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9254A -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9254A
KR20240029254A KR1020220107487A KR20220107487A KR20240029254A KR 20240029254 A KR20240029254 A KR 20240029254A KR 1020220107487 A KR1020220107487 A KR 1020220107487A KR 20220107487 A KR20220107487 A KR 20220107487A KR 20240029254 A KR20240029254 A KR 20240029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coustic
signal
rotating bod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7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영
최형기
Original Assignee
썬메디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메디텍(주) filed Critical 썬메디텍(주)
Priority to KR1020220107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9254A/ko
Publication of KR20240029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925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0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rotating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1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longitudinal or not specified vibrations
    • G01H1/14Freque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향 센서가 회전체에 설치되어 회전체로부터 발생된 소리로 음향 신호를 생성하고, 통신 장치가 음향 센서로부터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음향 신호와 기 설정된 변조신호를 먹싱(MUX)하여 통신채널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채널로 FM 변조된 음향 신호를 서버 및 휴대용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며, 서버가 통신 장치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향 데이터의 음향 패턴을 분석하여, 휴대용 기기가 통신 장치로부터 실시간 음향 신호 및 서버로부터 음향 패턴을 분석한 분석결과를 수신하여 회전체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구성으로 각 회전체별로 부착된 음향 센서를 통해 고장이 발생하기 전 회전 음향에 대한 분석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고, 회전체의 보수의 경비 절감할 수 있으며, 회전체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BNORMALITIES BASED ON UNIQUE ACOUSTICS OF A LOW-SPEED ROTATING OBJECTS}
본 발명은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FM 주파수 통신으로 저속회전체의 회전음에 따라 이상 진단을 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로 경동장치는 제철소에서 용선을 강으로 정련하는 설비인 전로를 경동하여 용강을 출강하는 장치로서 고도의 설계기술과 제조기술이 요구되는 제강플랜트의 핵심설비이다.
전로의 경동 작업 과정에서, 전로의 고정 및 경동 작업용 회전체의 마모 발생 및 회전체의 이상 유무는 노 수리 작업기간을 이용하여 전로 회전체 커버를 개방하고, 회전체의 로울러 및 리테이너 점검 작업에 의해 확인 점검된다. 종래의 이러한 회전체의 점검 작업은 회전체 점검용 내시경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참고로, 점검작업은 수리하기 전에 회전체의 음향을 작업자(전로 명장)가 청진기를 통해 소리를 듣고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 회전체 점검용 내시경 장치를 이용하여 전로의 회전체의 국부적인 손상 및 마모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회전체 내부의 그리스를 완전하게 청소하고, 회전체의 마모 및 손상부위를 점검한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전로 회전체 점검 장치는 회전체의 대형화 및 노 보수 작업 시에 전로의 경동 불가에 의한 정확한 점검이 어려우며, 노 수리 작업시 마다 회전체 점검에 의한 작업자의 심적 부담 증가되고, 무엇보다도 회전체의 정확한 점검이 어렵다는 문제뿐만 아니라, 종래의 회전체의 점검 방법에서는 회전체 하우징의 외부에 회전체 진동 점검용 센서를 조립하여 경동회전체의 진동 점검 작업이 이루어지지만, 전로 회전체 내부 하우징 부시 및 가이드 부시 설치에 의한 베어링 센서를 부착하여도 진동의 점검이 불가능하고 전로 취련 작업시 발생되는 전로의 열팽창에 의한 전로의 변위를 점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스피커로 소리로 전달을 하더라도 작업장의 외부 소음에 의해 이상여부를 진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92951호(2022.05.0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자연열화, 보수불량 및 사용시 이물질 등으로 인한 문제 발생을 회전체의 회전음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유 음향을 기반으로 문제가 생기기 전에 회전체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저속회전체가 회전하는 동안 발생되는 고유 음향신호로 회전체의 고장을 감지하고, 감지된 음향을 사용자 단말에서 분석할 수 있는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은 회전체에 설치되어 회전체로부터 발생된 소리로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음향 센서; 상기 음향 센서로부터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음향 신호와 기 설정된 변조신호를 먹싱(MUX)하여 통신채널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채널로 FM 변조된 음향 신호를 서버 및 휴대용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향 데이터의 음향 패턴을 분석하는 서버; 및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실시간 음향 신호 및 상기 서버로부터 음향 패턴을 분석한 분석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회전체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휴대용 기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 센서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리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링부; 상기 제1 필터링부로부터 필터링된 소리를 두 개의 홀을 통해 소리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제2 필터링부; 상기 제2 필터링부의 어느 하나의 홀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감지하여 전류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제2 필터링부의 다른 하나의 홀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감지하여 전류신호로 변환하고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 및 상기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전류신호 및 상기 노이즈 제거부로부터 화이트 노이즈가 제거된 전류신호 중 전류신호가 가장 큰 값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장치는 음향 신호의 주파수 위상을 양의 위상(Upper Phase)과 음의 위상(Lower Phase)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주파수의 위상 각각을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값을 양자화하며 양자화된 디지털값을 DSP(Digital signal processor)에 입력으로 음향 신호의 FM 변조를 수행하고 FM 변조된 음향 신호를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에 의해 디지털값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장치는 70.0 MHz 내지 110 MHz의 주파수 범위 중 1,000Hz 단위로 주파수를 변경하여 고유 주파수 통신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는 수신된 음향 신호를 음향 센서의 고유 주파수 통신채널별로 DB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는 상기 음향 신호로 스펙트로그램(Spectrogram), 시간파형(Time waveform), LPC(Linear prediction coefficient), RLCR(Relative Level Crossing Rate), 및 LPC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방법은 회전체에 설치된 음향 센서가 회전체로부터 발생된 소리를 감지하는 음향 감지 단계; 통신 장치가 상기 음향 센서로부터 감지된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기 설정된 주파수 통신채널을 통해 FM 변조된 음향 신호를 서버 및 휴대용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음향 신호 전송 단계; 서버가 상기 음향 센서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향 데이터를 각 음향 센서의 통신채널별로 DB화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 상기 서버가 음향 신호의 음향 패턴을 스펙트로그램(Spectrogram), 시간파형(Time waveform), LPC(Linear prediction coefficient), RLCR(Relative Level Crossing Rate), 및 LPC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로 분석하는 음향 분석 단계; 및 상기 휴대용 기기가 상기 음향 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음향 신호 및 상기 서버에 음향 센서에 대한 액세스 요청을 전송으로 액세스 요청된 음향 센서의 음향 패턴이 분석된 스펙트로그램, 시간파형, 및 LPC, RLCR, 및 LPC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의 분석결과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 감지 단계는, 음향 센서가,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리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링 단계; 상기 제1 필터링부로부터 필터링된 소리를 두 개의 홀을 통해 소리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제2 필터링 단계; 상기 제2 필터링부의 어느 하나의 홀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감지하여 전류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는 증폭 단계; 상기 제2 필터링부의 다른 하나의 홀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감지하여 전류신호로 변환하고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단계; 및 상기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전류신호 및 상기 노이즈 제거부로부터 화이트 노이즈가 제거된 전류신호 중 전류신호가 가장 큰 값을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 신호 전송 단계는 상기 음향 센서가 음향 신호의 주파수 위상을 양의 위상(Upper Phase)과 음의 위상(Lower Phase)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주파수의 위상 각각을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값을 양자화하며 양자화된 디지털값을 DSP(Digital signal processor)에 입력으로 음향 신호의 FM 변조를 수행하고 FM 변조된 음향 신호를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로 디지털값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회전체별로 부착된 음향 센서를 통해 고장이 발생하기 전 회전 음향에 대한 분석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고, 회전체의 보수의 경비 절감할 수 있으며, 회전체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으로 되어있어서, 전로의 위험(열3000~4000°C)과 높은 위치(전로가 약 3층높이)에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무선센서를 설치하므로써 직접적인 위험이 적고, 무선으로 관리가 편리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센서의 구성도이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FM 트랜스미터의 블록도이다.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른 FM 수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안테나의 구성도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모니터링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 듣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을 분석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상 주파수와 정상 주파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은 음향 센서(100), 통신 장치(300), 서버(500), 및 휴대용 기기(700)를 포함한다.
음향 센서(100)는 회전체에 설치되어 회전체로부터 발생된 소리로 음향 신호를 생성한다. 음향 센서(100)는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통신 장치(300)는 상기 음향 센서(100)로부터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음향 신호와 기 설정된 변조신호를 먹싱(MUX)하여 통신채널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채널로 FM 변조된 음향 신호를 서버(500) 및 휴대용 기기(7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통신 장치(300)는 음향 신호의 주파수 위상을 양의 위상(Upper Phase)과 음의 위상(Lower Phase)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주파수의 위상 각각을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값을 양자화하며 양자화된 디지털값을 DSP(Digital signal processor)에 입력으로 음향 신호의 FM 변조를 수행하고 FM 변조된 음향 신호를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에 의해 디지털값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장치(300)는 70.0 MHz 내지 110 MHz의 주파수 범위 중 1,000Hz 단위로 주파수를 변경하여 고유 주파수 통신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서버(500)는 상기 통신 장치(300)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향 데이터의 음향 패턴을 분석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500)는 수신된 음향 신호를 음향 센서(100)의 고유 주파수 통신채널별로 DB화할 수 있고, 상기 음향 신호로 스펙트로그램(Spectrogram), 시간파형(Time waveform), 및 LPC(Linear prediction coefficient), RLCR(Relative Level Crossing Rate), LPC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휴대용 기기(700)는 상기 통신 장치(300)로부터 실시간 음향 신호 및 상기 서버(500)로부터 음향 패턴을 분석한 분석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회전체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센서의 구성도이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센서는 상기 음향 센서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리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링부, 상기 제1 필터링부로부터 필터링된 소리를 두 개의 홀을 통해 소리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제2 필터링부, 상기 제2 필터링부의 어느 하나의 홀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감지하여 전류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제2 필터링부의 다른 하나의 홀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감지하여 전류신호로 변환하고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 및 상기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전류신호 및 상기 노이즈 제거부로부터 화이트 노이즈가 제거된 전류신호 중 전류신호가 가장 큰 값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센서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리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링부(110), 상기 제1 필터링부(110)로부터 필터링된 소리를 두 개의 홀을 통해 소리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제2 필터링부(120), 상기 제2 필터링부(120)를 통해 전달된 소리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센싱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싱부(130)는 상기 제2 필터링부(120)의 어느 하나의 홀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감지하여 전류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는 증폭 센서(131), 상기 제2 필터링부(120)의 다른 하나의 홀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감지하여 전류신호로 변환하고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센서(132), 및 상기 증폭 센서(131)로부터 증폭된 전류신호 및 상기 노이즈 제거 센서(132)로부터 화이트 노이즈가 제거된 전류신호 중 전류신호가 가장 큰 값을 출력하는 OP 앰프 비교기(133)(OP amp Compa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증폭 센서(131) 및 노이즈 제거 센서(132)는 MEMS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센서는 청음봉센서를 더 포함하며, 청음봉센서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리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링부(110), 상기 제1 필터링부(110)로부터 필터링된 소리를 두 개의 홀을 통해 소리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제2 필터링부(120), 상기 제2 필터링부(120)를 통해 전달된 소리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센싱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싱부(130)는 상기 제2 필터링부(120)의 어느 하나의 홀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감지하여 전류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는 증폭 센서(131), 상기 제2 필터링부(120)의 다른 하나의 홀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감지하여 전류신호로 변환하고 화이트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센서(132), 및 상기 증폭 센서(131)로부터 증폭된 전류신호 및 상기 노이즈 제거 센서(132)로부터 화이트 노이즈가 제거된 전류신호 중 전류신호가 가장 큰 값을 출력하는 OP 앰프 비교기(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증폭 센서(131) 및 노이즈 제거 센서(132)는 MEMS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링부(110) 및 제2 필터링부(120)는 결합되어 필터링부로 구비될 수 있고, 증폭 센서(131) 및 노이즈 제거 센서(132)는 결합되어 센싱부(130)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제1 필터링부(110)와 제2 필터링부(120)가 결합된 필터링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리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소리를 두 개의 홀을 통해 소리의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증폭 센서(131)와 노이즈 제거 센서(132)가 결합된 출력부는 필터링부에서 어느 하나의 홀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감지하여 전류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하나의 홀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감지하여 전류신호로 변환하고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를 제거하여 OP 앰프 비교기(133)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FM 트랜스미터의 블록도이다.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FM 트랜스미터는 Low Noisy AMP(LNA), Automatic Gain Control(AGC), Low Dropout(LDO), Program Global Area(PGA), Automatic Frequency Control(AFC), Global Policy Object(GPO)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및 수신(Tx/Rx)을 FIRMWARE로 세팅할 수 있으며, 입력단(LNA)로 신호가 수신되면 AGC에서 신호이득을 조정하고 PGA에서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또한, 증폭된 신호는 멀티플렉서(MUX)로 입력되어 여러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입력 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입력을 하나의 라인을 전달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된 신호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sion),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및 DAC(Digital to Analog Conversion)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멀티플렉서는 PGA에서 출력된 신호 및 DAC에서 출력된 신호를 각각 전달받아 ADC, DSP, 및 DAC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신호는 Tx/Rx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며 송신된 신호를 휴대용 기기(70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기기(700)는 사용자 단말, 헤드셋, 및 이어폰을 의미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PDP, 노트북, 태블릿, 음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일 수 있다.
음향 센서(100)는 MEMS, 청음봉센서, 진동센서를 이용하여 각 설비의 회전체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고유 음향만을 추출할 수 있다.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른 FM 수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FM 수신 시스템의 구성은 FM 리시버(Receiver), 필터 및 앰프(Filter & Amp), MPU 프로세서(MPU Processor), FM 튜너(Tuner) TX/RX, BT 트랜스미터(BT Transmitter), 데이터 저장소(Data Memory), 및 전원 공급장치(Power supply)와 배터리 충전장치(Battery Charge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FM 수신 시스템은 저장된 데이터를 앱(모바일)과 연동하여 휴대용 기기(700)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으며, 설비 또는 회전체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BT transmitter를 통해 서버(50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FM 수신 및 송신 주파수의 범위는 70 MHz 내지 110 MHz로 구성될 수 있으며, 주파수는 1,000Hz 단위로 Firmware 세팅하여 적어도 하나의 회전 각각에 구비된 음향 센서(100)가 서로 다른 주파수 채널로 설정될 수 있다. 서버(500)는 서로 다른 주파수 채널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센서(100)로부터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각 주파수 채널별로 음향 신호를 DB화 할 수 있다.
이때, 하드웨어 수신기에서 각 채널을 선택할 수 있고, 앱상에서 채널을 선택하면 하드웨어 수신기가 선택된 채널의 주파수로 설정되어 각 음향 센서(100)의 송신 채널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함에 따라 작업자가 회전체의 이상 여부를 실시간 화면(11)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를 데이터로 저장하여 저장 목록(60)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안테나의 구성도이다.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음향 센서(100)로부터 전송된 음향 신호를 FM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하기 위해서는 FM 수신 주파수 안테나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FM 수신 주파수 안테나는 파장이 길기 때문에 안테나의 길이가 문제가 된다. 이때, 안테나를 대신하여 이어폰을 이용하여 안테나 역할을 수행하면 안테나의 길이에 따른 장치 거대화를 해결할 수 있으며, 빠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헤드셋 및 이어폰의 연결단자에 FM 수신기 오디오 출력 단자에 버퍼를 연결하고 이어폰의 BEAD를 통해 왼쪽(L)과 오른쪽(R)으로 출력한다. 또한, ANT단자에 커패시터(Capacitor)를 연결하여 헤드셋 또는 이어폰을 통해 그라운드(Ground)한다. 이렇게 하면 오디오 신호는 이어폰 또는 헤드셋으로 출력할 수 있고, 이어폰 또는 헤드셋의 연결 단자가 안테나 역할을 하여 FM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다. 즉, FM 수신 안테나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유선 헤드셋 또는 유선 이어폰의 연결 단자일 수 있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모니터링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 듣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은 FM 음향 모니터링 화면(10) 모니터링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센서(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 개의 설비(A, B, C)(실험을 위해 3개의 설비만 테스트함, 이론상으로 40,000개 이상으로 센서를 설정 가능함) 3개의 설비를 나타내지만,각각에 설치된 3 개의 음향 센서(100)가 각 회전체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여 음향 신호를 생성하면, 음향 센서(100) 각각이 음향 신호를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음향 센서(100) 각각은 FM 주파수 FIRMWARE를 통해 70.0 HMz 내지 110 HMz의 주파수 범위 중 1,000 Hz 단위의 주파수 간격으로 변경함에 따라 고유 주파수 채널이 설정되어 서로 다른 통신 채널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서버(500)는 FM 수신 시스템이 구비되어 70.0 HMz 내지 110 HMz의 주파수 범위를 검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센서(100) 각각으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음향 신호는 음향 센서(100)별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에서 A, B, C의 음향 센서(1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센서(100) 중 어느 하나의 음향 신호를 열람하기 위해 액세스 요청을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이 음향 센서(100)에서 송신되는 FM 주파수를 설정하면 음향 센서(100)와 실시간으로 연결되어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전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액세스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액세스가 요청된 음향 센서(100)의 음향 신호 및 음향 신호를 분석한 분석 결과를 열람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음형 파형 또는 패턴과 RLCR값, LPC 평균값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음향 센서(100)를 선택함에 따라 실시간으로 음향 신호를 수신하거나 녹음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된 재생 및 멈춤 버튼(50)을 통해 각 시간별로 생성된 음향 신호를 재생 또는 정지하여 설비의 이상 여부를 다시 듣기 화면(13)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RLCR(Relative Lebel Crossing Rate)가 있는데, RLCR은 신호의 정상 상태값을 설정하여 들어오는 신호의 LCR(Lebel Crossing Rate)값을 나누어서 표시된 값이다.
설비들의 신호값(설치해서 정상상태 모니터링)을 알아야 표시를 할 수 있다. 이 값은 설비들의 특성에 따라 모두 정상상태 값이 다르기 때문에 상호(Relative)값으로 설정하면 아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고, 이 값이 변화하면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상시 값이 RLCR=10인데 RLCR=20이된다면 설비의 이상을 나타낸다. 또한, LPC의 평균값(LCR Avg.)을 앱에 표시할 수 있고, LPC 평균값의 변화가 심하면 문제가 발생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을 분석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신호의 분석 화면(14)은 서버(500)에서 음향 센서(100)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향 신호를 스펙트로그램(Spectrogram), 시간파형(Time waveform), 및 LPC(linear Prediction Coefficient) RLCR값과 LPC 평균값의 형태로 분석하여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스펙트로그램 화면(20)은 센서에서 입력된 파형을 주파수 색깔로 표시할 수 있으며, 실시간 화면(11) 또는 녹음된 음향 신호에서 잡음이 얼마나 주기적으로 입력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시간파형 화면(30)은 센서에서 입력된 파형을 시간 영역의 파형으로 표시하여 실시간 화면(11) 또는 녹음된 음향 신호에서 표시된 잡음이 얼마나 주기적으로 입력되고 있는지 시간 영역으로 확인할 수 있다.
LPC 화면(40)은 센서에서 입력된 파형을 LPC 알고리즘으로 분석한 화면으로, 가운데 적색선을 통해 LPC의 평균곡선을 나타낼 수 있으며, LPC 값과 평균선에 의해 정상 상태 및 비정상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상 주파수와 정상 주파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비정상 주파수와 정상 주파수는 회전체에 일정한 잡음을 넣을 때(a)와 잡음을 넣지 아니할 때(b)를 비교한 것이다. 잡음을 넣을 때(a)의 스펙트로그램 화면(20)은 약 800Hz의 잡음 주파수가 표시되고, 시간파형 화면(30)에서는 파형의 폭이 높게 표시되며, LPC 화면(40)은 적색의 평균선이 일정하지 아니하고 큰 변화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잡음을 넣지 아니할 때(b)는 잡음 주파수가 나타나지 아니하고, 시간파형 화면(30)에서는 파형의 높이가 낮으며, LPC 화면(40)은 적색의 평균선이 일정하게 나타남에 따라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를 구분할 수 있다. 즉, LPC의 변화가 큰 것은 회전체가 불규칙하게 회전되어 불안정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회전체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잡음이 표시되거나 LPC의 변화가 발생하면 이상이 있다는 것으로 주의 깊게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LPC의 파형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파형이 두껍게 나타난다면 회전체가 일정하게 회전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고, 반면에 파형의 높낮이 변화가 심하면 LPC 가 가늘게 나타날 수 있고, 이는 회전체의 속도가 일정하지 아니하고 문제가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방법은 음향 감지 단계(S100), 음향 신호 전송 단계(S300),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S500), 음향 분석 단계(S700), 및 모니터링 단계(S900)를 포함한다.
음향 감지 단계(S100)는 회전체에 설치된 음향 센서(100)가 회전체로부터 발생된 소리를 감지한다. 이때, 음향 감지 단계(S100)는, 음향 센서가,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리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링 단계; 상기 제1 필터링부로부터 필터링된 소리를 두 개의 홀을 통해 소리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제2 필터링 단계; 상기 제2 필터링부의 어느 하나의 홀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감지하여 전류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는 증폭 단계; 상기 제2 필터링부의 다른 하나의 홀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감지하여 전류신호로 변환하고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단계; 및 상기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전류신호 및 상기 노이즈 제거부로부터 화이트 노이즈가 제거된 전류신호 중 전류신호가 가장 큰 값을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신호 전송 단계(S300)는 통신 장치(300)가 상기 음향 센서(100)로부터 감지된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기 설정된 주파수 통신채널을 통해 FM 변조된 음향 신호를 서버(500) 및 휴대용 기기(7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다.
여기서, 음향 신호 전송 단계(S300)는 상기 음향 센서(100)가 음향 신호의 주파수 위상을 양의 위상(Upper Phase)과 음의 위상(Lower Phase)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주파수의 위상 각각을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값을 양자화하며 양자화된 디지털값을 DSP(Digital signal processor)에 입력으로 음향 신호의 FM 변조를 수행하고 FM 변조된 음향 신호를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로 디지털값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S500)는 서버(500)가 음향 센서(100)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향 데이터를 각 음향 센서(100)의 통신채널별로 DB화한다.
음향 분석 단계(S700)는 서버(500)가 음향 신호의 음향 패턴을 스펙트로그램(Spectrogram), 시간파형(Time waveform), LPC(Linear prediction coefficient) RLCR(Relative Level Crossing Rate), 및 LPC 평균값중 적어도 하나로 분석한다.
모니터링 단계(S900)는 휴대용 기기(700)가 음향 센서(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음향 신호 및 상기 서버(500)에 음향 센서(100)에 대한 액세스 요청으로 액세스 요청된 음향 센서(100)의 음향 패턴이 분석된 스펙트로그램, 시간파형, LPC, RLCR, 및 LPC 평균값중 적어도 하나의 분석결과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음향 센서 300: 통신 장치
500: 서버 700: 휴대용 기기
110: 제1 필터링부 120: 제2 필터링부
130: 센싱부 131: 제1 MEMS 센서
132: 제2 MEMS 센서 133: OP 앰프 비교기
10: FM 음향 모니터링 화면 20: 스펙트로그램 화면
30: 시간파형 화면 40: LPC 화면
50: 재생 및 멈춤 버튼 60: 저장 목록
11: 실시간 화면 12: 센서 선택 버튼
13: 다시듣기 화면 14: 분석 화면

Claims (9)

  1. 회전체에 설치되어 회전체로부터 발생된 소리로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음향 센서;
    상기 음향 센서로부터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음향 신호와 기 설정된 변조신호를 먹싱(MUX)하여 통신채널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채널로 FM 변조된 음향 신호를 서버 및 휴대용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향 데이터의 음향 패턴을 분석하는 서버; 및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실시간 음향 신호 및 상기 서버로부터 음향 패턴을 분석한 분석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회전체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휴대용 기기를 포함하는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센서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리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링부;
    상기 제1 필터링부로부터 필터링된 소리를 두 개의 홀을 통해 소리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제2 필터링부;
    상기 제2 필터링부의 어느 하나의 홀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감지하여 전류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제2 필터링부의 다른 하나의 홀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감지하여 전류신호로 변환하고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 및
    상기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전류신호 및 상기 노이즈 제거부로부터 화이트 노이즈가 제거된 전류신호 중 전류신호가 가장 큰 값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음향 신호의 주파수 위상을 양의 위상(Upper Phase)과 음의 위상(Lower Phase)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주파수의 위상 각각을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값을 양자화하며 양자화된 디지털값을 DSP(Digital signal processor)에 입력으로 음향 신호의 FM 변조를 수행하고 FM 변조된 음향 신호를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에 의해 디지털값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70.0 MHz 내지 110 MHz의 주파수 범위 중 1,000Hz 단위로 주파수를 변경하여 고유 주파수 통신채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수신된 음향 신호를 음향 센서의 고유 주파수 통신채널별로 DB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음향 신호로 스펙트로그램(Spectrogram), 시간파형(Time waveform), LPC(Linear prediction coefficient), RLCR(Relative Level Crossing Rate), 및 LPC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
  7. 제1항의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방법에 있어서,
    회전체에 설치된 음향 센서가 회전체로부터 발생된 소리를 감지하는 음향 감지 단계;
    통신 장치가 상기 음향 센서로부터 감지된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기 설정된 주파수 통신채널을 통해 FM 변조된 음향 신호를 서버 및 휴대용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음향 신호 전송 단계;
    서버가 상기 음향 센서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향 데이터를 각 음향 센서의 통신채널별로 DB화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
    상기 서버가 음향 신호의 음향 패턴을 스펙트로그램(Spectrogram), 시간파형(Time waveform), LPC(Linear prediction coefficient), RLCR(Relative Level Crossing Rate), 및 LPC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로 분석하는 음향 분석 단계; 및
    상기 휴대용 기기가 상기 음향 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음향 신호 및 상기 서버에 음향 센서에 대한 액세스 요청을 전송으로 액세스 요청된 음향 센서의 음향 패턴이 분석된 스펙트로그램, 시간파형, 및 LPC, RLCR, 및 LPC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의 분석결과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감지 단계는, 음향 센서가,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리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링 단계;
    상기 제1 필터링부로부터 필터링된 소리를 두 개의 홀을 통해 소리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제2 필터링 단계;
    상기 제2 필터링부의 어느 하나의 홀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감지하여 전류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는 증폭 단계;
    상기 제2 필터링부의 다른 하나의 홀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감지하여 전류신호로 변환하고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단계; 및
    상기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전류신호 및 상기 노이즈 제거부로부터 화이트 노이즈가 제거된 전류신호 중 전류신호가 가장 큰 값을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 전송 단계는 상기 음향 센서가 음향 신호의 주파수 위상을 양의 위상(Upper Phase)과 음의 위상(Lower Phase)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주파수의 위상 각각을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값을 양자화하며 양자화된 디지털값을 DSP(Digital signal processor)에 입력으로 음향 신호의 FM 변조를 수행하고 FM 변조된 음향 신호를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로 디지털값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방법.
KR1020220107487A 2022-08-26 2022-08-26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29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487A KR20240029254A (ko) 2022-08-26 2022-08-26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487A KR20240029254A (ko) 2022-08-26 2022-08-26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254A true KR20240029254A (ko) 2024-03-05

Family

ID=90298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7487A KR20240029254A (ko) 2022-08-26 2022-08-26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925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951B1 (ko) 2019-12-17 2022-05-03 주식회사 모빅랩 초음파 대역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다채널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설비 고장 예측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951B1 (ko) 2019-12-17 2022-05-03 주식회사 모빅랩 초음파 대역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다채널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설비 고장 예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8102B1 (ja) 情報端末器及び機械部品診断システム
EP2347228B1 (en) Data collector
CN103712799A (zh) 车辆异响检测
KR20170053304A (ko) 변압기 이상 감지를 위한 음향 스펙트럼 감지기
JP2007114052A (ja) 異音検査装置、及び異音判定処理方法
JP2011191181A (ja) 回転機器の異常診断システム、回転機器の異常診断装置及び回転機器の異常診断方法
KR20240029254A (ko) 저속회전체의 고유음향 기반 이상진단 시스템 및 방법
JP2020071040A (ja) 振動解析診断システム及び振動解析診断方法
JP2009103637A (ja) ノイズ聴診器
WO2022234704A1 (ja) 振動診断装置
TW201339848A (zh) 自我診斷健康狀態的傳動系統
CN206164800U (zh) 一种新型监听耳机
KR100939684B1 (ko) 3 마이크 채용 보이스 레코더
KR20230083630A (ko) 제강 경동베어링 고유음향기반 이상 진단 시스템
JP6989566B2 (ja) 自動点検システム
JP6989567B2 (ja) 自動点検システム
KR102431569B1 (ko) 유선통신 기반 센서링 스피커 시스템
JP2006023086A (ja) コロナ騒音モニタ装置、コロナ騒音監視システム及びコロナ騒音監視方法
JP747581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生産システム、物品の製造方法、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7232561A (ja) 無線lan内蔵型騒音計
JP2004312524A (ja) 電気音響設備の監視装置
JP2005011551A (ja) ワイヤハーネスの結合確認方法及びその装置
CN111122163A (zh) 轴承故障检测系统
KR20240046938A (ko) 음향 센싱을 이용한 설비 감시 시스템
CN111474502A (zh) 变压器听音对比设备、听音定位方法、装置和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