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4129A - 개폐 덮개를 구비하는 용기 - Google Patents

개폐 덮개를 구비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4129A
KR20240004129A KR1020230182915A KR20230182915A KR20240004129A KR 20240004129 A KR20240004129 A KR 20240004129A KR 1020230182915 A KR1020230182915 A KR 1020230182915A KR 20230182915 A KR20230182915 A KR 20230182915A KR 20240004129 A KR20240004129 A KR 20240004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ver
sides
support shaft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2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데 오기노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71289A external-priority patent/JP64625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85619A external-priority patent/JP6457367B2/ja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04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412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0Keepnets or other containers for keeping captured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개폐 덮개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착탈 가능한 착탈 덮개의 양쪽 개방을 가능하게 하면서, 개구부를 크게 확보하여, 수용 대상물의 출납을 방해하는 일 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착탈 가능한 착탈 덮개의 양쪽 개방을 가능하게 하면서, 개구부를 크게 확보하여, 수용 대상물의 출납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착탈 덮개의 개방(회동) 조작 시에 개폐 덮개와 착탈 덮개의 축지지 걸림 결합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기는, 용기 본체(2)에 설치되는 개폐 덮개(4)의 개구부(4a)를 개폐하기 위해서 개구부(4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착탈 덮개(10)와, 착탈 덮개(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지지축(25A, 25B)과, 지지축의 각각에 대응해서 개구부(4a)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착탈 덮개(10)가 개구부(4a)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위치에 위치되는 지지축과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홈(40)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서는, 걸림 결합 홈(40)과 걸림 결합되는 지지축[25A(또는 (25B)]을 중심으로 착탈 덮개(10)가 회동함으로써 개구부(4a)가 양측에서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지지축(25A, 25B)을 중심으로 하는 착탈 덮개(10)의 회동 시에 그 지지축의 걸림 결합 홈(40)으로부터의 이탈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60, 70)이 더 마련된다.

Description

개폐 덮개를 구비하는 용기{CONTAINER HAVING OPENING/CLOSING LID}
본 발명은 개폐 덮개를 구비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폐 덮개에 설치되는 개구(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착탈 가능한 착탈 덮개를 구비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개폐 덮개를 구비하는 용기는, 각종 레저에서 사용되는 쿨러 박스 등, 종래부터 다양한 형태의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한 용기는, 용기 본체 내에 수용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또는 용기 본체 내에서 수용 대상물을 꺼낼 수 있도록, 용기 본체의 개구에 개폐 덮개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지만, 예를 들어 개폐 덮개를 개폐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얻어지지 않는 장소에서 용기 본체에 대하여 수용 대상물을 출납할 수 있도록, 또는 쿨러 박스 등에 있어서는 용기 본체 내의 냉기를 가능한 한 놓치지 않도록, 개폐 덮개에 개구부를 더 갖고, 그 개구부를 개폐하는 착탈 가능한 착탈 덮개를 구비하는 것도 있다.
개폐 덮개 외에 그러한 착탈 덮개를 구비하는 용기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용기는, 용기 본체의 개폐 덮개에 물고기 등의 투입을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개구부를 착탈 덮개로 개폐 가능하게 덮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착탈 덮개는 개폐 덮개의 개구부에 끼워 넣어서 용기 본체(개폐 덮개)에 대하여 좌우 어느 쪽에서도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그 양쪽 개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착탈 덮개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축이 상기 개구부의 좌우에 각각 위치해서 개폐 덮개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착탈 덮개는 개폐 덮개의 좌우 지지축 위에 적재되는 적재부와, 이 적재부와의 사이에서 지지축을 끼워 넣는 갈고리를 좌우 양측에 각각 갖는다. 상기 각 적재부는, 대응하는 지지축의 상방으로부터 해당 지지축에 착탈 가능하게 걸림 결합할 수 있는 U자 형상의 홈을 갖고, 또한 좌우의 상기 갈고리는, 착탈 덮개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조작부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적재부와의 사이에서 지지축을 끼워 넣는 끼움 지지 위치를 향해 스프링에 의해 외측으로 상시 가압되고 있다.
따라서, 좌우 한 쌍의 조작부를 손가락으로 집고 갈고리를 착탈 덮개의 내측으로 퇴피시킨 채 착탈 덮개의 적재부를 개폐 덮개의 축 위에 적재해서 착탈 덮개를 개폐 덮개의 개구부 내에 끼워 넣고, 그 상태에서, 조작부를 집는 손가락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갈고리가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수평 방향 외측으로 이동해서 축 위에 적재하는 적재부와의 사이에서 지지축을 끼워 넣고, 그에 의해, 개폐 덮개의 개구부로부터의 착탈 덮개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이 이탈 방지 상태에서, 좌측의 조작부만을 슬라이드 조작해서 좌측의 갈고리를 좌측의 지지축으로부터 퇴피시키고, 그대로 착탈 덮개를 우측의 지지축 주위로 회동시키면, 좌측으로부터 개구부(착탈 덮개)를 개방할 수 있다. 반대로, 우측의 조작부만을 슬라이드 조작해서 우측의 갈고리를 우측의 지지축으로부터 퇴피시키고, 그대로 착탈 덮개를 좌측의 지지축 주위로 회동시키면, 우측으로부터 개구부(착탈 덮개)를 개방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262534호
그런데, 개폐 덮개 외에 착탈 덮개를 구비하는 전술한 종래의 용기에서는, 좌우의 지지축이 개폐 덮개에 설치되고, 착탈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좌우의 지지축이 개폐 덮개의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므로, 개폐 덮개의 개구부를 통해서 용기 본체 내에 수용 대상물을 수용할 때, 또는 개폐 덮개의 개구부를 통해서 용기 본체 내에서 수용 대상물을 꺼낼 때에, 지지축이 방해가 되어, 수용 대상물의 출납을 원활하게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용기가 낚시용 쿨러 박스로서 사용될 경우에는, 지지축이 방해가 되어서 물고기를 개폐 덮개의 개구부를 통해서 잘 투입할 수 없거나, 또는 지지축에 낚싯 바늘이 걸리거나 장치가 얽히거나 하는 등, 용도에 고유한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 1개의 방법으로서, 개폐 덮개가 아닌 착탈 덮개에 지지축을 설치하고, 이 지지축이 개폐 덮개측의 예를 들어 걸림 결합 홈에 대하여 결합 분리할 수 있도록 지지축을 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으로 하면, 착탈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종래와 같이 양측의 지지축이 개폐 덮개의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지 않고, 따라서, 종래보다도 개구부를 크게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착탈 덮개를 개방해서 개폐 덮개의 개구부를 통해서 용기 본체 내에 수용 대상물을 수용할 때, 또는 개폐 덮개의 개구부를 통해서 용기 본체 내에서 수용 대상물을 꺼낼 때에, 지지축이 방해가 되지 않아, 수용 대상물의 출납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축이 착탈 덮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 구성에서는, 지지축이 걸림 결합 홈에 걸림 결합된 상태라도, 지지축은 수평 방향으로부터 걸림 결합 홈에 간단히 끼움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착탈 덮개의 회동 시에 지지축이 걸림 결합 홈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벗어나 버릴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개폐 덮개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착탈 가능한 착탈 덮개의 양쪽 개방을 가능하게 하면서, 개구부를 크게 확보하여, 수용 대상물의 출납을 방해하지 않고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개폐 덮개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착탈 가능한 착탈 덮개의 양쪽 개방을 가능하게 하면서, 개구부를 크게 확보하여, 수용 대상물의 출납을 방해하는 일 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착탈 덮개의 개방(회동) 조작 시에 개폐 덮개와 착탈 덮개의 축지지 걸림 결합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용기는, 소정의 수용 공간을 획정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덮개와, 상기 개폐 덮개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서 상기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착탈 덮개와, 상기 착탈 덮개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각각에 대응해서 상기 개폐 덮개의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착탈 덮개가 상기 개구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지지축과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홈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 결합 홈과 걸림 결합되는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착탈 덮개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개구부가 양측에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용기는, 소정의 수용 공간을 획정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덮개와, 상기 개폐 덮개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서 상기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착탈 덮개와, 상기 착탈 덮개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각각에 대응해서 상기 개폐 덮개의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착탈 덮개가 상기 개구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지지축과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홈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 중 어느 한쪽을 그 대응하는 상기 걸림 결합 홈에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시켜서, 그 걸림 결합되는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착탈 덮개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개구부가 양측에서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착탈 덮개의 회동 시에 그 지지축의 상기 걸림 결합 홈으로부터의 이탈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는, 개폐 덮개의 개구부에 착탈 덮개를 설치하면, 개폐 덮개의 개구부가 착탈 덮개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그 폐쇄 상태에서, 착탈 덮개의 양측의 지지축을 각각 제2 위치에 위치시켜서 대응하는 걸림 결합 홈에 걸림 결합시킨다고, 착탈 덮개가 개폐 덮개에 대하여 제거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이 고정 상태에서, 일방측의 지지축을 제1 위치로 이동시켜서 그 걸림 결합 홈으로부터 퇴피시키고, 그대로 착탈 덮개를 타방측의 지지축 주위로 회동시키면, 상기 일방측으로부터 개구부(착탈 덮개)를 개방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타방측의 지지축을 제1 위치로 이동시켜서 그 걸림 결합 홈으로부터 퇴피시키고, 그대로 착탈 덮개를 상기 일방측의 지지축 주위로 회동시키면, 상기 타방측으로부터 개구부(착탈 덮개)를 개방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개폐 덮개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착탈 가능한 착탈 덮개의 양쪽 개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양측의 지지축이 개폐 덮개가 아닌 착탈 덮개에 설치되므로, 착탈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종래와 같이 양측의 지지축이 개폐 덮개의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지 않고, 따라서, 종래보다도 개구부를 크게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착탈 덮개를 개방해서 개폐 덮개의 개구부를 통해서 용기 본체 내에 수용 대상물을 수용할 때, 또는 개폐 덮개의 개구부를 통해서 용기 본체 내에서 수용 대상물을 꺼낼 때에, 지지축이 방해가 되지 않아, 수용 대상물의 출납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용기를 낚시용 쿨러 박스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지지축이 방해가 되어서 물고기를 개폐 덮개의 개구부를 통해서 잘 투입할 수 없는 등의 사태나, 지지축에 낚싯 바늘이 걸리거나 장치가 얽히거나 하는 등의 사태를 확실하게 피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걸림 결합 홈과 걸림 결합되는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착탈 덮개의 회동 시에 그 지지축의 걸림 결합 홈으로부터의 이탈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이 설치되므로, 착탈 덮개의 개방(회동) 조작 시에 개폐 덮개와 착탈 덮개의 축지지 걸림 결합 상태가 해제되지 않아, 착탈 덮개의 안정되고 확실한 회동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 덮개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착탈 가능한 착탈 덮개의 양쪽 개방을 가능하게 하면서, 개구부를 크게 확보하여, 수용 대상물의 출납을 방해하는 일 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 덮개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착탈 가능한 착탈 덮개의 양쪽 개방을 가능하게 하면서, 개구부를 크게 확보하여, 수용 대상물의 출납을 방해하는 일 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착탈 덮개의 개방(회동) 조작 시에 개폐 덮개와 착탈 덮개의 축지지 걸림 결합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개폐 덮개의 개구부에 착탈 덮개가 설치된 상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착탈 덮개의 사시도, (b)는 착탈 덮개로부터 상부 덮개가 제거됨으로써 착탈 덮개의 내부 구성이 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개폐 덮개의 개구부에(상부 덮개가 제거된) 착탈 덮개가 설치되어서 착탈 덮개의 지지축이 개폐 덮개의 걸림 결합 홈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폐 덮개의 일부가 파단된 주요부 사시도, (b)는 (a)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직사각형 프레임 부분(지지축과 걸림 결합 홈의 걸림 결합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의 (a)는 개폐 덮개의 개구부에(상부 덮개가 제거된) 착탈 덮개가 설치되어서 착탈 덮개의 지지축이 개폐 덮개의 걸림 결합 홈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폐 덮개의 일부가 파단된 주요부 사시도, (b)는 (a)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직사각형 프레임 부분(지지축과 걸림 결합 홈의 걸림 결합 부분)의 확대도, (c)는 걸림 결합 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개폐 덮개의 개구부에 대한 착탈 덮개의 착탈 및 착탈 덮개의 개폐(양쪽 개방)를 각각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걸림 결합 홈과 걸림 결합되는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착탈 덮개의 회동 시에 그 지지축의 걸림 결합 홈으로부터의 이탈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의 구성을 특화해서 나타내는(착탈 덮개가 제거된 상태의) 개폐 덮개의 부분 사시도, (b)는 규제 수단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의 (a)는 규제 수단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b)는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c)는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의 (a)는 규제 수단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b)는 개구부에 착탈 덮개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규제 수단의 걸림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 (c)는 개구부에 장착된 착탈 덮개를 회동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규제 수단의 걸림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의 (a)는 규제 수단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b)는 (a)의 규제 수단을 구성하는 걸림 결합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의 (a)는 착탈 덮개의 회동 시에 있어서 그 회동 지지축을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부의 슬라이드 조작이 저지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b)는 (a)의 상태에 있어서의 지지축과 걸림 결합 홈의 걸림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개폐 덮개를 구비하는 용기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도 1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수평면 내의 2개의 방향을 각각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이라 규정한다. 또한, 이들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 1에 화살표로 나타냄)을 상하 방향이라 규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 양측이라 함은,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을 따르는 양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용기(1)는 수용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 용적의 수용 공간을 내측에 획정하는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덮개(4)를 구비한다. 개폐 덮개(4)에는, 소정의 위치, 예를 들어 그 상면의 일방측으로 치우쳐서 개구부(4a)가 설치되고, 이 개구부(4a)에는 이것을 개폐하기 위한 착탈 덮개(1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개폐 덮개(4) 또는 용기 본체(2)[도면에서는 개폐 덮개(4)]에는, 용기(1)를 운반을 위해 손으로 쥐고 사용되는 손잡이(50)가 양측(도면에서는 가로 방향을 따른 양측)에 걸쳐 가설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의 착탈 덮개(10)는 개폐 덮개(4)의 개구부(4a)에 끼워 넣어서 개구부(4a)를 좌우 어느 쪽에서도 개폐할 수 있도록(양쪽 개방 가능) 되어 있다. 이하, 착탈 덮개(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 덮개(10)는 상부 덮개(10A)와, 내측에 오목 함몰 형상 공간(14)을 형성하는 상자형의 하부 덮개(10B)와, 하부 덮개(10B)의 오목 함몰 형상 공간(14)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플레이트(20, 2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부 덮개(10A)는 하부 덮개(10B)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그 고정 형태는 어떠한 형태라도 된다. 한 쌍의 슬라이드 플레이트(20, 22)는 착탈 덮개(10)의 세로 방향에서 소정의 간극(G)을 이격해서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고, 이 간극(G)만큼만 서로 접근하도록 또는 서로 이격하도록[착탈 덮개(10)가 수평하게 위치된 상태에서는] 도 2의 (b)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수평 방향(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각 슬라이드 플레이트[20(22)]는, 그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단부에 지지축[25A(25B)]을 가짐과 함께, 그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 단부에 조작부[20a(22a)]를 갖는다. 지지축[25A(25B)]은, 각 슬라이드 플레이트[20(22)]의 외측 단부의 양측에 설치된 축지지 부재[20b, 20c(22b, 22c)]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어 있고, 내측의 제1 위치[도 4의 (a)(b)에 나타내는 위치]와 외측의 제2 위치(도 3에 나타내는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20(22)]와 함께[착탈 덮개(10)가 수평하게 위치된 상태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착탈 덮개(10)는[착탈 덮개(10)가 수평하게 위치된 상태에서는] 수평하게 이동할 수 있는 지지축(25A, 25B)을 그 양측에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20a(22a)]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0(22)]의 평판 형상의 본체로부터 예를 들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는 프레임체로 구성되고, 그 내측의 공동부(S)를 조작부(20a, 22a) 사이에서 서로 대향시키도록 내단부가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서로 대향하는 조작부(20a, 22a) 사이의 공동부(S) 내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0, 22)를 외측을 향해 상시 가압하는, 바꾸어 말하면, 양측의 지지축(25A, 25B)을 그 제2 위치를 향해 상시 가압하는 가압 수단으로서의 스프링(3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30)은 조작부(20a, 22a) 사이에 개재 삽입되어서, 그 양단부가 예를 들어 각 조작부(20a, 22a)의 외측 단부벽에 지지됨으로써, 착탈 덮개(10)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손가락을 사용하여, 일방측의 조작부(20a)를 스프링(30)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일방측의 지지축(25A)이 내측의 제1 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그 손가락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스프링(30)의 가압력에 의해 지지축(25A)이 외측의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타방측의 조작부(22a)를 스프링(30)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타방측의 지지축(25B)이 내측의 제1 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그 손가락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스프링(30)의 가압력에 의해 지지축(25B)이 외측의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부(20a, 22a)에 의해, 양측의 지지축(25A, 25B)을 개별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덮개(10B)의 상측에 상부 덮개(10A)가 장착된 도 2의 (a)의 상태에서, 조작부(20a, 22a)는 상부 덮개(10A)의 개구(15)를 통해서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부 덮개(10A)에는, 개구(15)를 통해서 노출되는 조작부(20a, 22a) 사이의 간극(G)을 막도록 연장되는 가로재(12)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가로재(12)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된 조작부(20a, 22a)를 손가락으로 압입 조작함으로써, 가로재(12)의 하측에 있어서 조작부(20a, 22a)를 개구(15) 내에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작부(20a, 22a)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조작부(20a, 22a)는 하부 덮개(10B)의 벽부에 의해 그 슬라이드가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조작부(20a, 22a)는 착탈 덮개(10)의 가로 방향 양측에, 대략 L자형으로 굴곡하는 굴곡부(27)를 갖고, 이 굴곡부(27)가 하부 덮개(10B)의 일방측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벽(10Ba)과 내측벽(10Bf) 사이에 형성되는 세로 방향 통로 내 및 타방측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벽(10Bb)과 내측벽(10Bg) 사이에 형성되는 세로 방향 통로 내에 끼워 넣음으로써, 각 조작부(20a, 22a)의 슬라이드 이동이 세로 방향에서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25A, 25B)이 위치되는 하부 덮개(10B)의 양측의 외측 단부는, 외측벽(10Ba, 10Bb)에 대하여 직교하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의 외측 단부벽(10Bc, 10Bc)과, 각 외측 단부벽(10Bc, 10Bc)의 가로 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슬라이드 플레이트(20, 22)[착탈 덮개(10)의 세로 방향 내측]를 향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대향벽(10Bd, 10Bd)과, 이들 내측 대향벽(10Bd, 10Bd)끼리를 연결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단부벽(10Be)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의 벽에 의해, 착탈 덮개(10)가 개폐 덮개(4)의 개구부(4a)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후술하는 개폐 덮개(4)의 걸림 결합부(42)(도 3 및 도 4 참조)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C)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벽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 덮개(10B)의 외측 단부에 위치되는 양측의 지지축(25A, 25B)은 착탈 덮개(10)의 가로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함과 함께, 내측 대향벽(10Bd)의 상단부면(19)에 적재되면서 그 수평 방향 이동이 안내되고, 그에 의해, 조작부(20a, 22a)에 의한 슬라이드 플레이트(20, 22)의 수평 이동에 의해 안정된 상태에서 확실하게 걸림 결합부(42)의 걸림 결합 홈(40)(도 3 및 도 4 참조)에 걸림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덮개(4)의 개구부(4a)의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는, 각각 지지축(25A, 25B)의 각각에 대응해서 걸림 결합부(42)가 설치된다. 걸림 결합부(42)는 착탈 덮개(10)가 개구부(4a)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측의 제2 위치에 위치되는 지지축(25A, 25B)과 걸림 결합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걸림 결합부(42)는 개구부(4a)의 각각의 측에 한 쌍 설치되어 있고, 이들 한 쌍의 걸림 결합부(42, 42)는 착탈 덮개(10)가 개구부(4a)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 덮개(10B)의 외측 단부의 전술한 오목부(C) 내에 수용되는 범위 내에 있어서 서로 가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걸림 결합부(42)는, 개폐 덮개(4)와 일체로 형성되어서 개구부(4a)의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지만, 개폐 덮개(4)와 별개로 설치되어 개폐 덮개(4)에 설치되어도 상관없다.
또한, 걸림 결합부(42)는 착탈 덮개(10)가 개구부(4a)에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축(25A, 25B)과 대향하는 부위에 오목 형상의 걸림 결합 홈(40)을 갖는다. 걸림 결합 홈(40)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지지축(25A, 25B)의 이동 방향에 대응시켜서 수평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으며, 지지축(25A, 25B)과 비교적 견고하게 걸림 결합하도록 지지축(25A, 25B)의 직경과 대략 일치하는 개구 폭 치수(상하 방향의 치수)로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걸림 결합 홈(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개구하지만,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결합 홈(40)이 수평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는 방향(도면에서는 상향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걸림 결합부(42)가 탄성 변형하는 등,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지지축(25A, 25B)을 걸림 결합 홈(40)에 탄성적으로 걸림 결합시킬 수 있어, 그 걸림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축(25A, 25B)을 넓은 범위에서 받아 착탈 덮개(10)의 회동 동작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걸림 결합 홈(40)의 깊은 내측의 단부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원호 형상일 필요는 없다(예를 들어, 직선 형상 등). 중요한 것은, 지지축(25A, 25B)과 비교적 견고하게 걸림 결합할 수 있는 형태이면, 걸림 결합 홈(40)의 형상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지지축(25A, 25B)이 착탈 덮개(10)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술한 구성에서는, 지지축(25A, 25B)이 걸림 결합 홈(40)에 걸림 결합된 상태라도, 지지축(25A, 25B)은 수평 방향으로부터 걸림 결합 홈(40)에 간단히 끼움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축(25A, 25B)을 중심으로 하는 착탈 덮개(10)의 회동 시에 지지축(25A, 25B)이 걸림 결합 홈(40)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규제 수단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걸림 결합 홈(40)으로부터의 지지축(25A, 25B)의 이탈을 규제하는 이 규제 수단은, 착탈 덮개(10)의 가로 방향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제1 규제부로서의 오목 형상의 규제 홈(60)(특히 도 2 참조)과, 이 규제 홈(60)에 대응해서 개구부(4a)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2 규제부로서의 예를 들어 대략 원기둥 형상의 규제 돌기(70)(도 3, 도 4, 도 6 참조)로 이루어진다. 규제 돌기(70)는, 개폐 덮개(4)와 일체로 형성됨과 함께, 개구부(4a)에 착탈 덮개(10)가 장착된 상태[걸림 결합 홈(40)에 지지축(25A, 25B)이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축(25A, 25B)과 동일축에 위치되도록 개구부(4a) 내를 향해 돌출된다. 또한, 규제 홈(60)은 하부 덮개(10B)의 외측벽(10Ba, 10Bb)에 형성되는 직선 형상의 개방 홈부(60a)와, 이 개방 홈부(60a)와 연속하도록 연장되는 상부 덮개(10A)의 대략 반원 형상의 폐쇄 단부 홈부(60b)로 이루어지고, 개방 홈부(60a)는 양단부가 폐쇄되는 일 없이 외측벽(10Ba, 10Bb)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개방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되는 규제 홈(60)은, 착탈 덮개(10)가 개구부(4a)에 설치될 때에 개방 홈부(60a)의 하단부를 통해서 규제 돌기(70)와 걸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도 6의 (b) 참조]. 즉, 규제 돌기(70)는 착탈 덮개(10)가 개구부(4a)에 설치될 때에 최초로 직선 형상의 개방 홈부(60a)와 걸림 결합하기 시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규제 수단의 반대의 배치 형태도 생각할 수 있다. 즉, 규제 홈(60)이 개구부(4a)에 면하여 개폐 덮개(4)의 양측에 설치되고, 규제 돌기(70)가 착탈 덮개(10)의 양측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어서, 상기 구성의 착탈 덮개(10)의 개구부(4a)에 대한 착탈 및 착탈 덮개(10)의 개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개폐 덮개(4)의 개구부(4a)에 착탈 덮개(10)를 설치할 경우에는, 손가락 등을 사용해서 조작부(20a, 22a)끼리를 근접하도록 조작부(20a, 22a)를 내측으로 압입 조작하여, 양측의 지지축(25A, 25B)을 스프링(30)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내측의 제1 위치[도 4의 (a)(b)에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시킨다[지지축(25A, 25B)을 걸림 결합부(42)와 간섭하지 않도록 내측으로 퇴피시킴]. 그리고 그 퇴피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 덮개(10)를 개구부(4a)의 상방[도 5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상태(A)]으로부터 수직으로 개구부(4a)에 끼워 넣도록 한다.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4a)에 착탈 덮개(10)가 완전히 끼워 붙여지면, 규제 수단의 규제 돌기(70)와 규제 홈(60)이 완전히 걸림 결합됨과 함께, 개폐 덮개(4)의 개구부(4a)가 착탈 덮개(10)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다. 또한, 그 폐쇄 상태에서, 조작부(20a, 22a)에 대한 조작력을 해제하면, 스프링(30)의 가압력에 의해 착탈 덮개(10)의 양측의 지지축(25A, 25B)이 각각 외측의 제2 위치(도 3에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해서 대응하는 걸림 결합부(42)의 걸림 결합 홈(40)에 걸림 결합된다. 이에 의해, 착탈 덮개(10)가 개폐 덮개(4)에 대하여 제거 불가능하게 고정된다[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D)].
또한, 이 고정 상태[상태(D)]에서, 일방측(예를 들어 도 5의 전방측)의 지지축(25A)만을 조작부(20a)를 사용해서 내측의 제1 위치로 이동시켜서 그 걸림 결합 홈(40)으로부터 퇴피시키고, 그대로 착탈 덮개(10)를 타방측의 지지축(25B) 주위로 회동시키면[도 5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상태(B)], 일방측으로부터 개구부(4a)[착탈 덮개(10)]를 개방할 수 있다. 반대로, 타방측(예를 들어 도 5의 안쪽)의 지지축(25B)만을 조작부(22a)를 사용해서 내측의 제1 위치로 이동시켜서 그 걸림 결합 홈(40)으로부터 퇴피시키고, 그대로 착탈 덮개(10)를 일방측의 지지축(25A) 주위로 회동시키면, 타방측으로부터 개구부(4a)[착탈 덮개(10)]를 개방할 수 있다. 즉, 본 구성에 의하면, 개폐 덮개(4)의 개구부(4a)를 개폐하는 착탈 가능한 착탈 덮개(10)의 양쪽 개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착탈 덮개(10)의 회동 중에 있어서는(물론, 비회동 중에 있어서도), 규제 돌기(70)와 걸림 결합하는 규제 홈(60)의 벽부가 수평 방향[걸림 결합 홈(40)으로부터의 지지축(25A, 25B)의 빠짐 방향]에서 규제 돌기(70)에 부딪치므로[도 6의 (b) 참조], 지지축(25A, 25B)이 걸림 결합 홈(40)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착탈 덮개(10)의 안정되고 확실한 회동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착탈 덮개(10)가 회동한 상태에서는, 그 회동 지지점이 되는 지지축[25A(25B)]을 조작부[20a(22a)]에 의해 이동시킬 수 없다(조작부를 슬라이드 조작할 수 없음). 이것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 덮개(10)를 회동시킨 상태에서 그 회동 지지축[25A(25B)]에 대응하는 조작부[20a(22a)]를 조작하려고 하면, 조작부[20a(22a)]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지지축(25A, 25B)의 이동 방향… 수평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과 걸림 결합 홈(40)의 개구 방향(수평 방향)이 다르므로[도 10의 (b) 참조], 걸림 결합 홈(40)과 걸림 결합하는 지지축[25A(25B)]이 걸림 결합 홈(40)을 형성하는 걸림 결합부(42)의 벽부(42a)에 대향해서 부딪히거나, 조작부[20a(22a)]의 슬라이드 조작이 저지되기 때문이다[도 10의 (a)의 예에서는, 착탈 덮개(10)가 지지축(25A)을 중심으로 회동하므로, 지지축(25A)에 대응하는 조작부(20a)를 슬라이드 조작할 수 없음]. 따라서, 전술한 규제 수단이 가령 없는 경우에도, 착탈 덮개(10)의 회동 중에 걸림 결합 홈(40)으로부터 지지축[25A(25B)]을 이탈시켜 버리는 조작부[20a(22a)]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지지축[25A(25B)]과 걸림 결합부(42)의 벽(42a)과의 걸림에 수반하는 조작부[20a(22a)]의 조작 저지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결합 홈(40)의 홈 깊이 치수(D)가 어느 정도 크기[적어도 지지축[25A(25B)]의 직경 치수를 충분히 상회하는 깊이 치수]를 가짐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즉, 걸림 결합 홈(40)은 착탈 덮개(10)의 회동 시에 그 회동 지지점이 되는 지지축[25A(25B)]을 이동시키는 조작부[20a(22a)]의 조작을 저지하기 위해 지지축[25A(25B)]과 간섭하는 길이에 걸쳐 수평 방향으로 연장할 필요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양측의 지지축(25A, 25B)이 개폐 덮개(4)가 아닌 착탈 덮개(10)에 설치되므로, 착탈 덮개(10)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종래와 같이 양측의 지지축이 개폐 덮개(4)의 개구부(4a)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지 않고, 따라서, 종래보다도 개구부(4a)를 크게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착탈 덮개(10)를 개방해서 개폐 덮개(4)의 개구부(4a)를 통해서 용기 본체(2) 내에 수용 대상물을 수용할 때, 또는 개폐 덮개(4)의 개구부(4a)를 통해서 용기 본체(2) 내에서 수용 대상물을 꺼낼 때에, 지지축(25A, 25B)이 방해가 되지 않아, 수용 대상물의 출납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용기(1)를 낚시용 쿨러 박스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지지축(25A, 25B)이 방해가 되어서 물고기를 개폐 덮개(4)의 개구부(4a)를 통해서 잘 투입할 수 없는 등의 사태나, 지지축(25A, 25B)에 낚싯 바늘이 걸리거나 장치가 얽히거나 하는 등의 사태를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용기(1)는 걸림 결합 홈(40)과 걸림 결합되는 지지축(25A 또는 25B)을 중심으로 하는 착탈 덮개(10)의 회동 시에 그 지지축의 걸림 결합 홈(40)으로부터의 이탈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더 구비하므로, 착탈 덮개(10)의 안정되고 확실한 회동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지지축(25A, 25B)은 착탈 덮개(10)의 가로 방향에 걸쳐 길게 연장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단순한 지지 돌기 등과 비교해서 회동축으로서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7의 (a)에는, 전술한 규제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걸림 결합 홈(40)으로부터의 지지축(25A, 25B)의 이탈을 규제하는 이 다른 실시예의 규제 수단은, 착탈 덮개(10)의 양측[외측벽(10Ba, 10Bb)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1 규제부로서의 제1 규제 돌기(80)와, 걸림 결합 홈(40)에 지지축(25A, 25B)이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축(25A, 25B)과 동일축이 되도록 제1 규제 돌기(80)에 대응해서 개구부(4b)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2 규제부로서의 제2 규제 돌기(70A)로 이루어지고, 이들 규제 돌기(70A, 80)는, 개구부(4a)에 착탈 덮개(10)가 장착된 상태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걸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규제 돌기(70A)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개구부(4a) 내를 향해 돌출되도록 예를 들어 개폐 덮개(4)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제1 규제 돌기(8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4a)에 착탈 덮개(10)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2 규제 돌기(70A)의 전체 둘레의 예를 들어 1/4의 각도 범위(즉, 90°의 각도 범위)에 걸쳐 제2 규제 돌기(70A)의 외주에 걸림 결합하는 원호 형상의 돌기로서 형성되고, 지지축(25A, 25B)의 축심과 동심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규제 수단에 의하면, 착탈 덮개(10)가 어느 한쪽의 지지축[25A(25B)]을 중심으로 회동하면[도 7의 (a)에서는 지지축(25B)을 중심으로 회동함], 제1 규제 돌기(80)는 착탈 덮개(10)와 함께 제2 규제 돌기(70A)의 외주면을 따라 제2 규제 돌기(70A)에 대하여 회동함[도 7의 (a)의 원형 영역 확대도 내의 화살표 참조]과 함께, 제2 규제 돌기(70A)의 이면측으로 돌아 들어가 제2 규제 돌기(70A)와 적어도 수평 방향에서 접촉하게 된다. 그로 인해, 걸림 결합 홈(40)으로부터의 지지축[25A(25B)]의 수평 방향에서의 이탈이 규제된다.
또한,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규제 돌기(80)의 연장 각도 범위는 90°에 한정되지 않는다. 걸림 결합 홈(40)으로부터의 지지축(25A)의 수평 방향의 이탈을 규제하여 그 자체를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으면, 제1 규제 돌기(80)의 연장 각도 범위는 어떠한 각도 범위라도 상관없다.
도 7의 (b)는 도 7의 (a)에 관련해서 설명한 규제 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변형예에 있어서, 제1 규제 돌기(80A)는 L자형을 이루고 있고, L자를 형성하는 2개의 다리부(91, 92)를 제2 규제 돌기(70A)의 외주면에 닿도록 제2 규제 돌기(70A)와 걸림 결합한다. 이러한 L자 형태라도, 전술한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7의 (c)는 도 7의 (a)에 관련해서 설명한 규제 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변형예에 있어서, 제1 규제 돌기(80B)는, 대략 L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제1 변형예보다도 큰 접촉 면적에서 제2 규제 돌기(70A)와 접촉할 수 있도록 L자를 형성하는 2개의 다리부(91, 92)의 연결 부분(93)을 내측으로 팽출시켜서 제2 규제 돌기(70A)의 외주면에 닿도록 제2 규제 돌기(70A)와 걸림 결합한다. 이러한 대략 L자 형태라도, 전술한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8에는, 전술한 규제 수단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 걸림 결합 홈(40)으로부터의 지지축(25A, 25B)의 이탈을 규제하는 이 제3 실시예의 규제 수단은, 착탈 덮개(10)의 양측[외측벽(10Ba, 10Bb)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1 규제부로서의 오목 형상의 규제 홈(83)과, 걸림 결합 홈(40)에 지지축(25A, 25B)이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축(25A, 25B)의 축심(O)으로부터 편심하도록 규제 홈(83)에 대응해서 개구부(4a)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2 규제부로서의 규제 돌기(70B)로 이루어지고, 이들 규제 홈(83) 및 규제 돌기(70B)는 개구부(4a)에 착탈 덮개(10)가 장착된 상태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걸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규제 돌기(70B)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개구부(4a) 내를 향해 돌출하도록 예를 들어 개폐 덮개(4)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규제 홈(83)은 착탈 덮개(10)가 개구부(4a)에 설치될 때에 최초로 규제 돌기(70B)와 걸림 결합하기 시작하는 직선 형상의 개방 홈부(83a)와, 이 개방 홈부(83a)에 이어짐과 함께 지지축(25A, 25B)의 축심(O)과 동심적으로 연장되는 원호 형상의 폐쇄 단부 홈부(83b)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규제 수단에 의하면, 착탈 덮개(10)가 어느 한쪽의 지지축[25A(25B)]을 중심으로 회동하면[도 8에서는 지지축(25B)을 중심으로 회동함], 규제 홈(83)은 그 원호 형상의 폐쇄 단부 홈(83b) 내에 규제 돌기(70B)를 수용하도록 착탈 덮개(10)와 함께 회동한다[도 8의 (c) 참조]. 따라서, 이러한 착탈 덮개(10)의 회동 중에 있어서는(물론, 비회동 중에 있어서도), 규제 돌기(70B)와 걸림 결합하는 규제 홈(83)의 벽부가 수평 방향[걸림 결합 홈(40)으로부터의 지지축(25A, 25B)의 빠짐 방향]에서 규제 돌기(70B)에 부딪치기 때문에[비회동 중에 있어서는 도 8의 (b) 참조 ; 회동 중에 있어서는 도 8의 (c) 참조], 지지축(25A, 25B)이 걸림 결합 홈(40)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빠지지 않는다.
또한, 규제 수단의 반대의 배치 형태도 생각할 수 있다. 즉, 규제 홈(83)이 개구부(4a)에 면해서 개폐 덮개(4)의 양측에 설치되고, 규제 돌기(70B)가 착탈 덮개(10)의 양측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규제 돌기(70B)의 설치 위치는, 폐쇄 단부 홈부(83b)의 원호를 따르는 위치이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규제 돌기(70B)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각기둥 형상이라도 된다.
도 9에는, 전술한 규제 수단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 걸림 결합 홈(40)으로부터의 지지축(25A, 25B)의 이탈을 규제하는 이 제4 실시예의 규제 수단은 걸림 결합 홈(40)을 갖는 개폐 덮개(4)의 걸림 결합부(42)에 형성됨과 함께, 걸림 결합 홈(40)에 지지축(25A, 25B)이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축(25A, 25B)의 축심과 동심적으로 연장되는 제1 규제부로서의 원호 형상의 외주면(42a)과 착탈 덮개(10)의 세로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걸림 결합부(42)의 외주면(42a)과 걸림 결합하는 원호 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제2 규제부로서의 원호 형상 돌기부(89)로 이루어지고, 이들 외주면(42a) 및 원호 형상 돌출부(89)는 개구부(4a)에 착탈 덮개(10)가 장착된 상태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걸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9의 (b)에 예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결합부(42)는 원호 형상 돌출부(89)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취하기 위해, 전술한 실시 형태 및 실시예보다도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원호 형상 돌출부(89)는 착탈 덮개(10)의 회동 시에 다른 부위와 접촉하지 않도록 또한 착탈 덮개가 수평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고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도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규제 수단에 의하면, 착탈 덮개(10)가 어느 한쪽의 지지축[25A(25B)]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원호 형상 돌출부(89)는 걸림 결합부(42)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해서 걸림 결합부(42)의 이면측으로 돌아들어가, 걸림 결합부(42)와 적어도 수평 방향에서 접촉하게 된다. 그로 인해, 걸림 결합 홈(40)으로부터의 지지축[25A(25B)]의 수평 방향에서의 이탈이 규제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되어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축(25A, 25B)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가 착탈 덮개(10)의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 및 외측이지만,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 및 외측이어도 상관없다. 중요한 것은, 착탈 덮개(10)를 양쪽 개방할 수 있도록 지지축(25A, 25B)이 착탈 덮개(10)의 양측에 설치되어서 이동할 수 있으면 된다. 또한, 지지축(25A, 25B)의 이동 방향도 수평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 수단의 구성 형태도 임의이다. 중요한 것은, 착탈 덮개(10)의 회동 중에 걸림 결합 홈(40)으로부터의 지지축(25A, 25B)의 누락을 규제할 수 있으면, 어떠한 규제 형태라도 상관없다. 또한, 개폐 덮개(4)에 대한 개구부(4a)의 위치, 따라서 착탈 덮개(10)의 위치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가압 수단이 스프링(30)이었지만, 지지축(25A, 25B)을 제2 위치를 향해 상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은, 가압력을 생기할 수 있는 탄성 부재 등이면 어떤 부재라도 상관없다.
1 : 용기
2 : 용기 본체
4 : 개폐 덮개
4a : 개구부
10 : 착탈 덮개
20a, 22a : 조작부
25A, 25B : 지지축
30 : 스프링(가압 수단)
40 : 걸림 결합 홈
42 : 걸림 결합부
42a : 외주면
60, 83 : 규제 홈(규제 수단)
70, 70A, 70B : 규제 돌기(규제 수단)
83a : 개방 홈부
83b : 폐쇄 단부 홈부
89 : 원호 형상 돌출부

Claims (6)

  1. 소정의 수용 공간을 획정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덮개와,
    상기 개폐 덮개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서 상기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착탈 덮개와,
    상기 착탈 덮개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각각에 대응해서 상기 개폐 덮개의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착탈 덮개가 상기 개구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지지축과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홈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 중 어느 한쪽을 그 대응하는 상기 걸림 결합 홈에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시켜서, 그 걸림 결합되는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착탈 덮개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개구부가 양측에서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상기 지지축 각각은, 그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양측이 상기 착탈 덮개의 외측 단부에서 지지됨과 함께, 상기 착탈 덮개를 구성하는 하부 덮개의 상단부면에 적재되면서 그 이동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양측의 상기 지지축을 각각 개별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부가 상기 착탈 덮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양측의 상기 지지축을 상기 제2 위치를 향해 상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홈과 걸림 결합되는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착탈 덮개의 회동 시에 그 지지축의 상기 걸림 결합 홈으로부터의 이탈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홈이 수평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홈이 수평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230182915A 2015-08-31 2023-12-15 개폐 덮개를 구비하는 용기 KR202400041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71289 2015-08-31
JP2015171289A JP6462538B2 (ja) 2015-08-31 2015-08-31 開閉蓋を備える容器
JPJP-P-2015-185619 2015-09-18
JP2015185619A JP6457367B2 (ja) 2015-09-18 2015-09-18 開閉蓋を備える容器
KR1020160108873A KR102628650B1 (ko) 2015-08-31 2016-08-26 개폐 덮개를 구비하는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873A Division KR102628650B1 (ko) 2015-08-31 2016-08-26 개폐 덮개를 구비하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4129A true KR20240004129A (ko) 2024-01-11

Family

ID=582385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873A KR102628650B1 (ko) 2015-08-31 2016-08-26 개폐 덮개를 구비하는 용기
KR1020230182915A KR20240004129A (ko) 2015-08-31 2023-12-15 개폐 덮개를 구비하는 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873A KR102628650B1 (ko) 2015-08-31 2016-08-26 개폐 덮개를 구비하는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628650B1 (ko)
CN (1) CN106477149B (ko)
TW (1) TWI5669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5405B2 (ja) * 2018-06-27 2022-05-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カバーブロック、及び分電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2534A (ja) 1997-03-21 1998-10-06 Ryobi Ltd 容器等の開口部蓋体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5871Y2 (ja) * 1991-02-14 1997-02-1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蓋の開閉装置
JPH09252698A (ja) * 1996-03-21 1997-09-30 Mamiya Op Co Ltd 保冷箱
JPH10238937A (ja) * 1997-02-28 1998-09-11 Ryobi Ltd 容器の開閉蓋
JPH10250778A (ja) * 1997-03-13 1998-09-22 I Beam:Kk 携帯用容器
JPH10273158A (ja) * 1997-03-28 1998-10-13 Ryobi Ltd 容 器
JP4837881B2 (ja) * 2003-01-14 2011-1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蓋付き容器
JP4963258B2 (ja) * 2006-05-15 2012-06-27 株式会社シマノ 保冷箱の開閉装置
WO2011099504A1 (ja) * 2010-02-15 2011-08-18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ヒンジユニット内蔵型コンパクト容器、およびヒンジユニット内蔵型コンパクト容器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2534A (ja) 1997-03-21 1998-10-06 Ryobi Ltd 容器等の開口部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650B1 (ko) 2024-01-25
TWI566995B (zh) 2017-01-21
CN106477149B (zh) 2018-12-14
CN106477149A (zh) 2017-03-08
KR20170026233A (ko) 2017-03-08
TW201708063A (zh) 201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04129A (ko) 개폐 덮개를 구비하는 용기
US9341003B2 (en) Latch for storage case
JP6031523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US3165225A (en) Box cover support
US20110094109A1 (en) Scraper
EP3463762A1 (de) Werkzeugaufbewahrungsvorrichtung
RU2014135213A (ru) Выда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истовых продуктов
KR20130015989A (ko) 래치장치를 갖는 냉장고
US20160163575A1 (en) Door for thin plate container
KR101405569B1 (ko) 봉형상물용 유지장치
JP5406244B2 (ja) 振動感知ロック装置及び被係止装置
KR20130117903A (ko) 서랍용 개폐보조장치
CN112805123A (zh) 模块化工具容器
CN104903667B (zh) 冰箱
US9987741B2 (en) Tool bit case
JP3715958B2 (ja) 折戸装置
JP6462538B2 (ja) 開閉蓋を備える容器
KR101884068B1 (ko) 렌즈 케이스
JP5090141B2 (ja) 容器および内容物入り容器
JP6076307B2 (ja) 収納装置
JP6457367B2 (ja) 開閉蓋を備える容器
JP5781895B2 (ja) 蓋付き容器
JP5416615B2 (ja) スライド式容器
US20150246780A1 (en) Cash box with a blocking element for closing the gap between bottom container and retaining element
JP6523127B2 (ja) ドアストッ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