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027A -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 - Google Patents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73027A KR20230173027A KR1020230073273A KR20230073273A KR20230173027A KR 20230173027 A KR20230173027 A KR 20230173027A KR 1020230073273 A KR1020230073273 A KR 1020230073273A KR 20230073273 A KR20230073273 A KR 20230073273A KR 20230173027 A KR20230173027 A KR 202301730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body
- vacuum pad
- expansion plate
- prevention mechanism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11 frozen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05—Vacuum work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25J15/0683—Details of suction cup structure, e.g. grooves or ri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진공패드(12)는, 진공통로(14a)를 가지는 지지 부재(14)와, 지지 부재에 부착되는 벨로우즈(16)를 구비하고, 커버체(20)는, 원통형의 본체부(24, 32)와, 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부착부(26, 34)와, 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28, 36)를 구비한다. 벨로우즈가 수축하여 워크피스를 흡착 유지할 때, 커버체가 벨로우즈의 외측을 덮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압(진공압)에 의한 흡인력으로 워크피스를 흡착 유지하는 진공패드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벨로우즈의 내부에 부압을 생성하여, 벨로우즈의 개구 단부로 워크피스를 흡착 유지하는 진공패드가 알려져 있다. 이 진공패드는, 신축 가능한 벨로우즈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워크피스의 다양한 형상에 추종하여 워크피스를 흡착할 수 있고, 또한 경사진 상태로 놓인 워크피스를 용이하게 흡착할 수 있다.
벨로우즈를 구비한 진공패드에 있어서, 워크피스에 외력이 작용해도, 워크피스가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안한 기술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188465호에는, 워크피스의 경사를 방지하기 위한 고정 로드를 벨로우즈식 흡착패드의 외측에 배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벨로우즈를 구비한 진공패드를 이용해 워크피스를 고속으로 반송하는 경우, 워크피스에 큰 가속도 또는 감속도가 작용할 때, 벨로우즈가 변형하면서 격렬하게 흔들릴 수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188465호에 기재된 기술은, 이러한 사상에 주목해 이루어진 것은 아니고, 벨로우즈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기술은 충분히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는, 커버체가 진공패드에 부착된 것으로, 진공패드는, 진공통로를 가지는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에 부착되는 벨로우즈를 구비하고, 커버체는, 원통형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부착부와, 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를 구비한다. 벨로우즈가 수축하여 워크피스를 흡착 유지할 때, 커버체가 벨로우즈의 외측을 덮는다. 커버체는, 부착부가 지지 부재에 나사결합되는 것에 의해 진공패드에 부착되고, 진공패드에 대한 커버체의 부착 위치를 조정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에 의하면, 벨로우즈가 수축하여 워크피스를 흡착 유지할 때, 커버체가 벨로우즈의 외측을 덮는다. 이 때문에, 워크피스가 고속으로 반송되어 워크피스에 큰 가감속도가 작용해도, 벨로우즈의 변형이 커버체에 의해 억제되어, 벨로우즈의 흔들림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 커버체는, 부착부가 지지 부재에 나사결합되는 것에 의해 진공패드에 부착되어, 진공패드에 대한 커버체의 부착 위치를 조정 가능하다. 이 때문에, 사용되는 벨로우즈의 길이 등에 따라, 커버체의 부착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를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워크피스 흡착시에 있어서의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의 커버체에 대해, 부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확장 플레이트의 외관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확장 플레이트가 도 1의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의 커버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확장 플레이트 부착식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의 주요부 단면을 포함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확장 플레이트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확장 플레이트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확장 플레이트의 제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의 커버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에 있어서의 확장 플레이트 위치결정 구조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에 있어서의 확장 플레이트 위치결정 구조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위치결정 전의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에 있어서의 확장 플레이트 위치결정 구조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위치결정 후의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의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에 있어서의 확장 플레이트 위치결정 구조의 제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위치결정 전의 도면)이다.
도 16은 도 1의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에 있어서의 확장 플레이트 위치결정 구조의 제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위치결정 후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를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워크피스 흡착시에 있어서의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의 커버체에 대해, 부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확장 플레이트의 외관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확장 플레이트가 도 1의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의 커버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확장 플레이트 부착식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의 주요부 단면을 포함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확장 플레이트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확장 플레이트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확장 플레이트의 제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의 커버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에 있어서의 확장 플레이트 위치결정 구조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에 있어서의 확장 플레이트 위치결정 구조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위치결정 전의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에 있어서의 확장 플레이트 위치결정 구조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위치결정 후의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의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에 있어서의 확장 플레이트 위치결정 구조의 제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위치결정 전의 도면)이다.
도 16은 도 1의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에 있어서의 확장 플레이트 위치결정 구조의 제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위치결정 후의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10)는 진공패드(12) 및 커버체(20)를 포함한다.
진공패드(12)는, 내부에 진공통로(14a)를 가지는 원통형의 지지 부재(14)와, 지지 부재(14)의 하부에 부착되는 벨로우즈(16)를 구비한다. 진공통로(14a)는, 지지 부재(14)의 축심(X)을 따라 연장되고, 지지 부재(14)의 상하 양단에서 개구된다. 진공통로(14a)의 상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진공 발생장치로부터의 부압이 공급된다. 지지 부재(14)는, 소정 길이에 걸쳐 외주에 수나사(14b)를 갖고, 수나사(14b)의 아래쪽에 있어서 외주에 홈(14c)을 갖는다. 지지 부재(14)에는 잠금 너트(18)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벨로우즈(16)는 실리콘 등의 고무 재료 또는 수지 재료로 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벨로우즈(16)는, 외벽으로부터 돌출하는 링 형상의 두꺼운 후육부(16a)와 내벽으로부터 돌출하는 링 형상의 두꺼운 후육부(16b)가 교대로 형성된 벽 구조를 갖고, 상하로 신축 가능하다. 벨로우즈(16)의 내부 공간은 지지 부재(14)의 진공통로(14a)에 연통한다. 벨로우즈(16)는 하단면에 있어서 워크피스와 접촉한다. 벨로우즈(16)의 상단은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16c)를 갖는다. 벨로우즈(16)는 플랜지부(16c)가 지지 부재(14)의 홈(14c)에 끼워맞춰지는 것에 의해 지지 부재(14)에 부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체(20)는 힌지부(40)를 통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커버체(22) 및 제2 커버체(30)를 포함한다. 제1 커버체(22) 및 제2 커버체(30)는, 반원통 형상의 본체부(24, 32)와, 본체부(24, 32)의 상단으로부터 직경이 축소되어 돌출하는 부착부(26, 34)와, 본체부(24, 32)의 하단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28, 36)를 구비한다. 제1 커버체(22) 및 제2 커버체(30)의 본체부(24, 32)의 내경은, 벨로우즈(16)의 외경보다 약간 크다.
이하에 있어서, 제1 커버체(22)의 본체부(24) 및 제2 커버체(30)의 본체부(32)를 합쳐서, 커버체(20)의 본체부(24, 32)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제1 커버체(22)의 부착부(26) 및 제2 커버체(30)의 부착부(34)를 합쳐서, 커버체(20)의 부착부(26, 34)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제1 커버체(22)의 플랜지부(28) 및 제2 커버체(30)의 플랜지부(36)를 합쳐서, 커버체(20)의 플랜지부(28, 36)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커버체(20)의 부착부(26, 34)는 지지 부재(14)의 수나사(14b)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26a, 34a)를 갖는다. 커버체(20)의 플랜지부(28, 36)는 하단면에 있어서 워크피스와 접촉한다. 커버체(20)의 본체부(24, 32)는, 힌지부(40)에 근접한 위치에서 서로 결합되는 제1 맞춤부(24a, 32a)와, 힌지부(4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결합되는 제2 맞춤부(24b, 32b)를 갖는다.
제1 커버체(22)의 본체부(24)는, 제1 맞춤부(24a)의 근방에 걸어맞춤 오목부(24c)를 구비함과 함께, 제2 맞춤부(24b)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걸어맞춤편(24d)을 구비한다. 제2 커버체(30)의 본체부(32)는, 제1 맞춤부(32a)로부터 돌출하는 걸어맞춤편(32d)을 구비함과 함께, 제2 맞춤부(32b)의 근방에 한 쌍의 걸어맞춤 오목부(32c)를 구비한다. 제1 커버체(22)의 각 걸어맞춤편(24d)은 제2 커버체(30)의 각 걸어맞춤 오목부(32c)에 걸어맞춰진다. 제2 커버체(30)의 걸어맞춤편(32d)은 제1 커버체(22)의 걸어맞춤 오목부(24c)에 걸어맞춰진다.
제1 커버체(22)의 본체부(24)의 하부는, 원주방향 중앙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편(24e)과, 제1 맞춤부(24a)의 근방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2 돌출편(24f)을 구비한다. 제1 돌출편(24e) 및 제2 돌출편(24f)은 플랜지부(28)와 소정의 간극을 두고 마주본다. 제2 커버체(30)의 본체부(32)의 하부는, 원주방향 중앙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3 돌출편(32e)과, 제1 맞춤부(32a)의 근방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4 돌출편(32f)과, 제2 맞춤부(32b)의 근방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5 돌출편(32g)을 구비한다. 제3 돌출편(32e), 제4 돌출편(32f), 및 제5 돌출편(32g)은 플랜지부(36)와 소정의 간극을 두고 마주본다.
제1 커버체(22) 및 제2 커버체(30)가 서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커버체(20)의 본체부(24, 32)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1 커버체(22) 및 제2 커버체(30)가 서로 결합될 때, 제1 커버체(22)의 제2 돌출편(24f) 및 제2 커버체(30)의 제4 돌출편(32f)은 하나의 연속하는 돌출편(이하 "연속 돌출편"이라고 한다)을 형성한다. 제1 돌출편(24e), 연속 돌출편, 제3 돌출편(32e), 및 제5 돌출편(32g)은, 서로 동일한 형상이며, 커버체(20)의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제5 돌출편(32g)은 후술하는 확장 플레이트(42)를 위치결정 고정하기 위한 후크부(32h)를 구비한다. 후크부(32h)의 선단에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슬릿(32i)이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제1 커버체(22) 및 제2 커버체(30)의 본체부(24, 3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다란 윈도부(38)를 갖는다. 작업자는, 이 윈도부(38)를 통해 벨로우즈(16)의 부착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윈도부(38)의 옆에는 눈금(39)이 표시되어 있다.
커버체(20)는, 예를 들어 이하의 순서로, 진공패드(12)에 부착된다. 제1 커버체(22) 및 제2 커버체(30)를 상대회동시켜 양자를 크게 벌리고, 제2 커버체(30)를 진공패드(12)의 측방으로부터 진공패드(12)에 씌운다. 다음에, 제1 커버체(22)를 진공패드(12)에 씌우기 위해, 제1 커버체(22)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제1 커버체(22)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1 커버체(22)의 각 걸어맞춤편(24d)이 제2 커버체(30)의 각 걸어맞춤 오목부(32c)에 걸처맞춰지고, 제2 커버체(30)의 걸어맞춤편(32d)이 제1 커버체(22)의 걸어맞춤 오목부(24c)에 걸어맞춰진다. 또, 제1 커버체(22) 및 제2 커버체(30)의 제1 맞춤부(24a, 32a)가 서로 결합됨과 함께, 제1 커버체(22) 및 제2 커버체(30)의 제2 맞춤부(24b, 32b)가 서로 결합된다. 커버체(20)의 부착부(26, 34)는 나사결합에 의해 지지 부재(14)에 부착된다. 이 때, 커버체(20)의 축심(X)은 지지 부재(14)의 축심(X)과 일치한다.
다음에, 벨로우즈(16)가 수축하여 워크피스를 흡착 유지할 때에 커버체(20)가 벨로우즈(16)의 외측을 덮도록, 지지 부재(14)에 대한 커버체(20)의 부착 위치를 조정한다.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10)에 의해, 예를 들어 냉동식품의 일종인 워크피스(W)가 흡착 유지된 모습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벨로우즈(16)의 하단면이 벨로우즈(16)의 수축량 L만 위쪽에 변위할 때에 커버체(20)의 플랜지부(28, 36)의 하단면이 벨로우즈(16)의 하단면과 정합되도록, 지지 부재(14)의 축심(X) 주위에서 커버체(20)를 회동시켜, 부착부(26, 34)의 나사결합 위치를 조정한다.
작업자는, 제1 커버체(22) 또는 제2 커버체(30)의 윈도부(38)를 통해 벨로우즈(16)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조정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 후, 잠금 너트(18)를 단단히 조여 잠금 너트(18)를 커버체(20)의 부착부(26, 34)에 압접시키고, 커버체(20)의 부착을 완료한다.
또한, 벨로우즈(16)가 수축하여 워크피스를 흡착 유지할 때, 커버체(20)의 플랜지부(28, 36)의 하단면이 벨로우즈(16)의 하단면과 정합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워크피스가 주머니 형상이며 워크피스 자체가 변형되는 경우는, 워크피스를 흡착 유지할 때에 워크피스의 일부가 커버체(20)의 내측으로 들어가므로, 커버체(20)의 플랜지부(28, 36)의 하단면은 벨로우즈(16)의 하단면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한다.
진공패드(12)는, 지지 부재(14)의 상단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진공 발생 장치에 부착되어 있다. 커버체(20)의 부착에 지장이 없는 방향인 진공패드(12)의 측방으로부터 제1 커버체(22) 및 제2 커버체(30)를 씌우므로, 진공패드(12)를 진공 발생 장치로부터 제거하기 않고도, 커버체(20)만을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워크피스(W)의 형상, 크기 등에 따른 확장 플레이트를 커버체(20)에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원형의 확장 플레이트(42)가 도시되어 있다. 확장 플레이트(42)는 중앙에 구멍부(44)를 갖는다. 구멍부(44)는, 커버체(20)의 본체부(24, 32)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중심 구멍부(44a)와, 중심 구멍부(44a)로부터 십자 형상으로 확장되는 4개의 주변 구멍부(44b)를 포함한다. 4개의 주변 구멍부(44b)는, 서로 동일 형상이며, 커버체(20)의 제1 돌출편(24e), 연속 돌출편, 제3 돌출편(32e), 및 제5 돌출편(32g)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또, 각 주변 구멍부(44b)는 힌지부(40)를 삽입하는데 충분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확장 플레이트(42)는 인접하는 주변 구멍부(44b)의 사이에 끼움부(48)를 갖는다. 각 끼움부(48)에는, 대체로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46)이 형성되어 있다. 확장 플레이트(42)의 두께는, 제1 돌출편(24e), 연속 돌출편, 제3 돌출편(32e), 및 제5 돌출편(32g)이 커버체(20)의 플랜지부(28, 36)와 마주보는 간극과 대략 동일하다.
다음에,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확장 플레이트(42)를 커버체(20)에 부착시키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커버체(20)의 위쪽으로부터 확장 플레이트(42)를 커버체(20)에 끼워넣는다. 즉, 커버체(20)의 본체부(24, 32)를 확장 플레이트(42)의 중심 구멍부(44a)에 삽입함과 함께, 힌지부(40), 제1 돌출편(24e), 연속 돌출편, 제3 돌출편(32e), 및 제5 돌출편(32g)을 확장 플레이트(42)의 각 주변 구멍부(44b)에 삽입한다. 이 경우, 4개의 돌출편은 동일 형상이며, 4개의 주변 구멍부(44b)도 동일 형상이기 때문에, 각 돌출편을 임의의 주변 구멍부에 삽입하면 된다. 또한, 힌지부(40) 및 연속 돌출편은 1개의 주변 구멍부(44b)에 삽입된다.
확장 플레이트(42)가 커버체(20)에 끼워넣어지면, 확장 플레이트(42)의 하면은 커버체(20)의 플랜지부(28, 36)의 상면에 맞닿는다. 그 후, 후크부(32h)의 슬릿(32i)에 도시하지 않은 드라이버의 끝을 삽입하여, 후크부(32h)를 들어 올리면서, 확장 플레이트(42)를 커버체(20)의 축심(X) 주위에서 회전시킨다. 확장 플레이트(42)의 끼움부(48)는, 제1 돌출편(24e), 연속 돌출편, 제3 돌출편(32e), 및 제5 돌출편(32g)이 커버체(20)의 플랜지부(28, 36)와 마주보는 간극에 끼워진다. 확장 플레이트(42)를 대략 45도 회전시키면, 후크부(32h)가 확장 플레이트(42)의 슬릿(46) 중 하나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확장 플레이트(42)가 커버체(20)에 위치결정되어 고정된다. 또한, 확장 플레이트(42)를 커버체(20)의 축심(X) 주위에서 회전시키는 방향은 어느 쪽이라도 좋다.
확장 플레이트(42)를 커버체(20)로부터 제거하는 경우는, 후크부(32h)의 슬릿(32i)에 드라이버의 끝을 삽입하여 후크부(32h)를 들어올리고, 확장 플레이트(42)를 회전시킨다. 확장 플레이트(42)를 대략 45도 회전시키면, 확장 플레이트(42)의 각 주변 구멍부(44b)가 커버체(20)의 제1 돌출편(24e), 연속 돌출편, 제3 돌출편(32e), 및 제5 돌출편(32g)과 정합된다. 이것에 의해, 확장 플레이트(42)를 커버체(2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확장 플레이트(42)는 원형이지만, 확장 플레이트의 형상은, 워크피스의 형상에 따라,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는 등 ,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10)에 의하면, 벨로우즈(16)가 수축하여 워크피스를 흡착 유지할 때, 벨로우즈(16)의 외측은 약간의 간극을 두고 커버체(20)에 의해 덮인다. 이 때문에, 워크피스(W)가 고속으로 반송되어 워크피스(W)에 큰 가감속도가 작용해도, 벨로우즈(16)의 변형이 커버체(20)에 의해 억제되어 벨로우즈(16)의 흔들림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 커버체(20)는, 부착부(26, 34)가 지지 부재(14)에 나사결합되는 것에 의해 진공패드(12)에 부착되어, 진공패드(12)에 대한 커버체(20)의 부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커버체(20)의 본체부(24, 32)는 벨로우즈(16)의 부착 위치를 외부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윈도부(38)를 갖는다. 이 때문에, 사용되는 벨로우즈(16)의 길이 등에 따라, 커버체(20)의 부착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힌지부(40)를 통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커버체(22) 및 제2 커버체(30)를 진공패드(12)의 측방으로부터 차례로 진공패드(12)에 씌울 수 있으므로, 커버체(20)만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확장 플레이트의 제1 변형예)
제1 변형예에 따른 확장 플레이트(50)를 구비한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10)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 확장 플레이트(50)는, 원형의 플레이트부(52)와, 플레이트부(52)의 외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스커트부(54)로 구성된다. 워크피스의 측방을 스커트부(54)로 덮을 수 있으므로, 워크피스의 흡착시 및 워크피스의 반송시에 워크피스가 반송하는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유연하고 손상되기 쉬운 워크피스를 흡착할 때, 워크피스가 눌려 찌그러지지 않게 보호할 수 있다. 또, 워크피스의 반송시에 워크피스가 주위의 장치 등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확장 플레이트의 제2 변형예)
제2 변형예에 따른 확장 플레이트(60)를 구비한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10)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 확장 플레이트(60)는, 원형의 플레이트 본체(62)와, 플레이트 본체(62)의 플레이트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축(66)을 조합하여 구성된다. 플레이트 본체(62)는, 외주 둘레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을 향해 절결된 복수의 슬릿(64)을 갖는다. 복수의 슬릿(64)은 원주 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수나사를 가지는 가이드 축(66)은, 각 슬릿(64)에 삽입되고, 한 쌍의 너트(68)를 이용하여 플레이트 본체(62)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너트(68)가 나사결합된 가이드 축(66)이 슬릿(64)에 삽입되고, 플레이트 본체(62)가 한 쌍의 너트(68)로 끼워져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축(66)은, 슬릿(64) 상의 소망하는 위치에서 플레이트 본체(62)에 고정되고, 또한 플레이트 본체(62)로부터 소망하는 길이만큼만 아래쪽으로 돌출한 상태로 플레이트 본체(62)에 고정된다.
확장 플레이트(60)에 의하면, 워크피스의 외측에 복수의 가이드 축(66)이 배치되므로, 워크피스의 흡착시 및 워크피스의 반송시에 워크피스를 보호하고, 또 워크피스의 옆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복수의 가이드 축(66)의 위치 및 높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플레이트 본체(62)를 교환하지 않고도, 다른 형상, 크기 등의 워크피스에 대응할 수 있다.
(확장 플레이트의 제3 변형예)
제3 변형예에 따른 확장 플레이트(70)를 구비한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10)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이 확장 플레이트(70)는 규칙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구멍부(44)를 갖는다. 복수의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10)의 커버체(20)가 하나의 확장 플레이트(70)에 부착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합계 6개의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10)가 배치되어 있다. 확장 플레이트(70)에 의하면, 복수의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10)를 규칙적으로 배열할 수 있다.
(커버체의 변형예)
커버체(20)의 변형예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10)의 커버체(20)는, 제1 커버체(22) 및 제2 커버체(30)가 힌지부(40)를 통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그렇지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체(22) 및 제2 커버체(30)는 분리 가능한 별도의 부재일 수도 있다.
(확장 플레이트 위치결정 구조의 제1 변형예)
제1 변형예에 따른 확장 플레이트 위치결정 구조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제2 커버체(30)의 제5 돌출편(32g)은, 확장 플레이트(42)를 위치결정 고정하기 위한 후크부(32h)와, 후크부(32h)를 들어올리기 위한 레버부(32j)를 구비한다. 레버부(32j)를 소정 방향으로 쓰러뜨리면, 후크부(32h)가 솟아오른다.
(확장 플레이트 위치결정 구조의 제2 변형예)
제2 변형예에 따른 확장 플레이트 위치결정 구조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제1 커버체(22)의 본체부(24)의 하부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걸어맞춤 레버(32k)를 구비한다. 걸어맞춤 레버(32k)의 하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 형상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확장 플레이트(42)의 각 주변 구멍부(44b)는, 제5 돌출편(32g) 및 걸어맞춤 레버(32k)를 동시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확장 플레이트(42)의 끼움부(48)에는, 걸어맞춤 레버(32k)의 돌기부가 걸어맞춰질 수 있는 핀 구멍(47)이 형성되어 있다.
확장 플레이트(42)를 커버체(20)에 부착시킬 때에는 , 커버체(20)의 제1 돌출편(24e), 연속 돌출편, 제3 돌출편(32e), 제5 돌출편(32g), 및 걸어맞춤 레버(32k)를 확장 플레이트(42)의 각 주변 구멍부(44b)에 삽입한다. 그 후, 걸어맞춤 레버(32k)의 선단에 힘을 가해 걸어맞춤 레버(32k)를 들어 올리면서, 확장 플레이트(42)를 회전시킨다. 확장 플레이트(42)를 대략 45도 회전시키면, 걸어맞춤 레버(32k)의 돌기부가 확장 플레이트(42)의 핀 구멍(47)에 걸어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확장 플레이트(42)가 커버체(20)에 위치결정되어 고정된다(도 14 참조).
(확장 플레이트 위치결정 구조의 제3 변형예)
제3 변형예에 따른 확장 플레이트 위치결정 구조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제1 커버체(22)의 본체부(24)의 하부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걸어맞춤 레버(32m)를 구비한다. 걸어맞춤 레버(32m)는, 굴곡 형상을 갖고, 폭 방향을 따라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리브(32n)를 구비한다. 확장 플레이트(42)의 각 주변 구멍부(44b)는, 제5 돌출편(32g) 및 걸어맞춤 레버(32m)를 동시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또, 확장 플레이트(42)의 슬릿(46)은 걸어맞춤 레버(32m)의 리브(32n)와 동일한 폭을 갖는다.
확장 플레이트(42)를 커버체(20)에 부착시킬 때에는, 커버체(20)의 제1 돌출편(24e), 연속 돌출편, 제3 돌출편(32e), 제5 돌출편(32g), 및 걸어맞춤 레버(32m)를 확장 플레이트(42)의 각 주변 구멍부(44b)에 삽입한다. 그 후, 걸어맞춤 레버(32m)의 선단에 힘을 가해 걸어맞춤 레버(32m)를 들어올리면서, 확장 플레이트(42)를 회전시킨다. 확장 플레이트(42)를 대략 45도 회전시키면, 걸어맞춤 레버(32m)의 리브(32n)가 확장 플레이트(42)의 슬릿(46)에 걸어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확장 플레이트(42)가 커버체(20)에 위치결정되어 고정된다(도 16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는 전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Claims (17)
- 커버체(20)가 진공패드(12)에 부착된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10)로서,
상기 진공패드는, 진공통로(14a)를 가지는 지지 부재(14)와, 상기 지지 부재에 부착되는 벨로우즈(16)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체는, 원통형의 본체부(24, 32)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부착부(26, 34)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28, 36)를 구비하고, 상기 벨로우즈가 수축하여 워크피스를 흡착 유지할 때, 상기 커버체가 상기 벨로우즈의 외측을 덮고, 상기 커버체는 상기 부착부가 상기 지지 부재에 나사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진공패드에 부착되어, 상기 진공패드에 대한 상기 커버체의 부착 위치를 조정 가능한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벨로우즈의 부착 위치를 외부로부터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윈도부(38)를 가지는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는 제1 커버체(22) 및 제2 커버체(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체 및 상기 제2 커버체는 반원통 형상의 본체부를 구비하는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체 및 상기 제2 커버체는 힌지부(40)를 통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체 및 상기 제2 커버체는 서로 분리 가능한 부재인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체의 상기 본체부는 걸어맞춤편(24d) 및 걸어맞춤 오목부(24c)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커버체의 상기 본체부는 걸어맞춤편(32d) 및 걸어맞춤 오목부(32c)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버체의 상기 본체부의 상기 걸어맞춤편이 상기 제2 커버체의 상기 본체부의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춰지고, 상기 제2 커버체의 상기 본체부의 상기 걸어맞춤편이 상기 제1 커버체의 상기 본체부의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춰지는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 - 청구항 3에 있어서,
구멍부(44)를 가지는 확장 플레이트(42, 50, 60, 70)가 상기 커버체에 부착되는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의 상기 본체부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편(24e, 24f, 32e, 32f, 32g)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편은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부와 소정의 간극을 두고 마주보는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확장 플레이트의 상기 구멍부는, 상기 커버체의 상기 본체부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중심 구멍부(44a)와, 상기 복수의 돌출편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주변 구멍부(44b)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주변 구멍부 중 서로 인접하는 상기 주변 구멍부의 사이에 끼움부(48)를 갖고, 상기 끼움부는, 상기 복수의 돌출편이 상기 커버체의 상기 플랜지부와 마주보는 간극에 끼워지는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편 중 하나는 선단에 슬릿(32i)이 형성된 후크부(32h)를 갖고, 상기 확장 플레이트가 상기 커버체의 축심 주위의 소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확장 플레이트의 상기 끼움부에 형성된 슬릿(46)에 상기 후크부가 탄성적으로 걸어맞춰지는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편 중 하나는, 후크부(32h)와, 상기 후크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레버부(32j)를 구비하고, 상기 확장 플레이트가 상기 커버체의 축심 주위의 소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확장 플레이트의 상기 끼움부에 형성된 슬릿(46)에 상기 후크부가 탄성적으로 걸어맞춰지는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의 상기 본체부는 걸어맞춤 레버(32k)를 구비하고, 상기 확장 플레이트가 상기 커버체의 축심 주위의 소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확장 플레이트의 상기 끼움부에 형성된 핀 구멍(47)에 상기 걸어맞춤 레버에 형성된 구 형상의 돌기부가 걸어맞춰지는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의 상기 본체부는 걸어맞춤 레버(32m)를 구비하고, 상기 확장 플레이트가 상기 커버체의 축심 주위의 소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확장 플레이트의 상기 끼움부에 형성된 슬릿(46)에 상기 걸어맞춤 레버의 리브(32n)가 걸어맞춰지는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확장 플레이트는, 플레이트부(52)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외주로부터 연장되는 통 형상의 스커트부(54)로 구성되는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확장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본체(62)와,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플레이트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축(66)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본체는 외주 둘레로부터 내측을 향해 절결된 복수의 슬릿(64)을 갖고, 수나사를 가지는 상기 가이드 축은, 상기 복수의 슬릿에 삽입되고, 한 쌍의 너트(68)를 이용하여 상기 플레이트 본체에 고정되는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 - 청구항 3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커버체가 1개의 확장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2097093A JP2023183530A (ja) | 2022-06-16 | 2022-06-16 | 真空パッド振れ防止機構 |
JPJP-P-2022-097093 | 2022-06-1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73027A true KR20230173027A (ko) | 2023-12-26 |
Family
ID=86693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73273A KR20230173027A (ko) | 2022-06-16 | 2023-06-08 |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405840A1 (ko) |
EP (1) | EP4292780A1 (ko) |
JP (1) | JP2023183530A (ko) |
KR (1) | KR20230173027A (ko) |
CN (1) | CN117245573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596178B (zh) * | 2024-08-05 | 2024-11-01 | 邳州市蚨瑞金木业有限公司 | 一种板材吸盘结构及机械手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88465A (ja) | 2009-02-18 | 2010-09-02 | Kanto Auto Works Ltd | ロボットハンド |
JP2019010719A (ja) * | 2017-06-30 | 2019-01-24 | ライフロボティクス株式会社 | エンドエフェクタ |
JP2020192648A (ja) * | 2019-05-29 | 2020-12-03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エンドエフェクタ及びピッキングシステム |
JP2021032345A (ja) * | 2019-08-26 | 2021-03-01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吸着装置 |
-
2022
- 2022-06-16 JP JP2022097093A patent/JP2023183530A/ja active Pending
-
2023
- 2023-06-06 EP EP23177455.5A patent/EP4292780A1/en active Pending
- 2023-06-06 US US18/329,882 patent/US20230405840A1/en active Pending
- 2023-06-08 KR KR1020230073273A patent/KR20230173027A/ko unknown
- 2023-06-15 CN CN202310709792.9A patent/CN117245573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3183530A (ja) | 2023-12-28 |
EP4292780A1 (en) | 2023-12-20 |
US20230405840A1 (en) | 2023-12-21 |
CN117245573A (zh) | 2023-1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30173027A (ko) | 진공패드 흔들림 방지 기구 | |
JP6689250B2 (ja) | 安定化パネルファスナー | |
US20120237316A1 (en) | Floating fastener | |
JP2008517222A (ja) | ナット又は機能部品を備えたケーブル取付器、このケーブル取付器の接続方法、及びナット | |
JP6811858B2 (ja) | ねじ締結部品構成およびそのためのワッシャアセンブリ | |
US20050001387A1 (en) | Gasket | |
TWI642855B (zh) | Fixing device for lower member and fluid control device for fixing device having the lower member | |
JP2009115166A (ja) | 締結装置 | |
US5498092A (en) | Protective cover for a ball joint assembly | |
US5484218A (en) | Protective cover for a ball joint assembly | |
CN106051093B (zh) | 一种容易拆装的丝杆螺母 | |
EP3882159B1 (en) | Compression fit eme protection seal cap | |
JP4668169B2 (ja) | 調整時に機器を設置するための調整脚 | |
US12038035B2 (en) | Threaded fastener | |
JP2012219902A (ja) | セキュリティ・ボルト装置 | |
KR0129682Y1 (ko) | 안내부를 갖는 풀림 방지용 볼트 | |
KR101608487B1 (ko)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펌프용 받침대 | |
CN109654092A (zh) | 用于零件的固定装置 | |
JP2015222093A (ja) | ガスケット及びガスケットの取付け構造 | |
KR101973094B1 (ko) | 풀림 방지 너트 및 이를 포함하는 풀림 방지 너트 세트 | |
JP2005054839A (ja) | ボールジョイントのプロテクタ | |
US20230240444A1 (en) | Articulated adjustable foot comprising support base | |
JP2019086014A (ja) | ノブナット本体 | |
CN206795878U (zh) | 一种机器人拉紧装置 | |
US10066653B2 (en) | Sub-retaining structure and retaining structu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