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201A -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201A
KR20240014201A KR1020220091651A KR20220091651A KR20240014201A KR 20240014201 A KR20240014201 A KR 20240014201A KR 1020220091651 A KR1020220091651 A KR 1020220091651A KR 20220091651 A KR20220091651 A KR 20220091651A KR 20240014201 A KR20240014201 A KR 20240014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unloading
unit
base body
unload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강성묵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1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201A/ko
Publication of KR20240014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7/00Railway stops fixed to permanent way; Track brakes or retarding apparatus fixed to permanent way; Sand tracks or the like
    • B61K7/16Positive railway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일부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역기본체와, 하역기본체에 고정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밀림방지부 및 하역기본체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1밀림방지부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제1밀림방지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며 하역기본체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제2밀림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ANTI-PUSHING APPARATUS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본 발명은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풍에 의한 설비 파손 또는 안전 사고의 발생을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고로조업시 원연료로 사용되는 철광석과 석탄은 선박으로 수송되어 부두에서 연속하역장비에 의해 하역작업을 거친 후, 벨트컨베이어 등의 운송설비를 통하여 공장의 야적장까지 운송된다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석탄이나 철광석 같은 연원료는, 연속하역장비의 엘리베이터 포스트에 연속적으로 부착된 버켓(BUCKET)을 이용하여 선박의 외부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9649호(2007.11.20 등록, 발명의 명칭: 하역기 주행부의 제동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강풍에 의한 설비 파손 또는 안전 사고의 발생을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는: 레일부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역기본체; 상기 하역기본체에 고정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밀림방지부; 및 상기 하역기본체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밀림방지부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1밀림방지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하역기본체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제2밀림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밀림방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에 연동되어 왕복 이동하는 제1밀림방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밀림방지부재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초기 위치에서 일측으로 소정 거리 이상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밀림방지부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밀림방지부재는 상기 레일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양측이 상기 레일부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2밀림방지부는 상기 레일부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밀림방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밀림방지부재는, 상기 레일부의 외측에 고정되는 고정바디부; 상기 고정바디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이동바디부; 및 상기 고정바디부와 상기 이동바디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바디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바디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역기본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밀림방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하역기본체의 이동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하역기본체가 정상 주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하역기본체가 정상 주행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밀림방지부가 상기 제2밀림방지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제1밀림방지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는 제1밀림방지부와 제2밀림방지부에 의해 풍하중 등에 의한 하역기의 밀림 현상을 제한함에 따라 하역기 및 주변 시설물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는 제어부가 하역기본체의 정상 주행 여부에 기반하여 제1밀림방지부와 제2밀림방지부의 접촉을 선택적으로 조절함에 따라 하역기본체가 정상 주행 중인 경우 제1밀림방지부와 제2밀림방지부가 불필요하게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밀림방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밀림방지부(4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의 작동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1)는 하역기본체(100), 프레임부(200), 제1밀림방지부(300), 제2밀림방지부(400), 감지부(500),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하역기본체(100)는 선박(2)이 정박하는 부두(3)에 설치되며,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광석 등의 원료와, 고로 작업시 광석을 용융시키기 위한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 등의 원료를 선박에서 부두로 하역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역기본체(100)는 선박(2)의 저장고로부터 원료를 퍼올리는 버킷(11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굴삭부(110)와, 굴삭부(110)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버킷 엘리베이터부(120) 및 버킷 엘리베이터부(120)와 붐으로 연결되는 주행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역기본체(100)는 부두(3) 상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10)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역기본체(100)는 주행부(13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주행휠(131)을 매개로 레일부(1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하역기본체(100)는 모터, 엔진 등의 구동력에 의해 주행휠(131)이 레일부(10) 상에서 회전됨에 따라, 레일부(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한 쌍의 레일부(10)가 이격되는 간격은 주행부(130)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프레임부(200)는 하역기본체(100)에 고정되어 후술하는 제1밀림방지부(300)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200)는 대략 평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주행부(130)의 일측(도 2, 도 3 기준 좌측)에 고정된다. 프레임부(200)는 용접 등에 의해 주행부(13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볼팅 등에 의해 주행부(1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레임부(200)는 제1밀림방지부(300)의 자체적인 무게, 제1밀림방지부(300)와 제2밀림방지부(400)간에 발생되는 충격 등으로부터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스틸 등과 같이 높은 강성을 지닌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2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2,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역기본체(100)에 고정되어 제1밀림방지부(300)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제1밀림방지부(300)는 프레임부(2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 방향에 따라 후술하는 제2밀림방지부(40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며 하역기본체(100)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허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밀림방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밀림방지부(300)는 구동부(310), 제1밀림방지부재(320)를 포함한다.
구동부(310)는 프레임부(200)에 고정되어 후술하는 제1밀림방지부재(32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부(310)는 후술하는 제어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600)로부터 발생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310)는 실린더바디(311), 실린더로드(312)를 포함한다.
실린더바디(311)는 구동부(310)의 일측 외관을 형성하고, 프레임부(20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바디(311)는 내부가 비어있고,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바디(311)는 길이 방향이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실린더바디(311)는 용접 등에 의해 프레임부(220)의 전면(도 5 기준)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볼팅 등에 의해 프레임부(220)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실린더로드(312)는 구동부(310)의 타측 외관을 형성하고, 실린더로드(312)는 후술하는 제1밀림방지부재(320)와 결합되어 제1밀림방지부재(320)를 지지한다. 실린더로드(312)는 실린더바디(3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린더바디(3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며 제1밀림방지부재(320)의 위치를 가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로드(312)는 대략 막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로드(312)는 일단부가 실린더바디(311)의 개구된 측을 통해 실린더바디(311)의 내부로 삽입된다. 실린더로드(312)의 타단부는 실린더바디(31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실린더로드(312)는 길이 방향이 실린더바디(311)의 길이 방향 즉,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실린더로드(312)는 펌프(미도시) 등에 의해 실린더바디(311)의 내부에서 변화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연동되어 실린더바디(3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실린더로드(312)는 전동 모터(미도시)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에 연동되어 실린더바디(3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밀림방지부재(320)는 구동부(310)에 연결되고, 구동부(310)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에 연동되어 왕복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밀림방지부재(320)는 대략 기둥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실린더로드(312)의 타단부(도 5 기준 하단부)에 결합된다. 제1밀림방지부재(320)는 길이 방향이 지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밀림방지부재(320)는 길이 방향이 레일부(1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양측이 레일부(10)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된다. 제1밀림방지부재(320)는 용접 등에 의해 실린더로드(312)의 타단부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볼팅 등에 의해 실린더로드(312)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밀림방지부재(320)는 구동부(310)의 동작 시 실린더로드(312)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제2밀림방지부(400)는 하역기본체(100)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1밀림방지부(300)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제1밀림방지부(30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며 하역기본체(100)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허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밀림방지부재(320)가 초기 위치에 위치한 경우, 제2밀림방지부(400)는 제1밀림방지부재(320)와 마주보지 않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제1밀림방지부재(320)의 초기 위치는 제1밀림방지부재(320)가 상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의 위치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제1밀림방지부(300)와 제2밀림방지부(400)는 하역기본체(100)가 이동되더라도 서로 접촉되지 않아 하역기본체(100)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제1밀림방지부재(320)가 구동부(310)에 의해 초기 위치에서 일측 즉,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경우, 제2밀림방지부(400)는 제1밀림방지부재(32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밀림방지부(300)와 제2밀림방지부(400)는 하역기본체(100)의 이동 시 상호 접촉됨으로써 하역기본체(1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2밀림방지부(40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밀림방지부(400)는 레일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밀림방지부(400)는 하역기본체(100)의 위치와 관계없이 제1밀림방지부(300)와 접촉될 수 있어 하역기본체(100)의 밀림을 레일부(10)의 구간 전체에 걸쳐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밀림방지부(4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밀림방지부(400)는 제2밀림방지부재(410)를 포함한다. 제2밀림방지부재(41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레일부(10)의 외측에 설치된다. 한 쌍의 제2밀림방지부재(410)는 레일부(10)를 사이에 두고 레일부(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레일부(10)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한쌍의 제2밀림방지부재(410)는 제1밀림방지부재(320)가 구동부(310)에 의해 초기 위치에서 일측 즉,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경우, 제1밀림방지부재(320)의 양측에 각각 접촉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2밀림방지부재(410)는 제1밀림방지부재(320)와의 접촉 시 발생되는 충격이 제1밀림방지부재(320)의 길이 전체에 걸쳐 분산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제1밀림방지부재(320)의 파손 또는 회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밀림방지부재(410)는 고정바디부(411), 이동바디부(412), 완충부(413)를 포함한다.
고정바디부(411)는 제2밀림방지부재(410)의 중앙부 외관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이동바디부(412), 완충부(413)를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바디부(411)는 대략 기둥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바디부(411)는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고, 레일부(10)의 외측 지면상에 고정된다. 고정바디부(411)의 높이는 제1밀림방지부재(320)가 초기 위치에 위치한 경우 제1밀림방지부재(320)와 접촉되지 않는 높이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이동바디부(412)는 고정바디부(411)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후술하는 완충부(413)를 매개로 고정바디부(411)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바디부(412)는 대략 기둥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동바디부(412)는 고정바디부(411)와 레일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동바디부(412)는 고정바디부(411)에 대해 자유롭게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단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동바디부(412)의 높이는 고정바디부(411)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단부가 고정바디부(411)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동바디부(412)는 제1밀림방지부재(320)가 초기 위치에서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상 이동된 상태에서 하역기본체(100)가 레일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경우 제1밀림방지부재(320)와 접촉되어 하역기본체(10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동바디부(412)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고정바디부(411)를 사이에 두고 레일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이동바디부(412)는 하역기본체(100)의 이동 방향과 관계 없이 제1밀림방지부재(320)와의 접촉이 가능하다.
완충부(413)는 고정바디부(411)와 이동바디부(412)의 사이에 배치된다. 완충부(413)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고정바디부(411)에 대해 이동바디부(412)를 탄성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413)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코일 스프링으로 예시될 수 있다. 완충부(413)는 양단부가 각각 고정바디부(411)와 이동바디부(412)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고정된다. 완충부(413)는 이동바디부(412)가 제1밀림방지부재(320)와의 접촉에 의해 고정바디부(411)를 향해 이동되는 경우, 길이 방향으로 압축되며 제1밀림방지부재(320)와 이동바디부(412)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이에 따라 완충부(413)는 이동바디부(412)와 제1밀림방지부재(320)의 접촉 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한 장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부(413)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한 쌍의 이동바디부(412)를 고정바디부(411)의 양측면에 대해 개별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이동바디부(412)와 연결되는 완충부(413)는 이동바디부(412)의 높이 방향을 따라 2열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감지부(500)는 하역기본체(100)의 이동을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500)는 위치 센서, 거리 센서,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GPS 등 하역기본체(10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500)는 하역기본체(100)에 설치될 수 있고, 하역기본체(100)의 외측에 별도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600)는 감지부(50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제1밀림방지부(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감지부(500) 및 제1밀림방지부(300)의 구동부(3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감지부(50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하역기본체(100)의 각종 제어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하역기본체(100)의 엔진 점화 여부 등 하역기본체(100)의 주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전달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하역기본체(100)가 정상 주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제1밀림방지부(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으며, 운영 체제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실행시키고, 그 실행 결과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1)의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의 작동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하역기본체(100)가 레일부(10)를 따라 이동되는 경우, 감지부(500)는 하역기본체(100)의 이동을 감지한다(S100).
제어부(600)는 감지부(500)로부터 하역기본체(100)의 이동이 감지됨에 따라 하역기본체(100)가 정상 주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0). S200 단계에서, 제어부(600)는 하역기본체(100)의 엔진이 점화되어 있는 경우 하역기본체(100)가 정상 주행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하역기본체(100)의 엔진이 점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하역기본체(100)가 정상 주행 상태가 아닌 것 즉, 밀림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600)는 하역기본체(100)가 정상 주행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밀림방지부(300)가 제2밀림방지부(400)와 접촉되도록 제1밀림방지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제1밀림방지부재(320)가 초기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실린더로드(312)가 실린더바디(3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구동부(310)를 동작시킨다.
제1밀림방지부재(320)는 실린더로드(312)의 이동에 연동되어 실린더로드(312)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된다.
제1밀림방지부재(320)가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상 이동됨에 따라, 제1밀림방지부재(320)는 제2밀림방지부(400),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바디부(412)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후, 하역기본체(100)가 레일부(10) 상에서 계속하여 이동됨에 따라 제1밀림방지부재(320)는 이동바디부(412)와 접촉된다.
이 과정에서 완충부(413)는 길이 방향으로 압축되며 제1밀림방지부재(320)와 이동바디부(412)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하역기본체(100)는 완충부(413)의 압축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 및 제1밀림방지부재(320)와 이동바디부(412)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반력에 의해 점차적으로 감속되며 정지되고, 하역기본체(100)의 밀림이 방지된다.
한편, S200 단계에서 하역기본체(100)가 정상 주행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600)는 제1밀림방지부(300)가 제2밀림방지부(400)와 접촉되지 않도록 제1밀림방지부(300)의 동작을 제어한다(S400).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제1밀림방지부재(320)가 초기 위치에 위치한 경우 구동부(310)의 동작을 곧바로 중지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밀림방지부재(320)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600)는 실린더로드(312)가 실린더바디(3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구동부(310)를 동작시킨다.
제1밀림방지부재(320)는 실린더로드(312)의 이동에 연동되어 실린더로드(312)와 함께 상방으로 이동된다.
제1밀림방지부재(320)가 초기 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제어부(600)는 구동부(31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제1밀림방지부재(320)가 초기 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제1밀림방지부재(320)와 이동바디부(412)는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밀림방지부재(320)와 이동바디부(412)는 하역기본체(100)가 레일부(10) 상에서 계속하여 이동되더라도 서로 접촉되지 않아 하역기본체(100)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 2 : 선박
10 : 레일부 100 : 하역기본체
110 : 굴삭부 111 : 버킷
120 : 버킷 엘리베이터부 130 : 주행부
200 : 프레임부 300 : 제1밀림방지부
310 : 구동부 311 : 실린더바디
312 : 실린더로드 320 : 제1밀림방지부재
400 : 제2밀림방지부 410 : 제2밀림방지부재
411 : 고정바디부 412 : 이동바디부
413 : 완충부 500 : 감지부
600 : 제어부

Claims (9)

  1. 레일부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역기본체;
    상기 하역기본체에 고정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밀림방지부; 및
    상기 하역기본체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밀림방지부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1밀림방지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하역기본체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제2밀림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림방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에 연동되어 왕복 이동하는 제1밀림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림방지부재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초기 위치에서 일측으로 소정 거리 이상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밀림방지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림방지부재는 상기 레일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양측이 상기 레일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밀림방지부는 상기 레일부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밀림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밀림방지부재는,
    상기 레일부의 외측에 고정되는 고정바디부;
    상기 고정바디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이동바디부; 및
    상기 고정바디부와 상기 이동바디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디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바디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기본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밀림방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하역기본체의 이동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하역기본체가 정상 주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하역기본체가 정상 주행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밀림방지부가 상기 제2밀림방지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제1밀림방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
KR1020220091651A 2022-07-25 2022-07-25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 KR20240014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651A KR20240014201A (ko) 2022-07-25 2022-07-25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651A KR20240014201A (ko) 2022-07-25 2022-07-25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201A true KR20240014201A (ko) 2024-02-01

Family

ID=8985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651A KR20240014201A (ko) 2022-07-25 2022-07-25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42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7241B1 (en) Brace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at a loading dock
KR101411870B1 (ko)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
JP2021042037A (ja) 運搬装置
KR101344315B1 (ko)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KR102021196B1 (ko) 리클레이머용 감지장치
KR102249671B1 (ko) 작업 차량의 전도/전복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14201A (ko) 연속식하역기용 밀림 방지 장치
KR20190105370A (ko) 자세제어 기능을 가지는 지게차
JP6648601B2 (ja) 連続式アンローダの制御方法
KR101887271B1 (ko)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KR101504932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KR101659079B1 (ko)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
KR101344317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928172B1 (ko) 충돌 방지형 연속식 하역장치
KR10188726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 안내장치
CN209981467U (zh) 雷达天线安装座组件及隧道衬砌检测车辆
KR101344310B1 (ko) 연속하역장비의 주행밀림 방지장치
KR101368265B1 (ko) 연속하역기용 비상 정지장치
KR20140042086A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KR101691441B1 (ko)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KR102032639B1 (ko) 연속하역장비의 주행밀림 방지장치
TW201924993A (zh) 包括乘客及障礙物檢測功能的電車平臺安全裝置
JPH1135111A (ja) 搬器のバランス保持装置
KR100350780B1 (ko) 컨테이너 크레인의 흔들림 방지 장치
KR101957567B1 (ko) 연속 하역기의 포스트 파손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