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688A -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 - Google Patents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62688A KR20230162688A KR1020237037221A KR20237037221A KR20230162688A KR 20230162688 A KR20230162688 A KR 20230162688A KR 1020237037221 A KR1020237037221 A KR 1020237037221A KR 20237037221 A KR20237037221 A KR 20237037221A KR 20230162688 A KR20230162688 A KR 202301626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e chain
- main sprocket
- chain
- sprocket
- insertion too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24—Equipment for mounting belts, rope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에스컬레이터(10)의 메인 스프로킷(22)에 감겨 있는 드라이브 체인(18)을 교체할 때에 이용되는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30)로서, 메인 스프로킷(22)과 드라이브 체인(18) 사이에 삽입되어 메인 스프로킷(22)으로부터 드라이브 체인(18)을 뜨게 하는 삽입도구(40)를 포함하고, 삽입도구(40)는, 연속하는 복수의 직선편(41)을 구비하고, 인접하는 직선편(41)끼리 소정의 각도를 형성함으로써 메인 스프로킷(22)의 둘레를 따른 원호 형상으로 구성되고, 직선편(41)은, 메인 스프로킷(22)의 복수의 치형부에 걸쳐 있는 길이를 갖고, 상부면 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드라이브 체인(18)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측 오목부(42)와, 밑면 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메인 스프로킷(22)의 치형부가 슬라이딩 가능한 하측 오목부(4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승객 컨베이어의 메인 스프로킷에 감겨 있는 드라이브 체인을 교체할 때에 이용되는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에 관한 것이다.
승객 컨베이어의 하나인 에스컬레이터에서는, 구동장치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 스프로킷과, 계단(step)이 연결되는 계단 체인을 회동하는 주축에 설치되는 메인 스프로킷에 드라이브 체인이 감겨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스컬레이터의 보수 점검 작업에서는, 전술한 드라이브 체인을 낡은 체인으로부터 새로운 체인으로 교체하는 작업이 행해진다. 드라이브 체인의 교체 작업에서는, 낡은 체인에 새로운 체인을 연결해서 구동장치를 수동운전함으로써 새로운 체인을 메인 스프로킷에 보내서, 새로운 체인을 메인 스프로킷에 감는 동시에 낡은 체인을 메인 스프로킷으로부터 회수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드라이브 체인의 교체 작업은, 좁은 작업 스페이스에 있어서 대형 체인을 교체하는 작업으로, 새로운 체인을 보내주는 작업자와, 낡은 체인을 회수하는 작업자와, 구동장치를 수동운전하는 작업자에 의해서 행해지고 있다. 즉, 드라이브 체인의 교체 작업은, 적어도 3명의 작업자가 필요하여 작업 효율이 나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 컨베이어의 드라이브 체인을 1명의 작업자에 의해 효율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는, 승객 컨베이어의 메인 스프로킷에 감겨 있는 드라이브 체인을 교체할 때에 이용되는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로서, 메인 스프로킷과 드라이브 체인 사이에 삽입되어 메인 스프로킷으로부터 드라이브 체인을 뜨게 하는 삽입도구를 포함하고, 삽입도구는, 연속하는 복수의 직선편을 구비하고, 인접하는 직선편끼리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함으로써 메인 스프로킷의 둘레를 따른 원호 형상으로 구성되고, 직선편은, 메인 스프로킷의 복수의 치형부에 걸쳐 있는 길이를 갖고, 상부면 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드라이브 체인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측 오목부와, 밑면 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메인 스프로킷의 치형부가 슬라이딩 가능한 하측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에 있어서, 메인 스프로킷의 아래쪽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메인 스프로킷으로부터 떼어낸 드라이브 체인을 회수하고, 드라이브 체인을 따라서 긴 형태를 가진 회수부와, 회수부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드라이브 체인을 회수부에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트레이(tray)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에 있어서, 삽입도구의 삽입방향의 선단측은 하측 오목부가 상측 오목부보다도 돌출해서 형성되고, 하측 오목부의 선단부는 삽입도구의 원호 형상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예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에 따르면, 승객 컨베이어의 드라이브 체인을 1명의 작업자에 의해서 효율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일례인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삽입도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일례인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를 이용해서 드라이브 체인의 교체 작업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계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계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일례인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삽입도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일례인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를 이용해서 드라이브 체인의 교체 작업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계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계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구체적인 형상, 재료, 방향, 수치 등은,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예시이며, 용도, 목적, 사양 등에 맞춰서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도 1을 이용해서, 실시형태에 따른 승객 컨베이어로서의 에스컬레이터(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에스컬레이터(1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승객 컨베이어로서의 에스컬레이터(10)는, 이용객이 건물의 각 층으로 이동하는 계단 형상의 승강 장치이다. 에스컬레이터(10)는, 인접하는 상하층 바닥 사이에 건너질러서, 에스컬레이터(10)의 자체 무게 및 적재 하중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11)과, 메인프레임(11)의 상층 측의 상부승강구(12)의 바닥 밑에 설치되는 상부기계실(13)과, 메인프레임(11) 하층 측의 하부승강구(14)의 바닥 밑에 설치되는 하부기계실(15)을 구비한다.
에스컬레이터(10)는, 상부기계실(13)에 수용된 구동장치(16)의 구동력이 드라이브 체인(18)에 의해서 주축(17) 및 메인 스프로킷(22)에 전달되어, 주축(17)에 의해서 계단 체인(19)을 회동함으로써 계단(20)을 상부승강구(12)와 하부승강구(14) 사이에서 이동(승강)시킨다.
구동장치(16)의 출력축에는 구동 스프로킷(21)이 설치된다. 주축(17)은 상부기계실(13) 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프레임(11)의 폭방향으로 축방향이 배치된다. 주축(17)에는, 주축(17)과 연동해서 회동하는 메인 스프로킷(22)이 설치된다. 드라이브 체인(18)은, 구동 스프로킷(21)과 메인 스프로킷(22)에 감겨서, 메인 스프로킷(22)을 개재해서 구동장치(16)의 구동력을 주축(17)에 전달한다.
주축(17)에는, 주축(17)과 연동해서 회동하는 상부계단 스프로킷(23)이 더 설치된다. 계단 체인(19)은, 상부계단 스프로킷(23)과 하부기계실(15)에 수용되는 하부계단 스프로킷(24)에 감겨 있고, 구동장치(16)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무단(endless) 형태의 체인이다. 계단(20)은, 계단 체인(19)에 일정 간격마다 부착된 각 계단축(도시 생략)에 설치되고, 계단 체인(19)의 이동에 의해서 상부승강구(12)와 하부승강구(14) 사이를 순환 이동한다.
에스컬레이터(10)는, 메인프레임(11)의 양측에 세워설치된 난간(25)과, 난간(25)에 지지되어, 상부승강구(12)와 하부승강구(14) 사이를 순환 이동하는 무단 형태의 이동난간(26)과, 구동장치(16)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난간(26)을 구동하는 이동난간 구동장치(27)와, 상부기계실(13) 내에 수용되어, 에스컬레이터(10)의 각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반(28)를 더 포함한다.
도 2를 이용해서, 실시형태의 일례인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드라이브 체인(18)의 교체 작업 시에 있어서의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3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에스컬레이터(1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장치(16)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 스프로킷(21)과, 주축(17)에 설치되는 메인 스프로킷(22)에 드라이브 체인(18)이 감겨 있다. 에스컬레이터(10)의 보수 점검 작업에서는,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30)를 이용해서, 드라이브 체인(18)을 교체하는 작업이 행해진다.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낡은 드라이브 체인(18)(이하, 낡은 체인(18))을 새로운 드라이브 체인(118)(이하, 새로운 체인(118))으로 교체할 때에 이용되는 지그이다.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30)에 따르면, 상세는 후술하지만, 1명의 작업자에 의해서 낡은 체인(18)을 새로운 체인(118)으로 효율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30)는, 메인 스프로킷(22)과 낡은 체인(18) 사이에 삽입되어 메인 스프로킷(22)으로부터 낡은 체인(18)을 뜨게 하는 삽입도구(40)와, 메인 스프로킷(22)의 아래쪽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트레이(50)와, 절단된 낡은 체인(18)의 일단부와 새로운 체인(118)의 타단부를 접속하는 안내끈(60)을 구비한다.
도 3 및 도 4를 이용해서 삽입도구(4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삽입도구(4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삽입도구(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낡은 체인(18)을 새로운 체인(118)으로 교체할 때에 메인 스프로킷(22)과 낡은 체인(18) 사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메인 스프로킷(22)으로부터 낡은 체인(18)을 뜨게 하는 지그이다.
또, 삽입도구(40)는, 메인 스프로킷(22)으로부터 낡은 체인(18)을 뜨게 한 후에, 메인 스프로킷(22)과 낡은 체인(18)을 각각 슬라이딩시키는 지그이다. 또한, 삽입도구(40)는, 메인 스프로킷(22)으로부터 낡은 체인(18)을 회수한 후에, 메인 스프로킷(22)에 새로운 체인(118)을 보내주기 위해서, 메인 스프로킷(22)과 새로운 체인(118)을 각각 슬라이딩시키는 지그이다.
삽입도구(40)에 따르면, 메인 스프로킷(22)으로부터 낡은 체인(18)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메인 스프로킷(22)으로부터 낡은 체인(18)을 떼어낸 후에, 낡은 체인(18)을 원활하게 회수하는 동시에 새로운 체인(118)을 원활하게 보내줄 수 있다.
삽입도구(40)는 연속하는 복수의 직선편(41)을 구비한다. 삽입도구(40)는, 인접하는 직선편(41)끼리 소정 각도를 형성함으로써 메인 스프로킷(22)의 둘레를 따른 원호 형상으로 구성된다. 삽입도구(40)의 길이는, 메인 스프로킷(22)의 전체 둘레의 1/3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직선편(41)은, 메인 스프로킷(22)의 둘레를 따랐을 때에, 메인 스프로킷(22)의 복수의 치형부(22A)(본 예에서는 3개의 치형부(22A))에 걸치는 길이를 갖고, 상부면 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낡은 체인(18)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측 오목부(42)와, 밑면 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메인 스프로킷(22)의 치형부(22A)가 슬라이딩 가능한 하측 오목부(43)를 구비한다.
상측 오목부(42)는, 삽입도구(40)를 삽입하는 방향(이하, 삽입방향)과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서, 위쪽이 움푹 들어간 오목 형태로 형성된다. 복수의 상측 오목부(42)는, 본 예에 있어서, 연속한 1개의 부재로서, 알루미늄판을 굽힘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복수의 상측 오목부(42)는, 본 예로 한정되지 않고, 분할된 부재가 힌지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하측 오목부(43)는, 삽입방향과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서, 아래쪽이 움푹 들어간 오목 형태로 형성된다. 복수의 하측 오목부(43)는, 본 예에 있어서, 각각 분할된 부재로서, 수지에 의해서 형성된다.
삽입방향의 선단측의 직선편(41)에서는, 하측 오목부(43)가 축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상측 오목부(42)보다도 돌출해서 형성되어, 하측 오목부(43)의 삽입방향의 선단부가 삽입도구(40)의 원호 형상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예각으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삽입도구(40)를 메인 스프로킷(22)과 낡은 체인(18) 사이에 삽입할 때에, 하측 오목부(43)가 상측 오목부(42)보다 먼저 삽입되어, 강한 힘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삽입도구(40)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삽입방향의 기단측의 직선편(41)에서는, 삽입도구(40)를 메인 스프로킷(22)에 고정하는 고정부(44)가 설치된다. 고정부(44)는, 본 예에 있어서 나비 볼트(wing bolt)가 축방향으로 나사결합되어, 나비 볼트의 선단부가 메인 스프로킷(22)을 압압함으로써, 삽입도구(40)가 메인 스프로킷(22)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된다.
도 5를 이용해서, 트레이(5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트레이(5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트레이(50)는, 낡은 체인(18)을 새로운 체인(118)으로 교체할 때에, 메인 스프로킷(22)의 아래쪽의 바닥면(트러스 오일팬(トラスオイルパン))에 배치되어, 메인 스프로킷(22)으로부터 떼어낸 낡은 체인(18)을 회수하는 부재이다.
트레이(50)는, 낡은 체인(18)을 따라서 긴 형태를 가진 용기 형태의 회수부(51)와, 회수부(51)의 단부에 설치되어, 메인 스프로킷(22)으로부터 떼어낸 낡은 체인(18)을 회수부(51)에 안내하는 안내부(52)를 구비한다.
회수부(51)의 삽입방향의 크기는, 메인 스프로킷(22)의 외경보다도 충분히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수부(51)의 폭방향(축방향)의 크기는, 낡은 체인(18)을 묶어서 회수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큰 것이 바람직하다. 회수부(51)의 사방은, 벽부(51A)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수부(51)에 따르면, 메인 스프로킷(22)으로부터 떼어낸 낡은 체인(18)을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체인(118)을 메인 스프로킷(22)에 부착할 때에, 새로운 체인(118)이 메인 스프로킷(22)에 보내져, 새로운 체인(118)이 삽입도구(40)를 통과한 후에, 새로운 체인(118)이 트러스 오일팬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8(A) 참조). 이것에 의해, 새로운 체인(118)에 트러스 오일팬의 오일, 먼지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내부(52)는, 회수부(51)의 삽입방향의 선단측에 있어서 선단측 그리고 윗쪽을 향해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52)에 따르면, 메인 스프로킷(22)으로부터 분리된 낡은 체인(18)이 전술한 삽입도구(40) 위를 슬라이딩해서 아래쪽으로 낙하할 때에 회수부(51)에 수납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6로부터 도 8을 이용해서,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30)를 이용해서 드라이브 체인(18)을 낡은 체인(18)으로부터 새로운 체인(118)으로 교체하는 교체 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구동 스프로킷(21)으로부터 메인 스프로킷(22)을 보았을 때의 앞쪽과 안쪽을 따라서 설명한다.
우선, 낡은 체인(18)의 조인트부(무단 체인을 분리할 수 있는 이음매)를 메인 스프로킷(22)과 구동 스프로킷(21) 사이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에, 구동장치(16) 및 구동 스프로킷(21)을 메인 스프로킷(22)을 향해서 조금 이동시켜서 낡은 체인(18)의 장력을 완화시킨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낡은 체인(18)의 조인트부를 분리하고, 낡은 체인(18)의 일단부에 안내끈(60)을 접속한다. 또, 트레이(50)를 메인 스프로킷(22)의 아래쪽의 바닥면에 배치한다. 이때, 트레이(50)의 안내부(52)가 메인 스프로킷(22)의 안쪽 단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스프로킷(21)에 감겨 있었던 낡은 체인(18)의 타단측을 손으로 떼어낸다. 그 다음에, 낡은 체인(18)의 타단측이 회수된 트레이(50)를 메인 스프로킷(22)의 더욱 안쪽을 향해서 이동시킨다. 이때, 메인 스프로킷(22)의 하부의 낡은 체인(18)의 맞물림이 해제되어서 낡은 체인(18)이 트레이(50)에 회수된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스프로킷(22)의 상부에 맞물리는 낡은 체인(18)에 대하여 앞측으로부터 메인 스프로킷(22)과 낡은 체인(18) 사이에 삽입도구(40)를 삽입한다.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스프로킷(22)과 낡은 체인(18) 사이에 삽입한 삽입도구(40)를, 삽입도구(40)의 선단부가 메인 스프로킷(22)의 안쪽에 위치할 때까지 진입시켜, 고정부(44)에 의해서 삽입도구(40)를 메인 스프로킷(22)에 고정시킨다. 이것에 의해, 메인 스프로킷(22)의 상부에 맞물리는 낡은 체인(18)이 메인 스프로킷(22)으로부터 분리된다.
다음에, 안내부(52)가 메인 스프로킷(22)의 안쪽 단부의 아래쪽에 위치해서 메인 스프로킷(22)으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진 낡은 체인(18)에 맞닿을 때까지 트레이(50)를 앞쪽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메인 스프로킷(22)과 맞물림이 없어진 낡은 체인(18)은 자체 무게에 의해 낙하하여, 삽입도구(40)의 상측 오목부(42)위를 슬라이딩해서, 안내부(52)에 안내되어서 트레이(50)에 수납된다. 이때, 낡은 체인(18)에 접속된 안내끈(60)이 낡은 체인(18)에 안내되어 삽입도구(40)의 상측 오목부(42) 위로 이동한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낡은 체인(18)을 완전히 회수하고, 삽입도구(40)의 상측 오목부(42) 위로 이동한 안내끈(60)의 타단부에 새로운 체인(118)을 접속하여, 새로운 체인(118)을 삽입도구(40)의 상측 오목부(42)를 따라서 메인 스프로킷(22)에 보내준다. 이때, 안내끈(60)은 새로운 체인(118)에 밀려 들어가 메인 스프로킷(22)의 안쪽 단부에서부터 메인 스프로킷(22)의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새로운 체인(118)의 선단부를 트레이(50)에 도달시켜, 메인 스프로킷(22)의 아래쪽에서부터 안내끈(60)을 앞쪽으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서 새로운 체인(118)을 앞쪽으로 가까이 끌어당긴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도구(40)를 앞쪽으로 뽑아내, 새로운 체인(118)을 메인 스프로킷(22)에 맞물리게 한다. 그 다음에, 안내끈(60)을 새로운 체인(118)으로부터 분리시켜, 새로운 체인(118)을 구동 스프로킷(21)에 맞물리게 하고, 메인 스프로킷(22)과 구동 스프로킷(21) 사이의 상부에 있어서 조인트부를 접속한다. 그 다음에, 트레이(50)를 철거하고, 구동장치(16) 및 구동 스프로킷(21)을 메인 스프로킷(22)으로부터 이간되도록 이동시켜서 새로운 체인(118)의 장력을 가하여 교체 작업이 완료된다.
또,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나 개량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에스컬레이터, 11: 메인프레임, 12: 상부승강구, 13: 상부기계실, 14: 하부승강구, 15: 하부기계실, 16: 구동장치, 17: 주축, 18: 드라이브 체인(낡은 체인), 19: 계단 체인, 20: 계단, 21: 구동 스프로킷, 22: 메인 스프로킷, 22A: 치형부, 23: 상부계단 스프로킷, 24: 하부계단 스프로킷, 25: 난간, 26: 이동난간, 27: 이동난간 구동장치, 28: 제어반, 30: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 40: 삽입도구, 41: 직선편, 42: 상측 오목부, 43: 하측 오목부, 44: 고정부, 50: 트레이, 51: 회수부, 52: 안내부, 60: 안내끈, 118: 드라이브 체인(새로운 체인)
Claims (3)
- 승객 컨베이어의 메인 스프로킷에 감겨 있는 드라이브 체인을 교체할 때에 이용되는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로서,
상기 메인 스프로킷과 상기 드라이브 체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 스프로킷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브 체인을 뜨게 하는 삽입도구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도구는, 연속하는 복수의 직선편을 구비하고, 인접하는 상기 직선편끼리 소정의 각도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메인 스프로킷의 둘레를 따른 원호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직선편은, 상기 메인 스프로킷의 복수의 치형부에 걸쳐 있는 길이를 갖고, 상부면 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드라이브 체인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측 오목부와, 밑면 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메인 스프로킷의 치형부가 슬라이딩 가능한 하측 오목부를 구비하는,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프로킷의 아래쪽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스프로킷으로부터 떼어낸 상기 드라이브 체인을 회수하고, 상기 드라이브 체인을 따라서 긴 형태를 갖는 회수부와, 상기 회수부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드라이브 체인을 상기 회수부에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도구의 삽입방향의 선단측은, 상기 하측 오목부가 상기 상측 오목부보다도 돌출해서 형성되고,
상기 하측 오목부의 선단부는, 상기 삽입도구의 상기 원호 형상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예각으로 형성되는,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21/014167 WO2022208844A1 (ja) | 2021-04-01 | 2021-04-01 | ドライブチェーン取替治具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62688A true KR20230162688A (ko) | 2023-11-28 |
Family
ID=8345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37221A KR20230162688A (ko) | 2021-04-01 | 2021-04-01 |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7475538B2 (ko) |
KR (1) | KR20230162688A (ko) |
CN (1) | CN117412917A (ko) |
WO (1) | WO2022208844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43677A (ja) | 2006-12-12 | 2008-06-26 |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 エスカレータ用ドライブチェーン調整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25913A (en) | 1982-04-15 | 1985-07-02 | Krukowski Blair S | Chain replacement apparatus |
JPH06330634A (ja) * | 1993-05-21 | 1994-11-29 | Shimizu Corp | 鉄骨柱建方用可動吊りブロック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鉄骨柱建込み方法 |
JP2000053362A (ja) * | 1998-08-17 | 2000-02-22 |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 乗客コンベアのチェーン脱着治具 |
JP3962534B2 (ja) * | 2000-07-25 | 2007-08-22 |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 チェーン取替え用治具 |
JP4815959B2 (ja) * | 2005-09-08 | 2011-11-16 |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 マンコンベアのチェーン取替え用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チェーン取替え方法 |
JP2008002541A (ja) * | 2006-06-21 | 2008-01-10 |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 チェーン取替装置 |
JP6330634B2 (ja) | 2014-11-26 | 2018-05-30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蓄電モジュール |
-
2021
- 2021-04-01 JP JP2023510113A patent/JP7475538B2/ja active Active
- 2021-04-01 CN CN202180096583.0A patent/CN117412917A/zh active Pending
- 2021-04-01 WO PCT/JP2021/014167 patent/WO202220884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04-01 KR KR1020237037221A patent/KR20230162688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43677A (ja) | 2006-12-12 | 2008-06-26 |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 エスカレータ用ドライブチェーン調整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7475538B2 (ja) | 2024-04-26 |
JPWO2022208844A1 (ko) | 2022-10-06 |
WO2022208844A1 (ja) | 2022-10-06 |
CN117412917A (zh) | 2024-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559668B1 (en) | Telescopic belt conveyor | |
US8112861B2 (en) | Method for replacing the hoisting roping of an elevator and a traction appliance arrangement used in the replacement | |
US6457573B1 (en) | Belt drive back up device for escalator drive | |
EP2341028A1 (en) | Drive system for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 |
US9388018B2 (en) | Supply of rope to an elevator speed limiter | |
CN105641880A (zh) | 一种用于仿生爬梯机器人的爬杆机构 | |
AU2004201417A1 (en) | Handrail-drive for an escalator or a moving walk | |
KR20230162688A (ko) |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 | |
JP6433624B1 (ja) | 乗客コンベアのステップ持上げ支援装置 | |
JP2567957B2 (ja) | 乗客コンベアの改造方法 | |
KR101273023B1 (ko) | 원통형 정수 필터 절단기 | |
JP2011190067A (ja) | 固定忘れによる脱落防止用踏段 | |
JP7167836B2 (ja) | 乗客コンベアの作業用ステップおよびその作業用ステップを用いた作業方法 | |
CN108602645B (zh) | 电梯绳索的更换支援用制动装置 | |
JP3807775B2 (ja) | 工事用エレベーターの上昇移動方法 | |
JP2011057369A (ja) | 多目的自動昇降ステップシステム | |
JP6617899B1 (ja) | 乗客コンベア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 |
JP6798420B2 (ja) | 足場装置及び足場装置の設置方法 | |
JP6656056B2 (ja) | エスカレータの手すり軸切断支持構造及び手すり軸切断方法 | |
JP6848017B2 (ja) | 乗客コンベアのステップ持上支援装置、及び、乗客コンベアのステップ持上支援方法 | |
JP5783820B2 (ja) | マンコンベアおよびその踏み段ガイド装置並びにその運転方法 | |
EP3569556B1 (en) | People conveyor drive and people conveyor | |
JP4233432B2 (ja) | エレベータのピット内作業台装置 | |
KR20070011898A (ko) | 원격조정이 가능한 이동형 와이어 쏘오 자주차 | |
CN111302265A (zh) | 一种建筑施工用运输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310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10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