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236A - 복합 필름, 뚜껑재, 및 내용물이 든 뚜껑 포함 용기 - Google Patents

복합 필름, 뚜껑재, 및 내용물이 든 뚜껑 포함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236A
KR20240007236A KR1020237042664A KR20237042664A KR20240007236A KR 20240007236 A KR20240007236 A KR 20240007236A KR 1020237042664 A KR1020237042664 A KR 1020237042664A KR 20237042664 A KR20237042664 A KR 20237042664A KR 20240007236 A KR20240007236 A KR 20240007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ester film
easily peelable
resin layer
fil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2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유리 신지
케이스케 아자미
시니치 코이즈미
료지 타니카와
Original Assignee
교도 인사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도 인사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도 인사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07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5/00Closures, end caps, stopp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전체 개봉하기 전에 부분 박리부에 있어서 개공을 형성할 수 있는 뚜껑재에 있어서, 개공을 형성하기 위한 박리시에 찢어짐이나 구멍이 불완전한 등의 문제 발생을 억제하고, 확실한 박리가 가능한 박리 강도를 실현하는 복합 필름, 당해 복합 필름으로 형성되는 뚜껑재, 및 내용물이 든 뚜껑 포함 용기를 제공한다. 뚜껑재를 형성하는 복합 필름으로서, 박리용이성 수지층 및 그 양면에 배치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특정한 구성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8a), 박리용이성 수지층(10), 및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8b)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복합 필름(1)에 있어서,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8a)은 그 양면 모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으며,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8b)은 적어도 박리용이성 수지층(10)과 접하는 면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박리용이성 수지층의 성분 및 조성을 특정한 범위의 것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 필름, 뚜껑재, 및 내용물이 든 뚜껑 포함 용기
본 발명은 복합 필름, 뚜껑재, 및 내용물이 든 뚜껑 포함 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재를 형성하기 위한 복합 필름, 당해 복합 필름으로 형성되는 뚜껑재, 및 내용물이 든 뚜껑 포함 용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이 뚜껑재는 전체를 제거하여 전체 개봉하기 전에,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개공을, 부분 박리부에 있어서 형성할 수 있는 뚜껑재여도 된다.
종래, 뚜껑부의 용기 내에 주탕한 후에 뜨거운 물을 제거함으로써 조리되는 야끼소바 등의 인스턴트 식품이나, 물을 배출하고 나서 취출되는 야채나 계란류의 조림 식품의 포장에는, 전체 개봉하기 전에 개공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 박리부를 갖는 뚜껑재가 적용되어 있다.
이러한 뚜껑재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있어서, 종이층/폴리에스테르층(PET층)/박리용이성 수지층/접착층/중간층/실란트층 구성의 적층체, 종이층/접착층/박리용이성 수지층/PET층/중간층/실란트층 구성의 적층체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있어서, 외면측으로부터, 종이층/폴리에스테르층/박리용이성 수지층/폴리에스테르층/배리어층/실란트층의 순서로 적층되어, 박리용이성 수지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는 어느 일방의 폴리에스테르층이 조면화 처리를 실시한 면을 통하여 박리용이성 수지층과 적층되어 있음과 함께, 타방의 폴리에스테르층과 박리용이성 수지층의 계면을 박리면으로 하여 박리 가능하고, 게다가 상기 종이층은 니스의 도포에 의해 경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재가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이 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박리용이성 수지층과의 사이의 계면에서 박리면을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층(PET층)에 있어서, 표면 젖음 장력이 3.5×10-2 N/m(35 dyn/cm)∼6.0×10-2 N/m(60 dyn/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표면 젖음 장력이 3.5×10-2 N/m 미만이면, 접착력이 지나치게 저하하여 부주의한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지고, 또한 6.0×10-2 N/m를 초과하면, 접착력이 지나치게 향상하여 박리용이성 수지층(10)과의 박리가 어려워진다.
이들 뚜껑재는 모두, PET층과 같은 폴리에스테르층과 박리용이성 수지층 간의 계면을 박리면으로 하여 박리함으로써, 뜨거운 물을 제거하거나 배출을 위한 개공을 형성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20580호 국제공개 제2012/073274호
종래, 뜨거운 물을 제거하거나 배출을 위한 개공을 형성하는 뚜껑재는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서, 개공을 형성하기 위한 박리시에 뚜껑재가 찢어지거나 박리면이 백탁하는 등에 의해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즉, 뜨거운 물을 제거하거나 배출을 위한 개공을 형성하는 뚜껑재에 있어서는, 박리 강도의 차이가 제품에 큰 영향을 미치며, 예를 들면, 박리 강도가 지나치게 강한 경우에는 뚜껑재가 찢어지며, 또한, 박리 강도가 지나치게 약한 경우에는 개공을 용이하게 출현시키지 못하고, 구멍이 불완전하거나 구멍의 탈락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전체 개봉하기 전에 부분 박리부에 있어서 개공을 형성할 수 있는 뚜껑재에 있어서, 개공을 형성하기 위한 박리시에, 찢어짐이나 구멍이 불완전한 등의 문제 발생을 억제하고, 확실한 박리가 가능한 박리 강도를 실현하는 복합 필름, 당해 복합 필름으로 형성되는 뚜껑재, 및 내용물이 든 뚜껑 포함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하였다. 그리고, 뚜껑재를 형성하는 복합 필름으로서, 박리용이성 수지층 및 그 양면에 배치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특정한 구성으로 하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양태 1》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박리용이성 수지층, 및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은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은 그 양면 모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은 적어도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과 접하는 면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어 있으며,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이 폴리에틸렌과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폴리에틸렌과 상기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합계에 대한 상기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비율이 1∼10 질량%이며, 또한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의 계면을 박리면으로 하여 박리가 가능한 복합 필름.
《양태 2》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과는 반대측, 또는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과는 반대측에 히트 시일층을 구비하는 양태 1에 기재된 복합 필름.
《양태 3》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과 접하는 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이 9.0 mN/m 이하인, 양태 1 또는 2에 기재된 복합 필름.
《양태 4》
상기 박리 후의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상기 박리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이 2.0 mN/m 이하인 양태 1 내지 3 중 어느 한 양태에 기재된 복합 필름.
《양태 5》
양태 1 내지 4 중 어느 한 양태에 기재된 복합 필름으로 성형된 뚜껑재.
《양태 6》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측으로부터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에 이르는 깊이의 제1 하프 컷,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측으로부터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과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계면에 적어도 달하는 깊이의 제2 하프 컷 및 제3 하프 컷, 그리고
주연부의 부분 박리용 탭,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하프 컷 및 상기 부분 박리용 탭이 부분 박리부의 외연을 획정하고 있으며,
상기 제2 하프 컷이 액체 유통 구멍의 외연을 획정하고 있고,
상기 제3 하프 컷이 부분 박리용 탭을 획정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액체 유통 구멍이 상기 부분 박리부 내에 배치되어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부분 박리용 탭을 잡고 상기 부분 박리부를 박리했을 때, 상기 액체 유통 구멍 이외의 지점에서는,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의 계면에서 박리되며, 또한 상기 액체 유통 구멍의 지점에서는,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의 계면에서 박리되지 않고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에 수반되어 제거되어, 상기 액체 유통 구멍을 형성하는 양태 5에 기재된 뚜껑재.
《양태 7》
수납부 및 플랜지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과,
양태 5 또는 6에 기재된 뚜껑재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재가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과는 반대측, 또는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과는 반대측에 히트 시일층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재가 상기 히트 시일층을 통하여 상기 플랜지부에 히트 시일되어 있는 내용물이 든 뚜껑 포함 용기.
본 발명의 복합 필름에 의하면, 전체 개봉하기 전에 부분 박리부에 있어서 개공을 형성할 수 있는 뚜껑재를 형성했을 때, 개공을 형성하기 위한 확실한 박리가 가능해지는 뚜껑재를 실현할 수 있다. 즉, 개공을 형성하기 위한 박리시에, 뚜껑재의 파손이나, 박리면이 백탁하는 등의 외관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필름 및 뚜껑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뚜껑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뚜껑재의 사용예의 설명도이다.
《복합 필름》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은 적어도,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박리용이성 수지층, 및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은 박리용이성 수지층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표면과 박리용이성 수지층이 특정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복합 필름에서는,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은 그 양면 모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고,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은 적어도 박리용이성 수지층과 접하는 면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어 있으며, 박리용이성 수지층이 폴리에틸렌과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폴리에틸렌과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합계에 대한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비율이 1∼10 질량%이다.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은 박리용이성 수지층, 및 그 양면에 배치하는 제1 및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을 이러한 특정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박리용이성 수지층의 계면에서 층간 박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박리용이성 수지층은 폴리에틸렌과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혼합 비율을 변경함으로써,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박리용이성 수지층 계면의 박리 강도를 컨트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함유율이 높은 경우에는, 박리 강도가 작아지고, 함유율이 어느 정도를 초과하면 층간 강도가 지나치게 약해져 의도하지 않는 박리가 발생하여, 적층을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함유율이 낮은 경우에는,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박리용이성 수지층 계면의 박리 강도가 커져, 박리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복합 필름에 있어서의 박리용이성 수지층은 폴리에틸렌과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합계에 대한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비율이 1∼10 질량%로 작고,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함유율이 비교적 낮다. 일반적으로는 이와 같은 경우, 박리 강도가 커져, 박리가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을, 그 양면 모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것으로 하고,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을, 적어도 박리용이성 수지층과 접하는 면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으로 함으로써,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박리용이성 수지층의 계면에서의 박리를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코로나 처리는 폴리머 필름의 표면에 있어서의 극성기를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인접하는 층과의 접착성을 개량하기 위해서 행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박리용이성 수지층의 계면에서의 박리를 행하는 경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박리용이성 수지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코로나 처리를 행하여 다른 층과의 접착을 개량하고, 또한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박리용이성 수지층측의 면에는 코로나 처리를 행하지 않은 채,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박리용이성 수지층의 계면에서의 박리를 촉진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본건의 발명자들은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을, 그 양면 모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것으로 함으로써, 박리용이성 수지에 있어서의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함유율이 비교적 낮은 경우에도,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박리용이성 수지층의 계면에서의 박리를 확실히 행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론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박리 용이 수지층과 반대측의 면에만 코로나 처리를 한 경우여도,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박리 용이 수지층측의 면에도, 코로나 처리가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뜨거운 물을 제거하거나 배출을 위한 개공을 형성하는 뚜껑재에 있어서는, 박리 강도의 차이가 제품에 큰 영향을 미치며, 예를 들면, 박리 강도가 지나치게 강한 경우에는 뚜껑재가 찢어지고, 한편, 박리 강도가 지나치게 약한 경우에는, 개공을 용이하게 출현시키지 못하고, 구멍이 불완전하거나 구멍의 탈락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개공을 형성하는 뚜껑재에 있어서는 원하는 박리 강도를 실현하기 위한 컨트롤이 중요한 사항이 되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적층체를 형성할 때는, 층간의 접착성을 확보하기 위한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어 있던 바, 본 발명자들은 원하는 박리 강도로부터의 작은 어긋남은 박리면이 아닌 측면에 대한 코로나 처리가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코로나 처리는 처리 장치나 처리 조건 등에 의해 편차가 발생하며 로트에 의해 차이가 생기는 경우가 많고, 이 때문에, 동일한 수지를 선정한 경우여도 상이한 박리 강도가 되어 컨트롤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에, 본 발명과 같이, 그 양면 모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용하면, 박리 강도에 편차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또한 코로나 처리 공정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생산 비용적으로도 유리해진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필름(1)은 외면측으로부터, 종이층(7),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8a), 박리용이성 수지층(10),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8b), 배리어층(11), 히트 시일층(12)의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로 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필름(1)은 종이층(7)에 인접하는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8a)과 박리용이성 수지층(10)의 계면이 박리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 계면이 박리시에 박리면(13)을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필름(1)은 박리면(13)을 경계로, 종이층(7)과, 종이층(7)에 인접하는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8a)이 외면층(9)을 구성하고, 박리용이성 수지층(10),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8b), 배리어층(11), 및 히트 시일층(12)이 내면층(14)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외면층(9)과 내면층(14)이 양자의 계면을 박리면(13)으로 하여,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은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박리용이성 수지층, 및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은 박리용이성 수지층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으면, 이들 이외의 층을 임의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필름(1)에 있어서는, 임의의 외면층(9)으로서 종이층(7)을 구비하고, 임의의 내면층(14)으로서 배리어층(11)과 히트 시일층(12)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을 구성하는 각각의 층의 두께 등은 복합 필름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이하, 각 층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은 본 발명의 복합 필름에 있어서 필수적인 구성층이다.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은 박리용이성 수지층에 인접하고, 박리용이성 수지층을 통하여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에 적층되는 층이다.
(재료)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재료가 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폴리시클로헥산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일반적인 수지여도 된다.
여기서,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재료가 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1종 단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의 조성물이어도 된다. 또한,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에는, 필요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외의 수지 등이나 첨가제 등이 소량, 예를 들면 20 질량% 이하, 10 질량% 이하, 5 질량% 이하, 또는 3 질량% 이하의 양으로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재료가 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후술하는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재료가 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을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동일한 경우에는, 코로나 처리의 유무에 의한 박리용이성 수지층과의 접착성을 보다 조정하기 용이해진다.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재료가 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다른 폴리에스테르 필름보다 저렴하며, 식품용 포재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재료라는 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필름에 있어서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재료로 하여 미리 성형된 필름으로 형성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미연신이어도 되고, 1축 또는 2축 연신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내열성 및 저수축성이라는 관점에서는, 2축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5 ㎛ 이상, 8 ㎛ 이상, 10 ㎛ 이상, 12 ㎛ 이상, 또는 15 ㎛ 이상이어도 되고, 30 ㎛ 이하, 25 ㎛ 이하, 또는 20 ㎛ 이하여도 된다. 5 ㎛ 이상이면, 포재로서 사용할 때 견딜 수 있는 강성을 복합 필름에 부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코로나 처리)
본 발명의 복합 필름에 있어서,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은 그 양면 모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복합 필름에 있어서,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은 인접하는, 특정한 성분 및 특정한 조성을 갖는 박리용이성 수지층에 접하는 면에 대해서도, 또한, 그 반대인 외면에 대해서도 코로나 처리는 실시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박리용이성 수지층에 접하는 면은 본 발명의 복합 필름에 있어서, 박리면이 되는 계면을 형성하는 면이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필름(1)에 있어서는,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8a)은 종이층(7)에 인접하는 면, 및 박리용이성 수지층(10)의 양면 모두, 코로나 처리는 실시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복합 필름(1)에 있어서는,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8a)과 박리용이성 수지층(10)의 계면이 박리면(13)이 된다.
(박리용이성 수지층과 접하는 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박리용이성 수지층과 접하는 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은 9.0 mN/m 이하여도 된다. 여기서, 이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의 값은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을 박리용이성 수지층에 적층하기 전의 값이다.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박리용이성 수지층과 접하는 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은 8.5 mN/m 이하, 8.0 mN/m 이하, 7.5 mN/m 이하, 7.25 mN/m 이하, 7.0 mN/m 이하, 6.75 mN/m 이하, 또는 6.5 mN/m 이하여도 된다. 또한, 이 값은, 2.0 mN/m 이상, 3.0 mN/m 이상, 4.0 mN/m 이상, 5.0 mN/m 이상, 또는 6.0 mN/m 이상이어도 된다.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을 박리용이성 수지층에 적층하기 전의,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박리용이성 수지층과 접하는 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이 상기의 범위이면, 전체 개봉하기 전에 부분 박리부를 박리하여 개공을 형성할 수 있는 뚜껑재를 형성했을 때, 확실한 박리가 가능해지는 박리 강도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해서,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을 박리용이성 수지층에 적층하기 전의,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박리용이성 수지층과 접하는 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은 장치로서, 더블 적정 핸디 접촉각·표면 자유 에너지 해석 장치 MSA(KRUSS사)를 이용하여, 물과 디요오도메탄의 접촉각을 측정하고, OWRK법(Owens, Wendt, Rebbel, Kaelble법)에 의해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을 해석하였다.
(박리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은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박리용이성 수지층의 계면을 박리면으로 하여 박리된다. 박리 후의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박리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은 2.0 mN/m 이하여도 된다.
박리 후의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박리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은 1.8 mN/m 이하, 1.6 mN/m 이하, 또는 1.5 mN/m 이하여도 된다. 또한, 이 값은 0.5 mN/m 이상, 1.0 mN/m 이상, 또는 1.25 mN/m 이상이어도 된다.
박리 후의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박리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이 상기의 범위이면, 전체 개봉하기 전에 부분 박리부를 박리하여 개공을 형성할 수 있는 뚜껑재를 형성했을 때, 확실한 박리가 가능해지는 박리 강도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해서, 박리 후의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박리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은 하기와 같이 하여 측정할 수 있다:
(1)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박리용이성 수지층의 계면에서 박리한다.
(2)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박리면을, 톨루엔으로 적신 헝겊(waste)을 이용하여, 힘을 넣지 않고 한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톨루엔에 의한 걸레질을 10회 실시한다.
(3) 톨루엔에 의한 걸레질 후에, 톨루엔을 건조시키기 위해 새로운 헝겊을 이용하여, 힘을 넣지 않고 한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10회 마른 걸레질을 실시한다.
(4) 마른 걸레질 후에, 더블 적정 핸디 접촉각·표면 자유 에너지 해석 장치 MSA(KRUSS사)를 이용하여 물과 디요오도메탄의 접촉각을 측정하고, OWRK법(Owens, Wendt, Rebbel, Kaelble법)에 의해,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의 해석을 행한다.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은 본 발명의 복합 필름에 있어서 필수적인 구성층이다.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은 박리용이성 수지층에 인접하고, 박리용이성 수지층을 통하여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에 적층되는 층이다.
(재료)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재료가 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기한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재료가 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동일하다.
(두께)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두께는 상기한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두께와 동일하다.
(코로나 처리)
본 발명의 복합 필름에 있어서,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은 적어도 박리용이성 수지층과 접하는 면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적어도 박리용이성 수지층과 접하는 면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어 있으면 되고, 양면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박리용이성 수지층>
박리용이성 수지층은 본 발명의 복합 필름에 있어서 필수적인 구성층이며, 상기한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사이에 위치하고, 이들 층을 서로 접착하는 층이다.
박리용이성 수지층은 폴리에틸렌과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이 소정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다. 박리용이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혼합물은 폴리에틸렌과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를 필수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있으면, 그 밖의 수지나 첨가제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정도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폴리에틸렌)
본 발명의 박리용이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으로는,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는, 가공이 용이하고, 저렴하며, 공급이 안정적이고, 또한, 식품 포장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지라는 등의 관점에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분기쇄를 포함하여, 메틸렌기의 반복 단위를 80 mol% 이상, 90 mol% 이상, 95 mol% 이상, 혹은 98 mol% 이상 포함하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반복 단위가 메틸렌기인, 밀도가 0.930 g/cm3 미만인 폴리에틸렌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박리용이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인 경우에는, 그 밀도는 0.925 g/cm3 이하, 또는 0.923 g/cm3 이하여도 되고, 0.870 g/cm3 이상, 0.875 g/cm3 이상, 0.880 g/cm3 이상, 0.900 g/cm3 이상, 0.910 g/cm3 이상, 또는 0.915 g/cm3 이상이어도 된다.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장쇄 혹은 단쇄의 분기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단쇄의 분기 구조는 탄소 원자수 4∼18, 4∼10, 또는 4∼8의 α-올레핀, 예를 들면 1-부텐, 1-헥센, 4-메틸펜텐-1, 1-옥텐 등에서 유래하는 분기 구조여도 된다.
본 발명의 박리용이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의 열특성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그 멜트 매스 플로우레이트가 온도 190℃또한 하중 21.18 N의 조건하에서, JIS K6922-1 및 -2, 및 JIS K7210-1에 준거하여 측정한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0.1 g/10 min 이상, 0.5 g/10 min 이상, 1.0 g/10 min 이상, 2.0 g/10 min 이상, 3.0 g/10 min 이상, 또는 5.0 g/10 min 이상이어도 되고, 100 g/10 min 이하, 50 g/10 min 이하, 30 g/10 min 이하, 20 g/10 min 이하, 또는 10 g/10 min 이하여도 된다.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는 고리형 올레핀이 모노머로서 이용된 중합체이며, 중합체의 주쇄 또는 측쇄에 포화 탄화 수소환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박리용이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로는, 적어도 1종의 고리형 올레핀과, 고리형 올레핀 이외의 적어도 1종의 비닐 화합물을 모노머로 하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는 고리형 올레핀의 적어도 1종과, 고리형 올레핀 이외의 비닐 화합물의 적어도 1종을 모노머로서 이용한, 부가 중합에 의한 고리형 올레핀계 랜덤 공중합체(COC)여도 되고, 축합환 골격에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적어도 1종과, 당해 화합물 이외의 불포화 화합물의 적어도 1종을 모노머로서 이용한, 개환 중합에 의한 고리형 올레핀 개환 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COP)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박리용이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가 부가 중합에 의한 고리형 올레핀계 랜덤 공중합체(COC)인 경우에는, 모노머가 되는 고리형 올레핀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시클로부텐, 3-메틸시클로부텐, 3,4-디이소프로페닐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1-메틸시클로펜텐, 3-메틸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시클로옥텐, 1-메틸시클로옥텐, 5-메틸시클로옥텐, 시클로옥타테트라엔, 시클로도데센 등의 단환 시클로올레핀이나, 테트라시클로도데센이나 노르보르넨 등의 다환 시클로올레핀, 및 이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또한, 고리형 올레핀계 랜덤 공중합체(COC)의 코모노머가 되는, 고리형 올레핀 이외의 비닐 화합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펜텐, 4-메틸-1-펜텐, 3-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및 1-데센 등의 α-올레핀, 시클로펜타디엔, 1,3-시클로헥사디엔, 1,4-시클로헥사디엔 등의 단환 디엔이나, 불포화 결합을 2개 갖는 노르보르넨환 등을 갖는 다환 디엔, 부타디엔이나 이소프렌 등의 직쇄 또는 분기의 디엔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박리용이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가 개환 중합에 의한 고리형 올레핀 개환 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COP)인 경우에는, 모노머가 되는 축합환 골격에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로는, 메타센스 중합 촉매에 의해 중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테트라시클로도데센, 노르보르넨, 혹은 이들의 유도체 등의 노르보르넨계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고리형 올레핀 개환 중합체의 코모노머가 되는, 축합환 골격에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 이외의 불포화 화합물로는, 메타센스 중합 촉매에 의해 중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한 고리형 올레핀계 랜덤 공중합체(COC)의 모노머가 되는 고리형 올레핀이나, 고리형 디엔, 주쇄에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단량체,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고리형 올레핀 개환 중합체는 주쇄에 탄소-탄소의 이중 결합(C=C)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수소 첨가를 실시하면, 주쇄의 이중 결합이 탄소-탄소의 단결합(C-C)이 된 수소 첨가물(COP)을 얻을 수 있다. 내열성, 내후성 등의 관점에서는, 적어도 주쇄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 수소 첨가된 중합체여도 된다.
(조성)
박리용이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혼합물에 있어서, 필수 성분인 폴리에틸렌과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조성은 폴리에틸렌과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합계에 대해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비율이 1∼10 질량%이다.
폴리에틸렌과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합계에 대한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비율은 2 질량% 이상, 3 질량% 이상, 4 질량% 이상, 5 질량% 이상, 6 질량% 이상, 7 질량% 이상, 8 질량% 이상, 또는 9 질량% 이상이면 되고, 10 중량% 미만, 9 질량% 이하, 8 질량% 이하, 7 질량% 이하, 6 질량% 이하, 5 질량% 이하, 4 질량% 이하, 3 질량% 이하, 또는 2 질량% 이하여도 된다.
(두께)
박리 용이 수지층의 두께는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의 안정적인 박리성을 얻음과 함께,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의 안정적인 접착성을 얻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12 ㎛ 이상, 14 ㎛ 이상, 16 ㎛ 이상, 18 ㎛ 이상, 20 ㎛ 이상, 22 ㎛ 이상, 또는 24 ㎛ 이상이면 되고, 30 ㎛ 이하, 28 ㎛ 이하, 26 ㎛ 이하, 24 ㎛ 이하, 22 ㎛ 이하, 또는 20 ㎛ 이하여도 된다.
<그 밖의 층>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은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박리용이성 수지층, 및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이외에, 그 밖의 층을 임의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 밖의 층은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박리용이성 수지층과는 반대측, 또는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박리용이성 수지층과는 반대측에 배치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1 또는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박리용이성 수지층과는 반대측의 최표면, 특히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박리용이성 수지층과는 반대측의 최표면에는 히트 시일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표면에 히트 시일층을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을 이용하여 포장체 등을 형성할 때, 복합 필름끼리, 또는 복합 필름과 다른 재료를 히트 시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또는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박리용이성 수지층과는 반대측의 최표면, 특히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박리용이성 수지층과는 반대측의 최표면에는 기재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은 복합 필름의 표층이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을 이용하여 포장체 등을 형성할 때, 포장체 등의 외층이 된다. 최내층에 히트 시일층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히트 시일하여 포장체 등을 형성할 때의 보호층도 될 수 있다. 나아가, 기재층에는 포장체 등의 내용물의 표시 등을 위한 인쇄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밖의 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기재층이나 히트 시일층 이외에, 예를 들면, 배리어성을 부여하기 위한 배리어층,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층, 혹은 층과 층 사이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 등을 들 수 있다. 도 1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필름(1)에 있어서는,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8a)과 종이층(7),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8b)과 배리어층(11)은 접착제층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8a)과, 박리용이성 수지층(10)과,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8b)은 샌드위치 라미네이트에 의해 서로 직접 접착되어 있다. 또한, 배리어층(11)과 히트 시일층(12)은 압출 라미네이트에 의해 서로 직접 접착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필름(1)에 있어서는, 그 밖의 층으로서,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8a)의 박리용이성 수지층(10)과는 반대측의 최표면에 종이층(7),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8b)의 박리용이성 수지층(10)과는 반대측에 배리어층(11)과 히트 시일층(12)이 배치되어 있다.
(기재층)
본 발명의 복합 필름에 있어서, 임의의 구성층인 기재층은 단층이어도 되고, 복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로 되어 있어도 된다.
기재층이 단층인 경우에는, 기재층은 수지, 특히 보호층이 되어, 인쇄가 가능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이어도 된다. 기재층이 수지층인 경우에는, 그 재료로는,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등의 폴리올레핀, 나일론-6, 나일론-66 등의 폴리아미드(PA),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수지는 1종 뿐만 아니라, 2종 이상이 블렌드되어 있어도 되고, 필요에 따라, 기능성 등을 부여하기 위한 첨가제 등이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기재층이 수지층인 경우에는, 미리 성형된 수지 필름을 적용해도 된다. 기재층이 되는 수지 필름은 상기의 수지 등으로 형성된 필름이면 되고, 미연신이어도 되며, 1축 또는 2축 연신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그 중에서는, 2축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기재층은 수지 이외를 재료로 하는 층, 예를 들면, 종이층 등이어도 된다. 종이층으로는, 예를 들면, 상질지, 코트지, 아트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종이층이 복합 필름의 최외층이 되는 경우에는, 종이층에는 그라비아 인쇄, 플렉소 인쇄 등의 인쇄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기재층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나, 산화규소, 산화알류미늄 등의 무기물이 증착된 무기물 증착막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염화비닐리덴 코트층, 폴리불화비닐리덴 코트층 등의 배리어 코트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나아가, 기재층이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그 표면을 조면화시키는 조면화 처리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기재층이 2층 이상의 적층체인 경우에는, 상기한 단층인 경우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수지 이외를 재료로 하는 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히트 시일층)
본 발명의 복합 필름에 있어서, 임의의 구성층인 히트 시일층은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을 이용하여 포장체 등을 형성할 때, 히트 시일에 이용되는 층이 된다. 이 때문에, 히트 시일층은 복합 필름의 최내층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히트 시일층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히트 시일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복합 필름으로 형성된 포장체 등에 충분한 시일 강도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공지된 재료를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아이오노머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용물이 충전되는 포장백 등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히트 시일층은 내용물을 충전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층이 된다. 이 때문에, 내내용물성을 부여하고 싶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트 시일층은 상기의 재료로부터 미리 성형된 필름을 이용하여 형성해도 되고, 히트 시일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를 용융하여 압출하고, 냉각 고화시켜 형성해도 된다.
또한, 히트 시일층을 구성하는 수지 등은 1종 뿐만 아니라, 2종 이상이 블렌드되어 있어도 되고, 필요에 따라, 기능성 등을 부여하기 위한 첨가제 등이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나아가, 히트 시일층은 단층이어도 되고, 복층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여기서, 히트 시일층은 사용시에 접합부의 개봉이 용이해지도록, 이지필성(개봉 용이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지필성을 갖는 히트 시일층으로 하면,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복합 필름으로부터 뚜껑재를 형성하고, 용기 본체와 열융착시켜 포장체를 형성한 경우에, 내용물을 취출하기 위한 개봉이 용이해진다.
(배리어층)
배리어층은 복합 필름에 배리어성을 부여하기 위한 층이다.
배리어층으로는, 예를 들면, 산소나 수증기 등의 가스를 차단하는 기능을 발현하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나일론(NY),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수지는 1종 뿐만 아니라, 2종 이상이 블렌드되어 있어도 되고, 필요에 따라, 기능성 등을 부여하기 위한 첨가제 등이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예를 들면, 무기물 증착막층, 금속박층, 유기물 코트층 등이어도 된다.
배리어층이 되는 무기물 증착막층으로는, 예를 들면, 실리카 증착막, 알루미늄 증착막, 알루미나 증착막, 실리카·알루미나 증착막 등을 들 수 있다.
배리어층이 되는 금속박으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구리박, 티타늄박 등의 금속박이나, 알루미늄 합금박, 스테인리스박 등의 합금박을 들 수 있다.
배리어층이 되는 유기물 코트층으로는, 염화비닐리덴 코트층, 폴리불화비닐리덴 코트층 등의 배리어 코트층이어도 된다.
배리어층으로서 무기물 증착막층 또는 유기물 코트층을 존재시키는 경우에는, 배리어층의 두께는 100 nm 이상, 200 nm 이상, 300 nm 이상, 500 nm 이상, 700 nm 이상, 또는 1 ㎛ 이상인 것이 강도 및 배리어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5 ㎛ 이하, 4 ㎛ 이하, 3 ㎛ 이하, 또는 2 ㎛ 이하인 것이 복합 필름을 포장재 등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취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배리어층으로서 금속박을 존재시키는 경우에는, 배리어층의 두께는 5 ㎛ 이상, 7 ㎛ 이상, 10 ㎛ 이상, 또는 15 ㎛ 이상인 것이 강도 및 배리어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100 ㎛ 이하, 80 ㎛ 이하, 60 ㎛ 이하, 55 ㎛ 이하, 50 ㎛ 이하, 45 ㎛ 이하, 40 ㎛ 이하, 또는 35 ㎛ 이하인 것이 복합 필름을 포장재 등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취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보강층)
보강층은 복합 필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층이다. 보강층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코트지, 아트지 등의 종이, 합성지,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보강층이 되는 종이 등을 복합 필름의 최표면에 존재시키는 경우에는, 그 표면에 그라비아 인쇄, 플렉소 인쇄 등의 인쇄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접착층)
접착층은 층과 층 사이에 존재하며, 층과 층을 접착하기 위한 층이다. 접착층으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아이오노머로 이루어지는 층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접착층은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드라이 라미네이트 접착제, 핫멜트 접착제, 수용성 접착제, 에멀션 접착제, 논솔벤트 라미네이트 접착제, 및 압출 라미네이트용의 열가소성 수지 등이어도 된다.
《복합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라이 라미네이션법, 핫멜트 라미네이션법, 압출(Extrusion) 라미네이션법, 및 샌드위치 라미네이션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복합 필름의 용도》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포장재로서 이용하여, 포장백이나 뚜껑재 등을 형성해도 된다.
<포장백>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은 포장재로서 이용하여, 포장백을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이 히트 시일층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시트 시일층을 서로 히트 시일함으로써, 삼방 시일백, 사방 시일백, 거싯 포장백, 필로 포장백 등을 형성할 수 있다.
<뚜껑재>
본 발명의 복합 필름으로부터는 뚜껑재를 성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의 상단 개구부를 밀봉하기 위한 뚜껑재가 될 수 있다.
(하프 컷)
본 발명의 복합 필름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뚜껑재는 하프 컷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하프 컷은 복합 필름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형성하면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을,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박리용이성 수지층의 계면을 박리면으로 하고, 개봉하기 전에 부분 박리부에 있어서 개공을 형성할 수 있는 뚜껑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측으로부터 박리용이성 수지층에 이르는 깊이의 제1 하프 컷과,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측으로부터 박리용이성 수지층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박리용이성 수지와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계면에 적어도 달하는 깊이의 제2 하프 컷 및 제3 하프 컷을 갖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제2 하프 컷 및 제3 하프 컷은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에 이르는 깊이여도 된다.
이러한 뚜껑재는 주연부에 개봉용 탭과 부분 박리용 탭을 구비하고, 제1 하프 컷 및 부분 박리용 탭이 부분 박리부의 외연을 획정하며, 제2 하프 컷이 액체 유통 구멍의 외연을 획정하고, 제3 하프 컷이 부분 박리용 탭을 획정한다. 그리고, 액체 유통 구멍이 부분 박리부 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분 박리용 탭의 근방에 적어도 1개의 제2 하프 컷, 및 제3 하프 컷을 구비시키고, 부분 박리용 탭의 양쪽 측면에 제2 하프 컷이 형성된 영역을 덮듯이, 주연부를 잇는 제1 하프 컷을 구비시킨다.
이에 의하면, 부분 박리용 탭을 잡고 부분 박리부를 박리했을 때, 액체 유통 구멍 이외의 지점에서는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박리용이성 수지층의 계면에서 박리되며, 또한 액체 유통 구멍의 지점에 있어서는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박리용이성 수지층의 계면에서 박리되지 않고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에 수반되어 제거되어, 액체 유통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필름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뚜껑재의 하프 컷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뚜껑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뚜껑재의 사용예의 설명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필름(1)은 도 2에 나타내는 뚜껑재(1)의 단면도이기도 하다. 복합 필름(1)의 각 층의 구성은 상기한 바와 같다.
도 2에 나타내는 뚜껑재(1)는 복합 필름(1)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합 필름(1)이 필요한 뚜껑의 형상으로 타발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른 뚜껑재(1)는 거의 원형을 이루는 주연의 일부가 바깥쪽으로 연장 돌출하여 개봉용 탭(2)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이 개봉용 탭(2)와는 반대측의 주연의 일부도 바깥쪽으로 연장 돌출되어, 부분 박리용 탭(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뚜껑재(1)는 부분 박리용 하프 컷으로서의 제1 하프 컷(5)과, 개공용 하프 컷으로서의 제2 하프 컷(4)과, 탭 형성용 하프 컷으로서의 제3 하프 컷(6)을 구비하고 있다.
뚜껑재(1)에 있어서, 개공용 하프 컷으로서의 제2 하프 컷(4)의 형상은 고리형으로 되어 있으며, 뚜껑재(1)에는 개공용 하프 컷으로서의 제2 하프 컷(4)이 2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합 필름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뚜껑재에 있어서는, 부분 박리용 탭은 개공용 하프 컷으로서의 제2 하프 컷의 형성 영역을 덮는 외면층(부분 박리부)을 용이하게 당겨 벗기기 위한 것으로, 제2 하프 컷의 형성 영역을 덮는 외면층(부분 박리부)의 외연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봉용 탭은 뚜껑재 전체를 봉지 대상인 용기 본체로부터 당겨 벗길 때, 뚜껑재를 용이하게 잡아당기기 위한 것으로, 개공용 하프 컷으로서의 제2 하프 컷의 형성 영역을 덮는 외면층(부분 박리부) 이외의 외면층의 외연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필름(1), 및 도 2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뚜껑재(1)에 있어서, 부분 박리용 하프 컷으로서의 제1 하프 컷(5)은 외면층(9), 즉 종이층(7) 및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8a)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박리면(13)에 이르는 깊이이며, 또한, 개공용 하프 컷으로서의 제2 하프 컷(4) 및 탭 형성용 하프 컷으로서의 제3 하프 컷(6)은 내면층(14), 즉 히트 시일층(12), 배리어층(11),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8b), 및 박리용이성 수지층(1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박리면(13), 즉 박리 용이 수지층과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계면에 이르는 깊이이다.
이 복합 필름(1)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뚜껑재(1)에서는, 제1 하프 컷(5) 및 부분 박리용 탭(3)이 부분 박리부의 외연을 획정하고 있다. 제2 하프 컷(4)이 액체 유통 구멍의 외연을 획정하고 있으며, 액체 유통 구멍이 부분 박리부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3 하프 컷(6)이 부분 박리용 탭(3)을 획정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부분 박리용 탭(3)을 잡고 부분 박리부를 박리했을 때, 액체 유통 구멍 이외의 지점에서는,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8a)과 박리용이성 수지층(10)의 계면에서 박리하여, 액체 유통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복합 필름(1) 및 뚜껑재(1)에 있어서, 개공용 하프 컷인 제2 하프 컷(4)의 형상은 고리형으로 되어 있으며, 이 제2 하프 컷(4)의 형성 영역의 외면층(9)을, 부분 박리용 하프 컷인 제1 하프 컷(5)에 의해, 내면층(14)으로부터 박리면(13)에서 박리했을 때, 제2 하프 컷(4)의 고리형 형상의 내측 부분이 외면층(9)에 부착된 상태로 수반 제거됨으로써, 개공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뚜껑재(1)의 사용예를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재(1)는 통상, 용기 본체(16)의 봉지에 이용된다. 도 3(a)는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이 수납된 용기 본체(16)의 플랜지부(17)에 뚜껑재(1)가 히트 시일된, 내용물이 든 뚜껑 첨부 용기이다. 도 3(a)에 나타내는 내용물이 든 뚜껑 첨부 용기에 있어서, 뚜껑재(1)는 내면층(14)의 최표면에 위치하는 히트 시일층(12)을 용기 본체(16)측으로 하여 용기 본체(16) 위에 씌워지고, 용기 본체(16)의 개구부 주연으로 장출된 플랜지부(17)에 히트 시일층(12)이 히트 시일되어 있다.
도 3(b)는 도 3(a)의 내용물이 든 뚜껑 첨부 용기를 전체 개봉하기 전에, 개공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분 박리용 탭(3)을 잡고 상방으로 끌어 올려 개공용 하프 컷인 제2 하프 컷(4)의 형성 영역을 덮는 외면층(9)(부분 박리부)을, 탭 형성용 하프 컷인 제3 하프 컷(6)을 통하여 그 밖의 영역의 외면층(9)으로부터 분리하고, 내면층(14)으로부터 박리하여 제거한다. 이 외면층(9)의 박리시에, 내면층(14)의 제2 하프 컷(4)의 고리형 형상의 내측 부분을 외면층(14)에 부착한 상태로 수반 제거함으로써, 개공(15)이 형성된다.
개공(15)의 형성 후, 개공(15)측으로 용기 본체(16)를 기울임으로써, 용기 본체(16) 내의 물 등의 액체를, 개공(15)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개공(15)의 크기를 내용물의 크기보다 작게 해 두는 것으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c)는 외면층(9)을 박리하여 개공(15)을 형성한 후에, 뚜껑 첨부 용기로부터 뚜껑재(1)를 제거하여 용기를 전체 개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봉용 탭(2)을 상방으로 끌어 올리고, 뚜껑재(1) 전체를 용기 본체(16)의 플랜지부(17)로부터 분리하여 용기 본체(16)의 개구부를 전개로 하고, 내용물을 취출한다.
여기서, 내용물이 인스턴트 야끼소바 등인 경우에는, 우선, 도 3(a) 상태에서 개봉용 탭(2)을 끌어 올려 용기 본체(16)의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열어, 속재료나 소스 등의 봉지를 용기 내부로부터 취출한다. 그 후에 주탕하고, 용기를 재봉한다. 그 후, 일정 시간 두고 나서, 도 3(b)와 같이 개공(15)을 형성하고, 개공(15)을 통하여 뜨거운 물을 제거하고, 이어서, 도 3(c)와 같이 용기 본체(16)의 개구부를 전개로 하고, 속재료나 소스 등을 투입한다.
본 발명의 복합 필름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뚜껑재에 있어서는, 개공용 하프 컷인 제2 하프 컷의 형상은 고리형으로 되어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원형 외에, 타원형,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계란형, 삼각형, 사각형, 5각형 이상의 다각형 등,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개공용 하프 컷의 고리형 형상의 내측 부분을, 외면층에 부착한 상태로 수반 제거할 때에 걸림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모서리가 없는 원형, 타원형,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계란형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하프 컷은 단수여도 되고 복수여도 되지만, 내용물을 유출시키지 않는 크기로서 액체를 배출하기 쉽게 하기 위해, 복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분 박리용 하프 컷인 제1 하프 컷은 통상, 연속적인 선상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면, 퍼포레이션 형상이나 단속(斷續) 라인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탭 형성용 하프 컷인 제3 하프 컷은 부분 박리용 탭을 잡고 상방으로 끌어 올렸을 때, 외면층과 내면층의 계면에 인장력을 작용시키기 위해, 부분 박리용 탭의 기부를 횡단하여, 내면측으로부터 개공용 하프 컷인 제2 하프 컷과 동일한 깊이로 형성해도 된다.
<내용물이 든 뚜껑 포함 용기>
내용물이 든 뚜껑 포함 용기는 용기 본체와, 내용물과, 본 발명의 복합 필름으로 형성된 뚜껑재를 구비한다.
(용기 본체)
내용물이 든 뚜껑 포함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용기 본체는 수납부 및 플랜지부를 가진다.
용기 본체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복합 필름으로 형성된 뚜껑재의 히트 시일층을 히트 시일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면, 수지로 표면이 코팅된 종이제의 용기, 또는 수지제의 용기 등을 들 수 있다.
{수납부}
수납부는 내용물이 수납되어 있는 부분이다. 이 부분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대략 원뿔 사다리꼴, 다각 피라미드 사다리꼴, 직방체형, 입방체형 등이어도 된다.
{플랜지부}
플랜지부는 용기 본체의 수납부의 상단 개구부 주연의 부분이다.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차양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플랜지부의 외주의 형상은 뚜껑재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용기 본체가 종이제인 경우에는, 플랜지부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에 의한 코팅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내용물)
내용물은 수납부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다. 내용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즉석면, 냉장 식품, 냉동 식품 등의 가열식 식품, 또는 스넥 과자, 구미 캔디, 음료 등의 비가열식 식품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및 비교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재료>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는, 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이하를 준비하였다.
(1) 종이층
·종이(평량: 80 g/m2)
(2)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PET 필름 1(A사, 두께: 12 ㎛)
·PET 필름 2(B사, 두께: 12 ㎛)
·PET 필름 3(C사, 두께: 8 ㎛)
·PET 필름 4(D사, 두께: 12 ㎛)
(3) 박리용이성 수지층
이하의 폴리에틸렌과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를 이용하여, 폴리에틸렌과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합계에 대한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비율이 10 질량% 미만이 되는 혼합물을 제작하였다.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
(4)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PET 필름 3(C사, 두께: 8 ㎛)
(5) 알루미늄층
·알루미늄박(두께: 6.5 ㎛)
(6) 히트 시일층
·이지필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실시예 1∼3, 비교예 1∼4》
<복합 필름의 제작>
표 1에 나타내는 재료를 이용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종이층//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박리용이성 수지층/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알루미늄층/히트 시일층)의 적층 구성이 되는 복합 필름을 제작하였다. 여기서, 드라이 라미네이트로 첩합한 부분을 「//」으로 나타내었다.
여기서, 실시예 1∼3에서는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이 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양면 모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것을 이용하였다. 대응하는 비교예 1∼3, 및 비교예 4에서는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이 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한쪽 면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고,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면을 종이층측의 면으로 하며, 또한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면을 박리용이성 수지층측의 면으로 하여 복합 필름을 제작하였다.
또한,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이 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해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부에 있어서, 그 양면에 대해서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였다.
1. 종이층과,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이 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트에 의해 첩합하여, (종이층//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로는, 2액 경화형 드라이 라미네이트 접착제를 이용하고, 도포량은 2.5 g/m2로 하였다.
2. 알루미늄층이 되는 알루미늄박과,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이 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트에 의해 첩합하여,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알루미늄층)의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로는, 2액 경화형 드라이 라미네이트 접착제를 이용하고, 도포량은 2.5 g/m2로 하였다.
3. 상기에서 제작한 (종이층//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적층체와,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알루미늄층)의 적층체 사이에, 박리용이성 수지층이 되는 조성물을 사이에 끼워 샌드위치 라미네이트하여, (종이층//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박리용이성 수지층/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알루미늄층)의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박리용이성 수지층의 두께는 20 ㎛가 되도록 하였다.
4. 알루미늄층 위에, 히트 시일층의 재료가 되는 이지필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두께 20 ㎛가 되도록 압출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종이층//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박리용이성 수지층/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알루미늄층/히트 시일층)의 적층 구성이 되는 복합 필름을 얻었다.
<뚜껑재의 제작>
얻어진 복합 필름을 잘라 내고, 필요한 하프 컷을 실시하여 도 2에 나타내는뚜껑재를 제작하였다.
<뚜껑 첨부 용기의 제작>
얻어진 뚜껑재를, 발포 폴리스티렌 컵(플랜지폭: 6 mm, 개구 내경: 사방 157 mm)에 가열한 히트 시일 바를 이용하여, 히트 시일폭 5 mm, 온도 130℃, 압력 0.3 Mpa, 시간 0.3초의 조건으로 히트 시일하여, 뚜껑 첨부 용기를 제작하였다.
《평가》
(급탕 후 개공 형성 시험)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에서 제작한 뚜껑 첨부 용기에 대해, 개봉용 탭을 잡고 끌어 올려 1/3 정도 개봉한 후에 98℃의 뜨거운 물을 따르고, 탭을 절곡시켜 재봉하였다. 재봉의 3분 후에, 부분 박리용 탭을 잡고 끌어 올려 부분 박리부를 그 밖의 영역의 외면층으로부터 분리하고, 내면층으로부터 박리하여 개공을 형성하였다. 박리시에 종이층의 파괴, 박리면의 백탁이 없는지에 대해,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평가 기준을 이하에 나타낸다.
○: 부분 박리부의 종이층이 내면층에 남지 않으며, 또한 내면층의 박리면에 백탁이 없었다
×: 부분 박리부의 종이층이 내면층에 남거나, 혹은 내면층의 박리면이 백탁되었다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박리용이성 수지층과 접하는 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의 해석)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의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으로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해,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의 해석을 행하였다. 장치로서, 더블 적정 핸디 접촉각·표면 자유 에너지 해석 장치 MSA(KRUSS사)를 이용하여, 물과 디요오도메탄의 접촉각을 측정하고, OWRK법(Owens, Wendt, Rebbel, Kaelble법)에 의해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을 해석하였다.
(박리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의 해석)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에서 제작한 뚜껑을,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박리용이성 수지층의 계면에서 박리하였다.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박리면을 톨루엔으로 적신 헝겊을 이용하여, 힘을 넣지 않고 한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톨루엔에 의한 걸레질을 실시하였다. 걸레질은 각 뚜껑에서 각각 10회 실시하고, 뚜껑마다 새로운 헝겊을 이용하였다.
톨루엔에 의한 10회 걸레질 후, 톨루엔을 건조시키기 위해, 마른 걸레질을 행하였다. 마른 걸레질은 새로운 헝겊을 이용하여, 힘을 넣지 않고 한방향으로 움직여, 각 뚜껑에서 각각 10회 행하였다. 마른 걸레질 후의 각 뚜껑에 대해,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의 해석을 행하였다.
Figure pct00001
1: 복합 필름
2: 개봉용 탭
3: 부분 박리용 탭
4: 제2 하프 컷
5: 제1 하프 컷
6: 제3 하프 컷
7: 종이층
8a: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8b: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9: 외면층
10: 박리용이성 수지층
11: 배리어층
12: 히트 시일층
13: 박리면
14: 내면층
15: 개공
16: 용기 본체
17: 플랜지부

Claims (7)

  1.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박리용이성 수지층, 및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은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은 그 양면 모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은 적어도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과 접하는 면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어 있으며,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이 폴리에틸렌과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폴리에틸렌과 상기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합계에 대한 상기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의 비율이 1∼10 질량%이며, 또한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의 계면을 박리면으로 하여 박리가 가능한 복합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과는 반대측, 또는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과는 반대측에 히트 시일층을 구비하는 복합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과 접하는 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이 9.0 mN/m 이하인 복합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후의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상기 박리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의 극성 성분이 2.0 mN/m 이하인 복합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복합 필름으로 성형된 뚜껑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측으로부터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에 이르는 깊이의 제1 하프 컷,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측으로부터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과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계면에 적어도 달하는 깊이의 제2 하프 컷 및 제3 하프 컷, 그리고
    주연부의 부분 박리용 탭,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하프 컷 및 상기 부분 박리용 탭이 부분 박리부의 외연을 획정하고 있으며,
    상기 제2 하프 컷이 액체 유통 구멍의 외연을 획정하고 있고,
    상기 제3 하프 컷이 상기 부분 박리용 탭을 획정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액체 유통 구멍이 상기 부분 박리부 내에 배치되어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부분 박리용 탭을 잡고 상기 부분 박리부를 박리했을 때, 상기 액체 유통 구멍 이외의 지점에서는,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의 계면에서 박리되며, 또한 상기 액체 유통 구멍의 지점에서는,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의 계면에서 박리되지 않고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에 수반되어 제거되어, 상기 액체 유통 구멍을 형성하는 뚜껑재.
  7. 수납부 및 플랜지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과,
    제5항 또는 제6항의 뚜껑재
    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재가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과는 반대측, 또는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상기 박리용이성 수지층과는 반대측에 히트 시일층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재가 상기 히트 시일층을 통하여 상기 플랜지부에 히트 시일되어 있는 내용물이 든 뚜껑 포함 용기.
KR1020237042664A 2021-06-14 2022-06-01 복합 필름, 뚜껑재, 및 내용물이 든 뚜껑 포함 용기 KR202400072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98910A JP6987288B1 (ja) 2021-06-14 2021-06-14 複合フィルム、蓋材、及び内容物入り蓋付容器
JPJP-P-2021-098910 2021-06-14
PCT/JP2022/022345 WO2022264815A1 (ja) 2021-06-14 2022-06-01 複合フィルム、蓋材、及び内容物入り蓋付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236A true KR20240007236A (ko) 2024-01-16

Family

ID=79193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2664A KR20240007236A (ko) 2021-06-14 2022-06-01 복합 필름, 뚜껑재, 및 내용물이 든 뚜껑 포함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87288B1 (ko)
KR (1) KR20240007236A (ko)
CN (2) CN115535465B (ko)
TW (1) TW202335850A (ko)
WO (1) WO20222648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627B1 (ko) * 2021-03-02 2021-07-21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0580A (ja) 2006-05-30 2007-12-13 Kyodo Printing Co Ltd 液体通過孔を形成可能な蓋材及びそれを用いた容器
WO2012073274A1 (ja) 2010-11-30 2012-06-07 共同印刷株式会社 蓋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3190B2 (ja) * 2002-06-04 2010-03-03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の包装袋材料
JP4825587B2 (ja) * 2006-05-30 2011-11-30 共同印刷株式会社 圧力弁機能を有する蓋材及びこれを用いた容器
JP2014125263A (ja) * 2012-12-27 2014-07-07 Kyodo Printing Co Ltd 蓋材
JP6598697B2 (ja) * 2016-01-29 2019-10-30 共同印刷株式会社 剥離部付き蓋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0580A (ja) 2006-05-30 2007-12-13 Kyodo Printing Co Ltd 液体通過孔を形成可能な蓋材及びそれを用いた容器
WO2012073274A1 (ja) 2010-11-30 2012-06-07 共同印刷株式会社 蓋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87288B1 (ja) 2021-12-22
WO2022264815A1 (ja) 2022-12-22
CN115535465B (zh) 2023-10-31
TW202335850A (zh) 2023-09-16
JP2022190539A (ja) 2022-12-26
CN217171661U (zh) 2022-08-12
CN115535465A (zh) 2022-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904B1 (ko) 뚜껑재
JPWO2012008064A1 (ja) 液体排出孔を備えた蓋材
EP2223865A1 (en) Display strip
KR20240007236A (ko) 복합 필름, 뚜껑재, 및 내용물이 든 뚜껑 포함 용기
RO110441B1 (ro) Folie stratificata, din material plastic
JP2000219278A (ja) 湯切り口付剥離性蓋材
JP2014118162A (ja) 剥離できる蓋材及びその蓋材を有する容器
JP4843865B2 (ja) 蓋材
JP4456824B2 (ja) 易開封性多層フィルム、当該フィルムからなる蓋材及び包装体
JP6516637B2 (ja) 剥離部付き透明蓋材
JP2006290438A (ja) 易開封性深絞り包装体
JP5510215B2 (ja) 蓋材
JP2014043248A (ja) 蓋材
JP4120330B2 (ja) 湯切り機能付蓋材
JP4976033B2 (ja) 袋状容器用注出具
JP2006027621A (ja) 蓋材
JP4644931B2 (ja) 湯切り機能付蓋材
JP6289209B2 (ja) 剥離部付き蓋材の製造方法
JP2014125263A (ja) 蓋材
JP6320268B2 (ja) 蓋材形成用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240952B2 (ja) 即席食品容器用湯切孔付蓋材
JP4103479B2 (ja) 即席食品容器用湯切孔付蓋材
WO2022239700A1 (ja) 複合フィルム、蓋材、及び内容物入り蓋付容器
JP2672856B2 (ja) 易開封性密封容器
JP2013067733A (ja) 易開封性ヒートシール材用樹脂組成物、易開封性ヒートシール材およびレトルト食品用包装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