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8045A -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8045A
KR20230068045A KR1020210153937A KR20210153937A KR20230068045A KR 20230068045 A KR20230068045 A KR 20230068045A KR 1020210153937 A KR1020210153937 A KR 1020210153937A KR 20210153937 A KR20210153937 A KR 20210153937A KR 20230068045 A KR20230068045 A KR 20230068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rossbar
height
lead screw
s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욱
박재훈
Original Assignee
대원정밀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정밀공업(주) filed Critical 대원정밀공업(주)
Priority to KR1020210153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8045A/ko
Publication of KR20230068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0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0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with independent front and/or rear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864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60N2002/02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이드 프레임에 전단 크로스바가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전단링크의 회동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의 경사각도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이 전/후단 크로스바에 의해 연결되고, 전/후단 크로스바와 차체에 설치된 시트레일이 전/후단 링크에 의해 연결되며, 전단 크로스바와 전단 링크에 연결된 위치조정부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의 경사각도가 조정되는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단 크로스바는, 양단이 좌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정부는, 전단 링크에 양단이 일체로 고정설치된 동기작동바와, 동기작동바에 일측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리드스크류와, 전단 크로스바에 연결설치되고 리드스크류에 일측이 기어결합되어 리드스크류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작동모터부를 포함하여, 작동모터부의 작동 시, 전단 크로스바에 의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전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리드스크류에 의해 동기작동바가 회전이동되고, 동기작동바에 의해 전단링크가 링크작동되어 사이드 프레임의 경사각도가 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Seat position angle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이드 프레임을 지지하는 전단 크로스바의 회전작동없이, 동기 작동바에 의해 전단링크가 링크작동되어 사이드 프레임의 경사각도가 조정되는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시트쿠션과, 시트쿠션과 연결되어 탑승자의 등부분에 대한 하중을 지지하는 시트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차량 실내의 앞쪽과 뒤쪽에 설치된 운전석 및 조수석, 동승석(후석)의 좌석의자인 시트에는 탑승객의 편안함을 위하여,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시트위치를 조절하는 시트 위치조절 장치, 시트쿠션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틸트장치, 시트백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 장치,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하이트 장치 등등 다양한 편의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틸트장치는 전단링크와 시트쿠션의 사이드 프레임 및 전단 크로스바에 연결설치되어 전단링크를 회동시킴으로써, 사이드 프레임의 경사각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이트 장치는 시트의 쿠션프레임과 시트레일의 사이에 회동 가능한 하이트 링크가 설치(시트의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 4개소)되고, 이 중 시트의 외측 후방 하이트 링크측에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이 연결설치되어, 높이조절수단에 연결된 하이트링크를 강제 회동시킴으로써 쿠션프레임 전체가 상승/하강되어 시트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종래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차량용 시트는 4절 링크구조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어, 사이드 프레임의 경사각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프레임과 시트레일이 2단 전단링크와 1단 후단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사이드 프레임의 경사각을 향상시킨 5절 링크구조의 프레임이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이와 같은 5절 링크구조의 프레임은 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전단 크로스바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사이드 프레임에 대한 강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사이드 프레임의 경사각도 조절 시,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에 대한 비틀림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108803호(2020.05.04)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9-0066673호(2019.06.14)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드 프레임에 전단 크로스바가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전단링크의 회동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의 경사각도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5절 링크 구동방식으로 이루어진 자동차 시트에 있어서, 사이드 프레임의 강성이 유지되면서 사이드 프레임의 경사각도가 조정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이 전/후단 크로스바에 의해 연결되고, 전/후단 크로스바와 차체에 설치된 시트레일이 전/후단 링크에 의해 연결되며, 전단 크로스바와 전단 링크에 연결된 위치조정부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의 경사각도가 조정되는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단 크로스바는, 양단이 좌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정부는, 전단 링크에 양단이 일체로 고정설치된 동기작동바와, 동기작동바에 일측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리드스크류와, 전단 크로스바에 연결설치되고 리드스크류에 일측이 기어결합되어 리드스크류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작동모터부를 포함하여,
작동모터부의 작동 시, 전단 크로스바에 의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전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리드스크류에 의해 동기작동바가 회전이동되고, 동기작동바에 의해 전단링크가 링크작동되어 사이드 프레임의 경사각도가 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이드 프레임과 전단 크로스 바가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설치되어 있어, 하이트 및 릴렉션(릴렉세이션) 작동 시, 사이드 프레임의 뒤틀림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리드스크류 방식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의 경사각도가 조정되도록 되어 있어, 작동소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조립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단 크로스바에 평행하도록 동기작동바가 설치되고, 상기 동기작동바의 양단에 연결된 전단링크의 제1링크가 전단 크로스바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어, 위치조정부에 의한 동기작동바의 작동 시, 전단 크로스바를 중심으로 동기작동바 및 한 쌍의 제1링크가 그네타입으로 작동되므로, 한 쌍의 전단링크의 작동이 동기화되어 사이트 프레임의 경사각도가 정밀제어될 뿐 아니라, 사이드 프레임의 비틀림 현상이 방지되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링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또다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관계를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링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또다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0)이 전/후단 크로스바(20,30)에 의해 연결되고, 전/후단 크로스바(20,30)와 차체에 설치된 시트레일(40)이 전/후단 링크(50,60)에 의해 연결되며, 전단 크로스바(20)와 전단 링크(50)에 연결된 위치조정부(70)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10)의 경사각도가 조정되는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전단 크로스바(20)는 양단이 좌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10)에 일체로 고정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정부(70)는, 전단 링크(50)에 양단이 일체로 고정설치된 동기작동바(71)와, 동기작동바(71)에 일측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리드스크류(72)와, 전단 크로스바(20)에 연결설치되고 리드스크류(72)에 일측이 기어결합되어 리드스크류(72)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작동모터부(73)를 포함하여,
작동모터부(73)의 구동 시, 전단 크로스바(20)에 의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0) 전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리드스크류(72)에 의해 동기작동바(71)가 회전이동되고, 동기작동바(71)에 의해 전단링크(50)가 링크작동되어 사이드 프레임(10)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10)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단부(10a)에 전단 크로스바(20)가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설치되고, 후단부(10b)에 후단 크로스바(30)가 연결되는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져, 하중 부하시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구비하면서도 시트의 릴렉션(릴렉세이션) 작동시 전단부(10a)에 대한 비틀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프레임(10)과 시트레일(40)은 5절 링크구조로 연결되어 있어, 시트의 높낮이 및 경사각도에 대한 동시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10)과 시트레일(40)은 시트의 높낮이 및 경사각도가 조절되도록 전/후단 링크(50,6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단링크(50)는, 전단 크로스바(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동기작동바(71)가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제1링크(51)와, 제1링크(51)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시트레일(40)에 타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52)를 포함하고,
상기 후단링크(60)는, 시트레일(40)에 제5힌지(61)에 의해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후단 크로스바(30)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사이드 프레임(10)과 시트레일(40) 및 전/후단링크(50,60)는 모두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기작동바(71)는 양단(71a)이 한쌍의 제1링크(51)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링크(51)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시(53)를 매개로 일측이 전단 크로스바(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제1힌지(54)에 의해 제2링크(52)와 힌지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링크(51)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시(53)와 제1힌지(54) 사이에 위치하도록 동기작동바의 양단(71a)이 삽입되어 용접되는 고정홈(51a)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홈(51a)내로 동기작동바의 양단(71a)이 각각 삽입된 후, 동기작동바의 양단(71a)이 고정홈(51a)내에 고정되도록 용접 설치된다.
이와 같이, 동기작동바의 양단(71a)이 제1링크의 고정홈(51a)내로 고정되도록 삽입되어 일체로 고정설치될 경우, 동기작동바의 양단(71a)에 고정설치된 한쌍의 제1링크(51)가 정확하게 동기작동될 아니라, 사이드 프레임(10)을 통해 전단링크(50)로 전달되는 하중이 제1링크(51)를 통해 동기작동바(71)로 분산전달되게 되므로, 하중 부하시에도 전단링크(50) 및 동기작동바(71)에 연결설치된 위치조정부(70)를 작동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제1링크(51)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10) 방향으로 스토퍼 돌기(51b)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 돌기(51b)는 제2링크(52)의 일측에 접촉되어 제1링크(51)의 링크작동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즉, 상기 스토퍼 돌기(51b)는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부(10a) 높이가 최하단에 위치(평상시 작동상태)될 경우, 제2링크(52)의 일측에 접촉되어, 제1링크(51)의 회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링크(51)와 사이드 프레임(10) 사이에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51)의 링크작동이 비틀림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전단 크로스바(20)에 사이간격재(56)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단 크로스바(20)는 양단(20a)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걸림돌기(21)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링크(51)는 사이간격재(56)와 걸림돌기(21) 사이에 위치하도록 전단 크로스바(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링크(52)는 제1링크(51)와 제1힌지(54)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고, 시트레일(40)과 제2힌지(55)에 의해 타측이 연결된다.
즉, 상기 전단링크(50)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51)와 제2링크(52)가 제1힌지(54)에 의해 연결되고, 제2링크(52)가 제2힌지(55)에 의해 시트레일에 연결되며, 전단 크로스바(20)에 제1링크(51)의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제1링크(51)가 동기작동바(71)에 일체로 연결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단링크(60)는 시트레일(40)에 대하여 사이드 프레임(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하이트 링크(8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후단링크 중 하나의 후단링크는 하이트 링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이트 링크(80)는 도 6 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 크로스바(30)에 고정설치되면서 시트레일(4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피니언기어(81)에 치합되는 섹터기어(80a)가 일측에 구비되어,
하이트 모터(82)의 구동 시, 하이트 모터(82)의 구동력이 피니언기어(81)를 통해 하이트 링크의 섹터기어(80a)에 전달되고, 하이트 링크(80)가 시트레일(40)에 연결된 제5힌지(61)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사이드 프레임의 후단부(10b)에 대한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니언기어(81)는 후단 크로스바(30)에 연결되고, 하이트 모터(82)는 사이드 프레임(10)에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하이트 모터(82)에 의해 피니언기어(81)가 회전구동되어, 섹터기어(80a)를 작동시킴으로써, 하이트 링크(80)가 회전작동되는 구성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위치조정부(70)는, 사이트 프레임 전단부(10a)의 경사각도가 조정되도록 전단링크(5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 크로스바(20)에 작동모터부(73)가 연결설치되고, 동기작동바(71)에 리드스크류(72)의 일측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작동모터부(73)의 일측이 리드스크류(72)에 치합되어, 작동모터부(73)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모터부(73)에서 동기 작동바(71)까지의 리드스크류(72)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동기작동바(71)의 회동이 이루어져 전단링크(50)가 링크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동기작동바(71)는 양단이 전단링크 즉, 전단링크의 제1링크(51)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도록 전단 크로스바(20)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한 쌍의 제1링크(51)를 동기작동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동기작동바(71)는 일측에 지지브래킷(71b)가 일체로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브래킷(71b)에 리드스크류(72)가 힌지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브래킷(71b)은, 지지브래킷(71b)에서 동기작동바의 양단에 고정설치된 제1링크(51)까지의 거리가 각각 동일하도록 동기작동바(71)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드스크류(72)는 제3힌지(78)에 의해 일측단이 동기작동바 즉, 동기작동바의 지지브래킷(71b)에 연결되어 있으며, 작동모터부(73)의 기어박스(77)의 일측이 관통 치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작동모터부(73)는 전단 크로스바(20)에 고정설치된 고정브래킷(74)과, 고정브래킷(74)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는 모터브래킷(75)과, 모터브래킷(75)에 고정설치되는 작동모터(76)와, 모터브래킷(75)에 고정설치되고 리드스크류(72)가 관통치합되며, 작동모터(76)의 구동축(도시없음)이 연결되는 기어박스(77)를 포함한다.
즉, 상기 작동모터부(73)는, 고정브래킷(74)과 모터브래킷(75)이 제4힌지(7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기어박스(77)가 리드스크류(72)의 나사산에 치합되도록 연결되며, 고정브래킷(74)은 전단 크로스바(20)에 고정되고, 리드스크류(72)와 동기작동바의 지지브래킷(71b)이 제3힌지(7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작동모터(76)가 구동될 시, 기어박스(77)를 중심으로 리드스크류(72)의 직선이동이 이루어지면서, 기어박스(77)는 모터브래킷(75)에 의해 제4힌지(79)를 축으로 회전되고, 동기작동바(71)는 리드스크류(72)의 직선이동에 의해 제3힌지(78)를 축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기어박스(77)는 작동모터의 구동축에 연결설치되는 워엄기어와, 워엄기어의 외주면과 치합되고 리드스크류가 내주면과 치결합되는 워엄휠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기어박스의 구성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릴렉션 작동(사이드 프레임의 전단부 경사각도 조절 작동)을 첨부된 도면에 연계하여 설명한다.
도 7 의 (a) 및 도 8 의 (a) 는 본 발명의 평상시 상태, 도 7 의 (b) 및 도 8 의 (b) 는 본 발명의 최대 작동상태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평상시 상태에서는 리드스크류(72)와 지지브래킷(71b)에 연결되는 제4힌지(79)가 기어박스(77)에서 가장 멀어진 상태(기어박스와 제4힌지 사이의 리드스크류 길이가 가장 긴 상태 - 시트 전단방향으로 리드스크류가 이동된 상태)를 구비하고,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부 경사각도가 최대로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제4힌지(79)가 기어박스(77)에 가장 가까운 상태(기어박스와 제4힌지 사이의 리드스크류 길이가 가장 짧은 상태 - 시트 후단방향으로 리드스크류가 이동된 상태)를 구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평상시 상태는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부(10a) 높이가 최하단에 위치한 상태를 임의로 지칭한 것이다.
즉, 도 7 의 (a) 및 도 8 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상시 상태에서 작동모터부의 작동모터(76)가 구동(정방향 구동)되면, 동기작동바(71)에 연결된 제4힌지(79)가 기어박스(77)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리드스크류(72)가 직선이동된다.
이때, 상기 동기작동바(71)는 양단이 전단링크의 제1링크(51)에 고정되고, 제1링크(51)는 전단 크로스바(2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어, 제4힌지(79)가 기어박스(77)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리드스크류(72)가 직선이동될 경우, 전단링크의 제1링크(51)가 고정된 동기작동바(71)는 전단 크로스바(20)를 중심으로 A방향으로 회동되고, 전단링크의 제1링크(51) 역시 전단 크로스바(20)를 중심으로 A방향으로 회동되며, 제1링크(51)의 회동에 의해 제2링크(52)는 제2힌지(55)를 중심으로 B방향으로 회동되어 사이드 프레임(10)이 제5힌지(61)를 중심으로 A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부(10a)가 도 7 의 (b) 및 도 8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어올려지게 되어, 사이드 프레임(10)의 경사각도가 조정된다.
이때, 기어박스(77)가 고정된 모터브래킷(75)은 제3힌지(78)를 중심으로 고정브래킷(74)에 연결되고, 리드스크류(72)와 동기작동바의 지지브래킷(71b)은 제4힌지(79)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리드스크류(72)의 직선이동이 이루어지면서 동기작동바(71) 및 전단링크(50)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7 의 (b) 및 도 8 의 (b)에 도시된 작동상태에서 작동모터부의 작동모터(76)가 구동(역방향 구동)되면, 동기작동바(71)에 연결된 제4힌지(79)가 기어박스(77)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리드스크류(72)가 직선이동된다.
이와 같이, 리드스크류(72)가 직선이동될 경우, 제1링크(51)와 동기작동바(71)는 전단 크로스바(20)를 중심으로 B방향으로 회동되고, 제1링크(51)의 회동에 의해 제2링크(52)는 제2힌지(55)를 중심으로 A방향으로 회동되어 사이드 프레임(10)이 제5힌지(61)를 중심으로 B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도 7 의 (a) 및 도 8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어올려진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부(10a)가 내려지게 되어, 사이드 프레임(10)의 경사각도가 조정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기재된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사이드 프레임 (20) : 전단 크로스바
(20a) : 양단 (21) : 걸림돌기
(30) : 후단 크로스바 (40) : 시트레일
(50) : 전단링크 (51) : 제1링크
(51a) : 고정홈 (51b) : 스토퍼
(52) : 제2링크 (53) : 부시
(54) : 제1힌지 (55) : 제2힌지
(56) : 사이간격재 (60) : 후단링크
(61) : 제5힌지 (70) : 위치조정부
(71) : 동기작동바 (71a) : 양단
(71b) : 지지브래킷 (72) : 리드스크류
(73) : 작동모터부 (74) : 고정브래킷
(75) : 모터브래킷 (76) : 작동모터
(77) : 기어박스 (78) : 제3힌지
(79) : 제4힌지 (80) : 하이트 링크
(80a): 섹터기어 (81) : 피니언기어
(82) : 하이트 모터 (100) : 자세조정장치

Claims (4)

  1.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0)이 전/후단 크로스바(20,30)에 의해 연결되고, 전/후단 크로스바(20,30)와 차체에 설치된 시트레일(40)이 전/후단 링크(50,60)에 의해 연결되며, 전단 크로스바(20)와 전단 링크(50)에 연결된 위치조정부(70)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10)의 경사각도가 조정되는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전단 크로스바(20)는, 양단이 좌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10)에 일체로 고정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정부(70)는, 전단 링크(50)에 양단이 일체로 고정설치된 동기작동바(71)와, 동기작동바(71)에 일측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리드스크류(72)와, 전단 크로스바(20)에 연결설치되고 리드스크류(72)에 일측이 기어결합되어 리드스크류(72)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작동모터부(73)를 포함하여,
    작동모터부(73)의 구동 시, 전단 크로스바(20)에 의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0) 전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리드스크류(72)에 의해 동기작동바(71)가 회전이동되고, 동기작동바(71)에 의해 전단링크(50)가 링크작동되어 사이드 프레임(10)의 경사각도가 조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전단링크(50)는, 전단 크로스바(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동기작동바(71)가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제1링크(51)와, 제1링크(51)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시트레일(40)에 타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제1링크(51)는, 동기작동바의 양단(71a)가 삽입되어 용접되는 고정홈(51a)이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홈(51a)내로 동기작동바의 양단(71a)이 각각 삽입된 후, 동기작동바의 양단(71a)이 고정홈(51a)내에 고정되도록 용접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후단링크(60)는, 시트레일(40)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후단 크로스바(30)에 연결되되,
    상기 후단링크(60)는 시트레일(40)에 대하여 사이드 프레임(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하이트 링크(80)로 구성되고,
    상기 하이트 링크(80)는 후단 크로스바(30)에 고정설치되면서 시트레일(4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피니언기어(81)에 치합되는 섹터기어(80a)가 일측에 구비되어,
    하이트 모터(82)의 구동 시, 하이트 모터(82)의 구동력이 피니언기어(81)를 통해 하이트 링크의 섹터기어(80a)에 전달되고, 하이트 링크(80)가 시트레일(40)에 연결된 제5힌지(6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사이드 프레임의 후단부(10b)에 대한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
KR1020210153937A 2021-11-10 2021-11-10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 KR20230068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937A KR20230068045A (ko) 2021-11-10 2021-11-10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937A KR20230068045A (ko) 2021-11-10 2021-11-10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045A true KR20230068045A (ko) 2023-05-17

Family

ID=8654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937A KR20230068045A (ko) 2021-11-10 2021-11-10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804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673A (ko) 2017-12-06 2019-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릴렉스 시트
KR102108803B1 (ko) 2018-03-22 2020-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및 차량용 시트를 이용한 착석 자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673A (ko) 2017-12-06 2019-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릴렉스 시트
KR102108803B1 (ko) 2018-03-22 2020-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및 차량용 시트를 이용한 착석 자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5640B1 (en) Seat device for vehicle
US10414293B2 (en) Vehicle seat
JP5104161B2 (ja) 車両用シート
CN212148531U (zh) 具有垂直枢转运动的车辆座椅
US7780235B2 (en) Vehicle seat, in particular motor vehicle seat
US20090289481A1 (en) Adjustable Bolster Assembly
JP2019172189A (ja) 車両用シート
US5121895A (en) Power seat lift arrangement for automotive seat with compact construction enabling lowering of hip point
US6264158B1 (en) Structural support for seat track assembly
US6145914A (en) Torque tube for seat track assembly
KR20230068045A (ko) 차량용 시트의 자세 조정장치
US20180264976A1 (en) Seat back with power shoulder pivot
JP5221169B2 (ja) 車両用回転シート
EP4011694A1 (en) Seat frame
KR102309253B1 (ko) 이중 기어를 이용한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JP4499856B2 (ja) シート高さ調整装置
US20240092231A1 (en) Seat for Vehicle
WO2023136133A1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11760232B2 (en) Motor vehicle seat
KR20190067617A (ko) 롤링 제어 가능한 차량용 시트 장치
KR100551769B1 (ko) 자동차의 시트트랙 연동형 시트 틸트장치
JP2000038062A (ja) 車両のシ―トの水平方向に関する単一駆動装置
US20240075853A1 (en) Apparatus for tilting seat cushion of vehicle
KR20240033351A (ko)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장치
JPH0732250Y2 (ja) シートリフター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