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680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680A
KR20240036680A KR1020247006602A KR20247006602A KR20240036680A KR 20240036680 A KR20240036680 A KR 20240036680A KR 1020247006602 A KR1020247006602 A KR 1020247006602A KR 20247006602 A KR20247006602 A KR 20247006602A KR 20240036680 A KR20240036680 A KR 20240036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washer tank
tank
washer fluid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6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스케 야나이
다츠노리 우스이
다이스케 야마모토
아키토 츠카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Publication of KR20240036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68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0Arrangement of reservoi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전측 분출 장치(16), 후측 분출 장치(17)에 공급하는 워셔액을 저장하는 워셔 탱크(18)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용기로 이루어지고, 제 1 용기부(19)의 바닥면(19D)에서부터 천장면(19C)에 걸쳐 경사진 경사면(19A)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워셔 탱크(18) 내에서 워셔액의 액면(L1, L2)의 높이가 변화되면, 액면(L1, L2)의 전측 가장자리(P1, P2)가 경사면(19A)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제 1 용기부 (19)의 경사면(19A)에 비친 액면(L1,L2)의 전측 가장자리(P1, P2)의 위치를 상측에서 보고 확인하는 것만으로, 워셔액의 잔량(E1, E2)을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캡을 구비한 유압 셔블, 휠 로더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건설 기계의 대표예인 유압 셔블은, 자주(自走)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상부 선회체와, 상부 선회체의 전측(前側)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마련된 작업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차체를 구성하는 상부 선회체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캡이 마련되어 있다.
캡은, 운전석을 덮도록, 전면부, 후면부, 좌면부, 우면부 및 천장면부로 이루어지는 박스 형상의 캡 박스를 구비하고 있다. 이 캡 박스의 전면부, 후면부, 좌면부, 우면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주위를 목시(目視)하기 위한 창문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유압 셔블이 가동되는 현장은, 가동 시에 먼지나 흙탕물이 비산하는 황지(荒地)이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캡의 전면부나 후면부에는, 창문(창유리)에 부착된 수적(水滴)을 불식하는 와이퍼 장치와, 창문에 워셔액을 분출하는 분출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캡 내에는, 분출 장치에 공급하는 워셔액을 저장하는 워셔 탱크가 마련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워셔 탱크는, 예를 들면, 직방체 형상의 용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워셔 탱크는, 투명 또는 반투명인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가로 방향에서 목시함으로써, 워셔액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일본공개실용신안 실개평2-5372호 공보
그런데, 특허 문헌 1의 발명에 의한 워셔 탱크는, 가로 방향에서 목시함으로써, 워셔액의 잔량(액면 위치)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유압 셔블의 캡은, 오퍼레이터가 조작할 만큼의 좁은 공간으로 되어 있다. 특히, 미니 셔블이라고 불리는 소형의 유압 셔블은, 운전석, 조작 레버, 스위치, 모니터 등을 캡 박스로 둘러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
소형의 유압 셔블의 캡에서는, 워셔 탱크를 설치하는 장소도 한정되어버린다. 이 때문에, 주위가 캡 박스나 다른 물품으로 둘러싸여져 가로 방향에서 목시할 수 없는 장소에 워셔 탱크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워셔 탱크 내의 워셔액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압 셔블은, 먼지나 흙탕물이 비산하는 황지에서의 작업이 많아, 시계(視界)를 확보하기 위해 와이퍼 장치와 워셔액을 빈번하게 사용한다. 따라서, 워셔액의 잔량이 적은 채로 작업을 개시하고, 작업 도중에 워셔액이 없어진 경우에는, 작업을 멈추고 워셔액을 충전(보충)해야 하여,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장에 따라서는, 워셔액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는, 양호한 시계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워셔액의 잔량(액면 위치)이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워셔액의 충전 작업으로 워셔액이 넘칠 우려가 있으며, 워셔액이 넘친 경우에는, 별도 청소 작업이 필요해지거나, 전기 계통의 트러블의 원인이 되거나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워셔 탱크 내의 워셔액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자주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에 마련되어 창문을 가지는 캡을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창문에 워셔액을 분출하는 분출 장치와, 상기 분출 장치에 공급하는 워셔액을 저장하는 워셔 탱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워셔 탱크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용기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에서부터 천장면에 걸쳐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는, 워셔액의 액면을 가로 방향에서 목시할 수 없는 장소에 워셔 탱크가 배치된 경우에도, 워셔 탱크 내의 워셔액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된 유압 셔블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상부 선회체를 도 1 중의 화살표 II-II 방향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 중의 캡의 후부(後部)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캡의 후부를 도 3 중의 화살표 IV-IV 방향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운전석의 등받이가 쓰러진 상태를 도 4와 마찬가지의 위치에서부터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펌프와 호스가 조립된 워셔 탱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펌프와 호스가 조립된 워셔 탱크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8은 펌프와 호스가 조립된 워셔 탱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펌프와 호스가 조립된 워셔 탱크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워셔 탱크를 단체(單體)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워셔 탱크를 도 8 중의 화살표 XI-XI 방향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된 건설 기계로서, 크롤러식의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11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 장치측이 전측, 카운터 웨이트측이 후측으로 한 다음에, 이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건설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1)은,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2)와,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상부 선회체(3)와, 상부 선회체(3)의 전측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마련된 스윙식의 작업 장치(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는, 유압 셔블(1)의 차체를 구성하고 있다. 작업 장치(4)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미니 셔블이라고 불리는 소형의 유압 셔블이며, 상부 선회체(3)에 작은 캡(8)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는, 베이스가 되는 후술의 선회 프레임(5)을 가지고 있다. 상부 선회체(3)의 선회 프레임(5)에는, 카운터 웨이트(6), 캡(8) 등이 마련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5)은, 지지 구조체로서 형성되며,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5)의 전부(前部)에는, 작업 장치(4)가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5)의 후부에는, 작업 장치(4)와의 중량 밸런스를 취하기 위한 카운터 웨이트(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선회 프레임(5)의 우측에는, 작동유 탱크, 연료 탱크 등(모두 도시 생략)을 덮어 커버 부재(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선회 프레임(5)의 후측에는, 원동기로서의 엔진(디젤 엔진), 열교환기, 유압 펌프(모두 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원동기로서는, 디젤 엔진과 전동 모터를 조합한 하이브리드식의 원동기 또는 전동 모터 단체를 이용할 수 있다.
캡(8)은, 상부 선회체(3)의 좌우 방향의 중앙에서부터 좌측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8)은, 후술의 플로어 부재(9), 운전석(10), 캡 박스(13), 전측 와이퍼 장치(14), 후측 와이퍼 장치(15), 전측 분출 장치(16), 후측 분출 장치(17), 워셔 탱크(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플로어 부재(9)는, 캡(8)의 베이스를 구성하고 있다. 플로어 부재(9)는, 전측에 배치된 평탄한 발 받침부(9A)와, 발 받침부(9A)의 후부로부터 스텝 형상으로 일어서, 엔진 등을 덮은 운전석 대좌(臺座)(9B)와, 운전석 대좌(9B)의 후부로부터 비스듬하게 상측으로 연장된 배면부(9C)와, 배면부(9C)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탱크대(9D)를 구비하고 있다.
운전석 대좌(9B) 상에는, 운전석(10) 등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탱크대(9D)는, 후술하는 캡 박스(13)의 후면부(13B)의 직전에 위치하고, 워셔 탱크(18)를 장착하기 위한 대좌를 겸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탱크대(9D)는, 배면부(9C)의 상부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고, 그 후부가 일어선 L자 형상의 구조체로 이루어지며, 후측의 세로면부(9D1)에 워셔 탱크(18)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플로어 부재(9)의 주위에는, 캡 박스(13)가 장착되어 있다.
운전석(10)은, 플로어 부재(9)의 운전석 대좌(9B) 상에 마련되어 있다. 운전석(10)은, 오퍼레이터가 앉는 좌면(座面)(10A)과, 좌면(10A)의 후부로부터 일어선 등받이(10B)를 구비하고 있다. 등받이(10B)는, 오퍼레이터의 체형, 기호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고정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받이(10B)는, 후측으로 최대로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상단(헤드레스트)이 캡 박스(13)의 후면부(13B)의 근방에 도달한다.
작업용의 레버 장치(11)는, 운전석(10)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작업용의 레버 장치(11)는, 작업 장치(4) 등을 동작시킬 때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된다. 또한, 주행용의 레버·페달 장치(12)는, 플로어 부재(9)의 발 받침부(9A)의 전부에 마련되어 있다. 주행용의 레버·페달 장치(12)는, 하부 주행체(2)를 주행시킬 때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된다.
캡 박스(13)는, 플로어 부재(9)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다. 캡 박스(13)는, 캡(8)의 외각(外殼)을 형성함과 함께, 내부에 운전실을 형성하고 있다. 캡 박스(13)는, 전면부(13A), 후면부(13B), 좌면부(13C), 우면부(13D) 및 천장면부(13E)에 의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 박스(13)는, 전면부(13A)에 전측 창문(13F)을 가지고, 후면부(13B)에 후측 창문(13G)을 가지고, 좌면부(13C)에 좌측 창문(13H)을 가지고, 우면부(13D)에 우측 창문(13J)을 가지고, 천장면부(13E)에 천장 창문(도시 생략)을 가지고 있다. 또한, 캡 박스(13)는, 좌면부(13C)의 전측의 승강구를 개폐하는 도어(13K)를 구비하고 있다.
전측 창문(13F), 후측 창문(13G), 좌측 창문(13H), 우측 창문(13J) 등은, 투명한 창유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측 창문(13F)은, 캡 박스(13)의 전고(全高)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한편, 후측 창문(13G), 좌측 창문(13H), 우측 창문(13J)은, 캡 박스(13)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서부터 상측에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후면부(13B)의 후측 창문(13G), 좌면부(13C)의 좌측 창문(13H) 및 우면부(13D)의 우측 창문(13J)의 후부는, 플로어 부재(9)의 탱크대(9D)보다 상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탱크대(9D)에 장착된 워셔 탱크(18) 내의 워셔액의 액면(L1, L2)의 위치를 측방에서 목시하기 어렵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와이퍼 장치(14)는, 전측 창문(13F)의 좌측에 마련되어 있다. 전측 와이퍼 장치(14)는, 전측 창문(13F)(창유리)에 부착된 수적, 예를 들면, 빗물, 흙탕물 등을 불식한다. 후측 와이퍼 장치(15)는, 후측 창문(13G)의 우측에 마련되어 있다. 후측 와이퍼 장치(15)는, 후측 창문(13G)에 부착된 수적을 불식한다. 전측 와이퍼 장치(14), 후측 와이퍼 장치(15)는, 와이퍼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전측 와이퍼 장치(14), 후측 와이퍼 장치(15) 이외에도, 천장에 부착된 수적을 불식하는 천장 와이퍼 장치를 마련할 수도 있다.
전측 분출 장치(16)는, 전측 창문(13F)의 우측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전측 분출 장치(16)는, 워셔 탱크(18)로부터 압송되는 워셔액을 전측 창문(13F)(창유리)로 분출한다. 후측 분출 장치(17)는, 후측 창문(13G)의 좌측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후측 분출 장치(17)는, 워셔액을 후측 창문(13G)(창유리)으로 분출한다. 전측 분출 장치(16), 후측 분출 장치(17)는, 분출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전측 분출 장치(16)는, 후술의 전측용 펌프(27)(호스(27A))를 개재하여 워셔 탱크(18)에 접속되어 있다. 후측 분출 장치(17)는, 후측용 펌프(28)(호스(28A))를 개재하여 워셔 탱크(18)에 접속되어 있다. 전측 분출 장치(16), 후측 분출 장치(17) 이외에도, 워셔액을 천장 창문으로 분출하는 천장 분출 장치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특징 부분이 되는 워셔 탱크의 구성, 워셔액의 점검 작업, 충전 작업 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워셔 탱크(18)는, 전측 분출 장치(16), 후측 분출 장치(17)에 공급하는 워셔액을 저장하는 용기이다. 워셔 탱크(18)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용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워셔 탱크(18)는, 오퍼레이터가 운전석(10)의 좌면(10A)에 착좌할 수 있도록 운전석(10)의 등받이(10B)의 각도가 설정된 상태(운전석(10)의 등받이(10B)가 좌면(10A)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자세)에 있어서, 이 등받이(10B)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서, 등받이(10B)와 캡 박스(13)의 후면부(13B)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워셔 탱크(18)는, 플로어 부재(9)의 탱크대(9D) 상에 위치하여 세로면부(9D1)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워셔 탱크(18)가 운전석(10)의 등받이(10B)와 캡 박스(13)의 후면부(13B)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이유에 대하여 서술한다. 우선, 레버 장치(11), 각종 스위치, 모니터, 램프 등은, 운전석(10)에 앉은 오퍼레이터가 목시로 조작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레버 장치(11), 각종 스위치, 모니터, 램프 등은, 운전석(1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소형의 유압 셔블(1)의 캡(8)은, 작은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석(10)의 좌우 양측에는, 레버 장치(11), 각종 스위치 등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워셔 탱크(18)를 설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
한편, 운전석(10)의 등받이(10B)보다 후측은, 등받이(10B)를 쓰러뜨리기 위한 스페이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스페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워셔 탱크(18)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운전석(10)의 후측에 워셔 탱크(18)를 설치하는 경우, 후측 창문(13G)을 가로막지 않도록, 후측 창문(13G)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스페이스가 한정된 캡(8) 내에 있어서, 워셔 탱크(18) 내의 워셔액의 잔량(액면 위치)을 가로 방향에서 목시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워셔 탱크(18)는, 상측에서 워셔액의 잔량을 목시로 확인할 수 있다.
워셔 탱크(18)는, 운전석(10)의 등받이(10B)와 캡 박스(13)의 후면부(13B)와의 사이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로 긴 형상의 용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워셔 탱크(18)는, 등받이(10B)와 전후 방향에서 겹치는 좌측 위치에 배치된 제 1 용기부(19)와, 제 1 용기부(19)에 연속하여 우측에 마련된 제 2 용기부(20)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용기부(19)는, 워셔 탱크(18)의 좌우 방향의 길이 치수 중, 중간부에서 좌단부까지의 3분의 2 정도의 치수 범위로 마련되어 있다. 제 1 용기부(19)는, 전측의 경사면(19A), 후면(19B), 천장면(19C), 바닥면(19D), 좌측면(19E)을 가지고, 좌우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의 가로로 긴 용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후면(19B)은, 제 2 용기부(20)의 후면(20B)과 동일면을 이루고, 천장면(19C)은, 제 2 용기부(20)의 천장면(20C)과 동일면을 이루고, 바닥면(19D)은, 제 2 용기부(20)의 바닥면(20D)과 동일면을 이루고 있다.
경사면(19A)은, 바닥면(19D)에서부터 천장면(19C)에 걸쳐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사면(19A)은, 바닥면(19D)의 전측 가장자리로부터 천장면(19C)의 전측 가장자리를 향해 후측으로 경사진 직사각형 형상의 평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천장면(19C)은, 가늘고 긴 면이 되기 때문에, 제 1 용기부(19)는, 단면이 삼각 형상(직각 삼각 형상)의 가로로 긴 용기라고도 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19A)은, 바닥면(19D)의 전측 가장자리로부터 천장면(19C)의 전측 가장자리를 향해 후측으로 경사져 있다. 게다가, 워셔 탱크(18)의 일부를 이루는 경사면(19A)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셔 탱크(18)를 전측(가로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워셔액의 잔량, 즉, 액면(L1)이 점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의 경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셔 탱크(18)를 상측에서 보면, 액면(L1)의 전측 가장자리의 위치(P1)(액면(L1)이 경사면(19A)에 접한 위치로서 도 11에 도면에 나타냄)가 잔량(E1)(점선)으로서 목시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셔액의 잔량이 많아,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높은 액면(L2)인 경우에는, 액면(L2)의 전측 가장자리가 경사면(19A)에 접하는 위치가 P2가 되기 때문에, 워셔 탱크(18)를 상측에서 보면, 잔량(E2)으로서 목시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면(19A)에 비치는 액면(L1, L2) 등 전측 가장자리(P1, P2) 등은, 잔량(E1, E2) 등으로서 전후 방향에서 위치를 변경한다. 따라서, 워셔 탱크(18)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에, 경사면(19A)의 전측 가까이에 액면 전측 가장자리(잔량)가 있는 상태에서는, 잔량이 적은 것이 된다. 한편, 경사면(19A)의 후측 가까이에 액면 전측 가장자리(잔량)가 있는 상태에서는, 잔량이 많은 것이 된다. 즉, 워셔 탱크(18)를 상측에서 보는 것 만으로, 워셔액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19A)은, 운전석(10)의 등받이(10B)와 전후 방향에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측으로 쓰러뜨려진 등받이(10B)를 피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등받이(10B)에 닿지 않는 위치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한정된 스페이스에서, 워셔 탱크(18)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석(1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운전석(10)의 전후 위치에 의해 등받이(10B)가 후측으로 최대로 회전 운동(후경)할 수 있는 각도가 변경되지만, 경사면(19A)의 경사 각도는, 등받이(10B)를 후측으로 최대로 회전 운동시킨 상태에서, 등받이(10B)의 배면을 따르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점에 의해도, 워셔 탱크(18)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는 데다가, 등받이(10B)의 후경 각도를 크게 취할 수 있어, 오퍼레이터의 착좌 자세의 대응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워셔 탱크(18)에 경사면(19A)을 마련함으로써, 워셔 탱크(18) 내의 워셔액은, 상측으로 갈수록 적어진다. 이 때문에, 워셔 탱크(18)가 흔들려 워셔액의 물결이 발생해도, 작은 물결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물결이 내벽에 충돌할 때의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제 2 용기부(20)는, 워셔 탱크(18)의 좌우 방향의 길이 치수 중, 우측의 3분의 1 정도의 치수 범위에 마련되어 있다. 제 2 용기부(20)는, 전면(20A), 후면(20B), 천장면(20C), 바닥면(20D), 우측면(20E)을 가지고, 좌우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 형상이 사각 형상의 용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 2 용기부(20)는, 제 1 용기부(19)에 우측으로 연속하여 마련되어 있다. 후면(20B)은, 제 1 용기부(19)의 후면(19B)과 동일면을 이루고, 천장면(20C)은, 제 1 용기부(19)의 천장면(19C)과 동일면을 이루고, 바닥면(20D)은, 제 1 용기부(19)의 바닥면(19D)과 동일면을 이루고 있다.
워셔 탱크(18)는, 제 2 용기부(20)를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워셔액의 충전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천장면(20C)은, 전면(20A)에서부터 후면(20B)에 걸쳐 평탄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천장면(20C)에는, 큰(대구경인) 충전구(21)를 마련할 수 있다.
충전구(21)는, 제 2 용기부(20)의 천장면(20C)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충전구(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구경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워셔액의 충전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캡 훅(22)은, 충전구(21)의 가까이에 위치하여 천장면(20C)에 마련되어 있다. 캡 훅(22)에는, 후술하는 캡(29)의 벨트(29A)가 걸어 고정된다.
워셔 탱크(18)에는, 제 1 용기부(19)의 좌측과 제 2 용기부(20)의 우측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볼트 삽입 통과 구멍(23)이 마련되어 있다. 2개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23)에는, 후술의 볼트(26)가 삽입 통과된다. 또한, 제 1 용기부(19)의 바닥면(19D)에는, 좌우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여 모터 브래킷(24)이 마련되고, 좌측에 위치하여 호스 브래킷(25)이 마련되어 있다.
모터 브래킷(24)은, 후술의 전측용 펌프(27)와 후측용 펌프(28)를 보지(保持)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브래킷(24)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상측 가장자리가 제 1 용기부(19)의 바닥면(19D)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브래킷(24)은,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하측으로 개구한 C자 형상의 컷아웃(24A, 24B)을 가지고 있다. 컷아웃(24A)에는, 전측용 펌프(27)가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합되어 있다. 컷아웃(24B)에는, 후측용 펌프(28)가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합되어 있다.
호스 브래킷(25)은, 전측용 펌프(27)의 호스(27A)와 후측용 펌프(28)의 호스(28A)를 보지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스 브래킷(25)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상측 가장자리가 제 1 용기부(19)의 바닥면(19D)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호스 브래킷(25)은,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비스듬하게 하측으로 개구한 C자 형상의 컷아웃(25A, 25B)을 가지고 있다. 컷아웃(25A)에는, 전측용 펌프(27)의 호스(27A)가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합되어 있다. 컷아웃(25B)에는, 후측용 펌프(28)의 호스(28A)가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합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셔 탱크(18)는, 제 1 용기부(19)의 후면(19B)과 제 2 용기부(20)의 후면(20B)을, 플로어 부재(9)의 탱크대(9D)를 구성하는 세로면부(9D1)의 소정 위치(운전석(10)의 등받이(10B)의 후측)에 맞닿게 한다. 이 상태에서, 2개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23)에 삽입 통과한 볼트(26)를 탱크대(9D)에 나사 장착함으로써, 워셔 탱크(18)는, 등받이(10B)보다 낮은 위치에서, 등받이(10B)와 캡 박스(13)(캡8)의 후면부(13B)와의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용 펌프(27)는, 워셔 탱크(18)의 모터 브래킷(24)의 컷아웃(24A)에 감합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전측용 펌프(27)는, 펌프부와 모터부를 구비하고, 펌프부로부터 연장된 호스(27A)는, 전측 분출 장치(1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호스(27A)는, 도중 부분이 호스 브래킷(25)의 컷아웃(25A)에 감합되어 있다.
후측용 펌프(28)는, 모터 브래킷(24)의 컷아웃(24B)에 감합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후측용 펌프(28)는, 펌프부와 모터부를 구비하고, 펌프부로부터 연장된 호스(28A)는, 후측 분출 장치(1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호스(28A)는, 도중 부분이 호스 브래킷(25)의 컷아웃(25B)에 감합되어 있다.
캡(29)은, 워셔 탱크(18)의 충전구(21)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캡(29)은, 충전구(21)에 장착됨으로써, 충전구(21)를 폐색할 수 있다. 한편, 캡(29)은, 충전구(21)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충전구(21)를 개방할 수 있다. 이 충전구(21)의 개방 상태에서는, 충전구(21)를 통하여 워셔액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캡(29)은, 탈락,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벨트(29A)를 가지고, 이 벨트(29A)의 선단은, 캡 훅(22)에 걸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적용된 유압 셔블(1)은 상기 서술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어서,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오퍼레이터는, 캡(8)에 탑승하여 운전석(10)에 앉아, 주행용의 레버·페달 장치(12)를 조작함으로써, 하부 주행체(2)를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용의 레버 장치(11)를 조작함으로써, 작업 장치(4)를 회전 운동시켜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캡 박스(13)의 전측 창문(13F)이 먼지나 흙탕물로 오염된 경우에는, 캡(8) 내의 와이퍼 스위치(도시 생략)를 ON으로 하여 전측 와이퍼 장치(14)를 동작시킴으로써, 전측 창문(13F)의 오염을 불식할 수 있다. 이 때에, 워셔 스위치(도시 생략)를 ON으로 하여 전용 펌프(27)를 기동하고, 워셔 탱크(18) 내의 워셔액을 전측 분출 장치(16)로부터 전측 창문(13F)을 향해서 분출한다. 이에 따라, 강고하게 부착된 오염을 워셔액으로 녹여, 전측 와이퍼 장치(14)에 의해 효율적으로 불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후측 창문(13G)에 대해서도, 후측 와이퍼 장치(15), 후측 분출 장치(17)에 의해 오염을 불식할 수 있다.
이어서, 유압 셔블(1)에서 거행되는 각종의 점검 작업, 예를 들면, 워셔 탱크(18)의 워셔액의 잔량을 점검하는 작업이나 워셔 탱크(18)에 워셔액을 충전하는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워셔액의 잔량의 점검 작업은, 캡(8)에 올라탄 오퍼레이터가 운전석(10)의 등받이(10B)의 후측을 들여다보고, 워셔 탱크(18)를 상측에서 목시한다. 워셔 탱크(18)를 상측에서 목시하면, 제 1 용기부(19)의 경사면(19A)에는, 워셔액의 액면(L1, L2)의 전측 가장자리(P1, P2)가 훤히 비치고 있다. 이 때에, 전측 가장자리(P1, P2)의 위치는, 액면(L1, L2)의 높이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워셔 탱크(18)를 상측에서 목시하였을 때에, 액면(L1)의 전측 가장자리(P1)가 경사면(19A)의 전측 가까이에 보이는 상태에서는, 워셔액의 잔량(E1)이 적은(액면(L1)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액면(L2)의 전측 가장자리(P2)가 경사면(19A)의 후측 가까이에 보이는 상태에서는, 잔량(E2)이 많은(액면(L2)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워셔 탱크(18)를 상측에서 보는 것 만으로, 워셔액의 잔량(E1, E2)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워셔액의 잔량(E1, E2)의 점검 작업에 의해, 워셔 탱크(18) 내의 워셔액의 잔량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던 경우에는, 워셔액의 충전 작업을 행한다. 우선, 캡(29)을 제거하여 충전구(21)를 개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충전구(21)로부터 워셔액을 충전(보충)한다. 이 워셔액의 충전 시에는, 경사면(19A)에 비치는 액면의 전측 가장자리가 후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보이기 때문에, 천장면(19C)에 접근하면 워셔액의 충전을 멈춘다. 이에 따라, 워셔액을 넘치게 하지 않고, 재빠르게 충전할 수 있다. 워셔액을 충전하면, 충전구(21)에 캡(29)을 장착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측 분출 장치(16), 후측 분출 장치(17)에 공급하는 워셔액을 저장하는 워셔 탱크(18)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용기로 이루어지고, 제 1 용기부(19)의 바닥면(19D)에서부터 천장면(19C)에 걸쳐 경사진 경사면(19A)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워셔 탱크(18) 내에서 워셔액의 액면(L1, L2)의 높이가 변화되면, 액면(L1, L2)의 전측 가장자리(P1, P2)가 경사면(19A)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제 1 용기부(19)의 경사면(19A)에 비친 액면(L1, L2)의 전측 가장자리(P1, P2)의 위치를 상측에서 보고 확인하는 것만으로, 워셔액의 잔량(E1, E2)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 소형의 유압 셔블(1)의 캡(8)과 같이, 워셔액의 액면을 가로 방향에서 목시하는 것이 곤란한 장소에 워셔 탱크(18)가 배치된 경우에도, 워셔 탱크(18) 내의 워셔액의 잔량(액면 높이 위치)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점검 작업이나 충전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측으로부터의 워셔액의 충전 작업에서는, 워셔 탱크(18)를 상측에서 목시하는 것만으로, 충전의 진행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워셔액이 넘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캡(8) 내에는, 오퍼레이터가 앉는 운전석(10)이 마련되어 있다. 워셔 탱크(18)는, 운전석(10)의 등받이(10B)의 상단(헤드레스트)보다 낮은 위치에서, 등받이(10B)와 캡(8)을 구성하는 캡 박스(13)의 후면부(13B)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캡(8) 내에서 사용의 편리성이 나쁜 운전석(10)의 후측 위치를 이용하여 워셔 탱크(18)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10B)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의 워셔 탱크(18)는, 후방 시계를 방해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에게 넓은 후방 시계를 제공할 수 있다.
워셔 탱크(18)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로 긴 형상의 용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9A)은, 워셔 탱크(18)의 전면 중, 등받이(10B)와 전후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경사면(19A)은, 후측으로 쓰러뜨려진 등받이(10B)를 피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등받이(10B)에 닿지 않는 위치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한정된 스페이스에서, 워셔 탱크(18)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등받이(10B)의 후경 각도를 크게 취할 수 있어, 오퍼레이터의 착좌 자세의 기호에 대응할 수 있는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워셔 탱크(18)는, 경사면(19A)을 가지는 제 1 용기부(19)와, 제 1 용기부(19)에 연속하여 마련된 제 2 용기부(20)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용기부(19)는, 좌우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 또는 삼각 형상이며, 제 2 용기부(20)는, 전면(20A)에서부터 후면(20B)에 걸쳐 평탄한 천장면(20C)을 가지고, 좌우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 형상이 사각 형상이다. 제 2 용기부(20)의 천장면(20C)에는, 워셔액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구(21)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평탄한 천장면(20C)에는, 큰(대구경인) 충전구(21)를 마련할 수 있어, 워셔액의 충전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용기부(19)의 우측에 제 2 용기부(20)를 마련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1 용기부의 좌측에 제 2 용기부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 1 용기부의 좌우 양측에 제 2 용기부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 2 용기부를 폐지하여 제 1 용기부만으로 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석(10)의 등받이(10B)와 캡(8)을 구성하는 캡 박스(13)의 후면부(13B)와의 사이에, 워셔 탱크(18)를 배치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워셔 탱크(18)는, 운전석(10)의 후측 이외에도, 캡(8) 내에 있어서, 워셔액의 액면을 가로 방향에서 목시할 수 없는 위치이면 유효하다. 즉, 워셔 탱크는, 운전석의 등받이의 바로 뒤가 아니라, 등받이보다 후측에서, 등받이보다 좌측 또는 우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혹은, 운전석(작업용의 레버 장치)의 가로의 플로어 부재 상에 워셔 탱크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건설 기계로서 크롤러식의 유압 셔블(1)을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캡을 구비한 휠식의 유압 셔블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캡을 구비한 휠 로더 등의 다른 건설 기계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유압 셔블(건설 기계)
2 하부 주행체(차체)
3 상부 선회체(차체)
8 캡
10 운전석
10B 등받이
13 캡 박스
13B 후면부
13F 전측 창문(창문)
13G 후측 창문(창문)
13H 좌측 창문(창문)
13J 우측 창문(창문)
16 전측 분출 장치(분출 장치)
17 후측 분출 장치(분출 장치)
18 워셔 탱크
19 제 1 용기부
19A 경사면
19C, 20C 천장면
19D 바닥면
20 제 2 용기부
20A 전면
20B 후면
21 충전구

Claims (4)

  1. 자주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에 마련되어 창문을 가지는 캡을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창문에 워셔액을 분출하는 분출 장치와, 상기 분출 장치가 공급하는 워셔액을 저장하는 워셔 탱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워셔 탱크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용기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에서부터 천장면에 걸쳐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내에 운전석이 마련되고,
    상기 워셔 탱크는, 상기 운전석의 등받이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등받이와 상기 캡의 후면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 탱크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로 긴 형상의 용기로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워셔 탱크의 전면 중, 상기 등받이와 전후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 탱크는, 상기 경사면을 가지는 제 1 용기부와, 상기 제 1 용기부에 연속하여 마련된 제 2 용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용기부는, 좌우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 또는 삼각 형상이며,
    상기 제 2 용기부는, 전면에서부터 후면에 걸쳐 평탄한 상기 천장면을 가지고, 좌우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 형상이 사각 형상이며,
    상기 제 2 용기부의 상기 천장면에는, 워셔액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KR1020247006602A 2022-03-31 2023-02-23 건설 기계 KR202400366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59882 2022-03-31
JPJP-P-2022-059882 2022-03-31
PCT/JP2023/006608 WO2023189047A1 (ja) 2022-03-31 2023-02-23 建設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680A true KR20240036680A (ko) 2024-03-20

Family

ID=8820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6602A KR20240036680A (ko) 2022-03-31 2023-02-23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3189047A1 (ko)
KR (1) KR20240036680A (ko)
CN (1) CN117897534A (ko)
WO (1) WO202318904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6240T1 (de) * 1980-06-17 1987-04-15 Secretary Transport Brit Fluessigkeitsbehaelter, eingerichtet zur begrenzung unerwuenschter entleerung.
JPS59165337U (ja) * 1983-04-21 1984-1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リザ−ブタンク
JPH025372A (ja) 1989-04-07 1990-01-10 Watanabe Tsuguhiko アース線の施工方法
JP2506141Y2 (ja) * 1990-03-23 1996-08-07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タンクの取付構造
JP2002174122A (ja) * 2000-09-27 2002-06-21 Denso Corp タンク
JP2004217164A (ja) * 2003-01-17 2004-08-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04359274A (ja) * 2003-06-03 2004-12-24 Sunpot Co Ltd 液体タンク
JP2005239043A (ja) * 2004-02-27 2005-09-08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キャブ
JP2019143506A (ja) * 2018-02-19 2019-08-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ザーブタンク
JP7130979B2 (ja) * 2018-02-21 2022-09-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及び記録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실용신안 실개평2-5372호 공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89047A1 (ja) 2023-10-05
JPWO2023189047A1 (ko) 2023-10-05
CN117897534A (zh) 202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5163B2 (en) Loader work machine
US7503419B2 (en) Backhoe
JP6971773B2 (ja) 作業車両のキャブ、作業車両およびホイールローダ
JP2004162405A (ja) 運転室のフロア構造
KR20220002642A (ko) 캡 및 작업 차량
US7975793B1 (en) Tilting foot pod for the operator cab of a skid steer vehicle
JP3655537B2 (ja) 建設機械
JP2006248490A (ja) 作業車両のタンク構造
KR20240036680A (ko) 건설 기계
JP6824118B2 (ja) 作業車両用キャブおよび作業車両
US6711839B1 (en) Tractor with a working implement
US20220379811A1 (en) Stowing device, cab, and working machine
JP4746642B2 (ja) 作業機の操縦部構造
JPWO2019016914A1 (ja) 作業車両のキャブ及び作業車両
JP2005133492A (ja) ホイールローダ
CN113728140A (zh) 作业车辆
JPWO2016043345A1 (ja) 油圧ショベル
JP2004116048A (ja) 作業機
JP4246028B2 (ja) エンジンルームのカバー装置
JP6935378B2 (ja) 建設機械
JP6614515B2 (ja) コンバイン
JP3648469B2 (ja) 掘削作業機
JP2004217164A (ja) 建設機械
JP2020011697A (ja) 作業機
JP5685556B2 (ja) ホイールローダおよび作業機械のタン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