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861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06861A KR20240006861A KR1020220083662A KR20220083662A KR20240006861A KR 20240006861 A KR20240006861 A KR 20240006861A KR 1020220083662 A KR1020220083662 A KR 1020220083662A KR 20220083662 A KR20220083662 A KR 20220083662A KR 20240006861 A KR20240006861 A KR 202400068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king
- fan
- discharge port
- cooking space
- provid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5—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electrically-hea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3—Details moisturising of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조리물이 수용되는 조리공간을 제공하는 조리공간제공부; 상기 조리공간제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공간제공부에 수용된 상기 피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모듈; 및 복수 개의 조리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모듈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모듈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상기 팬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조리공간제공부의 상기 조리공간 내에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하는 제1 팬; 상기 피조리물이 조리되면서 발생된 증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다.
조리기기는 가정, 사무실 또는 식당에서 음식을 조리하는데 있어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조리기기는 피조리물을 가열하는 기능, 교반하는 기능 및 분쇄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리기기는 가열 기능, 교반 기능 및 분쇄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이용해 내부에 담긴 피조리물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피조리물을 수용할 수 있는 조리공간제공부 및 조리공간제공부에 수용된 피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리모듈은 조리공간제공부 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스팀을 분사하는 수분조절부, 피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열을 조리공간제공부로 내에서 유동시키기 위한 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리기기는 피조리물에서 발생된 증기를 외부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조리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요리의 종류가 제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조리기기는 피조리물의 표면을 촉촉하게 조리할 수 있으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으므로, 피조리물의 표면을 건조하게 조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엘지전자 주식회사의 공개특허공보 10-2020-0100452 "요리의 수분량 조절이 가능한 전자 조리 기기" (특허문헌 1)에는 조리실이 구성된 본체, 조리실을 가열하는 조리 히터, 스팀을 발생시켜 조리실로 공급하는 스팀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조리 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전자 조리 기기는 조리실에 수용된 음식물에서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으므로, 전자 조리 기기에 의해 조리될 수 있는 요리의 종류가 제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특허문헌 1의 전자 조리 기기는 음식물이 조리될 때, 조리실의 습도가 스팀 분사 여부를 통해서만 조절될 수 있으므로, 음식물의 표면이 촉촉하게 조리되되 건조하게 조리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피조리물이 조리될 때, 조리공간제공부의 습도 조절을 위해, 피조리물에서 밸상된 증기가 조리공간제공부로부터 토출되거나 조리공간제공부 내에서 유동될 수 있는 조리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조리물이 수용되는 조리공간을 제공하는 조리공간제공부; 상기 조리공간제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공간제공부에 수용된 상기 피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모듈; 및 복수 개의 조리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모듈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모듈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상기 팬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조리공간제공부의 상기 조리공간 내에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하는 제1 팬; 상기 피조리물이 조리되면서 발생된 증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조리모드는, 제1 조리모드; 및 상기 조리공간제공부의 상기 조리공간의 습도를 상기 제1 조리모드일 때보다 높게 형성하기 위한 제2 조리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조리모드일 때, 상기 토출구가 개방되고, 상기 제2 조리모드일 때, 상기 토출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기를 제어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조리모드 및 상기 제2 조리모드일 때, 상기 제1 팬이 회전되고, 상기 히터에서 열이 발생되도록 상기 팬모터 및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1 팬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1 팬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 팬의 회전 중심인 팬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과 만나도록 배치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모듈은, 상기 수용부 및 상기 팬모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팬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2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제2 팬보다 상기 조리공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된 상기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배출구와 수평하게 배치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기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개폐모터; 및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일방향과 반대 방향인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수용부의 외면에 접촉되어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공기 및 상기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리모듈은, 상기 수용부와 상기 팬모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팬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2 팬; 및 상기 제2 팬을 수용하고, 상기 제2 팬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를 내부로 가이드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팬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와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상기 증기를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제1 팬의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폐기에 의해 피조리물에서 발생된 증기가 조리공간제공부로부터 토출되거나 조리공간제공부 내에서 유동되어 조리공간제공부의 습도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조리할 수 있는 요리의 종류가 다양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의 일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리기기의 타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조리기기를 A-A'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조리기기의 수용부와 가이드부재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조리기기의 개폐기가 토출구를 개폐한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의 일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리기기의 타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조리기기를 A-A'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조리기기의 수용부와 가이드부재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조리기기의 개폐기가 토출구를 개폐한 모습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1)는 하우징(100), 조리공간제공부(200), 조리모듈(300) 및 제어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조리공간제공부(200) 및 조리모듈(300)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 열기, 냄새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구(110)는 하우징(100)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배출구(120)는 하우징(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리공간제공부(200)는 피조리물이 수용되는 조리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리공간제공부(200)의 조리공간에서 피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다. 또한, 조리공간제공부(200)의 조리공간에는 피조리물이 조리되면서 발생된 증기가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증기는 조리모듈(300)의 후술할 개폐기(350)에 의해 조리공간제공부(200)의 조리공간에 지속적으로 체류되거나 조리공간제공부(200)의 조리공간으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조리모듈(300)은 조리공간제공부(200)의 조리공간에 수용된 피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리모듈(300)은 조리공간제공부(2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조리모듈(300)은 조리공간제공부(2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모듈(300)은 팬모터(310), 히터(320), 제1 팬(330), 수용부(340), 개폐기(350), 제2 팬(360) 및 가이드부재(370)를 포함할 수 있다.
팬모터(310)는 제1 팬(330) 및 제2 팬(36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팬모터(310)는 제1 팬(330)과 제2 팬(360)보다 조리공간제공부(200)로부터 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모터(310)는 제1 팬(330) 및 제2 팬(36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320)는 피조리물이 조리되도록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히터(320)의 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제1 팬(330)의 송풍력에 의해 조리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히터(320)는 제1 팬(330)보다 조리공간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수용부(340)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320)는 제1 팬(33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팬(330)은 수용부(340)에 수용되어 팬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팬회전축(Ax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팬회전축(Ax1)은 팬모터(310)로부터 조리공간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회전축(Ax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팬(330)은 히터(3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조리공간제공부(200)의 조리공간 내에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팬(33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수용부(340)로부터 조리공간제공부(200)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팬(330)은 팬회전축(Ax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조리공간 내에 수용된 증기를 수용부(340)의 후술할 토출구(341)로 유동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면, 수용부(340) 제1 팬(330) 및 히터(32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340)는 조리공간제공부(200)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340)에 의해 증기와 가열된 공기는 조리공간제공부(200) 또는 수용부(340)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340)는 조리공간제공부(200)의 상측에 배치되고, 팬모터(31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340)는 내부에서 유동되는 증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34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토출구(341)는 제1 팬(330)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토출구(341)는 제1 팬(330)의 하단부로부터 제1 팬(330)의 회전 중심인 팬회전축(Ax1)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1 선(S1)과 만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토출구(341)는 제2 팬(360)보다 조리공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토출구(341)는 제1 팬(330)과 제2 팬(360) 중앙으로부터 팬회전축(Ax1)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2 선(S2)보다 조리공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토출구(341)는 제1 팬(330)과 배출구(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개폐기(350)는 수용부(340)에서 유동되는 증기가 토출되도록 토출구(341)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기(350)는 개폐모터(351) 및 개폐부재(352)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모터(351)는 개폐부재(35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개폐부재(352)는 개폐모터(35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토출구(341)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352)는 팬회전축(Ax1)과 가상의 제2 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개폐부재축(Ax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개폐부재(352)는 개폐모터(351)의 구동력에 의해 개폐부재축(Ax2)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수용부(340)로부터 이격되어 토출구(341)를 개방하고, 일 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수용부(340)의 외면에 접촉되어 토출구(341)를 폐쇄할 수 있다.
제2 팬(360)은 수용부(340)와 제1 팬(330) 사이에 배치되어 팬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팬회전축(Ax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팬(360)은 제1 팬(33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팬(360)은 조리기기(1) 내부에 배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냉각되도록 외부 공기를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370)는 제2 팬(360)을 수용하고, 제2 팬(360)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를 내부로 가이드하는 흡입구(370a)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이드부재(370) 내부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의 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흡입구(370a)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370)는 제2 팬(360)으로부터 유출된는 공기와 토출구(341)로부터 토출된 증기를 배출구(12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재(370)는 배출구(120)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370)는 수용부(340)보다 조리공간으로부터 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370)는 수용부(34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이드부재(370)와 수용부(340) 사이에서 공기와 증기가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재(370)는 몸체부(371) 및 돌출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71)는 수용부(34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과 가이드부재(37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와 토출구(341)로부터 토출된 증기를 배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돌출부(372)는 조리공간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몸체부(371)로부터 돌출되어 제2 팬(360)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372)는 몸체부(37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72)의 내부와 몸체부(371)의 내부는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372)에 의해, 제2 팬(360)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는 돌출부(372)로부터 몸체부(371)로 유동되고, 몸체부(371)에 의해 배출구(120)로 안내될 수 있다.
제어장치(400)는 조리공간제공부(200)의 조리공간에 수용된 피조리물이 조리되도록 복수 개의 조리모드에 기초하여 조리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조리모드는 제1 조리모드 및 조리공간제공부(200)의 조리공간의 습도를 제1 조리모드일 때보다 높게 형성하기 위한 제2 조리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리모드는 피조리물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조리물의 표면을 건조하게 형성하기 위한 에어프라이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제2 조리모드는 피조리물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증기가 조리공간 내부에 체류하게 하여 조리물의 표면이 제1조리모드일 때보다 덜 건조하게 형성하기 위한 오븐 모드일 수 있다.
제어장치(400)는 제1 조리모드일 때, 토출구(341)가 개방되도록 개폐기(3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400)에 의해 개폐부재(352)는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조리공간의 증기는 토출구(341) 및 배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어장치(400)는 제1 조리모드일 때, 제1 팬(330)과 제2 팬(360)이 동작되도록 팬모터(310)를 제어하고, 피조리물이 가열되도록 히터(3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장치(400)는 제2 조리모드일 때, 토출구(341)가 폐쇄되도록 개폐기(3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400)에 의해 개폐부재(352)는 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증기는 조리공간에서 유동될 수 있다. 제어장치(400)는 제2 조리모드일 때, 제1 팬(330)과 제2 팬(360)이 동작되도록 팬모터(310)를 제어하고, 피조리물이 가열되도록 히터(320)를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어장치(4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센서 등의 측정장치 및 메모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피조리물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조리공간제공부(200) 내부에서 유동되도록 하여 조리공간제공부(200)의 습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1)는 조리공간제공부(200)의 습도를 증기를 배출하여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리리 할 수 있는 요리의 종류가 다양해질 수 있고, 요리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조리기기(1)는 제1 조리모드를 통해,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조리물의 표면이 건조하게 형성되도록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1)는 제2 조리모드를 통해, 증기를 조리공간제공부(200)의 조리공간에 체류하게 하여 조리물의 표면이 촉촉하게 형성되도록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1)의 팬모터(310)에 의해 제1 팬(330) 및 제2 팬(360)이 동시에 회전될 수 있으므로, 피조리물이 조리되는 동안 조리기기(1)의 내부에 배치된 전자장치 등이 동시에 냉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조리기기
100: 하우징
110: 유입구 120: 배출구
200: 조리공간제공부 300: 조리모듈
310: 팬모터 320: 히터
330: 제1 팬 340: 수용부
341: 토출구 350: 개폐기
351: 개폐모터 352: 개폐부재
360: 제2 팬 370: 가이드부재
370a: 흡입구 371: 몸체부
372: 돌출부 400: 제어장치
110: 유입구 120: 배출구
200: 조리공간제공부 300: 조리모듈
310: 팬모터 320: 히터
330: 제1 팬 340: 수용부
341: 토출구 350: 개폐기
351: 개폐모터 352: 개폐부재
360: 제2 팬 370: 가이드부재
370a: 흡입구 371: 몸체부
372: 돌출부 400: 제어장치
Claims (10)
- 피조리물이 수용되는 조리공간을 제공하는 조리공간제공부;
상기 조리공간제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공간제공부에 수용된 상기 피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모듈; 및
복수 개의 조리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모듈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모듈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상기 팬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조리공간제공부의 상기 조리공간 내에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하는 제1 팬;
상기 피조리물이 조리되면서 발생된 증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조리모드는,
제1 조리모드; 및
상기 조리공간제공부의 상기 조리공간의 습도를 상기 제1 조리모드일 때보다 높게 형성하기 위한 제2 조리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조리모드일 때, 상기 토출구가 개방되고, 상기 제2 조리모드일 때, 상기 토출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기를 제어하는,
조리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조리모드 및 상기 제2 조리모드일 때, 상기 제1 팬이 회전되고, 상기 히터에서 열이 발생되도록 상기 팬모터 및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조리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1 팬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조리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1 팬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 팬의 회전 중심인 팬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과 만나도록 배치되는,
조리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모듈은,
상기 수용부 및 상기 팬모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팬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2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제2 팬보다 상기 조리공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조리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된 상기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배출구와 수평하게 배치되는,
조리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개폐모터; 및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일방향과 반대 방향인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수용부의 외면에 접촉되어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는,
조리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공기 및 상기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리모듈은,
상기 수용부와 상기 팬모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팬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2 팬; 및
상기 제2 팬을 수용하고, 상기 제2 팬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를 내부로 가이드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팬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와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상기 증기를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제1 팬의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3662A KR20240006861A (ko) | 2022-07-07 | 2022-07-07 | 조리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3662A KR20240006861A (ko) | 2022-07-07 | 2022-07-07 | 조리기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6861A true KR20240006861A (ko) | 2024-01-16 |
Family
ID=89719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3662A KR20240006861A (ko) | 2022-07-07 | 2022-07-07 | 조리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06861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00452A (ko) | 2019-02-18 | 2020-08-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요리의 수분량 조절이 가능한 전자 조리 기기 |
-
2022
- 2022-07-07 KR KR1020220083662A patent/KR20240006861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00452A (ko) | 2019-02-18 | 2020-08-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요리의 수분량 조절이 가능한 전자 조리 기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795812B1 (en) | Cooking appliance | |
EP3536198B1 (en) | Steam generator for cooker | |
US20060207440A1 (en) | Steam oven | |
KR100786087B1 (ko) | 조리기기 | |
EP3537054B1 (en) | Cooker | |
KR20240006861A (ko) | 조리기기 | |
CN211795998U (zh) | 利用热风进行烹饪的烹饪器具 | |
KR100727875B1 (ko) | 오븐렌지 | |
JP2004184059A (ja) | 壁掛け型電子レンジ | |
US7375310B2 (en) | Air flow system for circulating air in a microwave oven | |
JP5059711B2 (ja) | 加熱調理器 | |
KR100633173B1 (ko) |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 |
KR20220138157A (ko) | 조리 기기 | |
KR20220136027A (ko) | 조리기기 | |
JP5405186B2 (ja) | 加熱調理器 | |
KR100643883B1 (ko) | 피자 오븐 | |
CN218186400U (zh) | 一种旋转锅体密封腔空气炸锅 | |
CN113143039A (zh) | 利用热风进行烹饪的烹饪器具 | |
KR100485576B1 (ko) | 전자렌지 | |
JP2011231962A (ja) | 加熱調理器 | |
KR100634788B1 (ko) | 증기조리장치 | |
KR100678665B1 (ko) | 오븐 | |
CN114794903A (zh) | 一种旋转锅体密封腔空气炸锅 | |
KR100565693B1 (ko) | 복사 가열식 가스레인지 | |
KR20240084499A (ko) | 조리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