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155A - 활력이 우수한 양식용 새우종자 선별방법 - Google Patents

활력이 우수한 양식용 새우종자 선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155A
KR20230171155A KR1020220071375A KR20220071375A KR20230171155A KR 20230171155 A KR20230171155 A KR 20230171155A KR 1020220071375 A KR1020220071375 A KR 1020220071375A KR 20220071375 A KR20220071375 A KR 20220071375A KR 20230171155 A KR20230171155 A KR 20230171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rvae
tank
shrimp
selection
br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Priority to KR1020220071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1155A/ko
Publication of KR20230171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15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90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9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crustaceans, e.g. lobsters or shrim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란된 모하 개체를 육성수조에서 사육하면서 부화시켜 새우 유생을 수집하는 유생 수득단계(가); 상기 (가)단계로 수득한 유생을 선별수조에 사육수와 함께 입식하여 사육하는 선별수조 입식단계(나); 선별수조의 광원부의 점등에 의해 빛을 일정시간 조사되어 상기 (나)단계로 입식된 유생을 유인하는 점등단계(다); 상기 (다)단계 후 양성 주광성을 지니고 사육수 상층부에 분포하는 활력이 우수한 유생만을 선별수조에서 분리하는 분리단계(라);로 이루어진 새우 종자 선별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스트레스에 예민한 유생 단계의 새우 종묘에 스트레스를 거의 가하지 않고 양성 주광성을 지니는 새우 종묘의 특성을 이용하여 시간과 수고를 소요하지 않고도 안전하고 용이하게 건강한 새우 유생만을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활력이 우수한 양식용 새우종자 선별방법{Method for shrimp seed selection}
본 발명은 새우 유생 단계에서 활력이 우수하고 건강한 새우 유생을 선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양성 주광성이 있는 노플리우스 및 조에아 단계의 새우 유생에 빛을 조사하여 유인함으로써 활력이 우수한 새우 유생만을 선별 수조에서 외부수조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양식용 새우 종자 선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새우류는 전세계의 담수, 기수, 해수역에 널리 분포하며, 그 종류가 많다. 몸은 두부, 흉부, 복부의 세 부분 혹은 두흉부, 복부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지고, 흉부의 앞쪽에 3쌍의 악각과 보각이 있고 복부에 유영각이 있다.
자연계의 새우류는 연안 또는 대륙붕 구근의 유기질이 많은 사니질, 연안의 암초 지대와 잘피숲 등지에서 군서하고 있다. 식성은 육식 또는 잡식성이고 주로 밤에 활동한다. 하천, 호소 및 연안에 서식하는 것 중에는 계절 회유를 하는 것들이 있고 봄에서 초여름에 걸쳐 산란을 위하여 연안의 내만으로 이동하는 것도 있다.
새우류는 부가가치가 높은 고급 양식 품종이면서도 6개월이라는 단기간의 사육으로 출하가 가능하여 비교적 많은 시설이 필요하지 않아서 활용도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다양한 종류의 새우가 태평양 연안, 아시아를 포함한 세계 각지에서 널리 양식되고 있고, 국내에서는 2004년 처음으로 민간 양식장에서 약 100톤이 생산된 바 있고, 해마다 양식이 증가하여 500 여개의 축제식 양식장에서 연간 3천톤을 생산하는 주요 양식 산업품종으로 정착되어가고 있다.
새우류는 주로 열대에서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여러 나라들에서 대량 생산되고 있는데 아시아에서는 중국, 인도네시아, 인도, 타이완, 그리고 중남미에서는 에콰도르, 멕시코 등이 주요 생산국이다.
보리새우는 우리 나라 서, 남해안에 분포하고 하구나 내만에서 많이 생산된다. 여름철에 산란하고, 1년에 성체로 자라며 높은 온도에서 산란 및 부화가 잘 이루어지는데 수온은 27~29℃에서는 수정 후 13~14시간 만에 부화한다.
부화 직후는 노플리우스(nauplius)에서 탈피를 계속하여 조에아(zoea), 미시스(mysis)를 거쳐 치하로 성장한다. 5~6월에 부화한 것은 가을까지 8~10cm로 성장하고 만 1~2년 만에 20cm로 자라 수명이 끝난다. 국내에서는 주로 보리새우와 대하를 서해안과 남해안 지방에서 양식하고 있다.
새우 양식방법은 집약적인 방식인 그린하우스 방식과 축제식에 바실리우스균 등의 미생물을 첨가한 새우 양식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새우 양식에서 발생하는 질병에 대한 대책이나 전문적인 생산 기술 기반이 취약하여 안정적인 생산 체제의 확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토종인 대하 양식은 생산량의 기복이 심하고 대량 폐사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생산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종래의 새우 양식방법은 종묘를 직접 양식장에 넣어 키우는 방식으로, 환경적응력이 떨어지는 유생의 스트레스 증가로 초기 1개월 간 폐사율이 20%에 달하는데, 이것이 고수온기의 질병 발생 요인으로 작용하여 대량폐사 가능성을 높이게 하며, 생존율 감소로 인한 생산성 저하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유생 시기부터 활동력이 우수하지 않은 새우 종묘는 성장 중에 폐사율이 높아 유생 시기에 활동력이 우수한 유생을 선별하여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443851호에는 초기 유생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새우 종묘의 생산시스템 및 생산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선행문헌에는 본 발명의 초기 유생 선별을 통한 우수 종묘 생산 방법에 관한 구성은 게시되지 않아 차이를 보인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443851호에는 새우의 초기 유생의 생존율을 높여 새우 종묘의 생산을 늘릴 수 있는 새우종묘 생산 시스템 및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우종묘 생산 시스템을 이용하여 새우의 유생을 수집하고 사육하는 경우 어미새우의 부화를 촉진하여 종묘생산을 위한 유생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유생의 외형적 성장 및 체내 성분을 강화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종묘를 확보할 수 있으며, 생존율도 높일 수 있어서, 새우양식 산업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새우종묘의 생산시스템 및 생산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115287호에는 생물사료로서 클로렐라, 로티퍼, 및 알테미아를 새우 유생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생물사료를 이용한 새우 종묘의 생산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0722228호에는 벤추리시스템에 밸브가 설치된 바이패스관을 구비하고, 기포가 혼합된 사육수를 사육수조 수중에 분사하는 인젝터를 포함하여, 사육수조 내부의 유기물을 부유시키고 산소를 공급하여 사육수를 교환하지 않아도 수질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육수조 바닥에 노폐물이 침적되지 않는 새우종묘용 육상수조식 육성시스템 및 새우 종묘용 육상수조식 육성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번호 제10-2014-0012412호에는 갑각류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수용되어 갑각류가 서식하도록 구성된 트레이와, 상기 수조의 하부에 구성된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에 부착되어 물은 내보내고 상기 갑각류의 종묘를 여과하도록 구성된 수집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갑각류 종묘 수거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새우 유생 단계부터 건강하지 않은 새우 종자는 성장과정에 따라 폐사율이 높아 유생 단계에서 선별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양성 주광성이 있는 노플리우스 및 조에아 단계에서 새우 유생에 빛을 조사하여 수면으로 유인하고, 이때 유인된 활력이 우수한 유생만을 선별 수조로 분리할 수 있는 새우 종자 선별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우 종자 선별방법은 포란된 모하 개체를 육성수조에서 사육하면서 부화시켜 새우 유생을 수집하는 유생 수득단계(가); 상기 (가)단계로 수득한 유생을 선별수조에 사육수와 함께 입식하여 사육하는 선별수조 입식단계(나); 선별수조의 광원부의 점등에 의해 빛을 일정시간 조사되어 상기 (나)단계로 입식된 유생을 유인하는 점등단계(다); 상기 (다)단계 후 양성 주광성을 지니고 사육수 상층부에 분포하는 활력이 우수한 유생만을 선별수조에서 분리하는 분리단계(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단계에 수득되는 유생은 노플리우스(nauplius) 또는 조에아(zoea)단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선별수조는 다각형의 수조바닥과 상기 수조바닥을 일정 높이의 수조외벽이 둘러싸며 유생 및 사육수의 저장이 이루어지는 입식 공간이 형성되는 선별수조 본체와, 상기 선별수조 본체 최상단에는 빛이 조사되는 광원장치를 포함하는 광원부와, 상기 선별수조 본체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어 개방 시 입식공간에 저장된 사육수가 일정 수위만큼 배수되는 수위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트레스에 예민한 유생 단계의 새우 종묘에 스트레스를 거의 가하지 않고 양성 주광성을 지니는 새우 종묘의 특성을 이용하여 시간과 수고를 소요하지 않고도 안전하고 용이하게 건강한 새우 유생만을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새우 종자 선별방법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선별수조 평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선별수조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단계 모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새우 종자 선별방법과 관련한 구체적인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새우 종자 선별방법 모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새우 종자 선별방법은 포란된 모하 개체를 육성수조에서 사육하면서 부화시켜 새우 유생을 수집하는 유생 수득단계(가); 상기 (가)단계로 수득한 유생을 선별수조에 사육수와 함께 입식하여 사육하는 선별수조 입식단계(나); 선별수조의 광원부의 점등에 의해 빛을 일정시간 조사되어 상기 (나)단계로 입식된 유생을 유인하는 점등단계(다); 상기 (다)단계 후 양성 주광성을 지니고 사육수 상층부에 분포하는 활력이 우수한 유생만을 선별수조에서 분리하는 분리단계(라);로 이루어진다.
(가) 유생 수득단계
본 발명의 유생 수득단계(가)는 포란된 모하 개체를 육성수조에서 사육하면서 부화시켜 새우 유생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모하는 십각목 새우아목에 속하는 성체기에 있고 알을 품은 새우 개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유생과는 구분되는 의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유생이란, 새우의 어린 개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노플리우스(nauplius)와 조에아(zoea)단계까지의 주광성(走光性)을 가지는 시기의 어린개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나) 선별수조 입식단계
본 발명의 선별수조 입식단계(나)는 상기 (가)단계로 수득한 유생을 본 발명의 선별수조에 입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선별수조 평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선별수조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선별수조는 다각형의 수조바닥과 상기 수조바닥을 일정높이의 수조외벽이 둘러싸며 유생 및 사육수의 저장이 이루어지는 입식공간이 형성되는 선별수조 본체(100); 상기 선별수조 본체 최상단에는 선별수조를 덮는 덮개와 빛이 조사되는 광원장치를 포함하는 광원부(200); 상기 선별수조 본체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어 개방 시 입식공간에 저장된 사육수가 일정 수위만큼 배수되는 수위조절부(300); 및 사육수 보충을 위한 공급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원부(200)는 설정된 점등 및 점멸 시간에 따라 광원장치의 점등 및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빛의 점등이 이루어지는 광원장치와, 상기 제어부 및 광원장치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원부는 선별수조의 뚜껑에 장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선별수조의 내측 수위조절부의 상측부 벽면등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사용자가 광원장치의 점등 및 점멸 시간과 조사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컨트롤부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장치는 바람직하게는 LED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설정으로 자동적으로 광원부가 설정된 시간 및 조사시간 동안 점등 및 점멸된 후 후술할 수위조절부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구현이 가능하다.
노플리우스(nauplius)와 조에아(zoea)단계의 새우 유생은 양성 주광성을 가지고 있고 이후의 미시스 유생으로 성장하면서 양성 주광성이 사라진다. 이에 본 발명은 양성 주광성의 특징을 지니는 상기 단계의 유생을 빛으로 유인하고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선별수조에 입식되는 유생은 바람직하게는 노플리우스와 조에아 단계의 새우 유생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위조절부(300)는 입식공간에 저장된 사육수가 일정 수위만큼 배수되어 일정 수위층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선별수조 측면에 일단에는 배수파이프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배수파이프에는 배수파이프의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조절밸브가 설치되어 배수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배수파이프의 타단은 본 육성 수조로 연결되어 선별수조에서 분리된 유생이 이동되어 바로 사육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파이프는 선별수조에 저장된 사육수 수위의 5cm 아래에 형성되어 약 5cm의 수위만큼 사육수가 개방 시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수위높이는 통상적으로 활성이 우수하여 건강하다고 판단되는 유생이 잔존하는 수위 높이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 점등 단계
본 발명의 점등단계(다)는 선별수조의 광원부의 점등에 의해 빛을 일정시간 조사되어 상기 (나)단계로 입식된 유생을 유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단계로 입식되는 유생은 양성 주광성이 있는 것이고 특히 상부에 발산하는 광원부의 점등에 유인되어 사육수 최고 수위층에 잔존하는 유생은 움직임이 우수한 건강한 유생이다.
반면에, 최고 수위층 이하에 잔존하는 유생은 활력이 우수하지 않고 발육상태가 좋지 않아 움직임이 약하며, 시간이 얼마 지나지 않아 폐사해 버리는 유생으로 분리하고 함께 사육하는 경우 폐사 시 폐사 개체 선별작업이 번거롭고 다른 개체에게 악영향을 주게 되어 대량폐사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점등 단계는 건강한 개체를 양성 주광성을 이용하여 선별하는 단계인 것이다.
이때, 조사 시간이 짧을수록 유인되는 유생의 활성도는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단시간, 장시간 등의 조사 시간별로 후술 단계의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개체를 각 조사 시간별로 분리하여 육성이 가능하다.
(라) 분리 단계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단계 모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분리 단계(라)는 상기 (다)단계 후 수위조절부를 개방하여 주광성에 유인되어 사육수 상층부에 분포하는 유생을 선별수조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육수 상층부는 수위조절부 개방 시 최종적으로 확정되는 분리 수위층(B)일 수 있고 이때 상기 분리 수위층(B)에 분포하는 새우 유생(A)이 함께 수위조절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수위조절부에는 추가적으로 흡입부를 설치함으로써 사육수 상층부에 분포하는 유생의 분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 내지 (라)단계는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제1차 내지 제n차로 분리된 유생을 따로 분리함으로써 활성도에 따른 유생의 분리가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선차적으로 유인되어 분리단계가 실시된 유생이 후차적으로 유인되어 분리된 유생에 비해 활력이 우수하고 더 건강한 유생이라 할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방법으로 활력도에 따른 유생의 분리도 함께 가능한 것이다.
또한 (다) 내지 (라)단계를 반복하여 차수별 유생의 분리를 실시하는 경우 각 차수의 점등단계에서 점등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점등시간에 따른 유생 분리도 가능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짧은 점등시간 내에 유인되어 분리되는 유생이 활력이 우수하고 건강한 유생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초기 유생 단계에서 선별작업이 선행되지 않아 건강하지 않은 유생의 폐사가 원인이 되어 대량폐사를 야기하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우수 종자 만을 선별하여 대량폐사의 위험 없이 새우 생산이 가능하도록 보탬이 됨으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선별수조 본체 200: 광원부
300: 수위조절부 A: 유생
B: 분리 수위층

Claims (3)

  1. 포란된 모하 개체를 육성수조에서 사육하면서 부화시켜 새우 유생을 수집하는 유생 수득단계(가);
    상기 (가)단계로 수득한 유생을 선별수조에 사육수와 함께 입식하여 사육하는 선별수조 입식단계(나);
    선별수조의 광원부의 점등에 의해 빛을 일정시간 조사하여 입식된 유생을 유인하는 점등단계(다);
    상기 (다)단계 후 양성 주광성을 지니고 사육수 상층부에 분포하는 활력이 우수한 유생만을 따로 선별수조에서 분리하는 분리단계(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새우 종자 선별방법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단계에 수득되는 유생은 노플리우스(nauplius) 또는 조에아(zoea)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새우 종자 선별방법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수조는 다각형의 수조바닥과 상기 수조바닥을 일정 높이의 수조외벽이 둘러싸며 유생 및 사육수의 저장이 이루어지는 입식 공간이 형성되는 선별수조 본체와, 상기 선별수조 본체 최상단에는 빛이 조사되는 광원장치를 포함하는 광원부와,
    상기 선별수조 본체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어 개방 시 입식공간에 저장된 사육수가 일정 수위만큼 배수되는 수위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새우 종자 선별방법
KR1020220071375A 2022-06-13 2022-06-13 활력이 우수한 양식용 새우종자 선별방법 KR20230171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375A KR20230171155A (ko) 2022-06-13 2022-06-13 활력이 우수한 양식용 새우종자 선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375A KR20230171155A (ko) 2022-06-13 2022-06-13 활력이 우수한 양식용 새우종자 선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155A true KR20230171155A (ko) 2023-12-20

Family

ID=89376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375A KR20230171155A (ko) 2022-06-13 2022-06-13 활력이 우수한 양식용 새우종자 선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115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228B1 (ko) 2005-09-29 2007-05-30 대한민국 새우종묘용 육상수조식육성시스템 및 새우종묘용 육상수조식육성방법
KR101115287B1 (ko) 2011-05-31 2012-03-05 대상 주식회사 생물사료를 이용한 새우 종묘의 생산방법
KR20140012412A (ko) 2012-07-20 2014-02-03 조용현 갑각류 종묘 수거장치
KR101443851B1 (ko) 2013-10-31 2014-09-24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새우종묘의 생산 시스템 및 생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228B1 (ko) 2005-09-29 2007-05-30 대한민국 새우종묘용 육상수조식육성시스템 및 새우종묘용 육상수조식육성방법
KR101115287B1 (ko) 2011-05-31 2012-03-05 대상 주식회사 생물사료를 이용한 새우 종묘의 생산방법
KR20140012412A (ko) 2012-07-20 2014-02-03 조용현 갑각류 종묘 수거장치
KR101443851B1 (ko) 2013-10-31 2014-09-24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새우종묘의 생산 시스템 및 생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55310B (zh) 一种光唇鱼仿生态工厂规模化繁育驯养方法
CN104430095B (zh) 一种南美白对虾的淡水养殖方法
CN109122443B (zh) 澳洲淡水龙虾循环水抱卵孵化系统及育苗方法
CN1745725A (zh) 全人工培育斑节对虾亲体的方法
CN105918168B (zh) 脊尾白虾盐碱水人工养殖方法
CN106135095A (zh) 基于自然水系统的小龙虾的养殖方法
CN112021230A (zh) 虾苗培育装置、利用池塘培育均匀规格小龙虾虾种的方法
CN109699537B (zh) 一种花刺参人工苗种的繁育方法
CN110074023B (zh) 一种绿鳍马面鲀苗种培育方法
CN106259118B (zh) 一种大鳞鲃鱼苗培育方法
KR101744393B1 (ko) 해마 자, 치어 생산방법
KR101806086B1 (ko)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방법
KR100953994B1 (ko) 꼬막 종묘의 생산방법
CN1194609C (zh) 松江鲈鱼水花鱼苗生产技术
Chen et al. Sea cucumber aquaculture in China
KR101806085B1 (ko)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장치
CN109122566A (zh) 一种促使虎纹蛙集中产卵的高存活养殖方法及其养殖设备
KR20230171155A (ko) 활력이 우수한 양식용 새우종자 선별방법
Macintosh Aquaculture in coastal lagoons
Marichamy Mudcrab culture and hatchery
UA65842C2 (en) Method of commercial growing the giant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zenbergii)
CN110692596A (zh) 一种高效分段式甲鱼培优养殖设施及养殖方法
CN105613353A (zh) 一种石斑鱼苗种的培育技术
CN217936954U (zh) 规模化养殖蝇蛆冲液防逃逸饲养盘
CN109275604A (zh) 一种用于龙虾的海水网箱吊养养殖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