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372B1 -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 - Google Patents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372B1
KR102544372B1 KR1020220154079A KR20220154079A KR102544372B1 KR 102544372 B1 KR102544372 B1 KR 102544372B1 KR 1020220154079 A KR1020220154079 A KR 1020220154079A KR 20220154079 A KR20220154079 A KR 20220154079A KR 102544372 B1 KR102544372 B1 KR 102544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ing
exhibit
fixed
ba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선
Original Assignee
정윤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선 filed Critical 정윤선
Priority to KR1020220154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전시물의 크기에 따라 가변되도록 프레임이 구성되고, 또한, 상기 프레임을 모듈화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전시물에 대한 전시가 가능하고, 또한 모듈화에 의한 설치 및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시물을 실내에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성되는 전시물; 및 상기 프레임과 전시물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전시물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건물에 작용하는 진동을 흡수시켜 프레임에 전시물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시물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조절됨에 따라 다양한 전시물의 전시가 가능하도록 가변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A module type banner hanger}
본 발명은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시물의 크기에 따라 가변되도록 프레임이 구성되고, 또한, 상기 프레임을 모듈화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전시물에 대한 전시가 가능하고, 또한 모듈화에 의한 설치 및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막 거치대는 각종의 광고문구 또는 사진 등이 인쇄된 이미지를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실내,외에서 주변을 지나가는 사람들이 이미지에 인쇄되어 있는 내용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수막 거치대는 지면에 안정되게 받쳐지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 중앙에 꽂아져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에 결합되어 이미지의 각 모서리 부분에 갖추어진 걸이공에 선단부가 걸려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이미지를 팽팽하게 펼져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현수막 거치대에서 받침부재는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내부가 중공상태를 갖도록 하고, 지면에 안정되게 받쳐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고 일측에 물이나 모래 등이 담겨질 수 있는 주입구를 갖춘 상태로 형성한 것이다.
이에, 사용시에 받침부재에 갖추어진 주입구를 통해 물이나 모래를 중공부 내에 담아주게 되면 상기 받침부재에 담겨지는 내용물에 의해 일정량의 중량체가 되어 지면에 안정되게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재 상면 중앙에 갖추어진 삽입홈 내에 수직바의 하단부분을 삽입, 고정시켜 준 상태에서 수직바에 갖추어진 탄성바 선단부에 이미지가 걸리도록 하면 상기 탄성바의 탄성력에 의해 이미지의 각 모서리 부분을 외측으로 잡아 당겨주는 힘에 의해 이미지가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현수막 거치대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 즉,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서, 주변을 지나가는 사람들이 이미지에 인쇄되어 있는 인쇄문구 또는 사진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광고의 효율성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현수막 거치대에서 지면에 안정되게 받쳐지게 되는 받침부재는 보편적으로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사출 성형시켜 주고 있는 실정이어서,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있어 포장 및 보관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현수막 거치대는 받침부재, 수직바, 탄성바 및 이미지로 구성되는데, 수직바와 탄성바는 얇은 두께를 갖는 봉으로 제작되고, 이미지는 포장시 소정의 두께가 되도록 말아주게 되어 있어 이들을 포장시에는 최소의 폭이 되는 박스를 제작하여 포장할 수 있으나, 이들과 함께 취급되는 받침부재는 지면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넓은 폭을 갖는 크기로 하여 일체로 사출 성형하고 있어 상기 받침부재는 포장하기 위해서는 필요이상으로 넓은 크기의 포장박스를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박스가 사용되고 있어 제작단가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포장박스에 내용물이 담겨진 포장박스를 적층시켜주어야 하는데 받침부재의 크기에 맞는 포장박스의 크기로 인해 적은 공간 내에 많은량의 포장박스를 적층 보관시켜 주지 못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포장박스를 운반시켜 주고자 할 경우에도 받침부재로 인해 부피가 상대적으로 큰 박스를 적층시켜 주거나 차량에 실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량의 박스를 실어주지 못하였던 것이며, 사용 후 보관시에도 받침부재가 많은 크기를 차지하기 때문에 보관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한편, 현수막은 별도의 프레임이 구성되지 않아, 실내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없고, 실내용 액자는 정해진 틀에 맞춰 그림이나 사진 또는 실크인쇄 등의 이미지를 삽입시켜 전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정해진 틀의 정형화된 액자에 의해 사용자의 인테리어 특성 또는 취향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액자를 별도로 구매하여야 하는 불편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실내용 액자는 정사각에서 부터 직사각 등으로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되, 제작의 한계와 운반의 한계 등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액자를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77666호 대한민국 특허 제10-214426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시물의 크기에 따라 가변되도록 프레임이 구성되고, 또한, 상기 프레임을 모듈화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전시물에 대한 전시가 가능하고, 또한 모듈화에 의한 설치 및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시물을 실내에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성되는 전시물; 및 상기 프레임과 전시물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전시물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건물에 작용하는 진동을 흡수시켜 프레임에 전시물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시물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조절됨에 따라 다양한 전시물의 전시가 가능하도록 가변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레임은 일정길이가 형성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양단 각각에 구성되어 전시물의 크기에 맞춰 왕복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에서 가변된 제2프레임이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일측에 체결되어,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프레임에 삽입된 제2프레임을 압박시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멈춤나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에 일정높이 돌출되는 고정돌기가 구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단에서 하방으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에 제2프레임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안착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레임에는 스프링의 일단이 걸림됨에 따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고정고리;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레임의 배면에는 전시물의 배면에 위치되어 액자형태를 가지도록 지지하는 배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지부는 프레임의 배면에 위치되어 바탕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배지판과; 상기 배지판의 후방에 구성되어, 상기 배지판이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배지고정프레임; 및 상기 배지고정프레임에 다수가 구성되어, 상기 배지고정프레임이 자력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시물의 크기에 따라 가변되도록 프레임이 구성되고, 또한, 상기 프레임을 모듈화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전시물에 대한 전시가 가능하고, 또한 모듈화에 의한 설치 및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의 프레임의 분리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코너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고정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고정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물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를 액자형으로 구성한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를 보인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의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를 보인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의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를 보인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의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10)는, 전시물(120)의 크기에 따라 가변되도록 구성되고, 모듈화함에 따라 설치와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상기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과 전시물(120) 및 스프링(13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0)은 전시물(120)의 외주연에 구성되어, 상기 전시물(120)의 전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지한다.
상기 프레임(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2)과 제2프레임(11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은 금속재로 형성된다.
상기 제1프레임(112)은 일정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112)은 내부가 빈 파이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112)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112)은 상, 하단 각각에 구성되어, 양단 각각에 제2프레임(114)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제2프레임(114)이 왕복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2프레임(114)은 상기 제1프레임(112)의 양단 각각에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112)을 기준으로 왕복 슬라이딩되도록 함에 따라 전시물(120)의 크기에 맞춰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114)은 내부가 빈 파이프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2프레임(114)은 상기 제1프레임(112)의 내부에 삽입되어 왕복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112)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114)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114)은 수평바(1142) 및 수직바(1144)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바(1142)는 상, 하단 각각에 구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112)에 삽입되어, 왕복 슬라이딩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바(1144)는 상기 수평바(1142)의 일단에 고정되어, 복수의 수평바(1142)를 고정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에는 제1 및 제2프레임(112)(114) 사이에 구성되어 제1프레임(112)에 대하여 제2프레임(114)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부(116)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16)는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2)(114) 사이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112)에 대하여 제2프레임(114)이 왕복슬라이딩된 후 확고한 고정을 수행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고정부(11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2)의 일측에 멈춤나사(1162)가 체결된다.
상기 멈춤나사(1162)는 상기 제1프레임(112)에 일단이 체결됨에 따라 상기 멈춤나사(1162)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멈춤나사(1162)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제1프레임(112)에 일단이 삽입된 제2프레임(114)의 일측을 압박시킴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112)에 제2프레임(114)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112)에는 상기 멈춤나사(1162)의 체결상태를 보상시키도록 하는 너트(1164)가 구성된다.
상기 너트(1164)는 상기 제1프레임(112)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멈춤나사(1162)의 체결상태를 보강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11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2)의 내측에 일정높이 돌출된 고정돌기(1122)가 구성되고, 제2프레임(114)의 수평바(1142)에 일정깊이를 가지는 안착홈(1146)이 다수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122)는 상기 제1프레임(112)의 내측에 일정높이 돌출되어, 상기 제2프레임(114)의 안착홈(1146)이 삽입됨에 따라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안착홈(1146)은 상기 수평바(11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단에서 하방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게 구성되어, 상기 고정돌기(1122)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112)에 제2프레임(114)의 가변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114)의 일측에는 스프링(130)의 일단에 고정되어 전시물(120)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고정고리(118)가 구성된다.
상기 고정고리(118)는 제2프레임(114)의 코너측에 구성되어 전시물(120)이 프레임(1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고정고리(118)은 원형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고리(118)는 제2프레임(114)의 수평바(1142)와 수직바(1144)가 맞닿은 위치인 코너에 고정된다.
상기 전시물(120)은 프레임(110)의 내측에 구성되어, 인테리어효과, 전시효과 등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시물(120)은 그림, 사진 또는 실크인쇄된 전지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시물(120)의 코너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30)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걸림공(12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공(122)은 상기 전시물(120)의 코너에 형성되어 스프링(130)의 일단이 걸림됨에 따라 프레임(1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걸림공(122)에는 스프링(130)의 일단이 걸림된 상태를 지지 및 보강시켜 상기 전시물(120)이 파손됨을 방지하도록 하는 보강링(124)을 포함한다.
상기 보강링(124)은 상기 걸림공(122)에 구성되어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전시물(120)이 찢어지는 등의 파손이 이루어지 않도록 두께를 보강시킨다.
또한, 상기 보강링(124)은 일정두께를 가지는 링형상으로 상기 걸림공(122)에 삽입되어 전시물(12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전시물(120)은 금속재이다.
상기 스프링(130)은 상기 프레임(110)과 전시물(12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110)에 전시물(12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력을 제공한다.
상기 스프링(130)은 양단 각각에 걸림고리 형성된다.
즉, 상기 스프링(130)의 일단은 프레임(110)의 고정고리(118)에 삽입되고, 타단은 전시물(120)의 보강링(124)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130)에 의해 프레임(110)에 전시물(120)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130)은 자체 탄성을 가짐에 따라, 프레임(110)에 전시물(120)이 고정된 상태에서 실내에 전시될 때, 건물에 작용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원활하게 흡수함에 따라 상기 전시물(120)을 보호하도록 하는 보조적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10)는 프레임(110)의 일단에 구성되어, 상기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10)가 액자형태를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배지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배지부(140)는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에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된 전시물(120)에 대한 전시효과 상승과 함께 액자형태로 식별되도록 한다.
상기 배지부(1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배면에 구성되는 배지판(142)을 포함한다.
상기 배지판(142)은 상기 프레임(110)의 배면에 구성되어, 전시물(120)의 배면에 대한 바탕을 형성하여, 일반적인 액자형태로 식별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배지판(142)은 시트 또는 유드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지부(140)에는 상기 배지판(142)이 프레임(110)에 고정되도록 하는 배지고정프레임(144)이 구성된다.
상기 배지고정프레임(144)은 상기 배지판(142)의 배면에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110)에 배지판(142)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지고정프레임(144)은 프레임(1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지고정프레임(144)은 금속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지고정프레임(144)은 금속에 한정하지 않고, 제조의 편리성과 무게의 경량화를 위해 합성수지 또는 종이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지고정프레임(144)에는 실내의 벽에 걸어둘 수 있도록 걸림고리가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배지고정프레임(144)에는 고정홈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실내의 벽에 액자를 걸어둘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지고정프레임(144)에는 프레임(110)에 자착되어 고정되도록 다수의 자석(146)이 구성된다.
상기 자석(146)은 상기 배지고정프레임(144)에 다수가 구성되어, 상기 자석(146)의 자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110)에 배기고정프레임(144)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결국 상기 프레임(110)에 배지판(142)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자석(146)은 상기 배지고정프레임(144)에 함몰홈을 형성하여, 상기 함몰홈에 상기 자석(146)이 삽입됨에 따라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10)는 프레임(110)에 전시물(120)을 위치시키고, 상기 프레임(110)의 고정고리(118)와 전시물(120)의 보강링(124) 사이에 스프링(130)을 양단 각각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프레임(110)에 전시물(120)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10)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취향 등에 따라 액자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프레임(110)의 배면에 배지판(142)을 구성하고, 상기 배지판(142)에 배지고정프레임(144)을 위치시키면, 상기 배지고정프레임(144)에 구성된 자석(146)에 의해 상기 배지고정프레임(144)이 프레임(110)에 고정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상기 프레임(110)에 배지판(142)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 고정된 전시물(120)의 배면에 배지판(142)에 의한 바탕을 형성함에 따라 액자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은 모서리 부분에 구성되는 제2프레임(114)과 복수의 제2프레임(114) 사이에 구성되는 제1프레임(112)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비용 하락과 함께 조립의 편리성과 경량화 등으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제1프레임(112)은 모서리 각각에 구성되는 제2프레임(114) 사이에 구성되어 전시물(120)에 대한 수평 및 수직방향의 길이가 맞춰지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프레임(112)은 미리 설정된 전시물이 크기에 맞춰 맞춤제작방식으로 길이에 맞게 준비된 상태이므로 조립의 편리성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제2프레임(114)은 모서리 각각에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112)들의 수평 및 수직방향에 대한 고정력을 발휘되도록 한다.
상기 제2프레임(114)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게 상호 수직되게 설치방향에 따라 수평바(1142)와 수직바(1144)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바(1142)와 수직바(1144)의 일단 각각에는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지지돌기(1148)를 포함한다.
사기 지지돌기(1148)는 상기 수평바(1142)와 수직바(1144) 각각의 일단에서 일정길이로 연장되게 구성되되, 제1프레임(112)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112)의 모서리부분에 구성되는 제2프레임(114)과의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지지돌기(1148)와 제1프레임(112) 사이에 체결나사 또는 직결피스를 체결함으로써,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1148)는 상기 제1프레임(112)의 내측에 삽입될 때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구성됨에 따라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114)의 수평바(1142) 및 수직바(1144)에는 설치공간에 벽면에 현수막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공(1149)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공(1149)은 상기 제2프레임(114)의 수평바(1142) 및 수직바(1144)에 형성되어, 설치공간의 벽면에 못, 나사못, 직결피스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현수막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공(1149)은 상술한 고정수단 외에도 끈이나 철사를 엮어서 벽면에 걸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목적, 설치공간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고정방식에 맞춰 형상, 갯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전술된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는 중앙에 제2프레임(114)을 기준으로 양단 각각에 구성된 제1프레임(112)의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가로 및 세로 길이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현수막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할 수 있고, 도 10과 같이, 후술된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는 모서리 부분에 구성되는 제2프레임(114)의 사이에 길이를 달리하는 제1프레임(112)을 구성함으로써, 현수막의 크기에 대응하여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취사선택에 따라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의 프레임(11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2)에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보조프레임(116)이 구성된다.
상기 보조프레임(116)은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양단에 일정길이를 가지는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기가 제1프레임(112)의 내측에 삽입됨에 따라 프레임(110)의 길이를 신축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의 프레임(11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2)과 보조프레임(116) 각각에 구성되어, 스프링(130)을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시물(120)을 좀 더 확고하게 지지함과 함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타공(1122)(1162)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10)는 프레임(110)의 내측에 스프링(130)에 의해 지지되는 전시물(120)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10)은 벽 등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프레임(110)의 외측에는 배지부(140)가 구성됨으로써, 외부에서 상기 배지부(140)가 식별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 110: 프레임
112: 제1프레임 1122: 고정돌기
114: 제2프레임 1142: 수평바
1144: 수직바 1146: 안착홈
116: 고정부 1162: 멈춤나사
1164: 너트 118: 고정고리
120: 전시물 122: 걸림공
124: 보강링 130: 스프링
140: 배지부 142: 배지판
146: 자석

Claims (7)

  1. 전시물을 실내에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성되는 전시물; 및
    상기 프레임과 전시물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전시물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건물에 작용하는 진동을 흡수시켜 프레임에 전시물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시물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조절됨에 따라 다양한 전시물의 전시가 가능하도록 가변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은,
    일정길이가 형성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양단 각각에 구성되어 전시물의 크기에 맞춰 왕복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에서 가변된 제2프레임이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일정높이 돌출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제2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단에서 하방으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에 제2프레임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안착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는 전시물의 배면에 위치되어 현수막이 액자형태를 가지도록 지지하는 배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위치되어 전시물의 테두리 부분에 바탕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배지판과;
    상기 배지판의 후방에 구성되어, 상기 배지판이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배지고정프레임; 및
    상기 배지고정프레임에 다수가 구성되어, 상기 배지고정프레임이 자력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자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스프링의 일단이 걸림됨에 따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고정고리;
    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
  6. 삭제
  7. 삭제
KR1020220154079A 2022-11-17 2022-11-17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 KR102544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079A KR102544372B1 (ko) 2022-11-17 2022-11-17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079A KR102544372B1 (ko) 2022-11-17 2022-11-17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372B1 true KR102544372B1 (ko) 2023-06-16

Family

ID=86948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079A KR102544372B1 (ko) 2022-11-17 2022-11-17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37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344Y1 (ko) * 2004-01-27 2004-04-14 전두호 배너 게양 구조
KR200377666Y1 (ko) 2004-11-29 2005-03-08 안수해 현수막 거치대
KR200446753Y1 (ko) * 2008-03-25 2009-11-25 김성현 현수막의 게시장치
KR20120006377U (ko) * 2011-03-07 2012-09-17 서경자 자석이 구비된 판형 안내표지판
KR20170019671A (ko) * 2015-08-12 2017-02-22 이노엔비텍(주) 복귀기능을 갖는 현수막 거치대
KR20170038487A (ko) * 2015-09-30 2017-04-07 삼화에스앤디 주식회사 거치식 배너광고대
KR102144260B1 (ko) 2018-08-06 2020-08-13 최규용 현수막 거치대의 받침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344Y1 (ko) * 2004-01-27 2004-04-14 전두호 배너 게양 구조
KR200377666Y1 (ko) 2004-11-29 2005-03-08 안수해 현수막 거치대
KR200446753Y1 (ko) * 2008-03-25 2009-11-25 김성현 현수막의 게시장치
KR20120006377U (ko) * 2011-03-07 2012-09-17 서경자 자석이 구비된 판형 안내표지판
KR20170019671A (ko) * 2015-08-12 2017-02-22 이노엔비텍(주) 복귀기능을 갖는 현수막 거치대
KR20170038487A (ko) * 2015-09-30 2017-04-07 삼화에스앤디 주식회사 거치식 배너광고대
KR102144260B1 (ko) 2018-08-06 2020-08-13 최규용 현수막 거치대의 받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7621A (en) Display stand
US5075991A (en) Front-loading display frame
US7234630B2 (en) Folding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US7222471B2 (en) Pallet packing method and pallet packing tool used in the method
US7886467B2 (en) Portable sign frame assembly with changeable signage
US8453862B2 (en) Foldable storage box
KR20210000854U (ko) 현수막 거치대
EP3560392A1 (en) Shipping and display container
KR102544372B1 (ko)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
US20030178381A1 (en) Collapsible article holder
US6173516B1 (en) Collapsible double image poster
US7236695B1 (en) Photographic backdrop with stand
CA2526609A1 (en) Expandable display and shipping container
KR102465546B1 (ko) 광고지 설치대
KR20200114666A (ko) 낚시릴용 진열 보관장치
KR102144260B1 (ko) 현수막 거치대의 받침장치
KR200494448Y1 (ko) 분리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
US20070084873A1 (en) Collapsible paper roll storage device
JP2003321060A (ja) 収納ボックス
JP2018012520A (ja) コンテナの中仕切り
KR200459213Y1 (ko) 액자
KR200483390Y1 (ko) 평판디스플레이 프레임의 운반용 대차
KR100654153B1 (ko) 포장용 상자, 괘선형성방법 및 포장용 상자의 제조 방법
US20130287477A1 (en) Expanding devices
US7371145B2 (en) Multipurpose souvenir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