1 철도 차량 또는 제 2 철도 차량의 출입 도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스크린 도어 모듈; 승강장에 진입하는 철도 차량의 종류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 수단; 및 상기 차량 감지 수단의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승강장에 진입하는 철도 차량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스크린 도어 모듈 중 일부의 스크린 도어 모듈에 대해 가동 도어가 개폐되도록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복수개의 상기 스크린 도어 모듈 중 일부(제 1 군)는 해당 스크린 도어 모듈의 출입구 영역이 상기 승강장에 정차한 제 1 철도 차량의 출입 도어 영역과 겹치도록 설치되고, 또 다른 일부(제 2 군)는 해당 스크린 도어 모듈의 출입구 영역이 상기 승강장에 정차한 제 2 철도 차량의 출입 도어 영역과 겹치도록 설치되며, 나머지(제 3 군)는 해당 스크린 도어 모듈의 출입구 영역이 상기 승강장에 정차한 제 1 철도 차량의 출입 도어 영역 및 제 2 철도 차량의 출입 도어 영역과 동시에 겹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승강장에 상기 제 1 철도 차량이 진입한 경우, 상기 제 1 군 및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의 가동 도어가 개폐되도록 동작 제어되고, 승강장에 상기 제 2 철도 차량이 진입한 경우, 상기 제 2 군 및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의 가동 도어가 개폐되도록 동작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군, 제 2 군 및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은 각각의 출입구 개구폭 및 중심 위치와 각각의 출입구에 대응되는 철도 차량의 출입 도어의 개구폭 및 중심 위치에 대한 상호 관계에 따라 상기 출입구의 개구폭 및 가동 도어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군, 제 2 군 및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의 가동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 작동하는 경우, 전체 스크린 도어 모듈의 가동 도어의 폐쇄 작동 완료 시점이 모두 동일하도록 일부 스크린 도어 모듈의 가동 도어는 그 폐쇄 작동 시작 시점이 일정 시간 지연된 상태로 작동 시작하도록 동작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로 구간에는 상기 승강장에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과정에서 철도 차량의 위치를 측정하고 정지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정지 위치 알림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지 위치 알림 수단은, 상기 선로 구간에서 상기 제 1 철도 차량의 정지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철도 차량과의 거리를 연속 측정하는 제 1 거리 측정 센서; 상기 선로 구간에서 상기 제 2 철도 차량의 정지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철도 차량과의 거리를 연속 측정하는 제 2 거리 측정 센서; 및 상기 제 1 철도 차량 및 제 2 철도 차량의 정지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철도 차량 또는 제 2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거리 측정 센서 또는 제 2 거리 측정 센서의 측정값을 기초로 판단된 상기 제 1 철도 차량 또는 제 2 철도 차량의 정지 위치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연속 표시하는 정지 위치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거리 측정 센서 및 제 2 거리 측정 센서의 측정값은 상기 제어부에 인가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감지 수단의 감지 신호에 의해 판단된 철도 차량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 1 거리 측정 센서 및 제 2 거리 측정 센서의 측정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 1 철도 차량 또는 제 2 철도 차량의 정지 위치까지의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 결과가 상기 정지 위치 표시기에 표시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지 위치 알림 수단은, 상기 선로 구간에서 상기 제 1 철도 차량 및 제 2 철도 차량의 정지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철도 차량 및 제 2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철도 차량 및 제 2 철도 차량과의 거리를 연속 측정하는 제 1 거리 측정 센서; 및 상기 제 1 철도 차량 및 제 2 철도 차량의 정지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철도 차량 또는 제 2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거리 측정 센서의 측정값을 기초로 판단된 상기 제 1 철도 차량 또는 제 2 철도 차량의 정지 위치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연속 표시하는 정지 위치 표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거리 측정 센서의 측정값은 상기 제어부에 인가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감지 수단의 감지 신호에 의해 판단된 철도 차량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 1 거리 측정 센서의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제 1 철도 차량 또는 제 2 철도 차량의 정지 위치까지의 거리를 각각 서로 다르게 보정 연산하고, 연산 결과가 상기 정지 위치 표시기에 표시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종류의 철도 차량이 정차하는 승강장에 설치되어 선로와 승강장을 분리하며, 서로 다른 종류의 철도 차량에 대한 출입 도어와 선택적으로 또는 공통으로 대응되게 개폐 가능한 출입구를 설치하고, 진입하는 철도 차량에 대응되는 출입구만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제어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의 철도 차량에 대해서도 모두 안정적인 승하차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종류의 철도 차량의 출입 도어의 개구폭 및 위치에 대한 상호 관계에 따라 출입구의 개구폭 및 가동 도어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함과 동시에 가동 도어의 폐쇄 작동 완료 시점을 동일하게 제어함으로써, 철도 차량의 출발 신호 안정성을 향상하고 승객의 안전한 승하차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의 전체적인 레이아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구간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 구간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C 구간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D 구간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E 구간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F 구간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슬라이드 방식의 스크린 도어 모듈에 대한 작동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슬라이드 방식의 스크린 도어 모듈에 대한 작동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의 제어 관련 구성을 기능적으로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의 전체적인 레이아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구간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 구간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C 구간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D 구간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E 구간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F 구간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슬라이드 방식의 스크린 도어 모듈에 대한 작동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슬라이드 방식의 스크린 도어 모듈에 대한 작동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는 각 차량마다 일측면에 4개씩의 출입 도어(11)가 형성되는 제 1 철도 차량(10)과, 각 차량마다 일측면에 1개씩의 출입 도어(21)가 형성되는 제 2 철도 차량(20)이 정차하는 승강장에 설치되어 선로와 승강장을 분리 구획하는 장치로서, 승강장의 연단부에 철도 차량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 설치되는 수직빔(100)과, 서로 인접한 수직빔(100)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200a,200b,200c)을 포함한다.
스크린 도어 모듈(20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수직빔(100)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수평 레일(230)과, 수직빔(100) 사이 영역 중 일부 영역에 출입구(201)가 형성되도록 수직빔(100)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도어(210)와, 수직빔(100) 사이에서 수평 레일(230)을 따라 수평 이동하며 출입구(201)를 개폐하도록 작동하는 가동 도어(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고정 도어(210)는 비상시 수동으로 개방될 수 있는 형태로 비상 도어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고정 도어는 비상 도어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철도 차량(10)은 6량이 연결된 지하철 전동 차량으로 적용되고, 제 2 철도 차량(20)은 6량이 연결된 고속 철도 차량으로 적용되며, 각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정차한 상태에서 각 철도 차량의 출입 도어(1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스크린 도어 모듈(200)의 출입구(201)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제 1 철도 차량(10)이 정지하는 위치와 제 2 철도 차량(20)이 정지하는 위치는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제 1 철도 차량(10)의 출입 도어(11)와 제 2 철도 차량(20)의 출입 도어(21)는 각 철도 차량이 정지한 위치에서 각각 서로 적어도 일부 구간 겹쳐지게 위치하거나 또는 전혀 겹치지 않는 독립적 위치에 위치한다.
별도의 정지 위치 알림 수단에 의해 제 1 철도 차량(10)과 제 2 철도 차량(20)에 대해 서로 다른 정지 위치가 전송되며, 이와 같이 전송된 정지 위치에 따라 제 1 철도 차량(10)과 제 2 철도 차량(20)이 서로 다른 위치에 정지하게 되는데, 이때, 제 1 철도 차량(10)의 정지 위치와 제 2 철도 차량(20)의 정지 위치는 각각의 철도 차량이 정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가급적 많은 수의 출입 도어(11,21)가 서로 겹쳐지게 위치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철도 차량(10)과 제 2 철도 차량(20)은 그 전체 길이가 서로 다르므로, 철도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최외곽의 출입 도어(11,21)의 위치로부터 전방 및 후방 구간에는 단순히 승강장과 선로를 구획 차단할 수 있는 안전 차단판(30)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a)과, 제 2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b)과,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c) 이상 3가지 종류를 갖는다.
제 1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a)은 제 1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a)의 출입구(201) 영역이 승강장에 정차한 제 1 철도 차량(10)의 출입 도어(11) 영역에만 겹치도록 설치된다. 제 2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b)은 제 2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b)의 출입구(201) 영역이 승강장에 정차한 제 2 철도 차량(20)의 출입 도어(21) 영역에만 겹치도록 설치된다.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c)은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c)의 출입구(201) 영역이 승강장에 정차한 제 1 철도 차량(10)의 출입 도어(11) 영역 및 제 2 철도 차량(20)의 출입 도어(21) 영역과 동시에 겹치도록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은 해당 출입구(201)의 개구폭(X)이 이에 대응되는 철도 차량의 출입 도어 개구폭(d1,d2,d3)보다 기준치 이상 더 크게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 1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a)은 출입구(201)의 개구폭(X)이 제 1 철도 차량(10)의 출입 도어(11)의 개구폭(d1)보다 기준치 이상 더 크게 형성되고, 제 2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b)은 출입구(201)의 개구폭(X)이 제 2 철도 차량(20)의 출입 도어(21)의 개구폭(d2)보다 기준치 이상 더 크게 형성되며,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c)은 출입구(201)의 개구폭(X)이 승강장에 정차한 제 1 철도 차량(10)의 출입 도어(11)와 제 2 철도 차량(20)의 출입 도어(21)가 적어도 일부 겹침 상태에서 형성될 수 있는 겹침 출입 도어(11,21)의 최대 개구폭(d3)보다 기준치 이상 더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스크린 도어 모듈(200)의 출입구(201)의 개구폭(X)이 철도 차량의 출입 도어의 개구폭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스크린 도어 모듈(200)을 통한 승객의 승하차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스크린 도어 모듈(200)은 가동 도어(220)의 작동 방식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슬라이드 구조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슬라이드 구조로 형성된다.
단일 슬라이드 구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 도어(210)가 배치되고 중심부에 가동 도어(220)가 배치되며, 가동 도어(220)는 2개의 도어 패널(220a)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수직빔(100) 사이 공간의 상단부에는 수평 레일(230)이 형성되고, 도어 패널(220a)은 수평 레일(230)을 따라 수평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어 패널(220a)을 이동시키는 도어 구동부(240)가 수직빔(100) 사이 공간의 상단부에 배치되는데, 도어 구동부(240)는 양측단부에 배치되는 회전 풀리(241)와, 양단이 회전 풀리(241)에 권취되어 회전 이동하는 이송 벨트(242)와, 회전 풀리(241)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2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도어 패널(220a)은 이송 벨트(242)의 상부 구간 및 하부 구간에 각각 별도의 연결 브래킷을 통해 결합되며, 이송 벨트(242)의 회전 이동에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중 슬라이드 구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 도어(210)가 배치되고 중심부에 가동 도어(220)가 배치되며, 가동 도어(220)는, 2개의 좌측 도어 패널(220a)과 2개의 우측 도어 패널(220a)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하고, 2개의 좌측 도어 패널(220a)은 좌측의 고정 도어(210) 영역으로 접철되거나 전개되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2개의 우측 도어 패널(220a)은 우측의 고정 도어(210) 영역으로 접철되거나 전개되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중 슬라이드 구조에서는 한 쌍의 좌우측 도어 패널(220a)과 나머지 한 쌍의 좌우측 도어 패널(220a)이 각각 서로 다른 수평 레일(230,230-1)을 따라 이동하도록 2개의 수평 레일(230,230-1)이 배치된다. 도어 구동부(240)는 각각 양측단부에 배치되는 2쌍의 회전 풀리(241)와, 각 쌍의 회전 풀리(241)에 각각 권취되어 회전 이동하는 2개의 이송 벨트(242,242-1)와, 회전 풀리(241)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2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개의 이송 벨트(242,242-1)는 별도의 결합구(244)를 통해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구동 모터(243)가 어느 하나의 회전 풀리(241)만을 회전 구동하면, 2개의 이송 벨트(242,242-1)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한 쌍의 좌우측 도어 패널(220a)은 1개의 이송 벨트(242)의 상부 구간 및 하부 구간에 각각 별도의 연결 브래킷을 통해 결합되고, 나머지 한 쌍의 좌우측 도어 패널(220a)은 나머지 1개의 이송 벨트(242-1)의 상부 구간 및 하부 구간에 각각 별도의 연결 브래킷을 통해 결합된다. 2개의 이송 벨트(242,242-1)의 회전 이동에 따라 2개의 좌측 도어 패널(220a)과 2개의 우측 도어 패널(220a)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한다. 도 9에 도시된 이중 슬라이드 구조는 개념적인 형태로 구조를 단순화하여 도시한 것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이중 슬라이드 구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은, 그 작동 구조상 단일 슬라이드 구조에 비해 출입구(201)의 개구폭(X)이 상대적으로 더 넓게 형성될 수 있고, 출입구(201)의 개구폭(X)이 넓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신속한 개폐 동작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 1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a)과, 제 2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b)과,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c)의 설치 위치 및 형태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본다.
먼저, 제 2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b)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 설치되며,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c) 중 일측 방향 최외곽에 설치된 스크린 도어 모듈과 이에 인접한 제 1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a)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 2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위치한 수직빔(100) 사이에 가동 도어(220)와 고정 도어(210)가 하나씩 배치되며, 가동 도어(220)는 2개의 도어 패널(220a)이 고정 도어(210) 영역으로 접철되거나 전개되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중 슬라이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는 4개의 도어 패널(220a)이 2개씩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접철되거나 전개되도록 이동하는 이중 슬라이드 구조에 대해 도시되어 있는데, 제 2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b)은 도 9에 도시된 구성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만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가동 도어(220)에 2개의 도어 패널(220a)만 구비되고, 2개의 도어 패널(220a)이 하나의 고정 도어(210) 영역으로 접철되어 출입구(201)를 개방하거나 또는 고정 도어(210)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전개되어 출입구(201)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b)은 해당 출입구(201) 영역이 제 2 철도 차량(20)의 출입 도어(21) 영역에만 대응되는 것이고, 제 1 군 및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c)은 해당 출입구(201) 영역이 제 1 철도 차량(10)의 출입 도어(11) 영역과 단독 또는 공동으로 대응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는 제 1 철도 차량(10)의 출입 도어(11)의 개수에 대응되는 출입구(201) 개수에 더하여 제 2 철도 차량(20)의 출입 도어(21)에 대응되는 출입구(201)(제 2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b)의 출입구(201))가 1개만 추가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제 1 철도 차량(10)의 출입 도어(11)에만 대응되는 제 1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a)은 일반적인 단일 슬라이드 구조 또는 이중 슬라이드 구조를 갖는다.
제 1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a) 중 출입구(201)의 중심(CL)이 제 1 철도 차량(10)의 출입 도어(11)의 중심(C)과 일치하는 스크린 도어 모듈(200a)은,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 도어(210)가 배치되고 중심부에 가동 도어(220)가 배치되며, 가동 도어(220)는 2개의 도어 패널(220a)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하는 단일 슬라이드 구조로 형성된다.
제 1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a) 중 출입구(201)의 중심(CL)이 제 1 철도 차량(10)의 출입 도어(11)의 중심(C)과 일치하지 않는 스크린 도어 모듈(200a-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위치한 수직빔(100) 사이에 가동 도어(220)와 고정 도어(210)가 하나씩 배치되며, 가동 도어(220)는 2개의 도어 패널(220a)이 고정 도어(210) 영역으로 접철되거나 전개되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중 슬라이드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이중 슬라이드 구조는 제 2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b)과 마찬가지로, 도 9에 도시된 구성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만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a)은 출입구(201)의 중심(CL)이 제 1 철도 차량(10)의 출입 도어(11)의 중심(C)과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단일 슬라이드 구조 또는 이중 슬라이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호 중심이 불일치하는 경우, 이중 슬라이드 구조를 통해 상대적으로 넓은 개구폭(X)을 가짐과 동시에 전체 스크린 도어 모듈의 폭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할 수 있어 전체적인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c)은 출입구(201)의 개구폭(X)이 제 1 및 제 2 철도 차량(10,20)의 출입 도어(11,22)가 적어도 일부 겹침 상태에서 형성될 수 있는 겹침 출입 도어(11,21)의 최대 개구폭(d3)보다 기준치 이상 더 크게 형성되는데, 이때, 대응되는 겹침 출입 도어(11,21)의 최대 개구폭(d3)이 제 1 철도 차량(10)의 출입 도어(11)의 개구폭(d1)보다 큰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철도 차량(10)의 출입 도어(11)의 개구폭(d1)은 제 2 철도 차량(20)의 출입 도어(21)의 개구폭(d2)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철도 차량(10,20)의 출입 도어(11,22)가 완전히 겹쳐지게 위치하면, 겹침 출입 도어(11,22)의 최대 개구폭(d3)은 제 1 철도 차량(10)의 출입 도어(11)의 개구폭(d1)과 동일하며, 제 1 및 제 2 철도 차량(10,20)의 출입 도어(11,22)가 일부만 겹쳐지게 위치하면, 겹침 출입 도어(11,22)의 최대 개구폭(d3)은 제 1 철도 차량(10)의 출입 도어(11)의 개구폭(d1)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 경우, 겹침 출입 도어(11,22)의 최대 개구폭(d3)이 제 2 철도 차량(20)의 출입 도어(21)의 개구폭(d2)보다 더 큼은 당연하다.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c) 중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c)의 출입구(201)와 대응되는 겹침 출입 도어(11,21)의 최대 개구폭(d3)이 제 1 철도 차량(10)의 출입 도어(11)의 개구폭(d1)보다 큰 경우, 즉, 제 1 및 제 2 철도 차량(10,20)의 출입 도어(11,22)가 일부만 겹쳐지게 위치하는 경우, 해당 스크린 도어 모듈(200c-1)은,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 도어(210)가 배치되고 중심부에 가동 도어(220)가 배치되며, 가동 도어(220)는, 2개의 좌측 도어 패널(220a)과 2개의 우측 도어 패널(220a)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하고, 2개의 좌측 도어 패널(220a)은 좌측의 고정 도어(210) 영역으로 접철되거나 전개되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중 슬라이드 구조로 형성되고, 2개의 우측 도어 패널(220a)은 우측의 고정 도어(210) 영역으로 접철되거나 전개되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중 슬라이드 구조로 형성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이중 슬라이드 구조로 형성된다.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c) 중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c)의 출입구(201)와 대응되는 겹침 출입 도어(11,21)의 최대 개구폭(d3)이 제 1 철도 차량(10)의 출입 도어(11)의 개구폭(d1)과 동일하고 해당 출입구(201)의 중심(CL)이 제 1 철도 차량(10)의 출입 도어(11)의 중심(C)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스크린 도어 모듈(200c-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 도어(210)가 배치되고 중심부에 가동 도어(220)가 배치되며, 가동 도어(220)는 2개의 도어 패널(220a)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하는 단일 슬라이드 구조로 형성된다.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c) 중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c)의 출입구(201)와 대응되는 겹침 출입 도어(11,21)의 최대 개구폭(d3)이 제 1 철도 차량(10)의 출입 도어(11)의 개구폭(d1)과 동일하고 해당 출입구(201)의 중심(CL)이 제 1 철도 차량(10)의 출입 도어(11)의 중심(C)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당 스크린 도어 모듈(200c-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위치한 수직빔(100) 사이에 가동 도어(220)와 고정 도어(210)가 하나씩 배치되고, 가동 도어(220)는 2개의 도어 패널(220a)이 고정 도어(210) 영역으로 접철되거나 전개되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중 슬라이드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c)의 출입구(201)와 대응되는 겹침 출입 도어(11,21)의 최대 개구폭(d3)이 제 1 철도 차량(10)의 출입 도어(11)의 개구폭(d1)과 동일하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철도 차량(10,20)의 출입 도어(11,22)가 완전히 겹쳐지게 위치함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c)은 해당 출입구(201)가 상대적으로 넓은 개구폭(d3)을 갖는 경우, 4개의 도어 패널(220a)을 이용한 이중 슬라이드 구조가 적용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개구폭(d3)을 갖는 경우, 출입 도어와의 중심 일치 여부에 따라 단일 슬라이드 또는 이중 슬라이드 구조가 적용되며, 이에 따라 제 1 철도 차량 및 제 2 철도 차량이 정차하는 승강장의 공간 효율을 향상시켜 스크린 도어 장치를 더욱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의 제어 관련 구성을 기능적으로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수직빔(100)과, 그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을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승강장에 진입하는 철도 차량의 종류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 수단(300)과, 차량 감지 수단(300)의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승강장에 진입하는 철도 차량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 중 일부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에 대해 가동 도어(220)가 개폐되도록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량 감지 수단(300)은 선로에 설치될 수 있으며,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기 이전에 철도 차량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승강장 선로 구간의 후방 외측 구간에 설치된다. 이러한 차량 감지 수단(300)은 차량의 형상을 감지할 수 있는 3D 센서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이외에도 제 1 철도 차량(10) 및 제 2 철도 차량(20)을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차량 감지 수단(30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철도 차량의 종류를 판단하고, 해당 철도 차량에 대응되는 스크린 도어 모듈(200)의 가동 도어(220)가 개폐되도록 동작 제어한다.
예를 들면, 승강장에 진입하는 차량이 제 1 철도 차량(10)으로 감지된 경우, 전술한 제 1 군 및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a,200c)의 가동 도어(220)가 개폐되도록 동작 제어하고, 승강장에 진입하는 차량이 제 2 철도 차량(20)으로 감지된 경우, 제 2 군 및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200b,200c)의 가동 도어(220)가 개폐되도록 동작 제어한다.
철도 차량(10,20)이 승강장에 진입하여 정지하면, 철도 차량의 출입 도어(11,21)가 개방됨과 동시에 이와 연동하여 스크린 도어 모듈의 가동 도어(220)가 개방되고, 승객의 승하차 과정이 이루어진다. 승객의 승하차 과정이 완료된 이후, 철도 차량(10,20)의 출입 도어(11,21)가 폐쇄됨과 동시에 이와 연동하여 스크린 도어 모듈(200)의 가동 도어(220)가 폐쇄되고, 철도 차량이 승강장으로부터 출발한다.
스크린 도어 모듈(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출입구(201)의 개구폭, 가동 도어(220)의 크기 및 작동 방식 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므로, 가동 도어(220)의 개폐 작동시, 가동 도어(220)의 개방 및 폐쇄 완료 시점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복수개 스크린 도어 모듈(200)의 가동 도어(220)가 폐쇄된 상태에서 동시에 개방 작동시키면, 개방 시작 시점은 동일하지만, 개방 완료 시점은 가동 도어(220)의 크기 등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개 스크린 도어 모듈(200)의 가동 도어(220)가 개방된 상태에서 동시에 폐쇄 작동시키면, 폐쇄 시작 시점은 동일하지만, 폐쇄 완료 시점은 가동 도어(220)의 크기 등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가동 도어(220)의 개방 완료 시점이 서로 다른 경우, 승객의 승하차 과정의 안전에 문제가 없지만, 가동 도어(220)의 폐쇄 완료 시점이 서로 다른 경우, 마지막 승하차하는 승객의 승하차 과정에서 안전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철도 차량의 출발 신호에 대한 불안정성 증가 및 출발 지연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크린 도어 모듈(200)의 가동 도어(220)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 작동하는 경우, 전체 스크린 도어 모듈(200)의 가동 도어(220)의 폐쇄 작동 완료 시점이 모두 동일하도록 일부 스크린 도어 모듈(200)의 가동 도어(220)는 그 폐쇄 작동 시작 시점이 일정 시간 지연된 상태로 작동 시작하도록 동작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입구(201)의 개구폭이 상대적으로 작아 가동 도어(220)의 작동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 해당 가동 도어(220)는 폐쇄 작동 시작 시점이 일정 시간 지연된 상태로 시작하도록 동작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선로 구간에는 승강장에 철도 차량(10,20)이 진입하는 과정에서 철도 차량의 위치를 측정하고 정지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정지 위치 알림 수단(400)이 구비된다.
정지 위치 알림 수단(400)은, 선로 구간에서 제 1 철도 차량(10)의 정지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제 1 철도 차량(10)이 승강장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제 1 철도 차량(10)과의 거리를 연속 측정하는 제 1 거리 측정 센서(410)와, 선로 구간에서 제 2 철도 차량(20)의 정지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제 2 철도 차량(20)이 승강장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제 2 철도 차량(20)과의 거리를 연속 측정하는 제 2 거리 측정 센서(420)와, 제 1 철도 차량(10) 및 제 2 철도 차량(20)의 정지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되며 제 1 철도 차량(10) 또는 제 2 철도 차량(20)이 승강장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제 1 거리 측정 센서(410) 또는 제 2 거리 측정 센서(420)의 측정값을 기초로 판단된 제 1 철도 차량(10) 또는 제 2 철도 차량(20)의 정지 위치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연속 표시하는 정지 위치 표시기(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 1 거리 측정 센서(410) 및 제 2 거리 측정 센서(420)의 측정값은 상기 제어부에 인가되고, 제어부(500)는 차량 감지 수단(300)의 감지 신호에 의해 판단된 철도 차량(10,20)의 종류에 따라 제 1 거리 측정 센서(410) 및 제 2 거리 측정 센서(420)의 측정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 1 철도 차량(10) 또는 제 2 철도 차량(20)의 정지 위치까지의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 결과가 정지 위치 표시기(430)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동작 제어한다.
정지 위치 표시기(430)는 승강장에 진입하는 철도 차량의 운전자에게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철도 차량의 운전자는 정지 위치 표시기(430)에 표시된 정지 위치까지의 거리를 참조하여 철도 차량을 정위치에 정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는 정지 위치 알림 수단(400)을 구성하기 위해 제 1 거리 측정 센서(410)와 제 2 거리 측정 센서(420)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 1 거리 측정 센서(410)만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지 위치 알림 수단(400)은, 선로 구간에서 제 1 철도 차량(10) 및 제 2 철도 차량(20)의 정지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제 1 철도 차량(10) 및 제 2 철도 차량(20)이 승강장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제 1 철도 차량(10) 및 제 2 철도 차량(20)과의 거리를 연속 측정하는 제 1 거리 측정 센서(410)와, 제 1 철도 차량(10) 및 제 2 철도 차량(20)의 정지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되며 제 1 철도 차량(10) 또는 제 2 철도 차량(20)이 승강장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제 1 거리 측정 센서(410)의 측정값을 기초로 판단된 제 1 철도 차량(10) 또는 제 2 철도 차량(20)의 정지 위치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연속 표시하는 정지 위치 표시기(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거리 측정 센서(410)의 측정값은 제어부(500)에 인가되고, 제어부(500)는 차량 감지 수단(300)의 감지 신호에 의해 판단된 철도 차량(10,20)의 종류에 따라 제 1 거리 측정 센서(410)의 측정값을 기초로 제 1 철도 차량(10) 또는 제 2 철도 차량(20)의 정지 위치까지의 거리를 각각 서로 다르게 보정 연산하고, 연산 결과가 정지 위치 표시기(430)에 표시되도록 동작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 2 철도 차량(20)의 정지 위치가 제 1 철도 차량(10)의 정지 위치보다 전방 15m에 설정된 경우라면, 제 1 거리 측정 센서(410)의 측정값을 기초로 산출한 철도 차량의 정지 위치는 승강장에 진입하는 철도 차량이 제 2 철도 차량(20)인 경우, 제 1 철도 차량(10)의 정지 위치와 비교하여 15m를 더한 값으로 보정 연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 1 철도 차량
11: 출입 도어
20: 제 2 철도 차량
21: 출입 도어
100: 수직빔
200: 스크린 도어 모듈
200a: 제 1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
200b: 제 2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
200c: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
210: 고정 도어
220: 가동 도어
230: 수평 레일
240: 도어 구동부
300: 차량 감지 수단
400: 정지 위치 알림 수단
410: 제 1 거리 측정 센서
420: 제 2 거리 측정 센서
430: 정지 위치 표시기
500: 제어부

Claims (9)

  1. 각 차량마다 일측면에 4개씩의 출입 도어가 형성되는 제 1 철도 차량과, 각 차량마다 일측면에 1개씩의 출입 도어가 형성되는 제 2 철도 차량이 정차하는 승강장에 설치되어 선로와 승강장을 분리 구획하는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로서,
    승강장의 연단부를 따라 복수개 설치되고, 각각 가동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출입구는 상기 제 1 철도 차량 또는 제 2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정차한 상태에서 제 1 철도 차량 또는 제 2 철도 차량의 출입 도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스크린 도어 모듈;
    승강장에 진입하는 철도 차량의 종류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 수단; 및
    상기 차량 감지 수단의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승강장에 진입하는 철도 차량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스크린 도어 모듈 중 일부의 스크린 도어 모듈에 대해 가동 도어가 개폐되도록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스크린 도어 모듈 중 일부(제 1 군)는 해당 스크린 도어 모듈의 출입구 영역이 상기 승강장에 정차한 제 1 철도 차량의 출입 도어 영역과 겹치도록 설치되고, 또 다른 일부(제 2 군)는 해당 스크린 도어 모듈의 출입구 영역이 상기 승강장에 정차한 제 2 철도 차량의 출입 도어 영역과 겹치도록 설치되며, 나머지(제 3 군)는 해당 스크린 도어 모듈의 출입구 영역이 상기 승강장에 정차한 제 1 철도 차량의 출입 도어 영역 및 제 2 철도 차량의 출입 도어 영역과 동시에 겹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승강장에 상기 제 1 철도 차량이 진입한 경우, 상기 제 1 군 및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의 가동 도어가 개폐되도록 동작 제어되고,
    승강장에 상기 제 2 철도 차량이 진입한 경우, 상기 제 2 군 및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의 가동 도어가 개폐되도록 동작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군, 제 2 군 및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은 각각의 출입구 개구폭 및 중심 위치와 각각의 출입구에 대응되는 철도 차량의 출입 도어의 개구폭 및 중심 위치에 대한 상호 관계에 따라 상기 출입구의 개구폭 및 가동 도어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군, 제 2 군 및 제 3 군의 스크린 도어 모듈의 가동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 작동하는 경우, 전체 스크린 도어 모듈의 가동 도어의 폐쇄 작동 완료 시점이 모두 동일하도록 일부 스크린 도어 모듈의 가동 도어는 그 폐쇄 작동 시작 시점이 일정 시간 지연된 상태로 작동 시작하도록 동작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 구간에는 상기 승강장에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과정에서 철도 차량의 위치를 측정하고 정지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정지 위치 알림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위치 알림 수단은
    상기 선로 구간에서 상기 제 1 철도 차량의 정지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철도 차량과의 거리를 연속 측정하는 제 1 거리 측정 센서;
    상기 선로 구간에서 상기 제 2 철도 차량의 정지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철도 차량과의 거리를 연속 측정하는 제 2 거리 측정 센서; 및
    상기 제 1 철도 차량 및 제 2 철도 차량의 정지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철도 차량 또는 제 2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거리 측정 센서 또는 제 2 거리 측정 센서의 측정값을 기초로 판단된 상기 제 1 철도 차량 또는 제 2 철도 차량의 정지 위치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연속 표시하는 정지 위치 표시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리 측정 센서 및 제 2 거리 측정 센서의 측정값은 상기 제어부에 인가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감지 수단의 감지 신호에 의해 판단된 철도 차량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 1 거리 측정 센서 및 제 2 거리 측정 센서의 측정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 1 철도 차량 또는 제 2 철도 차량의 정지 위치까지의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 결과가 상기 정지 위치 표시기에 표시되도록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위치 알림 수단은
    상기 선로 구간에서 상기 제 1 철도 차량 및 제 2 철도 차량의 정지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철도 차량 및 제 2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철도 차량 및 제 2 철도 차량과의 거리를 연속 측정하는 제 1 거리 측정 센서; 및
    상기 제 1 철도 차량 및 제 2 철도 차량의 정지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철도 차량 또는 제 2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거리 측정 센서의 측정값을 기초로 판단된 상기 제 1 철도 차량 또는 제 2 철도 차량의 정지 위치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연속 표시하는 정지 위치 표시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거리 측정 센서의 측정값은 상기 제어부에 인가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감지 수단의 감지 신호에 의해 판단된 철도 차량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 1 거리 측정 센서의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제 1 철도 차량 또는 제 2 철도 차량의 정지 위치까지의 거리를 각각 서로 다르게 보정 연산하고, 연산 결과가 상기 정지 위치 표시기에 표시되도록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KR1020220115811A 2022-09-14 2022-09-14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KR20240037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811A KR20240037036A (ko) 2022-09-14 2022-09-14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PCT/KR2023/009586 WO2024058382A1 (ko) 2022-09-14 2023-07-06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811A KR20240037036A (ko) 2022-09-14 2022-09-14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036A true KR20240037036A (ko) 2024-03-21

Family

ID=90275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811A KR20240037036A (ko) 2022-09-14 2022-09-14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7036A (ko)
WO (1) WO202405838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4614A (ko) 2011-08-31 2013-03-08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스크린 도어 수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2354A (ja) * 2001-06-01 2002-12-18 Kawasaki Heavy Ind Ltd 異車種車両用ホームドア装置
KR100897406B1 (ko) * 2009-01-02 2009-05-14 주식회사 피에쓰링크 열차 정위치정차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4124127U (zh) * 2014-09-16 2015-01-28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适应多种列车车型的站台安全门
KR102181826B1 (ko) * 2020-04-13 2020-11-23 (주)동우자동도어 다종 열차용 스크린도어 시스템
KR102280652B1 (ko) * 2020-11-04 2021-07-22 (주)동우자동도어 차량 정위치 정차감지 및 승강장 안전문 연동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4614A (ko) 2011-08-31 2013-03-08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스크린 도어 수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58382A1 (ko)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6539A (en) Wheelchair passenger lift apparatus for transit stations
CN101743158B (zh) 用于火车站的站台门口
AU2007316052B2 (en) Device for filling the gap between a platform and a railway vehicle
KR101471544B1 (ko) 열차 플랫폼 스크린 안전장치의 스크린도어 개폐제어방법
JP2002501856A (ja) 順応性のあるプラットフォームドアシステム
EP293316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platform screen door
CN114407935A (zh) 站台屏蔽门系统及站台屏蔽门联动控制系统
CN107848543A (zh) 用于生成防护门的门释放信号的装置和方法
NL1028854C2 (nl) Railvoertuig en werkwijze voor gebruik daarvan.
KR20240037036A (ko)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CN102153009A (zh) 开门行驶时的电梯卡合部件避免碰撞系统及方法
US20100162916A1 (en) Transport system
TWM643932U (zh) 轉運站中的可變間距月台門或滑動門系統
JPH11291897A (ja) プラットホーム用開閉装置
KR20240037035A (ko) 이종 철도 차량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장치
JP4275830B2 (ja) 停車場用乗降口装置
RU2009059C1 (ru) Ограждение пассажирской платформы
KR100897405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 개폐 시스템
CN113619613A (zh) 高铁安全门精确复位以兼容多车型的控制方法
JP7438841B2 (ja) プラットホーム柵
CN217841335U (zh) 站台门
JP2700375B2 (ja) プラットホーム安全確認装置
KR101049671B1 (ko) 터널 점검 보수용 이동식 누적 공차 보상유도 점검 대차의 이동 방법
CN115230744B (zh) 乘客引导系统
JP2006273035A (ja) 軌道車両のプラットホー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