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3847A -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3847A
KR20240023847A KR1020220102056A KR20220102056A KR20240023847A KR 20240023847 A KR20240023847 A KR 20240023847A KR 1020220102056 A KR1020220102056 A KR 1020220102056A KR 20220102056 A KR20220102056 A KR 20220102056A KR 20240023847 A KR20240023847 A KR 20240023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motor
seat
driven
memory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훈
임동민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노블시트테크
유한회사 노블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노블시트테크, 유한회사 노블시트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노블시트테크
Priority to KR1020220102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3847A/ko
Publication of KR20240023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384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4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with memory of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adjust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장(張)시트를 다수 개의 메모리 모터를 이용하여 작동시켜서 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트쿠션의 일측에 장착되어서 상기 시트쿠션이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제1 메모리모터; 상기 시트쿠션의 타측에 장착되어서 상기 제1 메모리모터의 구동에 따라서 구동하여 상기 시트쿠션의 전후방향 이동을 조력하는 제1 종동모터; 상기 시트백의 일측에 장착되어서 설정된 값에 의해 상기 시트백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제2 메모리모터; 상기 시트백의 타측에 장착되어서 상기 제2 메모리모터의 구동에 따라서 구동하여 상기 시트백의 상하방향 회동을 조력하는 제2 종동모터; 상기 다리받침대의 일측에 장착되어서 설정된 값에 의해 상기 다리받침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제3 메모리모터; 상기 다리받침대의 타측에 장착되어서 상기 제3 메모리모터의 구동에 따라서 구동하여 상기 다리받침대의 상하방향 회동을 조력하는 제3 종동모터; 메모리부에 저장된 설정값에 따라서 상기 제1 메모리모터, 상기 제2 메모리모터 및 상기 제3 메모리모터가 구동되도록 하는 시트매뉴얼 스위치; 및 상기 시트매뉴얼 스위치의 조작 및 전원부의 전원에 의해 상기 제1 메모리모터, 상기 제2 메모리모터 및 상기 제3 메모리모터가 설정된 값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의 제어장치{Controling device of memory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장(張)시트를 다수 개의 메모리 모터를 이용하여 작동시켜서 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 요구로 인하여 자동차의 전장화(電裝化, Electronic)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자동차의 시트도 기존의 기계적 동작을 벗어나 모터를 이용한 자세 변경 및 이동이 가능토록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메모리 시트 장치는 자동차용 시트의 위치, 사이드 미러(side mirror)의 위치 또는 틸트(tilt)의 위치를 기억했다가 운전자가 원할 때는 언제든지 운전자의 적당한 시야를 확보해주는 조건을 제시하는 장치이다.
즉, 사용자별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시트의 위치 및 자세를 기억하여, 사용자 변경시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사용자에 맞게 위치 및 자세를 조절해주는 메모리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 메모리 시트 장치는, 다수의 운전자가 동일한 차량을 운전할 때, 운전자 개개인의 신장이나 체형에 따른 시트 또는 사이드 미러의 최선의 위치를 기억해 두었다가 운전자가 원할 때는 이를 리콜(recall) 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항상 최적의 상태에서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위치 및 자세 조정에 사용되는 모터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종래에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0217호에는, 시트백 폴딩시 시트 전체가 록킹 해제된 상태로 트랙을 따라 전방 이동되도록 하되, 상기 시트백을 펴고 상기 시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시트가 기준스톱퍼보다 전방에 있으면 트랙에 언록킹되고 상기 시트가 상기 기준스톱퍼보다 후방에 있으면 트랙에 록킹되도록 상기 시트에는 트랙메모리수단이 설치된 자동차 시트용 워크인 메모리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4604호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공급된 전원에 따라 4 개의 모터를 회전시켜 구동력을 출력하는 모터부; 상기 4 개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릴레이 3 개가 상기 4 개의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3 개를 통해 상기 4 개의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 상기 모터부로부터 출력된 구동력에 따라 시트(Seat)를 전후 방향이나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는 시트부; 상기 시트를 전후 방향이나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는 명령 신호를 선택 입력받는 시트 매뉴얼 스위치; 상기 모터의 회전위치를 검출하는 홀센서부; 상기 시트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모터의 회전 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공급된 전원을 정전압으로 변경하여 자체 전원으로 사용하고, 상기 시트 매뉴얼 스위치로부터 명령 신호를 CAN 신호로 입력받아, 상기 명령 신호에 대응된 시트 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메모리 파워 시트 제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메모리시트의 장치들에 있어서는, 시트쿠션, 시트백 및 다리받침대 각각에 단지 하나의 모터를 통해서 시트쿠션을 전후방향으로 이동 또는 시트백 및 다리받침대의 접힘과 펼침 작동을 실현하기 때문에 메모리 장(張)시트를 장시간 사용할 때에는 모터에 무리가 가해져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0217호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4604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쿠션, 시트백 및 다리받침대로 이루어진 차량의 장(張)시트를 다수 개의 메모리 모터와 상기 메모리 모터에 종동하여 구동하는 다수 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작동시켜서 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는, 시트쿠션, 시트백 및 다리받침대로 이루어진 차량의 장(張)시트를 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되, 상기 시트쿠션의 일측에 장착되고, 설정된 값에 의해 상기 시트쿠션이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제1 메모리모터; 상기 시트쿠션의 타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메모리모터의 구동에 따라서 구동하여 상기 시트쿠션의 전후방향 이동을 조력하는 제1 종동모터; 상기 시트쿠션의 후방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시트백의 일측에 장착되고, 설정된 값에 의해 상기 시트백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제2 메모리모터; 상기 시트백의 타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메모리모터의 구동에 따라서 구동하여 상기 시트백의 상하방향 회동을 조력하는 제2 종동모터; 상기 시트쿠션의 전방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다리받침대의 일측에 장착되고, 설정된 값에 의해 상기 다리받침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제3 메모리모터; 상기 다리받침대의 타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3 메모리모터의 구동에 따라서 구동하여 상기 다리받침대의 상하방향 회동을 조력하는 제3 종동모터; 메모리부에 저장된 설정값에 따라서 상기 제1 메모리모터, 상기 제2 메모리모터 및 상기 제3 메모리모터가 구동되도록 하는 시트매뉴얼 스위치; 및 상기 시트매뉴얼 스위치의 조작 및 전원부의 전원에 의해 상기 제1 메모리모터, 상기 제2 메모리모터 및 상기 제3 메모리모터가 설정된 값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트매뉴얼 스위치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설정값에 따라서, 상기 시트쿠션, 상기 시트백 및 상기 다리받침대가 접혀지도록 제1 메모리모터, 상기 제2 메모리모터 및 상기 제3 메모리모터가 구동되게 하는 제1 버튼과, 상기 시트쿠션, 상기 시트백 및 상기 다리받침대가 펼쳐지도록 제1 메모리모터, 상기 제2 메모리모터 및 상기 제3 메모리모터가 구동되게 하는 제2 버튼과,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의 조작에 의해 제1 메모리모터, 상기 제2 메모리모터 및 상기 제3 메모리모터의 구동값이 설정되게 하는 설정 버튼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시트쿠션, 시트백 및 다리받침대로 이루어진 차량의 장(張)시트를 다수 개의 메모리 모터와 상기 메모리 모터에 종동하여 구동하는 다수 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작동시켜서 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모터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고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되지 않아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의 시트매뉴얼 스위치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의 접힘상태를 보인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의 펼침상태를 보인 사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의 시트매뉴얼 스위치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의 접힘상태를 보인 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의 펼침상태를 보인 사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1), 시트백(2) 및 다리받침대(3)로 이루어진 차량의 장(張)시트를 다수 개의 메모리 모터와 상기 메모리 모터에 종동하여 구동하는 다수 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작동시켜서 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는, 제1 메모리모터(10), 제1 종동모터(20), 제2 메모리모터(30), 제2 종동모터(40), 제3 메모리모터(50), 제3 종동모터(60), 시트매뉴얼 스위치(70) 및 제어부(8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메모리모터(10)는 시트쿠션(1)의 일측에 장착되고, 메모리부(75)에 저장된 설정된 값에 의해 시트매뉴얼 스위치(70)의 조작에 의해 시트쿠션(1)이 레일(4)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시트매뉴얼 스위치(70)를 조작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큐션(1)이 레일(4)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시트가 펼쳐져 침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그리고 레일(4)을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접혀져서 시트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 종동모터(20)는 시트쿠션(1)의 타측, 즉 제1 메모리모터(10)와 마주하는 쪽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메모리모터(10)의 구동에 따라서 구동하여 시트쿠션(1)의 전후방향 이동을 조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제1 종동모터(20)를 구동시킴으로서, 장(張) 시트쿠션(1)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1 메모리모터(10)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아 고장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 메모리모터(30)는 시트쿠션(1)의 후방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시트백(2)의 일측에 장착되고, 메모리부(75)에 저장된 설정된 값에 의해 시트백(2)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시트매뉴얼 스위치(70)를 조작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2)이 하부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시트가 펼쳐져 침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그리고 시트백(2)이 상부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접혀져서 시트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 종동모터(40)는 시트백(2)의 타측, 즉 제2 메모리모터(30)와 마주하는 쪽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메모리모터(30)의 구동에 따라서 구동하여 시트백(2)의 상하방향 회동을 조력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와 같이 제2 종동모터(40)를 구동시킴으로서, 장(張) 시트백(2)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 메모리모터(30)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아 고장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3 메모리모터(50)는 시트쿠션(1)의 전방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다리받침대(3)의 일측에 장착되고, 메모리부(75)에 저장된 설정된 값에 의해 다리받침대(3)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시트매뉴얼 스위치(70)를 조작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받침대(3)가 상부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시트가 펼쳐져 침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그리고 다리받침대(3)가 하부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접혀져서 시트로 사용할 때 다리를 받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3 종동모터(60)는 다리받침대(3)의 타측, 즉 제3 메모리모터(50)와 마주하는 쪽에 장착되고, 상기 제3 메모리모터(50)의 구동에 따라서 구동하여 다리받침대(3)의 상하방향 회동을 조력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와 같이 제3 종동모터(60)를 구동시킴으로서, 장(張) 다리받침대(3)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3 메모리모터(50)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아 고장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시트매뉴얼 스위치(70)는 메모리부(75)에 저장된 설정값에 따라서 제1 메모리모터(10), 상기 제2 메모리모터(30) 및 상기 제3 메모리모터(50)가 구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시트매뉴얼 스위치(70)는, 메모리부(75)에 저장된 설정값에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쿠션(1), 시트백(2) 및 다리받침대(3)가 접혀지도록(도 4 참조) 제1 메모리모터(10), 제2 메모리모터(30) 및 제3 메모리모터(50)가 구동되게 하는 제1 버튼(71)과; 상기 시트쿠션(1), 시트백(2) 및 다리받침대(3)가 펼쳐지도록(도 5 참조) 제1 메모리모터(10), 제2 메모리모터(30) 및 제3 메모리모터(50)가 구동되게 하는 제2 버튼(72)과; 상기 제1 버튼(71) 및 제2 버튼(72)의 조작에 의해 제1 메모리모터(10), 제2 메모리모터(30) 및 제3 메모리모터(50)의 구동값이 설정되게 하는 설정 버튼(73)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설정 버튼(73)을 눌러서 제1 버튼(71), 제2 버튼(72) 및 설정 버튼(73)의 누름 조작에 따른 제1 메모리모터(10), 제2 메모리모터(30) 및 제3 메모리모터(50)의 구동상태가 발생되게 하는 설정값을 메모리부(75)에 저장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메모리부(75)에 저장된 설정값에 따라서 제1 버튼(71), 제2 버튼(72) 및 설정 버튼(73)의 누름 조작하면 제1 메모리모터(10), 제2 메모리모터(30) 및 제3 메모리모터(50)의 구동상태가 설정값에 대응하여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설정 버튼(73)을 이용하여 제1 버튼(71)을 한번 누를 때에 제1 메모리모터(10), 제2 메모리모터(30) 및 제3 메모리모터(50)가 45°로 구동하도록 설정하게 되면, 상기 제1 버튼(71)을 한번 눌렀을 때에 제1 메모리모터(10), 제2 메모리모터(30) 및 제3 메모리모터(50)가 45°로 구동하여 상기 시트쿠션(1), 시트백(2) 및 다리받침대(3)가 45°로 접혀지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설정 버튼(73)을 이용하여 제1 버튼(71)을 두번 누를 때에 제1 메모리모터(10), 제2 메모리모터(30) 및 제3 메모리모터(50)가 90°로 구동하도록 설정하게 되면, 상기 제1 버튼(71)을 한번 눌렀을 때에 제1 메모리모터(10), 제2 메모리모터(30) 및 제3 메모리모터(50)가 90°로 구동하여 상기 시트쿠션(1), 시트백(2) 및 다리받침대(3)가 90°로 접혀지게 한다.
만약 사용자가 제1 버튼(71)을 계속 누르게 되면 제1 메모리모터(10), 제2 메모리모터(30) 및 제3 메모리모터(50)가 완전한 접힘 각도인 90°로 구동하여 상기 시트쿠션(1), 시트백(2) 및 다리받침대(3)가 90°로 접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설정 버튼(73)에 의한 시트쿠션(1), 시트백(2) 및 다리받침대(3)의 접힘 각도는 사용자의 사용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각도로 이루지게 하는 일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80)는 시트매뉴얼 스위치(70)의 조작 및 전원부(90)의 전원에 의해 제1 메모리모터(10), 제2 메모리모터(30) 및 제3 메모리모터(50)가 설정된 값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설정 버튼(73)을 이용하여 제1 버튼(71), 제2 버튼(72)을 누름 조작하였을 때에 제1 메모리모터(10), 제2 메모리모터(30) 및 제3 메모리모터(50)가 구동하는 회동의 설정값이 메모리부(75)에 저장되게 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 있는 차량용 시트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서 침대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먼저, 상기 제2 버튼(72)을 누름 조작하고 그에 대응되게 제1 메모리모터(10), 제2 메모리모터(30) 및 제3 메모리모터(50)가 회동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1 메모리모터(10), 제2 메모리모터(30) 및 제3 메모리모터(50)가 펼침 회동함에 따라서 제1 종동모터(20), 제2 종동모터(40) 및 제3 종동모터(60)도 동시에 펼침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쿠션(1), 시트백(2) 및 다리받침대(3)의 펼침 각도 반정도인 45°로 펼치고자 할 경우, 제2 버튼(72)을 한번 또는 두번을 누르고, 그리고 완전히 펼치고자 할 경우에는 제2 버튼(72)을 계속 누른 상태로 한다.
반대로, 펼쳐져 있는 시트를 접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1 버튼(71)을 누름 조작하고 그에 대응되게 제1 메모리모터(10), 제2 메모리모터(30) 및 제3 메모리모터(50)가 회동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1 메모리모터(10), 제2 메모리모터(30) 및 제3 메모리모터(50)가 접힘 회동함에 따라서 제1 종동모터(20), 제2 종동모터(40) 및 제3 종동모터(60)도 동시에 접힘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쿠션(1), 시트백(2) 및 다리받침대(3)의 접힘 각도 반정도인 45°로 접고자 할 경우, 제1 버튼(71)을 한번 또는 두번을 누르고, 그리고 완전히 접고자 할 경우에는 제1 버튼(71)을 계속 누른 상태로 한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 시트쿠션 2: 시트백
3: 다리받침대 4: 레일
10: 제1 메모리모터 20: 제1 종동모터
30: 제2 메모리모터 40: 제2 종동모터
50: 제3 메모리모터 60: 제3 종동모터
70: 시트매뉴얼 스위치 71: 제1 버튼
72: 제2 버튼 73: 설정 버튼
75: 메모리부
80: 제어부 90: 전원부

Claims (2)

  1. 시트쿠션(1), 시트백(2) 및 다리받침대(3)로 이루어진 차량의 시트를 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1)의 일측에 장착되고, 설정된 값에 의해 상기 시트쿠션(1)이 레일(4)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제1 메모리모터(10);
    상기 시트쿠션(1)의 타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메모리모터(10)의 구동에 따라서 구동하여 상기 시트쿠션(1)의 전후방향 이동을 조력하는 제1 종동모터(20);
    상기 시트쿠션(1)의 후방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시트백(2)의 일측에 장착되고, 설정된 값에 의해 상기 시트백(2)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제2 메모리모터(30);
    상기 시트백(2)의 타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메모리모터(30)의 구동에 따라서 구동하여 상기 시트백(2)의 상하방향 회동을 조력하는 제2 종동모터(40);
    상기 시트쿠션(1)의 전방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다리받침대(3)의 일측에 장착되고, 설정된 값에 의해 상기 다리받침대(3)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제3 메모리모터(50);
    상기 다리받침대(3)의 타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3 메모리모터(50)의 구동에 따라서 구동하여 상기 다리받침대(3)의 상하방향 회동을 조력하는 제3 종동모터(60);
    메모리부(75)에 저장된 설정값에 따라서 상기 제1 메모리모터(10), 상기 제2 메모리모터(30) 및 상기 제3 메모리모터(50)가 구동되도록 하는 시트매뉴얼 스위치(70); 및
    상기 시트매뉴얼 스위치(70)의 조작 및 전원부(90)의 전원에 의해 상기 제1 메모리모터(10), 상기 제2 메모리모터(30) 및 상기 제3 메모리모터(50)가 설정된 값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매뉴얼 스위치(70)는, 상기 메모리부(75)에 저장된 설정값에 따라서,
    상기 시트쿠션(1), 상기 시트백(2) 및 상기 다리받침대(3)가 접혀지도록 제1 메모리모터(10), 상기 제2 메모리모터(30) 및 상기 제3 메모리모터(50)가 구동되게 하는 제1 버튼(71)과,
    상기 시트쿠션(1), 상기 시트백(2) 및 상기 다리받침대(3)가 펼쳐지도록 제1 메모리모터(10), 상기 제2 메모리모터(30) 및 상기 제3 메모리모터(50)가 구동되게 하는 제2 버튼(72)과,
    상기 제1 버튼(71) 및 상기 제2 버튼(72)의 조작에 의해 제1 메모리모터(10), 상기 제2 메모리모터(30) 및 상기 제3 메모리모터(50)의 구동값이 설정되게 하는 설정 버튼(7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
KR1020220102056A 2022-08-16 2022-08-16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의 제어장치 KR20240023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056A KR20240023847A (ko) 2022-08-16 2022-08-16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056A KR20240023847A (ko) 2022-08-16 2022-08-16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3847A true KR20240023847A (ko) 2024-02-23

Family

ID=90041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056A KR20240023847A (ko) 2022-08-16 2022-08-16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38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179B1 (ko) 차량용 레그레스트
US6195603B1 (en) Multiple speed vehicle seat memory control apparatus
JP2002240598A (ja) 乗物用電動シートおよびその調整方法
JPH0260847A (ja) シフトチェンジ連動のヘッドレスト制御方法および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
JP2005119646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7393611B2 (ja) 表示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JP4352971B2 (ja) フットレスト装置およびオットマン装置付き乗物用シートの制御方法
JPH05139221A (ja) 車両の座席、ステアリング車輪及びバツクミラーの位置を制御及び記憶するための中央制御ユニツト
KR20240023847A (ko) 차량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장치의 제어장치
JP6089797B2 (ja) 操作スイッチ
JP2007001366A (ja) パワーシート制御装置
JP2018065420A (ja) シート装置
JP2009227257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21531203A (ja) 車両シート用能動的クッション形状調節
KR101862240B1 (ko) 단일 모터타입 럼버서포터 모듈
KR20210016886A (ko) 단일 구동부로 풋레스트 작동이 가능한 리클라이너 시트
JP2008230343A (ja) シート制御装置およびシート制御方法
JP7364847B2 (ja) シート装置及び該シート装置の制御方法
JP5252182B2 (ja) シートの制御システム
CN110843620A (zh) 一种新型汽车电动座椅
CN207916759U (zh) 一种车辆座椅位置记忆装置
JP2009298350A (ja) 車両用シート駆動制御装置、車両用シート駆動装置、及びパワーシート
JPH03262774A (ja) シートスライド連動式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2214193A (ja) 車両用シート制御装置
JP2819138B2 (ja) ヘッドレスト制御方法、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およびヘッドレスト駆動機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