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475A -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475A
KR20240007475A KR1020220084426A KR20220084426A KR20240007475A KR 20240007475 A KR20240007475 A KR 20240007475A KR 1020220084426 A KR1020220084426 A KR 1020220084426A KR 20220084426 A KR20220084426 A KR 20220084426A KR 20240007475 A KR20240007475 A KR 20240007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astener assembly
panel
coupling protrusion
t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한
이주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이티에스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4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7475A/ko
Priority to US18/337,364 priority patent/US20240010139A1/en
Priority to CN202310835465.8A priority patent/CN117360405A/zh
Publication of KR20240007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4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6Solid rivets made in one pi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multiple interengaging protrusions on the surfaces, e.g. hooks, c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트림을 패널에 장착되도록 하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여 패널이 장착되는 다른 조립체와 간섭을 피하도록 한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는, 차량의 트림(42)에 결합되고, 패널(41)을 향하는 면에 제1결합돌기(11)가 형성되는 제1부재(10); 및 상기 패널(41)에 결합되고, 상기 트림(42)을 향하는 면에 상기 제1결합돌기(11)에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21)가 형성되는 제2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돌기(11)가 상기 제2결합돌기(21)를 결합시켜 상기 제1부재(10)와 상기 제2부재(20)가 결합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FASTENER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트림을 패널에 장착되도록 하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여 패널이 장착되는 다른 조립체와 간섭을 피하도록 한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실내는 차체를 형성하는 패널에 트림이 결합되어 마감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패널(141)에 트림(142)에 결합된다.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트림(142)을 상기 패널(141)에 결합하기 위하여, 패스너(100)가 적용된다. 상기 패스너(100)를 상기 트림(142)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트림(142)을 조립위치에 위치시켜 눌러서 상기 트림(142)을 상기 패널(141)에 결합시킨다.
상기 패스너(100)는 상기 트림(142)에 장착되는 장착부(111)와, 상기 장착부(11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결부(112)와, 상기 연결부(112)의 단부에 상기 패널(141)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헤드부(113)와, 상기 연결부(112)와 이격되어 상기 헤드부(113)로부터 상기 장착부(111)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패널(141)에 결합되는 탄성부(114)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상기 패스너(100)는 그 길이(h)가 길기 때문에 상기 패널(141)과 상기 트림(142) 사이에 장착되는 다른 부품과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예컨대, 차량의 도어에 도어래치(145)가 장착되는데, 상기 도어래치(145)가 장차되는 부위에서는 상기 패널(141) 내부의 공간이 충분하지 않아, 상기 패스너(100)가 상기 도어래치(145)와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상기 패스너(100)가 상기 패널(141)의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에 의해 상기 패스너(100)가 상기 패널(141)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트림(142)이 들뜨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상기 트림(142)이 상기 패널(141)로부터 들뜨게 되면, 미관상으로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트림(142)의 들뜸에 의해 형성된 간극을 통하여, 수분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상기 트림(142)과 상기 패널(141) 사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물질이 상기 트림(142)과 상기 패널(141) 사이로 유입되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상기 패널에 장착된 장치의 오작동을 유발한다. 예컨대, 상기 도어에서는 상기 패널(141)에 도어래치(145), 윈도우레귤레이터, 스피커 등이 장착되는데, 상기 이물질로 인하여 상기 장치들의 오작동이 유발된다.
KR 10-2001-0039407 A(2001.05.15, 명칭 : 자동차의 트림 설치용 파스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길이를 줄여 차량의 트림이나 패널에 설치되는 다른 구성요소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는, 차량의 트림에 결합되고, 패널을 향하는 면에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제1부재; 및 상기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트림을 향하는 면에 상기 제1결합돌기에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돌기가 상기 제2결합돌기를 결합시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결합돌기는, 상기 제1부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템과, 상기 스템의 단부에 상기 스템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헤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는, 상기 제2부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템과, 상기 스템의 단부에 상기 스템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헤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결합돌기는 상기 제1부재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는 상기 제2부재에 상기 제1결합돌기가 배열된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결합돌기에서 서로 인접한 2개의 헤드 사이의 간극은, 상기 제2결합돌기의 헤드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부재는 상기 트림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리브가 관통하는 체결공이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브는 초음파융착으로 상기 제1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는 면의 배면(背面)에 상기 제2부재를 상기 패널에 형성된 조립공에 결합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2부재에 연결되게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제2부재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좌우대칭되도록 상기 베이스와 상기 고정부가 좌우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조립공을 통과한 후 복원되어 상기 조립공의 둘레에 걸려 상기 제2부재가 상기 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2부재의 양측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2부재를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가 상기 조립공에 결합된 후 상기 제2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2부재에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제2부재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체결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스토퍼의 폭은 상기 조립공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스토퍼와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부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스토퍼에 상기 제2스토퍼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스토퍼를 향하여 연장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상기 걸림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는 상기 제2부재와 평행한 평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 중 어느 하나의 둘레에 끼워져, 상기 제1부재와 상기 트림 사이 또는 상기 제2부재와 상기 패널 사이를 기밀시키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의 둘레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부위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트림 또는 상기 패널에 접하는 실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2부재의 둘레에 끼워져 상기 제2부재과 상기 패널 사이를 실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에 따르면, 길이가 줄어들기 때문에, 트림을 패널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동일한 작업편의성을 유지하면서 트림이나 패널에 설치된 다른 부품과 간섭을 일으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트림과 상기 패널의 조립부위가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들뜸현상에 의해 생기는 간격을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차량에서 도어의 실내가 마감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도 1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에서 제2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결합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를 가조립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를 트림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가 트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가 결합된 트림을 패널에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가 결합된 트림이 패널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가 체결된 조립구조에서 패널로부터 트림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는, 차량의 트림(42)에 결합되고, 패널(41)을 향하는 면에 제1결합돌기(11)가 형성되는 제1부재(10)와, 상기 패널(41)에 결합되고, 상기 트림(42)을 향하는 면에 상기 제1결합돌기(11)에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21)가 형성되는 제2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돌기(11)가 상기 제2결합돌기(21)를 결합시켜 상기 제1부재(10)와 상기 제2부재(20)가 결합된다.
제1부재(10)는 차량의 트림(42)과 패널(41) 사이에서 상기 트림(42)측에 결합된다.
상기 제1부재(10)는 상기 패널(41)을 향하는 면에 제2부재(20)에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11)는 상기 제1부재(1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부재(20)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2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부재(10)와 상기 제2부재(20)가 서로 결합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11)는 그 단면형상을 살펴보면, 상기 제1부재(10)로부터 돌출되는 스템(11a)과, 상기 스템(11a)의 단부에 상기 스템(11a)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폭으로 형성되는 헤드(11b)로 형성된다. 상기 헤드(11b)는 결합이 용이하고 견고한 체결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단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11)는 상기 제1부재(10)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돌기(11)는 그 폭(도 6에서 좌우 방향의 폭)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결합돌기(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길에 대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좌측과 우측으로 교번하여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부재(10)를 상기 트림(42)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트림(42)의 일측에 체결공(12)이 형성된다. 상기 트림(42)에 상기 트림(42)으로부터 돌출되는 리브(42a)를 형성하고, 상기 제1부재(10)의 일측에 상기 리브(42a)가 관통하는 체결공(12)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리브(42a)가 상기 체결공(12)을 관통하도록 상기 트림(42)에 상기 제1부재(10)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리브(42a)를 융착, 특히 초음파융착에 의해 상기 리브(42a)가 상기 제1부재(10)가 일체가 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부재(10)가 상기 트림(42)에 결합된다. 상기체결공(12)은 상기 제1부재(10)에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부재(10)가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트림(42)에 체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1부재(10)는 상기 트림(42)에 견고히 체결될 수 있다.
제2부재(20)는 상기 패널(41)에 결합되고, 상기 트림을 향하는 면에 제2결합돌기(21)가 형성된다.
상기 제2부재(20)에 형성되는 상기 제2결합돌기(21)는 상기 제1결합돌기(11)와 같이, 그 단면현상이 상기 제2부재(20)로부터 돌출되는 스템(21a)과, 상기 스템(21a)의 단부에 상기 스템(21a)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폭으로 형성되는 헤드(21b)로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11)와 상기 제2결합돌기(21)가 마주 바라본 상태에서, 상기 제1부재(10)와 상기 제2부재(20)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1부재(10)와 상기 제2부재(20)가 결합된다.
상기 제2결합돌기(21)도 상기 제2부재(20)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결합돌기(21)가 배열된 간격은 상기 제1결합돌기(11)가 배열된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결합돌기(21)도 상기 제1결합돌기(11)와 같이, 그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하거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좌측과 우측에 교번하여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결합돌기(11)와 상기 제2결합돌기(21) 중 어느 하나는 그 폭이 전체길이에 대하여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결합돌기(11)와 상기 제2결합돌기(21)가 서로 결합되어 결합력이 발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돌기(11)에서 서로 인접한 2개의 헤드(11a) 사이의 간극(g)은, 상기 제2결합돌기(21)의 헤드(21b)의 폭(w) 보다 좁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제2결합돌기(21)에서 서로 인접한 2개의 헤드(21b) 사이의 간극은, 상기 제1결합돌기(11)의 헤드(11b)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제2부재(20)는 상기 제2결합돌기(21)가 형성되는 면의 배면(背面)에 상기 제2부재(20)를 상기 패널(41)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22)는 일단이 상기 제2부재(20)에 연결되게 형성되는 베이스(22a)와, 상기 베이스(22a)의 외측에서 상기 제2부재(20)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22b)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22a)는 상기 일단(도 7에서 상단)이 상기 제2부재(20)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22a)는 그 일단이 상기 제2부재(20)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체결부(22)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었다가 복원되도록 한다. 즉, 상기 체결부(22)가 상기 제2부재(20)를 상기 패널(41)에 체결시킬 때, 상기 베이스(22a)의 일단을 중심으로 나머지 부분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패널(41)의 조립공(41a)을 통과한 후, 원래 형태로 복원된다. 상기 베이스(22a)에서 상기 제2부재(20)에 연결되는 되는 부분의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2부재(20)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고, 상기 간극에 상기 패널(41)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22b)는 상기 베이스(22a)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고정부(22b)는 상기 제2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2부재(20)의 폭방향으로도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22b)는 상기 패널(41)에 상기 체결부(22)가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조립공(41a)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22a)와 상기 고정부(22b)는 좌우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22a)와 상기 고정부(22b)는 상기 베이스(22a)가 상기 제2부재(20)에 연결되는 부위로부터 상기 고정부(22b)의 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2부재(20)의 양측단(도 7에서 좌우측 단부)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22a)와 상기 고정부(22b)가 한 쌍으로 형성되면서, 측단을 향하여 벌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22)의 폭은 상기 조립공(41a)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조립공(41a)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22)가 상기 조립공(41a)에 조립된 후에는 상기 고정부(22b)가 상기 조립공(41a)의 둘레에 걸림으로써, 제2부재(20)가 상기 패널(41)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22a)와 상기 고정부(22b)는 상기 체결부(22)가 상기 조립공(41a)에 조립될 때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부재(20)의 양측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22)가 상기 조립공(41a)에 끼워진 후, 상기 체결부(22)가 상기 패널(4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22a)와 상기 고정부(22b)의 저면은 상기 패널(41)과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22b)에서 일부 영역은 상기 제2부재(20)와 평행한 평면부(22c)가 형성된다. 상기 평면부(22c)는 후술되는 걸림부(24a)의 하방에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22a)와 상기 고정부(22b)는 상기 조립공(41a)에 체결될 때, 상기 패널(41)과 평행한 면으로 변형되면서 체결된다.
상기 패스너 조립체(1)가 상기 제1결합돌기(11)와 상기 제2결합돌기(21)의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22)를 통하여 상기 패널(41)에 체결되기 때문에, 상기 패스너 조립체(1)의 높이(h)를 낮출 수 있어서, 상기 패널(41) 내에 장착되거나 상기 트림(42)에 장착되는 다른 부품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상기 제2부재(20)에 상기 체결부(22)가 상기 패널(41)에 고정된 후, 상기 제2부재(20)가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제1스토퍼(23)와 제2스토퍼(24)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제1스토퍼(23)와 상기 제2스토퍼(24)는 상기 체결부(22)가 상기 패널(41)에 형성된 조립공(41a)을 관통한 다음, 상기 조립공(41a)의 둘레와 상기 체결부(22) 사이의 유격을 감소시켜, 상기 조립공(41a) 내에서 상기 체결부(22)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1스토퍼(23)는 상기 제2부재(20)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체결부(22)의 상단(도 7 기준)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22)는 상기 제1스토퍼(23)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스토퍼(23)는 그 폭이 상기 조립공(41a)의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스토퍼(23)가 상기 조립공(41a)의 일측에 위치하고, 그 폭이 상기 조립공(41a)의 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2부재(20)가 상기 제1스토퍼(23)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상기 제2스토퍼(24)는 상기 제1스토퍼(23)와 이격된 부위에서 상기 제2부재(2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스토퍼(24)도 그 폭이 상기 조립공(41a)의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립공(41a)의 타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제1스토퍼(23)와 상기 제2스토퍼(24)에 의해 상기 제2부재(2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24)의 상단에는 상기 제1스토퍼(23)를 향하도록 걸림부(24a)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4a)는 상기 걸림부(24a)의 하방에 상기 평면부(22c)가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제2부재(20)가 상기 조립공(41a)으로부터 이탈하려고 할 때, 상기 평면부(22c)가 상기 걸림부(24a)에 걸림으로써, 상기 체결부(22)가 상기 조립공(41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부재(20)는 상기 체결부(22)에 의해서 상기 조립공(41a)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2스토퍼(24)가 상기 고정부(22b)의 이탈을 제한하므로, 상기 트림(42)의 체결력이 증대된다.
상기 제2부재(20)에서 상기 제1스토퍼(23)와 상기 제2스토퍼(24)는 상기 패널(41)에 형성되는 조립공(41a)의 내부에 위치하는 영역내에 형성된다.
상기 제1부재(10)와 상기 제2부재(20)는 사출로 제조될 수 있다.
실링부재(30)는 상기 제1부재(10) 또는 상기 제2부재(20) 중 어느 하나의 둘레에 끼워져, 상기 제1부재(10)와 상기 트림(42) 사이를 기밀시키거나, 상기 제2부재(20)와 상기 패널(41) 사이를 기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링부재(30)는 상기 제2부재(20)의 둘레에 끼워져, 상기 제2부재(20)와 상기 패널(41) 사이를 기밀시켜, 차체를 형성하는 패널(41)의 내부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상기 실링부재(30)는 상기 제1부재(10)의 둘레 또는 상기 제2부재(20)의 둘레가 끼워지는 관통공(3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1)이 형성된 부위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트림(42) 또는 상기 패널(41)에 접하는 실링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실링부재(30)가 상기 제2부재(20)에 끼워진다면, 상기 관통공(31)에 상기 제2부재(20)의 둘레가 끼워지고, 상기 실링부(32)는 상기 패널(41)에 접하여, 상기 제2부재(20)와 상기 패널(41) 사이가 기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1)를 이용하여, 차량의 트림(42)과 패널(41)을 탈착하는 과정이 도 10 내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재(10)와 상기 제2부재(20)를 서로 체결하여, 패스너 조립체(1)가 되도록 한다. 각각 별도로 제작된 상기 제1부재(10)와 상기 제2부재(20)를 상기 제1결합돌기(11)와 상기 제2결합돌기(21)가 마주보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돌기(11)와 상기 제2결합돌기(21)가 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부재(10)와 상기 제2부재(20)가 상기 패스너 조립체(1)로 조립된다.
상기 패스너 조립체(1)는 상기 트림(42)에 조립된다(도 11 참조). 상기 트림(42)에 형성된 상기 리브(42a)에 상기 제1부재(10)의 체결공(12)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패스너 조립체(1)가 상기 트림(42)에 1차 조립된다.
상기 패스너 조립체(1)를 상기 트림(42)에 완전히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리브(42a)를 융착, 특히 초음파융착을 통하여 상기 제1부재(10)와 일체가 되도록 한다. 도 12에서 F로 도시된 부위와 같이, 상기 리브(42a)를 초음파 융착을 통하여 상기 제1부재(10)와 일체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트림(42)과 상기 패스너 조립체(1)가 하나의 조립체가 된다.
이후, 상기 트림(42)과 상기 패스너 조립체(1)의 조립체를 상기 패널(41)에 조립한다. 상기 패스너 조립체(1)의 제2부재(20)가 상기 패널(41)에 형성된 조립공(41a)에 위치하도록 상기 조립체를 위치시키고, 상기 제2부재(20)의 상기 체결부(22)가 상기 조립공(41a)을 관통하도록 조립시킨다(도 13 참조). 상기 체결부(22)가 상기 조립공(41a)을 관통하면, 상기 패널(41)의 조립공(41a)에 상기 체결부(22)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트림(42)과 상기 패널(41)의 조립이 완료된다(도 14 참조).
한편, 정비 등을 위하여, 상기 패널(41)로부터 상기 트림(42)을 탈거해야 하는 경우, 상기 트림(42)을 상기 패널(4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트림(42)이 상기 패널(41)로부터 분리된다(도 15 참조). 상기 패스너 조립체(1)에서 상기 제1부재(10)와 상기 제2부재(20)는 영구결합이 아니라, 상기 제1결합돌기(11)와 상기 제2결합돌기(21)가 맞물려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부재(20)에서 상기 고정부(22b)의 저면은 상기 패널(41)과 평행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부재(20)는 상기 조립공(41a)에 계속해서 조립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부재(10)와 상기 제2부재(20)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제1결합돌기(11)와 상기 제2결합돌기(21)가 분리되면서 상기 제1부재(10)와 상기 제2부재(20)는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트림(42)을 충분한 힘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제1부재(10)와 상기 제2부재(20)가 분리되고, 상기 트림(42)은 상기 패널(41)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새로운 트림(42)에 새로운 제1부재(10)를 조립한 후, 다시 상기 제1부재(10)와 상기 제2부재(20)가 조립하도록 하면, 새로운 트림(42)이 상기 패널(41)에 다시 조립될 수 있다.
1 : 패스너 10 : 제1부재
11 : 제1결합돌기 11a : 스템
11b : 헤드 12 : 체결공
20 : 제2부재 21 : 제2결합돌기
21a : 스템 21b : 헤드
22 : 체결부 22a : 베이스
22b : 고정부 22c : 평면부
23 : 제1스토퍼 24 : 제2스토퍼
24a : 걸림부 30 : 실링부재
31 : 관통공 32 : 실링부
41 : 패널 41a : 조립공
42 : 트림 42a : 리브
100 : 패스너 111 : 장착부
112 : 연결부 113 : 헤드부
114 : 탄성부 141 : 패널
142 : 트림 145 : 도어래치

Claims (16)

  1. 차량의 트림에 결합되고, 패널을 향하는 면에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제1부재; 및
    상기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트림을 향하는 면에 상기 제1결합돌기에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제2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돌기가 상기 제2결합돌기를 결합시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는, 상기 제1부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템과, 상기 스템의 단부에 상기 스템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헤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는, 상기 제2부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템과, 상기 스템의 단부에 상기 스템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헤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는 상기 제1부재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는 상기 제2부재에 상기 제1결합돌기가 배열된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에서 서로 인접한 2개의 헤드 사이의 간극은, 상기 제2결합돌기의 헤드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트림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리브가 관통하는 체결공이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초음파융착으로 상기 제1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는 면의 배면에 상기 제2부재를 상기 패널에 형성된 조립공에 결합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2부재에 연결되게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제2부재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좌우대칭되도록 상기 베이스와 상기 고정부가 좌우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조립공을 통과한 후 복원되어 상기 조립공의 둘레에 걸려 상기 제2부재가 상기 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2부재의 양측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2부재를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가 상기 조립공에 결합된 후 상기 제2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2부재에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제2부재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체결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스토퍼의 폭은 상기 조립공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1스토퍼와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부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에 상기 제2스토퍼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스토퍼를 향하여 연장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상기 걸림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는 상기 제2부재와 평행한 평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 중 어느 하나의 둘레에 끼워져, 상기 제1부재와 상기 트림 사이 또는 상기 제2부재와 상기 패널 사이를 기밀시키는 실링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의 둘레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부위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트림 또는 상기 패널에 접하는 실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2부재의 둘레에 끼워져 상기 제2부재과 상기 패널 사이를 실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KR1020220084426A 2022-07-08 2022-07-08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KR2024000747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426A KR20240007475A (ko) 2022-07-08 2022-07-08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US18/337,364 US20240010139A1 (en) 2022-07-08 2023-06-19 Fastener Assembly for Vehicle
CN202310835465.8A CN117360405A (zh) 2022-07-08 2023-07-07 用于车辆的紧固件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426A KR20240007475A (ko) 2022-07-08 2022-07-08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475A true KR20240007475A (ko) 2024-01-16

Family

ID=8939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426A KR20240007475A (ko) 2022-07-08 2022-07-08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10139A1 (ko)
KR (1) KR20240007475A (ko)
CN (1) CN11736040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407A (ko) 1999-10-30 2001-05-15 이계안 자동차의 트림 설치용 파스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407A (ko) 1999-10-30 2001-05-15 이계안 자동차의 트림 설치용 파스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10139A1 (en) 2024-01-11
CN117360405A (zh) 202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3038B2 (en) Anchor
WO2013125524A1 (ja) 車両用ドアのサッシュ組付構造及び車両用ドアのサッシュ組付方法
JP5584343B1 (ja) 建築用ルーバーパネルの取付構造
KR101619413B1 (ko) 차량용 도어 트림과 도어 인너 벨트의 모듈화 구조
KR20240007475A (ko) 차량용 패스너 조립체
KR20210066959A (ko)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
US20190152307A1 (en) Weather Strip Mounting Structure for Door in Vehicle
CN205395726U (zh) 中门内蒙皮上加强件
KR100394721B1 (ko) 자동차의 커튼 걸이용 후크
KR102201222B1 (ko) 레일 조립형 스트립이 구비된 차량용 사이드 실 조립체
KR102201220B1 (ko) 압입 조립형 스트립이 구비된 차량용 사이드 실 조립체
JP3409257B2 (ja) 門扉、フェンス等の面体の格子組み構造
KR100528012B1 (ko) 차량용 보조손잡이 고정브라켓
KR20100004849U (ko) 차량 시트레일용 고정레일의 엔드 캡
KR200216628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부 웨더스트립 장착구조
KR102440536B1 (ko) 내장판 고정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전동차의 내장판 결합 구조
KR102131014B1 (ko) 차량용 도어 트림과 도어 인너 벨트의 모듈화 구조
JP3985524B2 (ja) 車両外板の被覆部材
KR100717198B1 (ko) 도어트림 어셈블리의 상부트림과 상부레일 조립구조
KR200377578Y1 (ko) 자동차 내외장 판넬 조립용 클립
KR200148180Y1 (ko) 루프 몰딩 고정구조
JP6407846B2 (ja) 車両用取付部品
JPH0356128Y2 (ko)
KR20220056045A (ko) 도그하우스의 파스너 고정구조
KR100208205B1 (ko) 자동차의 루프 몰딩 고정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