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178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178A
KR20240002178A KR1020230072750A KR20230072750A KR20240002178A KR 20240002178 A KR20240002178 A KR 20240002178A KR 1020230072750 A KR1020230072750 A KR 1020230072750A KR 20230072750 A KR20230072750 A KR 20230072750A KR 20240002178 A KR20240002178 A KR 20240002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tank
combine
regulating member
lock pin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루 히라타
Original Assignee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02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기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콤바인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콤바인 (1) 은, 기체 프레임 (1a) 과, 곡립 탱크 (6) 와, 로크 기구 (30) 를 구비한다. 곡립 탱크 (6) 는, 기체 프레임 (1a) 상에 수납된 제 1 상태와, 종방향 축심 둘레에서 회동하여 기체 프레임 (1a) 의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제 2 상태로 변경 가능하다. 로크 기구 (30) 는, 곡립 탱크 (6) 를 제 1 상태로 고정한다. 로크 기구 (30) 는, 제 1 규제 부재 (33) 와, 제 2 규제 부재 (42) 를 구비한다. 제 1 규제 부재 (33) 는, 곡립 탱크 (6) 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제 2 규제 부재 (42) 는, 곡립 탱크 (6) 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과, 곡립 탱크와, 로크 기구를 구비한다. 곡립 탱크는, 기체 프레임 상에 수납된 제 1 상태와, 종방향 축심 둘레에서 요동하여 기체 프레임의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제 2 상태로 변경 가능하다. 로크 기구는, 곡립 탱크를 제 1 상태로 고정하도록, 곡립 탱크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로크 핀을 갖는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8-009765호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곡립 탱크의 기외 (機外) 로의 이동을 저지할 수는 있어도, 상하의 진동 및 덜걱거림에는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기체 프레임이나 곡립 탱크가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가 일어나고 있었다.
본 발명은, 기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과, 곡립 탱크와, 로크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곡립 탱크는, 상기 기체 프레임 상에 수납된 제 1 상태와, 종방향 축심 둘레에서 회동 (回動) 하여 상기 기체 프레임의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제 2 상태로 변경 가능하다.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곡립 탱크를 상기 제 1 상태로 고정한다. 상기 로크 기구는, 제 1 규제 부재와, 제 2 규제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규제 부재는, 상기 곡립 탱크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상기 제 2 규제 부재는, 상기 곡립 탱크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콤바인이 제공된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 는,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3 은,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곡립 탱크 및 세로 이송 오거의 주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로크 기구의 확대도이다.
도 6 은, 곡립 탱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 은, 곡립 탱크의 다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 은, 기체 프레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 는, 로크 기구의 다른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면 중에, 서로 직교하는 X 축, Y 축 및 Z 축이 나타난다. X 축 및 Y 축은 수평면에 평행하고, Z 축은 연직 방향에 평행하다.
먼저, 도 1 ∼ 도 4 를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 (1) 의 기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콤바인 (1) 의 좌측면도이다. 도 2 는, 콤바인 (1) 의 우측면도이다. 도 3 은, 콤바인 (1) 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곡립 탱크 (6) 및 세로 이송 오거 (62) 의 주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콤바인 (1) 은, 고무 크롤러제의 좌우 1 쌍의 이대 (履帶) (2) 로 지지된 기체 프레임 (1a) 을 구비한다.
기체 프레임 (1a) 의 전부 (前部) 에는, 벼 등의 곡간을 예취하면서 거두어들이는 예취부 (3) 가 연결되어 있다. 예취부 (3) 의 예취 대상은, 벼에 한정되지 않고, 보리, 대두, 및 옥수수 등이다.
기체 프레임 (1a) 의 좌측에는, 예취부 (3) 로부터 공급된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기 위한 탈곡부 (9) 가 탑재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 (1a) 의 전부 우측에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운전 조작부 (5) 가 탑재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 (1a) 의 우측 또한 운전 조작부 (5) 의 후방에는, 탈곡부 (9) 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 (6) 가 탑재되어 있다. 곡립 탱크 (6) 의 전부 하단에는, 핸들 (6a) 과, 로크 기구 (30) 가 형성되어 있다.
곡립 탱크 (6) 의 후방에서는, 곡립 탱크 (6) 의 저부에 세로 이송 오거 (62) 가 연결되어 있다. 세로 이송 오거 (62) 는, Z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곡립 탱크 (6) 및 탈곡부 (9) 의 상측에는, 세로 이송 오거 (62) 에 의해 송급된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곡립 배출 컨베이어 (8) 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 (6) 의 후부가, 기체 프레임 (1a) 과 세로 이송 오거 (62) 에 의해, 상하 2 개 지점에서 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곡립 탱크 (6) 는, 제 1 지지부 (621) 와, 제 2 지지부 (622) 를 갖는다.
제 1 지지부 (621) 는, 곡립 탱크 (6) 의 후벽 (61) 의 하부에 형성된다. 제 1 지지부 (621) 는, 예를 들어, 엘보 유닛이다. 제 1 지지부 (621) 에는, 기체 프레임 (1a) 에 형성된 핀 (도시 생략) 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 (1a) 에 재치 (載置) 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지지부 (622) 는, 제 1 지지부 (621) 보다 상방에 배치된다. 제 2 지지부 (622) 는, 제 1 지지부 (621) 와 마찬가지로, 곡립 탱크 (6) 의 후벽 (61) 에 형성된다. 제 2 지지부 (622) 는, 세로 이송 오거 (62) 의 통케이스 (62a) 를 사이에 두는 원환부를 갖는다. 세로 이송 오거 (62) 의 통케이스 (62a) 와 제 2 지지부 (622) 의 원환부가 대응하는 형상이므로, 세로 이송 오거 (62) 의 통케이스 (62a) 를 따라 제 2 지지부 (622) 가 회전 가능해지고, 그 결과, 곡립 탱크 (6) 가 세로 이송 오거 (62) 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3 ∼ 도 9 를 참조하여, 로크 기구 (30)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는, 로크 기구 (30) 의 확대도이다. 도 6 은, 곡립 탱크 (6) 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 은, 곡립 탱크 (6) 의 다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 은, 기체 프레임 (1a) 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 는, 로크 기구 (30) 의 다른 확대 도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 (6) 의 하면에는, 롤러 (6b) 가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핸들 (6a) 을 앞으로 당김으로써, 곡립 탱크 (6) 의 일부를 바깥쪽으로 튀어나오게 할 수 있다. 요컨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 (6) 는, 기체 프레임 (1a) 상에 수납된 제 1 상태와, 세로 이송 오거 (62) 의 축심 둘레에서 회동하여 기체 프레임 (1a) 의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제 2 상태로 변경 가능하다. 도 3 에 있어서, 제 1 상태의 곡립 탱크 (6) 는 실선으로 나타나 있다. 제 2 상태의 곡립 탱크 (6) 는, 이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세로 이송 오거 (62) 의 축심 둘레는, 「종방향 축심 둘레」의 일례이다.
로크 기구 (30) 는, 곡립 탱크 (6) 를 제 1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제 1 돌출 부재 (31) 와, 통상 부재 (32) 와, 제 1 로크 핀 (33) 과, 제 2 돌출 부재 (41) 와, 제 2 로크 핀 (42) 을 갖는다. 제 1 돌출 부재 (31), 통상 부재 (32), 및 제 1 로크 핀 (33) 은, 「제 1 규제 부재」의 일례에 상당한다. 제 2돌출 부재 (41) 및 제 2 로크 핀 (42) 은, 「제 2 규제 부재」의 일례에 상당한다.
제 1 돌출 부재 (31) 는, 곡립 탱크 (6) 의 우측면의 전방 하단부로부터 Y 축방향의 정측으로 돌출하는 수평부와, 수평부의 선단으로부터 비스듬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하부를 포함한다. 제 1 돌출 부재 (31) 는, 「제 1 부재」의 일례에 상당한다.
통상 부재 (32) 는, 제 1 돌출 부재 (31) 의 상측에 있어서 Z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의 부재이다.
제 1 로크 핀 (33) 은, 통상 부재 (32) 의 구멍과, 제 1 돌출 부재 (31) 의 수평부에 형성된 구멍 (31a) (도 7) 을 관통하여 Z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L 형의 핀이다. 작업자는, 통상 부재 (32) 로부터 제 1 로크 핀 (33) 을 뽑아낼 수 있다.
제 2 돌출 부재 (41) 는, 제 1 돌출 부재 (31) 의 근방에 있어서, 곡립 탱크 (6) 의 전면 (前面) 의 하단부로부터 비스듬한 하방으로 돌출하는 경사 부분과, 경사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Z 축 방향의 부측을 향해 연장되는 연직부를 포함한다. 제 2 돌출 부재 (41) 는, 「제 2 부재」의 일례에 상당한다.
제 2 로크 핀 (42) 은, 제 2 돌출 부재 (41) 의 선단부 근방으로부터 돌출하여 X 축 방향의 정측을 향해 연장된다. 제 2 로크 핀 (42) 의 기단부는, 제 2돌출 부재 (41) 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로크 핀 (42) 은, 제 1 로크 핀 (33) 의 하방측에 위치한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기구 (30) 는, 기체 프레임 (1a) 의 측 단부에 배치된 단일의 제 1 막아냄 부재 (50) 를 추가로 갖는다. 제 1 막아냄 부재 (50) 는, 제 1 로크 핀 (33) 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또한 제 2 로크 핀 (42) 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기체 프레임 (1a) 의 우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체 프레임 (1a) 은, 좌우 지지 부재 (11) 와, 우측 지지 부재 (12) 를 갖는다. 좌우 지지 부재 (11) 는, Y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우측 지지 부재 (12) 는, X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우측 지지 부재 (12) 는, 기체 프레임 (1a) 의 우측단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우측 지지 부재 (12) 는, 기체 프레임 (1a) 의 우측면을 구성한다. 좌우 지지 부재 (11) 의 우측단은, 우측 지지 부재 (12) 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막아냄 부재 (50) 는, 좌우 지지 부재 (11) 의 외측 (Y 방향의 정측) 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로크 기구 (30) 는, 좌우 지지 부재 (11) 의 외측 (Y 방향의 정측) 에 배치된다.
제 1 막아냄 부재 (50) 는, 단면 コ 자형의 판재로서, 기체 프레임 (1a) 의 우측면으로부터 Y 축 방향의 정측을 향해 돌출하는 본체부 (51) 와, 플랩부 (52) 를 포함한다. 본체부 (51) 는, 제 1 벽부 (51a) 와, 제 2 벽부 (51b) 와, 제 3 벽부 (51c) 를 포함한다. 제 1 벽부 (51a) 는, 본체부 (51) 를 구성하는 판재 중, X 축 방향 부측의 판재이다. 제 2 벽부 (51b) 는, 본체부 (51) 를 구성하는 판재 중, Z 축 방향 정측의 판재이며, 본체부 (51) 의 상면을 구성한다. 제 3 벽부 (51c) 는, 본체부 (51) 를 구성하는 판재 중, X 축 방향 정측의 판재이다. 플랩부 (52) 는, 제 2 벽부 (51b) 의 선단으로부터 비스듬한 하방으로 연장된다. 본체부 (51) 의 상면 (제 2 벽부 (51b)) 에는, 제 1 로크 핀 (33) 의 삽입 통과를 받는 관통공 (53)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벽부 (51a) 에는, 제 2 로크 핀 (42) 을 수용하는 노치 (511) 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 기구 (30) 는, 본체부 (51) 에서 구획된 내부 공간 중에 형성된 제 2 막아냄 부재 (54) 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막아냄 부재 (54) 는 블록체이며, 그 형상은 직방체상이다.
도 5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 (6) 의 로크 상태에서는, 제 1 로크 핀 (33) 이 통상 부재 (32), 제 1 돌출 부재 (31), 및 제 1 막아냄 부재 (50) 를 관통한다. 이로써, 곡립 탱크 (6) 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곡립 탱크 (6) 의 로크 상태에서는, 제 2 로크 핀 (42) 의 상면이, 제 1 막아냄 부재 (50) 의 노치 (511) 와, 제 2 막아냄 부재 (54) 의 하면에 맞닿는다. 이로써, 곡립 탱크 (6) 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제 2 막아냄 부재 (54) 는 생략되어도 된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콤바인 (1) 이 제공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단,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여러 가지의 발명의 형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실시형태에 나타나는 전체 구성 요소에서 몇가지 구성 요소를 삭제해도 된다. 도면은,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구성 요소를 주체에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고, 도시된 각 구성 요소의 개수 등은, 도면 작성의 사정으로 실제와는 상이한 경우도 있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각 구성 요소는 일례이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효과로부터 실질적으로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 ∼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로크 핀 (42) (제 2 규제 부재) 이 제 1 로크 핀 (33) (제 1 규제 부재) 의 근방에 배치되었지만, 제 2 로크 핀 (42) (제 2 규제 부재) 은, 제 1 로크 핀 (33) (제 1 규제 부재) 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 도 1 ∼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로크 핀 (42) (제 2 규제 부재) 이 제 1 로크 핀 (33) (제 1 규제 부재) 의 하방측에 배치되었지만, 제 2 로크 핀 (42) (제 2 규제 부재) 은, 제 1 로크 핀 (33) (제 1 규제 부재) 의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 도 1 ∼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막아냄 부재 (50) 가 기체 프레임 (1a) 의 측단부에 배치되었지만, 제 1 막아냄 부재 (50) 는 기체 프레임 (1a) 의 측단부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은, 콤바인의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 : 콤바인
1a : 기체 프레임
6 : 곡립 탱크
30 : 로크 기구
31 : 제 1 돌출 부재 (제 1 부재)
32 : 통상 부재
33 : 제 1 로크 핀 (제 1 규제 부재)
41 : 제 2 돌출 부재 (제 2 부재)
42 : 제 2 로크 핀 (제 2 규제 부재)
50 : 제 1 막아냄 부재
52 : 플랩부
53 : 관통공
54 : 제 2 막아냄 부재

Claims (5)

  1. 기체 프레임과,
    상기 기체 프레임 상에 수납된 제 1 상태와, 종방향 축심 둘레에서 회동하여 상기 기체 프레임의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제 2 상태로 변경 가능한 곡립 탱크와,
    상기 곡립 탱크를 상기 제 1 상태로 고정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곡립 탱크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1 규제 부재와,
    상기 곡립 탱크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2 규제 부재를 갖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규제 부재는, 상기 제 1 규제 부재의 근방에 배치된, 콤바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규제 부재는, 상기 제 1 규제 부재의 하방측에 배치된, 콤바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 부재는, 상기 곡립 탱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를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로크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규제 부재는, 상기 곡립 탱크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된 제 2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로부터 돌출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로크 핀을 포함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기체 프레임에 고정된 단일의 막아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막아냄 부재는, 상기 제 1 로크 핀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또한 상기 제 2 로크 핀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콤바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막아냄 부재는, 상기 기체 프레임의 측단부에 배치된, 콤바인.
KR1020230072750A 2022-06-28 2023-06-07 콤바인 KR202400021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103664A JP2024004158A (ja) 2022-06-28 2022-06-28 コンバイン
JPJP-P-2022-103664 2022-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178A true KR20240002178A (ko) 2024-01-04

Family

ID=8928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750A KR20240002178A (ko) 2022-06-28 2023-06-07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004158A (ko)
KR (1) KR20240002178A (ko)
CN (1) CN1172965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765A (ja) 1994-06-27 1996-01-16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765A (ja) 1994-06-27 1996-01-16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支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296560A (zh) 2023-12-29
JP2024004158A (ja)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02178A (ko) 콤바인
CN105451541B (zh) 联合收割机和收割机
US20150336623A1 (en) Mount for a cabin of an agricultural harvester
US10064336B2 (en) Sieve arrangements for a cleaning system in an agricultural harvester
WO2018202811A1 (en) Over-center locking system for a chaff pan of an agricultural harvester
JP6979925B2 (ja) 収穫機
KR20200081233A (ko) 수확기
JP2019126279A (ja) コンバイン
KR102557143B1 (ko) 수확기
CN207151199U (zh) 联合收割机
JP7407691B2 (ja) 脱穀装置
JP6770934B2 (ja) 脱穀装置
JP7285802B2 (ja) コンバイン
JP7068985B2 (ja) 収穫部積載補助具、及び積載方法
JP7262426B2 (ja) コンバイン
EP4205531A1 (en) Variable cross-section vane for transition cone in combine harvester
JP2019208388A (ja) 収穫機
JP7453074B2 (ja) コンバイン
KR102652663B1 (ko) 콤바인
JP2008024020A (ja) コンバイン
JP2022002490A (ja) 農作業機
JP7546535B2 (ja) 収穫機
KR102593759B1 (ko) 탈곡 장치 및 급동의 제조 방법
JP2022067275A (ja) コンバイン
KR20220091332A (ko) 콤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