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448Y1 - 분리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 - Google Patents

분리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448Y1
KR200494448Y1 KR2020200003507U KR20200003507U KR200494448Y1 KR 200494448 Y1 KR200494448 Y1 KR 200494448Y1 KR 2020200003507 U KR2020200003507 U KR 2020200003507U KR 20200003507 U KR20200003507 U KR 20200003507U KR 200494448 Y1 KR200494448 Y1 KR 2004944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banner
holder
sub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컴
Priority to KR2020200003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4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4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4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분리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받침대 거치부, 받침대 거치부에 안착 결합하고 다수의 서브 받침대를 포함하는 분리 받침대, 그리고 받침대 거치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하여 배너를 고정 지지하는 배너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Banner Holder with Separable Support}
본 고안은 배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분리/조립이 가능한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광고판, 전광판, 현수막, 배너 거치대 등은 대중에게 특정 정보를 알리기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배너 거치대는 천이나 시트 등에 광고가 인쇄한 배너를 수직으로 세워 실외 또는 실내에 비치하여 사용한다.
한국특허등록 제1423096호(광고용 배너 거치대)는 바람이 강하게 불더라도 배너가 거치대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배너의 상/하부 양측에 고리를 설치하고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415393호(배너 광고 시트를 안정적으로 게재할 수 있는 배너 광고대)는 장시간 사용에도 배너가 구겨지지 않도록 배너를 장력으로 팽팽히 당길 수 있고, 배너가 외력이나 충격에 손상되지 않게 하는 배너 거치대를 개시하고 있다.
한국실용등록 제0486955호(배너 스탠드용 내구성 강화 받침대)는 받침대 본체와 일체로 구성되고 받침대 본체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며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지 않는 받침대 발을 갖는 배너 거치대용 받침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너 거치대는 받침대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있어 배너 거치대를 대형으로 구성할 때 지지력을 추가로 높이는데 한계가 있어 받침대 기능을 최대화하기가 어렵다.
또한, 종래의 배너 거치대는 배너를 고정하는 프레임, 즉 배너 고정부의 하단을 받침대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배너 고정부는 견고하게 지탱되지 못하여 배너 고정부가 흔들려 배너를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선행특허문헌]
1. 한국특허등록 제1423096호(광고용 배너 거치대)
2. 한국특허등록 제1415393호(배너 광고 시트를 안정적으로 게재할 수 있는 배너 광고대)
3. 한국실용등록 제0486955호(배너 스탠드용 내구성 강화 받침대)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받침대의 분리, 조립이 가능하여 받침대의 운반, 설치, 보관이 용이하고,
둘째, 분리 받침대의 결합을 통해 기존 받침대보다 받침대의 지지력을 쉽게 증가시킬 수 있는, 분리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배너 거치대는 받침대 거치부, 분리 받침대, 배너 고정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 거치부는 바닥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분리 받침대는 받침대 거치부에 안착 결합할 수 있다. 분리 받침대는 분리, 조립이 가능한 다수의 서브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배너 고정부는 받침대 거치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하여 배너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배너 거치대에서, 받침대 거치부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둘러싸는 바 형상의 바닥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받침대는 하면 가장자리에 바닥대를 일부 내장하는 함몰 형태의 바닥 거치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배너 거치대에서, 받침대 거치부는 일측이 바닥대에 결합하고 타측은 배너 고정부의 하단 측방에 경사지게 결합하여 배너 고정부를 지지하는 경사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받침대는 측방 일측에 경사대를 일부 내장하는 함몰 형태의 측방 거치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배너 거치대에서, 서브 받침대는 다른 서브 받침대와 결합하는 면의 일부에 외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배너 거치대에서, 결합 돌출부는 상부가 서브 받침대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함몰되는 수평대 결합홈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배너 거치대에서, 서브 받침대는 하면 가장자리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함몰 형태의 손잡이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분리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는 받침대를 다수의 서브 받침대로 구성함으로써, 받침대의 분리, 조립이 가능하고, 그 결과 받침대의 운반, 설치,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의 분리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는 종래의 받침대보다 다수의 서브 받침대의 결합을 통해 받침대의 크기, 중량 등을 쉽게 높일 수 있어, 받침대의 지지력을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에서 분리 받침대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리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는 받침대 거치부(100), 배너 고정부(200), 분리 받침대(300)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받침대 거치부(100)는 바닥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부에 배너 고정부(200)와 분리 받침대(300)를 지지할 수 있다.
배너 고정부(200)는 배너(미도시)를 결합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받침대 거치부(100)에서 상방으로 연장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배너 고정부(200)는 제1,2 수직대(211,212), 상측 수평대(221), 하측 수평대(2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 수직대(211,212)는 수평으로 이격되어 하단이 받침대 거치부(100)에 결합 고정되고, 상측은 상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2 수직대(211,212)는 원형, 사각형 등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2 수직대(211,212)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서브 수직대로 구성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서브 수직대의 단부에는 결합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측 수평대(221)는 제1,2 수직대(211,212)의 상단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측 수평대(221)는 원형, 사각형 등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측 수평대(221)는 제1,2 수직대(211,212)에 용접, 접착, 나사, 리벳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하측 수평대(222)는 제1,2 수직대(211,212)의 하측, 즉 제1,2 수직대(211,212)의 하단에서 대략 분리 받침대(300)의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수평으로 결합할 수 있다. 하측 수평대(222)는 원형, 사각형 등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하측 수평대(222)는 분리 받침대(300)의 결합 영역, 즉 서브 받침대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측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하측 수평대(222)는 제1,2 수직대(211,212)에 용접, 접착, 나사, 리벳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배너 고정부(200)는 예를 들어 귀퉁이 내측, 즉 제1,2 수직대(211,212)와 상/하측 수평대(221,222)가 만나는 꼭지점에 배너 고리(230)를 구비할 수 있다. 배너 고리(230)는 일측이 배너 고정부(200)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고, 타측은 내측으로 돌출하여 단부에 고리를 갖는 자유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배너 고리(230)와 배너 고정부(200)의 결합부에는 탄성부(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는 배너를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양단에 고리를 갖는 권취 스프링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배너 고리(230)는 전방과 후방에 배너를 대칭 지지할 수 있도록 전방과 후방에 대칭되게 각 귀퉁이에 2개씩 구비할 수도 있다.
분리 받침대(300)는 받침대 거치부(100)에 안착 결합하여 받침대 거치부(100)와 배너 고정부(200)를 지지하는 것으로, 다수의 서브 받침대(310,32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받침대(310,320)는 분리,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뚜껑(330)은 분리 받침대(300)에 물, 모래 등을 넣어 지지력을 높일 때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에서 분리 받침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 거치부(100)는 바닥대(110), 경사대(120)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바닥대(1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바닥대(110)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바(bar)를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닥대(110)는 전체 형상을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사각 형태의 분리 받침대(300)를 수용할 수 있는 사각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경사대(120)는 일측이 바닥대(110)에 결합하고 타측은 배너 고정부(200), 즉 제1,2 수직대(211,212)의 하단 측방에 결합할 수 있다. 경사대(120)는 경사지게 결합하여 제1,2 수직대(211,212)의 측방을 지지할 수 있다. 경사대(120)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바(bar)로 구성할 수 있다.
서브 받침대(310,320)는 결합 돌출부(321), 수평대 결합홈(T)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 돌출부(321)는 다른 서브 받침대(310)와 결합하는 면의 일부에 외측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결합 돌출부(321)는 결합하는 다른 서브 받침대(310)의 대응 결합 돌출부(311)와 인접 결합하여, 결합하는 서브 받침대(310,320)가 흔들리거나 뒤틀리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결합 돌출부(321)는 외측 가장자리에서 결합하는 제1,2 수직대(211,212), 하측 수평대(222)와 견고한 밀착 결합을 위해,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결합 돌출부(321)는 결합면 전체 면적의 50% 미만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
수평대 결합홈(T)은 결합 돌출부(321)의 상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 결합 돌출부(321)의 상면을 서브 받침대(310,320)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함몰되게 구성할 수 있다. 수평 결합홈(T)은 하측 수평대(222)의 하면 및 측면을 내장하면서 밀착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받침대(310,320)는 바닥 거치홈(BR2), 측방 거치홈(SR11,SR21,SR22), 손잡이 홈(HR12,HR21,HR22)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바닥 거치홈(BR2)은 바닥대(110)를 일부 내장하면서 결합하는 것으로, 서브 받침대(310,320)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바닥 거치홈(BR2)은 바닥대(110)의 외형에 대응하는 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측방 거치홈(SR11,SR21,SR22)은 경사대(120)를 일부 내장하면서 결합하는 것으로, 서브 받침대(310,320)의 측방 일측에 함몰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측방 거치홈(SR11,SR21,SR22)은 경사대(120)의 외형에 대응하는 삼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손잡이 홈(HR12,HR21,HR22)은 서브 받침대(310,320)를 받침대 거치부(100)에 안착시킬 때 서브 받침대(310,320)를 파지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서브 받침대(310,320)의 하면 가장자리 일부에 대칭되게 배치할 수 있고, 하면 일부를 일부를 함몰시킨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실시예로서 설명하였는데, 이것은 본 고안을 예증하기 위한것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 기술자라면 이러한 실시예를 다른 형태로 변형하거나 수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므로,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본 출원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0 : 받침대 거치부 110 : 바닥대
120 : 경사대 200 : 배너 고정부
211,212 : 제1,2 수직대 221 : 상측 수평대
222 : 하측 수평대 230 : 배너 고리
300 : 분리 받침대 310,320 : 서브 받침대
311,321 : 결합 돌출부 330 : 뚜껑
BR2 : 바닥 거치홈 HR12,HR21,HR22 : 손잡이 홈
SR11,SR21,SR22 : 측방 거치홈 T : 수평대 결합홈

Claims (6)

  1. 수평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둘러싸는 바 형상의 바닥대를 구비하는 받침대 거치부;
    상기 받침대 거치부에 안착 결합하고 다수의 서브 받침대를 포함하는 분리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 거치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하여 배너를 고정 지지하는 배너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 거치부는 일측이 상기 바닥대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배너 고정부의 하단 측방에 경사지게 결합하여 상기 배너 고정부를 지지하는 경사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받침대는 하면 가장자리에 상기 바닥대를 일부 내장하는 함몰 형태의 바닥 거치홈을 구비하고, 측방 일측에 상기 경사대를 일부 내장하는 함몰 형태의 측방 거치홈을 구비하며, 다른 서브 받침대와 결합하는 면의 일부에 외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돌출부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결합 돌출부는 상부에 상기 서브 받침대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함몰되는 수평대 결합홈을 형성하는, 분리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받침대는
    하면 가장자리에 대칭되게 배치하는 함몰 형태의 손잡이 홈을 구비하는, 분리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
KR2020200003507U 2020-09-25 2020-09-25 분리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 KR2004944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507U KR200494448Y1 (ko) 2020-09-25 2020-09-25 분리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507U KR200494448Y1 (ko) 2020-09-25 2020-09-25 분리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448Y1 true KR200494448Y1 (ko) 2021-10-14

Family

ID=7807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507U KR200494448Y1 (ko) 2020-09-25 2020-09-25 분리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4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546B1 (ko) * 2022-03-21 2022-11-11 최규용 광고지 설치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915U (ko) * 1996-09-20 1998-06-25 김영석 스프레이건 거치대
KR20090036382A (ko) * 2007-10-09 2009-04-14 주식회사티케이디스플레이 휴대용 배너 스탠드
KR20130005462U (ko) * 2012-03-08 2013-09-23 주식회사 세정라이프 광고표시판 고정장치용 클램프
KR20190001208U (ko) * 2017-11-13 2019-05-22 주식회사 사인디피 화분겸용 무게중심체를 갖춘 현수막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915U (ko) * 1996-09-20 1998-06-25 김영석 스프레이건 거치대
KR20090036382A (ko) * 2007-10-09 2009-04-14 주식회사티케이디스플레이 휴대용 배너 스탠드
KR20130005462U (ko) * 2012-03-08 2013-09-23 주식회사 세정라이프 광고표시판 고정장치용 클램프
KR20190001208U (ko) * 2017-11-13 2019-05-22 주식회사 사인디피 화분겸용 무게중심체를 갖춘 현수막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546B1 (ko) * 2022-03-21 2022-11-11 최규용 광고지 설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448Y1 (ko) 분리 받침대를 갖는 배너 거치대
KR200494748Y1 (ko) 현수막 거치대
KR200407796Y1 (ko) 간판용 프레임 구조
KR20190001208U (ko) 화분겸용 무게중심체를 갖춘 현수막 거치대
KR102393858B1 (ko) 조립식 배너 거치대
KR200492576Y1 (ko) 조경용 배너 거치대
KR200494127Y1 (ko) 광고부를 갖는 조경용 배너 거치대
KR102053180B1 (ko) 접이식 스탠딩 배너
KR102465546B1 (ko) 광고지 설치대
KR101284254B1 (ko) 다용도 거치대
KR101414279B1 (ko) 배너 스탠드
KR102288518B1 (ko) 다중 배너 거치대
KR200371463Y1 (ko) 현수막 거치대
JP5615641B2 (ja) 椅子
KR102544372B1 (ko) 실내용 모듈형 현수막 거치대
KR200463931Y1 (ko) 광고용 배너장치
KR200497205Y1 (ko) 분리 선반을 갖는 입간판
KR200486955Y1 (ko) 배너 스탠드용 내구성 강화 받침대
JP4362838B1 (ja) メッセージスタンド
KR20240033797A (ko) 배너 거치용 배너 거치대
KR200394541Y1 (ko) 광고물 거치대
KR101983515B1 (ko) 광고판 설치대
KR20210006057A (ko) 배너 거치대
KR102517408B1 (ko) 조립식 이동용 현수막 거치 조립체
KR102481630B1 (ko) 현수막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