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557A -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557A
KR20230173557A KR1020220092484A KR20220092484A KR20230173557A KR 20230173557 A KR20230173557 A KR 20230173557A KR 1020220092484 A KR1020220092484 A KR 1020220092484A KR 20220092484 A KR20220092484 A KR 20220092484A KR 20230173557 A KR20230173557 A KR 20230173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rtk
management server
toll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5231B1 (ko
Inventor
윤홍구
윤인구
김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앤아이
Publication of KR20230173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2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06Q20/3267In-app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시스템은 다인승 차량의 운전자 및 동승자가 소지한 단말로서, RTK 보정신호가 반영된 RTK-GNSS 위치정보를 발신하고,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RTK-GNSS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다인승 차량의 유료도로 진입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유료도로를 벗어나면, 기 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RTK-GNSS 위치정보와 기 설정된 범위(다인승 차량 면적) 내에서 발신된 RTK-GNSS 위치정보를 발신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모바일 단말을 확인 후, 다인승 할인이 적용된 유료도로 통행료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to support discount settlement services for multi-seater vehicles}
본 발명은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2007년부터 스마트 하이웨이(Smart Highway)를 국가 연구 개발 사업 중 하나로 선 정하고, 정보통신기술(ICT) 및 도로 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지능형 고속 도로에 대한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스마트 하이웨이의 한 형태로 2020년을 목표로 고속 도로 주행 중 정차 없이 통행료가 자동적으로 부과 되는 스마트 톨링 시스템(Smart Tolling System)을 도입할 예정이다. 그러나, 유사한 방식으로 시행된 원톨링 시스템에서 확인하였듯이 하이패스 단말기의 완전 보급이 불가능한 이상 현재 논의 단계에 있는 스마트 톨링 시스템에 있어서도 하이패스 단말기를 통한 결제 처리 방식 및 영상 처리 기술을 이용한 후불 결제 처리 방식이 함께 사용될 경우 시스템 오작동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오작동 시, 시스템 운영자와 차량 운전자 간의 분쟁이 발생하게 되면 차량 운전자로서는 명확한 오류 원인을 알 수 없고 실물 통행권마저 없는 이상 정확한 차량 이동 경로를 입증할 수 있는 수단이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유료 도로를 통행하는 모든 차량을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통행료를 징수하기 위한 시스템을 보다 신뢰 가능하게 구현하고, 차량 운전자도 통행료가 자동적으로 부과되는 근거를 명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다인승 차량에 대한 통행료 등을 할인할 수 있는 발명을 제안하고자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382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을 지원하는 시스템은 다인승 차량의 운전자 및 동승자가 소지한 단말로서, RTK 보정신호가 반영된 GNSS 위치정보를 발신하고,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GNSS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다인승 차량의 유료도로 진입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유료도로를 벗어나면,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모바일 단말의 GNSS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GNSS 위치정보를 발신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모바일 단말을 확인 후, 다인승 할인이 적용된 유료도로 통행료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는 기 구축된 유료도로 전자지도에 위치한 유료도로 통행소의 위치정보와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발신한 RTK-GNSS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다인승 차량의 유료도로 이용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는 상기 RTK-GNS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다인승 차량의 통행차선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행차선 및 인접한 통행차선의 도로통행속도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설정한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방식에 따라 유료도로 통행료를 산출 및 정산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가 상기 유료도로 통행소에 인접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로 유료도로영역 진입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을 지원하는 방법은 모바일 단말에서 유료도로 통행료 결제방식을 설정한 후, 목적지에 따른 유료도로 통행료를 선결제하는 단계;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발신하는 GNSS 위치정보를 기초로 유료도로 진입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유료도로를 벗어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GNSS 위치정보와 매칭 또는 유사한 GNSS 위치정보를 발신한 모바일 단말의 발신신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발신신호가 확인된 모바일 단말이 적어도 3대 이상으로 확인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로 다인승 할인이 적용된 유료도로 통행료를 부가 및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을 지원하는 방법은 모바일 단말에서 주차장 이용료 결제방식을 설정하는 단계;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발신하는 RTK-GNSS 위치정보를 기초로 유료주차장 진입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일정시간 동안 상기 모바일 단말의 RTK-GNSS 위치정보와 매칭 또는 유사한 RTK-GNSS 위치정보를 발신한 모바일 단말의 발신신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발신신호가 확인된 모바일 단말이 적어도 3대 이상으로 확인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로 다인승 할인이 적용된 주차장 이용료를 부가 및 정산처리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도로통행료 관리에 있어서, 다인승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서 유료도로 위치정보와 매칭을 통하여 이용자가 실제 이용한 거리만큼 도로통행요금을 징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 단말기가 꺼져있는 경우 현행 차량번호 인식을 통하여 도로요금 징수 운영자는 수집된 차량의 정밀위치를 바탕으로 차로별(차선별) 통행속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통행차로 선택을 통하여 통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도로용량을 증대시켜서 통행시간 절감효과가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로통행료 운영자는 수집한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 모바일의 정밀위치를 바탕으로 차로별(차선별) 통행속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통행차로 선택을 통하여 통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도로용량을 증대시켜서 통행시간 절감효과를 불러올 수 있고, 이용자 모바일의 앱 실행이 안되면 기존 통행료 징수시스템(하이패스, 영상인식)으로 징수가 가능함으로, 도로 통행료 징수 방식을 모바일폰 결재방식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시스템 및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100)은 모바일 단말에서 실시간 발신하는 RTK-GNSS 위치정보를 통해 다인승 차량에 탑승한 탑승인원들의 위치정보를 측정 및 모니터링하고, 유로도로를 이용하는 다인승 차량의 이동거리에 따른 도로통행료를 운전자 단독으로 부담하거나 또는 탑승인원의 수에 따라 개별분담하도록 정산처리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100)은 모바일 단말(200) 및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각 구성은 네트워크로 통신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모바일 단말(200)은 차량에 탑재되거나 또는 챠량에 탑승한 탑승인원이 소지한 단말로서,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서비스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GNSS 위치정보 및 후술하는 NRTK(Network-based Real Time Kinematic) 보정신호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차량의 정밀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200)은 탑승차종,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동승한 탑승인원 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후술하는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300)로부터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동승한 탑승인원 수에 따른 도로통행료에 대한 할인정산 및 동승자 별 할인 정산된 도로통행료 등을 확인 및 결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 단말(200)은 유료도로 통행료 정산 시에, 동승한 인원 수에 비례한 할인율이 적용된 도로통행료를 선결제하거나 또는 동승한 인원수 별로 다인승 할인이 적용된 도로통행료를 결제하는 단말일 수 있다.
즉, 탑승차량 내에 동승한 거리에 맞추어 요금을 개별적으로 부담하거나 또는 동승한 거리에 따라 할인이 적용된 도로통행료를 결제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200)은 후술하는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300)로부터 탑승차량의 통행차선 또는 통행차로의 통행속도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 단말(200)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서 제안한 무선 LAN 및 일부 적외선 통신 등을 포함하는 무선 LAN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의 표준 규격인 802.11과, 블루투스, UWB, 지그비 등을 포함하는 무선 PAN(Personal Area Network)에 대한 표준 규격인 802.15과, 도시 광대역 네트워크(Fixed Wireless Access: FWA) 등을 포함하는 무선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광대역 무선 접속(Broadband Wireless Access: BWA)에 대한 표준 규격인 802.16과, 와이브로(Wibro),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와이맥스(WiMAX) 등을 포함하는 무선 MAN(Mobile Broadband Wireless Access: MBWA)에 대한 모바일 인터넷에 대한 표준 규격인 802.20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의 GNSS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서비스 플랫폼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에 설치 또는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의 GNSS 위치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제공받고, 해당 위치정보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RTK 보정신호를 해당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전국에 분포된 RTK 기준국과 네트워크 망으로 통신하고, RTK 기준국 신호를 기초로 생성 또는 제공된 NRTK(Network-based Real Time Kinematic) 보정신호를 모바일 단말(200)의 GNSS 위치정보에 따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모바일 단말에서 실시간 송출하는 RTK 보정신호가 반영된 GNSS 위치정보를 수집한 후, 도로통행료 운영서버로 제공하고, 도로통행료 운영서버에서 수집 또는 산출한 유료도로의 통행차선 또는 통행차로의 통행속도 정보를 모바일 단말(200)로 중계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모바일 단말(200)에서 송출한 RTK 보정신호가 반영된 RTK-GNSS 위치정보를 통해 다인승 차량 내에 동승자의 수, 동승자와의 동승한 이동거리를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다인승 차량 할인율을 산출하고, 다인승 차량 할인율이 적용된 유료도로 통행료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상기 모바일 단말(200)에서 설정한 도로통행료 정산방식(제1 정산방식 및 제2 정산방식)에 따라 도로통행료를 정산한다.
제1 정산방식은 예컨대, 모바일 단말에서 동승한 인원 수에 비례한 할인율이 적용된 도로통행료를 주계약자(운전자)가 선결제하도록 처리하는 방식이고, 제2 정산방식은 동승한 인원수 별로 다인승 할인이 적용된 도로통행료를 정산하는 방식일 수 있다. 즉,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탑승차량 내에 동승한 거리에 맞추어 요금을 개별적으로 부담하거나 또는 동승한 거리에 따라 할인이 적용된 도로통행료를 정산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정산처리한다.
한편,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모바일 단말에서 실시간 송출하는 RTK 보정신호가 반영된 GNS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유료주차장 주차료를 정산하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통해 탑승차량의 위치정보를 모니터링하고, 해당 탑승차량이 유로주차장 Zone 내에 진입할 경우, 기 설정된 시간내에 기 설정된 수의 모바일 단말들의 위치 매칭을 분석하고, 위치가 매칭되면 기 설정된 수가 탑승한 다인승 차량으로 인식하고, 이에 따라 다인승 주차요금을 정산할 수 있다.
예컨대, ① 차량에 등록된 스마트폰 결재방식 신청 → ② 예상주차 시간입력 및 요금 결재 → ③ 차량 주차장 ZONE 진입 → ④ 일정시간동안 스마트폰 3대이상의 정밀위치와 ZONE 매칭 → ⑤ 유료도로 ZONE 진입 알림 전송 → ⑥ 차량 주차장 ZONE 진출 (위치, 속도 매칭) → ⑦ 정산된 주차료 부과 표시전송 → ⑧ 정산된 주차료 징수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GNSS 위치정보 수신부(310), RTK 보정신호 발신부(320), 매칭부(330), GIS부(340), 부가서비스부(350) 및 다인승 할인정산부(360)를 포함한다.
상기 GNSS 위치정보 수신부(310)는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서비스에 가입된 모바일 단말(200)에서 발신하는 RTK 보정신호가 적용된 GNSS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RTK 보정신호 발신부(320)는 전국단위로 설치된 RTK 기준국으로부터 측위보정데이터를 수집하여 가공한 RTK 보정신호를 모바일 단말(200)로 발신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GIS부(340)는 전국에 위치한 유료도로 통행소(톨게이트), 유료도로 위치, 길이, 시작~끝 구간에 대한 정보를 외부서버로부터 제공받아 도로전자지도로 DB화하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매칭부(330)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모바일 단말(200)의 GNSS 위치정보와 유료도로의 진입구간의 위치정보를 매칭하여 모바일 단말(200)을 소지한 소지자가 탑승한 다인승 차량의 유료도로 이용여부를 확인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매칭부(330)는 모바일 단말(200)에서 실시간으로 발신한 GNSS 위치정보 및 GNSS 위치정보 발신시각과 동일 또는 유사한 GNSSS 위치정보를 매칭한 후, 기 설정된 매칭조건이 확인되면, 다인승 차량의 탑승인원으로 확인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부가서비스부(350)는 모바일 단말에서 실시간 발신하는 RTK-GNSS 위치정보에 따른 주행중인 다인승 차량의 유료도로 통행차선 또는 주행예정의 다인승 차량의 유료도로 통행차선의 통행속도 정보를 도로통행료 운영서버에서 제공받아 중계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부가서비스부(350)는 모바일 단말(200)의 RTK-GNSS 위치정보발신이 유료도로 상에서 끊길경우, 해당 유료도로의 통행소(종착지점)로 모바일 단말(200)의 차량번호 및 차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유료도로 통행료 미부과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부가서비스부(350)는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유료도로 진입에 대한 알림메시지를 발송하는 서비스를 지원한다.
다음으로, 다인승 할인정산부(360)는 유료도로, 유료주차장 등을 이용하는 다인승 차량 내에 탑승한 탑승자의 수가 3명 이상일 경우, 다인승 할인을 적용한 유료로도 통행료 또는 주차장 이용료를 산출하고, 모바일 단말에서 설정한 정산 방식, 예컨대, 운전자 일괄정산 또는 개별분담정산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통행료 또는 이용료를 정산처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S700)은 모바일 단말(200)에서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서비스 플랫폼을 실행한 후, GNSS 위치정보를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300)로 발신하면,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300)에서 해당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정밀보정하기 위한 RTK 보정신호를 모바일 단말로 송출하고, 모바일 다말(200)은 RTK 보정신호가 반영된 GNSS 위치정보(발신시각 포함)를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300)로 발신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200)은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다인승 차량차종(면적), 목적지, 동승인원 수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300)로 제공한다.
이후,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모바일 단말에서 발신하는 GNS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유료도로 진입여부, 진입시점, 이탈시점 등을 모니터하며, 해당 유료도로를 이탈할 경우,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모바일 단말이 유료도로를 진입한 시점부터 이탈한 시점까지 해당 모바일 단말에서 등록한 다인승 차량차종(면적) 내에서 기 설정된 다인승 할인 조건에 포함하는 3대 이상의 모바일 단말의 GNSS 위치정보 및 발신시간을 추출한다.
적어도 3대 이상의 모바일 단말의 발신정보가 다인승 할인조건에 만족하면, 모바일 단말에서 설정한 통행료 정산방식에 따라 다인승 차량 할인이 적용된 유로도로 통행료를 산출하여 모바일 단말로 제공한다.
이후, 모바일 단말(200)은 다인승 차량 할인이 적용된 유료도로 통행료를 결제하며,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모바일 단말의 통행료결제 내역을 도로통행료 운영서버(도로공사)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S700)은 유료도로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200)의 GNS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통행차선 또는 변경할 통행차선의 평균통행속도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S800)은 모바일 단말에서 주차장 이용료 결제방식을 설정한다.
여기서, 주차장 이용료 결제방식은 일괄결제 방식 및 개별분담결제 방식을 포함한다. 일괄결제방식은 3명 이상이 탑승한 차량 내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모바일 단말에서 다인승 차량할인이 적용된 주차장 이용료를 단독으로 결제하는 방식이며, 개별분담결제 방식은 3명 이상이 탑승한 차량 내에 위치한 모바일 단말에서 다인승 차량할인이 적용된 주차장 이용료를 1/N 만큼 분담하도록 결제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후,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발신하는 RTK-GNSS 위치정보를 기초로 유료주차장 진입여부를 확인(S820)한 후, 상기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일정시간 동안 상기 모바일 단말의 RTK-GNSS 위치정보와 매칭 또는 유사한 RTK-GNSS 위치정보를 발신한 모바일 단말의 발신신호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발신신호가 확인된 모바일 단말이 적어도 3대 이상으로 확인된 상태에서, 다인승 차량이 해당 유료주차장을 벗어나면, 상기 모바일 단말로 다인승 할인이 적용된 주차장 이용료를 부가 및 정산처리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도로통행료 관리에 있어서,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서 유료도로 위치정보와 매칭을 통하여 이용자가 실제 이용한 거리만큼 요금을 징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 단말기가 꺼져있는 경우 현행 차량번호 인식을 통하여 요금 징수 운영자는 수집된 차량의 정밀위치를 바탕으로 차로별(차선별) 통행속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통행차로 선택을 통하여 통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도로용량을 증대시켜서 통행시간 절감효과가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로통행료 운영자는 수집한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 모바일의 정밀위치를 바탕으로 차로별(차선별) 통행속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통행차로 선택을 통하여 통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 이는 도로용량을 증대시켜서 통행시간 절감효과를 불러올 수 있고, 이용자 모바일의 앱 실행이 안되면 기존 통행료 징수시스템(하이패스, 영상인식)으로 징수가 가능함으로, 도로 통행료 징수 방식을 모바일폰 결재방식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따른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각 구성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200: 모바일 단말
300: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
310: GNSS 위치정보 수신부
320: RTK 보정신호 발신부
330: 위치정보 매칭부
340: GIS 부
350: 부가서비스부
360: 다인승 할인정산부

Claims (7)

  1. 다인승 차량의 운전자 및 동승자가 소지한 단말로서, RTK 보정신호가 반영된 RTK-GNSS 위치정보를 발신하고,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RTK-GNSS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다인승 차량의 유료도로 진입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유료도로를 벗어나면, 기 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RTK-GNSS 위치정보와 기 설정된 범위(다인승 차량 면적) 내에서 발신된 RTK-GNSS 위치정보를 발신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모바일 단말을 확인 후, 다인승 할인이 적용된 유료도로 통행료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는
    기 구축된 유료도로 전자지도에 위치한 유료도로 통행소의 위치정보와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발신한 RTK-GNSS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다인승 차량의 유료도로 이용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는
    상기 RTK-GNS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다인승 차량의 통행차선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행차선 및 인접한 통행차선의 도로통행속도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설정한 다인승 차량 할인정산 방식에 따라 유료도로 통행료를 산출 및 정산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가 상기 유료도로 통행소에 인접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로 유료도로영역 진입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6. 모바일 단말에서 유료도로 통행료 결제방식을 설정한 후, 목적지에 따른 유료도로 통행료를 선결제하는 단계;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발신하는 GNSS 위치정보를 기초로 유료도로 진입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유료도로를 벗어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GNSS 위치정보와 매칭 또는 유사한 GNSS 위치정보를 발신한 모바일 단말의 발신신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발신신호가 확인된 모바일 단말이 적어도 3대 이상으로 확인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로 다인승 할인이 적용된 유료도로 통행료를 부가 및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7. 모바일 단말에서 주차장 이용료 결제방식을 설정하는 단계;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발신하는 RTK-GNSS 위치정보를 기초로 유료주차장 진입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일정시간 동안 상기 모바일 단말의 RTK-GNSS 위치정보와 매칭 또는 유사한 RTK-GNSS 위치정보를 발신한 모바일 단말의 발신신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플랫폼 관리서버에서 발신신호가 확인된 모바일 단말이 적어도 3대 이상으로 확인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로 다인승 할인이 적용된 주차장 이용료를 부가 및 정산처리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KR1020220092484A 2022-06-17 2022-07-26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6352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347 2022-06-17
KR20220074347 2022-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557A true KR20230173557A (ko) 2023-12-27
KR102635231B1 KR102635231B1 (ko) 2024-02-13

Family

ID=89378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484A KR102635231B1 (ko) 2022-06-17 2022-07-26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2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3827A (ko) 2006-04-20 2007-10-25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도로 통행료 징수 방법/시스템과,이 방법에 적용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차량용 통행료정산단말기
JP2011237842A (ja) * 2010-04-30 2011-11-24 Fujitsu Ltd 相乗り判定装置、環境負荷算出装置、相乗り判定プログラムおよび相乗り判定方法
KR20150017162A (ko) * 2013-08-06 2015-02-16 주식회사 케이티 통행요금을 징수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7069922A (ja) * 2015-10-02 2017-04-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間通信装置、及び車両間通信システム
JP2019139469A (ja) * 2018-02-09 2019-08-22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3827A (ko) 2006-04-20 2007-10-25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도로 통행료 징수 방법/시스템과,이 방법에 적용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차량용 통행료정산단말기
JP2011237842A (ja) * 2010-04-30 2011-11-24 Fujitsu Ltd 相乗り判定装置、環境負荷算出装置、相乗り判定プログラムおよび相乗り判定方法
KR20150017162A (ko) * 2013-08-06 2015-02-16 주식회사 케이티 통행요금을 징수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7069922A (ja) * 2015-10-02 2017-04-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間通信装置、及び車両間通信システム
JP2019139469A (ja) * 2018-02-09 2019-08-22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231B1 (ko) 202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9415B2 (ja) 移動端末機の課金情報を用いた交通情報獲得方法
RU2378700C2 (ru) Электронная система сбора дорожной пошлины для путей сообщения и способ ее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CN102768768B (zh) 一种智能交通服务系统
CN110675139B (zh) 一种基于5g小基站定位的地铁乘车扣费方法
CN205177167U (zh) 一种基于etc和v2x的智能终端及系统
US20160203651A1 (en) Vehicle traffic and vehicle related transaction control system
CN104867189A (zh) 一种停车场收费的方法和装置
CN111127680A (zh) 车辆行驶路径的识别方法、系统、车载终端及服务器
KR10186118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
CN109147072A (zh) 一种高速公路跨计费主体进行计费的方法和系统
CN111028370A (zh) 用于改进的收费站车辆处理的方法和设备
CN105390019A (zh) 基于Wi-Fi指纹定位与室内导航技术的智能停车场系统实施方法
CN107330989A (zh) 一种基于移动支付的高速公路收费系统
KR20140140689A (ko) 위치정보기반의 가상요금소 설정 및 통행료 지불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8985220U (zh) 一种高速公路跨计费主体进行计费的系统
CN106952351A (zh) 高速公路etc电子收费系统及方法
CN103544843B (zh) 道路交通组织方法、装置及系统
JP5745887B2 (ja) 課金システム、料金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5160717A (zh) 交通云服务方法、系统、子系统、车载单元及网络终端
KR102635231B1 (ko) 다인승 차량의 할인정산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9618298B (zh) 流量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70027336A (ko)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택시 이용 요금을 결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20300B1 (ko)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요금 징수 장치 및 방법
KR20130104253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행료 결제 방법 및 장치
Lu et al.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based on global positioning system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