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181B1 -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181B1
KR101861181B1 KR1020150036035A KR20150036035A KR101861181B1 KR 101861181 B1 KR101861181 B1 KR 101861181B1 KR 1020150036035 A KR1020150036035 A KR 1020150036035A KR 20150036035 A KR20150036035 A KR 20150036035A KR 101861181 B1 KR101861181 B1 KR 101861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ll
information
virtual
authentication
road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1194A (ko
Inventor
정찬의
Original Assignee
디노플러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노플러스 (주) filed Critical 디노플러스 (주)
Priority to KR1020150036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181B1/ko
Priority to PCT/KR2015/007658 priority patent/WO2016148349A1/ko
Publication of KR20160111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유심(usim)을 이용하여 인증을 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키고, 편리하게 요금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가상 요금소 위치 정보를 전송하며, 통행료 결제 단말기의 유심 정보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하며, 인증이 이루어진 후 상기 통행료 결제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행료 결제를 처리하고, 미납 통행료 처리를 제어하는 도로공사 시스템; 및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가상 요금소 위치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요금소를 판단하고, 상기 가상 요금소 통과시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과 접속하여 유심의 정보를 기초로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통행료 요금을 산출하고, 통행료 과금을 처리하는 통행료 결제 단말기를 포함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을 구현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System for automatic electronic toll collection based on virtual toll using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smartphone)을 이용한 가상요금소(virtual toll)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유심(usim)을 이용하여 인증을 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키고, 편리하게 요금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행료를 징수하는 도로 톨게이트의 통행료 징수 시스템은 요금 결제(지불)를 위해 차량을 정차해야하기 때문에, 도로 교통 체증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이패스(High Pass)를 이용하고 있지만 하이패스 전용차선으로 진입하기 위해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여기서 하이패스 방식은 차량 내부에 전자카드를 내장하고 있는 하이패스 단말기(OBU: On Board Unit)를 발급받아 설치해야 하고, 요금소에는 노변 기지국장치(RSE: Road Side Equipment)를 설치해야 한다. 이때 하이패스 단말기와 노변 기지국장치는 단거리 무선통신(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방식에 의해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정차 없이 톨게이트를 통과하면서 전자카드의 금액이 결제되는 방식이다.
도로 톨게이트의 통행료 징수에서 발생하는 교통 체증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통행료 징수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으며,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8>에 종래의 통행료 징수 시스템이 개시되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하이패스 OBU(On Board Unit) 대신 차종정보, 차량번호를 저장하는 태그, 태그의 정보를 읽는 리더기를 이용하여, 하이패스 단말기와 차종 분류 장치 없이 전자태그만으로 통행요금을 징수하게 된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기존 하이패스 OBU를 젠더 형태로 만들어 스마트폰에 장착하고, 이러한 무선 젠더를 이용하여 통행료를 납부한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하이패스 OBU없이 하이패스 차로에 스마트폰 활성화를 위한 활성신호 송출기를 송출하여 결제를 요청함으로써, 하이패스 시스템의 통행료 결제를 많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결제할 수 있어, 고가의 하이패스 단말기를 구입하여 설치하기 위한 추가비용의 부담을 줄이게 된다.
<특허문헌 4>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이동단말기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정보와 톨게이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톨링 존에 위치 시 이동전화 통화요금 또는 인터넷 결제를 통해 통행료를 결제하게 된다.
<특허문헌 5>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OBU에 장착된 하이패스 카드와의 통행료 정산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하이패스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미납금액 통지를 하고, 통행료를 징수하게 된다.
<특허문헌 6>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차량 내의 별도 GPS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가상 징수 존에 도착시, 운전자 이동전화를 통해 도착한 신호를 노변 장치로 보내고, 노변 장치에서는 운전자 이동전화를 통해 요금결제를 실제 톨게이트 진입 전에 처리하게 된다.
<특허문헌 7>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이동 전화를 보유한 운전자가 톨게이트로 진입시 주변 이동통신 기지국의 핸드오프 신호 변경을 이용하여, 해당 운전자의 이동전화로 과금한다.
<특허문헌 8>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OBU를 GPS에 연결하고, 유로도로 진입시는 GPS위치 기반으로 입구 지점을 파악하고, 출구에만 게이트를 설치하여 진입시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통행요금을 산정하고, OBU에 등록된 차주의 계좌에서 요금을 인출하는 방식으로 요금을 징수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2-0007801호(2012.01.25.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1-0057979호(2011.06.0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2-0124759호(2012.11.14.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9-0000727호(2009.01.08.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8-0016262호(2008.02.21. 공개) 국제특허출원 출원번호 PCT/SE1998/002264(1998.12.09. 출원) 일본 특허출원 출원번호 17157888호(2005.05.30. 출원) 일본 특허출원 출원번호 16105370호(2004.03.31. 출원)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하이패스 방식일 경우 설비비가 많이 소요되고, 고속으로 주행시 단거리 무선통신의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기에 톨게이트 진입시 차량의 이동속도를 일정 속도(예를 들어, 30km/h) 이하로 제한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하이패스 전용차선만 정체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바일폰을 이용한 종래기술은 모바일을 하이패스로 대체한 것으로서, 톨게이트의 설치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통신 방식으로 DSRC 통신 방식을 이용하므로, 통신 속도가 늦어 전체적인 요금 처리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유심(usim)을 이용하여 결제시 인증을 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키고, 편리하게 요금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행료 요금 결제를 위한 통신으로 웨이브 통신 시스템 또는 이동통신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통행료 결제 시간을 단축하도록 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사에 기등록된 유심 정보를 인증정보로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인증을 수행하는 불편함을 개선하고, 고객 인증의 신뢰성을 향상하도록 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로 공사 시스템과 연계하여 미납 처리된 통행료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은 가상 요금소 위치 정보를 전송하며, 통행료 결제 단말기의 유심 정보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하며, 인증이 이루어진 후 상기 통행료 결제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행료 결제를 처리하고, 미납 통행료 처리를 제어하는 도로공사 시스템;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가상 요금소 위치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요금소를 판단하고, 상기 가상 요금소 통과시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과 접속하여 유심의 정보를 기초로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통행료 요금을 산출하고, 통행료 과금을 처리하는 통행료 결제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통행료 결제 단말기는 GPS위성으로부터 전송된 GPS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수신모듈;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가상 요금소 위치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요금소를 판단하고, 상기 가상 요금소 통과시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과 접속하여 통행료 과금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동하여 상기 통행료 결제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과 연동하여 인증을 처리하고, 내장된 하이패스 카드 모듈을 통해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과 접속하여 통행료 과금 처리를 하는 USI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통행료 결제 단말기는 상기 제어부와 연계하여,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과 웨이브 통신 방식 또는 이동통신방식(CDMA, LTE., LTE-A)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유심은 이동통신사에 기등록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과 접속하여 인증 정보를 등록하는 인증정보 등록모듈;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 모듈; 통행료 결제시 상기 정보저장 모듈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인증 정보는 이동통신사에 등록된 스마트폰 고유번호(ID)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인증정보 등록모듈은 통행료 결제 이전에 단말기 등록시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과 접속하여 인증 정보를 기초로 통행료 결제 단말기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유심은 사용자가 기등록한 지불 수단을 이용하여 통행료 과금을 처리하는 통행료 과금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불 수단은 선불 또는 후불 방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에 내장된 유심의 정보를 기초로 통행료 결제 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인증에 편리함을 도모함은 물론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가상요금소 기반으로 통행료를 결제함으로써, 가상요금소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통행료를 자동으로 지불토록 함으로써, 통행료 지불을 위해 차량의 정차나 서행이 필요치 않아 요금소 근처에서의 차량 정체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요금소와 같은 설비가 필요 없으므로 설비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통행료 결제 단말기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유심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은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와 도로공사 시스템(2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은 정산 시스템(300)과 네트워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산 시스템(300)은 금융기관과 연계하여 통행료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200)은 가상 요금소 위치 정보를 전송하며,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의 유심 정보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하며, 인증이 이루어진 후 상기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와 네트워크(400)를 통해 통행료 결제를 처리하고, 미납 통행료 처리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도로공사 시스템(200)은 도로 통행료를 징수하는 한국도로공사에 구비된 운영 서버일 수 있다.
상기 가상 요금소란 1개 이상의 톨링 존(Tolling zone)으로 이루어진 가상의 요금소를 의미하며, 톨링 존은 GPS좌표로 표현된다. 예컨대, 톨링 존은 4개의 GPS좌표로 설정될 수 있으며, 그 이상의 GPS좌표로도 설정 가능하다. 가상 요금소의 지리적 특성에 따라 상행, 하행 요금소가 구분이 되어 있는 경우라도, 가상요금소는 상행, 하행의 구분이 필요없이 하나의 가상요금소를 구성한다. 이는 도로공사 시스템(200)에서 입구, 출구 정보를 기준으로 상행, 하행에 관한 판단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게 되면 상행, 하행을 구분할 필요가 없게 된다.
여기서 가상 요금소는 입구와 출구가 존재하는 폐쇄식 가상 요금소와 해당 게이트 통과시 통행료를 지불하는 개방식 가상 요금소로 대별된다. 폐쇄식 가상 요금소나 개방식 가상 요금소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운영되므로, 이하 가상 요금소는 이를 별도로 구분하지 않으며, 폐쇄식 또는 개방식 가상 요금소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는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된 가상 요금소 위치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요금소를 설정하고, 상기 가상 요금소 통과시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200)과 접속하여 유심의 정보를 기초로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통행료 요금을 산출하고, 통행료 과금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는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기기로서, 스마트폰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GPS위성으로부터 전송된 GPS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수신모듈(110);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가상 요금소 위치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요금소를 판단하고, 상기 가상 요금소 통과시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과 접속하여 통행료 과금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140);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130); 사용자가 조작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20); 상기 제어부(140)와 연동하여 상기 통행료 결제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200)과 연동하여 인증을 처리하고, 내장된 하이패스 카드 모듈을 통해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200)과 접속하여 통행료 과금 처리를 하는 USIM(160); 상기 제어부(140)와 연계하여 결제에 관련하여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2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 모듈(150)은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200)과 웨이브 통신 방식 또는 이동통신방식(CDMA, LTE., LTE-A)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심(16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사에 기등록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200)과 접속하여 인증 정보를 등록하는 인증정보 등록모듈(163);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 모듈(162); 통행료 결제시 상기 정보저장 모듈(162)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모듈(161); 사용자가 기등록한 지불 수단을 이용하여 통행료 과금을 처리하는 통행료 과금처리 모듈(164)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불 수단은 선불 또는 후불 방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증 정보는 이동통신사에 등록된 스마트폰 고유번호(ID)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전화 번호,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정보 등록모듈(163)은 통행료 결제 이전에 단말기 등록시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200)과 접속하여 인증 정보를 기초로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를 등록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 또는 통행료 과금 처리모듈(164)은 통행료 지불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통행료 과금에 대한 전반적인 처리를 담당한다. 예컨대, 통행료 과금에 대해서는 제어부(140)에서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고, 유심(160)의 통행료 과금 처리모듈(164)에서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어부(140)에서 처리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통행료 지불 애플리케이션은 전체 가상요금소 정보를 수신하고, 가상요금소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며, 하이패스 카드 모듈 내의 카드 정보, 단말 정보, 입출구 정보 등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도로공사 시스템(200)으로 전송한 후,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200)으로부터 통행 요금을 수신하여 유심(160)내의 통행료 과금 처리모듈(164)에서 전자 지불 카드를 이용하여 통행요금을 차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다. 통행료 과금 처리를 위한 지불 수단으로써는 선불 방식과 후불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입력부(120) 키 조작에 따라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의 제어부(140)는 도로공사 시스템(200)과 접속하여 통행료 지불을 위한 통행료 지불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이때,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를 결제 단말기로서 등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를 결제 단말기로서 등록하기 위해서는 인증 정보가 필요한 데,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인증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에 기본적으로 장착된 유심(160)에 등록된 정보를 이용한다. 여기서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는 스마트폰이라고 간주를 하였으며, 이러한 스마트폰에는 유심(160)이 내장된다.
유심(160)의 정보 저장 모듈(162)에는 인증 코드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하기 위한 인증 정보가 저장된다. 예컨대, 인증 정보는 스마트폰 제조시 각각의 스마트폰마다 부여된 고유 번호(ID), 그리고 사용자 등록을 위해 사용되는 전화번호, 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다.
인증정보 등록모듈(163)은 상기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사용자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조합하여 인증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인증 코드를 제어부(140)로 전송하여,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를 인증하고, 등록하도록 한다.
제어부(140)는 통신 모듈(150)과 연계하여 인증코드를 도로공사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은 웨이브 통신 방식 또는 이동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인증 코드를 수신한 도로공사 시스템(200)은 이동통신사와 연계하여 인증 코드를 검증하고, 인증 코드가 맞으면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를 통행료를 결제할 수 있는 단말기로 등록한다.
여기서 인증 코드는 실제 이동통신사에서 고객 등록 및 인증시 사용하기 위한 정보를 기초로 만들어진 것이므로, 별도의 인증 코드에 대한 인증을 위한 공인 인증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간단하게 현재 사용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에 대한 등록을 한다.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로서 도로공사 시스템(200)에 등록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생성한 인증 코드가 인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유심(160)의 정보 저장 모듈(162)에 저장된다.
이후,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를 휴대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해당 차량을 운전하는 경우, 키 조작을 통해 통행료 자동 지불에 대한 명령을 입력한다.
이러한 명령 입력에 따라 제어부(140)에서 상기 통행료 지불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상기 통행료 지불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통신 모듈(150)을 통해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200)과 접속하여, 모든 가상요금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이후 GPS수신모듈(110)을 통해 수신한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와 도로공사 시스템(200)으로부터 내려받은 전체 가상요금소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가상요금소를 탐색하고, 그 탐색한 가상요금소를 목표 가상요금소로 판단한다. 여기서 통행료 지불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도로공사 시스템(200)과 접속되는 경우, 해당 도로의 입구, 출구 정보 등이 도로공사 시스템(200)으로부터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에 전송되기 때문에,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는 이를 기준으로 경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가상요금소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내비게이션이나 T-맵 등과 연동하여 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이러한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요금소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목표 가상요금소가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현재 위치에서 목표 가상요금소까지의 남은 거리를 계산한다. 여기서 거리 계산은 GPS정보를 이용한 위치 정보와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게 되면 용이하게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계산한 목표 가상요금소까지의 거리를 미리 설정된 가상요금소 변경거리(예를 들어, 1km)와 비교하여, 목표 가상요금소까지의 거리가 1km 이상일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목표 가상요금소까지 남은 거리보다 더 가까운 가상요금소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목표 가상요금소보다 더 가까운 가상요금소가 존재하면, 그 가까운 가상요금소를 새로운 목표 가상요금소로 설정하게 되고, 사용자에게 목표 가상요금소가 변경되었음을 알려준다. 이 경우는 분기점 등에서 차량의 경로가 변경된 경우 그 변경된 경로 상에 위치한 가상요금소로 목표 가상요금소를 변경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경우 이외에 분기점 등으로 인해 가상요금소를 변경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현재 위치로부터 목표 가상요금소까지의 거리가 1km 미만일 경우, 현재 설정된 목표 가상요금소를 최종 목표 가상요금소로 판단하고, 더 이상 다른 가상요금소를 탐색하지 않는다.
그리고 1km가 남은 시점부터는 차량이 톨링 존(가상요금소)에 진입했는지를 확인한다. 예컨대, 현재 사용자의 GPS 좌표가 4개의 GPS 좌표로 구성된 가상요금소의 톨링존 영역 안에 들어왔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가상요금소에 진입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가상요금소 진입 여부는 현재 위치 좌표와 가상요금소의 위치 좌표를 비교하는 것으로서 간단하게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톨링 존이 복수 개가 있는 경우 하나의 영역에만 들어오더라도 가상요금소에 진입했다고 판단한다.
차량이 가상요금소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유심(160)과 연계하여, 통행료 과금 처리모듈(164)에서 통행 요금을 계산하도록 데이터를 전달하며, 이러한 전달 데이터에 의해 통행료 과금 처리모듈(164)에서 통행료 지불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도로공사 시스템(200)에 통행요금 계산을 요청한다.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200)은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로부터 통행요금 계산 요청이 발생하면, 수신된 정보(입구 정보, 가상요금소 정보, 차종 정보, 기타)를 이용해 사용자가 결제해야 할 통행료를 계산하고, 그 계산된 통행 요금 정보를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때 입구 및 출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가 상행인지 아니면 하행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의 통행료 과금 처리모듈(164)은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200)으로부터 계산된 통행요금 정보를 내려받으면, 탑재된 하이패스 카드 모듈을 이용하여 통행 요금의 결제 처리를 요청한다.
이때, 통행료 결제를 위해서는 인증 처리가 필요하다. 인증을 위해 인증 모듈(161)은 정보 저장 모듈(162)에 저장된 인증 코드를 추출하고, 이를 인증 정보로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200)에 전송한다.
도로공사 시스템(200)은 인증 정보를 수신하면, 이동통신사와 연계하여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를 인증한다. 여기서 인증 정보는 이미 이동통신사에 사용자 정보로 등록된 정보이므로, 별도의 공인인증서 확인과 같은 불편한 동작을 수행할 필요 없이, 즉시 인증 정보만을 가지고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를 인증하게 된다.
통행료 결제 단말기(100)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USIM(160)의 통행료 과금 처리 모듈(164)은 일반적인 하이패스 지불 시스템의 규격을 그대로 이용하여, 도로공사 시스템(200)과의 지불 데이터를 중계하여 통행료 과금을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보안을 위해 지불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는 가공 및 저장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발명은 통행료 결제를 위해 스마트폰을 통행료 결제 단말기로 사용하고, 가상요금소를 기반으로 통행료를 결정하며, 통행료 결제시 스마트폰에 내장된 유심의 정보를 인증 정보로 활용하여 통행료 결제 단말기에 대한 인증을 한다. 따라서 유심은 이동통신사에서 이미 인정된 보안성이 강화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인증하는 방식이므로, 별도의 인증을 위한 불편함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면서도 보안성이 향상된 인증을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미납 처리도 가능하다. 예컨대, 통행료 결제 단말기의 인증시 통행료 결제 단말기에 인증 정보를 수신하기 때문에, 이러한 수신 정보를 기초로 미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 결과 미납 대상 단말기일 경우에는 미납 정보를 통행료 결제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도로공사 시스템에서는 편리하게 미납 정보의 관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통행료 과금 처리에 적용된다. 특히, 유로도로 통행시 통행료를 자동으로 정산하는 데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100: 통행료 결제 단말기
110: GPS 수신모듈
140: 제어부
150: 통신 모듈
160: USIM
161: 인증 모듈
162: 정보 저장 모듈
163: 인증정보 등록모듈
164: 통행료 과금 처리모듈
200: 도로공사 시스템
400: 네트워크

Claims (7)

  1. 가상 요금소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통행료 결제 단말기의 유심 정보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하며, 인증이 이루어진 후 상기 통행료 결제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행료 결제를 처리하고, 미납 통행료 처리를 제어하는 도로공사 시스템; 및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가상 요금소 위치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요금소를 설정하고, 상기 가상 요금소 통과시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과 접속하여 유심의 정보를 기초로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통행료 요금을 산출하고, 통행료 과금을 처리하는 통행료 결제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은 상기 통행료 결제 단말기의 인증시 수신한 인증 정보를 기초로 통행료 미납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미납 대상 단말기일 경우에는 미납 정보를 상기 통행료 결제 단말기로 전송하여 미납 통행료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결제 단말기는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가상 요금소 위치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요금소를 설정하거나, 차량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내비게이션이나 T-맵과 연동하여 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경로 정보를 기초로 가상 요금소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행료 결제 단말기는 GPS위성으로부터 전송된 GPS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수신모듈; 상기 통행료 결제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과 연동하여 인증을 처리하고, 내장된 하이패스 카드 모듈을 통해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과 접속하여 통행료 과금 처리를 하는 유심(USI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행료 결제 단말기는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과 웨이브 통신 방식 또는 이동통신방식(CDMA, LTE, LTE-A)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심은 이동통신사에 기등록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과 접속하여 인증 정보를 등록하는 인증정보 등록모듈;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 모듈; 통행료 결제시 상기 정보저장 모듈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는 이동통신사에 등록된 스마트폰 고유번호(ID)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 등록모듈은 통행료 결제 이전에 단말기 등록시 상기 도로공사 시스템과 접속하여 인증 정보를 기초로 통행료 결제 단말기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심은 사용자가 기등록한 지불 수단을 이용하여 통행료 과금을 처리하는 통행료 과금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불 수단은 선불 또는 후불 방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


KR1020150036035A 2015-03-16 2015-03-16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 KR101861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035A KR101861181B1 (ko) 2015-03-16 2015-03-16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
PCT/KR2015/007658 WO2016148349A1 (ko) 2015-03-16 2015-07-23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035A KR101861181B1 (ko) 2015-03-16 2015-03-16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194A KR20160111194A (ko) 2016-09-26
KR101861181B1 true KR101861181B1 (ko) 2018-05-28

Family

ID=56919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035A KR101861181B1 (ko) 2015-03-16 2015-03-16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61181B1 (ko)
WO (1) WO2016148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0973A (zh) * 2017-08-25 2017-12-15 郑州胜龙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收费移动支付方法
CN109598805A (zh) * 2017-09-30 2019-04-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高速公路收费方法、服务器、系统和存储介质
CN108460848A (zh) * 2018-03-21 2018-08-28 山东省交通规划设计院 一种基于移动支付的高速公路通行费快速结算系统及方法
KR20190135331A (ko) 2018-05-28 2019-12-06 주식회사 펌프킨 차로기반 정밀측위 기술을 이용한 교통안전 서비스시스템
KR20210142893A (ko) 2020-05-19 2021-11-26 옥세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방식의 통행 요금 결제 시스템
US11908247B2 (en) 2021-06-22 2024-02-20 Toyota Motor Credi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tolls along a toll road
CN115631544B (zh) * 2022-12-14 2023-02-28 高德软件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差异化收费的确定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4126A1 (en) 2013-08-20 2015-02-26 Intelligent Imaging Systems, Inc. Vehicle traffic and vehicle related transaction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370A (ja) 1984-06-06 1986-01-11 Fujitsu Ltd 取引処理システム
SE510080C2 (sv) 1997-12-22 1999-04-19 Combitech Traffic Syst Ab Metod för automatisk debitering av tullar för fordon
JP2005157888A (ja) 2003-11-27 2005-06-16 Toshiba Corp 料金収受システムおよび料金収受方法
KR100863679B1 (ko) 2006-08-18 2008-10-15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미납 도로 통행료 징수 시스템 및방법
KR100906138B1 (ko) 2007-03-27 2009-07-07 에스케이마케팅앤컴퍼니 주식회사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행요금 결제 서비스 방법
KR20100001815A (ko) * 2008-06-27 2010-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트랜지스터 및 그 형성방법
KR101106686B1 (ko) 2009-11-25 2012-01-18 (주)와이드위트 무선젠더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
KR101177201B1 (ko) 2010-07-15 2012-08-2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9804A (ko) * 2010-12-01 2012-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요금정산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요금 정산 방법
KR20120066109A (ko) * 2010-12-14 2012-06-22 (주)서원인텍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로 통행료를 징수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385988B1 (ko) 2011-05-04 2014-04-17 곽남훈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의 결제 방법
KR20140039847A (ko) * 2012-09-25 2014-04-0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하이패스 단말기와 스마트폰이 연동된 통행료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09186B1 (ko) * 2013-05-29 2015-04-08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정보기반의 가상요금소 설정 및 통행료 지불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4126A1 (en) 2013-08-20 2015-02-26 Intelligent Imaging Systems, Inc. Vehicle traffic and vehicle related transaction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48349A1 (ko) 2016-09-22
KR20160111194A (ko) 2016-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18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
KR101509186B1 (ko) 위치정보기반의 가상요금소 설정 및 통행료 지불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154578A1 (en) Centralized toll tracking, payment and monitoring system using geo location enabled devices
US8688510B2 (en) Method for fee charging position usages of vehicles
CN103700149A (zh) 基于lbs的高速公路收费系统及基于lbs的高速公路收费方法
KR101539847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80298B1 (ko) 노상 주차장에서의 휴대폰을 이용한 주차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EP1517271A1 (en) A method of collecting toll fees for vehicles using toll routes
KR101888661B1 (ko) 유료도로 통행료 지불을 위한 이동통신방식의 가상영업소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04253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행료 결제 방법 및 장치
KR20160006470A (ko)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유심 전자 카드를 이용한 가상 톨 게이트에서의 통행료 자동 결제 방법
KR101555993B1 (ko) 차량탑재 단말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요금 정산 시스템
KR101821791B1 (ko) 통행료 결제를 위한 차량과 이동통신단말기간의 정보 정합시스템
KR20020006015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도로통행료 징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3970B1 (ko) 스마트 단말기와 obd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KR1015403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통행료 징수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6166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고속도로 통행료 결제 시스템및 방법
RU2417447C2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отклонений геообъектов
KR100802613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과금 징수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81274A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KR20160010812A (ko) 차량 dsrc 동글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지불 단말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101611259B1 (ko) 차량 obu의 wave모듈을 이용한 전자지불 단말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20150110909A (ko) 이동통신 기지국 데이터를 활용한 지하철용 게이트 시스템
KR20160081276A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lbs 기반의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KR20110139070A (ko) 후불결제형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