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1785A -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물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1785A
KR20240021785A KR1020237042233A KR20237042233A KR20240021785A KR 20240021785 A KR20240021785 A KR 20240021785A KR 1020237042233 A KR1020237042233 A KR 1020237042233A KR 20237042233 A KR20237042233 A KR 20237042233A KR 20240021785 A KR20240021785 A KR 20240021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ructure
attachment
anchor
devices
attachment devic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2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롤란트 쿠빅
크리슈토프 마코펙
알렉산더 파일러
리하르트 쉬츠
안제이 슈타브니악
게오르크 바겐라이트너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240021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1785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8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116)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물 (100) 에 관한 것으로, 개인 보호 장구 (130) 를 위한 적어도 2 개의 부착 디바이스들 (118)(이 부착 디바이스들은 최대한으로 안전 거리 (122) 만큼 서로 이격되고, 상기 지지 구조물 (100) 에 용접, 납땜 또는 리벳팅되며, 바람직하게는 색상-코딩됨) 이 지지 구조물 (100) 의 중앙 영역 (114) 에 배열된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물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는 무한 체인(endless chain)을 형성하도록 연결되어 사람을 운송하기 위해 가이드를 따라 드라이브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이동 표면 세그먼트들을 갖는 승객 운송 시스템이다. 표면 세그먼트들은 적어도 승객 운송 시스템의 상부 측면 상에 거의 갭 없이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배열된다. 승객 운송 시스템은 2개의 단부 영역들 및 중앙 영역을 갖는다. 적어도 단부 영역들에서, 승객 운송 시스템은 건물에 연결된다. 단부 영역들에서, 표면 세그먼트들은 콤 플레이트 및 인접한 바닥 커버링 아래에서 나타나고 사라진다. 단부 영역들은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정렬된다.
에스컬레이터의 경우, 단부 영역들은 건물의 상이한 레벨들에 배열된다. 에스컬레이터의 경우, 중앙 영역은 수평에 비스듬히 주행하고 레벨들을 연결한다. 중앙 영역에서, 에스컬레이터의 표면 세그먼트들은 계단을 형성한다. 에스컬레이터는 움직이는 계단이라고 칭할 수 있다.
이동 보도의 경우에, 단부 영역들은 동일한 높이 또는 상이한 레벨들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보도의 중앙 부분이 수평으로 또는 수평에 대하여 비스듬히 정렬될 수 있다. 이동 보도의 중앙 영역은 에스컬레이터의 중앙 영역보다 일반적으로 덜 가파르다. 이동 보도의 경우, 표면 세그먼트들은 어떠한 계단도 형성하지 않는다.
에스컬레이터와 이동 보도 둘 다는 지지 구조물을 갖는다. 지지 구조물은 프레임워크로서 설계될 수 있다. 가이드, 드라이브, 난간, 핸드레일 및 클래딩과 같은 승객 운송 시스템의 개별 컴포넌트는 지지 구조물에 연결된다. 지지 구조물은 보통 미리 조립되어 건물 내로 들어올려진다. 지지 구조물의 단부 영역이 건물에 연결될 때, 추가 컴포넌트가 조립되고 승객 운송 시스템이 완성되어 작동 준비된다. 특히, 난간은 보통 지지 구조물이 건물에 고정된 후에야 설치된다.
컴포넌트들을 조립하기 위해, 피터(fitter)가 지지 구조물에 들어가야 한다. 승객 운송 시스템의 중앙 영역은 종종 공중에 자유롭게 연장되기 때문에, 피터는 낙하 보호(fall protection)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피터는 큰 후크 또는 카라비너(carabiner)로 자신을 지지 구조물에 또는 건물 내의 구조물에 직접 고정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임시 유지보수 레일링들이 특수 클램핑 디바이스들을 이용하여 지지 구조물에 클램핑될 수 있다. 피터(fitter)들은 또한 개인 보호 장구를 걸기 위해 임시 유지보수 레일링을 사용할 수 있다. 개인 보호 장구는 보통 신체에 착용하는 하네스(harness)와 그에 부착된 더 긴 피스의 로프를 포함하며, 그의 단부는 예를 들어 스냅 후크를 사용하여 적합한 지점에 안전하게, 빠르게 그리고 용이하게 걸릴 수 있다. 임시 유지보수 레일링은 난간이 설치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구체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건물 내의 구조물들 또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구체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지지 구조물 상의 구조물들에 개인 보호 장구를 고정시키는 것은 한편으로는 복잡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황에 적합하지 않은 낙하 보호의 위험을 수반할 수 있다. 임시 유지보수 레일링을 설치하고 제거하는 것은 추가적인 노력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임시 유지보수 레일링은 조립 또는 분해 동안 느슨한 부품이기 때문에, 떨어질 수 있다. 임시 유지보수 레일링의 일부가 떨어지면 큰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지지 구조물과의 면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상이한 타입들의 구조물에 대해 상이한 클램핑 단면 또는 클램핑 표면을 갖는 클램핑 디바이스가 요구된다.
WO 2019/185573 A1은 승객 운송 시스템의 지지 구조물에 임시 유지보수 레일링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디바이스를 기재하고 있다. EP 1 108 675 B1은 승객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작업하는 설치요원을 위한 작업 방법 및 보호 시스템을 기재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에스컬레이터나 이동 보도상에서 작업할 때 향상된 산업 안전성에 대한 요구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산업 안전성에 대한 요건이 있을 수 있으며, 그 도움으로, 특히 피터들에 대한 안전성이 설계, 비용-효율성 및/또는 신뢰성 측면에서 구현하기 간단한 방식으로 설치 동안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요구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서,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물을 제안함으로써 충족될 수 있으며, 최대한으로 안전 거리 만큼 이격되고 지지 구조물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는, 개인 보호 장구를 위한 적어도 2 개의 부착 디바이스들이 지지 구조물의 중앙 영역에 배열된다. 부착점이라고도 지칭되는 부착 디바이스는 개인 보호 장구가 안전하게 빠르게 그리고 쉽게 부착될 수 있는 특별히 만들어진 점이다. 부착 디바이스는 보통, 개인 보호 장구가 신속하게 그리고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지만 또한 신속하게 다시 탈착될 수 있도록 아일릿(eyelet)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유리한 실시형태들은 종속 청구항들에서 정의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다.
지지 구조물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 형태의 승객 운송 시스템의 구조적 컴포넌트일 수 있다. 지지 구조물은 프레임워크일 수 있다. 지지 구조물은 지지 구조물 컴포넌트로서 상현재(upper chord), 하현재(lower chord), 스트럿, 직립부 및 크로스 브레이스를 가질 수 있다. 상현재 및 하현재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고, 지지 구조물의 범위의 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현재 및 하현재는 상현재 및 하현재에 대각선으로 정렬된 스트럿 및/또는 상현재 및 하현재에 횡방향으로 정렬된 직립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현재, 하현재, 스트럿, 직립재 및 크로스 브레이스는 금속 프로파일일 수 있다. 특히, 상현재, 하현재, 스트럿, 직립재 및 크로스 브레이스는 금속 L-프로파일일 수 있다. 상현재, 하현재, 스트럿, 직립재 및 크로스 브레이스는 거싯 플레이트(gusset plate)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현재, 하현재, 스트럿, 직립재 및 크로스 브레이스는 용접, 나사결합, 핀결합 및/또는 리벳팅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의 중앙 영역은 지지 구조물의 2개의 단부 영역들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의 경우, 중앙 영역은 지지 구조물이 설치될 때 수평에 대해 비스듬히 정렬된다. 이동 보도의 경우, 중앙 영역은 수평으로 연장되거나 사선으로 위 또는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단부 영역들은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의 경우와 이동 보도의 경우 둘 다에서 수평으로 배향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은 단부 영역들에서 건물에 대한 연결 지점들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 구조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팅 지점들이 단부 영역들에 배열될 수 있다.
개인 보호 장구용 부착 디바이스는 적용 가능한 표준 및 규정에 따라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특별히 치수결정된다. 부착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유럽 표준 EN 365 및/또는 EN 795에 대응할 수 있다. 개인 보호 장구용 부착 디바이스는 지지 구조물 상의 개인 보호 장구에 의해 낙하 보호를 목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고정 디바이스이다. 개인 보호 장구용 부착 디바이스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컴포넌트를 위한 장착 지점이 아니다. 또한 전술한 리프팅 지점과 같은 리프팅 기어를 부착하기 위해서도 사용되지 않는다. 부착 디바이스는 손상 없이 표준 낙하에서 발생하는 힘을 흡수하여 지지 구조물에 전달할 수 있는 방식으로 치수결정된다. 예를 들어, 부착 디바이스는 16 킬로뉴톤의 하중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부착 디바이스는 또한 더 큰 힘을 위해 치수결정될 수 있다. 여기에 제시된 부착 디바이스는 승객 운송 시스템의 컴포넌트가 설치된 후에도 지지 구조물 상에 유지된다.
부착 디바이스는 아일릿을 갖는다. 아일릿은 개인 보호 장구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이 걸릴 수 있는 관통 개구, 개구 또는 구멍일 수 있다. 아일릿은 또한 2개의 연결 수단이 동시에 상이한 사람들에 의해 부착되기에 충분히 크도록 치수결정될 수 있다. 아일릿은 형상이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일 수 있다.
부착 디바이스는 지지 구조물의 기본 색상에 대비되는 색상 또는 신호 색상에 의해 색상에서 강조될 수 있어서, 고정될 설치 요원에 의해 빠르게 그리고 명확하게 식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구조물 상의 부적합한 지점에 매달리는 것이 회피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 상의 제자리에 고정식으로 유지되는 부착 디바이스 때문에, 피터는 지지 구조물이나 건물 상의 적합한 장소를 먼저 찾아야 하거나 임시 유지보수 레일링을 먼저 세우는 것 없이, 지지 구조물에 진입할 때 낙하에 대해 즉시 자신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이미 나타낸 바와 같이, 개인 보호 장구, 간략히 PPE는, 예를 들어, 안전 하네스 및 2개의 개별 연결 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흡수 엘리먼트를 갖는 추락 방지 장치(fall arrester)를 갖는다. 연결 수단은 예를 들어 수축 가능(retractable) 및 연장 가능할 수 있다. 에너지 흡수 엘리먼트는 낙체의 운동 에너지를 부분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서, 부상을 방지한다.
인접한 두 부착 디바이스 사이의 안전 거리는 적용 가능한 표준 및 규정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안전 거리는 일반적으로 평균적인 사람의 평균 팔 거리(average arm span)보다 짧아야 한다. 안전 거리는, 예를 들어, 0.5 m 내지 3 m, 바람직하게는 1 m 내지 2 m의 범위 이내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2 미터일 수 있다. 최대한으로 안전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부착 디바이스들의 배열로 인해, 각각의 피터는 항상 동시에 적어도 2개의 부착 디바이스에 도달할 수 있다. 부착 디바이스는 지지 구조물의 전체 길이를 따라, 특히 지지 구조물의 중앙 영역의 전체 길이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부착 디바이스는 지지 구조물의 반대 측면들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부착 디바이스는 지지 구조물의 우측과 좌측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피터는 항상 우측 부착 디바이스 및 좌측 부착 디바이스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피터가 낙하한다면, 그의 낙하는 더 멀리 부착된 연결 수단에 의해 항상 멈춰질 것이다. 이런 식으로, 낙하 높이가 감소될 수 있다. 이는 또한 흡수될 임의의 낙하 에너지 또는 운동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더욱이, 낙하 또는 땅에 부딪힐 위험이 줄어든다.
개인 보호 장구용 부착 수단을 위해 지지 구조물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색상-코딩된 앵커 디바이스가 지지 구조물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 영역에 배열될 수 있다. 앵커 디바이스는 인접한 부착 디바이스로부터 최대한으로 안전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부착 디바이스는 아일릿으로서의 설계로 인해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용 가능한 공간은 특히 단부 영역들에서 제한된다. 앵커 디바이스는 부착 디바이스보다 실질적으로 더 적은 설치 공간을 요구할 수 있다. 부착 디바이스와 마찬가지로, 앵커 디바이스는 적용 가능한 표준 및 규정에 따라 치수결정된다. 앵커 디바이스는 부착 수단에 의한 낙하 보호의 목적으로만 의도되는 특별히 설계된 고정점입니다. 앵커 디바이스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컴포넌트를 위한 장착 디바이스가 아니다. 앵커 디바이스는 표준 낙하 시 발생하는 힘을 손상 없이 흡수하여 지지 구조물로 전달할 수 있는 방식으로 치수결정된다. 앵커 디바이스는 오버사이즈될 수 있다. 앵커 디바이스는 지지 구조물을 국부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다. 지지 구조물의 컴포넌트는 앵커 디바이스의 영역에서 보강될 수 있다. 앵커 디바이스는 승객 운송 시스템의 컴포넌트가 설치된 후에도 지지 구조물 상에 유지된다. 피터는 적어도 하나의 표준화된 부착 수단을 지닐 수 있다. 단부 영역에 진입할 때, 피터는 앵커 디바이스를 즉시 인식하고 그가 지니고 있는 부착 수단을 앵커 디바이스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피터는 예를 들어 아일릿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 수단 상에 그의 개인 보호 장구를 걸 수 있다. 따라서, 앵커 디바이스와 부착 수단은 함께 부착 디바이스를 형성한다.
단부 영역에서, 적어도 2개의 앵커 디바이스들이 지지 구조물의 반대편 측면들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앵커 디바이스는 지지 구조물의 우측과 좌측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터는 항상 하나의 부착 수단을 우측 앵커 디바이스 및 좌측 앵커 디바이스에 연결할 수 있다. 그러면 피터가 낙하한다면, 그의 낙하는 더 멀리 부착된 연결 수단에 의해 항상 멈춰질 것이다. 이런 식으로, 낙하 높이가 감소될 수 있다. 이는 또한 흡수될 낙하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또한, 낙하 위험이 감소된다.
부착 디바이스들 및/또는 앵커 디바이스들은 서로 반대되는 쌍들로 배열될 수 있다. 피터는 동일한 높이에 쌍으로 배열된 부착 디바이스 및/또는 앵커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3개의 부착 디바이스 및/또는 앵커 디바이스에 항상 도달할 수 있다. 두 명의 피터가 동일한 승객 운송 시스템에서 함께 작업하고 있다면, 이들은 그들의 개인 보호 장구를 후크결합 해제할 필요 없이 쌍으로 배열된 부착 디바이스 및/또는 앵커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수비게 서로를 지나 올라갈 수 있다.
부착 디바이스 및/또는 앵커 디바이스는 지지 구조물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부착 디바이스 및/또는 앵커 디바이스는 지지 구조물에 용접될 수 있다. 부착 디바이스 및/또는 앵커 디바이스는 용접된 부착 디바이스 및/또는 앵커 디바이스에 의해 우연히 제거될 수 없다. 대안적으로, 부착 디바이스 및/또는 앵커 디바이스는 또한 납땜되거나 접착될 수 있다.
부착 디바이스 및/또는 앵커 디바이스는 지지 구조물의 상현재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열될 수 있다. 상현재 상에 배열된, 부착 디바이스 및/또는 앵커 디바이스는 피터에게 명확하게 보일 수 있고 쉽게 접근 가능할 수 있다. 피터가 지지 구조물에 서 있을 때, 상현재는 대략 가슴 높이에 있을 수 있다. 연결 수단은 하현재 상에서의 작업도 허용하기에 충분히 길다. 부착 디바이스 및/또는 앵커 디바이스를 상현재에 배열함으로써, 낙하가 보다 조기에 포착되고 낙하 높이가 감소된다. 이는 또한 흡수될 낙하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또한, 낙하 위험이 감소된다.
지지 구조물은 상현재들 및 하현재들로 지지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둘러쌀 수 있다. 부착 디바이스들은 지지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향해 배향될 수 있다. 부착 디바이스들은 내부 공간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는 부착 디바이스들이 내부 공간으로부터 용이하게 접근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결 수단을 부착하기 위해, 지지 구조물의 외부에 도달할 필요는 없다.
부착 디바이스들은 시트 재료로부터 절단될 수 있다. 부착 디바이스들은 각각 지지 구조물의 국부적인 보강을 위한 보강 영역 및 아일릿을 갖는 탭을 가질 수 있다. 시트 재료는 두꺼운 금속 시트일 수 있다. 시트 재료는 예를 들어 시트 강일 수 있다. 부착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트 재료로부터 버닝, 펀칭, 레이저 처리, 워터 제트 절단 또는 밀링될 수 있다. 보강 영역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부착 디바이스가 배열되는 지지 구조물 컴포넌트의 프로파일을 재현할 수 있다. 보강 영역은 지지 구조물 컴포넌트에 용접될 수 있다. 보강 영역은 낙하 에너지를 도입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컴포넌트의 힘 도입 표면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피터가 낙하한다면 지지 구조물이 손상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보강 영역이 힘 도입 표면 상에서 지지 구조물 컴포넌트를 보강하기 때문에, 지지 구조물은 부착 디바이스의 외부에서 더 작게 치수결정될 수 있다. 보강 영역은 예를 들어 부착 디바이스가 펼쳐진 날개를 갖는 나비와 유사하도록 V-형상으로 배열된 2개의 레그들을 가질 수 있다. 레그들은 지지 구조물 컴포넌트의 연장 방향을 따라 힘 도입 표면을 증가시킬 수 있다. 탭이 보강 영역으로부터 돌출할 수도 있다. 탭은 지지 구조물 컴포넌트를 넘어 돌출할 수도 있다. 탭은 레그들 사이의 중앙에 배열될 수 있다. 탭은 텅 형상일 수 있다. 탭의 일 단부는 둥글 수 있다. 아일릿은 탭을 통한 개구일 수 있다. 아일릿은 예를 들어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아일릿은 둥근 모서리를 갖는 삼각형일 수 있다. 아일릿은 두 개의 연결 수단을 동시에 부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게 치수결정될 수 있다. 탭 및/또는 레그들은 낙하 중에 굴곡될 수 있고, 따라서 낙하의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이는 지지 구조물 컴포넌트를 과부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부착 디바이스는 절단되고 굴곡될 수 있다. 탭은 보강 영역에 대해 비스듬히 배향될 수 있다. 부착 디바이스는 특히 스탬핑되고 굴곡된 부분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연결 수단은 굴곡된 탭 덕분에 아일릿에 쉽게 후크결합될 수 있다. 특히, 탭은 상향 굴곡될 수 있다. 이는 탭이 수평으로 배열된 경우보다 낙하 시 탭이 더 큰 각도로 굴곡될 수 있게 한다. 이는 탭이 더 많은 낙하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게 한다.
설치 위치에서 수평인 단부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인접한 부착 디바이스로부터 최대한으로 안전 거리만큼 이격되고 지지 구조물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색상-코딩된 부착 디바이스가 배열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의 단부 영역들은 건물의 에지를 넘어 돌출할 수 있다. 단부 영역으로부터 중앙 영역으로의 전이부에서 이미 낙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전이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부착 디바이스가 있는 경우, 피터는 전이부에서 이미 자신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앵커 디바이스는 스크류 아일릿으로서 설계된 부착 수단을 위한 스레드를 가질 수 있다. 앵커 디바이스는 지지 구조물 컴포넌트에 용접된 보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 영역은 스레드를 갖는 막힌 구멍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레드에 의한 지지 구조물 컴포넌트의 약화가 회피될 수 있다. 스크류 아일릿으로서 설계된 부착 수단은 단조(forged) 아일릿 및 나사식 핀을 가질 수 있다. 나사식 핀은 회전 고정되도록 아일릿에 임시로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크류 아일릿은 공구 없이 앵커 디바이스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나사결합 후, 회전 고정 연결은 아일릿이 나사식 핀과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느슨해질 수 있다.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아일릿으로 인해, 스크류 아일릿은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그 자체를 나사결합 해제할 수 없다. 따라서, 앵커 디바이스와 스크류 아일릿 또는 이에 연결된 부착 수단은 함께 부착 디바이스를 형성한다.
앵커 디바이스는 폴 앵커(pawl anchor)로서 설계된 부착 수단을 위한 구멍을 가질 수 있다. 구멍은 관통 구멍일 수 있다. 구멍은 별개의 컴포넌트에서 지지 구조물 컴포넌트의 측면에 배열될 수 있다. 측방향 배열로 인해, 구멍을 통한 지지 구조물 컴포넌트의 약화가 회피될 수 있다. 폴 앵커는 이동가능 폴(pawl), 가요성 샤프트, 및 아일릿을 포함할 수도 있다. 폴은 샤프트의 일 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 아일릿은 샤프트의 반대편 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 폴은 로킹해제 위치에서 구멍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구멍 뒤에서, 폴은 로킹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샤프트 상의 스프링이 폴을 로킹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로킹 위치에서, 폴은 구멍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앵커 디바이스의 후방에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폴 앵커는 더 이상 앵커 디바이스 밖으로 당겨질 수 없다. 폴 앵커를 제거하기 위해, 스프링은 압축될 수 있고 폴은 잠금해제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그 다음, 폴 앵커는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다시 제거될 수 있다.
앵커 디바이스는 지지 구조물의 상현재의 밑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밑면 상에 배열함으로써, 낙하 시 부착 수단에서의 횡방향 하중이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특징들 및 이점들 중 일부가 한편으로는 방법들 및 다른 한편으로는 디바이스들의 상이한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형태들에 도달하기 위해 이러한 특징들이 적절하게 결합, 조절 또는 교환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이 설명될 것이며; 도면이나 설명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 구조물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 구조물 상의 부착 디바이스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 구조물 상의 앵커 디바이스들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면은 단지 개략적이며 축척에 맞지 않다.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부들을 나타낸다.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 구조물 (100) 의 예시를 도시한다. 지지 구조물(100)은 상현재들(102), 하현재들(104), 스트럿들(106) 및 직립재들(108) 및 크로스 브레이스들(110)로 구성된 프레임워크이다. 상현재들(102) 및 하현재들(104)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하현재들(104)은 크로스 브레이스(11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크로스 브레이스들(110)은 하현재들(104)에 수직으로 배열된다. 스트럿들(106)은 상현재들(102) 및 하현재들(104)에 대해 대각선으로 배열되고, 각각은 상현재들(102) 중 하나를 하현재들(104) 중 하나에 연결한다. 직립부들(108)은 상현재들(102) 및 하현재들(104)에 수직으로 배열되고, 각각은 상현재들(102) 중 하나를 하현재들(104) 중 하나에 연결한다. 직립부들(108)은 추가적인 크로스 브레이스들(110)에 의해 연결된다.
지지 구조물(100)은 2개의 단부 영역들(112) 및 중앙 영역(114)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에스컬레이터(116)의 지지 구조물(100)의 절반이 도시된다. 그 중앙 영역(114)은 에스컬레이터(116)에 의해 연결된 2개의 레벨들 사이의 높이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단부 영역들(112)에 비스듬히 배향된다. 단부 영역들(112)은 수평으로 정렬된다. 단부 영역들(112)과 중앙 영역(114) 사이의 전이부에서, 지지 구조물(100)은 각각의 경우에 킹크(kink)를 갖는다. 이동 보도의 경우, 중앙 영역(114)은 할 수 있다.
개인 보호 장구(130)를 위한 부착 디바이스들(118)(도 1에만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피터 없음)은 중심 영역(114)에서 지지 구조물(100)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부착 디바이스들(118)은 그들이 그들의 강도와 관련하여 관련 표준 및 규정을 충족시키는 방식으로 치수화되고 설계된다. 부착 디바이스들(118)은 명확하게 색상-코딩된다. 부착 디바이스들(118)은 각각 개인 보호 장구(130)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123)을 위한 아일릿(120)을 갖는다. 부착 디바이스들(118)은 에스컬레이터(116)가 완성된 후에도 지지 구조물(100) 상에 유지된다.
부착 디바이스들(118)은 서로로부터 최대 안전 거리(122)에 배열된다. 안전 거리(122)는 평균 사람의 평균 팔 거리보다 작다. 평균 팔 거리는 관련 표준 및 규정에 명시될 수도 있다. 상기 거리가 안전 거리(122) 미만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피터는 항상 부착 디바이스들(118) 중 적어도 2개에 도달할 수 있고 따라서 자신을 고정할 수 있다.
부착 디바이스들(118)은 바람직하게는 지지 구조물(100)에 용접된다. 일체형 연결로 인해, 낙하 시 발생하는 낙하 힘이 지지 구조물(100)에 안전하게 도입될 수 있다. 용접은 또한 부착 디바이스들(118)이 우연히 나사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부착 디바이스들(118)은 지지 구조물(100)의 양 측면 상에 배열된다. 부착 디바이스들(118)은 지지 구조물(100)의 우측 및 좌측에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터는 동시에 양측에 자신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낙하 높이를 줄일 수 있는데, 이는 첫째로 조여지는 연결 수단이 항상 낙하를 늦추기 때문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부착 디바이스들(118)은 서로 대향하는 쌍들로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터는 항상 부착 디바이스들(118) 중 적어도 3개에 동시에 도달할 수 있다. 두 명의 피터가 동시에 에스컬레이터(116)에서 작업한다면, 이들은 서로 쉽게 지나갈 수 있는데, 이는 통과할 때 각각의 측면에 피터들 중 한 명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피터들이 서로 지나갈 때, 이들은 다시 양쪽에 그들 자신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부착 디바이스들(118)은 상현재들(102) 상에 배열된다. 상현재들(102) 상의 부착 디바이스들(118)은 서 있는 피터의 가슴 높이 영역에 있기 때문에 피터에게 쉽게 접근 가능하다. 낙하 높이는 상현재(102) 상의 고정을 통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현재들(102)은 결과적인 낙하 에너지를 흡수하기에 충분하게 치수 결정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부착 디바이스들(118)은 시트 재료로부터 절단된다. 부착 디바이스들(118)은 각각 아일릿(120)을 갖는 탭(126) 및 보강 영역(124)을 갖는다. 보강 영역(124)은 지지 구조물(100)에 고정식으로 연결되고, 손상을 야기함이 없이 지지 구조물(100) 내로 낙하 에너지를 소산시키기 위해 지지 구조물(100)을 국부적으로 보강한다. 탭(126)은 보강 영역(124) 및 지지 구조물(100)로부터 돌출한다. 탭(126)은 낙하 중에 소성 변형되어 낙하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보강 영역(124)은 2개의 배열된 레그들(125)을 갖는다. 탭(126)은 양 레그들(125)을 서로 연결한다. 레그들은 탭(126)으로부터 V-형상으로, 따라서 지지 구조물(100)의 연장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멀리 연장된다. 따라서, 부착 디바이스들(118)은 대략 나비의 형상으로 설계된다. 레그들(125)은 그들의 단부에서 넓어진다. 넓어질 때, 레그들(125)은 대략 상현재(102)만큼 넓다. 비스듬한 배향으로 인해, 레그들(125)은 낙하 시에 예상되는 힘의 방향과 정렬된다. 넓어짐부(widenings) 및 선택적으로 또한 레그들(125)은 특히 상현재(102)의 표면 상에 용접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탭들(126)은 지지 구조물(100)의 내부 공간(128) 내로 돌출한다. 그 결과, 아일릿들(120)은 피터에 의해 쉽게 도달될 수 있고, 개인 보호 장구(130)의 연결 수단(132)은 중력에 의해 아일릿(120) 내에 그 자신을 정렬할 수 있다. 따라서, 낙하 시에, 연결 수단(132) 상의 횡방향 하중이 회피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아일릿들(120)을 갖는 탭들(126)은 보강 영역(124)의 평면 밖으로 대략 45°만큼 상향 굴곡된다. 따라서, 연결 수단(132)은 틸팅 없이 부착 디바이스(118)에 대해 복수의 공간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향 굴곡 탭(126)은 낙하의 경우에 낙하 에너지를 소산시키기 위하여 하향 굴곡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2개의 추가 부착 디바이스(118)가 단부 영역(112)으로부터 중앙 영역(114)으로의 전이부에 배열된다. 부착 디바이스는 단부 영역(112)에 배열되고, 최대한으로 안전 거리(122)만큼 중앙 영역(114)의 인접한 부착 디바이스(118)로부터 이격된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 구조물(100) 상의 부착 디바이스(118)의 예시를 도시한다. 부착 디바이스(118)는 실질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부착 디바이스에 대응한다. 여기서 에스컬레이터(116)는 이미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난간(200)은 난간 클램프(202)를 사용하여 상현재(102)에 부착된다. 난간(200)은 여기서 측방향 낙하 보호를 대신한다. 난간 클램프(202)는 상현재(102)에 나사 결합되고, 그의 클램핑 조오들 사이에 난간(200)을 단단히 클램핑한다. 부착 디바이스(118)는 난간(200)의 하부 에지와 상현재(102) 사이에 배열된다.
에스컬레이터(116)의 이동 가능한 핸드레일(204)은 지지 구조물(100) 내의 부착 디바이스(118) 아래에서 주행한다. 핸드레일(204)은 핸드레일 가이드(206)에 의해 안내된다. 핸드레일 가이드(206)는 난간 클램프(202) 아래에 설치된다. 핸드레일 가이드(206)는 핸드레일(204)을 측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지지 롤러 및 가이드 롤러를 갖는다. 이 도면은 부착 디바이스(118)가 에스컬레이터(116) 내에 쉽게 남아 있을 수 있고, 예를 들어 초기에 언급된 임시 유지보수 레일링들(도시되지 않음)의 경우와 같이, 난간(200)이 설치된 후에 제거될 필요가 없음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 구조물(100) 상의 앵커 디바이스들(3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지지 구조물(100)은 실질적으로 도 1의 지지 구조물에 대응한다. 지지 구조물(100)의 단부 영역(112)이 여기에 도시된다. 앵커 디바이스(300)는 관련 표준 및 규정의 안전 요건을 충족시키는 방식으로 치수결정되고 설계된다. 앵커 디바이스들(300)은 명확하게 색상-코딩된다. 필요한 경우, 개인 보호 장구(130)(도 1 참조)를 매달거나 부착하기 위한 이동식 부착 수단(302)이 앵커 디바이스(300)에 일시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앵커 디바이스들(300)은 단지 부착 수단(302)을 위한 것이며, 에스컬레이터(116)의 컴포넌트들을 설치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앵커 디바이스들(300)은 상현재(102)의 밑면 상에 배열된다. 부착 수단(302)은 앵커 디바이스(300)에 아래로부터 또는 아래에서 소정 각도로 고정될 수 있고, 사용 후에 다시 앵커 디바이스(300)로부터 하향 제거될 수 있다. 아래로부터 장착하는 것에 의해, 낙하의 경우에 부착 수단(302) 상의 측방향 전단 하중이 회피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부착 수단(302)은 폴 앵커(304)이다. 폴 앵커(304)는 공구 없이 앵커 디바이스(400)에 부착될 수 있다. 폴 앵커(304)는 폴 앵커(304)의 길이 방향으로 앵커 디바이스(300)의 구멍(308) 내로 삽입되고 구멍(308) 뒤에서 횡단하고 앵커 디바이스(300)의 후방 측면에 인접하는 폴(306)을 갖는다. 폴 앵커(304)의 샤프트(310)는 앵커 디바이스(300)의 전방 측면 상에 돌출하고 아일릿(120)에서 종료된다. 개인 보호 장구(130)의 연결 수단(132)은 아일릿(120)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폴 앵커(304)를 제거하기 위해, 샤프트(310)는 구멍(308) 내로 더 가압되고, 이에 의해 경감된 폴(306)은 일체형 메커니즘에 의해 종방향으로 재정렬되고 섕크(310)와 함께 구멍(308) 밖으로 당겨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부착 수단(302)은 스크류 아일릿(screw eyelet)(312)이다. 스크류 아일릿(312)은 개인 보호 장구(130)의 연결 수단(132)을 위한 아일릿(120) 및 나사식 핀(316)을 갖는다. 나사식 핀(316)은 앵커 디바이스(300)의 스레드(314) 내로 나사 결합된다. 스레드(314)는 예를 들어 M16 스레드일 수 있다. 나사결합 및 나사결합 해제를 위해, 나사식 핀(316)은 아일릿(120)에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된다. 아일릿(120)은 공구 없이 나사결합 및 나사결합 해제를 위한 핸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나사식 핀이 스레드(314)에 나사결합될 때, 아일릿(120)에 대한 회전 고정 연결이 해제되고, 아일릿(120)은 나사식 핀(316)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한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로킹 메커니즘(도시되지 않음)은 공구 없이 작동될 수 있고, 신호-착색 로킹 엘리먼트들을 통해 로킹 상태를 시각적으로 나타낸다.
일 실시형태에서, 스레드(314)는 막힌 구멍으로서 설계되고, 지지 구조물(100)에 어떠한 노치 효과도 야기하지 않도록 앵커 디바이스(300)의 보강 영역(124)에 배열된다. 보강 영역(124)은 특히 지지 구조물(100)에 용접되고, 막힌 구멍 깊이보다 더 두껍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지지 구조물(100) 또는 에스컬레이터(116) 또는 이와 함께 형성된 이동 보도의 가능한 실시형태들이 부분적으로 상이한 단어들의 선택으로 아래에서 다시 설명된다.
난간(200) 없이 에스컬레이터(116)나 이동 보도가 전달된다면, 난간(200)은 고객의 토지 현장에서 설치된다. 예를 들어 아트리움에서 하나 위에 다른 하나를 겹쳐서 설치된 에스컬레이터(116)의 경우, 건물 상에 개별 안전을 위한 부착 디바이스가 없기 때문에 완전한 안전 체인이 종종 구현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하기 때문에 여기서 낙하 위험이 존재한다. 종래에는 에스컬레이터(116)에도 부착 디바이스가 제공되지 않는다.
개인 보호 장구(PPE)(130)에 의해 사람을 고정시키기 위해 여기에 제시된 부착 디바이스(118)는 프레임워크 상현재(102) 상에 규정된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거리(122)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에서 거리(122)는 개인 보호 장구(130)를 2개의 연속적이거나 대향하는 부착 디바이스들(118)에 동시에 부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실시형태에 따라, 부착 디바이스들(118)은 에스컬레이터(116)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이 시스템에 의해, 현재의 부착 디바이스(118)로부터 후크 해제할 필요 없이 다음 부착 디바이스(118)에 개인 보호 장구(130)를 후킹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에스컬레이터(116)를 따라 부착 디바이스(118)를 하나씩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피터들에 대한 정의된 안전 개념이 고수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며, 이는 그들이 낙하에 대해 고정된다면 단지 미완성 에스컬레이터(116) 또는 미완성 이동 보도에 진입할 수 있다고 규정한다.
부착 디바이스(118)는 프레임워크(100)의 상현재(102) 또는 다른 에스컬레이터 구조 엘리먼트가 표준에 의해 요구되는 시험력을 견딘다면 이들 엘리먼트에 용접, 납땜, 또는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 디바이스(118)는 프레임워크 구조물의 상현재(102)가 보강되거나 강화되고 따라서 시험력이 가해질 때 프레임워크 상현재(102)의 국부적인 과부하가 방지되는 방식으로 예시된 실시형태를 위해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형태는 복수의 사람들이 어떠한 추가적인 노력 없이 그들의 개인 보호 장구(130)로 에스컬레이터(116) 상에 동시에 그들 자신을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부착 디바이스(118)는 가능한 한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의도되지 않은 컴포넌트에 대한 우발적인 고정을 배제하기 위해 착색 또는 다른 마킹에 의해 강조된다.
이들 부착 디바이스(118)는 공장에서 미리 조립되어, 에스컬레이터(116)가 들어오기 전에 복잡한 조립 작업을 할 필요 없이 낙하 보호를 위해 즉시 사용될 수 있다. 부착 디바이스(118)는 건물 측에 부착 디바이스가 제공되지 않으면 낙하 보호를 위해 즉시 사용될 수 있다.
부착 디바이스(118)는 난간을 세우기 위해 그리고 시스템의 임의의 후속 수리 또는 현대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부착 디바이스(118)가 에스컬레이터(116) 상에 설치된 채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부착 디바이스(118) 자체는, 예를 들어, 레이저 절단, 화염 절단 또는 워터 제트 절단(water jet cutting)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부착 디바이스(118)는 중력 주조 컴포넌트로서 또는 다른 제조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시된 부착 디바이스(118)는 상기 부착 디바이스가 모든 제품 유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용접 공정에 의해 상현재(102)에 연결되도록 설계된다. 개인 보호 장구(130)를 걸기 위한 개구의 크기 및 형상은 하나 이상의 스냅 또는 스크류 카라비너(carabiner)를 걸기 위해 달라질 수 있다.
본 문서에 기술된 영구적으로 설치가능한 부착 디바이스(118)는 취급이 용이하고, 모든 유형의 에스컬레이터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지지 구조물(100) 상에 영구적으로 설치되며, 수리 또는 현대화에 또한 사용될 수 있고, 생산 비용이 저렴하다. 여기에 제시된 영구적으로 설치가능한 부착 디바이스(118)를 사용함으로써, 작업 안전성의 향상 및 작업 효율성의 증가가 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포함하는", "갖는" 등과 같은 용어들은 다른 엘리먼트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으며, 단수 표현은 복수 표현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더욱이,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들 또는 단계들은 또한 전술한 다른 실시형태들의 다른 특징들 또는 단계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청구항에서의 참조 부호는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15)

  1. 에스컬레이터 (116)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물 (100) 로서, 개인 보호 장구 (130) 를 위한 적어도 2 개의 부착 디바이스들 (118) 이 상기 지지 구조물 (100) 의 중앙 영역 (114) 에 배열되고, 상기 지지 구조물 (100) 에 용접, 납땜 또는 리벳팅되고, 상기 부착 디바이스들은 최대한으로(at most) 안전 거리 (122) 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는, 지지 구조물 (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디바이스들 (118) 은 색상-코딩되는(color-coded), 지지 구조물 (10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디바이스들 (118) 은 상기 지지 구조물 (100) 의 반대 측면들 상에 배열되는, 지지 구조물 (10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보호 장구 (130) 를 위한 부착 수단 (302) 을 위해 상기 지지 구조물 (100) 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색상-코딩된 앵커 디바이스 (300) 가 상기 지지 구조물 (100) 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 영역 (112) 상에 배열되고, 상기 앵커 디바이스 (300) 는 인접한 부착 디바이스 (118) 로부터 최대한으로 상기 안전 거리 (122) 만큼 이격되는, 지지 구조물 (10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영역 (112) 에서, 적어도 2 개의 앵커 디바이스들 (300) 이 상기 지지 구조물 (100) 의 반대 측면들 상에 배열되는, 지지 구조물 (100).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디바이스 (300) 는 스크류 아일릿 (312) 으로서 설계된 부착 수단 (302) 을 위한 스레드 (314) 를 갖는, 지지 구조물 (100).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디바이스 (300) 는 폴 앵커 (304) 로서 설계된 부착 수단 (302) 을 위한 구멍 (308) 을 갖는, 지지 구조물 (100).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디바이스 (300) 는 상기 지지 구조물 (100) 의 상현재 (102) 의 밑면 상에 배열되는, 지지 구조물 (100).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디바이스들 (118) 및/또는 앵커 디바이스들 (300) 은 서로 반대되는 쌍으로 배열되는, 지지 구조물 (100).
  10.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앵커 디바이스 (300) 는 상기 지지 구조물 (100) 에 용접되는, 지지 구조물 (100).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 (100) 은 상현재들 (102) 및 하현재들 (104) 을 갖고, 상기 부착 디바이스들 (118) 및/또는 앵커 디바이스들 (300) 은 상기 지지 구조물(100)의 상현재들 (10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지지 구조물 (100).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디바이스들 (118) 은 상기 지지 구조물 (100) 의 내부 공간 (128) 을 향해 배향되는, 지지 구조물 (100).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디바이스들 (118) 은 시트 재료로부터 절단되고, 각각은 상기 지지 구조물 (100) 을 국부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보강 영역 (124) 및 아일릿 (120) 을 갖는 탭 (126) 을 갖는, 지지 구조물 (100).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디바이스들 (118) 은 절단되고 굴곡되며, 탭 (126) 은 보강 영역 (124) 에 대해 비스듬히 배향되는, 지지 구조물 (100).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한 부착 디바이스 (118) 로부터 최대한으로 상기 안전 거리 (122) 만큼 이격되고 상기 지지 구조물 (100) 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디바이스 (118) 가 상기 단부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열되는, 지지 구조물 (100).
KR1020237042233A 2021-06-11 2022-06-01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물 Pending KR202400217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78925 2021-06-11
EP21178925.0 2021-06-11
PCT/EP2022/064867 WO2022258449A1 (de) 2021-06-11 2022-06-01 Tragwerk einer fahrtreppe oder eines fahrstei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1785A true KR20240021785A (ko) 2024-02-19

Family

ID=76392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2233A Pending KR20240021785A (ko) 2021-06-11 2022-06-01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40270539A1 (ko)
EP (1) EP4352002B1 (ko)
KR (1) KR20240021785A (ko)
CN (1) CN117460685A (ko)
AU (1) AU2022290814A1 (ko)
BR (1) BR112023025424A2 (ko)
TW (1) TW202300431A (ko)
WO (1) WO2022258449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4766B2 (ja) 1999-12-16 2003-10-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の工事方法及び乗客コンベアの養生装置
JP5271193B2 (ja) * 2009-08-06 2013-08-21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作業用安全具の支持金具
JP2013245098A (ja) * 2012-05-29 2013-12-0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及び設置方法
WO2019185573A1 (de) 2018-03-28 2019-10-03 Inventio Ag Befestigungs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temporären wartungsgeländers an einem tragwerk einer personentransportanlage
US11220829B2 (en) * 2018-09-26 2022-01-11 Ronald Fontes System for the safety of workers installing escalators
WO2020261469A1 (ja) * 2019-06-27 2020-12-30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ー用工具入れ
WO2021175708A1 (de) * 2020-03-04 2021-09-10 Inventio Ag Schutzvorrichtung bei montagearbeiten an einer fahrtreppe oder einem fahrstei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270539A1 (en) 2024-08-15
CN117460685A (zh) 2024-01-26
EP4352002A1 (de) 2024-04-17
WO2022258449A1 (de) 2022-12-15
TW202300431A (zh) 2023-01-01
BR112023025424A2 (pt) 2024-02-20
EP4352002B1 (de) 2025-03-12
AU2022290814A1 (en)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6996C (en) Ladder docking device
US10060146B2 (en) I-beam-attachable lifeline system
HK1256206A1 (zh) 安全護欄系統
US20090120718A1 (en) Multi-level safety net support system for high-rise construction
US7896132B2 (en) Multi-level fall protection system for high-rise construction
CN112431399A (zh) 一种建筑外墙用吊篮及其安装方法
RU2400609C2 (ru) Комплексная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техни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в строительстве
AU2021229576B2 (en) Protection device during installation works on an escalator or a moving walkway
CA2638490C (en) Scaffolding safety device
US6095283A (en) Walk-through ladder
US20160375282A1 (en) Step unit with fall arrest capability
JP3181041U (ja) 橋梁用足場取付け部材
CN110709345B (zh) 相对于作业平台的附加平台
US20240270539A1 (en) Support structure of an escalator or a moving walkway
KR102327935B1 (ko) 갱폼추락방지 안전장치
US11220829B2 (en) System for the safety of workers installing escalators
EP1647512B1 (en) Working scaffold system of elevator
US6481537B1 (en) Rooftop safety apparatus for elevator servicing
AU2012200673B2 (en) Barrier
KR102753906B1 (ko) 선행 안전난간대
US20160096046A1 (en) Step unit with fall arrest capability
US20150297921A1 (en) Fall Protection System
KR102671364B1 (ko) 철탑용 안전발판 조립체
KR200419382Y1 (ko) 삭도 안전점검용 포스트 조립체
KR102437370B1 (ko) 추락방지용 탈부착식 승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505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