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970A - 리필 용기용 주출 펌프 - Google Patents

리필 용기용 주출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970A
KR20240009970A KR1020237042360A KR20237042360A KR20240009970A KR 20240009970 A KR20240009970 A KR 20240009970A KR 1020237042360 A KR1020237042360 A KR 1020237042360A KR 20237042360 A KR20237042360 A KR 20237042360A KR 20240009970 A KR20240009970 A KR 20240009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ylindrical
inner container
diameter pip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2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키 오쿠데
타카하루 노다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09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97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4Cartridges, i.e. containers specially designed for easy attachment to or easy removal from the rest of the spr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30Dip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밀폐된 상태에 있는 내용기 내에, 액상물의 주출 시에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을 가능하게 한 리필 용기용 주출 펌프를 얻기 위해서, 외용기(3)의 개구부(4)를 닫는 뚜껑체(5)에 장착되고, 외용기(3)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기(6)의 액상물을 흡인하여 주출하는 리필 용기용 주출 펌프(1)로서, 통형 실린더부(11)와, 통형 실린더부(11)의 상부에 마련된 주출 노즐(13)과, 통형 실린더부(11)의 하부에 마련된 접속 관부(14)에 접속되는 흡입관(15)으로 구성되고, 흡입관(15)에 있어서는, 접속 관부(14)의 외주에 기밀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소경 관부(16)와, 소경 관부(16)의 상단에 이어져, 통형 실린더부(11)의 외주에 헐겁게 끼워 맞춰지는 대경 관부(17)로 이루어지고, 대경 관부(17)에는, 통형 실린더부(11)와 대경 관부(17)의 간극(18)과, 내용기(6) 내를 연통시키는 제1 통기 구멍(19)을 마련했다.

Description

리필 용기용 주출 펌프
본 발명은, 외용기의 뚜껑체에 장착되고, 외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기 내의 액상물을 흡인하여 주출하는 리필 용기용 주출 펌프에 관한 것이다.
내부에 액상물을 수용하고, 상면에 봉지 시트로 봉지된 흡출구가 마련되고, 액상물의 소진 시에 교환되는 내용기와, 내용기를 수납하는 외용기와, 내용기를 수용한 외용기를 닫는 뚜껑체와, 뚜껑체에 장착되고, 내용기에 수납되어 있는 액상물을 흡인하여 주출하는 주출 펌프를 구비하고, 주출 펌프는, 뚜껑부의 천정판에 마련된 펌프 장착 구체(口體)에 고정되는 통형 실린더부와, 통형 실린더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통형 실린더부 내의 피스톤의 조작부를 겸하는 주출 노즐과, 통형 실린더부의 하부에 마련된 접속관 통부에 접속되고, 외용기의 개구부를 뚜껑체로 닫았을 때, 내용기의 상면에 마련된 흡출구에 꽂히는 흡입관으로 구성된 리필 용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주출 펌프의 뚜껑체에의 장착에 있어서는, 주출 펌프에, 통형 실린더부를 덮도록 해서 장착 캡이 마련되어 있고, 뚜껑체의 천정판에 마련된 펌프 장착 구체에 통형 실린더부를 끼워맞추고, 장착 캡을 펌프 장착 구체에 나사 장착해서 펌프 장착 구체에 통형 실린더부를 고정시킴으로써 행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9-119499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주출 펌프를 구비한 리필 용기에 따르면, 외용기의 개구부를 뚜껑체로 닫고, 내용기의 상면에 마련된 흡출구를 봉지하고 있는 봉지 시트를 파단해서 주출 펌프의 흡입관을 내용기 내에 꽂았을 때, 파단된 봉지 시트는 흡입관의 외주면에 밀착한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주출 펌프를 조작해서 내용기로부터 액상물의 흡출 작업을 행했을 때, 액상물의 흡출에 의해 내용기 내가 부압(負壓)으로 되어, 통형 실린더부 내의 피스톤의 복원력이 느려지고, 또, 내용기가 가요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부압에 의해 우그러져 버리는 일이 있어, 내용기로부터의 액상물의 원활한 주출을 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된 상태에 있는 내용기 내에, 액상물의 주출 시에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내용기로부터의 액상물의 주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리필 용기용 주출 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외용기의 개구부를 닫는 뚜껑체에 장착되고, 외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기 내의 액상물을 흡인하여 주출하는 리필 용기용 주출 펌프로서, 상기 뚜껑체의 천정판에 마련된 펌프 장착 구체에 고정되는 통형 실린더부와, 상기 통형 실린더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통형 실린더부 내의 피스톤의 조작부를 겸하는 주출 노즐과, 상기 통형 실린더부의 하부에 마련된 접속 관부에 접속되고, 상기 외용기의 개구부를 상기 뚜껑체로 닫았을 때, 상기 내용기의 상면에 마련된 흡출구에 꽂히는 흡입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관에 있어서는, 상기 통형 실린더부의 하부에 마련된 접속 관부의 외주에 기밀적으로 끼워 맞춰져, 내용기 내의 액상물을 흡입하는 소경 관부와, 소경 관부의 상단에 이어져, 상기 통형 실린더부의 외주에 헐겁게 끼워 맞춰지는 대경 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경 관부에는, 상기 통형 실린더부와 상기 대경 관부의 간극과, 상기 내용기 내를 연통시키는 제1 통기 구멍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상기 통형 실린더부에 있어서의 실린더 통에는, 상기 피스톤의 이동 범위의 외측에서 외기 연통 측의 통벽에, 상기 통형 실린더부와 상기 대경 관부의 간극과, 상기 실린더 통 내를 연통시키는 제2 통기 구멍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리필 용기용 주출 펌프에 의하면, 상기 흡입관에 있어서는, 상기 통형 실린더부의 하부에 마련된 접속 관부의 외주에 기밀적으로 끼워 맞춰져, 내용기 내의 액상물을 흡입하는 소경 관부와, 소경 관부의 상단에 이어져, 상기 통형 실린더부의 외주에 헐겁게 끼워 맞춰지는 대경 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경 관부에는, 상기 통형 실린더부와 상기 대경 관부의 간극과, 상기 내용기 내를 연통시키는 제1 통기 구멍을 마련했기 때문에, 주출 펌프를 조작해서 내용기로부터 액상물의 흡출 작업을 행하고, 액상물의 흡출에 의해 내용기 내가 부압으로 되었을 때, 액상물의 흡출에 따른 양의 공기가, 상기 대경 관부의 상단 개구부 측으로부터 상기 통형 실린더부와 상기 대경 관부의 간극으로 들어가, 상기 간극을 통해 상기 대경 관부에 마련된 제1 통기 구멍으로부터 내용기 내로 흡입되므로, 내용기로부터의 액상물의 주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리필 용기용 주출 펌프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상기 통형 실린더부에 있어서의 실린더 통에는, 상기 피스톤의 이동 범위의 외측에서 외기 연통 측의 통벽에, 상기 통형 실린더부와 상기 대경 관부의 간극과, 상기 실린더 통 내를 연통시키는 제2 통기 구멍을 마련했으므로, 주출 펌프를 조작해서 내용기로부터 액상물의 흡출 작업을 행하여, 액상물의 흡출에 의해 내용기 내가 부압으로 되었을 때, 액상물의 흡출에 따른 양의 공기가, 상기 대경 관부의 상단 개구부 측으로부터 상기 통형 실린더부와 상기 대경 관부의 간극에 들어감과 함께, 상기 피스톤의 이동 범위의 외측에서 외기 연통 측의 통벽에 가지는 제2 통기 구멍으로부터 상기 통형 실린더부와 상기 대경 관부의 간극으로 들어가므로, 상기 간극을 통해 부압으로 된 내용기 내로의 공기의 흡입이 용이해져, 내용기로부터의 액상물의 주출을 한층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상기 대경 관부의 상단 개구부가 막힌 상태로 되더라도, 상기 피스톤의 이동 범위의 외측에서 외기 연통 측의 통벽에 가지는 제2 통기 구멍으로부터 상기 통형 실린더부와 상기 대경 관부의 간극으로 들어가므로, 내용기로부터의 액상물의 주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리필 용기용 주출 펌프의 실시 형태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주출 펌프를 장착한 리필 용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리필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주출 펌프를 장착한 리필 용기에서, 내용기로부터 액상물을 흡출했을 때에, 내용기 내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리필 용기용 주출 펌프의 실시 형태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리필 용기용 주출 펌프의 실시 형태의 제1 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제1 예의 리필 용기용 주출 펌프를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주출 펌프를 장착한 리필 용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리필 용기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주출 펌프를 장착한 리필 용기에서, 내용기로부터 액상물을 흡출했을 때에, 내용기 내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1 예의 리필 용기용의 주출 펌프(1)는, 리필 용기(2)를 구성하는 외용기(3)의 개구부(4)를 닫는 뚜껑체(5)에 장착되고, 외용기(3) 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기(6) 내의 액상물을 흡인하여 주출하는 것이다.
먼저, 제1 예의 주출 펌프(1)가 사용되는 리필 용기(2)의 일례를 설명한다.
리필 용기(2)는, 내부에 액상물을 수용하고, 상면에 봉지 시트(7)로 봉지된 흡출구(8)가 마련되고, 액상물의 소진 시에 교환되는 내용기(6)와, 상부에 개구부(4)를 가지고, 내용기(6)를 수용하는 외용기(3)와, 내용기(6)를 수용한 외용기(3)에 끼워 맞춰져, 외용기(3)의 개구부(4)를 닫는 통형의 뚜껑체(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뚜껑체(5)의 천정판(9)에는, 주출 펌프(1)를 장착하는 펌프 장착 구체(10)가 마련되어 있다.
뚜껑체(5)의 천정판(9)에 마련된 펌프 장착 구체(10)에 장착되는 주출 펌프(1)는, 펌프 장착 구체(10)에 끼워맞춰져 고정되는 통형 실린더부(11)와, 통형 실린더부(11)의 상부에 마련되고, 통형 실린더부(11) 내의 피스톤(12)의 조작부를 겸하는 주출 노즐(13)과, 통형 실린더부(11)의 하부에 마련된 접속 관부(14)에 접속되어, 외용기(3)의 개구부(4)를 뚜껑체(5)로 닫았을 때, 내용기(6)의 상면에 마련된 흡출구(8)를 봉지하고 있는 봉지 시트(7)를 파단해서 내용기(6) 내에 꽂히는 흡입관(15)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입관(15)에 있어서는, 통형 실린더부(11)의 하부에 마련된 접속 관부(14)의 외주에 기밀적으로 끼워 맞춰져, 내용기(6) 내의 액상물을 흡입하는 소경 관부(16)와, 소경 관부(16)의 상단에 이어져, 통형 실린더부(11)의 외주에 헐겁게 끼워 맞춰지는 대경 관부(17)로 구성되어 있다. 대경 관부(17)에는, 통형 실린더부(11)와 대경 관부(17)의 간극(18)과, 내용기(6) 내를 연통시키는 제1 통기 구멍(19)이 마련되어 있다.
또, 주출 펌프(1)에는, 통형 실린더부(11)를 덮도록 해서 장착 캡(20)이 마련되어 있고, 뚜껑체(5)의 천정판(9)에 마련된 펌프 장착 구체(10)에 주출 펌프(1)의 통형 실린더부(11)를 끼워 맞추어, 장착 캡(20)을 펌프 장착 구체(10)에 나사 장착해서 펌프 장착 구체(10)에 통형 실린더부(11)를 고정시킴으로써, 뚜껑체(5)에 주출 펌프(1)를 장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예의 리필 용기용의 주출 펌프(1)에 의하면, 흡입관(15)은, 통형 실린더부(11)의 하부에 마련된 접속 관부(14)의 외주에 기밀적으로 끼워 맞춰져, 내용기(6) 내의 액상물을 흡입하는 소경 관부(16)와, 소경 관부(16)의 상단에 이어져, 통형 실린더부(11)의 외주에 헐겁게 끼워 맞춰지는 대경 관부(17)로 구성되어 있고, 대경 관부(17)에는, 통형 실린더부(11)와 대경 관부(17)의 간극(18)과, 내용기(6) 내를 연통시키는 제1 통기 구멍(19)을 마련했기 때문에, 주출 펌프(1)를 조작해서 내용기(6)로부터 액상물의 흡출 작업을 행하여, 액상물의 흡출에 의해 내용기(6) 내가 부압으로 되었을 때, 액상물의 흡출에 따른 양의 공기가, 대경 관부(17)의 상단 개구부 측으로부터 통형 실린더부(11)와 대경 관부(17)의 간극(18)으로 들어가, 간극(118)을 통해 대경 관부(17)에 마련된 제1 통기 구멍(19)으로부터 내용기(6) 내로 흡입되므로, 내용기(6)로부터의 액상물의 주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리필 용기용 주출 펌프의 실시 형태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2 예의 리필 용기용 주출 펌프에 대하여, 제1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제1 예와는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예의 리필 용기용의 주출 펌프(1)에 있어서는, 통형 실린더부(11)에 있어서의 실린더 통(11a)에는, 피스톤(12)의 이동 범위의 외측에서 외기 연통 측의 통벽에, 통형 실린더부(11)와 대경 관부(17)의 간극(18)과, 실린더 통(11a) 내를 연통시키는 제2 통기 구멍(21)이 마련되어 있다.
그밖의 구성은 제1 예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예의 리필 용기용의 주출 펌프(1)에 의하면, 통형 실린더부(11)에 있어서의 실린더 통(11a)에, 피스톤(12)의 이동 범위의 외측에서 외기 연통 측의 통벽에, 통형 실린더부(11)와 대경 관부(17)의 간극(18)과, 실린더 통(11a) 내를 연통시키는 제2 통기 구멍(21)을 마련했으므로, 주출 펌프(1)를 조작해서 내용기(6)로부터 액상물의 흡출 작업을 행하여, 액상물의 흡출에 의해 내용기(6) 내가 부압으로 되었을 때, 액상물의 흡출에 따른 양의 공기가, 대경 관부(17)의 상단 개구부 측으로부터 통형 실린더부(11)와 대경 관부(17)의 간극(18)으로 들어감과 함께, 실린더 통(11a)의 피스톤(12)의 이동 범위의 외측에서 외기 연통 측의 통벽에 가지는 제2 통기 구멍(21)으로부터 통형 실린더부(11)와 대경 관부(17)의 간극(18)으로 들어가므로, 간극(18)을 통해 부압으로 된 내용기(6) 내로의 공기의 흡입이 용이해져, 내용기(6)로부터의 액상물의 주출을 한층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대경 관부(17)의 상단 개구부가 막힌 상태로 되더라도, 실린더 통(11a)의 피스톤(12)의 이동 범위의 외측에서 외기 연통 측의 통벽에 가지는 제2 통기 구멍(21)으로부터 통형 실린더부(11)와 대경 관부(17)의 간극(18)으로 들어가므로, 내용기(6)로부터의 액상물의 주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그밖의 효과는 제1 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제1 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1: 주출 펌프
2: 리필 용기
3: 외용기
4: 개구부
5: 뚜껑체
6: 내용기
7: 봉지 시트
8: 흡출구
9: 천정판
10: 펌프 장착 구체
11: 통형 실린더부
11a: 실린더 통
12: 피스톤
13: 주출 노즐
14: 접속 관부
15: 흡입관
16: 소경 관부
17: 대경 관부
18: 간극
19: 제1 통기 구멍
20: 장착 캡
21: 제2 통기 구멍

Claims (2)

  1. 외용기의 개구부를 닫는 뚜껑체에 장착되고, 외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기 내의 액상물을 흡인하여 주출하는 리필 용기용 주출 펌프로서, 상기 뚜껑체의 천정판에 마련된 펌프 장착 구체(口體)에 고정되는 통형 실린더부와, 상기 통형 실린더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통형 실린더부 내의 피스톤의 조작부를 겸하는 주출 노즐과, 상기 통형 실린더부의 하부에 마련된 접속 관부에 접속되어, 상기 외용기의 개구부를 상기 뚜껑체로 닫았을 때, 상기 내용기의 상면에 마련된 흡출구에 꽂히는 흡입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관에 있어서는, 상기 통형 실린더부의 하부에 마련된 접속 관부의 외주에 기밀적으로 끼워 맞춰져, 내용기 내의 액상물을 흡입하는 소경 관부와, 소경 관부의 상단에 이어져, 상기 통형 실린더부의 외주에 헐겁게 끼워 맞춰지는 대경 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경 관부에는, 상기 통형 실린더부와 상기 대경 관부의 간극과, 상기 내용기 내를 연통시키는 제1 통기 구멍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용 주출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실린더부에 있어서의 실린더 통에는, 상기 피스톤의 이동 범위의 외측에서 외기 연통 측의 통벽에, 상기 통형 실린더부와 상기 대경 관부의 간극과, 상기 실린더 통 내를 연통시키는 제2 통기 구멍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용 주출 펌프.
KR1020237042360A 2021-05-17 2022-03-30 리필 용기용 주출 펌프 KR202400099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82945 2021-05-17
JPJP-P-2021-082945 2021-05-17
PCT/JP2022/016317 WO2022244521A1 (ja) 2021-05-17 2022-03-30 詰め替え容器用注出ポン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970A true KR20240009970A (ko) 2024-01-23

Family

ID=84141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2360A KR20240009970A (ko) 2021-05-17 2022-03-30 리필 용기용 주출 펌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42815A1 (ko)
JP (1) JPWO2022244521A1 (ko)
KR (1) KR20240009970A (ko)
CN (1) CN117377621A (ko)
WO (1) WO202224452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19499A (ja) 2018-01-05 2019-07-22 日本製紙株式会社 注出ポンプ及び注出ポンプを用いた詰め替え容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088U (ja) * 1991-08-09 1995-12-19 株式会社資生堂 内容物を詰め替え自在としたディスペンサー付容器
JP3516517B2 (ja) * 1995-04-21 2004-04-05 株式会社資生堂 ディスペンサーポンプ用のディップチューブ
JP3688432B2 (ja) * 1997-05-23 2005-08-3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詰め替え式ポンプ付き容器とその詰め替え用容器体
BR112016026537A2 (pt) * 2014-05-22 2018-06-19 Colgate Palmolive Co distribuidor de bomba e sistema comprendendo um cartucho de recarga e o distribuidor de bomba
JP6665092B2 (ja) * 2014-06-30 2020-03-13 日本製紙株式会社 詰め替え容器
JP5789063B1 (ja) * 2015-03-06 2015-10-07 株式会社ハタ 二重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19499A (ja) 2018-01-05 2019-07-22 日本製紙株式会社 注出ポンプ及び注出ポンプを用いた詰め替え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42815A1 (en) 2024-03-27
WO2022244521A1 (ja) 2022-11-24
JPWO2022244521A1 (ko) 2022-11-24
CN117377621A (zh) 202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84195B2 (ja) ポンプ用注出口
JPH0299022A (ja) 流体の押上式デイスペンサー
JP5894062B2 (ja) 吸引式液体注出ポンプ装置
JP2008535651A (ja) 流体を容器から計量配分するための投与ヘッド
JP3563014B2 (ja) 吐出容器
JP2014028636A (ja) 吐出容器
JP4943275B2 (ja) トリガー式噴出器
KR20240009970A (ko) 리필 용기용 주출 펌프
US10919676B2 (en) Lid with ventilation system
JP2015030482A (ja) 注出容器
JP2004516398A (ja) 手動で作動するポンプアセンブリ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JP4305756B2 (ja) 塗布容器
JPH0335750Y2 (ko)
US4099655A (en) Position responsive two-way ball valve
PH26095A (en) Container for liquids
KR20080001894A (ko) 디스펜서 용기
KR102573274B1 (ko) 튜브리스 토출 용기
JP3765937B2 (ja) 液体収納用二重筒容器
US20030190236A1 (en) Liquid pump
ITMI20130976A1 (it) Spruzzatore per liquidi con dispositivo usd utilizzabile anche in posizione orizzontale
JPH0640121Y2 (ja) 粘性流体注出容器
JPH0739816Y2 (ja) 注出ポンプ付キャップ
JP2006232327A (ja) 注出容器
WO2024089611A1 (en) Trigger dispensing device for upside down 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