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028A - 작약씨로부터 항산화 기능성을 위한 트란스-레스베라트롤 성분의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작약씨로부터 항산화 기능성을 위한 트란스-레스베라트롤 성분의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028A
KR20240007028A KR1020220084056A KR20220084056A KR20240007028A KR 20240007028 A KR20240007028 A KR 20240007028A KR 1020220084056 A KR1020220084056 A KR 1020220084056A KR 20220084056 A KR20220084056 A KR 20220084056A KR 20240007028 A KR20240007028 A KR 20240007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
resveratrol
peony seeds
methanol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피알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피알브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피알브레인
Priority to KR1020220084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7028A/ko
Publication of KR20240007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02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7/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7/68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 C07C37/7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by phys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9/00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9/205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polycyclic,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with unsaturation outside the rings
    • C07C39/21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polycyclic,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with unsaturation outside the rings with at least one hydroxy group on a non-condensed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5Extraction with lipophilic solvents, e.g. Hexane or petrol e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5Liquid-liquid separation; Phase sepa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된 작약씨로부터 트란스-레스베라트롤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트란스-레스베
라트롤 성분은 작약씨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항암, 항염증, 항혈전, 항고지혈증 및 항산화 작용이 우수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조된 작약씨를 핵산으로 탈지하여 얻은 잔사를 메탄올로 열탕 추출하고 여과ㆍ농축한 후 다이아이온 에
이치피-20로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얻어진 60% 수용성 메탄올 추출물을 세파덱스 엘에이치-20로
칼럼크로마토그래피 및 분취-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순수한 트란스-레스베라트롤 성분을 추출
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작약씨로부터 항산화 기능성을 위한 트란스-레스베라트롤 성분의 추출방법{EXTRACTION METHOD OF TRANS-LESVERATOL COMPONENT FOR ANTIOXIDATION FUNCTIONALITY FROM PUNCTIONAL SEED}
[0002] 본 발명은 건조된 작약씨로부터 트란스-레스베라트롤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란스-레스베라트롤(trans-resveratrol; 3,5-dihydroxy- 4'-hydroxystilbenzene) 성분은 작약씨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항암, 항염증, 항혈전, 항고지혈증 및 항산화 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작약 (芍藥, 영명: Peony, 생약명: Paeoniae radix)은 미나리아재비과 (Ranuculaceae) [0003] 작약속 (Paeonia)
에 속하는 약용작물로서 초본인 작약과 목본인 모란으로 구분된다(윤평섭, 한국원예식물도감, 1995) 국내
에서 재배되는 작약은 식물 분류면에서 적작약 (Paeonia lactiflora Pall), 백작약(Paeonia obovata
Max) 및 산작약 (Paeonia japonica Miyabe et Takeda)으로 구분되며 국내에서는 적작약의 변종이 주로
재배되고 있다(윤평섭, 한국원예식물도감, 1995)
[0004] 작약은 국내에서 인삼, 당귀 다음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약용작물로서 첩약을 비롯한 쌍화탕, 사물
탕, 당귀작약산, 계지가작약탕, 작약감초탕, 우황청심환, 소청룡탕 등의 생약제제의 원료로서 널리 이용되
고 있다(본초학, 이상인, 1980) 작약의 국내 재배 규모는 더덕, 당귀, 도라지, 두충, 황기와 더불어 6대
주요 약용작물로서 그 생산량은 2,026 M/T (1998년 기준)으로 다른 약용작물에 비해 수요량이 큰 작물(특
용작물생산실적, 농림부통계, 1999) 중의 하나이다.
[0005] 한편, 최근 값싼 중국산 적작약이 대규모로 국내에 수입되면서 국내 작약 재배 농가의 큰 감소로 생산기반
그 자체가 존폐위기에 놓여 있으며, 아울러 대외 수출 경쟁력이 크게 둔화되고 있다. 따라서 수입 국외 작
약과 경쟁력이 있는 고품질의 품종 개발과 더불어 현재 미활용 상태로 폐기되고 있는 작약씨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0006] 작약뿌리는 예로부터 진통, 진경, 진해, 부인약, 고혈압 및 염증 치료제로 널리 이용되어져 왔으며 그 주
된 활성성분으로서 페오니프로린(paeoniflorin), 알비프로린(albiflorin)을 포함한 여러 가지의 모노터펜
글루코사이드(monoterpene glucoside)와 페놀산 및 탄닌 등이 잘 알려져 있다(생약학, 한대석, 1998) 그
러나 작약씨는 지금까지 종자 번식용으로 사용되어 왔을 뿐 약제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이용방안의 하나로서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을 검색하는 데 있다.
[0007] 레스페라톨은 나자식물 및 쌍자엽식물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식물체 중에서 유리상태로 존재하기도
하나, 대부분 당류와 결합된 배당체의 형태로 존재한다 (Gorham, J, Prog Phytochem, 6: 203-209,
1980) 그리고 레스베라트롤은 cis형과 trans형이 있으며, 자연계에서는 몇몇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안정한
trans 이성질체로 존재한다(Trela, BC & Waterhouse, AL, J Agric Food Chem, 44(5): 1253-1257,
1996)
[0008] 트란스-레스베라트롤은 항암 (Jang M, et al, Sci, 275: 218-220, 1997) 뿐만 아니라 항혈전 (Chung,
ML et al, Planta Med, 58: 274-276, 1992; Frankel, EN et al, Lancet, 341: 1103-1104, 1993;
Bertrlli, AAE et al, Int J Tissue React, 17: 1-3, 1995; Pae-Asciak, CR et al, Clin
Chim Acta, 235: 207-219, 1995), 항염증 (Kimura, Y et al, Biochim Biophys Acta, 834: 275-
278, 1985) 및 고지혈증 (Arichi, H, et al, Chem Pharm Bull, 30(5): 1766-1770, 1982) 예방 효과가
있는 생리활성물질로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최근 트란스-레스베라트롤은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 유사작
용이 밝혀지면서 피토에스트로겐 (phytoestrogen)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Gehm, BD et al, Proc
Natl Acad Sci, 94: 14138-14143, 1997) 한편, 레스베라트롤 유도체는 피부 멜라닌(melanin) 색소의
합성을 촉진하는 티로시나제 효소의 강력한 저해제로서 피부 미백효과가 우수한 물질로 보고되어 있다
(Iida, K et al, Planta Med, 61: 425-428, 1995; Shimizu K et al, Planta Med, 64: 408-412,
1998) 이러한 트란스-레스베라트롤의 치료효과는 이를 함유한 식물체의 생리적ㆍ약리적 작용에서 찾아볼
수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대표적인 트란스-레스베라트롤 함유 생약 및 식품으로서는 호장근, 대황, 포도
및 땅콩 등이 잘 알려져 있다(Ingham, JL, Phytochem, 15: 1791-1793, 1976; Kimura, Y et al,
Planta Med, 49: 51-54, 1983; Kashiwada, Y, et al, Chem Pharm Bull, 32(9): 3501-3517, 1984;
Jayatilake, GS, et al, J Natural Products, 56(10): 1805-1810, 1993) 특히 포도에서 발견된 트란
스-레스베라트롤은 당도 높은 포도가 곰팡이와 같은 감염균으로부터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해 생산하는
방어물질, 즉 피토알렉신 (phytoalexin) 물질로 잘 알려져 있으며(Langcake, P, Pryce, RJ, Physiol
Planta Pathol, 9: 77-86, 1976), 백포도 보다 적포도 껍질에 많이 함유되어 있기에 적포도주를 즐겨 마
시는 사람은 심장병에 의한 사망률이 낮는 사실과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Goldberg,
DM, et al, Am J Enol Vitic, 46(2): 159-165, 1995; Jeandet, P, et al, J Phytopathology
143: 135-139, 1995)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은 아직까지 발표된바 없는 새로운 기술이다.
[0009] 본 발명은 생리학적ㆍ약리학적 작용을 지니고 있는 트란스-레스베라트롤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미활용 식
물종자로부터 새로운 항염증 물질을 찾아내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약 30종의 국내산 식물종자의 메탄올
추출물을 조제하여 그들의 리폭시게나제(콩유래) 저해작용을 측정한 결과 작약뿌리와 달리 작약씨추출물은
매우 강한 리폭시게나제 저해작용을 보였다. 따라서 작약씨 추출물로부터 리폭시게나제 저해제를 분리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지금까지 작약뿌리 및 종자에서 발견되지 않은 생리활성물질인 트란스-레스베라트롤 성
분이 다량으로 들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기능성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트란스-
레스베라트롤을 순수 분리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0010] 본 발명은 건조 작약씨를 고르게 분쇄한 후 노르말 핵산으로 2시간 환류냉각 장치가 부착된 추출장치에서
탈지한 다음 잔사에 80% 수용성 메탄올 가하여 2시간 열탕 추출한 다음 여과 농축한다. 여기에 10% 메탄올
용액을 가하여 가용화한 후 다이아이온 헤이치피-20 칼럼에 흡착시킨 후 60% 수용성 메탄올용액으로 추출
하는 제 1공정과 60% 수용성 메탄올 추출물을 농축한 후 다시 세파덱스 엘에이치-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하여 트란스-레스베라트롤을 분리하는 제 2공정으로 구성된 작약씨의 트란스-레스베라트롤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약씨에 함유된 트란스-레스베라트롤 성분을 고수율로 순수 분리하여 항암, 항염증, 항혈전,
항고지혈증 및 항산화용 의약품, 화장품 및 기능성식품의 원료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획물인 [0001] 트란스-레스베라트롤의 구조식이다.
도 2는 분취-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된 4가지 분획물중 2번째 피이크가 트란스-레스베라트롤
이다.
도 3은 수소-핵자기공명분광기로 트란스-레스베라트롤을 측정한 것이다.
도 4는 탄소-핵자기공명분광기로 트란스-레스베라트롤을 측정한 것이다.
도 5는 질량분석기로 트란스-레스베라트롤을 측정한 것이다.
*루테올린(Luteolin), 캄페롤(Kaempferol), 퀘세틴(Quercetin), 미리세틴 (Myricetin), 카테콜
(Catechol), 레소시놀(Resorcinol) 노르디하이드로구아이아레산(NDGA) 등은 참고 분획물로 사용하였음.
*IC50값은 선회귀(Liner regression) 분석에 의해 계산하였음.

Claims (3)

  1. 건조된 작약씨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노르말 핵산으로 탈지하여 지방을 제거하는 단계와, 잔사에 메탄올을
    가하여 80℃로 가열하고 추출한 후 감압ㆍ농축하는 단계와, 전기의 농축물을 다이아이온 에이치-20를 이용
    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는 단계와, 전기의 추출물을 세파덱스 엘에이치 20 칼럼을 이용하여 분
    리한 후 재결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약씨로부터 트란스-레스베라트롤 성분의 추출
    방법.
  2. 건조된 작약씨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노르말 핵산으로 탈지하여 지방을 제거하는 단계와, 잔사에 메탄올을
    가하여 가열하고 추출한 후 감압ㆍ농축하는 단계와, 전기의 농축물에 에테르를 넣고 에테르 및 수층으로
    분획한 후 에테르층을 감압농축하는 단계와, 전기의 에테르층을 순차적으로 실리카겔, 세파덱스 엘에이치
    20 칼럼 및 분취-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한 후 재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작약씨로부터 트란스-레스베라트롤 성분의 추출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용매를 메탄올 대신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약씨로부터 트란스-
    레스베라트롤의 추출방법.
KR1020220084056A 2022-07-07 2022-07-07 작약씨로부터 항산화 기능성을 위한 트란스-레스베라트롤 성분의 추출방법 KR20240007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056A KR20240007028A (ko) 2022-07-07 2022-07-07 작약씨로부터 항산화 기능성을 위한 트란스-레스베라트롤 성분의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056A KR20240007028A (ko) 2022-07-07 2022-07-07 작약씨로부터 항산화 기능성을 위한 트란스-레스베라트롤 성분의 추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028A true KR20240007028A (ko) 2024-01-16

Family

ID=89719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056A KR20240007028A (ko) 2022-07-07 2022-07-07 작약씨로부터 항산화 기능성을 위한 트란스-레스베라트롤 성분의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70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o et al. Rhodomyrtus tomentosa (Aiton.): A review of phytochemistry, pharmacology and industrial applications research progress
CN1271083C (zh) 从竹子中提取的三萜总皂甙元的组成、方法及其用途
CN110574927B (zh) 一种抗糖化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09256270A (ja) インスリン様成長因子−1発現促進剤
JP6929954B2 (ja) モリンガ葉抽出物及び杜仲抽出複合物の抗菌、抗酸化、抗炎症、歯槽骨消失の抑制及び再生による歯肉炎及び歯周炎の改善方法
JP7471393B2 (ja) 呼吸器疾患の予防、改善又は効果がある茶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薬学組成物
Tilahun et al. Pharmacological potential of cactus pear (Opuntia ficus Indica): A review
JP2009256272A (ja) Atp産生促進剤および表皮細胞賦活化剤
Nigussie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Roots of Rumex nervosus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Sun et al. Schisandra chinensis, Five Flavor Berry,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a Super-Fruit from North Eastern China.
KR100313323B1 (ko) 작약씨로부터 트란스-레스베라트롤 성분의 추출방법
KR20130093371A (ko) 항고혈압, 항당뇨 및 항노화성 플라보노이드 함유 뽕나무 잎 추출물의 신규한 제조 방법 및 그 산물
Das Moringa oleifera (Lamm.): A plant with immense importance
KR20240007028A (ko) 작약씨로부터 항산화 기능성을 위한 트란스-레스베라트롤 성분의 추출방법
KR20170056830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42437B1 (ko)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871318B1 (ko) 밤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Liu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a naturally occurring iridoid: catalpol
KR20200086207A (ko) 노린재나무 속 식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izadehdakhel et al. An environmental friendly process for extraction of active constituents from herbal plants
KR20140123836A (ko) 알콜성 간 독성 억제 효과가 있는 오미자농축액 제조방법
KR102217551B1 (ko) 오리나무 속 식물로부터 오레고닌을 고함량 포함하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Gomes da Silva et al. Stressing conditions as tools to boost the biosynthesis of valuable plant natural products
Dhua et al. Moringa oleifera (Sajina or Drumstick) a Natural Herbal Plant as a Super Food for All Purpose-A Review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