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239A - 상장케이스 - Google Patents

상장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239A
KR20240012239A KR1020220090255A KR20220090255A KR20240012239A KR 20240012239 A KR20240012239 A KR 20240012239A KR 1020220090255 A KR1020220090255 A KR 1020220090255A KR 20220090255 A KR20220090255 A KR 20220090255A KR 20240012239 A KR20240012239 A KR 20240012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lded
plates
insertion ho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곤
Original Assignee
김유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곤 filed Critical 김유곤
Priority to KR1020220090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2239A/ko
Publication of KR20240012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23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1Photograph stands made of shee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2Picture frames employ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94Picture frames comprising means allowing the frame to be supported on a horizontal surface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장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개의 판체(제1 내지 제3판체)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되, 3개의 판체가 연결되는 부분이 접어지게 하며, 3개의 판체 중에 제3판체는 절반으로 접어지게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상장케이스를 삼각으로 접어서 스탠드식으로 세워 사용하도록 하고, 미사용시에는 3겹으로 접어서 책꽂이나 서랍 등에 넣어 간편하게 보관하거나, 대량 적층이 간편하 수 있도록 하며, 다른 실시예로는 삼각형으로 접어서 세워지는 제1 및 제2판체에 상장을 끼울 수 있도록 함에 따라 1개의 상장케이스에 2개의 상장, 또는 상장과 사진을 함께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그와 더불어 제3판체에 포함되는 경사세움유지판에는 벽면에 설치한 못에 걸어두는 걸이구멍이 형성되어 형성되어 본 발명을 펼친 상태로 벽에 걸어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장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개의 판체(제1 내지 제3판체)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되, 3개의 판체가 연결되는 부분이 접어지게 하며, 3개의 판체 중에 제3판체는 절반으로 접어지게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상장케이스를 삼각으로 접어서 스탠드식으로 세워 사용하도록 하고, 미사용시에는 3겹으로 접어서 책꽂이나 서랍 등에 넣어 간편하게 보관하거나, 대량 적층이 간편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동일한 크기의 판형으로 형성되는 3개의 판체가 제1,제2,제3판체(10,20,30)가 길이방향으로 연결 형성되되, 제1,제2,제3판체(10,20,30)가 연결되는 부분에 제1,제2접이부(41,42)가 각각 형성되고, 제3판체(30)는 중간부분에 제1,제2접이부(41,42)와 평행한 제3접이부(43)에 의해 바닥형성판(31)과 경사세움유지판(32)이 상하로 분리되며;
상기 제1,제2판체(10,20)와 바닥형성판(31), 경사세움유지판(32)의 내측에 두꺼운 판재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심재(11,21,33,34)가 각각 외피(4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외피(40)와 접착되고, 제1 내지 제3접이부(41,42,43)는 외피(40)의 내외측면 끼리 부착되어 각각의 제1 내지 제3접이부(41,42,43)가 접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판체(20) 또는 제1,2판체(10,20)의 일측면 사방 모서리부에는 상장(24)의 사방 모서리를 끼우는 모서리끼움부(22)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경사세움유지판(32)의 소정위치에 자석삽입홀(35)을 형성한 뒤에 그 자석삽입홀(35)의 내부에 자석(36)이 삽입되며, 제2판체(20)의 모서리끼움부(22)가 설치된 면이 전방을 향하게 경사지고 제1판체(10)가 후방으로 경사지며 바닥형성판(31)이 수평하게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제2판체(20)와 제1판체(10), 그리고 바닥형성판(31)이 삼각으로 접어진 상태에서 경사세움유지판(32)이 제1판체(1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자력으로 부착되게 상기 자석(36)에 대응하는 위치에 철판삽입홀(13)을 형성한 뒤에, 그 철판삽입홀(13)의 내부에 제1철판(12)이 삽입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장케이스{award case}
본 발명은 상장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개의 판체(제1 내지 제3판체)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되, 3개의 판체가 연결되는 부분이 접어지게 하며, 3개의 판체 중에 제3판체는 절반으로 접어지게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상장케이스를 삼각으로 접어서 스탠드식으로 세워 사용하도록 하고, 미사용시에는 3겹으로 접어서 책꽂이나 서랍 등에 넣어 간편하게 보관하거나, 대량 적층이 간편하 수 있도록 하며, 다른 실시예로는 삼각형으로 접어서 세워지는 제1 및 제2판체에 상장을 끼울 수 있도록 함에 따라 1개의 상장케이스에 2개의 상장, 또는 상장과 사진을 함께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그와 더불어 제3판체에 포함되는 경사세움유지판에는 벽면에 설치한 못에 걸어두는 걸이구멍이 형성되어 형성되어 본 발명을 펼친 상태로 벽에 걸어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경사지게 세워지는 상장케이스는 특허등록 제10-1130319호(발명의 명칭 : 상장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로 등록되어 특허공보에 의해 공개되었다.
상기 종래발명은 2개의 판체(제1,제2판체)가 접이부에 의해 종이 1장을 절반으로 접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2판체의 후면에 종래발명을 경사지게 세우는 꺾임 지지부가 절첩되게 형성된 것으로, 본 발명과는 기술적 구성에 차이가 있다.
상기 종래발명은 2개의 판체 중에 하나의 판체(제2판체)의 후면에만 종래발명을 경사지게 세우는 꺾임 지지부가 절첩되게 형성되어서 2개의 판체를 펼친 상태로 경사지게 세우면 불안정한 문제가 있고, 이렇게 불안정을 감안하여 2개의 판체를 접은 상태로 세우면 상장케이스에 꽂아 놓은 상장(賞狀)이 보이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발명은 2개의 판체를 펼쳐 놓게 되어서 종래발명을 세워놓았을 때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를 함께 지니고 있다.
특허등록 제10-1130319호(발명의 명칭 : 상장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3개의 판체(제1 내지 제3판체)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되, 3개의 판체가 연결되는 부분이 접어지게 하며, 3개의 판체 중에 제3판체는 절반으로 접어지게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상장케이스를 삼각으로 접어서 스탠드식으로 세워 사용하도록 하고, 미사용시에는 3겹으로 접어서 책꽂이나 서랍 등에 넣어 간편하게 보관하거나, 대량 적층이 간편하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는 삼각형으로 접어서 세워지는 제1 및 제2판체에 상장을 끼울 수 있도록 함에 따라 1개의 상장케이스에 2개의 상장, 또는 상장과 사진을 함께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그와 더불어 제3판체에 포함되는 경사세움유지판에는 벽면에 설치한 못에 걸어두는 걸이구멍이 형성되어 형성되어 본 발명을 펼친 상태로 벽에 걸어둘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동일한 크기의 판형으로 형성되는 3개의 판체가 제1,제2,제3판체가 길이방향으로 연결 형성되되, 제1,제2,제3판체가 연결되는 부분에 제1,제2접이부가 각각 형성되고, 제3판체는 중간부분에 제1,제2접이부와 평행한 제3접이부에 의해 바닥형성판과 경사세움유지판이 상하로 분리되며;
상기 제1,제2판체와 바닥형성판, 경사세움유지판의 내측에 두꺼운 판재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심재가 각각 외피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외피와 접착되고, 제1 내지 제3접이부는 외피의 내외측면 끼리 부착되어 각각의 제1 내지 제3접이부가 접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판체, 또는 제1,2판체의 일측면 사방 모서리부에는 상장의 사방 모서리를 끼우는 모서리끼움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경사세움유지판의 소정위치에 자석삽입홀을 형성한 뒤에 그 자석삽입홀의 내부에 자석이 삽입되며, 제2판체의 모서리끼움부가 설치된 면이 전방을 향하게 경사지고 제1판체가 후방으로 경사지며 바닥형성판이 수평하게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제2판체와 제1판체, 그리고 바닥형성판이 삼각으로 접어진 상태에서 경사세움유지판이 제1판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자력으로 부착되게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위치에 철판삽입홀을 형성한 뒤에, 그 철판삽입홀의 내부에 제1철판이 삽입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장케이스는, 3개의 판체(제1 내지 제3판체)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되, 3개의 판체가 연결되는 부분이 접어지게 하며, 3개의 판체 중에 제3판체는 절반으로 접어지게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상장케이스를 삼각으로 접어서 스탠드식으로 세워 사용할 때 저면이 평평하여 본 발명을 안정되게 세우는 효과와, 경사진 면에 상장이 끼워짐에 따라 상장이 사람의 눈에 잘 보이는 효과가 있으며, 미 사용시에는 3겹으로 접어서 책꽂이나 서랍 등에 넣어 간편하게 보관하거나, 대량 적층이 간편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삼각으로 접어지는 부분이 자석에 의해 삼각상태를 유지하여 항상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여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고, 3단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제2판체와 세 번째 제3판체가 자석에 의해 부착되어 본 발명에 상장을 끼운 상태로 상장을 수여할 때, 제3판체가 덜렁거리지 않아 사용상의 문제를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삼각형으로 접어서 세워지는 제1 및 제2판체에 상장을 끼울 수 있도록 함에 따라 1개의 상장케이스에 2개의 상장, 또는 상장과 사진을 함께 보관할 수 있는 효과와, 제3판체에는 벽면에 설치한 못에 걸어두는 걸이구멍이 형성되어 본 발명을 펼친 상태로 벽에 걸어둘 수 있어서 본 발명을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상장케이스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 및 후면사시도.
도 2의 (가)(나)는 본 발명의 전개도와 접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의 (가)(나)(다)는 본 발명을 삼각으로 접은 상태와, 3겹으로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포함하는 제3판체를 제2판체에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삼각으로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펼쳐서 벽면에 걸어두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장케이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상장케이스(10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크기의 판형으로 형성되는 3개의 제1,제2,제3판체(10,20,30)가 길이방향으로 연결 형성되되, 제1,제2,제3판체(10,20,30)가 연결되는 부분에 제1,2접이부(41,42)가 각각 형성되고, 제3판체(30)는 중간부분에 제1,2접이부(41,42)와 평행한 제3접이부(43)에 의해 바닥형성판(31)과 경사세움유지판(32)이 상하로 분리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제2판체(10,20)와 바닥형성판(31), 경사세움유지판(32)의 내측에 두꺼운 판재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심재(11,21,33,34)가 각각 외피(4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외피(40)와 접착되고, 제1 내지 제3접이부(41,42,43)는 외피(40)의 내외측면 끼리 부착되어 각각의 제1 내지 제3접이부(41,42,43)가 접어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판체(20)의 일측면 사방 모서리부에는 상장(24)의 사방 모서리를 끼우는 모서리끼움부(22)가 각각 설치된다.
도 3의 (가)(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장케이스(100)를 삼각으로 접어 세운 뒤에, 본 발명이 삼각을 유지하도록 경사세움유지판(32)에 자석(36)이 설치되고, 그 경사세움유지판(32)과 대면하는 제1판체(10)의 자석(36)의 자력으로 부착되는 제1철판(12)이 설치된다.
즉,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경사세움유지판(32) 내측의 제4심재(34) 소정위치에 자석삽입홀(35)을 형성한 뒤에 그 자석삽입홀(35)의 내부에 자석(36)이 삽입되며, 제2판체(20)의 모서리끼움부(22)가 설치된 면이 전방을 향하게 경사지고 제1판체(10)가 후방으로 경사지며 바닥형성판(31)이 수평하게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제2판체(20)와 제1판체(10), 그리고 바닥형성판(31)이 삼각으로 접어진 상태에서 경사세움유지판(32)이 제1판체(1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자력으로 부착되게 상기 자석(36)에 대응하는 위치에 철판삽입홀(13)을 형성한 뒤에, 그 철판삽입홀(13)의 내부에 제1철판(12)를 삽입 설치한다.
그리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장을 수여할 때 상장(24)이 끼워진 제2판체(20)와 제1판체(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3판체(30)가 제2판체(20)의 후면에 자력으로 부착하도록 자석(36)과 대응하는 위치의 제2판체(20) 내측에 설치된 제2심재(21)에 철판삽입홀(25)을 형성한 뒤에 철판삽입홀(25)의 내부에 제2철판(23)이 삽입된다.
상기 제1,제2철판은 자석과 자력으로 부착하도록 또다른 자석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때는 서로의 자석이 서로 부착하도록 N극과 S극이 대면하게 배치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고, 일실시예는 제2판체(20)의 일측면 사방 모서리부에 상장(24)의 사방 모서리를 끼우는 모서리끼움부(22)를 설치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판체(21)와 제2판체(20)의 외측면 사방 모서리부에 상장(24)의 사방 모서리를 끼우는 모서리끼움부(22)를 설치하여 다른 실시예의 상장케이스(100)에 2개의 상장을 끼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포함되는 상기 경사세움유지판(32)에는 벽면에 설치한 못에 걸어두는 걸이구멍(37)이 형성되어 본 발명을 벽에 걸어 둘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상장케이스(1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장(24)이 끼워진 상장케이스(100)를 삼각으로 접어서 세워두거나, 또는 도 3의 (다)와 같이 상장케이스(100)를 3겹으로 접어서 부피를 감축시킨 상태에서 책꽂이나 서랍 등에 보관하거나, 제작 및 판매업체에서는 대량을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다.
먼저, 상장케이스(100)를 삼각으로 접어서 세울 때는 도 2의 (가)(나) 및 도 3의 (가)(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형성판(31)이 바닥을 형성하고 제2판체(20)는 전방을 향하는 상태로 경사지며, 제1판체(10)는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제1접이부(41)와 제2접이부(42)를 이용하여 삼각으로 접어 세우면서 경사세움유지판(32)을 제1판체(10)와 대면하도록 제3접이부(43)를 이용하여 경사지게 접어 올리면, 경사세움유지판(32)에 설치된 자석(36)과 제1판체(10)에 설치된 제1철판(12)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상장케이스(100)를 삼각으로 접어 세울 수 있다.
위와 같이 경사세움유지판(32)과 제1판체(10)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기 때문에 상장케이스(100)가 삼각형의 형태를 유지하게 되며, 경사세움유지판(32)을 제1판체(10)의 내측면이나 또는 외측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부착할 수 있다.
도 3의 (다)와 같이 상장케이스(100)를 3겹으로 접을 때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3겹으로 접음에 따라 부피가 감축되어 책꽂이에 꽂아 두거나, 서랍에 넣어두기가 간편하고, 제작업체나 판매업체에서 대량을 보관할 때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도 2의 (가) 및 도 3의 (다)에서와 같이 제1판체(10)와 제2판체(20), 그리고 제3판체(30)의 크기가 동일하여서 이들을 3겹으로 접었을 때, 외부 두께가 어느 한 부분이 길어나 또는 짧지 않고, 어느 한 부분이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납작한 직육면체를 유지하여 책꽂이에 세워 보관하거나, 또는 다량을 적층 보관할 때, 쓰러져 내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편리함과 이점이 있다.
위와 같이 상장케이스(100)를 도 3의 (다)와 같이 3겹으로 접고자 할 때, 제3판체(30)와 제2판체(20)의 하부가 제2접이부(42)에 의해 접어지게 연결되어서 제3판체(30)는 제2접이부(42)를 중심으로 하여 도면상 우측을 펼쳐지려고 하나, 제3판체(30)의 경사세움유지판(32)에 설치된 자석(36)과 제2판체(20)에 설치된 제2철판(23)이 자력으로 부착되어서 제3판체(30)가 하측으로 펼쳐지지 않아 본 발명에 따른 상장케이스(100)를 3겹으로 접는 데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상장케이스(100)에 상장을 끼운 상태로 시상자에게 상장을 수여하고자 하는경우에 본 발명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제1,제2,제3판체(10,20,30)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며, 연결부가 각각의 접이부에 의해 접어지거나 또는 펼쳐지고, 제3판체(30)가 바닥형성판(31)과 경사세움유지판(32)으로 분리 형성되며 분리된 부분이 제3접이부(43)에 의해 연결되어서 제2판체(20)를 잡고 상장을 수여할 때 제3판체(30)가 덜렁거릴 염려가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는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3판체(30)의 경사세움유지판(32)이 제2판체(20)의 후면에 자석(36)과 제2철판(23)이 자력으로 부착되어 제2판체(20)의 하부측에서 제3판체(30)가 덜렁거릴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상장케이스(100)의 제1,2판체(10,20)의 외측면 사방 모서리부에 상장(24)의 사방 모서리를 끼우는 모서리끼움부(22)를 각각 설치하여 다른 실시예의 상장케이스(100)에는 2개의 상장을 끼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포함되는 상기 경사세움유지판(32)에는 벽면에 설치한 못에 걸어두는 걸이구멍(37)이 형성되어 본 발명을 벽에 걸어 둘 수 있어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제1판체 11 : 제1심재 12 : 제1철판
13 : 철판삽입홀 20 : 제2판체 21 : 제2심재
22 : 모서리끼움부 23 : 제2철판 24 : 상장
25 : 철판삽입홀 30 : 제3판체 31 : 바닥형성판
32 : 경사세움유지판 33 : 제3심재 34 : 제4심재
35 : 자석삽입홀 36 : 자석 37 : 걸이구멍
40 : 외피 41 : 제1접이부 42 : 제2접이부
43 : 제3접이부 100 : 상장케이스

Claims (3)

  1. 서로 동일한 크기의 판형으로 형성되는 3개의 제1,제2,제3판체(10,20,30)가 길이방향으로 연결 형성되되, 제1,제2,제3판체(10,20,30)가 연결되는 부분에 제1,제2접이부(41,42)가 각각 형성되고, 제3판체(30)는 중간부분에 제1,제2접이부(41,42)와 평행한 제3접이부(43)에 의해 바닥형성판(31)과 경사세움유지판(32)이 상하로 분리되며;
    상기 제1,제2판체(10,20)와 바닥형성판(31), 경사세움유지판(32)의 내측에 두꺼운 판재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심재(11,21,33,34)가 각각 외피(4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외피(40)와 접착되고, 제1 내지 제3접이부(41,42,43)는 외피(40)의 내외측면 끼리 부착되어 각각의 제1 내지 제3접이부(41,42,43)가 접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판체(20) 또는 제1,2판체(10,20)의 일측면 사방 모서리부에는 상장(24)의 사방 모서리를 끼우는 모서리끼움부(22)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경사세움유지판(32)의 소정위치에 자석삽입홀(35)을 형성한 뒤에 그 자석삽입홀(35)의 내부에 자석(36)이 삽입되며, 제2판체(20)의 모서리끼움부(22)가 설치된 면이 전방을 향하게 경사지고 제1판체(10)가 후방으로 경사지며 바닥형성판(31)이 수평하게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제2판체(20)와 제1판체(10), 그리고 바닥형성판(31)이 삼각으로 접어진 상태에서 경사세움유지판(32)이 제1판체(1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자력으로 부착되게 상기 자석(36)에 대응하는 위치에 철판삽입홀(13)을 형성한 뒤에, 그 철판삽입홀(13)의 내부에 제1철판(12)이 삽입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장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판체(30)가 제2판체(20)의 후면에 자력으로 부착하도록 자석(36)과 대응하는 위치의 제2판체(20) 내측에 설치된 제2심재(21)에 철판삽입홀(25)을 형성한 뒤에, 철판삽입홀(25)의 내부에 제2철판(23)이 삽입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장케이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세움유지판(32)에는 벽면에 설치한 못에 걸어두는 걸이구멍(37)이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장케이스.
KR1020220090255A 2022-07-20 2022-07-20 상장케이스 KR20240012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255A KR20240012239A (ko) 2022-07-20 2022-07-20 상장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255A KR20240012239A (ko) 2022-07-20 2022-07-20 상장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239A true KR20240012239A (ko) 2024-01-29

Family

ID=8971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255A KR20240012239A (ko) 2022-07-20 2022-07-20 상장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223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319B1 (ko) 2009-08-13 2012-03-27 박종두환 상장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319B1 (ko) 2009-08-13 2012-03-27 박종두환 상장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6467B2 (en) Portable sign frame assembly with changeable signage
US7886465B2 (en) Presentation display
US6923516B2 (en) Cabinet with soft storage drawers
KR20240012239A (ko) 상장케이스
KR20240000143U (ko) 상장케이스
US6092673A (en) Receptacle
KR102175347B1 (ko) 액자 겸용 앨범 케이스
KR101881568B1 (ko) 시험관 거치대
KR101755007B1 (ko)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JP2019526508A (ja) 容器、ブランク、モジュール式展示装置、及びモジュール式展示装置から展示装置を形成する方法
JPH0444948A (ja) 折り畳み容器
KR101619907B1 (ko) 종이 저금통
KR101166857B1 (ko) 직립이 가능한 액자
KR102025489B1 (ko) 컵 캐리어
JP3623199B2 (ja) 商品陳列台
JPS6014669Y2 (ja) 販売台
KR200201313Y1 (ko) 핸드폰 진열대
JPH0746186Y2 (ja) 整理棚
KR102544372B1 (ko)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
JP2003061796A (ja) 吊り下げ形態と載せ置き形態とに使い分けできる陳列装置
CN107007084A (zh) 一种智能型可储存货物及更换画面的地堆
JP2605128Y2 (ja) 仕切台付包装箱
KR200318338Y1 (ko) 진열용품 지지구
JP2571519Y2 (ja) 包装用箱
JP3104095U (ja) ケーキ用トレ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