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415A -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 Google Patents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415A
KR20240018415A KR1020237034146A KR20237034146A KR20240018415A KR 20240018415 A KR20240018415 A KR 20240018415A KR 1020237034146 A KR1020237034146 A KR 1020237034146A KR 20237034146 A KR20237034146 A KR 20237034146A KR 20240018415 A KR20240018415 A KR 20240018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
channel
welding
area
po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4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 아르부사 마르티 노구에
모루조 카를로스 알모르
프랭크 로메르
Original Assignee
게오르그 멘센 지엠비에이취 앤드 씨오. 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오르그 멘센 지엠비에이취 앤드 씨오. 케이지 filed Critical 게오르그 멘센 지엠비에이취 앤드 씨오. 케이지
Publication of KR20240018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41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3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the non-integral spout having an elongate cross-sectional shape, e.g. canoe or boat 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출 채널을 포함하는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에 관한 것으로서, 주출 채널의 벽은 제1 단부 영역의 주출 노즐로 설계되고, 제2 단부 영역의 채널 벽은 용접 영역으로 둘러싸여 있다. 용접 영역은 주출 채널의 축에 수직인 반대 방향으로 각 용접 암 단부까지 연장되는, 특히 제2 단부 영역에서 채널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하는 2개의 용접 암을 가진다. 각각의 용접 암은 채널 벽에 연결되고, 채널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리브 요소를 갖는다. 제1 용접 사이드의 각 리브 요소는 채널 벽과 용접 암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에지 영역과, 채널 벽과 용접 암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에지 영역을 갖는다. 제1 및 제2 에지 영역은 용접 암 단부를 향해 수렴하는 제1 및 제2 용접 구역을 형성하며, 두 개의 인접한 리브 요소 사이의 각 용접 암에는 단일 자유 공간이 형성되고, 각 자유 공간은 두 용접 사이드들 중 하나의 사이드에서 개방되고, 두 용접 사이드들 중 다른 하나의 사이드에서는 용접 면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Description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본 발명은 주출 채널을 포함하는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pouring spout)로, 제1 단부 영역에서 주출 채널의 채널 벽이 주출 노즐로 구성되고; 제2 단부 영역 상에서 채널 벽이 용접 영역에 의해 둘러싸이고; 용접 영역은 2개의 용접 암을 구비하되, 2개의 용접 암은 주출 채널의 채널 축에 직교하며 맞은편 방향으로 각각의 용접 암 단부까지 연장하는 특히 제2 단부 영역 내 채널 벽으로부터 연장하고; 각각의 용접 암은 채널 벽에 부착되어 있으며, 채널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리브 요소를 구비하고; 각각의 리브 요소는 제1 용접 사이드 상에서 채널 벽과 용접 암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1 주변 영역을 구비하고, 제2 용접 사이드 상에서 채널 벽과 용접 암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2 주변 영역을 구비하고; 제1 주변 영역 및 제2 주변 영역은 제1 및 제2 용접 구역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주변 영역 또는 제1 및 제2 용접 구역은 각각 여기서 용접 암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수렴한다. 하나의 잠재적인 실시예에서, 주변 영역/용접 구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선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주변 영역과 제2 주변 영역이 직선 방식으로 연장되는 영역들은 그 사이에 예각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주출 스파우트는 종래 기술 예를 들어 동일한 출원인이 출원한 공개공보 10 2017 009 693 A1호에 알려져 있다. 주출 스파우트는 예를 들어 식품, 특히 자유 유동하는 식품을 담는 필름 백의 두 필름 층 사이에 용접되도록 제공된다. 2개의 용접 암에서 용접 구역을 형성하는 주변 영역들의 형상이 수렴하는 결과로, 용접 영역은 채널 축으로부터 용접 암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디자인을 가지며, 이 디자인은 특히 보트 모양으로 불리는데, 테이퍼링은 채널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이루어진다.
용접 영역과 두 용접 사이드 각각의 해당 필름 층 사이의 용접은 용접 조에 의해 반대쪽 두 용접 사이드에서 필름 백의 각 필름 층을 통해 용접 영역에 적용되는 용접 에너지에 의해 발생한다.
용접은 예를 들어 열적, 유도적, 초음파적 수단 및 기타 적절한 용접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용접 사이드들은 용접 영역에서 서로 대향하는 두 사이드이다. 용접 사이드는 채널 축과 양쪽 용접 암 단부를 포함하는 평면의 양 측면에 있다. 여기서 채널 축은 주출 스파우트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주출 채널의 길이 방향 연장부의 축이다.
이 평면은 정면 평면으로도 지칭될 수 있으며, 필름 백, 특히 충전되지 않은 필름 백의 필름 층과 평행하게 놓인 평면에 해당한다. 필름 백을 정면에서 보면 관찰자는 실제로 정면 평면을 보게 된다.
사용 시 필름 백이 수직으로 세워진 경우, 주출 노즐로서의 기능으로 상단 영역을 형성하는 일 단부 영역에는 일반적으로 제거 가능한 마개, 예를 들어 캡이 배치된다. 마개는 주출 노즐에 체결되거나 고정될 수 있고, 나사산 연결을 통해 주출 노즐에서 분리될 수 있다.
언급된 사용에서 용접 영역을 형성하는 제2 단부 영역은 주출 스파우트의 하단 영역이다. 채널 벽 주위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칼라가 종래 기술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본 발명에서 주출 노즐과 용접 영역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된 칼라는 캡을 위한 정지부 역할을 할 수 있고 및/또는 소위 독창성 보호의 기능적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캡이 이미 열려 있는지 또는 적어도 원래 닫힌 위치에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리브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평면 요소로 구성된다. 이는 특히 두께 값만큼 이격된 2개의 면을 갖는 요소로 이해되며, 여기서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두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면들의 단면 치수보다 작다. 이러한 평면형 요소의 두께는 전체적으로 동일할 수 있지만, 이는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는 아니다. 두께도 국부적으로 다를 수 있다.
리브 요소는 주변 영역에 의해 서두에 언급된 용접 영역을 형성하고, 필름 백의 상부 주변에 평행하게 이어지며, 이러한 방식으로 일단 용접되면 상부 주변에 있는 필름 백이 용접된 용접 영역을 따라 다수의 선형 고정 및 밀봉이 이루어진다.
용접 중에 리브 요소는 리브 평면에 평행하게 작용하는 힘에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힘의 영향으로 리브 요소가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금까지 종래 기술에서는 리브 요소가 모든 리브 요소를 연결하는 벽에 의해 안정화되고, 바람직하게는 이 벽은 앞서 언급한 평면 또는 정면 평면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벽은 리브 요소에 대해 중심을 이루고 수직이 되도록 연장되고, 그 결과 분리 벽의 양측에 배치된 두 개의 빈 공간이 각각 두 개의 인접한 리브 요소 사이에 생기게 된다.
이러한 주출 스파우트는 시장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선호하는 사출 성형 방법으로 생산하기 쉽고, 용접하기 쉽고, 투입되는 재료량이 적지만, 과도한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실질적으로 선형인 용접 영역이 손상되어 누출로 이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용접 영역의 전체 높이에 걸쳐(채널 축 방향에서 볼 때) 매우 큰 용접 면을 제공하는 솔루션이 실제로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솔루션에는 훨씬 더 많은 재료가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생산하기 쉽고, 특히 탈형이 용이하며, 특히 동시에 용접 공정 중에 작용하는 힘과 관련하여 사용 가능한 용접 면의 충분한 안정성을 제공하면서 재료 투입량을 크게 늘리지 않거나 약간만 증가시키기 위해 용접에 활용할 수 있는 용접 영역 상에 면의 확장부를 제공하는,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주출 스파우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용접 암에서 두 개의 인접한 리브 요소 사이에 각각 단일 빈 공간이 구성되고, 각 빈 공간은 두 용접 사이드 중 하나에서 개방되되, 특히 외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으며, 두 용접 사이드 중 다른 쪽에서는 용접 면에 의해 닫혀 있다는 점에서, 이 목적이 달성된다.
채널의 연장 방향에서 볼 때, 각 용접 암의 이러한 실시예는 특히 각각의 용접 암이 일정 간격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3개의 리브 요소를 가질 때, 인접하는, 특히 서로 아래 위로 인접하는 적어도 2개의 빈 공간을 가진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각각의 용접 암이 정확히 3개의 리브 요소를 가지고, 그 결과 각 용접 암에 정확히 2개의 빈 공간이 생기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과 반대로, 리브 요소에 대해 중심을 이루는 전술한 안정화 벽이 생략된다. 대신에, 두 개의 인접한 리브 요소의 안정화는 리브 요소의 용접 영역, 즉 채널의 연장 방향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서로의 위 아래에 놓이는 리브 요소의 주변 영역이 용접 면에 의해 연결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용접 면은 빈 공간을 둘러싸는 2개의 리브 요소의 용접 구역 사이에서 연장되고, 안정화 기능에 추가로 용접에 사용할 수 있는 전체 면이 확대된다. 현재까지의 선형 연결과 달리 이는 용접에 더 높은 하중 지지 능력을 부여하는 동시에 리브 요소의 안정성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실질적인 이점은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출 성형 공정에 사용되어야 하는 플라스틱 재료를 더 많이 사용하지 않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더 많이 사용하지 않으면서 전체 용접 면이 확대된다는 점이다.
구성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서두에 설명된 원래 존재하는 벽이 이전 용접 구역 사이의 중심으로부터 부분적으로는 제1 용접 사이드를 향하는 방향으로, 또 부분적으로는 제2 용접 사이드 방향으로 변위되며, 그런 다음 변위된 벽 영역은 각 경우에 하나의 용접 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접 면들은 바람직하게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벽에 의해 점유되었던 재료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용접 암은 제1 용접 사이드에서 개방되고 제2 용접 사이드에서는 폐쇄되는 적어도 하나의 빈 공간, 특히 정확히 하나의 단일 빈 공간을 가지며, 그리고 제1 용접 사이드에서 폐쇄되고 제2 용접 사이드에서는 개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빈 공간 정확히 하나의 빈 공간을 가진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제1 용접 사이드 상의 용접 영역이 제2 용접 사이드의 용접 영역과 동일하게 구성되지 않는 실시예를 초래하며, 이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상당한 차이를 나타낸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용접 면, 제1 사이드의 빈 공간을 폐쇄하는 정확히 하나의 용접 면은 다른 용접 사이드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하나의 단일 용접 면과 관련하여 (채널의 연장 방향에서 볼 때) 높이 측면에서 오프셋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한 방식으로, 이러한 오프셋은 마찬가지로 언급된 용접 사이드에서 빈 공간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의 경우에 발생하며, 이를 통해 특히 빈 공간은 외부를 향해 개방된다. 이후 적용에서, 이러한 개구는 개구 주변의 용접 영역에 고정되는 필름 층에 의해 가려진다.
이 실시예는 또한 사출 성형 동안 긍정적인 탈형 능력을 보장하는데, 그 이유는 빈 공간을 정의하는 사출 성형 공구의 성형 돌출부가 사출 몰드를 열고 닫을 때 전술한 정면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2개의 용접 암의 각각의 형상, 특히 개방된 빈 공간과 폐쇄된 빈 공간의 상대적인 상호 배치가 하나의 동일한 용접 사이드에서 동일하거나 동일하도록 구성되고 특히 다른 용접 사이드에서만 다르게 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리브 요소 및 리브 요소의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의 수와 관계없이,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채널 축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특히 서로 아래 위로 인접하게 놓인 빈 공간이 제1 및 제2 용접 사이드를 향해 교대로 폐쇄되거나 개방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용접 암 단부의 간격 방향에 수직인 용접 암을 관통하는 제1 단면 평면에서 볼 때, 빈 공간을 폐쇄하는 용접 면 및 리브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구불구불한 프로파일을 갖는다. 용접 암 단부의 간격 방향에 수직인 단면 평면은 바람직하게는 채널 축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놓여 있으며, 특히 단면 평면이 주출 채널 외부에 놓이게 된다. 전반적으로 이는 용접 면이 확대되어 매우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한다.
한쪽의 용접 사이드 또는 대안적으로 다른 쪽 용접 사이드 상에서 리브 요소 사이의 빈 공간을 폐쇄하는 용접 면은, 외부를 향하여 용접될 필름 층과 접촉하게 되는 상기 용접 면의 면이 용접 구역을 형성하는 리브 요소의 주변 영역과 정렬되게 놓이도록 배치된다. 그 결과, 양 용접 사이드에서 용접 면과 이에 인접한 주변 영역의 용접 구역이 일체화되어 용접이 가능한 공동 작용면을 형성하는 것이 보장된다.
빈 공간을 폐쇄하는 용접 면은 인접한 리브 요소의 벽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벽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리브 요소의 가장 두꺼운 위치에서 리브 요소의 벽 두께보다 작게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용접 능력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재료 절약에 기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빈 공간이 예를 들어 용접 사이드들 중 하나의 개구로부터 정면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용접 암 안으로 반대편 용접 사이드의 용접 면 내부면까지 연장된다. 상기 개구는 리브 요소의 주변 영역에 의해 상부 및 하부에서 경계가 정해진다. 각각의 용접 암 단부에서 개구는 채널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반대쪽 용접 면의 내부에 배치되는 후육부에 의해 경계가 정해질 수 있다.
각각의 용접 암에서, 리브 요소의 용접 구역, 빈 공간을 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접 면, 특히 또한 하나의 용접 사이드의 전술한 후육부는 바람직하게는 용접이 이루어지는 용접 평면인 동일한 평면에 놓이게 된다. 이 평면은 채널 축과 평행할 수도 있고 평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평행하지 않은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용접 평면은 채널 축에서 아래로 출발하거나 아래에서부터 채널 축에 접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접 중에 필름 층과 접촉하는 면 영역이 특히 사용되는 용접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표면 실시형태를 가질 수 있음을 제공할 수 있다. 접촉 면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빈 공간을 폐쇄하는 용접 면의 용접 구역 또는 주변 영역의 표면 그리고 채널 축을 둘러싸고 용접 암의 표면 영역을 연결하는 쉘 면 영역의 표면이다.
이러한 접촉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용접 에너지의 전도성 도입의 경우에 예를 들어 특히 구조 없이, 매끄럽게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들 접촉 표면은 또한 특히 구조를 가져 거칠게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돌출부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용접 중에 용융을 위한 초기 포인트를 제공하는 유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표면에서 특정 치수 범위, 특히 0.02-0.05mm 내에서 융기되도록 구조를 배치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용접 면에 의해 폐쇄되는 용접 사이드로부터의 각각의 빈 공간은 상기 빈 공간이 개방되는 용접 사이드를 향하는 방향, 특히 높이 방향으로 이에 따라 리브 요소의 간격 방향으로 넓어진다. 용접 암 단부의 간격 방향으로 빈 공간의 확장은 바람직하게는 용접 암이 용접 암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테이퍼진다는 점에서 이미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제작되는 주출 스파우트와 빈 공간을 정의하는 사출 몰드 상의 몰드 돌출부 사이의 탈형 능력이 달성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각각의 리브 요소가 채널 축에 수직인 횡단면 주위에 배치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서두에 언급한 횡방향 평면과 정면 평면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수직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 다른 리브 요소의 횡단면이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빈 공간 내를 향하는 리브 요소의 면은 주위에 리브 요소가 배치되는 횡단면에 대해 경사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그 결과, 전술한 빈 공간의 개방 측 방향의 확장이 달성될 수 있고, 탈형 능력이 용이해질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주출 채널의 제2 단부에 가장 가까운 리브 요소, 즉 특히 최하위 리브 요소에 이 리브 요소의 용접 구역/주변 영역을 확대하고 리브 요소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칼라를 제공할 수 있다. 최하위 리브 요소의 아래로는 더 이상 추가의 리브 요소를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최하위 리브 요소의 용접 구역은 주변 영역의 두께로 제한된다.
일체로 성형된 칼라는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용접 영역과 정렬된다. 리브 요소의 용접 구역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칼라의 높이만큼 실질적으로 확대되며, 이에 따라 리브 요소는 특히 주변부에서 하향 방식으로 두꺼워진다. 이는 사용 중에 필름 층과 용접 영역 사이에 가장 큰 움직임이 존재하는 위치에서 정확하게 용접 영역과 필름 층 사이의 용접 연결부의 향상된 하중 지지 능력으로 이어진다.
칼라는 용접 중에 이 영역에서 필름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 회복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바깥쪽을 향하는 칼라의 하부 둘레는 모따기를 가지거나, 반경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또한 필름에 의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게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채널 축 방향에서 볼 때 적어도 하나의 리브 요소, 바람직하게는 모든 리브 요소 특히 횡단면의 한쪽 또는 양쪽 사이드 상의 리브 요소의 두께가 용접 암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증가하고 및/또는 채널 축 방향에서 볼 때 두 개의 리브 요소 사이의 빈 공간의 높이가 용접 암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로, 용접 암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용접 면이 효과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더욱이, 정면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용접 면의 투영에서 볼 때, 용접 암 단부의 영역에서, 2개의 용접 사이드에서 서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된 2개의 용접 면의 확대된 중첩이 초래된다. 이는 용접 암 단부에서 용접의 하중 지지 능력을 향상시킨다.
채널축 방향에서 볼 때 채널 축에 대한 빈 공간의 위치가 동일한 용접 사이드를 향해 폐쇄되거나 개방된 양 용접 암에 동일하게 배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개의 용접 암 사이에 연장되는 제2 단부 영역의 쉘 면 영역을 가로질러 동일하게 배치된 2개의 빈 공간이 그루브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채널 축 방향으로 측정된 그루브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방향에서 빈 공간의 높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쉘 면 영역이 그루브 없이 구성되고, 서로 다른 암의 2개의 빈 공간의 높이 레벨에 있는 쉘 면 영역이 특히 곡면 프로파일을 갖고, 상기 곡면 프로파일은 빈 공간을 닫는 동일한 용접 사이드 상의 두 용접 암의 용접 면 사이의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구성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한 디자인 실시예는 용접 영역에서 주출 채널이 채널 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되도록 놓여 있고 두 용접 암의 리브 요소가 연결되는 두 개의 서로 평행한 평면/평탄한 채널 벽 영역을 갖는 것을 제공한다. 따라서 평면형의 평탄한 형상이 적어도 리브 요소에 인접한 채널 벽의 측면에 존재한다. 따라서 채널 벽의 평면형의 평탄한 평면은 따라서 빈 공간을 향한다. 사출 성형 중에 탈형은 바람직하게는 이 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일어난다. 채널 축을 향하여 방사상 내향의 채널 벽은 또한 평면형이 아닌 다른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채널 벽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두 개의 서로 평행하고 서로 대향하는 채널 벽 영역 사이의 용접 영역에 있는 주출 채널은 채널 벽 내부 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보강 리브를 가질 수 있다. 평행한 평면형 채널 벽 영역 사이의 채널 벽 내부 면은 곡선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채널 축에 대해 고정된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이전에 언급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는 추가 실시예가 아래에 설명된다.
예를 들어, 빈 공간을 폐쇄하는 용접 면은, 상기 용접 면에 인접한 리브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접 면에 인접한 리브 요소의 양쪽 주변 영역에 대해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돌출하는 용접 면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영역들, 특히 적어도 제2 단부 영역의 쉘 면 영역으로부터 용접 암 단부까지 연장되는 영역에 있고, 평면이 되도록 구성되거나 제2 단부 영역을 따라 이어지는 곡률을 갖도록 구성된다. 특히 주변 영역의 간격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된 곡률을 갖는다. 이러한 곡률은 바람직하게는 직선 방식으로 연장되는 리브 요소의 주변 영역의 연장 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배향되는 평면에 존재한다.
이러한 돌출 용접 면은 예를 들어 용접 중에 특히 주변 영역까지 압축되는 용접 재료 공급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또한 빈 공간을 폐쇄하는 용접 면이 상기 용접 면에 인접한 리브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과 정렬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접 면에 인접한 리브 요소의 양 주변 영역과 정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정렬되어 배치된 용접 면뿐만 아니라 주변 영역 너머로 돌출하는 용접 면에도 용접 면 및/또는 주변 영역이 적어도 쉘 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용접 암 단부까지의 제2 단부 영역은 평면형으로 구성되거나 채널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곡률을 가진다.
이러한 곡률은 관찰 평면에서 용접 면들 및 주변 영역들이 외부를 향해 오목하거나 외부를 향해 볼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상이한 관점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하단 영역에 있는 주출 채널의 채널 벽이 2개의 평면/편평한 벽을 갖는다는 보여주는 주출 스파우트의 하부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칼라가 존재하지 않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주출 스파우트를 축방향으로 아래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용접 면이 주변 영역에 대해 외부로 돌출하도록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도면들의 다른 모든 실시예와 공통되는 특징들을 공유하는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모든 실시예에서 공통되는 특징은 이후에 도면과 관련하여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을 서로 다른 관점에서 도시한다.
공통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도시된 주출 스파우트는 채널 축(1b)을 따라 종방향 연장 방향을 갖는 주출 채널(1)을 구비하고, 상기 주출 채널(1)의 상단 영역(2a)의 채널 벽(1a)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형-원통형 단면으로 구성되며, 주출 노즐을 형성한다.
상단 영역(2a)의 채널 벽(1a)은 여기에 도시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이 없는 대응 암나사를 갖는 캡과 상호작용하는 수나사를 외부적으로 지지하여, 주출 노즐이 선택적으로 폐쇄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주출 노즐은 캡으로 커버될 수 있고, 이로부터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필름 백의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영역이다.
하단 영역(2b)의 채널 벽(1a)은 두 개의 용접 암을 포함하는 용접 영역(3)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영역에서, 둘러싸인 채널 벽은 상단 영역에서 볼 수 있는 원형-원통형 형상과 일치할 필요는 없다.
용접 영역(3)은 채널 벽/채널 축에 대해 정반대 방향으로 배치되고, 채널 축(1b)/채널 벽(1a)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멀어지게 연장하는 2개의 용접 암(3a, 3b)을 포함한다. 필름 백의 하나의 필름 층은 각각의 경우에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사이드(6a, 6b) 상에서 용접 암(3a, 3b)에 용접되어 용접 영역이 필름 층들 사이에 둘러싸이게 된다. 용접 사이드(6a, 6b)는 채널 축(1b)과 두 용접 암 단부(4a, 4b)를 포함하는 가상의 정면 평면의 양쪽 측면에 놓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면 평면은 주출 스파우트의 중심에 놓이고, 도시되지 않은 필름 백의 필름 층과 평행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의 단면도는 특히 각각의 용접 암(3a, 3b)이 복수 개 여기서는 3개의 리브 요소(5a, 5b, 5c)를 포함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잠재적인 실시예는 도시된 3개의 리브 요소에 제한되지 않다. 특히, 3개보다 많은 리브 요소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는 단지 유사한 방식으로 바닥을 향해 실시예를 확장할 뿐이다. 리브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평면 요소로서 구성되고, 각각의 경우에 채널 축(1b)에 수직인 횡단면(10a, 10b, 10c) 주위로 연장된다. 리브 요소(5a, 5b, 5c) 또는 그 횡단면(10a, 10b, 10c)은 채널 축(1b)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채널 축(1b)의 방향에 대응하는 높이 방향에서, 2개의 인접한 리브 요소(5a, 5b, 또는 5b, 5c)는 각 경우에 하나의 빈 공간(8a, 8b)을 에워싼다. 이 각각의 빈 공간(8a, 8b)은 리브 요소(5a, 5b, 5c)들 중 서로 마주하는 면들 사이의 간격 영역을 차지하며, 이에 따라 각각의 빈 공간은 특히 용접 암(3a, 3b)들 중 각 하나의 내부에 놓이게 된다. 양 용접 암(3a, 3b)의 빈 공간(8a, 8b)들의 채널 축(1b)에 대한 상대 위치는 동일하다.
도 3의 단면도는 특히 양쪽 용접 사이드(6a, 6b) 상의 각 리브 요소(5a, 5b, 5c)가 각 경우에 하나의 주변 영역(7a 또는 7b)을 갖는다는 것을 강조한다. 외주 상의 주변 영역(7a, 7b)은 리브 요소(5a, 5b, 5c)의 높이(채널 축(1b) 방향에서 볼 때)를 실질적으로 가로질러 연장된다. 이 주변 영역(7a, 7b), 특히 바깥쪽으로 향하는 주변 영역의 단부면은 단독으로 또는 확대된 면과 함께 용접 영역을 형성하고, 필름 층에 용접을 위한 역할을 한다. 도 1의 사시도는 주변 영역(7a, 7b) 또는 용접 영역이 용접 암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수렴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는 특히 용접 영역을 보트형으로 설계한다.
도 4는 리브 요소(5a, 5b, 5c)가 하단 영역(2b)의 채널 벽(1c)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음을 강조한다.
각 용접 암(3a, 3b)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빈 공간(8a, 8b) 각각이 정확히 두 개의 용접 사이드(6a, 6b)들 중 하나의 사이드만을 향해 개방되고, 다른 사이드를 향해서는 서로 위에 놓여 있는 주변 영역을 연결하고, 주변 영역의 용접 구역을 확대하는 용접 면(9)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측면에서 중요하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양쪽 용접 암(3a, 3b)에서 상부 빈 공간(8a)은 용접 사이드(6b)를 향해서는 개방되어 있고, 용접 사이드(6a)를 향해서는 용접 면(9)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대조적으로, 하부 빈 공간(8b)은 반대로 용접 사이드(6a)를 향해서는 개방되어 있고, 용접 사이드(6b)를 향해서는 용접 면(9)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따라서 동일한 용접 사이드의 두 용접 암의 실시예는 동일하다. 채널 축의 방향으로 서로 아래에 3개 이상의 빈 공간이 있는 경우, 빈 공간은 바람직하게는 용접 사이드 중 하나와 다른 사이드를 향해 교대로 폐쇄되거나 개방된다.
도 2의 용접 암 단부(4b)에 대한 도면은 특히 상부 및 하부 빈 공간을 폐쇄하는 용접 면(9), 또는 빈 공간이 외부를 향해 개방되는 개구가 특히 구체적으로 두 빈 공간 사이의 높이 차이만큼 양 용접 사이드 상에서 오프셋되어 있음을 강조한다. 따라서 정면 평면 주위의 용접 영역(3)은 거울대칭이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빈 공간(8a)을 사출 성형하는 중에, 빈 공간(8a, 8b)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 돌출부가 용접 사이드(6b)로부터 용접 사이드(6a)를 향하는 방향으로 주출 스파우트 내로 상부 용접 면(9)의 내벽까지 들어가게 되고, 하부 빈 공간(8b)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용접 사이드(6a)로부터 용접 사이드(6b)를 향하는 방향으로 주출 스파우트 내로 상부 용접 면(9)의 내벽까지 들어가게 된다. 이에 따라 용접 암 단부(4a, 4b)의 간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탈형이 이루어진다.
내부의 각각의 빈 공간(8a, 8b)은 용접 면(9)으로부터 반대쪽 개구까지 중단 없이 연속되고, 바람직하게는 이 방향으로 넓어진다.
정면 평면에 수직으로 볼 때, 용접 면(9)의 두께는 여기서 채널 축(1b) 방향으로 볼 때 가장 두꺼운 리브 요소(5a, 5b, 5c)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의 모든 가능한 실시예에서, "용접 면(welding face)"이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용접을 위한 기능적 표면일 뿐만 아니라 이 기능적 표면을 갖는 벽 요소인 것으로 이해된다.
도 3은 외부를 향한 빈 공간(8a, 8b)의 개구 또는 용접 면(9)의 오프셋에 의해 생성된 일련의 리브 요소(5a, 5b, 5c)와 용접 면(9)의 구불구불한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구불구불한 프로파일은 도시된 두 개의 빈 공간(8a, 8b)보다 많은 경우에 계속 이어질 것이다. 도 2에서 중심 정면 평면 주위에 벽이 없다는 것을 분명히 볼 수 있다. 채널 축(1b) 방향으로의 리브 요소(5a, 5b, 5c)의 보강은 외부 용접 면(9)을 통해 외부에서 교대로 발생하여 용접 영역을 확대하는 효과를 갖는다. 캡의 정지부 역할을 할 수 있고 독창성 보호 기능 요소를 지지하는 채널 벽(1a) 주위에 도시된 방사상으로 돌출된 칼라는 바람직하게는 단부 영역(2a)과 단부 영역(2b) 사이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4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용접 사이드 각각에 각각의 개방된 빈 공간, 예를 들어 용접 사이드(6b) 상의 빈 공간(8a)은 2개의 용접 암(3a, 3b)을 연결하고, 그루브(13)에 의해 서로로 전이되는 쉘 면 영역(12)을 가로지른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외부를 향한 개구 평면에서 빈 공간(8a, 8b)은 모든 곳에서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이 실시예와 관련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최하위 리브 요소는 하향 돌출 칼라(11)를 가지며, 이는 특히 마찬가지로 용접 구역의 하향 확대 역할을 하고 및/또는 더 높은 탄성으로 인해 이 위치에서 필름으로부터 응력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칼라가 다른 실시예에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대조적으로, 도 5 및 도 6은 이러한 그루브(13)가 없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하며, 다른 특징은 동일하다. 빈 공간의 개구 높이에 있는 쉘 면 영역(12)은 동일한 용접 사이드에서 다른 빈 공간을 폐쇄하는 용접 면의 높이와 동일한 곡선 프로파일을 갖는다.
도 7 및 도 8은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특징을 가지지만, 그루브(13) 없이 구성될 수도 있고, 리브 요소(5a, 5b, 5c)의 두께, 빈 공간(8a, 8b)의 높이가 용접 암 단부(4a, 4b)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하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특히 이 실시예에서 용접에 효과적으로 이용 가능한 면이 용접 암 단부(4a, 4b)를 향하는 방향으로 확대되고, 특히 그 결과 정면 평면에 수직인 사영(projection)에서 다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2개의 용접 사이드(6a, 6b)에서 서로 반대되는 용접 면(9)의 확대된 겹침(14)이 발생함을 보여준다.
도 9는 주출 스파우트의 저면도로, 칼라(11)를 갖는다는 점에서 이전 실시예와 공통되고, 칼라로부터 하단 영역(2b)에 있는 주출 채널의 채널 벽이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게 위치하는 2개의 평면형/평탄한 벽(1c)을 가지며, 리브 요소들이 부착되어 있으며, 그 중 최하부(5c)를 볼 수 있다.
평면형 벽(1c)들 사이의 채널 벽 영역에서, 보강 리브(14)가 채널 축(1b)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안쪽을 향하고 있다.
또한, 독창성 보호 기능을 갖는 칼라의 높이 수준에 있는 스텝(1d)에서 주출 채널(1)이 원통형 내부 형상에서 평면형 평행 벽(1c)을 갖는 형상으로 전이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모든 가능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이 도시된 주출 채널(1)의 내부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0 및 도 11은 전술한 칼라(11)가 존재하지 않는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을 향하는 용접 영역(3)은 최하위 리브 요소(5c)의 하면을 통해 종료된다. 달리 기재하지 않는 한, 위에 설명된 모든 다른 특징이 이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특히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루브(13)를 갖거나 그루브(13) 없이 구현될 수도 있다.
모든 도면은 용접 영역 역할을 하는 리브 요소(5a, 5b)의 주변 영역(7a, 7b) 및/또는 적어도 영역에서 용접 암 단부(4a, 4b)를 향하는 연장부에서 서로 정렬되도록 배치되어, 빈 공간(8a)을 폐쇄하는 용접 면(9)이 특히 각 암 단부(4a, 4b)와 만곡된 쉘 면 영역(12) 사이에서 직선 방식으로 연장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2 단부 영역(2b)의 2개의 채널 벽(1c)에 대한 리브 요소(5a, 5b)의 부착지점들 사이의 영역에서, 언급된 쉘 면 영역(12)에 의해 비어 있는 공간-폐쇄 용접 면(9)에 의해 선택적으로 확대되는 용접 영역이 외부를 향해 볼록하게 구부러져 있고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서로 전이된다.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실시예에 대해, 그리고 일반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잠재적인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은 또한 특히 빈 공간 폐쇄-용접 면(9)을 포함하는 주변 영역(7a, 7b)이 특히 용접 암 단부(4a, 4b)와 외부를 향해 볼록하도록 곡선을 이루는 쉘 면 영역(12) 사이에서 곡선 프로파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적어도 영역에서, 특히 적어도 제2 단부 영역(2b)의 쉘 면 영역(12)으로부터 용접 암 단부(4a, 4b)까지 연장되는 영역에서, 상호 정렬된 용접 면(9)과 주변 영역(7a, 7b)은 채널 축(1b)에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되는 곡률(curvature)을 가질 수 있고, 외부를 향해 오목하도록 구성되며, 특히 이 곡률은 반대로 외부를 향해 볼록하도록 곡선인 쉘 표면 영역(12)으로 전환된다.
도 12는, 주출 스파우트를 아래에서 축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칼라(11)가 없는 실시예의 이러한 구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구성은 칼라(11)가 있는 실시예에서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의 도면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대조적으로, 도 13은 주출 스파우트를 아래에서 축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적어도 영역에서, 특히 적어도 제2 단부 영역(2b)의 쉘 면 영역(12)으로부터 용접 암 단부(4a, 4b)까지 연장하는 영역에서 상호 정렬된 용접 면(9)과 주변 영역(7a, 7b)이 채널 축(1b)에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하는 곡률을 가지면, 외부를 향해 볼록하게 구성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특히 이 곡률은 외측을 향해 볼록하도록 만곡된 쉘 면 영역(12)으로 전이된다.
도 14 및 도 15는 각 경우에서 용접 면(9)이 주변 영역(7a, 7b)에 대해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도 14의 용접 면(9)은 평탄한 표면을 갖고, 도 15의 용접 면(9)은 외부를 향해 만곡되어 있으며, 특히 외부를 향해 볼록하다. 곡률은 직선 방식으로 연장되는 주변 영역(7a, 7b)에 수직이 되도록 배향되는 평면에 존재한다. 여기서 곡률은 주변 영역(7a, 7b)의 간격 방향으로 진행된다.
도 14 및 15의 실시예는 도 12 및 13의 실시예와 결합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Claims (18)

  1. 주출 채널(1)을 포함하는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로,
    a. 제1 단부 영역(2a)에서 주출 채널(1)의 채널 벽(1a, 1c)이 주출 노즐로 구성되고;
    b. 제2 단부 영역(2b) 상에서 채널 벽(1a, 1c)이 용접 영역(3)에 의해 둘러싸이고;
    c. 용접 영역(3)은 2개의 용접 암(3a, 3b)을 구비하되, 2개의 용접 암(3a, 3b)은 주출 채널(1)의 채널 축(1b)에 직교하며 맞은편 방향으로 각각의 용접 암 단부(4a, 4b)까지 연장하되 특히 제2 단부 영역(2b) 내 채널 벽(1c)으로부터 연장하고;
    d. 각각의 용접 암(3a, 3b)은 채널 벽(1c)에 부착되어 있으며, 채널 축(1b)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리브 요소(5a, 5b, 5c)를 구비하고;
    e. 각각의 리브 요소(5a, 5b, 5c)는 제1 용접 사이드(6a) 상에서 채널 벽(1c)과 용접 암 단부(4a, 4b)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1 주변 영역(7a)을 구비하고, 제2 용접 사이드(6b) 상에서 채널 벽(1c)과 용접 암 단부(4a, 4b)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2 주변 영역(7b)을 구비하고;
    f. 제1 주변 영역(7a) 및 제2 주변 영역(7b)은 용접 암 단부(4a, 4b)를 향하는 방향으로 수렴하는 제1 및 제2 용접 구역(7a, 7b)을 형성하는,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에 있어서,
    g. 각 경우에서, 각 용접 암(3a, 3b) 내에 2개의 이웃하는 리브 요소(5a, 5b/5b, 5c) 사이에 단일 빈 공간(8a, 8b)이 구성되고, 각 빈 공간(8a, 8b)은 2개의 용접 사이드(6a, 6b) 중 하나의 용접 사이드에서는 개방되고, 2개의 용접 사이드(6a, 6b) 중 다른 하나의 용접 사이드에서는 용접 면(9)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2. 제1항에 있어서, 각 용접 암(3a, 3b)은 제1 용접 사이드(6a)에서는 개방되어 있고, 제2 용접 사이드(6b)에서는 폐쇄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빈 공간(8b), 특히 정확히 하나의 단일 빈 공간(8b)을 가지고, 각 용접 암(3a, 3b)은 제1 용접 사이드(6a)에서는 폐쇄되어 있고, 제2 용접 사이드(6b)에서는 개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빈 공간(8a), 특히 정확히 하나의 단일 빈 공간(8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채널 축(1b)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특히 서로 아래 위에 인접하도록 놓인 빈 공간(8a, 8b)은 제1 용접 사이드(6a)와 제2 용접 사이드(6b)를 향해 교대로 폐쇄되거나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4. 제3항에 있어서, 용접 암 단부(4a, 4b)의 간격 방향에 수직인 용접 암(3a, 3b)을 관통하는 단면에서 볼 때, 바람직하게는 채널 축(1b)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빈 공간(8a, 8b)을 폐쇄하는 용접 면(9)과 리브 요소(5a, 5b, 5c)가 구불구불한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빈 공간(8a, 8b)을 폐쇄하는 용접 면(9)의 벽 두께가 인접한 리브 요소(5a, 5b, 5c)의 벽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접 면(9)에 의해 폐쇄되는 용접 사이드(6a)로부터, 상기 빈 공간(8a)이 개방되는 용접 사이드(6b)를 향하는 방향으로 빈 공간(8a)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리브 요소(5a, 5b, 5c)가 채널 축(1b)에 수직인 횡단면(10a, 10b, 10c) 주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8. 제7항에 있어서, 빈 공간(8a, 8b)을 향하는 리브 요소(5a, 5b, 5c)의 면이 리브 요소(5a, 5b, 5c)가 배치되는 횡단면(10a, 10b, 10c)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출 채널(1)의 제2 단부에 가장 가까운 리브 요소(5c)에 이 리브 요소(5c)의 용접 구역/주변 영역(7a, 7b)을 확대하고, 리브 요소(5c)에서 멀어지게 지향하는 칼라(11)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1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채널 축(1b) 방향에서 볼 때, 특히 횡단면의 한쪽 사이드 또는 양쪽 사이드 상의 적어도 하나의 리브 요소(5a, 5b, 5c)의 두께가 용접 암 단부(4a, 4b)를 향하는 방향으로 증가하고 및/또는 채널 축(1b) 방향에서 볼 때 빈 공간(8a, 8b)의 높이는 두 개의 리브 요소(5a, 5b, 5c) 사이에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11.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채널 축(1b) 방향에서 볼 때 빈 공간(8a)의 위치가 양 용접 암(3a, 3b)에 동일하게 배치된 빈 공간(8a)이 동일한 용접 사이드(6a)를 향해 폐쇄되거나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12. 제11항에 있어서, 2개의 용접 암(3a, 3b) 사이에 연장되는 제2 단부 영역(2b)의 쉘 면 영역(12)을 가로질러 동일하게 배치된 2개의 빈 공간(8a)은 그루브(13)에 의해 연결되고, 특히 채널 축(1b) 방향으로 측정된 그루브의 높이는 빈 공간(8a)의 높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1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접 영역(3)에서, 주출 채널(1)은 채널 축(1b)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놓여 있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채널 벽(1c)을 구비하고, 상기 채널 벽에는 2개의 용접 암(3a, 3b)의 리브 요소(5a, 5b, 5c)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14. 제13항에 있어서, 두 개의 서로 평행하고, 서로 대향하는 채널 벽 영역(1c) 사이의 용접 영역(3)에 있는 주출 채널(1)은 채널 벽 내부 면으로부터 방사상 안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보강 리브(1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1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빈 공간(8a, 8b)을 폐쇄하는 용접 면(9)은 상기 용접 면(9)에 인접하는 리브요소(5a, 5b, 5c)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7a, 7b)과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접 면(9)에 인접한 리브 요소(5a, 5b, 5c)의 양쪽 주변 영역(7a, 7b)과 관련하여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적어도 영역에서 특히 적어도 제2 단부 영역(2b)의 쉘 면 영역(12)으로부터 용접 암 단부(4a, 4b)까지 연장되는 영역에서 돌출하는 용접 면(9)이,
    a. 평면형으로 구성되거나,
    b. 주변 영역(7a, 7b)의 간격 방향으로 이어지는 곡률을 가지도록, 특히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1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빈 공간(8a, 8b)을 폐쇄하는 용접 면(9)은 상기 용접 면(8a, 8b)에 인접한 리브 요소(5a, 5b, 5c)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7a, 7b)과 정렬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접 면(9)에 인접한 리브 요소(5a, 5b, 5c)의 양쪽 주변 영역(7a, 7b)과 정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접 면(9) 및 주변 영역(7a, 7b),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영역에서, 특히 적어도 제2 단부 영역(2b)의 쉘 면 영역(12)에서부터 용접 암 단부(4a, 4b)까지 연장하는 영역에서 서로 정렬된 용접 면(9) 및 주변 영역(7a, 7b)이,
    a. 평면형으로 구성되거나,
    b. 채널 축(1b)에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특히 외부를 향해 오목하거나 외부를 향해 볼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KR1020237034146A 2021-05-20 2022-05-18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KR202400184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13115.4A DE102021113115A1 (de) 2021-05-20 2021-05-20 Ausgießer für Folienbeutel
DE102021113115.4 2021-05-20
PCT/EP2022/063399 WO2022243356A1 (de) 2021-05-20 2022-05-18 AUSGIEßER FÜR FOLIENBEUT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415A true KR20240018415A (ko) 2024-02-13

Family

ID=8210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4146A KR20240018415A (ko) 2021-05-20 2022-05-18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4341171A1 (ko)
JP (1) JP2024518316A (ko)
KR (1) KR20240018415A (ko)
CN (1) CN116547215A (ko)
AU (1) AU2022278600A1 (ko)
BR (1) BR112023023405A2 (ko)
CL (1) CL2023002694A1 (ko)
CO (1) CO2023013088A2 (ko)
DE (1) DE102021113115A1 (ko)
WO (1) WO2022243356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1770B1 (fr) * 1998-07-30 2000-10-13 Valois Sa Echantillon de produit fluide
DE102005006871A1 (de) 2004-11-04 2006-05-11 Georg Menshen Gmbh & Co. Kg Kunststoff-Ausgieß-Einschweißteil
DE102017009693A1 (de) 2017-10-13 2019-04-18 Georg Menshen Gmbh & Co. Kg Ausgießer für Beutelverpackungen
KR102206401B1 (ko) * 2019-05-02 2021-01-22 주식회사 블리스팩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278600A1 (en) 2023-10-26
WO2022243356A1 (de) 2022-11-24
JP2024518316A (ja) 2024-05-01
DE102021113115A1 (de) 2022-11-24
CL2023002694A1 (es) 2024-03-15
CN116547215A (zh) 2023-08-04
CO2023013088A2 (es) 2023-10-30
EP4341171A1 (de) 2024-03-27
BR112023023405A2 (pt)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60854C2 (ru) Ввариваемая деталь для заливки из синтет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KR100466228B1 (ko) 원통형몸통부를갖는압출블로우성형용기및그성형용금형
US6119883A (en) Tamper-indicating clos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JP6382930B2 (ja) 多区画容器
US20100072165A1 (en) Plastic container
KR101221004B1 (ko) 고압용기의 노즐 보스
WO2007067029A1 (en) Plastic spout for a flexible pouch and flexible pouch provided with such a spout
JP5458432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付きカップ状容器
JP4962062B2 (ja) シールリングおよびシールリング製造方法
US20090139993A1 (en) Plastic spout
JPS6233145B2 (ko)
KR20240018415A (ko) 필름 백용 주출 스파우트
KR900015178A (ko) 핵폐기물 패키지의 저장 모듈과 그 제조방법
JP2015089771A (ja) 自動車用燃料タンク
US20060048849A1 (en) Penetrable membrane structure and coupler incorporating the same in a fluid path
JP6395253B2 (ja) 自動車用燃料タンクの内蔵部品の取付構造
JP4894034B2 (ja) 角形樹脂製容器
KR101368710B1 (ko) 충전형 가변 외형재 및 필름식 밸브
CA2864512C (en) Container with reinforced upper portion for receiving welded closure
JP7438633B2 (ja) 二重容器
JP7373875B2 (ja) 合成樹脂製ケース
JP4266492B2 (ja) アルミ・ラミネートチューブ容器
JP6438834B2 (ja) 角形ボトル
JP7238855B2 (ja) スパウトおよびスパウト付きパウチ
CN105745158A (zh) 以挤出吹塑成型法制造的用于散装材料的具有封闭帽的塑料广颈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