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489B1 - 컵 캐리어 - Google Patents

컵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489B1
KR102025489B1 KR1020180011338A KR20180011338A KR102025489B1 KR 102025489 B1 KR102025489 B1 KR 102025489B1 KR 1020180011338 A KR1020180011338 A KR 1020180011338A KR 20180011338 A KR20180011338 A KR 20180011338A KR 102025489 B1 KR102025489 B1 KR 102025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inclined wall
cup
walls
rea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2042A (ko
Inventor
김주환
최봉수
Original Assignee
김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환 filed Critical 김주환
Priority to KR1020180011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4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92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 B65D71/46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tubular element
    • B65D71/48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tubular element characterised by th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컵(1)의 입구 부위의 몸통(2)을 지지하며 몸통(2)의 반 이상이 바닥 아래 외부로 노출되도록 몸통(2)을 삽입하는 직경의 컵삽입공(11)을 수 개 형성한 바닥판(10);
바닥판(10) 전후면에서 위로 각각 절곡되어 컵 뚜껑(3)과 짧은 제 1빨대를 지지하는 높이의 전후 측벽(20);
전후 측벽(20) 상단에서 경사지게 손잡이부(40)를 향해 예각으로 일차 절곡되고 컵 뚜껑(3) 상부로 제 1뺄대보다 길게 노출된 제 2빨대를 필요시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경사벽(30); 및
양 경사벽(30) 상단에서 모아져 겹쳐치며 손잡이공(41)을 가지는 손잡이부(40) 를 포함하며; 좌우측벽은 없으며,
상기, 경사벽(30)은 상변이 작은 사다리꼴을 이루며, 좌우측변은 양단경사벽(32)을 이루고, 양단경사벽(32)은 전후 측벽(20)의 경사벽(22)보다 경사도가 높도록 구성하여 경사벽(30)의 상변 당김힘을 보강하고, 경사벽(30)은 전후 측벽(20) 중간 부분에 대응하는 경사벽수직힘(F21,f22)과, 전후 측벽(20) 양단 부분에 대응하는 양단경사벽(32)에 의한 경사벽경사힘(f31,f32)을 합하여 손잡이부(40)에 제공하도록 구성 하는 컵 캐리어.

Description

컵 캐리어{Cup carrier}
본 발명은 컵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 캐리어는 커피나 음료수 컵을 담아 이동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기술의 예로는 판지를 중앙부를 중심으로 접어서 양단은 손잡이공을, 중앙부에는 컵의 입구 부분을 지지하는 컵홀을 가지는 캐리어(국내특허등록 10- 1546330호, 국내실용신안등록20-0471304호)가 알려졌으나 컵입구의 뚜껑에서 손잡이 까지의 거리가 길어 컵의 유동성을 제공하고 외부충격이 약한 문제점을 가진다.
컵을 수용하는 컵삽입홀을 가지는 하판, 하판 모서리에서 절곡되고 손잡이부를 가지는 두개의 측판, 측판에 컵의 뚜껑이 일부 개방되는 유동방지누름홀을 포함하며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상인 컵캐리어(국내공개특허10-2017-0047628호)가 알려졌으나 컵의 몸통의 거의 수용되는 구조이어서 컵 자체의 내용물 및 로고가 가려져셔 컵 캐리어에 별도로 로고를 새겨야하는 문제점이 있고, 높이가 높아져서 보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컵을 수용하는 홀더구멍을 가지는 하부판지부, 컵의 뚜겅을 수직 및 수평으로 눌러지도록 감싸며 수직으로 접히는 손잡이부를 가지는 전후 측면판지부, 및 전후 측면판지부의 손잡이부 양단을 끼움 고정하는 좌우 측면판지부를 가지는 캐리어(국내특허등록10-1366687호)가 알려졌으나, 컵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이점은 있지만 좌우측면판지부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므로 재료비 상승의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컵을 지지하는 바닥판과 바닥판에서 컵 뚜껑 부분을 감싸는 전후 측벽이 사다리꼴을 이룸과 동시에 양단이 경사벽을 이루어 측벽수직힘과 측벽경사힘이 합하여지는 힘으로 지탱하므로, 좌우측벽이 없어도 컵을 지탱하는 컵 캐리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컵을 지지하는 바닥판과 바닥판에서 컵 뚜껑 부분을 감싸는 전후 측벽이 바닥판과의 접힘부는 사각벽을 이루어 수직의 당김힘을 제공하고, 사각벽 상부가 사다리꼴을 이룸과 동시에 양단이 경사벽을 이루어 측벽경사힘이 합하여지는 힘으로 지탱하므로, 좌우측벽이 없어도 내구성을 가지고 컵을 지탱하는 컵 캐리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후 측벽의 측벽경사벽의 경사도가 경사벽의 양단경사벽의 경사보다 낮도록 하고, 측벽경사벽의 높이가 경사벽의 높이보다 높도록 하여, 수직힙과 경사힘의 균형을 이루어 손잡이부로 당김힘이 제공되어 컵을 안정적으로 수용 및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컵 캐리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후 측벽의 측벽경사벽의 경사도가 경사벽의 양단경사벽의 경사보다 낮도록 하고, 측벽경사벽의 높이가 경사벽의 높이보다 높도록 하여, 수직힘과 경사힘의 균형을 이루어 손잡이부로 당김힘이 제공되므로, 바닥판의 컵삽입공을 필요에 따라 1개부터 n개까지 확장하여 컵을 안정적으로 수용 및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컵 개수를 획장 가능한 컵 캐리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컵캐리어는 컵의 입구 부위의 몸통을 지지하며 몸통의 반 이상이 바닥 아래 외부로 노출되도록 몸통을 삽입하는 직경의 컵삽입공을 수 개 형성한 바닥판;
바닥판 전후면에서 위로 각각 절곡되어 컵 뚜껑과 노출되는 제 1빨대를 지지하는 높이의 전후 측벽;
전후 측벽 상단에서 양측이 경사지고 손잡이부를 향해 전후 측벽과 예각으로 이차 절곡되고 컵 뚜껑 상부로 제 1뺄대보다 길게 노출되는 제 2빨대를 필요시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경사벽; 및
양 경사벽 상단에서 모아져 겹쳐치며 손잡이공을 가지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좌우측벽은 없으며; 상기, 경사벽은 상변이 작은 사다리꼴을 이루며, 좌우측변은 양단경사벽을 이루고, 양단경사벽은 전후 측벽의 경사벽보다 경사도가 높도록 구성하여 경사벽의 상변 당김힘을 보강하고, 경사벽은 전후 측벽 중간 부분에 대응하는 경사벽수직힘과, 전후 측벽 양단 부분에 대응하는 양단경사벽에 의한 경사벽경사힘을 합하여 손잡이부에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컵을 지지하는 바닥판과 바닥판에서 컵 뚜껑 부분을 감싸는 전후 측벽이 사다리꼴을 이룸과 동시에 양단이 경사벽을 이루어 측벽수직힘과 측벽경사힘이 합하여지는 힘으로 지탱하므로, 좌우측벽이 없어도 컵을 지탱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컵을 지지하는 바닥판과 바닥판에서 컵 뚜껑 부분을 감싸는 전후 측벽이 바닥판과의 접힘부는 사각벽을 이루어 수직의 당김힘을 제공하고, 사각벽 상부가 사다리꼴을 이룸과 동시에 양단이 경사벽을 이루어 측벽경사힘이 합하여지는 힘으로 지탱하므로, 좌우측벽이 없어도 내구성을 가지고 컵을 지탱하는 컵 캐리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후 측벽의 측벽경사벽의 경사도가 경사벽의 양단경사벽의 경사보다 낮도록 하고, 측벽경사벽의 높이가 경사벽의 높이보다 높도록 하여, 수직힘과 경사힘의 균형을 이루어 손잡이부로 당김힘이 제공되어 컵을 안정적으로 수용 및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후 측벽의 측벽경사벽의 경사도가 경사벽의 양단경사벽의 경사보다 낮도록 하고, 측벽경사벽의 높이가 경사벽의 높이보다 높도록 하여, 수직힘과 경사힘의 균형을 이루어 손잡이부로 당김힘이 제공되므로, 바닥판의 컵삽입공을 필요에 따라 1개부터 n개까지 확장하여 컵을 안정적으로 수용 및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컵 개수를 확장 가능토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 사태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컵삽입구가 2개인 예를 보인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를 예시한 저면도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컵(1)의 입구 부위의 몸통(2)을 지지하며 몸통(2)의 반 이상이 바닥 아래 외부로 노출되도록 몸통(2)을 삽입하는 직경의 컵삽입공(11)을 수 개 형성한 바닥판(10);
바닥판(10) 전후면에서 위로 각각 절곡되어 컵 뚜껑(3)과 짧은 제 1빨대(4)를 지지하는 높이의 전후 측벽(20);
전후 측벽(20) 상단에서 경사지게 손잡이부(40)를 향해 예각으로 일차 절곡되고 컵 뚜껑(3) 상부로 제 1빨대보다 길게 노출된 제 2빨대를 필요시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경사벽(30); 및
양 경사벽(30) 상단에서 모아져 겹쳐치며 손잡이공(41)을 가지는 손잡이부(40) 를 포함하며; 좌우측벽은 없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후 측벽(20)과 경사벽(30)은 상부의 변이 짧은 사다리꼴이 이어지며, 전후 측벽(20)의 상변이 경사벽(30)의 하변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후 측벽(20)은 바닥판(10)의 전후변에서 절곡되고 직사각꼴을 이룬 사각벽(21)과, 사각벽(21)의 상변에서 이어지며 하변보다 상변 길이가 짧아지도록 양측이 경사진 경사벽(22)을 이루고, 사각벽(21)의 높이가 낮아 전후 측벽(20)이 긴 경사벽(22)에 의해 사다리꼴로 보이도록 구성하고, 전후 측벽(20)의 수직벽(21)은 측벽수직힘(f1~fn)을, 경사벽(22)은 측벽경사힘(f10,f11)을 제공하여 좌우 측벽이 없어도 컵과 내용물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벽(30)은 상변이 작은 사다리꼴을 이루며, 좌우측변은 양단경사벽(32)을 이루고, 양단경사벽(32)은 전후 측벽(20)의 경사벽(22)보다 경사도가 높도록 구성하여 경사벽(30)의 상변 당김힘을 보강하고, 경사벽(30)은 전후 측벽(20)을 통한 경사벽수직힘(F21,f22)과, 양단경사벽(32)을 통한 경사벽경사힘(f31,f32)을 합하여 손잡이부(40)에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부(40)는 경사벽(30) 상단에서 둔각을 이루도록 상부로 절곡되어 상부로 갈수록 상호 거리가 줄어들어 상부로의 당김력을 제공하는 당김부(42)와, 당김부(42) 상단에서 하나의 손잡이공(41)에서 양단과 하단이 절단되어 다른 하나의 손잡이공(41')에 겹쳐지는 고정바(43)로 접어 고정하는 파지부(4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펠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종이시트, 골판지 등 알려진 재질을 사용하여 구현가능함은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닥판(10)에 구성하는 컵삽입공(11)의 개수는 특히 한정하지는 않으며, 도 4 에 보인바와 같이 2개, 3개, 4개 6개 등 플요에 따라 늘려서 구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상기, 전후 측벽(20)과 경사벽(30)을 상부의 변이 보다 짧은 사다리꼴이 이어지고, 전후 측벽(20)의 상변이 경사벽(30)의 하변을 이루도록 도 3 과 같이 전개도 상태로 절단하여 사용시에는 도 1, 도 2 상태로 사용한다.
이 경우, 전후 측벽(20)은 바닥판(10)의 전후변에서 절곡되고 직사각꼴을 이룬 사각벽(21)과, 사각벽(21)의 상변에서 이어지며 하변보다 상변 길이가 짧아지도록 양측이 경사진 경사벽(22)을 이루고, 사각벽(21)의 높이가 낮아 전후 측벽(20)이 긴 경사벽(22)에 의해 사다리꼴로 이룬 것은, 도 1에 표기한 바와같이 전후 측벽(20)의 수직벽(21)은 측벽수직힘(f1~fn)을, 경사벽(22)은 측벽경사힘(f10,f11)을 제공하므로 도 2 에 보인 좌우 측벽(도 2 에서는 전후면에 해당함)이 없어도 컵(1)과 내용물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벽(30)은 상변이 작은 사다리꼴을 이루며, 좌우측변은 양단경사벽(32)을 이루고, 양단경사벽(32)은 전후 측벽(20)의 경사벽(22)보다 경사도가 높도록 구성하여 경사벽(30)의 상변 당김힘을 보강하고, 경사벽(30)은 전후 측벽(20)을 통한 경사벽수직힘(F21,f22)과, 양단경사벽(32)을 통한 경사벽경사힘(f31,f32)을 합하여 손잡이부(40)에 제공하므로 좌우 측벽이 없어도 지지력을 제공하여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손잡이부(40)는 경사벽(30) 상단에서 둔각을 이루도록 상부로 절곡되어 상부로 갈수록 상호 거리가 줄어들어 상부로의 당김력을 제공하는 당김부(42)와, 당김부(42) 상단에서 하나의 손잡이공(41)에서 양단과 하단이 절단되어 다른 하나의 손잡이공(41')에 겹쳐지는 고정바(43)로 접어 고정하는 파지부(44)를 이루므로 항상 안적적으로 당김력을 제공하여 좌우 측벽이 없어도 캐리어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또한 컵(1)의 입구 부위의 몸통(2)을 지지하며 몸통(2)의 반 이상이 바닥 아래 외부로 노출되도록 몸통(2)을 삽입하는 직경의 컵삽입공(11)을 수 개 형성한 바닥판(10)을 사용하므로, 컵(1)의 몸통(2)이 바닥판(10) 외부로 노출되어 컵(1) 자체에 붙은 로고(광고)가 외부에 캐리어 이동중에도 그대로 노출되어 광고효과를 지속시켜주는 캐리어를 제공한다.
1;컵 2;몸통 3;컵뚜껑 10;바닥판 11;컵삽입공 20;전후 측벽 21;사각벽 22;측벽경사벽 30;경사벽 32;양단경사벽

Claims (5)

  1. 컵(1)의 입구 부위의 몸통(2)을 지지하며 몸통(2)의 반 이상이 바닥 아래 외부로 노출되도록 몸통(2)을 삽입하는 직경의 컵삽입공(11)을 수 개 형성한 바닥판(10);
    바닥판(10) 전후면에서 위로 각각 절곡되어 컵 뚜껑(3)과 노출되는 제 1빨대(4)를 지지하는 높이의 전후 측벽(20);
    전후 측벽(20) 상단에서 양측이 경사지고 손잡이부(40)를 향해 전후 측벽(20)과 예각으로 이차 절곡되고 컵 뚜껑(3) 상부로 제 1뺄대(4)보다 길게 노출되는 제 2빨대를 필요시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경사벽(30); 및
    양 경사벽(30) 상단에서 모아져 겹쳐치며 손잡이공을 가지는 손잡이부(40) 를 포함하며; 좌우측벽은 없으며;
    상기, 경사벽(30)은 상변이 작은 사다리꼴을 이루며, 좌우측변은 양단경사벽(32)을 이루고, 양단경사벽(32)은 전후 측벽(20)의 경사벽(22)보다 경사도가 높도록 구성하여 경사벽(30)의 상변 당김힘을 보강하고, 경사벽(30)은 전후 측벽(20) 중간 부분에 대응하는 경사벽수직힘(F21,f22)과, 전후 측벽(20) 양단 부분에 대응하는 양단경사벽(32)에 의한 경사벽경사힘(f31,f32)을 합하여 손잡이부(40)에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캐리어.
  2. 제 1항에 있어서, 전후 측벽(20)과 경사벽(30)은 상부의 변이 짧은 사다리꼴이 이어지며, 전후 측벽(20)의 상변이 경사벽(30)의 하변과 일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캐리어.
  3. 제 1항에 있어서, 전후 측벽(20)은 바닥판(10)의 전후변에서 절곡되고 직사각꼴을 이룬 사각벽(21)과, 사각벽(21)의 상변에서 이어지며 하변보다 상변 길이가 짧아지도록 양측이 경사진 경사벽(22)을 이루고, 사각벽(21)의 높이가 낮아 전후 측벽(20)이 긴 경사벽(22)에 의해 사다리꼴로 보이도록 구성하고, 전후 측벽(20)의 사각벽(21)은 측벽수직힘(f1~fn)을, 경사벽(22)은 측벽경사힘(f10,f11)을 제공하여 좌우 측벽이 없어도 컵과 내용물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캐리어.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부(40)는 경사벽(30) 상단에서 경사벽(30) 외측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상부로 절곡되고 상부로 갈수록 상호 거리가 줄어들어 상부로의 당김력을 제공하는 당김부(42)와, 당김부(42) 상단에서 하나의 손잡이공(41)에서 양단과 하단이 절단되어 다른 하나의 손잡이공(41')에 겹쳐지는 고정바(43)로 접어 고정하는 파지부(4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캐리어.
KR1020180011338A 2018-01-30 2018-01-30 컵 캐리어 KR102025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338A KR102025489B1 (ko) 2018-01-30 2018-01-30 컵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338A KR102025489B1 (ko) 2018-01-30 2018-01-30 컵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042A KR20190092042A (ko) 2019-08-07
KR102025489B1 true KR102025489B1 (ko) 2019-09-25

Family

ID=6762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338A KR102025489B1 (ko) 2018-01-30 2018-01-30 컵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4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7558A1 (en) * 2004-03-12 2008-04-17 Libit Sidney M Cup carri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7519A (en) * 1991-12-13 1992-07-07 Tsao Chung Piao Tuckable stabilizing carrier means for handling portable contain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7558A1 (en) * 2004-03-12 2008-04-17 Libit Sidney M Cup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042A (ko)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36153A1 (en) Tissue paper case structure having appropriate stacking restriction
US5396996A (en) Storage crate for hanging file folders
KR102025489B1 (ko) 컵 캐리어
CZ333092A3 (en) Collapsible box
KR200475933Y1 (ko) 과일 보관용 상자
WO1991013002A1 (en) Storage container
KR200455143Y1 (ko) 접철 조립식 쓰레기함
JP3602428B2 (ja) 仕切装置
US20110240578A1 (en) Stackable and nestable article holder
JP2016137945A (ja) 折り畳み式収納箱
JP2006281579A (ja) ファイルボックス内の書類押さえ具
JP2019199274A (ja) 折り畳みコンテナ
KR102486528B1 (ko) 다용도 박스
KR200491731Y1 (ko) 포장 및 전시용 박스
JP3161928U (ja) 収納ケース
JP3216071U (ja) 箱用シート
JP2012162289A (ja) 紙製トレイ
RU19378U1 (ru) Лоток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товаров
KR20240000143U (ko) 상장케이스
KR20240012239A (ko) 상장케이스
JP2022118142A (ja) トレー
JP2020132248A (ja) メディアディスク用陳列ケース
JP3426835B2 (ja) 運搬用矩形容器
US20080105631A1 (en) Shelving display
KR200378084Y1 (ko) 콤팩트 디스크포장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