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723A - 플러그-인 인서트 - Google Patents

플러그-인 인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723A
KR20230167723A KR1020230069066A KR20230069066A KR20230167723A KR 20230167723 A KR20230167723 A KR 20230167723A KR 1020230069066 A KR1020230069066 A KR 1020230069066A KR 20230069066 A KR20230069066 A KR 20230069066A KR 20230167723 A KR20230167723 A KR 20230167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leeve
insert
collar
des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9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실버바우어 귄터
Original Assignee
아파우에스, 인제눼어 요트. 체. 뢰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파우에스, 인제눼어 요트. 체. 뢰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파우에스, 인제눼어 요트. 체. 뢰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167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7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16L37/091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with a separate member for releasing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3)에 삽입하도록 설계되는 플러그-인 인서트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플러그-인 인서트(1)는 본체(3)에 관상형 요소(2)의 릴리스 가능한 커플링을 위해 설계되고, 플러그-인 인서트(1)는 플러그-인 슬리브(5), 고정 요소(6) 및 릴리스 부재(7)를 갖고, 고정 요소(6)는 삽입 개구(E)를 통해 삽입되는 관상형 요소(2)의 플러그-인 슬리브(5)에의 릴리스 가능한 고정을 위해 설계되고, 릴리스 부재(7)는, 관상형 요소(2)의 고정이 플러그-인 슬리브(5)에 대한 릴리스 부재(7)의 축방향 움직임에 의해 릴리스되는 방식으로 고정 요소(6)와 협력하고, 플러그-인 슬리브(5)는 적어도 하나의 벽 요소(5A, 5B)로 형성되는 슬리브부(5.1)를 포함하고, 벽 요소(5A, 5B)는 금속 편평 소재부를 스탬핑하여 보울-형상 또는 둘레 방향으로 폐쇄된 부재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되고,
- 본체에서 플러그-인 슬리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가 플러그-인 슬리브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본체(3)에 플러그-인 인서트(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가 구비되며, 고정 부재는, 플러그-인 슬리브(5) 위에서 둘레 방향으로 분포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클로(5.1.3)나 디텐트(5.1.8)에 의해 또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5.1.7)에 의해 형성되거나; - 플러그-인 슬리브(5)는 본체(3)의 에지 영역(3.1)을 성형함으로써 본체(3)에 고정되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플러그-인 인서트{PLUG-IN INSERT}
본 발명은 플러그-인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호스와 같은 관상형 요소의 예컨대 호스 커플링, 밸브, 센서, 펌프 등의 하우징과 같은 본체로의 릴리스 가능한 커플링을 위한 플러그-인 인서트가, 예컨대 출원인 자신의 공보 DE 10 2018 121 440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축방향으로 볼 때, 알려진 플러그-인 인서트는 프레스-인 슬리브(press-in sleeve)와 지지 링으로 구성되는 2-부분 플러그-인 슬리브, 플러그-인 슬리브에 클로(claw) 링으로서 배치되는 고정 요소, 및 릴리스 부재로서, 릴리스 부재가 플러그-인 슬리브 내에 눌려질 때, 고정 요소의 클로들이 변형되며 관상형 요소가 그에 따라 본체 외부로 당겨질 수 있는 방식으로 고정 요소와 협력하는 릴리스 부재를 갖는다.
알려진 플러그-인 인서트의 주요한 단점은, 플러그-인 인서트의 개별 부분의 제조 및 결합이 매우 복잡하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플러그-인 슬리브 또는 그 개별 부분은 기계 가공에 의해 제조된 후 조립되어야 한다.
이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제조 및 조립 노력이 감소하여 제조비용이 낮춰질 수 있는 플러그-인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독립항 1의 특성을 포함하는 플러그-인 인서트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가 종속항의 요지이다.
제1 양상에 따라, 플러그-인 인서트가 개시된다. 플러그-인 인서트는 본체에 삽입되도록 설계되며, 관상형 요소를 본체에 릴리스 가능하게 커플링하는데 사용된다. 플러그-인 인서트는 플러그-인 슬리브, 고정 요소 및 릴리스 부재를 포함한다. 고정 요소는, 삽입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관상형 요소를 플러그-인 슬리브에서 릴리스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설계된다. 릴리스 부재는, 관상형 요소의 고정이 플러그-인 슬리브에 대한 릴리스 부재의 축방향 움직임에 의해 릴리스되는 방식으로 고정 요소와 협력한다. 플러그-인 슬리브는, 적어도 하나의 벽 요소로부터 형성되는 슬리브부를 포함한다. 벽 요소는 편평 소재의 금속부를 스탬핑하여 쉘-형상 또는 둘레 방향으로 폐쇄된 요소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제1 대안에 따라, 플러그-인 슬리브와 일체형인 고정 부재가 본체에 플러그-인 슬리브를 고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고정 부재는 본체에 플러그-인 인서트를 고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고정 부재는 플러그-인 슬리브 위에 둘레 방향으로 분포하는 다수의 클로 또는 디텐트(detent)에 의해 또는 적어도 하나의 립(rib)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대안에 따라, 플러그-인 슬리브는 본체의 에지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본체에 고정되도록 설계된다.
플러그-인 인서트의 기술적 장점은 그 플러그-인 슬리브가 감소한 노력과 그에 따라 낮은 가격으로 스탬핑 및 구부림 형상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는 점이다. 게다가, 본체에 플러그-인 인서트를 고정함으로써, 본체에서 플러그-인 인서트의 확고한 앵커링이 달성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인 슬리브는 삽입 개구 반대편의 제2 자유 단부에 플랜지를 가져 시일링 요소를 위한 접촉 표면을 형성하며, 이 시일링 요소에 의해, 관상형 요소와 본체 사이의 전환부가 시일링된다. 플랜지 상의 시일링 요소의 평면 인접부(planar abutment)로 인해, 시일링 요소는 플러그-인 인서트에 의해 제자리에서 유지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인 인서트가 본체에 고정되게 하는 클로가 플랜지의 영역에 구비된다. 플랜지의 영역에 클로를 구비함으로써, 플러그-인 인서트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클로의 사용으로 인해, 플러그-인 인서트는, 누름-끼움(press-fitting)에 의해 본체에 유지되는 플러그-인 인서트와 비교하여 적은 힘으로 눌려질 수 있다.
클로는 삽입 개구의 방향으로 상방으로 경사지게 돌출할 수 있으며, 예컨대 본체에서, 특히 본체의 비드(bead)에서 걸리도록 설계되어 플러그-인 인서트가 본체로부터 릴리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본체에서의 클로의 걸림은 비트 없이 또는 본체의 벽에서 홈(groove) 없이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에, 클로는 본체의 홈 또는 비드가 없는 벽에 바로 눌려진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플랜지는 다수의 플랜지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이들 플랜지 세그먼트는 플러그-인 인서트의 장방향 축에 관해 반경 방향으로 외부로 돌출하며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클로는 플랜지 세그먼트 사이를 형성하는 중간 공간에서 둘레 방향으로 분포되는 방식으로 구비된다. 즉, 하나 이상의 클로가 각 경우에 2개의 연속 플랜지 세그먼트 사이를 형성하는 중간 공간에 있다. 그에 따라, 플러그-인 인서트의 제2 자유 단부의 영역에 구비되는 편평 소재의 제1 영역은 플랜지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플러그-인 인서트의 제2 자유 단부의 영역에 또한 구비되는 편평 소재의 제2 영역이 클로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플랜지 세그먼트는 또한 본체에서 플러그-인 슬리브의 자유 단부를 중심에 놓는데(center)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인 슬리브는 고정 요소가 에지에 유지되는 비드를 갖는다. 이로 인해, 예컨대 별도의 환형 요소인 고정 요소가 플러그-인 슬리브에 상호 잠금되게 유지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고정 요소는 플러그-인 슬리브의 슬리브부의 비드에서 에지에 고정된다. 다시 말해, 슬리브부의 비드는 바람직하게는 둘레 방향의 벌지(bulge)를 형성하며, 이 벌지 내로, 고정 요소의 에지가 삽입되며, 그에 따라 상호 잠금 형태로 비드에 유지된다. 이 경우, 고정 요소는, 슬리브부를 형성하는 벽 요소가 함께 구부려질 때 또는 다수의 벽 요소를 구성하는 슬리브부가 조립될 때 플러그-인 슬리브에 삽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정 요소는 슬리브부 내로 축방향으로 눌려질 수 있으며 스냅 메커니즘에 의해 플러그-인 슬리브에 유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고정 요소가 둘레 방향으로 폐쇄된 슬리브부의 형성 후 플러그-인 슬리브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인 슬리브의 외벽부는, 고정 요소가 유지되는 비드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형성하거나, 외벽부가 리브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리브로 인해 플러그-인 인서트는 누름-끼움에 의해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인 슬리브가 본체에 앵커링되게 하는 디텐트가 삽입 개구의 영역에 구비되는 플러그-인 슬리브의 제1 자유 단부와, 고정 요소 사이의 플러그-인 슬리브의 벽부에 구비된다. 디텐트는, 특정 에어리어에서 자유롭게 스탬핑되며 각도를 이루고 반경 방향으로 외부로 돌출하는 플러그-인 슬리브의 소재부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타입의 고정으로, 플러그-인 인서트는 고정 요소 위의 영역에서, 즉 삽입 개구의 영역에서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슬리브부는, 스탬핑되고, 형성되며 함께 구부려져 둘레 방향으로 폐쇄된 요소를 형성하는 편평 소재의 단일 피스에 의해 형성된다. 그에 따라, 슬리브부는 다단 스탬핑, 구부림 및 형성 공정에 의해 편평 소재의 단일 피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스탬핑, 구부림 및 형성 공정은 특히 초기에 서로 이격되어 있는 편평 소재의 피스의 2개의 장방향 측이 서로에 대해 배향되도록 및 서로 경계를 이루도록 놓이게 한다는 점을 달성한다. 편평 소재의 피스의 장방향 측은, 예컨대 상호 잠금 및/또는 일체형 본딩된 연결에 의해, 특히 용접에 의해 형성되는 조인트에서 서로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슬리브부는 적어도 2개의 스탬핑되어 형성된 편평한 소재 피스를 포함하며, 이들 피스는, 둘레 방향으로 폐쇄되는 슬리브부를 형성하도록 함께 결합되는 벽 요소로서 쉘 또는 보울(bowl) 형상을 갖도록 구부려진다. 다시 말해, 다수의 쉘-형상 벽 요소가 스탬핑, 구부림 및 형성 공정에서 동시에 또는 연속해서 제조된다. 쉘-형상 벽 요소는 외부에 볼록 형상을 갖는다. 둘레 방향으로 세그먼트화된 슬리브부가, 하나의 벽 요소의 하나의 장방향 측이 그 다음 벽 요소의 장방향 측에 경계를 이루는 방식으로 벽 요소를 조립함으로써 형성된다. 서로 경계를 이루는 장방향 측은 예컨대 스폿-용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슬리브부는 2개의 절반-보울-형상 벽 요소로부터 형성된다. 슬리브부의 둘레 방향 세그먼트화로 인해, 슬리브부는 복잡한 형성 공정에도 스탬핑 및 구부림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인 슬리브는, 관상형 요소를 위한 삽입 개구가 구비되는 제1 자유 단부에서, 벽 요소의 금속 편평 소재의 에지 구부림에 의해 또는 별도의 칼라 요소에 의해 형성된 칼라부를 갖는다. 칼라부는 그에 따라 벽 요소 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도 있거나, 별도의 칼라 요소가 슬리브부에 적용될 수 있다. 칼라부 또는 칼라 요소는 슬리브부와 본체 사이의 환형 갭과 중첩하도록 설계되며, 이러한 환형 갭은 슬리브부를 둘레 방향으로 에워싼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칼라 요소는 편평 소재로 된 링형 설계 요소이며, 상부 표면으로부터 각을 이루고 돌출하는 벽부를 가지며 둘레 방향 측에서 폐쇄된다. 결국, 칼라 요소는 또한 예컨대 딥 드로잉(deep drawing) 또는 다른 형성 공정에 의해 편평 소재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칼라 요소는 내부 둘레 방향 측에 다수의 정지부를 가져 릴리스 부재의 축방향 움직임 경로를 제한한다. 외부 둘레 방향 측에서, 릴리스 부재는, 정지부와 협력하여 축방향 움직임 경로를 제한하는 돌출부나 쇼율더를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칼라 요소는 플러그-인 슬리브로부터 릴리스 부재의 원치 않는 릴리스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칼라 요소는 자유 단부에서 플러그-인 슬리브의 슬리브부에 배치되며, 강제 잠금(force-locking) 및/또는 단단한 본딩 방식으로 슬리브부에 연결된다. 칼라 요소는 또한 자유 단부에서 슬리브부의 벽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칼라 요소는 슬리브부에 고정된다. 동시에, 플러그-인 슬리브의 안정성은 칼라 요소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칼라 요소는, 외부 둘레 방향 측 상에 경사면 또는 쇼울더를 가지며, 이러한 경사면 또는 쇼울더는 본체의 성형된 에지 영역에 의해 수용되어 플러그-인 인서트를 본체에 고정하도록 설계된다. 칼라 요소의 섹션 중첩으로 인해, 본체에서의 플러그-인 인서트의 확고한 고정이 달성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고정 요소는 디스크-형상 클로 링이며, 이러한 클로 링은 플러그-인 슬리브에 고정되며 내부 둘레 방향 측 상에 다수의 가역적으로 구부릴 수 있는 클로를 가져 관상형 요소를 고정한다. 환상 요소가 클로 링에 삽입되지 않고도, 클로는 반경 방향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향하며, 관상형 요소가 클로 링 내에 삽입될 때 삽입 방향으로 변형되어, 클로는 자유 단부에서 관상형 요소의 벽에 맞물려 관상형 요소가 삽입 방향과 반대로 외부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고정 요소는 클로 링의 환상부와 클로 사이의 전환 영역에 만곡(curvature)을 가지며, 그 볼록 측은 삽입 개구 방향으로 배향된다. 만곡은 둘레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만곡으로 인해, 고정 요소의 스냅이, 릴리스 부재가 삽입될 때 달성될 수 있으며, 릴리스 부재의 촉각 및 동작에 유리하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슬리브부는, 고정 요소가 유지되는 중심 영역과 삽입 개구 반대편의 플러그-인 슬리브의 제2 자유 단부 사이에서 깔때기(funnel) 형상으로 테이퍼링된다. 결국, 슬리브부는 제2 자유 단부를 향해 테이퍼링되며, 이 제2 자유 단부에서 시일링 요소를 위한 접촉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슬리브부의 깔때기-형상 테이퍼는, 관상형 요소가 중심에 놓이는 방식으로 시일링 요소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관상형 요소의 측방향 안내를 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인 슬리브는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소재로 제조된다. 결국, 플러그-인 인서트는 식품 응용에 사용될 수 있으며, 큰 비용 절약이 감소한 소재 사용으로 인해 달성될 수 있다. 스테인리스 강의 대안으로서, 또한, 예컨대 황동, 청동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다른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릴리스 부재는 외부에서 후크를 가지며, 이러한 후크는 플러그-인 슬리브의 리세스에 맞물리며 분리 요소의 고정 요소로부터 먼 슬라이딩 움직임을 제한한다. 대안적으로, 릴리스 부재는, 내부 둘레 방향 측 상에 구비되는 플러그-인 슬리브의 돌출부가 맞물려 릴리스 부재의 고정 요소로부터 먼 슬라이딩 움직임을 제한하는 리세스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플러그-인 인서트는 최대 20bar의 연속 압력과 최대 100bar의 압력 피크에 대해 설계된다.
예컨대, 플러그-인 인서트는 2mm와 40mm 사이의 범위로, 특히 4mm에서 32mm까지의 범위로 관상형 요소의 외부 직경에 대해 설계된다.
본 개시의 의미에서 "스탬핑 및 구부림 공정"은, 금속 스탬핑이 구부림, 엠보싱 및/또는 딥 드로잉에 의해 구체적으로 형성되는 형성 공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금속"은 순금속 또는 다수의 상이한 금속을 포함하는 합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표현, "대략", "실질적으로" 또는 "약"은 각각 정확한 값으로부터 +/-10%, 바람직하게는 +/-5% 만큼의 편차 및/또는 기능에 중요하지 않은 변화 형태의 편차를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의미한다.
본 발명의 추가 개발, 장점 및 가능한 응용은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음의 기재 및 도면으로부터 또한 얻게 된다. 이와 연계하여, 기재한 및/또는 예시한 모든 특성은 청구범위에서의 그 요약이나 그 역참조에 상관없이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요지가 된다. 또한, 청구범위의 내용은 상세한 설명의 일부가 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여러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플러그-인 인서트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장방향 단면도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한 플러그-인 인서트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장방향 분해 단면도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플러그-인 인서트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의 장방향 단면도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플러그-인 인서트의 제3 예시적인 실시예의 장방향 단면도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플러그-인 인서트의 제4 예시적인 실시예의 장방향 단면도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플러그-인 인서트의 제5 예시적인 실시예의 장방향 단면도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스탬핑, 구부림 및 형성 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소재 피스를 둘레 방향으로 함께 구부림으로써 플러그-인 인서트의 플러그-인 슬리브를 형성하는 것을 예를 들어 및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체의 비드 에지 영역에 의해 이 본체에 고정되는, 플러그-인 인서트의 제6 예시적인 실시예의 장방향 단면도를 예를 들어 도시한다.
도 9는, 본체의 비드 에지 영역에 의해 이 본체에 고정되는, 플러그-인 인서트의 제7 예시적인 실시예의 장방향 단면도를 예를 들어 도시한다.
도 10은, 본체의 비드 에지 영역에 의해 이 본체에 고정되는, 플러그-인 인서트의 제8 예시적인 실시예의 장방향 단면도를 예를 들어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는 플러그-인 인서트(1)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플러그-인 인서트(1)는 관상형 요소(2)를 본체(3) 내에서 릴리스 가능하게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관상형 요소(2)는 예컨대 원형 횡단면을 가진 호스나 튜브일 수 있다. 본체(3)는 예컨대 호스 커플링, 밸브, 분배기, 센서, 펌프 등의 하우징일 수 있다.
플러그-인 인서트(1)는 관상형 요소(2)와 본체(3) 사이에 커플링 피스를 형성하며, 본체(3)에서 개구 내로 삽입되도록 설계된다. 플러그-인 인서트(1)의 내부는 수용 공간을 가지며, 이 수용 공간 내로, 관상형 요소(2)의 자유 단부가 삽입되어, 본체(3)에 플러그-인 인서트(1)를 고정하며 및 플러그-인 인서트(1)에서 관상형 요소(2)를 고정함으로써, 관상형 요소(2)가 본체(3)에 릴리스 가능하게 유지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시일링 요소(4)가 관상형 요소(2)와 본체(3) 사이의 전환부를 시일링하기 위해 구비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링 요소(4)는 탄성재 성형부로서 설계될 수 있거나 또한 예컨대 O-링일 수 있다.
플러그-인 인서트(1)는 플러그-인 슬리브(5), 고정 요소(6) 및 릴리스 부재(7)를 포함한다. 플러그-인 슬리브(5)는 공동-본체 설계로 되어 있으며, 적어도 섹션들에서 플러그-인 인서트(1)의 둘레 방향 벽을 형성한다. 플러그-인 슬리브(5)는 제1 자유 단부(5a)에서 삽입 개구(E)를 가지며, 이 개구를 통해, 관상형 요소(2)가 플러그-인 인서트(1)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 개구(E) 인접하여, 관통-리드 채널(DK)이 플러그-인 슬리브(5)의 내부에 형성되며, 그 내부로, 관상형 요소(2)가 삽입될 수 있다.
고정 요소(6)는 플러그-인 슬리브(5)의 내부에 수용된다. 고정 요소(6)는 축방향으로 플러그-인 인서트(1)에 관상형 요소(2)를 앵커링하도록 설계된다. 예시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정 요소(6)는 링형상 요소이다. 외부 둘레 방향 측 상에서, 고정 요소(6)는 상호 잠금 방식으로 플러그-인 슬리브(5)에 고정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외부 둘레 방향 측 상에 구비되는 고정 요소(6)의 에지 영역은 내부 둘레 방향 측 상에 구비되는 플러그-인 슬리브(5)의 비드(5.1.1) 내로 내려가며(dip), 그 결과, 고정 요소(6)는 축방향으로 플러그-인 슬리브(5)에 유지된다.
고정 요소(6)는 내부 에지에서 다수의 클로(6.1)를 갖는다. 다시 말해, 고정 요소(6)는 클로 링으로서 설계된다. 클로(6.1)는 고정 요소(6)의 관통-리드 개구 주위에 배치된다. 관통-리드 개구의 직경은 관상형 요소(2)의 외부 직경보다 작아서, 클로(6.1)는 관상형 요소(2)가 삽입 방향으로 삽입될 때 변형되어 최종 삽입 위치에 도달한 후 관상형 요소(2)의 벽에 맞물린다. 이런 식으로, 고정 요소(6)는 관상형 요소(2)가 원치 않는 방식으로 플러그-인 인서트(1)로부터 분리될 수 없음을 보장한다.
릴리스 부재(7)는 관상형 요소(2)에서 고정 요소(6)의 클로(6.1)의 맞물림을 릴리스하여 관상형 요소(2)가 다시 플러그-인 인서트(1) 외부로 당겨질 수 있도록 설계된다. 릴리스 부재(7)는 바람직하게는 슬리브-형상이며 그 내부에 관통-리드 채널을 가지고, 이 채널을 통해, 관상형 요소(2)가 밀어질 수 있다.
릴리스 부재(7)는 삽입 개구(E)를 통해 플러그-인 슬리브(5) 내에 삽입된다. 플러그-인 슬리브(5)에 놓이는 릴리스 부재(7)의 자유 단부는, 릴리스 부재(7)의 자유 단부가 릴리스 부재(7)의 축방향 삽입 동안 삽입 방향으로 클로(6.1)를 아래로 눌러 관상형 요소(2)의 벽에서의 클로(6.1)의 맞물림을 취소하는 방식으로 고정 요소(6)의 클로(6.1)와 협력하도록 설계된다.
플러그-인 슬리브(5)는 슬리브부(5.1)와 칼라부(5.2)를 갖는다. 슬리브부(5.1)는 플러그-인 슬리브(5)의 벽을 형성하며, 관통-리드 채널(DK)을 둘레 방향으로 에워싼다. 슬리브부(5.1)는 제1 영역(5.1a)에서 둥근-튜브형 설계를 가지며, 이 제1 영역은 제1 자유 단부(5a)와 바로 인접해 있다.
제1 부분 다음에는 제2 영역(5.1b)이 오며, 이 제2 영역 상에는, 비드(5.1.1)가 편평 소재를 엠보싱함으로써 내부 둘레 방향 측 상에 형성된다. 고정 요소(6)는 그 외부 에지로 이 비드(5.1.1)에 수용되며, 그에 따라 상호 잠금 방식으로 슬리브부(5.1)에 고정된다.
제2 자유 단부(5b)의 방향으로, 제2 영역(5.1b) 다음에는 제3 영역(5.1c)이 오며, 이 제3 영역에서, 슬리브부(5.1)는 제2 자유 단부(5b)를 향해 테이퍼링된다. 다시 말해, 슬리브부(5.1)의 벽은 제3 영역(5.1c)에서 깔때기 형상으로 테이퍼링되도록 설계된다. 결과적으로, 삽입된 관상형 요소(2)는 중심에 놓이며 그에 따라 제2 자유 단부(5b)에 형성된 관통-리드 개구(D)에 정확한 위치에서 공급된다.
슬리브부(5.1)의 제4 영역(5.1d)이 플러그-인 슬리브(5)의 제2 자유 단부(5b)에 구비되며, 이 자유 단부에는, 플랜지(5.1.2)가 형성된다. 플랜지(5.1.2)는 예컨대 반경 방향으로 외부로 돌출하며 평면인 하나 이상의 편평 소재부에 의해 형성된다. 플랜지(5.1.2)는 여기서 플러그-인 인서트(1)의 장방향 축(LA)에 수직으로 진행하는 평면에 놓이게 된다.
플랜지(5.1.2)는 원형 링 세그먼트로서 설계되는 다수의 플랜지 세그먼트나 원형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랜지(5.1.2)는 시일링 요소(4)를 위한 접촉 표면을 형성하며, 시일링 요소(4)는 관상형 요소(2)와 본체(3) 사이의 전환부를 시일링한다. 이로 인해, 시일링 요소(4)는 플러그-인 인서트(1)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되게 된다. 게다가, 플랜지(5.1.2)는, 본체(3)에 형성되며 플러그-인 인서트(1)가 삽입되는 리세스에 맞도록, 즉 플러그-인 인서트(1)가 플랜지(5.1.2)에 의해 본체(3) 중심에 놓이는 방식으로 반경 방향으로 크기와 둘레 방향 형상을 갖는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체(3)에 플러그-인 인서트(1)를 고정할 제1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 고정을 위해, 클로(5.1.3)는 제2 자유 단부(5b)의 영역에 형성된다. 클로(5.1.3)는 탭에 의해 형성되며, 이 탭은, 슬리브부(5.1) 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장방향 축(LA)에 관해 경사지게 상방으로 돌출하며, 플러그-인 인서트(1)를 본체(3)의 리세스 내에 삽입한 후, 이 리세스에 플러그-인 인서트(1)를 앵커링하여 플러그-인 인서트(1)의 (예컨대, 관상형 요소(2)에서 수용된 가압 유체에 의한) 본체(3)로부터의 원치 않는 릴리스를 방지한다. 이 연결에서, 클로(5.1.3)는 본체(3)의 리세스(즉, 홈이 없는 리세스)의 매끄러운 벽에서의 플러그-인 인서트(3)의 앵커링을 실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시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다수의 클로(5.1.3)는 플러그-인 인서트(1)의 제2 자유 단부(5b)에 둘레 방향으로 분포하며, 서로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플러그-인 인서트의 직경에 의존하여, 예컨대 4개, 6개 이상의 클로(5.1.3)가 구비될 수 있다. 플랜지(5.1.2)의 플랜지 세그먼트가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클로(5.1.3) 사이에 구비된다. 이 플랜지 세그먼트는 바람직하게는 원형 링 세그먼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한된 각도 범위에 걸쳐서만 연장한다. 플랜지 세그먼트에 의해, 예컨대 플러그-인 인서트(1)를 본체(3)의 중심에 놓음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도,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로(5.1.3)의 풋 에어리어가 시일링 요소(4)에 대한 접촉 영역을 형성하여, 클로(5.1.3)의 풋 에어리어는 클로(5.1.3) 사이에 위치한 플랜지 세그먼트와 함께 연합하여 시일링 요소(4)에 대한 접촉 표면을 형성한다.
클로(5.1.3)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인 인서트(1)의 장방향 축(LA)을 삽입 개구(E)의 방향으로 개방되는 예각으로 에워싼다. 이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20°와 45° 사이, 특히 25°와 35°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또는 실질적으로 30°인 값을 갖는다.
슬리브부(5.1)는, 스탬핑, 구부림 및 형성 기술에 의해 금속 편평 소재의 하나 이상의 피스로부터 제조된다. 편평 소재의 적어도 하나의 피스는 먼저 스탬핑된다. 후속하여, 편평 소재의 적어도 하나의 피스의 소재 형성이 실행되며, 예컨대, 비드(5.1.1)가 엠보싱 공정에 의해 형성되고 및/또는 플랜지(5.1.2)와 클로(5.1.3)가 구부림에 의해 제조된다.
슬리브부(5.1)를 형성하는 단일 소재 피스의 경우에, 이 앞서 스탬핑되고 형성된 소재 피스는 그 후 함께 구부려져 튜브형 본체를 형성하여, 소재 피스의 장방향 측은 서로를 향해 배향되며 바람직하게는 조인트(joint)가 형성되도록 서로 인접해 있다. 스탬핑되고 형성된 소재 피스를 관상형 플러그-인 슬리브로 구부림이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구부려진 화살표가 구부림 공정을 예시한다. 적어도 부분적인 용접이 조인트에서 실행될 수 있다.
슬리브부(5.1)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소재 피스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 앞서 스탬핑되고 형성된 소재 피스는 이후 각 경우에 구부려져 쉘-형상 벽 요소(5A, 5B)를 형성한다. 2개의 벽 요소인 경우에, 이들 요소는 절반-쉘 형상으로 설계된다. 이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형상일 수 있지만, 둘레 방향으로 폐쇄된 요소가 쉘-형상 벽 요소(5A, 5B)가 조립된 후 형성되는 방식으로 서로 매칭하도록 설계된다. 벽 요소(5A, 5B)의 후속한 조립으로 인해, 슬리브부(5.1)가 형성된다. 2개보다 많은 벽 요소(5A, 5B)인 경우에, 이들 요소는 각각 슬리브부(5.1)의 쉘-형상 섹터를 형성하며, 슬리브부(5.1)는 3개 이상의 이들 보울-형상 섹터를 조립함으로써 형성된다. 벽 요소(5A, 5B)가 조립된 후, 적어도 부분적인 용접이 조인트에서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벽 요소(5A, 5B)는 플랜지(5.1.2)의 에어리어에서 조인트에서 용접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벽 요소(5A, 5B)가 예컨대 인터메싱 도브테일(intermeshing dovetail)에 의해 상호 잠금 방식으로 함께 또한 유지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칼라부(5.2)가 플러그-인 슬리브(5)의 제1 자유 단부(5a)의 영역에 구비된다. 칼라부(5.2)는 특히 플러그-인 슬리브(5)의 자유-단부의 반경 방향 넓힘을 실현할 수 있다. 칼라부(5.2)의 외부 직경은 특히, 원형 링의 형상을 가지며 슬리브부(5.1)의 외부 주위로 연장하는 본체(3)의 개구 에어리어가 칼라부(5.2)에 의해 완전히 덮이는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칼라부(5.2)와 슬리브부(5.1)는 후속하여 조립되는 개별적으로 조립된 부품이다. 지지 슬리브(5)의 칼라부(5.2)는 그에 따라, 스탬핑, 구부림 및 딥 드로잉에 의해 원형 링의 형상을 갖는 요소로 형성되는 편평 소재 피스로부터 별도의 칼라 요소(8)로서 제조될 수 있다. 슬리브부(5.1)와 칼라 요소(8)가 제조된 후, 칼라 요소(8)는 슬리브부(5.1) 상에, 구체적으로 플랜지(5.1.2) 반대편 상부 자유 단부 상에 놓인다. 칼라 요소(8)는 슬리브부(5.1)에 강제-잠금 또는 단단한 본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칼라 요소(8)와 슬리브부(5.1) 사이의 연결은 서로 맞물리거나 인터메시하는 소재부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칼라 요소(8)와 슬리브부(5.1) 사이의 연결은 부분 용접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슬리브부(5.1)와 칼라 요소(8)는 일반 스탬핑 및 구부림 기 상에서, 예컨대 스탬핑 및 본딩 기의 2개의 공정 라인 상에서 동시에 제조되며, 공정 라인은 이 기계의 반대 측 상에 구비된다. 슬리브부(5.1)와 칼라 요소(8)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편평 소재 피스의 운반은 이 경우에 서로 독립적으로, 즉 슬리브부(5.1)를 위한 편평 소재의 적어도 하나의 피스는 제1 캐리어 밸트에 의해 그리고 칼라 요소(8)를 위한 편평 소재의 피스는 제2 캐리어 벨트 상에서로, 2개의 캐리어 벨트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슬리브부(5.1)와 칼라 요소(8)는 단일 공정 라인 상에서 제조되며, 슬리브부와 칼라 요소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편평 소재의 피스가 단일 캐리어 벨트의 움직임에 의해 운반되도록 이 캐리어 벨트 상에 배치됨을 상정할 수 있다.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슬리브부(5.1)는 플랜지(5.1.2) 반대편의 그 자유 단부에 높이 윤곽(contouring) 또는 단차(stepping)를 갖는다. 그 내부 원주 방향 측 상에서, 칼라 요소(8)는, 칼라 요소(8)가 상호 잠금 방식으로 슬리브부(5.1) 상에 놓일 수 있도록 슬리브부(5.1)의 높이 윤곽 또는 단차에 맞는 윤곽을 갖는다. 슬리브부(5.1)의 윤곽은 특히, 장방향 축(LA)에 평행하게 상방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탭(5.1.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칼라 요소(8)는, 제1 부분에서 U자 형상 횡단면이며 제2 부분에서 L자 형상 윤곽 횡단면인 윤곽과 원형 링의 형상을 갖는다. 제1 및 제2 부분은 둘레 방향으로 분포하며 둘레 방향으로 교대되어, U자 형상 횡단면 윤곽의 제1 부분 다음에 L자 형상 횡단면 윤곽이 오며 그 후 다시 U자 형상 횡단면 윤곽이 오는 등이 된다.
벽부(8.2)는 외부 둘레 방향 측 상에서 칼라 요소(8)의 상부 측(8.1)으로부터 돌출한다. 제1 및 제2 부분의 교대되는 시퀀스로 인해, 정지부(8.3) 쌍에 의해 교대로 경계를 이루는 리세스(8.4)가 칼라 요소(8)의 반경 방향 내표면 상에 형성되며, 이 리세스에서, 슬리브부(5.1)의 탭(5.1.4)이 맞물린다. 정지부(8.3)는, 슬리브부(5.1)의 벽과 중첩하는 방식으로 형상을 갖는다. 정지부(8.3)는 슬리브부(5.1)의 벽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내부로 돌출한다. 정지부(8.3)의 자유 단부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릴리스 부재(7)에 대한 정지부를 제공한다. 외부 상에, 릴리스 부재(7)는 돌출부(7.1), 특히 후크형 돌출부를 가지며, 이러한 돌출부는 정지부(8.3)의 자유 단부 반대편 인접부가 되어, 릴리스 부재(7)는 플러그-인 슬리브(5) 외부로 밀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대안적으로, 플러그-인 슬리브(5)의 칼라부(5.2)는 슬리브부(5.1)와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슬리브부(5.1) 내로 형성된 편평 소재의 상부 부분이 칼라부(5.2)를 형성하도록 기계 가공된다. 이 경우에, 내부로 돌출하는 디텐트가 슬리브부 상에 구비될 수 있어서 릴리스 부재(7)의 움직임 경로를 제한한다.
특히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릴리스 부재(7)는 적어도 2개의 장방향 슬롯(7.2)을 가질 수 있다. 장방향 슬롯(7.2)은 예컨대, 플러그-인 인서트(1)의 슬리브부(5.1)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7a) 상에 구비된다. 장방향 슬롯(7.2)은 칼라(7b)의 방향으로 삽입부(7a)의 자유 단부로부터 연장한다. 적어도 2개의 장방향 슬롯(7.2)으로 인해, 삽입부(7a)는, 삽입부(7a)가 반경 방향으로 가역적으로 테이퍼링될 수 있어서 칼라부(5.2)를 통해, 특히 칼라 요소(8)를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그 후 돌출부(7.1)에 의한 반경 방향 팽창 후 정지부(8.3) 뒤에서 맞물릴 수 있는 방식으로 세그먼트화된다.
도 3은 플러그-인 인서트(1)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플러그-인 인서트(1)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의 유일한 차이를 이하에서 기재할 것이다. 모든 다른 점에서,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관한 앞선 설명은 또한 이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적용된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와 제1 예시적인 실시예 사이의 핵심 차이는, 칼라 요소(8)가 단단한 소재로 만든 링에 의해 형성되며, 이 링은 예컨대 스탬핑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점이다. 그에 따라, 칼라 요소(8)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횡단면 윤곽을 갖는다.
칼라 요소(8)는, 바람직하게는 예시한 예시적인 실시예로 윤곽을 갖지 않는, 즉 상방으로 돌출하는 임의의 탭을 갖지 않는 슬리브부(5.1)의 상부 에지가 칼라 요소(8)의 상부 측(8.1)과 동일 평면인 방식으로 슬리브부(5.1) 위에서 외부 상에서 밀어진다.
칼라 요소(8)는 강제-잠금 및/또는 단단히 본딩된 방식으로 슬리브부(5.1)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칼라 요소(8)는 슬리브부(5.1) 상에 눌릴 수 있으며 및/또는 슬리브부에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릴리스 부재(7)의 움직임 경로를 상방으로 제한하기 위해, 내부로 돌출하는 디텐트(5.1.5)가 슬리브부(5.1) 상에 구비되어 릴리스 부재(7)의 후크형 돌출부(7.1)와 협력한다. 이런 식으로, 릴리스 부재(7)의 슬리브부(5.1)로부터의 원치 않는 릴리스가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플러그-인 인서트(1)의 제3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플러그-인 인서트(1)의 제3 예시적인 실시예와 제1 또는 제2 예시적인 실시예의 유일한 차이를 이하에서 기재할 것이다. 모든 다른 점에서, 제1 또는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관한 앞선 설명은 또한 이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 적용된다.
제3 예시적인 실시예와 제1 및 제2 예시적인 실시예 사이의 핵심 차이는 칼라부(5.2)가 슬리브부(5.1) 상에 놓인 별도의 칼라 요소에 의해 형성되기 보다는 슬리브부(5.1) 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는 점이다. 특히, 칼라부(5.2)는, 형성 특히 구부림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슬리브부(5.1)의 외부 돌출 소재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칼라부(5.2)는 플러그-인 인서트(1)의 장방향 축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상부 측과 이 상부 측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부로 및 하부로 돌출하는 벽부를 가질 수 있다. 칼라부(5.2)의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릴리스 부재(7)의 움직임 경로는, 슬리브부(5.1) 상에 구비되는 리세스(5.1.6)에 의해 상방으로 제한된다. 릴리스 부재(7)는, 리세스(5.1.6)에서 맞물리는 후크형 돌출부(7.1)를 갖는다. 이것은 릴리스 부재(7)의 슬리브부(5.1)로부터의 원치 않는 릴리스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앞서 기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정 요소(6)는 는 상호 잠금 방식으로 슬리브부(5.1)의 비드(5.1.1)에 유지된다. 이것은 미리 형성된 소재부의 둘레 방향 구부림(도 7 참조) 또는 벽 요소(5A, 5B)의 결합 동안 도입되며, 구부림 또는 결합 후 슬리브부(5.1)에서 상호 잠금식으로 고정된다.
도 5는 플러그-인 슬리브(5)에 고정 요소(6)를 상호 잠금식으로 고정하는 대안적인 방식을 도시한다. 이를 위해, 플러그-인 슬리브(5)는, 플러그-인 슬리브(5)의 내부로 돌출하는 다수의 둘레 방향으로 분포하는 잠금 디텐트(5.1.9)를 갖는다. 잠금 디텐트(5.1.9)는 텅(tongue)형 설계이며, 바람직하게는 잠금 디텐트(5.1.9)의 자유 단부가 플러그-인 슬리브(5)의 제2 자유 단부(5b)의 방향으로 가리키는 방식으로 플러그-인 슬리브(5)의 내부로 경사지게 돌출한다.
플러그-인 슬리브(5)는 또한, 잠금 디텐트(5.1.9)의 자유 단부 아래에서 관상형 요소(2)의 삽입 방향으로, 고정 요소(6)를 위한 접촉 표면, 특히 고정 요소(6)의 에지 영역을 형성하는 쇼울더(5.1.10)를 갖는다. 쇼울더(5.1.10)는 장방향 축(LA)에 직각으로 진행할 수 있거나, 자유-형태 기하학적 모양, 예컨대 곡선을 갖는 기하학적 모양을 가질 수 있다.
플러그-인 슬리브(5)는, 고정 요소(6)가 제1 자유 단부(5a)로부터 플러그-인 슬리브(5)로, 즉 관상형 슬리브부(5.1)가 제조된 후(즉, 벽 요소(5A, 5B)가 구부려지거나 결합된 후) 삽입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고정 요소(6)가 눌려질 때, 잠금 디텐트(5.1.9)가 가역적으로 외부로 구부려진다. 잠금 디텐트(5.1.9)의 자유 단부를 통과한 후, 이들은 다시 원위치로 변형되어, 잠금 디텐트(5.1.9)는 고정 요소(6)의 에지 뒤에서 맞물린다. 잠금 디텐트(5.1.9)의 자유 단부는 쇼율더(5.1.10)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고정 요소(6)가 유격 없이 또는 실질적으로 유격 없이 잠금 디텐트(5.1.9)와 쇼율더(5.1.10) 사이에 고정된다.
도 5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체(3)에서 플러그-인 인서트(1)의 대안적인 고정 타입이 또한 도 1 내지 도 4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고정은 디텐트(5.1.8)에 의해 실현되며, 이러한 디텐트(5.1.8)는 플러그-인 슬리브(5) 위에서 둘레 방향으로 분포되는 방식으로 구비된다. 디텐트(5.1.8)는 플러그-인 슬리브(5)의 외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한다. 디텐트(5.1.8)는 텅형 설계이며, 바람직하게는 디텐트(5.1.8)의 자유 단부가 플러그-인 슬리브(5)의 제1 자유 단부(5a)의 방향으로 가리키는 방식으로 각도를 이루고 외부로 돌출한다. 앞서 기재한 예시적인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디텐트(5.1.8)는 삽입 슬리브(5)의 상부 영역에, 특히 삽입 개구(E)와 고정 요소(6) 사이의 영역에 구비된다. 디텐트(5.1.8)는, 이들이 본체(3) 내로 눌려질 때 초기에 가역적으로 내부로 눌리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도, 홈 또는 언더컷이 본체(3)에 구비되어, 디텐트(5.1.8)는 맞물릴 수 있어서 본체(3)에서 플러그-인 슬리브(5) 및 그에 따른 플러그-인 인서트(1)의 잠금을 달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텐트(5.1.8)는 본체(3)의 리세스의 홈 또는 언더컷이 없는 매끄러운 벽에 맞물리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외부로 돌출하는 디텐트(5.1.8)는, 플러그-인 슬리브(5)의 벽에서, 릴리스 부재(7)의 돌출부(7.1)가 맞물려서 고정 요소(6)로부터 먼 릴리스 부재(7)의 움직임 경로를 제한할 수 있는 리세스(5.1.6)를 노출한다.
도 6은 플러그-인 인서트(1)의 추가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앞서 기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관한 핵심 차이는, 플러그-인 인서트(1)가 누름 연결에 의해 본체(3)에 고정된다는 점이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5.1.7)가 플러그-인 슬리브(5)의 외부 둘레 방향 측 상에 구비되어, 본체(3)의 내부 둘레 방향 표면과 협력하여 강제 잠금에 의해 본체(3)에 플러그-인 슬리브(5)를 고정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플러그-인 슬리브(5)는, 고정 요소(6)가 에지에서 유지되는 비드(5.1.1)를 가질 수 있다. 플러그-인 슬리브(5)가 본체(3)에 고정되게 하는 리브(5.1.7)는 비드(5.1.1)의 영역에서 플러그-인 슬리브(5)의 외벽부에 의해, 즉 외부 둘레 방향 측 상에 비드(5.1.1)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릿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추가 윤곽이 비드(5.1.1)의 레벨에서 외부 둘레 방향 측 상에 구비될 수 있어서 리브(5.1.7)를 형성할 수 있다. 본체(3)로의 누름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또는 추가 윤곽이 또한 가능하다.
내부 둘레 방향 측 상에서, 본체(3)는 리세스 또는 언더컷을 가질 수 있으며, 이 리세스 또는 언더컷 내로, 적어도 하나의 리브(5.1.7)가 내려갈 수 있어서 또한 플러그-인 슬리브(5)와 본체(3) 사이에 상호 잠금 연결을 달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리브(5.1.7)는 본체(3)의 리세스의 홈이나 언더컷이 없는 매끄러운 벽 상에 누름 끼움을 발생시키도록 제조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금속 본체(3)에 사용하기 위해 구비되며 본체(3)의 리세스의 에지 영역(3.1)을 플랜징함으로써 본체에 고정되는 플러그-인 인서트(1)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따른 플러그-인 인서트(1)의 실시예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 사이의 차이를 후술할 것이다. 다른 모든 면에서,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의 앞서 기재한 기술적 특성은 도 8 내지 도 10에 따른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도 8 내지 도 10의 플러그-인 인서트(1)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플러그-인 인서트(1) 사이의 핵심 차이는, 칼라 요소(8)가, 축방향 작용 유지력이 플러그-인 인서트(1)에 가해지는 방식으로, 즉 플랜지 에지 영역(3.1)이 칼라 요소(8)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기 때문에 플러그-인 인서트(1)가 본체(3)로부터 분리될 수 없는 방식으로 본체(3)의 비드 에지 영역(3.1)과 협력하는 접촉 표면을 갖는다는 점이다.
도 8은, 칼라 요소(8)가 스탬핑 및 구부림 공정에 의해 환형 요소로 형성되는 편평 소재로부터 형성되는 플러그-인 인서트(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칼라 요소(8)는 링형 형상이며, 이제, 슬리브부(5.1)의 상부 에지와 중첩하는 정지부(8.3)가 관통-리드 채널(DK)에 놓이게 되어 릴리스 부재(7)에 대한 정지 표면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슬리브부(5.1)의 자유 단부 상에 놓인다.
칼라 요소(8)는, 외부 상에서 예컨대 릴리스 부재(7)의 칼라(7b)의 방향으로 테이퍼링되며 칼라 요소(8) 주위로 둘레 방향으로 진행하는 바람직하게는 둘레 방향 표면인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사면은 본체(3)의 비드 에지 영역(3.1)과 협력하여 본체(3)에 축방향으로 이것을 고정하도록 설계된다.
도 9는, 비드 에지 영역(3.1)에 의해 본체(3)에 고정되는 플러그-인 인서트(1)의 추가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링형 칼라 요소(8)는 예컨대 금속 사출 성형(MIM: Metal Injection Molding)에 의해 제조된다. 금속 사출 성형에 의한 칼라 요소(8)의 제조는, 슬리브부(1)의 자유 단부와 중첩하며 동시에 고 안정도를 보이는 매우 안정된 칼라 요소(8)가 저가로 제조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예시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칼라 요소(8)는, 외부 상에서, 본체(3)의 비드 에지 영역(3.1)에 의해 중첩되어 본체(3)에서의 플러그-인 인서트(1)의 고정을 달성하도록 설계되는 쇼울더(8.6)를 갖는다.
반경 방향으로 외부 상에서, 칼라 요소(8)는 이제 정지부(8.3)를 가지며, 이 정지부에 의해, 플러그-인 인서트(1)로부터의 릴리스 부재(7)의 원치 않는 릴리스가 방지된다.
도 10은, 플러그-인 인서트(1)가 비드 에지 영역(3.1)에 의해 본체(3)에 고정되는 플러그-인 인서트(1)의 추가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링형 칼라 요소(8)는 금속으로부터 예컨대 세공된(turned) 부품으로서 제조되며, 외부 상에서, 본체(3)의 비드 에지 영역(3.1)에 의해 중첩되어 본체(3)에서 플러그-인 인서트(1)의 고정을 달성하도록 설계된 쇼울더(8.6)를 갖는다.
칼라 요소(8)는, 슬리브부(5.1)의 자유-단부 에지에 대한 인접부를 형성하는 내부 단차를 갖는다. 제조 이유로, 칼라 요소(8) 자체를 위한 세공된 부품으로서 제조된 칼라 요소(8)의 경우에 릴리스 부재(7)에 대한 정지부를 갖지 않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유리하게도, 릴리스 부재(7)에 대한 정지부가 슬리브부(5.1)의 자유 단부의 영역에 구비된다. 이들 정지부는 예컨대 슬리브부(5.1)의 자유 단부의 에지 영역을 비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앞서 기재되었다. 수많은 변형 및 변형이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가능함을 이해해야 한다.
1: 플러그-인 인서트 2: 관상형 요소
3: 본체 4: 시일링 요소
5: 플러그-인 슬리브 5A, 5B: 벽 요소
5a: 제1 자유 단부 5b: 제2 자유 단부
5.1: 슬리브부 5.1a: 제1 영역
5.1b: 제2 영역 5.1c: 제3 영역
5.1d: 제4 영역 5.1.1: 비드
5.1.2: 플랜지 5.1.3: 클로
5.1.4: 탭 5.1.5: 디텐트
5.1.6: 리세스 5.1.7: 리브
5.1.8: 디텐트 5.1.9: 잠금 디테트
5.1.10: 쇼울더 5.2: 칼라부
6: 고정 요소 6.1: 클로
7: 릴리스 부재 7a: 삽입부
7b: 칼라 7.1: 돌출부
7.2: 장방향 슬롯 8: 칼라 요소
8.1: 상부 측 8.2: 벽부
8.3: 정지부 8.4: 리세스
D: 관통-리드 개구 DK: 관통-리드 채널
E: 삽입 개구 LA: 장방향 축

Claims (9)

  1. 본체(3)에 삽입하도록 설계되는 플러그-인 인서트로서,
    상기 플러그-인 인서트(1)는 상기 본체(3)에 관상형 요소(2)의 릴리스 가능한 커플링을 위해 설계되고, 상기 플러그-인 인서트(1)는 플러그-인 슬리브(5), 고정 요소(6) 및 릴리스 부재(7)를 갖고, 상기 고정 요소(6)는 삽입 개구(E)를 통해 삽입되는 관상형 요소(2)의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5)에의 릴리스 가능한 고정을 위해 설계되고, 상기 릴리스 부재(7)는, 상기 관상형 요소(2)의 고정이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5)에 대한 상기 릴리스 부재(7)의 축방향 움직임에 의해 릴리스되는 방식으로 상기 고정 요소(6)와 협력하고,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5)는 적어도 하나의 벽 요소(5A, 5B)로 형성되는 슬리브부(5.1)를 포함하고, 상기 벽 요소(5A, 5B)는 금속 편평 소재부를 스탬핑하여 쉘-형상 또는 둘레 방향으로 폐쇄된 부재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5)는, 상기 삽입 개구(E) 반대편의 제2 자유 단부(5b)에서, 시일링 요소(4)를 위한 접촉 표면을 형성하기 위한 플랜지(5.1.2)를 가지며, 상기 시일링 요소(4)에 의해, 상기 관상형 요소(2)와 상기 본체(3) 사이의 전환부가 시일링되며,
    -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5)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고정 부재가 상기 본체에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를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본체(3)에 상기 플러그-인 인서트(1)를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o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5) 위에서 둘레 방향으로 분포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클로(claw)(5.1.3) - 상기 클로(5.1.3)는 상기 플랜지(5.1.2)의 영역에 구비됨 - 에 의해, 또는
    o 적어도 하나의 리브(5.1.7)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5)는, 상기 고정 요소(6)가 에지에 유지되는 비드(5.1.1)를 가지며,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1)의 외벽부는, 상기 비드(5.1.1)의 영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5.1.7)를 형성하거나 상기 리브(5.1.7)를 포함하거나; 또는
    -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5)가, 상기 본체(3)의 에지 영역(3.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본체(3)에 고정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5)는, 상기 관상형 요소(2)를 위한 삽입 개구(E)가 구비되는 제1 자유 단부(5a)에서, 별도의 칼라 요소(8)에 의해 형성되는 칼라부(5.2)를 갖고, 상기 칼라 요소(8)는, 외부 둘레 측 상에서, 상기 본체(3)의 형성된 에지 영역(3.1)에 의해 수용되어 상기 본체(3)에 상기 플러그-인 인서트(1)를 고정하도록 설계되는 쇼울더(8.6) 또는 경사면(8.5)을 갖는, 플러그-인 인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5.1.2)가, 상기 플러그-인 인서트(1)의 장방향 축(LA)에 관해 반경 방향 외부로 돌출하며 둘레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플랜지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과, 상기 클로(5.1.3)가 상기 플랜지 세그먼트 사이를 형성하는 중간 공간에서 둘레 방향으로 분포되도록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클로(5.1.3)는 각 경우에 2개의 연속적인 플랜지 세그먼트 사이를 형성하는 중간 공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인서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5.1)가 편평 소재의 단일 피스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편평 소재의 단일 피스는, 스탬핑되고, 형성되며 함께 구부려져 둘레 방향으로 폐쇄된 요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인서트.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5.1)가 벽 요소로서 적어도 2개의 스탬핑되고, 성형되어 쉘-형상으로 구부려진 편평 소재의 피스를 포함하며, 이들 편평 소재의 피스는 함께 결합되어 둘레 방향으로 폐쇄된 슬리브부(5.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인서트.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칼라 요소(8)가 편평 소재로 된 링형 요소이며, 상부 측(8.1)으로부터 각을 이루며 돌출하며 외부 둘레 방향 측 상에서 폐쇄되는 벽부(8.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인서트.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칼라 요소(8)가, 상기 릴리스 부재(7)의 축방향 움직임 경로를 제한하기 위해 다수의 정지부(8.3)를 내부 둘레 방향 측 상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인서트.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6)가 디스크 형상 클로 링이며, 상기 클로 링은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5)에 고정되며, 내부 둘레 방향 측 상에서, 상기 관상형 요소(2)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가역적으로 구부릴 수 있는 클로(6.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인서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6)가, 상기 클로 링의 환형부와 상기 클로(6.1) 사이의 전환 영역에서, 만곡(curvature)을 가지며, 상기 만곡의 볼록 측이 상기 삽입 개구(E)의 방향으로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인서트.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5.1)가, 상기 고정 요소(6)가 유지되는 중심 영역과, 상기 삽입 개구(E) 반대편의 상기 플러그-인 슬리브(5)의 제2 자유 단부(5b) 사이에서 깔때기 형상으로 테이퍼링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인서트.
KR1020230069066A 2022-06-02 2023-05-30 플러그-인 인서트 KR202301677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176922.7 2022-06-02
EP22176922.7A EP4286728B1 (de) 2022-06-02 2022-06-02 Steckeinsatz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723A true KR20230167723A (ko) 2023-12-11

Family

ID=81878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9066A KR20230167723A (ko) 2022-06-02 2023-05-30 플러그-인 인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92734A1 (ko)
EP (1) EP4286728B1 (ko)
JP (1) JP2023178258A (ko)
KR (1) KR20230167723A (ko)
CN (1) CN117167569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03918B4 (de) * 1998-02-02 2009-07-09 Voss Automotive Gmbh Anschlußvorrichtung für Rohrleitungen
DE10162658B4 (de) * 2001-12-20 2004-07-15 Festo Ag & Co. Anschlussstück für Fluidleitungen und damit ausgestattetes fluidtechnisches Gerät
JP4700938B2 (ja) * 2004-07-29 2011-06-15 ニッタ株式会社 管継手
DE102005017692B3 (de) * 2005-04-07 2006-05-11 Festo Ag & Co.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e Fluidleitung
KR101682610B1 (ko) * 2012-07-13 2016-12-05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파이프 조인트
DE102018121440A1 (de) 2018-09-03 2020-03-05 AVS Ing. J.C. Römer GmbH Verbindungs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167569A (zh) 2023-12-05
EP4286728B1 (de) 2024-05-01
EP4286728A1 (de) 2023-12-06
US20230392734A1 (en) 2023-12-07
JP2023178258A (ja)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0848B2 (en) Pipe joint and pipe joint structur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90102181A1 (en) Plug-in connection on pipes and hoses with a pipe detent ring
US20140319160A1 (en) Hole plug
US5813705A (en) Snap-action pipe coupling retainer
US5029908A (en) Clip for instant connection device for a fluid conduit and devices having such a clip
JP2001074015A (ja) クリップ
JP2007505793A (ja) 貯蔵器の開口部にディスペンサ部材を固定するための固定装置および設置方法
JPH02240495A (ja) 結合エレメント
AU2005298555B2 (en) Segmented locking ring, and corresponding assembly and mounting method
US7344164B2 (en) Pipe connection structure
US6547052B1 (en) Synchronizing ring which is shaped without cutting
WO2014021274A1 (ja) ホールプラグ
KR20230167723A (ko) 플러그-인 인서트
JP3295304B2 (ja) ラジアル方向に結合可能な耐漏出性カップリング
US11592131B2 (en) Fluid connecting device, in particular for the ventilation of a transmission casing
JP2812314B2 (ja) ばね帯金クリップ
JP7541157B2 (ja) 差込式挿入体及び差込式挿入体の製造方法
US6513550B1 (en) Two-piece cap for a vent hose
US20230392733A1 (en) Plug-in inse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lug-in insert
JP2008531360A (ja) 燃料パイプ組立体の取付け装置と組立方法
WO2008038743A9 (ja) スナップファスナーの雌部
US7338086B2 (en) Connector with enhanced safety
JP2602675Y2 (ja) 離脱防止管継手
MXPA06006786A (es) Junta metalica plana multicapa.
WO1998043011A1 (en) Tube conne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