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689A - 전동식 건설기계 - Google Patents

전동식 건설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689A
KR20240036689A KR1020247006788A KR20247006788A KR20240036689A KR 20240036689 A KR20240036689 A KR 20240036689A KR 1020247006788 A KR1020247006788 A KR 1020247006788A KR 20247006788 A KR20247006788 A KR 20247006788A KR 20240036689 A KR20240036689 A KR 20240036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vehicle body
camera
power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6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안도
야스타카 호리이
세이이치 기하라
쇼고 기무라
다쿠마 구와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Publication of KR20240036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68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3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in combination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e.g. from overhead contact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2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 B60R1/23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7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electric motors or gener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91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y or capaci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전동식 유압 셔블(1)의 상부 선회체(3)는, 동력원이 되는 전동 모터(13)와, 전동 모터(13)에 공급되는 전력을 모아두는 배터리(15)와, 전동 모터(13) 또는 배터리(15)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급전 케이블(17)이 중계 케이블(18)을 개재하여 접속되는 급전구(16)와, 하부 주행체(2) 및 상부 선회체(3)의 주위를 감시(촬상)하는 카메라(23)를 구비한다. 카메라(23)는, 급전구(16)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부 선회체(3)에 장착되고, 급전구(16)를 촬상한다. 이에 의해, 급전구(16), 급전구(16)에 대한 중계 케이블(18)의 접속 상황, 전동식 유압 셔블(1)의 가동 시에 있어서의 급전 케이블(17)의 밟힘, 말려들어감 등을, 모니터(10)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건설기계
본 개시는, 동력원으로서 전동 모터를 구비한 유압 셔블 등의 전동식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건설기계의 대표예인 유압 셔블은,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장치를 개재하여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부 선회체의 전측(前側)에 마련된 작업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근래에는, 지구 온난화, 대기 오염을 억제하는 대책으로서, 전동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동식 유압 셔블이 실용화되어 있다. 이 전동식 유압 셔블은, 전동 모터에 의해 유압 펌프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유압 액추에이터에 작동용의 압유를 공급한다.
전동식 유압 셔블은, 통상, 전동 모터, 배터리 및 충전기를 구비하며,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은, 충전기, 모터 제어 장치 등을 개재하여 전동 모터에 공급되고, 잉여의 전력은 배터리에 충전된다. 전동 모터는, 외부 전원이나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것에 의해 유압 펌프를 구동하고, 전동식 유압 셔블은, 상부 선회체를 선회시키면서 작업 장치를 이용하여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한다.
이 때문에, 전동식 유압 셔블은, 차체에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급전구가 마련되고, 외부 전원으로부터 연장되는 급전 케이블은, 급전구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전동식 유압 셔블은,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거나,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전동 모터를 구동하면서 잉여의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할 수 있다(특허문헌 1, 2).
일본공개특허 특개2011-160502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개2018-84099호 공보
이와 같이, 전동식 유압 셔블은, 급전구에 급전 케이블이 접속된 상태로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주행하는 차체에 의한 급전 케이블의 밟힘, 또는 상부 선회체의 선회 시에 있어서의 급전 케이블의 말려들어감 등에 의해 급전 케이블이 손상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전동식 유압 셔블에 탑승하는 오퍼레이터는, 전동식 유압 셔블을 운전함에 있어서 급전구에의 급전 케이블의 접속의 유무를 재빨리 알 필요가 있다.
그러나, 통상, 급전구는 작업 장치보다 뒤에 마련되어, 급전구에 접속된 급전 케이블이 차체 전측에 마련된 작업 장치와 접촉하는 것을 막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의한 전동식 유압 셔블에서는, 급전구(외부 전원 접속부)가 외장 커버의 측면부 중, 선회 프레임과 운전석의 사이가 되는 높이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의한 전동식 유압 셔블에서는, 급전구(단자 상자의 접속 단자)가 운전석 뒤의 기계실을 형성하는 외장 커버 중 상측을 덮는 상부 커버의 전부측(前部側)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운전석에 탑승한 오퍼레이터의 시선 방향(작업 장치가 있는 전측)과 상이한 위치에 급전구가 있는 경우에는, 급전구에 급전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확인을 행할 때에는, 운전석에 앉은 오퍼레이터가 몸을 급전구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으로 반전시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버려, 작업 효율이 저하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동식 유압 셔블은 전동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엔진 탑재기와 비교하여 가동 시의 소음이 낮다. 이 때문에, 전동식 유압 셔블이 가동되고 있는 상황 또는, 가동되기 시작하는 상황이지만, 전동식 유압 셔블이 정지되어 있다고 오인한 주위의 작업자가, 급전구으로부터 급전 케이블을 빼기 위해 급전구로 접근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오퍼레이터는 급전구에의 급전 케이블의 접속의 상황과 함께, 차체의 주위의 상황을 차례로 확인하지 않으면 안되어, 이쪽도 작업 효율이 저하되어 버리는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급전구의 급전 케이블의 접속의 상황과 차체의 주위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전동식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자주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의 전측에 마련된 작업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체는, 동력원이 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모아두는 배터리와, 상기 전동 모터 또는 상기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급전 케이블이 접속되는 급전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동식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주위를 감시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한 촬상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급전구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차체에 장착되고, 상기 차체의 주위와 함께, 상기 급전구을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의 주위를 감시하는 카메라의 촬상 범위에 급전구를 넣을 수 있어, 차체의 주위의 영상과 함께 급전구, 또는 급전구에 접속된 급전 케이블을 촬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전동식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카메라, 급전 케이블, 케이블 지지 부재 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은, 전동식 유압 셔블을, 작업 장치를 떼어낸 상태에서 후방으로부터 본 배면도이다.
도 4는, 캡의 내부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카메라를 구성하는 카메라 본체, 카메라 커버 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캡의 카메라 장착 자리, 카메라 본체, 카메라 커버 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카메라의 전후 방향의 촬상 범위를 나타내는 전동식 유압 셔블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카메라의 좌우 방향의 촬상 범위를 나타내는 전동식 유압 셔블의 배면도이다.
도 9는, 제 1 변형례에 의한 전동식 유압 셔블의 중계 케이블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제 2 변형례에 의한 전동식 유압 셔블의 급전 케이블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전동식 건설기계를, 전동식 유압 셔블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전동식 유압 셔블의 주행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주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전동식 건설기계를 대표하는 전동식 유압 셔블(1)은, 전후 방향으로 자주 가능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와,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식 유압 셔블(1)의 차체는,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의 전측에는, 스윙식의 작업 장치(4)가 마련되며, 이 작업 장치(4)를 이용하여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이 행해진다.
스윙식의 작업 장치(4)는, 후술하는 선회 프레임(5)의 전측에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된 스윙 포스트(4A)를 가지고 있다. 스윙 포스트(4A)에는, 붐(4B)이 회동(回動) 가능하게 장착되고, 붐(4B)의 선단(先端)에는, 아암(4C)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아암(4C)의 선단에는, 버킷(4D)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작업 장치(4)는, 스윙 포스트(4A)를 요동시키는 스윙 실린더(미도시)와, 붐(4B)을 회동시키는 붐 실린더(4E)와, 아암(4C)을 회동시키는 아암 실린더(4F)와, 버킷(4D)을 회동시키는 버킷 실린더(4G)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선회체(3)는, 하부 주행체(2)에 선회 장치를 개재하여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고, 하부 주행체(2) 상에서 선회 동작을 행한다. 상부 선회체(3)는, 베이스가 되는 선회 프레임(5)을 구비하고, 선회 프레임(5)에는, 후술하는 캡(6), 카운터 웨이트(11), 외장 커버(12), 전동 모터(13), 유압 펌프(14), 배터리(15) 등이 탑재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3)의 좌우 방향의 폭 치수는, 하부 주행체(2)의 차폭보다 작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동식 유압 셔블(1)은, 상부 선회체(3)가 하부 주행체(2) 상에서 선회했을 때에, 카운터 웨이트(11)의 후면(11A)이, 하부 주행체(2)의 차폭의 120% 이내에 들어가는 후방 초소선회(超小旋回) 사양의 유압 셔블로서 구성되어 있다.
운전석 커버로서의 캡(6)은, 선회 프레임(5)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캡(6)은, 전면(6A), 후면(6B), 좌측면(6C), 우측면(6D), 상면(6E)에 의해 둘러싸인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운전실을 형성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6) 내에는, 오퍼레이터가 앉는 운전석(7), 하부 주행체(2)의 주행 동작을 제어하는 주행용 레버·페달(8), 상부 선회체(3)의 선회 동작, 및 작업 장치(4)의 동작을 제어하는 작업용 조작 레버(9), 후술의 카메라(23)가 촬상한 화상 등을 표시하는 모니터(10) 등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캡(6)의 전면(6A)은, 운전석(7)을 전방으로부터 덮고, 후면(6B)은 운전석(7)을 후방으로부터 덮고, 좌측면(6C) 및 우측면(6D)은 운전석(7)을 측방으로부터 덮고, 상면(6E)은 운전석(7)을 상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캡(6)의 후면(6B)과 상면(6E)이 교차하는 후측 상부 모서리부(6F)에는, 2개의 암나사 구멍을 갖는 카메라 장착 자리(6G)가 마련되고, 이 카메라 장착 자리(6G)에는, 카메라(23)가 장착되어 있다(도 6 참조).
카운터 웨이트(11)는, 캡(6)보다 후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의 후단에 마련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11)는, 선회 프레임(5)의 전측에 마련된 작업 장치(4)와의 중량 밸런스를 유지하고 있다. 카운터 웨이트(11)는, 선회 프레임(5)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솟아올라, 배터리(15) 등을 후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카운터 웨이트(11)의 후면(11A)은, 좌우 방향의 중앙부가 후방으로 돌출한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에 의해, 상부 선회체(3)가 선회했을 때에, 카운터 웨이트(11)의 후면(11A)은 일정한 선회 반경 내에 들어간다.
여기서, 카운터 웨이트(11)는, 상부 선회체(3)의 후방 초소선회를 실현하기 위해, 상부 선회체(3)의 선회 중심에 가까운 앞쪽에 배치되며, 캡(6)의 후면(6B)과 카운터 웨이트(11)의 후면(11A)의 간격은, 후방 초소선회 사양이 아닌 유압 셔블과 비교하여 좁게 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11)의 상면(11B)에는, 후술하는 급전구(16), 케이블 지지 부재(19), 작업등(22)이 마련되어 있다.
외장 커버(12)는, 카운터 웨이트(11)의 전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 상에 마련되어 있다. 외장 커버(12)는, 전동 모터(13), 유압 펌프(14), 배터리(15) 등을 카운터 웨이트(11)와 함께 덮고 있다. 외장 커버(12)는, 전동 모터(13), 유압 펌프(14), 배터리(15) 등을 우측 및 상측으로부터 덮는 우측 외장 커버(12A)와, 배터리(15) 등을 좌측으로부터 덮는 좌측 외장 커버(12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급전구(16)는, 카운터 웨이트(11)의 상면(11B)의 좌측에 마련되어 있다. 급전구(16)에는, 외부 전원(미도시)으로부터 연장되는 급전 케이블(17)이 접속된다. 급전구(16)는, 카운터 웨이트(11)의 상면(11B)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직방체의 케이싱(16A)에 보지(保持)되고, 상면(11B)의 상방으로부터 우측 비스듬히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외장 커버(12) 내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배터리(15)에 충전하는 충전기(미도시)가 마련되며, 이 충전기와 급전구(16)의 사이는, 케이블(미도시)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급전 케이블(17)은, 중계 케이블(18)을 개재하여 외부 전원과 급전구(16)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급전 케이블(17)의 일단은 외부 전원에 접속되고, 급전 케이블(17)의 타단에는, 접속구로서의 커넥터(17A)가 장착되어 있다. 중계 케이블(18)은, 급전 케이블(17)과 급전구(16)의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중계 케이블(18)의 일단에는 커넥터(18A)가 장착되고, 중계 케이블(18)의 타단에는 커넥터(18B)가 장착되어 있다. 중계 케이블(18)의 커넥터(18A)는, 급전 케이블(17)의 커넥터(17A)에 접속되고, 중계 케이블(18)의 커넥터(18B)는, 급전구(16)에 접속되어 있다. 중계 케이블(18)은, 상부 선회체(3)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급전 케이블(17)의 타단과 급전구(16)의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급전구(16)는, 중계 케이블(18)을 개재하여 급전 케이블(17)에 접속된다.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은, 급전 케이블(17), 중계 케이블(18), 급전구(16), 충전기, 모터 제어 장치 등(모두 미도시)을 개재하여 전동 모터(13)에 공급되고, 잉여의 전력은 배터리(15)에 충전된다. 따라서, 전동 모터(13)는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구동되고, 유압 펌프(14)를 구동한다. 이에 의해, 전동식 유압 셔블(1)은, 중계 케이블(18)이 급전구(16)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부 선회체(3)를 선회시키면서 작업 장치(4)를 이용하여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한다. 이 때, 급전구(16)에 접속된 중계 케이블(18)의 도중 부위는, 케이블 지지 부재(19)에 의해 지지된다.
케이블 지지 부재(19)는, 운전석(7)보다 후측에 위치하여 상부 선회체(3)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 지지 부재(19)는, 급전구(16)로부터 오른쪽으로 이간하여 카운터 웨이트(11)의 상면(11B)에 마련되고, 급전구(16)에 접속된 중계 케이블(18)의 도중 부위를 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하부 주행체(2)의 주행 시에 있어서의 급전 케이블(17)의 밟힘, 상부 선회체(3)의 선회 시에 있어서의 급전 케이블(17)의 말려들어감 등의 발생이 저감되고 있다. 케이블 지지 부재(19)는, 스탠드부(19A)와, 아암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카운터 웨이트(11)의 상면(11B)으로부터 급전구(16)보다 상방까지 돌출되어 있다.
스탠드부(19A)는, 카운터 웨이트(11)의 상면(11B)에 고정되어 있다. 스탠드부(19A)는, 예를 들면 파이프재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카운터 웨이트(11)의 상면(11B)으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솟아올라 있다. 아암부(20)는, 스탠드부(19A)의 상단에, 스탠드부(19A)의 축심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아암부(20)는, 스탠드부(19A)의 축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아암부(20)의 선단에는, 케이블 클램프(21)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블 클램프(21)는, 아암부(20)의 선단에 마련되어 있다. 케이블 클램프(21)는, 힌지 기구 등(미도시)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된 한 쌍의 클램프 부재를 가지며, 이 한 쌍의 클램프 부재에 의해 중계 케이블(18)을 외주측으로부터 끼워서 파지한다. 따라서, 케이블 클램프(21)의 클램프 부재를 개폐시키는 것에 의해, 케이블 지지 부재(19)에 대하여 중계 케이블(18)을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급전 케이블(17)에 접속된 중계 케이블(18)을, 아암부(20)에 마련한 케이블 클램프(21)에 의해 파지하는 것에 의해, 케이블 클램프(21)와 급전구(16)의 사이에 중계 케이블(18)의 적당한 느슨함을 줄 수 있다.
작업등(22)은, 운전석(7)보다 후측에 위치하여 상부 선회체(3)에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작업등(22)은, 상부 선회체(3) 중 급전구(16)에 접속된 중계 케이블(18)측, 구체적으로는, 급전구(16)와 케이블 지지 부재(19)의 사이에 위치하여 카운터 웨이트(11)의 상면(11B)에 마련되어 있다. 작업등(22)은, 카운터 웨이트(11)의 상면(11B)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며, 하부 주행체(2)의 주행 시 또는 상부 선회체(3)의 선회 시, 작업 장치(4)의 작동 시(전동식 유압 셔블(1)의 가동 시)에 점등한다. 이에 의해, 전동식 유압 셔블(1)의 주위의 작업자에 대해, 전동식 유압 셔블(1)이 작동 중인 것을 표시(통지)한다.
이 경우, 작업등(22)은, 상부 선회체(3) 중 급전구(16)에 접속된 중계 케이블(18)이 급전구(16)로부터 연장되는 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야간 작업 시에 있어서, 전동식 유압 셔블(1)의 가동 시에 점등하는 작업등(22)으로부터의 빛에 의해, 급전구(16), 케이블 지지 부재(19), 급전구(16)와 케이블 지지 부재(19)(케이블 클램프(21))의 사이에 배치된 중계 케이블(18) 등을 밝게 비출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게다가, 작업등(22)을 급전구(16)와 케이블 지지 부재(19)의 사이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후방 초소선회 사양의 전동식 유압 셔블(1)에 있어서, 카운터 웨이트(11)의 상면(11B)이 좁아지는 경우라도, 급전구(16), 케이블 지지 부재(19), 작업등(22)을, 좌우 방향으로 인접시켜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카메라(23)에 관하여 설명한다.
카메라(23)는, 급전구(16)보다 높고, 또한 케이블 지지 부재(19)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부 선회체(3)에 장착되고, 급전구(16)보다 전측의 위치에서 상부 선회체(3)의 후방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23)는, 캡(6)의 후면(6B)과 상면(6E)이 교차하는 후측 상부 모서리부(6F)에 장착되어 있다. 카메라(23)는, 하부 주행체(2) 및 상부 선회체(3)로 이루어지는 차체의 주위를 촬상하고, 이 차체의 주위(예를 들면, 차체 후방)의 화상을 캡(6) 내의 모니터(10)에 나타낸다. 운전석(7)에 앉은 오퍼레이터는, 모니터(10)에 나타내어진 차체 후방의 화상을 육안으로 보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운전석(7)으로부터 몸을 반전시켜 후방을 육안으로 보지 않고, 차체 후방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23)는, 후술의 카메라 본체(24)와, 카메라 커버(25)와, 바닥면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24)는, 예를 들면 CCD 카메라 등에 의해 구성되며, 2개의 스터드 볼트(24A)가 돌출 마련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24)는, 카메라 커버(25)를 개재하여 캡(6)의 후측 상부 모서리부(6F)에 장착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24)는, 컨트롤러(미도시)를 개재하여 모니터(10)에 접속되고, 전동식 유압 셔블(1)의 차체의 후방과 함께, 급전구(16), 케이블 지지 부재(19)의 아암부(20), 작업등(22)을 촬상하여, 이들의 화상을 모니터(10)에 나타낸다.
카메라 커버(25)는, 카메라 본체(24)를 덮은 상태로, 캡(6)의 후측 상부 모서리부(6F)에 마련된 카메라 장착 자리(6G)에 장착되어 있다. 카메라 커버(25)는, 카메라 장착 자리(6G)를 개재하여 캡(6)의 후측 상부 모서리부(6F)에 고정되고, 후방으로 돌출한 베이스부(26)와, 베이스부(26)의 후단(돌출단)으로부터 비스듬히 하향으로 연속하는 카메라 장착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부(26)는, 좌측면판(26A) 및 우측면판(26B)과, 좌측면판(26A) 및 우측면판(26B)의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상면판(26C)에 의해, 하측이 개구한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26)의 전단에는 전면판(26D)이 마련되고, 전면판(26D)에는, 캡(6)의 카메라 장착 자리(6G)에 형성된 2개의 암나사 구멍에 대응하는 2개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26E)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우측면판(26B)의 하측에는, 하단이 개구한 그로밋 장착홈(26F)이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 장착부(27)는, 좌측면판(27A) 및 우측면판(27B)과, 좌측면판(27A) 및 우측면판(27B)의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상면판(27C)에 의해, 하측이 개구한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면판(27C)에는, 카메라 본체(24)의 스터드 볼트(24A)가 삽입 통과되는 2개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27D)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좌측면판(27A) 및 우측면판(27B)의 후측 하단에는, 양자 사이를 연결하는 바닥판 장착판(27E)이 고정되고, 바닥판 장착판(27E)에는 2개의 너트(27F)가 용접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24)는, 카메라 장착부(27)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27D)에 2개의 스터드 볼트(24A)를 삽입 통과하여, 스터드 볼트(24A)에 너트(28)를 나사 장착하는 것에 의해, 카메라 커버(25)에 고정된다. 그리고, 베이스부(26)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26E)에 볼트(29)를 삽입 통과하여, 볼트(29)를 캡(6)의 카메라 장착 자리(6G)에 나사 장착하는 것에 의해, 카메라 본체(24)가, 카메라 커버(25)를 개재하여 캡(6)의 후측 상부 모서리부(6F)에 고정되어 있다.
바닥면판(30)은, 카메라 커버(25)의 하단에 장착되어, 카메라 본체(24)를 하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바닥면판(30)은 J자형으로 굴곡진 판체로 이루어지고, 바닥면판(30)의 후단측에는, 카메라 장착부(27)의 바닥판 장착판(27E)에 마련된 너트(27F)에 대응하는 2개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30A)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면판(30)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26E)에 볼트(31)를 삽입 통과하여, 이 볼트(31)를, 카메라 장착부(27)(바닥판 장착판(27E))에 마련된 너트(27F)에 나사 장착하는 것에 의해, 바닥면판(30)이 카메라 커버(25)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카메라 본체(24)는, 바닥면판(30)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덮여 있다.
카메라 커버(25)의 베이스부(26)(우측면판(26B))에 마련된 그로밋 장착홈(26F)에는, 고리 형상의 그로밋(32)이 장착되어 있다. 그로밋(32)의 내주측에는, 카메라 본체(24)와 모니터(10)의 사이를 컨트롤러(미도시)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카메라 케이블(33)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에 의해, 카메라 케이블(33)은, 카메라 커버(25)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일이 없어, 그로밋(32)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한 카메라(23)는, 상부 선회체(3) 중 지상 높이가 최대가 되는 캡(6)의 상면(6E)과 동등한 높이 위치에서, 캡(6)의 후측 상부 모서리부(6F)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카메라(23)는, 카운터 웨이트(11)의 상면(11B)에 마련된 급전구(16)보다 높고, 또한 케이블 지지 부재(19)보다 높은 위치에서, 급전구(16)보다 전측에 위치하여 상부 선회체(3)의 후방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카메라(23)(카메라 본체(24))는, 도 7 및 도 8 중에 해칭 표시한 촬상 범위(A), 즉, 하부 주행체(2)의 차폭보다 크고, 캡(6)의 상면(6E)보다 하측이고, 또한 캡(6)의 후면(6B)보다 후방에 있어서 급전 케이블(17)이 지면에 접할 때까지 넓은 범위를 촬상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23)는, 전동식 유압 셔블(1)의 차체 후방과 함께, 카운터 웨이트(11)의 상면(11B)에 마련된 급전구(16), 작업등(22), 케이블 지지 부재(19)의 아암부(20), 급전구(16)에 접속된 중계 케이블(18), 중계 케이블(18)의 커넥터(18A, 18B), 및 급전 케이블(17)을 촬상할 수 있다.
여기서, 전동식 유압 셔블(1)은, 후방 초소선회 사양이기 때문에, 캡(6)의 후면(6B)과 카운터 웨이트(11)의 후면(11A)의 간격이 좁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메라(23)를 캡(6)의 후측 상부 모서리부(6F)에 장착한 경우라도, 카운터 웨이트(11)의 후면(11A)의 바로 뒤까지 촬상할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모니터(10)에 나타내어진 영상에 의해, 급전 케이블(17)(커넥터(17A))에 대한 중계 케이블(18)(커넥터(18A))의 접속 상황, 급전구(16)에 대한 중계 케이블(18)의 접속 상황, 하부 주행체(2)의 주행 시에 있어서의 급전 케이블(17)의 밟힘, 상부 선회체(3)의 선회 시에 있어서의 급전 케이블(17)의 말려들어감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전동식 유압 셔블(1)은, 상술과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며, 이하, 전동식 유압 셔블(1)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작업 현장에 외부 전원이 있는 경우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연장되는 급전 케이블(17)의 접속구인 커넥터(17A)에, 중계 케이블(18)의 일단에 장착된 커넥터(18A)가 접속되고, 중계 케이블(18)의 타단에 장착된 커넥터(18B)가, 전동식 유압 셔블(1)의 급전구(16)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이, 모터 제어 장치 등(미도시)을 개재하여 전동 모터(13)에 공급되고, 전동 모터(13)는,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유압 펌프(14)를 구동한다.
이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주행용 레버·페달(8)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전동식 유압 셔블(1)을 작업 현장까지 주행시킬 수 있다. 전동식 유압 셔블(1)이 작업 현장까지 이동한 후에는, 오퍼레이터가 작업용 조작 레버(9)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부 선회체(3)를 선회시키면서 작업 장치(4)에 의해 토사 등의 굴삭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전동식 유압 셔블(1)의 가동 시에는, 캡(6)의 후측 상부 모서리부(6F)에 장착된 카메라(23)에 의해, 도 7 및 도 8 중에 해칭 표시한 차체 후방의 촬상 범위(A)가 촬상된다. 이 촬상 범위(A)에는, 급전구(16), 케이블 지지 부재(19)의 아암부(20), 작업등(22), 중계 케이블(18), 중계 케이블(18)의 커넥터(18A, 18B), 및 급전 케이블(17)이 포함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모니터(10)에 나타내어진 영상에 의해, 급전 케이블(17)(커넥터(17A))에 대한 중계 케이블(18)(커넥터(18A))의 접속 상황, 급전구(16)에 대한 중계 케이블(18)(커넥터(18B))의 접속 상황, 케이블 지지 부재(19)의 아암부(20)에 의해 중계 케이블(18)이 적정하게 지지되어 있는지의 여부, 하부 주행체(2)의 주행 시에 있어서의 급전 케이블(17)의 밟힘, 상부 선회체(3)의 선회 시에 있어서의 급전 케이블(17)의 말려들어감 등을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동식 유압 셔블(1)이 가동 중임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원인에 의해 작업등(22)이 점등하고 있지 않은 상황, 또는 전동식 유압 셔블(1)이 정지 상태라고 오인한 작업자가 부주의하게 급전구(16)에 접근하는 등의 사태도, 모니터(10)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이 결과, 오퍼레이터는, 운전석(7)으로부터 몸을 반전시켜 후방을 확인할 필요가 없고, 전방을 육안으로 본 상태에서 주행용 레버·페달(8), 작업용 조작 레버(9)를 조작하여 전동식 유압 셔블(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굴삭 작업 등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주행체(2) 및 상부 선회체(3)로 이루어지는 자주 가능한 차체와, 상부 선회체(3)의 전측에 마련된 작업 장치(4)로 이루어지고, 상부 선회체(3)는, 동력원이 되는 전동 모터(13)와, 전동 모터(13)에 공급되는 전력을 모아두는 배터리(15)와, 전동 모터(13) 또는 배터리(15)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급전 케이블(17)이 중계 케이블(18)을 개재하여 접속되는 급전구(1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동식 유압 셔블(1)에 있어서, 하부 주행체(2) 및 상부 선회체(3)의 주위를 감시(촬상)하는 카메라(23)와, 카메라(23)에 의한 촬상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10)를 구비하며, 카메라(23)는, 급전구(16)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부 선회체(3)에 장착되고, 하부 주행체(2) 및 상부 선회체(3)의 주위와 함께, 급전구(16)를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부 주행체(2) 및 상부 선회체(3)의 주위를 감시(촬상)하는 카메라(23)의 촬상 범위(A) 내에 급전구(16)가 들어가므로, 하부 주행체(2) 및 상부 선회체(3)의 주위의 화상과 함께, 급전구(16), 급전구(16)에 접속된 중계 케이블(18), 중계 케이블(18)에 접속된 급전 케이블(17)을 촬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메라(23)에 의해 촬상된 급전구(16), 중계 케이블(18), 급전 케이블(17) 등을, 캡(6) 내에 배치된 모니터(10)에 나타낼 수 있다. 이 결과, 오퍼레이터는, 운전석(7)으로부터 후방을 돌아보지 않고, 모니터(10)에 나타내어진 급전구(16), 중계 케이블(18), 급전 케이블(17) 등의 상황을 확인하면서, 전동식 유압 셔블(1)을 이용하여 굴삭 작업 등을 행할 수 있어, 그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23)는, 급전구(16)보다 전측의 위치에서 하부 주행체(2) 및 상부 선회체(3)의 후방을 향해 배치되고, 하부 주행체(2) 및 상부 선회체(3)의 후방과 함께 급전구(16)를 촬상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퍼레이터는, 운전석(7)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몸을 반전시키지 않고, 카메라(23)에 의해 촬상된 급전구(16), 중계 케이블(18), 급전 케이블(17) 등을 모니터(10)에 의해 항상 확인하면서, 전동식 유압 셔블(1)을 이용하여 굴삭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선회체(3)에는, 운전석(7)과, 운전석(7)보다 후측에 위치하여 하부 주행체(2), 상부 선회체(3) 또는 작업 장치(4)가 작동하고 있는 것을 표시하는 작업등(22)이 마련되고, 카메라(23)는, 하부 주행체(2) 및 상부 선회체(3)의 주위 또는 후방과 함께, 급전구(16) 및 작업등(22)을 촬상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카메라(23)에 의해 촬상된 작업등(22)을 모니터(10)에 의해 확인할 수 있어, 전동식 유압 셔블(1)이 가동 중임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원인에 의해 작업등(22)이 점등하고 있지 않은 상황, 또는 전동식 유압 셔블(1)이 정지 상태라고 오인한 작업자가 부주의하게 급전구(16)에 접근하는 사태를 파악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선회체(3)의 후측에는, 카운터 웨이트(11)의 상면(11B)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중계 케이블(18)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 부재(19)가 마련되고, 카메라(23)는, 중계 케이블(18)의 일단(커넥터(18A)) 및 타단(커넥터(18B))보다 전측의 위치에서 상부 선회체(3)의 후방을 향해 배치되고, 또한, 케이블 지지 부재(19)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하부 주행체(2) 및 상부 선회체(3)의 후방과 함께, 급전구(16), 중계 케이블(18)의 커넥터(18A, 18B) 및 케이블 지지 부재(19)를 촬상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동식 유압 셔블(1)을 이용하여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경우에, 급전 케이블(17)과 중계 케이블(18)의 접속 상황 및 급전구(16)와 중계 케이블(18)의 접속 상황 등에 더하여, 중계 케이블(18)이 케이블 지지 부재(19)에 의해 적정하게 지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모니터(10)에 나타내어진 케이블 지지 부재(19)의 화상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 지지 부재(19)는, 카운터 웨이트(11)에 마련되고 상방으로 솟아오르는 스탠드부(19A)와, 스탠드부(19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급전 케이블(17)을 지지하는 아암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카메라(23)는 아암부(20)를 촬상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케이블 지지 부재(19)의 아암부(20)에 의해 중계 케이블(18)이 적정하게 지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모니터(10)에 나타낼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선회체(3)에는, 운전석(7)과, 운전석(7)을 적어도 상방으로부터 덮는 캡(6)이 마련되고, 카메라(23)는 캡(6)에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급전구(16)보다 높은 위치에 카메라(23)를 장착하기 위한 전용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캡(6)을 이용하여, 카메라(23)를 급전구(16)보다 높은 위치에 장착할 수 있어, 급전구(16)를 확실하게 촬상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선회체(3)에는, 운전석(7)과, 운전석(7)을 내부에 수용하는 캡(6)이 마련되고, 캡(6)은, 운전석(7)을 후방으로부터 덮는 후면(6B)과, 운전석(7)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면(6E)을 구비하며, 카메라(23)는, 캡(6)의 후면(6B)과 상면(6E)이 교차하는 후측 상부 모서리부(6F)에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부 선회체(3) 중 캡(6)의 상면(6E)보다 하측이고, 또한 캡(6)의 후면(6B)보다 후방이 되는 넓은 범위를 카메라(23)의 촬상 범위(A)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전동식 유압 셔블(1)의 주행 시에 있어서의 급전 케이블(17)의 밟힘, 상부 선회체(3)의 선회 시에 있어서의 급전 케이블(17)의 말려들어감 등을 카메라(23)에 의해 적확하게 촬상하여, 모니터(10)에 나타낼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선회체(3)의 후측에는, 카운터 웨이트(11)의 상면(11B)으로부터 급전구(16)보다 상방으로 돌출하고, 중계 케이블(18)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 부재(19)가 마련되며, 작업등(22)은, 급전구(16)와 케이블 지지 부재(19)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야간 작업 시에 있어서, 작업등(22)으로부터의 빛에 의해, 급전구(16)와 케이블 지지 부재(19)의 사이에 배치된 중계 케이블(18)을 밝게 비출 수 있다.
여기서, 실시형태에서는, 카운터 웨이트(11)의 상면(11B)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케이싱(16A)에 급전구(16)를 장착하고, 이 급전구(16)에 대하여, 급전 케이블(17)에 접속된 중계 케이블(18)의 커넥터(18B)를 접속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제 1 변형례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즉, 제 1 변형례에서는, 상부 선회체(3)의 외부에 배치된 중계 케이블(41)의 일단에 커넥터(41A)가 장착되고, 커넥터(41A)에는, 급전 케이블(17)의 커넥터(17A)가 접속되어 있다. 중계 케이블(41)의 타단에는 다른 커넥터(미도시)가 장착되고, 상기 다른 커넥터는 급전구(16)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은, 급전 케이블(17), 중계 케이블(41), 급전구(16), 모터 제어 장치 등(모두 미도시)을 개재하여 전동 모터(13)에 공급되고, 잉여의 전력은 배터리(15)에 충전된다. 또한, 커넥터(41A)가 장착된 중계 케이블(41)의 일단측은, 케이블 지지 부재(19)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카메라(23)는, 중계 케이블(41)의 커넥터(41A)보다 전측의 위치에서 상부 선회체(3)의 후방을 향해 배치되고, 또한, 케이블 지지 부재(19)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하부 주행체(2) 및 상부 선회체(3)의 후방과 함께, 중계 케이블(41)의 커넥터(41A), 케이블 지지 부재(19)를 촬상한다. 이에 의해, 중계 케이블(41)의 커넥터(41A)와 급전 케이블(17)의 커넥터(17A)가 확실하게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 중계 케이블(41)이 케이블 지지 부재(19)에 의해 적정하게 지지되어 있는지의 여부, 모니터(10)에 나타내어진 화상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급전구(16)와 급전 케이블(17)의 사이를 중계 케이블(18)을 개재하여 접속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제 2 변형례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즉, 제 2 변형례에서는, 중계 케이블을 개재시키지 않고, 급전 케이블(17)의 타단에 장착된 커넥터(17A)를 급전구(16)에 직접적으로 접속하고, 급전 케이블(17)의 중간부를 케이블 지지 부재(19)에 의해 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카메라(23)는, 급전구(16)보다 전측의 위치에서 상부 선회체(3)의 후방을 향해 배치되고, 또한, 케이블 지지 부재(19)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하부 주행체(2) 및 상부 선회체(3)의 후방과 함께, 급전 케이블(17)의 커넥터(17A), 케이블 지지 부재(19)를 촬상한다. 이에 의해, 급전구(16)와 급전 케이블(17)의 커넥터(17A)가 확실하게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 급전 케이블(17)이 케이블 지지 부재(19)에 의해 적정하게 지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모니터(10)에 나타내어진 화상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23)를 캡(6)의 후측 상부 모서리부(6F)에 장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운전석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캐노피를 구비한 전동식 유압 셔블에 있어서, 캐노피의 후단부에 카메라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상부 선회체의 후부에 급전구보다 상방까지 연장되는 브래킷을 장착하고, 이 브래킷의 상단측에 카메라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2 : 하부 주행체(차체)
3 : 상부 선회체(차체)
4 : 작업 장치
6 : 캡(운전석 커버)
6B : 후면
6E : 상면
6F : 후측 상부 모서리부
7 : 운전석
10 : 모니터
13 : 전동 모터
15 : 배터리
16 : 급전구
17 : 급전 케이블
17A : 커넥터(접속구)
18, 41 : 중계 케이블
18A, 41A : 커넥터(일단)
18B : 커넥터(타단)
19 : 케이블 지지 부재
19A : 스탠드부
20 : 아암부
22 : 작업등
23 : 카메라

Claims (11)

  1. 자주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의 전측에 마련된 작업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체는, 동력원이 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모아두는 배터리와, 상기 전동 모터 또는 상기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급전 케이블이 접속되는 급전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동식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주위를 감시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한 촬상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급전구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차체에 장착되고, 상기 차체의 주위와 함께, 상기 급전구을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건설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급전 케이블의 접속구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급전구에 접속되는 중계 케이블을 구비하며,
    상기 급전구는, 상기 중계 케이블을 개재하여 상기 급전 케이블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차체의 주위와 함께, 상기 급전구, 상기 중계 케이블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을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건설기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급전구보다 전측의 위치에서 상기 차체의 후방을 향해 배치되고, 상기 차체의 후방과 함께, 상기 급전구을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건설기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는, 운전석과, 상기 운전석보다 후측에 위치하여 상기 차체 또는 상기 작업 장치가 작동하고 있는 것을 표시하는 작업등이 마련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차체의 주위와 함께, 상기 급전구 및 상기 작업등을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건설기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는, 운전석과, 상기 운전석보다 후측에 위치하여 상기 차체 또는 상기 작업 장치가 작동하고 있는 것을 표시하는 작업등이 마련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차체의 후방과 함께, 상기 급전구 및 상기 작업등을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건설기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후측에는, 상기 차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급전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급전구보다 전측의 위치에서 상기 차체의 후방을 향해 배치되고, 또한, 상기 케이블 지지 부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차체의 후방과 함께, 상기 급전구, 및 상기 케이블 지지 부재를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건설기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 부재는, 상기 차체에 마련되고 상방으로 솟아오르는 스탠드부와, 상기 스탠드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급전 케이블을 지지하는 아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아암부를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건설기계.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후측에는, 상기 차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중계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중계 케이블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보다 전측의 위치에서 상기 차체의 후방을 향해 배치되고, 또한, 상기 케이블 지지 부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차체의 후방과 함께, 상기 급전구, 상기 중계 케이블의 상기 일단, 상기 타단 및 상기 케이블 지지 부재를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건설기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는, 운전석과, 상기 운전석을 적어도 상방으로부터 덮는 운전석 커버가 마련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운전석 커버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건설기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는, 운전석과, 상기 운전석을 내부에 수용하는 캡이 마련되고,
    상기 캡은, 상기 운전석을 후방으로부터 덮는 후면과, 상기 운전석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면을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캡의 상기 후면과 상기 상면이 교차하는 후측 상부 모서리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건설기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는, 운전석과, 상기 운전석보다 후측에 위치하여 상기 차체 또는 상기 작업 장치가 작동하고 있는 것을 표시하는 작업등이 마련되고,
    상기 차체의 후측에는, 상기 차체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급전구보다 상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급전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작업등은, 상기 급전구와 상기 케이블 지지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건설기계.
KR1020247006788A 2021-10-29 2022-10-27 전동식 건설기계 KR202400366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77458 2021-10-29
JP2021177458 2021-10-29
PCT/JP2022/040132 WO2023074793A1 (ja) 2021-10-29 2022-10-27 電動式建設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689A true KR20240036689A (ko) 2024-03-20

Family

ID=8615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6788A KR20240036689A (ko) 2021-10-29 2022-10-27 전동식 건설기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36689A (ko)
CN (1) CN117881856A (ko)
WO (1) WO202307479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0502A (ja) 2010-01-29 2011-08-18 Hitachi Constr Mach Co Ltd 電動式建設機械
JP2018084099A (ja) 2016-11-25 2018-05-31 日立建機株式会社 電動式建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8407A (ja) * 1994-12-01 1996-06-18 Hitachi Constr Mach Co Ltd 移動式建設機械
JP2004225355A (ja) * 2003-01-22 2004-08-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電動式作業機械
JP4332028B2 (ja) * 2003-12-25 2009-09-16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表示器制御システム
JP2010065445A (ja) * 2008-09-10 2010-03-25 Hitachi Constr Mach Co Ltd 電動式作業機械
KR20140119911A (ko) * 2013-03-29 2014-10-1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센서를 이용한 굴삭기의 후방 확인장치
JP2017014687A (ja) * 2015-06-26 2017-01-19 日立建機株式会社 電動作業補助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0502A (ja) 2010-01-29 2011-08-18 Hitachi Constr Mach Co Ltd 電動式建設機械
JP2018084099A (ja) 2016-11-25 2018-05-31 日立建機株式会社 電動式建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4793A1 (ja) 2023-05-04
CN117881856A (zh) 2024-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8912B2 (en) Hydraulic excavator
US20180223503A1 (en) Working Machine
JP2010065445A (ja) 電動式作業機械
JP6213526B2 (ja) 作業機械
JP2024023558A (ja) 電動式建設機械
KR20240036689A (ko) 전동식 건설기계
JP2023133504A (ja) 作業車両
JP2016212344A (ja)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ェイト装置
JP2017014687A (ja) 電動作業補助システム
JP6360783B2 (ja) 建設機械
WO2021193300A1 (ja) 電動式建設機械
JP6346676B2 (ja) 油圧ショベル
WO2023074791A1 (ja) 電動式建設機械
JP2019026474A (ja) フォークリフトの作業部視認装置
JP2014091973A (ja) 建設機械
JP6926039B2 (ja) 建設機械
JP5368415B2 (ja) 建設機械
JP2022067276A (ja) 電動式建設機械
JP7427469B2 (ja) 作業機械
WO2020183959A1 (ja) 電動式建設機械
JP2022134746A (ja) 検知部取付構造及び作業機械
JP5991048B2 (ja) 蓄電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
JP2018017032A (ja) 小型油圧ショベル
JP2006112229A (ja) 超小旋回作業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