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3351A -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장치 - Google Patents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351A
KR20240033351A KR1020220111884A KR20220111884A KR20240033351A KR 20240033351 A KR20240033351 A KR 20240033351A KR 1020220111884 A KR1020220111884 A KR 1020220111884A KR 20220111884 A KR20220111884 A KR 20220111884A KR 20240033351 A KR20240033351 A KR 20240033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transverse
worm
longitudi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곤오토모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곤오토모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곤오토모빌
Priority to KR1020220111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3351A/ko
Publication of KR20240033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35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35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slide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장치는, 차량 하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전후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횡방향고정레일(10)과; 상기 횡방향고정레일(10)에 결합되어 횡방향고정레일(10)을 따라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횡방향이동레일(20)과; 전후 양측이 상기 두 횡방향이동레일(20)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어 횡방향이동레일(20)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횡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종방향고정레일(30)과; 상기 종방향고정레일(30)에 결합되어 종방향고정레일(30)을 따라 종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종방향이동레일(40)과; 상기 종방향이동레일(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중앙에 시트 바닥프레임(1)이 체결되고, 상부 양측에 시트 팔걸이(2)가 체결되는 프레임연결부재(50)와; 일측은 상기 프레임연결부재(50)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팔걸이(2)에 연결되어 있되, 상기 팔걸이(2)를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시트가 전후 및 좌우 이동하여 차량 실내 공간을 다양하게 가변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팔걸이가 프레임연결부재에 연결되어 등받이와 함께 거동하지 않는 독립형 팔걸이를 갖는 시트 장치에 있어서 팔걸이의 수직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승차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회전구동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팔걸이와 프레임연결부재를 수직회전하는 모터를 단독으로 설치하지 않고 웜과 웜휠을 이용한 동력 전달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고 각도가 조절된 상태의 유지가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회전구동장치는 프레임연결부재와 팔걸이를 연결하는 하우징설치부재를 통해 좁은 공간 내에 설치됨으로써 추가 부품으로 인한 공간 점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고장 발생시 간단한 볼트 작업으로 웜의 유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및 수리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장치{sheet apparatus for vehicle that can move back and forth and move left and right}
본 발명은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탑승자가 편안하게 탑승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운전석과 조수석에 배치되어 한사람만 착석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 타입 시트와 승객실의 후방에 배치되어 여러 명이 동시에 착석할 수 있는 벤치타입 시트 또는 다열시트로 구별된다.
이 세퍼레이터 타입 시트는 자동차의 차체 바닥에 슬라이 드 트랙을 통해 장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를 이동시켜 자세를 편안하게 하기 위함이다.
특히, 운전석 시트를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이동시킴으로써, 운전자가 각종기기 및 페달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자동차 시트는 전후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앞열과 뒷열 사이의 공간을 임의적으로 넓히거나 줄이도록만 이루어져 있었으며, 좌우 공간은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위치조절 및 회전이 가능한 자동차 시트용 받침대"(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88873호, 특허문헌 1)에는 전후 이동, 좌우 이동 및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 내 시트의 위치, 각도 등을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바 있다.
한편, 자동차 시트는 이러한 이동 외에 착용자의 편안한 착용감을 위하여 등받이가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등받이의 회전은 등받이와 시트의 연결 부위에서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팔걸이가 부착된 종래의 자동차 시트는 팔걸이가 등받이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등받이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 보다 고급 사양의 차량에서의 팔걸이는 단순 팔만 거치하는 것이 아니라 수납, 물품의 거치 등 다양한 역할을 하기 위해 등받이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와 같이 독립형 팔걸이를 보유한 시트의 경우 팔걸이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등받이가 기울어지는 경우 착용자의 등은 기울어지는 데 비해 팔의 하박은 팔걸이에 지지된 채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가 되므로 착용자는 상체의 기울어지는 느낌으로부터 편안한 느낌을 받지 못하고 불안한 느낌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등받이와 함께 거동하지 않는 독립형 팔걸이를 갖는 시트에 있어서 독립형 팔걸이의 각도 조절 기능이 부가될 필요성이 있다 할 것이다.
특허문헌 1. KR 10-2388873 (2022.04.18)
본 발명의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시트가 전후 및 좌우 이동하여 차량 실내 공간을 다양하게 가변하여 활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팔걸이가 프레임연결부재에 연결되어 등받이와 함께 거동하지 않는 독립형 팔걸이를 갖는 시트 장치에 있어서 팔걸이의 수직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승차감을 가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한 회전구동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팔걸이와 프레임연결부재를 수직회전하는 모터를 단독으로 설치하지 않고 웜과 웜휠을 이용한 동력 전달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고 각도가 조절된 상태의 유지가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회전구동장치는 프레임연결부재와 팔걸이를 연결하는 하우징설치부재를 통해 좁은 공간 내에 설치됨으로써 추가 부품 설치로 인한 공간 점유를 최소화하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고장 발생시 간단한 볼트 작업으로 웜의 유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및 수리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장치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 하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전후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횡방향고정레일(10)과; 상기 횡방향고정레일(10)에 결합되어 횡방향고정레일(10)을 따라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횡방향이동레일(20)과; 전후 양측이 상기 두 횡방향이동레일(20)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어 횡방향이동레일(20)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횡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종방향고정레일(30)과; 상기 종방향고정레일(30)에 결합되어 종방향고정레일(30)을 따라 종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종방향이동레일(40)과; 상기 종방향이동레일(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중앙에 시트 바닥프레임(1)이 체결되고, 상부 양측에 시트 팔걸이(2)가 체결되는 프레임연결부재(50)와; 일측은 상기 프레임연결부재(50)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팔걸이(2)에 연결되어 있되, 상기 팔걸이(2)를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장치(60)는, 상기 프레임연결부재(50)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61)과; 상기 하우징(61)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되, 회전축(62a)이 하우징(61) 외부로 돌출되어 팔걸이(2)에 연결되는 웜휠(62)과; 상기 하우징(61)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웜휠(62)과 맞물려 웜휠(62)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에 구동모터(64)가 연결되어 있는 웜(63);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연결부재(50)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61)이 연결되는 하우징설치부재(51)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하우징설치부재(51)는, 상기 프레임연결부재(50)의 상부 양측에 결합되며, 상부에 시트 바닥프레임(1)이 안착되는 시트안착부(51a)와; 상기 시트안착부(51a)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상향절곡부(51c)와; 상기 상향절곡부(51c)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되, 일측에 하우징설치홈(51d)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설치부(51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설치부재(51)의 상향절곡부(51c)에는 일측에 일정한 곡률을 가진채 라운드지게 절개된 가이드홀(5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기 팔걸이(2)에 맞대어져 볼트 결합되는 판상의 팔걸이연결부(5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팔걸이연결부(52a)와 일체로 연결된 채 하우징설치부재(51) 측으로 연장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홀(51b)에 끼워져 가이드홀(51b)을 따라 회전이 가이드 및 제한되는 가이드부(52b)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52);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61)의 일측에는 상기 웜(63)의 단부측이 내측으로 수용되는 고정캡(6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캡(65)의 내부는 상기 웜(63)의 단부와 이격된 베어링수용공간(65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수용공간(65c)에는 베어링(68d)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68d)을 가압하는 압력전달부재(68)가 상기 베어링수용공간(65c)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압력전달부재(68)를 가압하여 유격을 조절하는 유격조절볼트(69)가 상기 고정캡(65)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고정캡(65)은 유격조절볼트(69) 설치를 위한 홀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부터 상기 베어링수용공간(65c)까지 연통된 고정볼트체결홀(65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력전달부재(68)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볼트체결홀(65d)과 일직선을 이루는 볼트수용홈(68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체결홀(65d) 및 볼트수용홈(68c)에 끼워져 상기 압력전달부재(68)의 회전을 억제하는 회전방지볼트(65e)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시트가 전후 및 좌우 이동하여 차량 실내 공간을 다양하게 가변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팔걸이가 프레임연결부재에 연결되어 등받이와 함께 거동하지 않는 독립형 팔걸이를 갖는 시트 장치에 있어서 팔걸이의 수직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승차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회전구동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팔걸이와 프레임연결부재를 수직회전하는 모터를 단독으로 설치하지 않고 웜과 웜휠을 이용한 동력 전달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고 각도가 조절된 상태의 유지가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회전구동장치는 프레임연결부재와 팔걸이를 연결하는 하우징설치부재를 통해 좁은 공간 내에 설치됨으로써 추가 부품으로 인한 공간 점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고장 발생시 간단한 볼트 작업으로 웜의 유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및 수리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전후 및 좌우 이동을 위한 레일 설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회전구동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도 3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유격을 조절하는 기능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장치는 크게 횡방향고정레일(10), 횡방향이동레일(20), 종방향고정레일(30), 종방향이동레일(40), 프레임연결부재(50) 및 회전구동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횡방향고정레일(10)은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볼트 등을 통해 차량의 하부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차량 진행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횡방향고정레일(10)은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서로 전후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다.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횡방향고정레일(10)은 개방된 부분이 위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횡방향이동레일(20)은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횡방향고정레일(10)에 결합되어 횡방향고정레일(10)을 따라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종방향고정레일(30)은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후 양측이 상기 두 횡방향이동레일(20)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어 횡방향이동레일(20)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종방향고정레일(30)은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서로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종방향이동레일(40)은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종방향고정레일(30)에 결합되어 종방향고정레일(30)을 따라 종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레일들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모터, 엑츄에이터 등의 공지된 구동수단과 직,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동력에 의해 전후, 좌우로 이동하게 이루어져 있다.
더하여, 레일들의 단면 형상은 도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레일 단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프레임연결부재(50)는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판상의 형태를 위하며, 상기 종방향이동레일(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프레임연결부재(50)의 상부 중앙에는 시트 시트 바닥프레임(1)이 볼트 등을 통해 체결되고, 상부 양측에는 시트 팔걸이(2)가 볼트 등을 통해 체결된다.
이때, 회전구동장치(60)는 아래 서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61), 웜(63)과 웜휠(6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상기 프레임연결부재(50)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61)이 연결되는 하우징설치부재(51)가 설치되고, 하우징설치부재(51)를 활용하여 하우징(61)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설치부재(51)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연결부재(50)의 상부 양측에 결합되며, 상부에 시트 바닥프레임(1)이 안착되는 시트안착부(51a)와, 상기 시트안착부(51a)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상향절곡부(51c) 및, 상기 상향절곡부(51c)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되, 일측에 하우징설치홈(51d)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설치부(51e)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설치부재(51)의 상향절곡부(51c)에는 일측에 일정한 곡률을 가진채 라운드지게 절개된 가이드홀(51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측에 상기 팔걸이(2)에 맞대어져 볼트 결합되는 판상의 팔걸이연결부(5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팔걸이연결부(52a)와 일체로 연결된 채 하우징설치부재(51) 측으로 연장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홀(51b)에 끼워져 가이드홀(51b)을 따라 회전이 가이드 및 제한되는 가이드부(52b)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5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회전구동장치(60)는 일측은 상기 프레임연결부재(50)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팔걸이(2)에 연결되어 있되, 상기 팔걸이(2)를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를 위한 회전구동장치(60)의 가장 단순한 예로, 축이 팔걸이(2)에 연결되고, 본체는 상기 프레임연결부재(50)에 연결된 모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경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축이 회전하고, 축이 팔걸이(2)에 연결되어 있음으로 인해 팔걸이(2)가 회전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모터의 회전이 정지하는 각도 및 시간을 정확히 구현해내기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각도 조절이 어렵게 된다.
또, 모터의 회전 속도도 일정하지 못하므로 상기와 같은 구성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도 3과 같은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면의 구성은 하우징(61), 웜휠(62), 웜(63), 구동모터(64)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우선 하우징(61)이 상기 프레임연결부재(50)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61)의 내부에는 웜휠(62)과 웜(63)이 내장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웜휠(62)은 상기 하우징(61)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되, 회전축(62a)이 하우징(61) 외부로 돌출되어 팔걸이(2)에 연결된다.
하우징(61)은 원통형의 형상을 취하는 웜휠(62)이 내부에 설치되도록 웜휠설치공간(61a)이 형성되어 웜휠(62)이 회전 가능하게 내부에 장착되고, 일측에는 사각 박스 형태를 취하고 내부에 웜(63)이 설치되는 웜설치부(61b)가 구비되며, 웜설치부(61b)의 일측에는 웜(63)이 수용되기 위한 개구부(61c)가 형성되어 있다.
웜(6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61)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웜휠(62)과 맞물려 웜휠(62)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에 구동모터(64)가 연결되어 있다.
웜(63)은 웜(63)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웜나사부(63a), 일측연결부(63b) 및 타측연결부(63c)로 구성된다.
웜나사부(63a)는 상기 웜휠(62)과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일측연결부(63b)는 상기 웜나사부(63a)의 일측 단부에 구동모터(64)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되, 외주면 일측에 웜설치부(61b) 내부의 단턱진 부분보다 외경이 큰 일측가압부(63d)가 형성되어 있다.
타측연결부(63c)는 상기 웜나사부(63a)의 타측 단부에 구동모터(64)의 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되, 외주면 타측에 타측가압부(63e)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웜(63)은 상기 하우징(61)의 웜휠설치공간(61a)에 설치되고, 일측연결부(63b)가 상기 구동모터(64)와 연결되어 구동모터(64)의 회전에 따라 축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61)에는 웜(63) 설치를 위한 개구부(61c)가 형성되는데, 이 개구부(61c)를 개폐시키기 위한 고정캡(65)이 구비된다.
고정캡(65)은 일측에 볼트구멍이 형성된 플랜지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61c)를 차단하도록 웜설치부(61b)에 볼트를 통해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캡(65)은 일측이 상기 개구부(61c)를 통해 웜설치부(61b)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되, 일측 단부에는 내경이 상기 타측가압부(63e)부의 외경보다 작은 타측축경부(65a)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축경부(65a)의 단부측에는 타측단턱부(65b)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일측연결부(63b) 및 타측연결부(63c)에는 각각 일측부싱(66)과 타측부싱(67)이 끼워진다.
일측부싱(66)은 통칭 'T부싱'으로 불리는 구조로, 원통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웜설치부(61b) 내주면과 일측연결부(63b) 사이에 끼워지는 축방향일측끼움부(66a)와, 상기 축방향일측끼움부(66a)로부터 직교하게 외측으로 꺾여 상기 일측가압부(63d)와 웜설치부(61b)의 돌출된 단턱 사이에 끼워지는 일측링끼움부(66b)로 구성되어 있다.
타측부싱(67) 역시 마찬가지 형상으로 원통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타측축경부(65a)와 웜설치부(61b) 내주면 사이에 끼워지는 축방향타측끼움부(67a)와, 상기 축방향타측끼움부(51)로부터 직교하게 외측으로 꺾여 상기 타측가압부(63e)와 미표기된 단턱 사이에 끼워지는 타측링끼움부(67b)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캡(65)의 내부는 상기 웜(63)의 단부와 이격된 베어링수용공간(65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수용공간(65c)에는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베어링(68d)이 설치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 중공부에 일측이 끼워지고 타측은 상기 베어링(68d)을 가압하는 압력전달부재(68)가 상기 베어링수용공간(65c)에 설치되어 으며, 상기 압력전달부재(68)를 가압하여 유격을 조절하는 유격조절볼트(69)가 상기 고정캡(65)에 나사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캡(65)의 내부에는 웜수용공간(65f), 베어링수용공간(65c), 볼트수용공간(65g)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웜수용공간(65f)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주면이 상기 타측축경부(65a)로 이루어져 내측으로 상기 웜(63)의 타측연결부(63c)가 내측으로 수용된다.
베어링수용공간(65c)은 종래의 회전링크에 없던 것으로, 상기 웜수용공간(65f)과 연통되되, 내경이 상기 웜수용공간(65f)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다.
더불어, 볼트수용공간(65g)은 상기 베어링수용공간(65c)과 연통되되, 내경이 상기 베어링수용공간(65c)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으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68d)은 공지된 바와 같이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두 개의 금속판 사이에 다수 개의 볼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두 금속판 중 하나가 고정된 상태를 이룰 때, 다른 금속판은 회전하는 상태를 이루는 스러스트 베어링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베어링(68d)은 상기 베어링수용공간(65c)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압력전달부재(68)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68a)와 가압부(68b)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부(68a)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68d)의 중공부에 끼여져 베어링(68d)이 상하 또는 좌우로 유동하지 않도록 해준다.
이러한 가이드부(68a)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설치 상태에서 상기 타측연결부(63c)의 단부와 이격되어 웜(63)과 직접 연결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가압부(68b)는 상기 가이드부(68a)에 연결되어 있되, 가이드부(68a)의 외경보다 크게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아 상기 베어링(68d)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가압부(68b)의 일측 표면에 상기 베어링(68d) 중 어느 하나의 금속판을 전체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유격조절볼트(69)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볼트수용공간(65g)에 나사결합되고, 단부는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부(68b)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유격조절볼트(69)에는 고정캡(65)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69a)가 체결될 수 있다.
더하여, 압력전달부재(68)와 베어링(68d)이 접촉한 상태에서 자칫 압력전달부재(68)가 회전하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같이 상기 고정캡(65)은 유격조절볼트(69) 설치를 위한 홀 즉 볼트수용공간(65g)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서부터 상기 베어링수용공간(65c)까지 연통된 고정볼트체결홀(65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력전달부재(68)의 가압부(68b) 일측에는 상기 고정볼트체결홀(65d)과 일직선을 이루는 볼트수용홈(68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체결홀(65d) 및 볼트수용홈(68c)에 끼워져 상기 압력전달부재(68)의 회전을 억제하는 회전방지볼트(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압력전달부재(68)로 하여금 오로지 축방향을 따라서 전후진으로만 작동하게 하고 베어링(68d) 접촉에 의한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하여 온전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한 회전구동장치(60)의 구성은 타측가압부(63e)와 타측단턱부(65b) 사이의 타측링끼움부(67b)의 굵기가 얇아져 유격이 발생하는 상황, 또는 일측가압부(63d)와 웜설치부(65) 내측의 단턱 사이의 일측링끼움부(66b)의 굵기가 얇아져 유격이 발생하는 상황이 될 경우, 간편하에 유격조절볼트(69)를 조여주게 되면 유격조절볼트(69)의 단부가 압력전달부재(68)를 가압하는 상태가 되고, 압력전달부재(68)의 가압부(68b)가 베어링(68d)을 가압하여 베어링(68d)의 한쪽 금속판이 웜(63)의 타측연결부(63c) 단부에 밀착되면서 웜(63)의 좌우 유동이 억제된 상태가 된다.
즉, 고정캡(65)을 분해하고, 내부 부싱을 교체하거나,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수리하는 등의 작업 없이 현장에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유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회전구동장치(60)를 구성함에 있어서 팔걸이(2)와 프레임연결부재(50)를 연결하는 수직회전하는 모터를 단독으로 설치하지 않고 웜(63)과 웜휠(62)을 이용한 동력 전달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고 각도가 조절된 상태의 유지가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회전구동장치(60)는 프레임연결부재(50)와 팔걸이(2)를 연결하는 하우징설치부재(51)를 통해 좁은 공간 내에 설치됨으로써 추가 부품으로 인한 공간 점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가이드부재(50)를 통해 회전 각도를 간편하게 일정 각도 내로 제한하고, 지지함으로써 작동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 회전구동장치(60)는 양쪽 팔걸이(2)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하고, 두 팔걸이(2)가 서로 연동되도록 미도시된 연결부재로 연결할 수도 있으나, 각각의 팔걸이(2)에 각기 회전구동장치(60)를 개별적으로 설치할 경우 선택적으로 양쪽 팔걸이(2)의 회전 각도를 달리 조절하여 보다 다양한 자세를 연출하고 공간 확보에 더욱 기여할 수 있다.
1 : 바닥프레임 2 : 팔걸이
10 : 횡방향고정레일 20 : 횡방향이동레일
30 : 종방향고정레일 40 : 종방향이동레일
50 : 프레임연결부재 51 : 하우징설치부재
51a : 시트안착부 51b : 가이드홀
51c : 상향절곡부 51d : 하우징설치홈
51e : 하우징설치부 52 : 가이드부재
52a : 팔걸이연결부 52b : 가이드부
60 : 회전구동장치 61 : 하우징
61a : 웜휠설치공간 61b : 웜설치부
62 : 웜휠 62a : 회전축
63 : 웜 63a : 웜나사부
63b : 일측연결부 63c : 타측연결부
63d : 일측가압부 63e : 타측가압부
64 : 구동모터 65 : 고정캡
65a : 타측축경부 65b : 타측단턱부
65c : 베어링수용공간 65d : 고정볼트체결홀
65e : 회전방지볼트 65f : 웜수용공간
65g : 볼트수용공간 66 : 일측부싱
66a : 축방향일측끼움부 66b : 일측링끼움부
67 : 타측부싱 67a : 축방향타측끼움부
67b : 타측링끼움부 68 : 압력전달부재
68a : 가이드부 68b : 가압부
68c : 볼트수용홈 68d : 베어링
69 : 유격조절볼트 69a : 너트

Claims (5)

  1. 차량용 시트 장치에 있어서,
    차량 하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전후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횡방향고정레일(10)과;
    상기 횡방향고정레일(10)에 결합되어 횡방향고정레일(10)을 따라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횡방향이동레일(20)과;
    전후 양측이 상기 두 횡방향이동레일(20)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어 횡방향이동레일(20)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횡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종방향고정레일(30)과;
    상기 종방향고정레일(30)에 결합되어 종방향고정레일(30)을 따라 종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종방향이동레일(40)과;
    상기 종방향이동레일(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중앙에 시트 바닥프레임(1)이 체결되고, 상부 양측에 시트 팔걸이(2)가 체결되는 프레임연결부재(50)와;
    일측은 상기 프레임연결부재(50)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팔걸이(2)에 연결되어 있되, 상기 팔걸이(2)를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장치(60)는
    상기 프레임연결부재(50)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61)과;
    상기 하우징(61)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되, 회전축(62a)이 하우징(61) 외부로 돌출되어 팔걸이(2)에 연결되는 웜휠(62)과;
    상기 하우징(61)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웜휠(62)과 맞물려 웜휠(62)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에 구동모터(64)가 연결되어 있는 웜(63);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연결부재(50)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61)이 연결되는 하우징설치부재(51)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하우징설치부재(51)는,
    상기 프레임연결부재(50)의 상부 양측에 결합되며, 상부에 시트 바닥프레임(1)이 안착되는 시트안착부(51a)와;
    상기 시트안착부(51a)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상향절곡부(51c)와;
    상기 상향절곡부(51c)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되, 일측에 하우징설치홈(51d)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설치부(51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설치부재(51)의 상향절곡부(51c)에는 일측에 일정한 곡률을 가진채 라운드지게 절개된 가이드홀(5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기 팔걸이(2)에 맞대어져 볼트 결합되는 판상의 팔걸이연결부(5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팔걸이연결부(52a)와 일체로 연결된 채 하우징설치부재(51) 측으로 연장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홀(51b)에 끼워져 가이드홀(51b)을 따라 회전이 가이드 및 제한되는 가이드부(52b)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52);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61)의 일측에는 상기 웜(63)의 단부측이 내측으로 수용되는 고정캡(6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캡(65)의 내부는 상기 웜(63)의 단부와 이격된 베어링수용공간(65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수용공간(65c)에는 베어링(68d)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68d)을 가압하는 압력전달부재(68)가 상기 베어링수용공간(65c)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압력전달부재(68)를 가압하여 유격을 조절하는 유격조절볼트(69)가 상기 고정캡(65)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고정캡(65)은 유격조절볼트(69) 설치를 위한 홀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부터 상기 베어링수용공간(65c)까지 연통된 고정볼트체결홀(65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력전달부재(68)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볼트체결홀(65d)과 일직선을 이루는 볼트수용홈(68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체결홀(65d) 및 볼트수용홈(68c)에 끼워져 상기 압력전달부재(68)의 회전을 억제하는 회전방지볼트(65e)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장치.


KR1020220111884A 2022-09-05 2022-09-05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장치 KR20240033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884A KR20240033351A (ko) 2022-09-05 2022-09-05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884A KR20240033351A (ko) 2022-09-05 2022-09-05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351A true KR20240033351A (ko) 2024-03-12

Family

ID=90299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884A KR20240033351A (ko) 2022-09-05 2022-09-05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335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873B1 (ko) 2021-11-08 2022-04-20 정일교 위치조절 및 회전이 가능한 자동차 시트용 받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873B1 (ko) 2021-11-08 2022-04-20 정일교 위치조절 및 회전이 가능한 자동차 시트용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1703B1 (en) Transmission device for seat adjuster
EP1905640B1 (en) Seat device for vehicle
US10773613B2 (en) Vehicle seat
CN212148531U (zh) 具有垂直枢转运动的车辆座椅
WO2012105316A1 (ja) シート調整装置及びそのシート調整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装置
US20060131945A1 (en) Vehicular seat
US5899428A (en) Vehicle power seat adjuster with self-locking track assemblies
JP7355823B2 (ja) 車両シート用前後方向アジャスタ及び車両シート
US5797576A (en) Vehicle power seat adjuster with center horizontal drive screw actuation
CN113263966A (zh) 机动车辆座椅
US9079515B2 (en) Modular recline mechanism and sidemember for rotary recliner
US6629732B1 (en) Load compensating device for adjusting a seat rest
KR20240033351A (ko)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장치
CN113950430B (zh) 纵向调节器和车辆座椅
JP2001105939A (ja) 車両用座席の位置調節装置
CN115379964B (zh) 汽车座椅及汽车
JPH0651452B2 (ja) シ−トアジヤスタ
JP4499856B2 (ja) シート高さ調整装置
KR101950186B1 (ko) 자동차 시트의 숄더부 각도 조절 장치
KR20230068045A (ko)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
KR100551769B1 (ko) 자동차의 시트트랙 연동형 시트 틸트장치
KR100287330B1 (ko) 자동차용 파워시트 전동장치
JPH0418904Y2 (ko)
JPH08256867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H0471937A (ja) 動力式シートスライド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