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122A - 스텝퍼 모터 밸브, 코일 조립체 하우징, 밸브 하우스 조립체, 및 스텝퍼 모터 밸브용 밸브 블록 - Google Patents

스텝퍼 모터 밸브, 코일 조립체 하우징, 밸브 하우스 조립체, 및 스텝퍼 모터 밸브용 밸브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122A
KR20230173122A KR1020237037761A KR20237037761A KR20230173122A KR 20230173122 A KR20230173122 A KR 20230173122A KR 1020237037761 A KR1020237037761 A KR 1020237037761A KR 20237037761 A KR20237037761 A KR 20237037761A KR 20230173122 A KR20230173122 A KR 20230173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il assembly
assembly housing
stepper motor
valv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7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구르 라르센
Original Assignee
댄포스 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댄포스 아/에스 filed Critical 댄포스 아/에스
Publication of KR20230173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12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03Housing formed from a plurality of the same val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스텝퍼 모터 밸브의 액추에이터를 수용하기 위한 코일 조립체 하우징으로서, 코일 조립체 하우징을 밸브 하우스 조립체에 스냅 피팅하기 위한 스냅 특징부를 포함하고, 스냅 특징부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밸브 하우스 조립체의 함몰부와 상호 작용하도록 제공되며, 돌출부는, 밸브 하우스 조립체 및 스냅 특징부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밸브 블록의 벽에 의해서 함몰부 내측에 지지된다. 또한, 밸브 하우스 조립체, 밸브 블록,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스텝퍼 모터 밸브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스텝퍼 모터 밸브, 코일 조립체 하우징, 밸브 하우스 조립체, 및 스텝퍼 모터 밸브용 밸브 블록
본 발명은 스텝퍼 모터 밸브의 액추에이터를 수용하기 위한 코일 조립체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코일 조립체 하우징을 밸브 하우스 조립체에 스냅 피팅(snap fitting)하기 위한 스냅 특징부를 포함하고, 스냅 특징부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밸브 하우스 조립체의 함몰부와 상호 작용하도록 제공되며, 돌출부는, 밸브 하우스 조립체 및 스냅 특징부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밸브 블록의 벽에 의해서 함몰부 내에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 하우스 조립체, 밸브 블록,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스텝퍼 모터 밸브에 관한 것이다.
스텝퍼 모터 밸브는, 주어진 스텝퍼 모터 밸브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밸브 하우스 조립체, 밸브 블록, 및/또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과 같은 여러 하위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공지된 해결책의 단점은, 밸브의 구성요소들을 서로 고정하는, 볼트와 같은 특별한 고정 수단이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러한 밸브의 공지된 설계는 밸브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액추에이터의 각도 위치와 관련하여 제한된 선택의 자유도 또는 유연성만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스텝퍼 모터 밸브 구성요소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여 결과적으로 개선된 스텝퍼 모터 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 내지 6에 따른 코일 조립체 하우징, 청구항 7 내지 9에 따른 밸브 하우스 조립체, 청구항 10 및 11에 따른 밸브 블록, 그리고 청구항 12 및 13에 따른 스텝퍼 모터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코일 조립체 하우징은 스텝퍼 모터 밸브의 액추에이터를 수용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코일 조립체 하우징은 코일 조립체 하우징을 밸브 하우스 조립체에 스냅 피팅하기 위한 스냅 특징부를 포함한다. 스냅 특징부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밸브 하우스 조립체의 함몰부와 상호 작용하도록 제공되고, 돌출부는, 밸브 하우스 조립체 및 스냅 특징부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밸브 블록의 벽에 의해서 함몰부 내에 지지된다.
함몰부는 홈, 노치, 또는 쇼울더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이는 밸브 하우스 조립체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함몰부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에 가장 근접하는 한편 동시에 스텝퍼 모터 밸브가 조립된 상태에서 밸브 블록의 내측에 위치되는, 밸브 하우스 조립체의 부분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특히, 함몰부는, 스텝퍼 모터 밸브가 조립된 상태에서 코일 조립체 하우징으로부터 가장 먼, 밸브 하우스 조립체의 측면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되는, 밸브 하우스 조립체의 하단 연부 또는 하단 쇼울더로서 간주되지 않을 수 있다.
밸브 하우스 조립체는, 유체 도관 및/또는 스텝퍼 모터 밸브에 걸친 유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이동 가능 유체 제어 요소를 포함하는, 밸브 구성요소일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구성요소의 반경방향, 원주방향, 및 축방향과 같은 방향은, 밸브 하우스 조립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의 원통형 또는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개구부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밸브 하우스 조립체 및 밸브 블록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원통형인 상응하는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그 반경방향, 원주방향, 및 축방향은 코일 조립체 하우징의 반경방향, 원주방향, 및 축방향에 상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성요소들의 원치않는 상대적인 이동을 방지하도록, 스텝퍼 모터 밸브의 액추에이터를 밸브의 나머지에 고정할 수 있는 단순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액추에이터, 또는 그 대신에, 액추에이터가 내부에 제공되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은 스냅핑 배치(snapping arrangement)를 통해서 밸브 하우스 조립체에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이어서, 밸브 하우스 조립체가 밸브 블록 내로 삽입되고, 그에 따라 코일 조립체 하우징의 기계적 록킹(mechanical locking)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코일 조립체 하우징은 밸브 블록에 대한 코일 조립체 하우징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 특징부를 포함하고, 회전-방지 특징부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향하는 단부 부분 또는 함몰부를 포함한다. 코일 조립체 하우징이 밸브 블록에 부착될 때, 단부 부분 또는 함몰부는 밸브 블록을 향한다. 단부 부분 또는 함몰부의 이러한 배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방지 특징부 및 스냅 특징부 모두와 밸브 블록이 동시에 연동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스냅 특징부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코일 조립체 하우징의 최외측 부분이고/이거나, 스냅 특징부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향하는 적어도 2개의 아암(arm)을 포함한다. 스냅 특징부의 아암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아암들은 서로에 대해서 일종의 회전 대칭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아암들은 코일 조립체 하우징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된다. 아암들은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이격되어, 코일 조립체 하우징과 밸브 하우스 조립체 사이에서 균형잡힌 연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회전-방지 특징부는 스냅 특징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되거나, 회전-방지 특징부 및 스냅 특징부가 서로 및/또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의 다른 부품과 일체로 형성된다. 코일 조립체 하우징의 제조는 그 다양한 특징부들을 하나의 또는 단지 몇 개의 일체로 형성된 구성요소 내에 통합함으로써 상당히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스텝퍼 모터 밸브용 밸브 하우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코일 조립체 하우징의 돌출부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밸브 하우스 조립체 함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밸브 하우스 조립체 함몰부는 밸브 하우스 조립체의 외측 원통형 표면을 따른 환형 홈이다. 환형 홈은 제조가 용이한 한편, 동시에 밸브 하우스 조립체를 임의의 희망 각도로 코일 조립체 하우징에 부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밸브 하우스 조립체의 외측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밸브 하우스 조립체는 선반 작업 부품(turned part)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스텝퍼 모터 밸브용 밸브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코일 조립체 하우징의 스냅 특징부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서 내부 원통형 벽이 제공된다. 스냅 특징부가 밸브 하우스 조립체의 함몰부 내로 스냅 결합된 상태에서, 스냅 특징부 및 밸브 하우스 조립체가 동시에 밸브 블록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 원통형 벽은 스냅 특징부를 수용하기 위한 보어(bore)일 수 있고/있거나 그러한 수용을 위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청구항 2에 따른 코일 조립체 하우징의 회전-방지 특징부와 상호 작용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밸브 블록 구조물이 제공된다. 밸브 블록 구조물은, 밸브 블록에 대한 코일 조립체 하우징의 회전 이동이 방지되도록, 회전-방지 특징부를 수용하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코일 조립체 하우징, 청구항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밸브 하우스 조립체, 그리고 청구항 10 또는 11에 따른 밸브 블록을 포함하는 스텝퍼 모터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코일 조립체 하우징은 스냅 특징부 및 밸브 하우스 조립체 함몰부에 의해서 밸브 하우스 조립체에 연결되고, 스냅 특징부는 밸브 블록에 의해서 밸브 하우스 조립체 함몰부 내에 지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청구항 2에 따른 코일 조립체 하우징의 회전-방지 특징부는 청구항 11에 따른 밸브 블록의 밸브 블록 구조물과 상호 작용하여, 코일 조립체 하우징을 밸브 블록에 대해서 회전 방향으로 록킹한다.
여기에서 설명된 스텝퍼 모터 밸브 및 그 구성요소는 도면 및 해당 도면에 관한 설명에서 더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도면은 이하를 도시한다.
도 1a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 및 밸브 블록을 포함하는 스텝퍼 모터 밸브의 측면도이다.
도 1b 및 도 1c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 밸브 블록 및 밸브 하우스 조립체를 보여 주는 스텝퍼 모터 밸브의 분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조립된 스텝퍼 모터 밸브의 여러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스텝퍼 모터 밸브의 조립에 관한 여러 횡단면도이다.
도 1a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1) 및 밸브 블록(3)을 포함하는 스텝퍼 모터 밸브의 측면도이다.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은 스텝퍼 모터 밸브의 액추에이터(11)를 수용할 수 있고, 밸브 블록에 부착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11)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고, 도 3a에 도시되어 있다.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은 전력을 액추에이터(11)에 공급하기 위해서 스텝퍼 모터 밸브를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일부 연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액추에이터(11)를 제어하기 위해서 스텝퍼 모터 밸브를 일부 제어 수단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 및 도 1c에 따라,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은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을 밸브 하우스 조립체(2)에 스냅 피팅하기 위한 스냅 특징부(12)를 포함한다. 밸브 하우스 조립체(2)는, 스텝퍼 모터 밸브를 밸브의 일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해서 액추에이터(11)에 의해서 이동될 수 있는 일부 밸브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스냅 특징부(12)는 일부 아암(16), 및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4)를 포함한다.
스냅 특징부(12)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축방향으로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최외측 부분일 수 있고, 즉 스냅 특징부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가장 낮은 부분일 수 있다. 스냅 특징부(12)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축방향으로 향하는 적어도 2개의 아암(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암들(16)은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축방향, 원주방향 및 반경방향은, 밸브 하우스 조립체(2)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개구부와 관련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 형상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응하는 축방향, 원주방향 및 반경방향이 이에 귀속될 수 있다.
스냅 특징부(12)가 다수의 아암(16)을 포함할 때, 각각의 아암(16)은 하나 이상의 돌출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b에서 2개의 아암(16)을 볼 수 있고, 도 1c에서 3개의 아암(16)을 볼 수 있다. 도 1b 및 도 1c의 실시형태는 총 3개, 4개, 또는 그 초과의 아암(16)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4)는 밸브 하우스 조립체(2)의 함몰부(21)와 상호 작용하도록 아암(16) 상에 제공된다. 밸브 하우스 조립체(2)를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개구부 내로 미는 것에 의해서 돌출부(14)가 함몰부(21) 내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부(14) 및 함몰부(21)가 성형될 수 있다. 밸브 하우스 조립체 함몰부(21)는 밸브 하우스 조립체(2)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을 따른 환형 홈일 수 있다. 밸브 하우스 조립체(2)의 외측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 하우스 조립체(2)가 개구부 내로 삽입되었을 때 아암들(16)이 밸브 하우스 조립체(2)를 둘러쌀 수 있도록,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개구부가 아암들(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밸브 하우스 조립체(2)는 상부 부품 및 하부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부품은, 회전자 및 고정자와 같은, 액추에이터(11)의 일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유체 제어 연부 및/또는 유체 도관을 갖는 밸브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21)는, 밸브 하우스 조립체(2)의 상부 부품과 하부 부품이 결합되는 밸브 하우스 조립체(2)의 부분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밸브 하우스 조립체(2)가 코일 조립체 하우징(1)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밸브 하우스 조립체(2) 및 코일 조립체 하우징(1) 모두가 밸브 블록(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돌출부(14)는 밸브 블록(3)의 벽(32)에 의해서 함몰부(21) 내에 지지된다. 벽(32)은 밸브 블록(3) 내의 보어의 원통형 벽(32)일 수 있고, 보어는 밸브 하우스 조립체(2) 및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적어도 일부 부품을 수용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은 밸브 블록(3)에 대한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 특징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방지 특징부(13)는, 스텝퍼 모터 밸브가 조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밸브 블록 구조물(31)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밸브 블록 구조물(31)은 회전-방지 특징부(13)를 수용하기 위한 치수를 가질 수 있거나, 그 반대일 수 있고, 밸브 블록(3) 내의 보어의 벽(32)에 인접하여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초과의 밸브 블록 구조물(31)이 밸브 블록(3) 내에 제공될 수 있고, 복수의 밸브 블록 구조물(31)은 밸브 블록(3)의 보어에 대해서 원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이 밸브 블록(3)에 대해서 다양한 각도로 배향될 수 있도록, 회전-방지 특징부(13)가 임의의 밸브 블록 구조물(31)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회전-방지 특징부(13)는 스냅 특징부(12)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방지 특징부(13) 및 스냅 특징부(12)는 서로 및/또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나머지 또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일부 다른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조립된 스텝퍼 모터 밸브의 여러 도면을 도시한다. 도 2a에 따라, 밸브 블록 구조물(31)은, 밸브 블록(3)의 내측과 외측 사이의 유체 연결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제공되는, 밸브 블록(3)의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b 내지 도 2d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축방향으로 향하고 밸브 블록 구조물(31) 내에 도달하는 회전-방지 특징부(13)의 단부 부분(15)을 도시한다. 단부 부분(15)은 밸브 블록 구조물(31)의 내측에 위치되고, 그에 따라 밸브 블록(3)과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상대적인 회전이 방지된다. 반전된, 즉 함몰된 회전-방지 특징부(13)를 제공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밸브 블록 구조물(31)은 밸브 블록(3)에서 일부 돌출부로 제조되고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함몰된 회전-방지 특징부(1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코일 조립체 하우징(1)와 밸브 블록(3)의 회전 이동을 방지한다.
도 3a 내지 도 3e는, 스텝퍼 모터 밸브가, 완전한 스텝퍼 모터 밸브를 형성하기 위해서 조립될 때 서로 상호 작용하는, 여러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에 따라, 액추에이터(11)가 밸브 하우스 조립체(2)에 제공된 밸브 요소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스냅 특징부(12)가 함몰부(21)와 결합되어 밸브 하우스 조립체(2)와 코일 조립체 하우징(1)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도록,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은 밸브 하우스 조립체(2)를 수용한다. 액추에이터(11)는 회전자 및 고정자를 포함할 수 있고, 회전자는 고정자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상황에서, 고정자 및 회전자는 서로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는 반면, 도 3b 및 도 3d는 액추에이터가 용이하게 조립되는 상황에서 회전자 및 고정자를 도시한다. 회전자가 고정자 내로 삽입될 수 있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밸브 하우스 조립체(2)와 코일 조립체 하우징(1) 사이의 연결이 도 3c에 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서 스냅 특징부(12)의 돌출부(14)는 밸브 하우스 조립체(2)의 함몰부(21)와 결합되어 도시되어 있다. 함몰부(21)는 돌출부(14)보다 약간 더 클 수 있고, 그에 따라 함몰부는 돌출부(14)를 수용할 수 있다. 돌출부(14)가 함몰부(21)와 결합될 때, 스냅 특징부(12)의 아암(16)은 밸브 하우스 조립체(2)보다 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아암(16)은, 돌출부(14)가 함몰부(21)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응력을 받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밸브 하우스 조립체(2) 및 코일 조립체 하우징(1)가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면, 이들은 밸브 블록(3)의 보어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된 밸브 하우스 조립체(2) 및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이 도 3d 및 도 3e에 도시되어 있다. 밸브 블록(3) 내의 보어는 벽(32)에 의해서 경계지어진다. 벽(32)은 예를 들어 상이한 직경의 2개 이상의 구분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벽(32)의 상부 부분이 벽(32)의 하부 부분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부 부분은, 밸브 하우스 조립체(2) 및 스냅 특징부(12)의 아암(16) 모두가 도 3d 및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블록(3) 내에 삽입될 때, 스냅 특징부(12)의 아암(16)을 수용하기 위한 및/또는 아암(16)을 밸브 하우스 조립체(2)에 대해서 누르기 위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밸브 하우스 조립체(2) 및 스냅 특징부(12)의 아암(16)이 밸브 블록(3) 내로 함께 삽입되면, 벽(32)은 아암(16)의 돌출부(14)를 함몰부(21) 내에 지지한다.
벽(32)의 하부 부분이 밸브 하우스 조립체(2)의 외측 벽에 근접하거나 접촉할 수 있도록, 벽(32)의 하부 부분이 더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벽(32)의 상부 부분은, 적어도 아암(16)이 밸브 블록(3) 내에 도달할 때까지 연장될 수 있다. 부가적인 벽 부분이 밸브 블록(3)을 따라서 더 아래에 제공될 수 있고, 밸브 하우스 조립체(2)의 다른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감소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3d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1), 밸브 하우스 조립체(2) 및 밸브 블록(3)을 포함하는 조립된 스텝퍼 모터 밸브를 도시한다. 이러한 3개의 구성요소 모두가 서로 상호 작용하여 서로에 대해서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은 스냅 특징부(12) 및 밸브 하우스 조립체 함몰부(21)에 의해서 밸브 하우스 조립체(2)에 연결되고, 스냅 특징부(12)는 밸브 블록(3)의 벽(32)에 의해서 밸브 하우스 조립체 함몰부(21) 내에 지지된다. 대안적으로, 스텝퍼 모터 밸브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1) 및 밸브 하우스 조립체(2) 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는 일부 후속 스테이지에서 밸브 블록(3) 내로 삽입될 수 있거나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스텝퍼 모터 밸브의 구성요소의 모두 또는 일부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Claims (13)

  1. 스텝퍼 모터 밸브의 액추에이터(11)를 수용하기 위한 코일 조립체 하우징(1)으로서, 상기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을 밸브 하우스 조립체(2)에 스냅 피팅하기 위한 스냅 특징부(12)를 포함하고, 상기 스냅 특징부(12)는 상기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4)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14)는 상기 밸브 하우스 조립체(2)의 함몰부(21)와 상호 작용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돌출부(14)는, 상기 밸브 하우스 조립체(2) 및 상기 스냅 특징부(12)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밸브 블록(3)의 벽에 의해서 상기 함몰부(21) 내측에 지지되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은 상기 밸브 블록(3)에 대한 상기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 특징부(13)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지 특징부(13)는 상기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축방향으로 향하는 단부 부분(15) 또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특징부(12)는 상기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축방향으로 상기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최외측 부분이고/이거나, 상기 스냅 특징부(12)는 상기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축방향으로 향하는 적어도 2개의 아암(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들(16)은 상기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 특징부(13)는 상기 스냅 특징부(12)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 특징부(13) 및 상기 스냅 특징부(12)는 서로 및/또는 상기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다른 부품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조립체 하우징(1).
  7. 스텝퍼 모터 밸브용 밸브 하우스 조립체(2)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돌출부(14)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밸브 하우스 조립체 함몰부(21)를 포함하는, 밸브 하우스 조립체(2).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스 조립체 함몰부(21)는 상기 밸브 하우스 조립체(2)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을 따른 환형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하우스 조립체(2).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스 조립체(2)의 외측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하우스 조립체(2).
  10. 스텝퍼 모터 밸브용 밸브 블록(3)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스냅 특징부(12)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내부 원통형 벽(32)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블록(3).
  11. 제10항에 있어서,
    제2항에 따른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회전-방지 특징부(13)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밸브 블록 구조물(31)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블록(3).
  12. 제1항 내지 제6항에 따른 코일 조립체 하우징(1), 제7항 내지 제9항에 따른 밸브 하우스 조립체(2), 및 제10항 또는 제11항에 따른 밸브 블록(3)을 포함하는 스텝퍼 모터 밸브로서, 상기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은 상기 스냅 특징부(12) 및 상기 밸브 하우스 조립체 함몰부(21)에 의해서 상기 밸브 하우스 조립체(2)에 연결되고, 상기 스냅 특징부(12)는 상기 밸브 블록(3)에 의해서 상기 밸브 하우스 조립체 함몰부(21) 내에 지지되는, 스텝퍼 모터 밸브.
  13. 제12항에 있어서,
    제2항에 따른 상기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의 회전-방지 특징부(13)는 제11항에 따른 상기 밸브 블록(3)의 밸브 블록 구조물(31)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코일 조립체 하우징(1)을 상기 밸브 블록(3)에 대해서 회전 방향으로 록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퍼 모터 밸브.
KR1020237037761A 2021-04-20 2022-02-11 스텝퍼 모터 밸브, 코일 조립체 하우징, 밸브 하우스 조립체, 및 스텝퍼 모터 밸브용 밸브 블록 KR202301731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2100393 2021-04-20
DKPA202100393 2021-04-20
PCT/EP2022/053421 WO2022223167A1 (en) 2021-04-20 2022-02-11 Stepper motor valve, coil assembly housing, valve house assembly and valve block for the stepper motor val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122A true KR20230173122A (ko) 2023-12-26

Family

ID=80684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7761A KR20230173122A (ko) 2021-04-20 2022-02-11 스텝퍼 모터 밸브, 코일 조립체 하우징, 밸브 하우스 조립체, 및 스텝퍼 모터 밸브용 밸브 블록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27005A1 (ko)
KR (1) KR20230173122A (ko)
CN (1) CN117203458A (ko)
WO (1) WO2022223167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0372B (zh) * 2011-06-23 2016-03-02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膨胀阀及其线圈
US11247654B2 (en) * 2017-02-17 2022-02-15 Hitachi Astemo, Ltd. Electrical component assembly and vehicular brake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KR20210032455A (ko) * 2018-07-17 2021-03-24 컴파트 시스템즈 피티이. 엘티디. 유동 기재용 장착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203458A (zh) 2023-12-08
EP4327005A1 (en) 2024-02-28
WO2022223167A1 (en)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2741B2 (en) Step actuator
JP5510686B2 (ja) 電動弁及びその止め装置
JP5755806B2 (ja) 流量調整弁
JP2011526990A (ja) ユニバーサルトリム制御弁およびこのような制御弁を形成する方法
JP6193202B2 (ja) 電動切換弁
CN113196622B (zh) 阀、特别是膨胀阀
KR20230173122A (ko) 스텝퍼 모터 밸브, 코일 조립체 하우징, 밸브 하우스 조립체, 및 스텝퍼 모터 밸브용 밸브 블록
JP2012168534A (ja) 三脚のヘッド
JP6722274B2 (ja) 電動弁および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JP7226796B2 (ja) 電動弁
RU2684732C1 (ru) У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концевыми выключателями
JP4486802B2 (ja) 電動弁
JP2007500825A (ja) ボーデンケーブル装置の調節構造
KR20020071846A (ko) 비윤활 이중 블록과 추기 플러그 밸브용 하중 균형 롤러를갖춘 소형 스템 세트
US20170309385A1 (en) Magnetic actuator
JP2007151682A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WO2022078893A1 (en) Cooling fan module
JP7163087B2 (ja) 水栓
EP3129633B1 (en) Fuel valve
JP7137219B2 (ja) 電動弁
JP4143892B2 (ja) 電動弁
JP7137218B2 (ja) 電動弁
JP5643551B2 (ja) 雌ねじ部材、それを用いた電動弁、及び電動弁用雌ねじ部材の製造方法
JP2004092801A (ja) 電動弁
JP2022190568A (ja) ステーターユニットおよび電動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