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347A -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347A
KR20240001347A KR1020220077485A KR20220077485A KR20240001347A KR 20240001347 A KR20240001347 A KR 20240001347A KR 1020220077485 A KR1020220077485 A KR 1020220077485A KR 20220077485 A KR20220077485 A KR 20220077485A KR 20240001347 A KR20240001347 A KR 20240001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shmallow
lactic acid
acid bacteria
vegetabl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택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러댄베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러댄베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러댄베러
Priority to KR1020220077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1347A/ko
Publication of KR20240001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34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36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23G3/36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containing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04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0006Manufacture or treatment of liquids, pastes, creams, granules, shred or powder
    • A23G3/001Mixing, knead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04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0006Manufacture or treatment of liquids, pastes, creams, granules, shred or powder
    • A23G3/0014Processes for conditioning, e.g. tempering, cooking, heating, cooling, boiling down, evaporating, degassing, liquefying mass before use or shap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2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6Function of food ingredients pH modification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23Bulgaric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2Acetobac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46Streptococcus ; Enterococcus; Lactococc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산균을 고농도로 함유한 마쉬멜로를 제조함으로써 고농도의 유산균 섭취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식물성 성분을 함유하고도 채식주의자도 섭취 가능한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및 이의 제조방법. {Vegetable marshmallow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산균을 고농도로 함유한 마쉬멜로를 제조함으로써 고농도의 유산균 섭취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식물성 성분을 함유하고도 채식주의자도 섭취 가능한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장내에는 1011CFU/ml 정도의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고, 그 양도 분변의 40~5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세균 중 특히, 젖유산균은 각종 유기산을 생성하여, 장내 pH를 저하시키고 장내 유해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장관 벽을 자극하여 연동운동을 촉진시켜 소화 및 흡수를 돕고, 생성된 산은 다시 암모니아(ammonia)와 아민(Amine)을 이온 형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유해 물질의 장내 흡수를 억제시키는 등의 역할을 하는 유익한 균이다. 또한, 섭취 후 위와 십이지장을 거치면서 많은 유산균이 사멸하더라도 세포벽에 함유되어 있는 많은 유용 물질들이 항암효과, 면역강화 및 고혈압 예방 등의 유용한 역할이 있음이 이미 밝혀져 있다. 이외에도 최근 유산균이 미치는 건강증진효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장내 균총의 개선, 정장 작용으로 설사와 변비의 개선, 혈중 콜레스테롤의 저하효과, 유산균의 세균성 식중독 억제효과 등의 기능이 있음이 밝혀졌고, 국내에서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유산균 제품의 섭취량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유산균은 상온 유통 시, 외부 환경 스트레스(온도, 습도 등)에 의해 유산균이 사멸하기 때문에 발효유처럼 냉장 유통을 해야 하고 유통기한도 짧은 단점이 있다. 또한 유산균을 포함했을 뿐 유통기한 동안 유산균이 실제로 식품 안에서 살아있지는 않은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식품 내에 유산균이 포함되더라도 유산균의 생존율을 높임으로써 유통 기한을 연장한 유산균이 함유된 마쉬멜로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파이류 등의 다양한 과자에 적용되는‘마쉬멜로(Marshmallow)’는 동물성 단백질인 젤라틴, 난단백(Egg Albumin)을 주요 성분으로 하며, 여기에 당류와 기포제 등을 첨가한 후 물을 가하여 제조한 용액에 공기를 포립하여 제조하여 왔다. 종래의 동물성 원료인 젤라틴 및 난단백을 사용한 마쉬멜로는 일정 수준의 수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포 함유성, 조직의 탄력성 등의 특징을 유통기간 동안에도 계속 유지되었다.
그러나 마쉬멜로를 구성하는 젤라틴은 우피, 우골 혹은 돈피 등에서 추출한 원료로 제조된 것이고, 난단백(Egg albumin)은 계란의 흰자를 가공 처리한 원료로써, 채식주의자(vegetarian)나 종교적 사유 등의 다양한 이유로 취식에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즉 유제품(乳製品)은 취식 가능한 채식주의자를 위한 제품과, 힌두교, 유대교, 이슬람교 등의 종교에서 금기하는 원료의 사용이 배제된 제품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농도로 유산균이 함유된 마쉬멜로를 제조함으로써 고농도 유산균 섭취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보존 기간 중에도 유산균의 생존율이 높은 마쉬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식물성 재료를 사용하여도, 종래의 마시멜로우가 갖는 기포의 함유성 및 조직의 탄력성이 있어 장시간 유지하고 채식주의자들도 섭취 가능한 마쉬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S100) 농축된 유산균액을 제조하는 단계; (S200)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마쉬멜로 원료 제조 단계; (S300) 상기 농축된 유산균액과 상기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마쉬멜로 원료를 교반하여 마쉬멜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S400) 상기 마쉬멜로 혼합물을 가열 및 농축하여 농축된 마쉬멜로 혼합물로 제조하는 단계; (S500) 상기 제조된 농축된 마쉬멜로 혼합물을 굳혀 마쉬멜로를 제조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물성 마쉬멜로의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류테리 PRD202(KCTC 10301 BP), 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lilus), 락토코커스 크레모리스(Lactococcus cremori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사케(L. sake), 락토바실러스 류테리(L. reuteri), 락토바실러스 락티스(L. lactis), 락토바실러스 델브륙키의아종(L. delbrueckii subsp.),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글루코스의 변종(L. helveticusglucose var. jugurti), 코노스톡 덱스트라니쿰 (Leuconostoc dextranicum), 불가리쿠스 속(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속 BCY009(KCTC-0774BP), 아세토박터 속 BC-Y058(KCTC-0773B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S200) 단계에서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마쉬멜로 총 질량을 기준으로 식물성 검류 1.0 ~ 5.0 중량%; 당류 40.0 ~ 70.0 중량%; 기포제 0.1 ~ 1.0 중량%; 향료 0.01 ~ 0.05 중량%; 식염 0.01 ~ 0.05 중량%; 잔량의 정제수의 원료를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마쉬멜로는 상기 (S300) 단계에서, 유산균의 생존율 및 제품 보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pH안정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마쉬멜로에서 상기 당류는 정백당, 포도당, 말토스, 과당, 물엿 및 올리고당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기포제는 유단백분 또는 대두단백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산균을 함유한 마쉬멜로를 섭취할 때 유산균의 섭취가 가능하고, 장기 보존에도 안정한 마쉬멜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마쉬멜로와 비교하여도 충분한 수분 보유력과 기포 함유성 및 조직 탄력성을 갖기에 유통에도 적합하여 신규한 마시멜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및 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의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측면은 (S100) 농축된 유산균액을 제조하는 단계; (S200)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마쉬멜로 원료 제조 단계; (S300) 상기 농축된 유산균액과 상기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마쉬멜로 원료를 교반하여 마쉬멜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S400) 상기 마쉬멜로 혼합물을 가열 및 농축하여 농축된 마쉬멜로 혼합물로 제조하는 단계; (S500) 상기 제조된 농축된 마쉬멜로 혼합물을 굳혀 마쉬멜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및 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및 이의제조방법을 각 단계에 따라서,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S100) 단계는 농축된 유산균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인간의 장내 서식하며 항 비만 및 프로바이오틱스 효과를 동시에 갖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us),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lilus), 락토코커스 크레모리스(Lactococcus cremori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 bulgaricus),락토바실러스 사케(L. sake), 락토바실러스 류테리(L. reuteri), 락토바실러스 락티스(L. lactis), 락토바실러스 델브륙키의 아종(L.delbrueckii subsp.),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글루코스의 변종(L. helveticusglucosevar. jugurti), 류코노스톡 덱스트라니쿰 (Leuconostoc dextranicum), 불가리쿠스 속(Bulgaricus) 및 락토바실러스 류테리 PRD202 (KCTC 10301 BP), 락토바실러스 속 BC-Y009(KCTC-0774BP), 아세토박터 속 BC-Y058(KCTC-0773BP)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1종 이상을, 액체 배지에 18~40 ℃에서 9~6 시간 배양하고, 이를 원심분리하여 멸균 생리 식염수로 2회 세척한 후 균체를 획득한다.
획득한 균체 1g 당 0.5 - 1 ㎖의 멸균 식염수를 첨가하여 균을 현탁 한다. 이때 유산균액의 총 부피는 마쉬멜로 용액 전체 부피의 10 % 이하가 되게 농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겔화제에 유산균액이 첨가되는 단계에서 10%를 초과하게 되면 겔화제의 온도가 급격히 낮아져 균일 품질의 마쉬멜로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농축된유산균액은 1g 당 1 X 1012 이하의 유산균을 함유하게 된다.
상기 (S200) 단계는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마쉬멜로 원료 제조 단계이다.
상기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마쉬멜로 총 질량을 기준으로 식물성 검류 1.0 ~ 5.0 중량%; 당류 40.0 ~ 70.0 중량%; 기포제 0.1 ~ 1.0 중량%; 향료 0.01 ~ 0.05 중량%; 식염 0.01 ~ 0.05 중량%; 잔량의 정제수의 원료를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물성 검류는 카라기난검 0.5 ~ 2.0 중량%, 한천(AgarAgar) 0.1 ~ 2.0 중량%, 글루코만난(Glucomanan) 0.01 ~ 1.0 중량%, 잔탄검 0.1 ~ 2.0 중량%, 구아검 0.1 ~ 1.0 중량%, 로커스트빈검 0.1 ~ 1.0중량%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며, 겔화가 일어나는 온도가 50℃ 이상인 카라기난, 로커스트빈검, 한천을 사용하는 것이 유산균을 응고시킴으로써, 균의 사멸율을 최소하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검류가 1.0 중량 % 미만인 경우 수분 보유력이 나빠지고 마쉬멜로의 탄력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고 5.0 중량% 초과인 경우 농축혼합물의 점성이 너무 높아져 공기 포집을 방해하여 제품 구현이 잘 실현되지 않는 문제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당류는 정백당, 포도당, 말토스, 과당, 물엿 및 올리고당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당알코올류는 소르비톨, 말티톨 및 만니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 종 이상의 액상 당알코올류을 포함할 수 있고, 기포제는 유단백분 또는 대두단백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당류는 마쉬멜로 전체 중량 대비 40.0 ~ 70.0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40 중량% 미만인 경우 시럽의 양이 적어 마쉬멜로가 갖는 본연의 조직감과 바디감 형성에 문제가 생겨 전혀 다른 식감을 구현하는 문제가 있고 70 중량% 초과인 경우 농축혼합물의 브릭스(Brix) 조정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기에 상기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당알코올류는 0.0 ~ 20.0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당알코올류를 20.0 중량% 초과하여 사용하는경우 당알코올류 특유의 맛(고미) 때문에 마쉬멜로의 맛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기포제는 0.1 ~ 1.0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0.1 중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공기 포집 및 유지가 충분하지 못한 문제가 있고, 1.0 중량% 초과인 경우 큰 문제는 없으나 기포제의 효과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효율성 측면에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외에도 기호에 따라 각종 향료, 식염 또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식용 가능한 등급의 정제수를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S300) 단계는 상기 농축된 유산균액과 상기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마쉬멜로 원료를 교반하여 마쉬멜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유산균의 생존율 및 제품 보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pH안정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상기 pH 안정제는 연어정자에서 추출한 어유(Fish Milk), 아세트산 나트륨(Sodium Acetate)이나 젖산 나트륨(Sodium Lactate)이 적합하다.
상기 (S400)단계는 상기 마쉬멜로 혼합물을 가열 및 농축하여 농축된 마쉬멜로 혼합물로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S300) 단계에서 제조된 마쉬멜로 혼합물을 70 ~ 130℃ 조건으로 가온 및 농축시켜 60~80 브릭스(brix)의 농축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130℃이다. 상기 가온 온도가 70℃ 미만인 경우 검류 혼합물을 포함하는 농축 혼합물의 점성이 높아 제품 형성에 문제가 있고, 130℃ 초과인 경우 그 효과가 충분치 않아 에너지 비용이 더 드는 문제가 있으며, 농축 농도가 60 브릭스 미만인 경우 농축 혼합물의 점성이 너무 묽어 혼합물 내부에 공기 포집이 잘 않되는 문제가 있고, 80 브릭스 초과인 경우 농축 혼합물의 점성이 너무 높아 제품 생산에 문제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로 농축시킨다.
상기 (S500)단계는 상기 제조된 농축된 마쉬멜로 혼합물을 굳혀 마쉬멜로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S400) 단계에서 제조된 농축된 마쉬멜로 혼합물을 80 ~ 110℃의 온도에서 배치식 또는 연속식 통풍기 (aerator)를 이용하여 기포를 포립하여 마쉬멜로를 굳힌다. 이 때, 이때 온도가 80℃ 미만인 경우 검류 혼합물을 포함하는 농축 혼합물이 쉽게 굳는 문제가 있고 110℃ 초과인 경우 마쉬멜로 제조 후 굳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기에 상기 범위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제조
실시예 1
카라기난검 1.5g, 설탕 20g, 물엿 50g, 소르비톨 10g 유단백분말 0.25g, 대두단백분말 0.25g 식염 0.2g, 향료0.05g을 포함하는 마쉬멜로 원료를 준비하였다. 그 다음, 농축된 락토바실러스 류테리 PRD202(KCTC 10301 BP) 10mL와 Citric acid soln.(50% W/V) 0.2mL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마쉬멜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100 ℃에 가온하고 농축하여 70 브릭스(brix)의 농축 혼합
물로 제조하였다. 그리고 농축 혼합물을 90℃의 온도에서 배치식 통풍기를 이용하여 기포를 포립시켜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식물성 카라기난검이 아닌 동물성 젤라틴을 첨가하여 마쉬멜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되, Citric acid soln.(50% W/V)을 첨가하지 않고 마쉬멜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되, 100 ℃에 가온하고 농축하여 70 브릭스(brix)의 농축 혼합물로 제조하는 단계를 생략하여 마쉬멜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마쉬멜로 제조 전 후 유산균수의 변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마쉬멜로의 유산균의 생존률을 제조 전과 제조 후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제조 전의 유산균 수의 측정은 배양 후 생균수를 측정하고 여기에 농축 배수를 곱하여 계산하였다. 유산균 마쉬멜로의 분쇄는 식품용 분쇄기(BagMixer 400, 인터사이언스, 프랑스)를 사용하여 마쉬멜로 1 g당 4 ㎖의 멸균 생리 식염수를 첨가하여 10분간 분쇄하였다. 유산균수의 측정은 멸균 생리 식염수로 적정량 십진 희석하여 MRS 한천 배지에 도말한 후 37℃에서 24시간 배양 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제조 전 2.5 x 1010 2.5 x 1010 2.5 x 1010 2.5 x 1010
제조 후 2.15 x 1010 2.07 x 1010 1.08 x 1010 2.01x 1010
생존율 86.0% 82.8% 43.2% 80.4%
표 1을 참고하면, pH안정제인 Citric acid soln를 첨가한 경우(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3)가 마쉬멜로 제조 후 유산균의 생존율이 80% 이상으로 매우 높은 유산균의 생준율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물성 측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쉬멜로우의 물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수분 보유력의 측정: Brix로 측정하였다.
(2) 기포 함유성의 측정: 마쉬멜로의 비중을 측정하였다.
(3) 탄력성의 측정: 마쉬멜로의 물성 분석장비(Texture Analyze)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수분보유력(Bx) 70 70 70 70
기포함유성(g/cm3) 0.5 0.5 0.6 1.5
탄력성(G) 580 585 556 501
표 2를 참고하면, 식물성 마쉬멜로(실시예 1)과 동물성 마쉬멜로(비교예 1)를 비교하면 동등한 정도의 수분보유력, 기포함유성 및 탄력성을 가지고 있으며, 가열 및 농축한 경우(실시예 1)가 그렇지 않은경우(비고예 3)보다 기포함유성이 낮고 탄력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S100) 농축된 유산균액을 제조하는 단계;
    (S200)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마쉬멜로 원료 제조 단계;
    (S300) 상기 농축된 유산균액과 상기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마쉬멜로 원료를 교반하여 마쉬멜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S400) 상기 마쉬멜로 혼합물을 가열 및 농축하여 농축된 마쉬멜로 혼합물로 제조하는 단계;
    (S500) 상기 제조된 농축된 마쉬멜로 혼합물을 굳혀 마쉬멜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00) 단계에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류테리 PRD202(KCTC 10301 BP), 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lilus), 락토코커스 크레모리스(Lactococcus cremori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사케(L. sake), 락토바실러스 류테리(L. reuteri), 락토바실러스 락티스(L. lactis), 락토바실러스 델브륙키의아종(L. delbrueckii subsp.),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글루코스의 변종(L. helveticusglucose var. jugurti), 코노스톡 덱스트라니쿰 (Leuconostoc dextranicum), 불가리쿠스 속(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속 BCY009(KCTC-0774BP), 아세토박터 속 BC-Y058(KCTC-0773B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00) 단계에서,
    상기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마쉬멜로 총 질량을 기준으로 식물성 검류 1.0 ~ 5.0 중량%; 당류 40.0 ~ 70.0 중량%; 기포제 0.1 ~ 1.0 중량%; 향료 0.01 ~ 0.05 중량%; 식염 0.01 ~ 0.05 중량%; 잔량의 정제수의 원료를 혼합하는 것인,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겸류는 카라기난, 한천, 글루코만난, 잔탄검, 로커스트빈검 중에서 선택된 1종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검류는 카라기난검 0.5 ~ 2.0 중량%, 한천(AgarAgar) 0.1 ~ 2.0 중량%, 글루코만난(Glucomanan) 0.01 ~ 1.0 중량%, 잔탄검 0.1 ~ 2.0 중량%, 구아검 0.1 ~ 1.0 중량%, 로커스트빈검 0.1 ~ 1.0중량%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당류는 정백당, 포도당, 말토스, 과당, 물엿 및 올리고당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00) 단계에서,
    유산균의 생존율 및 제품 보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pH안정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H안정제는 연어정자에서 추출한 어유(Fish Milk), 아세트산 나트륨(Sodium Acetate)이나 젖산 나트륨(Sodium Lactat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이상 선택되는 것인,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400) 단계에서,
    상기 제조된 마쉬멜로 혼합물을 70 ~ 130℃ 조건으로 가온 및 농축시켜 60~80 브릭스(brix)의 농축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500) 단계는
    마쉬멜로 혼합물을 80 ~ 110℃의 온도에서 배치식 또는 연속식 통풍기 (aerator)를 이용하여 기포를 포립하여 마쉬멜로를 굳히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인,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KR1020220077485A 2022-06-24 2022-06-24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01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485A KR20240001347A (ko) 2022-06-24 2022-06-24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485A KR20240001347A (ko) 2022-06-24 2022-06-24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347A true KR20240001347A (ko) 2024-01-03

Family

ID=89539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485A KR20240001347A (ko) 2022-06-24 2022-06-24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13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46614B (zh) 一种功能性钙果酵素、酵素饮料及其生产方法
JP2670691B2 (ja) 直接摂取するための再構成可能な乾燥生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109930B (zh) 一种添加丝胶抗冻肽的果味益生菌酸奶片及其制备方法
RU2308838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десерта
EP1407678B1 (en) Capsules containing vital cells or tissues
CN105167072A (zh) 一种功能性枸杞酵素及其制品的生产方法
CN107897689A (zh) 一种米发糕及其制备方法
US20150010674A1 (en) Probiotic or symbiotic gelled product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1707551B1 (ko) 유산균 생균 제제를 함유한 초콜릿의 제조 방법
CN102415465A (zh) 一种含赤藓糖醇的双歧因子qq糖制备方法
CN107874155A (zh) 一种水果味发酵醋蛋咀嚼片及其制备方法
JP2001245660A (ja) 生きた細胞または組織を包含するカプセル
CN107853615A (zh) 一种发酵型醋蛋咀嚼片及其制备方法
CN116671569A (zh) 一种活性益生菌抗氧化软糖及其制备方法
KR20240001347A (ko) 유산균을 함유한 식물성 마쉬멜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306282A (zh) 乳酸菌胶原蛋白软糖及其制造方法
JP2004173675A (ja) 耐化学剤性を有する菌封入物および製造方法
CN107348274A (zh) 利用海蜇胶原蛋白肽发酵制备功能饮料的方法
JPS63291579A (ja) ビフィドバクテリウム菌の増殖促進剤
RU2229251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иммобилизованной композиции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пищевого пробиотического желир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иммобилизованн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продукт ее содержащий
KR100473391B1 (ko) 생리적 특성이 증진된 유산균 분말 및 이의 제조 방법
JP3814533B2 (ja) 被覆構造を有する可食性固状成形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40001349A (ko) 식물성 단백질 및 유산균을 함유한 건강 마쉬멜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00815A (ko) 유산균을 함유한 저칼로리 무설탕 마쉬멜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93354B1 (ko) 레반 및 알기네이트 비드로 코팅되어 생존율이 향상된유산균 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