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627A - 안경 렌즈 및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렌즈 및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627A
KR20230162627A KR1020237033593A KR20237033593A KR20230162627A KR 20230162627 A KR20230162627 A KR 20230162627A KR 1020237033593 A KR1020237033593 A KR 1020237033593A KR 20237033593 A KR20237033593 A KR 20237033593A KR 20230162627 A KR20230162627 A KR 20230162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tal
lens
mas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3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코 이시자키
시게토시 고노
Original Assignee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62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62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2Ophthalmic lenses having special refractive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yeglass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렌즈 기재와 무기층을 갖고, 상기 렌즈 기재와 상기 무기층의 사이에 금속 함유층을 추가로 갖고, 상기 금속 함유층에 함유되는 금속은 은 및 백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금속인 안경 렌즈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안경 렌즈 및 안경
본 발명은, 안경 렌즈 및 안경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에는, 분자 중에 적어도 2 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과 주로 은 이온으로 이온 치환한 제올라이트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항균성 표면 코트제로 합성 수지 표면을 피복하고,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항균성 합성 수지 성형체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327622호
특허문헌 1 에는, 건축 재료, 옥내의 각종 구조재, 간판,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등에 사용되는 합성 수지 성형체에 상기 표면 코트제에 의해 항균성을 부여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최근, 항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하, 안경 렌즈에 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기능 (즉 항균성) 을 부여할 수 있으면, 안경 렌즈의 부가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안경 렌즈는, 안경에 장착되어 장기간에 걸쳐서 안경 장용자에게 사용되는 가운데, 광 및 수분에 노출된다. 그 때문에, 안경 렌즈가 항균성의 내광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것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항균성의 내광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안경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렌즈 기재와 무기층을 갖고,
상기 렌즈 기재와 상기 무기층의 사이에 금속 함유층을 추가로 갖고,
상기 금속 함유층에 함유되는 금속은, 은 및 백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금속인 안경 렌즈, 에 관한 것이다.
은 및 백금은, 항균성을 발휘할 수 있는 성분이다. 상기 안경 렌즈는, 이러한 성분을 무기층 아래에 위치하는 층에 함유한다. 이로써 상기 안경 렌즈는, 항균성에 대해 우수한 내광성 및 내수성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항균성의 내광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안경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은 함유 성분을 함유하고, 백금 함유 성분의 함유율이 상이한 안경 렌즈에 대해, ΔYI 를 백금 함유 성분의 함유율에 대해 플롯한 그래프이다.
[안경 렌즈]
이하, 상기 안경 렌즈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금속 함유층>
상기 안경 렌즈의 금속 함유층은, 금속으로서 은 및 백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금속을 함유하며, 일 형태에서는 은 및 백금 중에서 은만 또는 백금만을 함유할 수 있고, 다른 일 형태에서는 은 및 백금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함유층에 있어서의 상기 금속의 존재 형태로는, 금속의 단체 (單體) 또는 합금의 형태, 무기 화합물 또는 유기 화합물의 형태, 금속 이온의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화합물은, 예를 들어 무기 산화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함유층에 있어서의 상기 금속의 존재 형태로는, 금속 착물의 형태를 들 수도 있다. 상기 금속 함유층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복수의 존재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은은, 그 적어도 일부가 산화에 의해 이온화되어 항균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금속 함유층은, 은 함유 성분 및 백금 함유 성분의 일방 또는 양방을 포함한다. 은 함유 성분 및 백금 함유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금속 함유층에 있어서의 상기 금속의 존재 형태에 관해서 기재한 바와 같다. 상기 안경 렌즈에 있어서 렌즈 기재와 무기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금속 함유층은, 일 형태에서는 은 함유 성분 및 백금 함유 성분 중에서 일방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항균성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항균성에 대해 우수한 내광성 및 내수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금속 함유층은, 은 함유 성분 및 백금 함유 성분의 양방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안경 렌즈가 장기 사용에 의해 변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점에 관해서, 본 발명자는, 금속 함유층에 은이 함유되는 경우, 경시적으로 은의 산화가 진행되는 것이 금속 함유층을 황변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는 바, 백금이 은의 산화의 진행을 제어하는 작용을 발휘하기 때문에 황변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으로 추찰하고 있다. 상기 금속 함유층이 은 함유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 함유되는 은 함유 성분은 1 종만 또는 2 종 이상일 수 있다. 이 점은, 상기 금속 함유층이 백금 함유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도 동일하다.
상기 금속 함유층은, 렌즈 기재와 무기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층으로, 습식 성막법 및 건식 성막법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성막법에 의해 렌즈 기재 상에 직접 또는 렌즈 기재 상에 형성된 1 층 이상의 다른 층을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형성된 층일 수 있다. 성막 재료의 합계 (단 성막시에 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제를 제외한다) 를 100 질량% 로 하여, 은 함유 성분 및 백금 함유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 함유 성분의 함유율 (은 함유 성분 및 백금 함유 성분이 함유되는 경우에는 그들의 합계 함유율) 은, 예를 들어 0.010 질량% 이상, 0.030 질량% 이상 혹은 0.050 질량% 이상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1.500 질량% 이하, 1.300 질량% 이하 혹은 1.000 질량% 이하로 할 수 있다. 은 함유 성분은, 일 형태에서는 은 함유 성분 단독으로 성막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일 형태에서는, 은 함유 성분과 다른 성분의 1 종 이상의 혼합물을 성막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점은, 백금 함유 성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은 함유 성분과 백금 함유 성분을 병용하는 경우, 백금 함유 성분을, 예를 들어, 질량 기준으로 은 함유 성분의 0.01 ∼ 10 배량 사용할 수 있다. 은 함유 성분 및 백금 함유 성분은, 예를 들어 입자의 형태로 성막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입경은, 예를 들면 1 nm 이상 20 n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입경」은 평균 입경이고, 예를 들어 5 개 ∼ 10 개 정도 입자의 입경의 산술 평균일 수 있다. 금속 함유 성분이 무기 산화물의 입자의 형태로 성막 재료로서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입자는 1 종만의 무기 산화물로 구성되는 입자일 수 있고, 2 종 이상의 무기 산화물을 함유하는 입자일 수도 있다. 2 종 이상의 무기 산화물을 함유하는 입자에 있어서, 적어도 1 종의 무기 산화물이 은 산화물 및/또는 백금 산화물일 수 있다.
상세한 것을 후술하는 무기층은, 2 층 이상의 무기층의 다층막일 수 있다. 이러한 다층막은, 특정한 파장의 광 혹은 특정한 파장역의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성질을 갖는 반사 방지막, 또는 특정한 파장의 광 혹은 특정한 파장역의 광을 반사하는 성질을 갖는 반사막일 수 있다. 안경 렌즈에 있어서, 그러한 다층막과 렌즈 기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층의 구체예로는, 이하의 층을 들 수 있다. 그들 층의 1 층 이상이, 상기 금속 함유층일 수 있다.
(경화층)
상기 안경 렌즈는, 렌즈 기재와 무기층의 사이에, 일반적으로 하드 코트층으로 불리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화층을 가질 수 있다. 일 형태에서는, 이러한 경화층이 상기 금속 함유층일 수 있다.
상기 경화층은, 예를 들면, 규소 산화물 입자 (이하 「성분 (A)」라고도 한다) 와, 실란 화합물 (이하 「성분 (B)」라고도 한다) 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조성물은, 추가로,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이하 「성분 (C)」라고도 한다) 을 함유할 수 있다.
성분 (A) 의 규소 산화물 입자의 입경은, 내찰상성과 광학 특성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5 ∼ 30 nm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B) 는 실란 화합물이고, 바람직하게는 가수분해성기를 갖는 실란 화합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규소 원자에 결합하는 유기기와, 가수분해성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이다.
가수분해성기로는,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또는 하이드록시기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알콕시기이다.
실란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 (I) 로 나타내는 유기 규소 화합물 또는 그 가수분해물이다.
Figure pct00001
일반식 (I) 중, a 는 0 또는 1 이고, b 는 0 또는 1 이며, 바람직하게는, a 는 1 이고, b 는 0 또는 1 이다.
R1 은, 글리시독시기 등의 에폭시기, 비닐기, 메타크릴옥시기, 아크릴옥시기, 메르캅토기, 아미노기, 페닐기 등의 관능기를 갖는 유기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에폭시기를 갖는 유기기를 나타낸다. 상기 관능기는, 규소 원자에 직접 결합되어 있어도 되고, 알킬렌기 등의 연결기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R2 는, 예를 들어, 수소 원자, 알킬기, 아실기, 또는 아릴기이고, 바람직하게는 알킬기이다.
R2 로 나타내는 알킬기는, 예를 들어 직사슬 또는 분기의 탄소수 1 ∼ 4 의 알킬기이고, 구체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다.
R2 로 나타내는 아실기는, 예를 들어, 탄소수 1 ∼ 4 의 아실기이고, 구체예로는,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올레일기, 벤조일기 등을 들 수 있다.
R2 로 나타내는 아릴기는, 예를 들어 탄소수 6 ∼ 10 의 아릴기이고, 구체예로는, 페닐기, 자일릴기, 톨릴기 등을 들 수 있다.
R3 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다.
R3 으로 나타내는 알킬기는, 예를 들어 직사슬 또는 분기의 탄소수 1 ∼ 6 의 알킬기이고, 구체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R3 로 나타내는 아릴기는, 예를 들어 탄소수 6 ∼ 10 의 아릴기이고, 구체예로는, 페닐기, 자일릴기, 톨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B) 의 구체예로는, 이하의 실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글리시독시메틸트리메톡시실란, 글리시독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에틸트리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에틸트리에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프로폭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부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페녹시실란, α-글리시독시부틸트리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부틸트리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부틸트리메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부틸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부틸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부틸트리에톡시실란, δ-글리시독시부틸트리메톡시실란, δ-글리시독시부틸트리에톡시실란,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트리메톡시실란,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트리에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프로폭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부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페녹시실란, γ-(3,4-에폭시시클로헥실)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3,4-에폭시시클로헥실)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δ-(3,4-에폭시시클로헥실)부틸트리메톡시실란, δ-(3,4-에폭시시클로헥실)부틸트리에톡시실란, 글리시독시메틸메틸디메톡시실란, 글리시독시메틸메틸디에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메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에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프로폭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부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페녹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에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에틸디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비닐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비닐디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페닐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페닐디에톡시실란, 메틸실리케이트, 에틸실리케이트, n-프로필실리케이트, i-프로필실리케이트, n-부틸실리케이트, sec-부틸실리케이트, t-부틸실리케이트, 테트라아세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프로폭시실란, 메틸트리아세톡시실란, 메틸트리부톡시실란, 메틸트리프로폭시실란, 메틸트리아밀옥시실란, 메틸트리페녹시실란, 메틸트리벤질옥시실란, 메틸트리페네틸옥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에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아세톡시실란, γ-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클로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클로로프로필트리아세톡시실란,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β-시아노에틸트리에톡시실란, 클로로메틸트리메톡시실란, 클로로메틸트리에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페닐메틸디메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페닐메틸디에톡시실란, γ-클로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클로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디메틸디아세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메틸비닐디메톡시실란, 메틸비닐디에톡시실란 등.
실란 화합물로는, 시판되고 있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시판품의 구체예로는,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KBM-303, KBM-402, KBM-403, KBE402, KBE403, KBM-1403, KBM-502, KBM-503, KBE-502, KBE-503, KBM-5103, KBM-602, KBM-603, KBM-903, KBE-903, KBE-9103, KBM-573, KBM-575, KBM-9659, KBE-585, KBM-802, KBM-803, KBE-846, KBE-900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C) 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이다.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이란, 1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은, 1 분자 중에 2 개 또는 3 개의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C) 의 구체예로는, 이하의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노나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노나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하이드록시피발산에스테르의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세롤디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세롤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세롤테트라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디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트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글리시딜에테르,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톨테트라글리시딜에테르,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의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 이소포론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2,2-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프로판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 레조르신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F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S 디글리시딜에테르, 오르트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페놀노볼락폴리글리시딜에테르, 크레졸노볼락폴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 등. 성분 (C) 로는, 인접하는 층 또는 렌즈 기재와의 밀착성의 관점에서는, 2 개 또는 3 개의 에폭시기가 포함되는 화합물 (2 관능 또는 3 관능 에폭시 화합물) 이 바람직하다.
시판되고 있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로는, 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데나콜 시리즈의 EX-201, EX-211, EX-212, EX-252, EX-313, EX-314, EX-321, EX-411, EX-421, EX-512, EX-521, EX-611, EX-612, EX-614, EX-614B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조성물은, 이상 설명한 성분 (A) ∼ (C) 외에, 상기 성분에 필요에 따라서, 유기 용제, 계면 활성제 (레벨링제), 경화 촉매 등의 임의 성분을 혼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성분 (A) 의 함유율은, 경화성 조성물의 고형분의 전체량 (즉 용제를 제외한 전체 성분의 합계) 을 100 질량% 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하이다.
성분 (B) 의 함유량은, 경화성 조성물의 고형분의 전체량을 100 질량% 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하이다.
성분 (C) 의 함유량은, 경화성 조성물의 고형분의 전체량을 100 질량% 로 하여, 예를 들면 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이다.
필러/매트릭스비 (이하 간단히 「F/M 비」라고도 한다) 는,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이상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또한, F/M 비란, 성분 (B) 와 성분 (C) 의 합계 질량에 대한, 성분 (A) 의 질량비 [성분 (A)/(성분 (B)+성분 (C))] 를 의미한다.
상기 경화성 조성물로서, 은 함유 성분 및 백금 함유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 함유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경화성 조성물이 경화된 경화층으로서, 상기 금속 함유층을 렌즈 기재와 무기층의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의 도포 방법으로는, 스핀 코트법, 딥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등의 공지된 도포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 점은, 후술하는 각종 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조성물의 도포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경화 처리는, 광 조사 및/또는 가열 처리일 수 있다. 경화 처리 조건은, 경화성 조성물에 함유되는 각종 성분의 종류나 경화성 조성물의 조성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화층의 막두께는, 예를 들면 1 ㎛ 이상 100 ㎛ 이하이다. 상기 경화층의 막두께는, 표면의 내스크래치성을 높인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상이고, 내스크래치성을 현저히 높이고, 리플의 진폭을 저감하여, 간섭 무늬의 억제 효과를 현저히 얻는다는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이다.
(하지층)
상기 안경 렌즈는, 렌즈 기재와 무기층의 사이에 1 층 이상의 하지층을 가질 수 있다. 또, 일 형태에서는, 렌즈 기재와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화층의 사이에, 1 층 이상의 하지층을 가질 수 있고, 1 층 이상의 하지층과 경화층 중, 1 층 이상의 하지층이 상기 금속 함유층일 수 있다. 렌즈 기재와 무기층의 사이 또는 렌즈 기재와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화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지층의 층수는, 예를 들면 1 층 또는 2 층일 수 있다. 하지층으로는, 간섭 무늬 억제층으로서 기능하는 층 (예를 들어 λ/4 층이라고 불리는 간섭 무늬 억제층) 및 밀착성 향상을 위한 프라이머층을 들 수 있다. 상기 안경 렌즈는, 간섭 무늬 억제층 및 프라이머층의 일방 또는 양방을, 렌즈 기재와 무기층의 사이 또는 렌즈 기재와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층의 사이에 가질 수 있다.
간섭 무늬 억제층
간섭 무늬 억제층은, 이 층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간섭 무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층이다. 파장 λ 가 450 ∼ 650 nm 인 광에 있어서의 광학 막두께가 0.2λ ∼ 0.3λ 인 층은, 간섭 무늬 억제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간섭 무늬 억제층의 막두께는, 물리 막두께로는, 예를 들면 50 nm ∼ 100 nm 의 범위일 수 있다.
간섭 무늬 억제층은, 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 입자 및 수지를 적어도 함유하는 분산액을 렌즈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 입자는, 간섭 무늬 억제층의 굴절률을 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 입자로는, 예를 들면, 산화텅스텐 (예를 들면 WO3), 산화아연 (예를 들면 ZnO), 산화알루미늄 (예를 들면 Al2O3), 산화티타늄 (예를 들면 TiO2), 산화지르코늄 (예를 들어 ZrO2), 산화주석 (예를 들어 SnO2), 산화베릴륨 (예를 들어 BeO), 산화안티몬 (예를 들어 Sb2O5) 등의 입자를 들 수 있고, 단독 또는 2 종 이상의 금속 산화물 입자를 병용할 수 있다. 또한, 2 종 이상의 금속 산화물의 복합 산화물 입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금속 산화물 입자의 입경은, 광학 특성의 관점에서, 5 ∼ 30 nm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간섭 무늬 억제층의 수지로는,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수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수계 수지 조성물, 즉, 수계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이다. 수계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면 폴리올 화합물과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필요에 따라 사슬 연장제와 함께, 반응에 불활성이고 물과의 친화성이 큰 용제 중에서 우레탄화 반응시켜 프리폴리머로 하고, 이 프리폴리머를 중화 후, 사슬 연장제를 함유하는 수계 용제에 분산시켜 고분자량화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그러한 수계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 조제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3588375호 명세서의 단락 0009 ∼ 0013,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34897호의 단락 0012 ∼ 002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92653호의 단락 0010 ∼ 0033,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92655호의 단락 0010 ∼ 0033 등을 참조할 수 있다. 또, 수계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로는, 시판되고 있는 수성 우레탄을 그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 수계 용제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시판되고 있는 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로는, 예를 들어 닛카 화학사 제조 에바파놀 시리즈, 다이이치 공업 제약사 제조 슈퍼플렉스 시리즈, ADEKA 사 제조 아데카 본타이터 시리즈, 미츠이 화학사 제조 올레스터 시리즈, DIC 사 제조 본디크 시리즈, 하이드란 시리즈, 바이엘사 제조 인플라닐 시리즈, 니혼 소플란사 제조 소플라네이트 시리즈, 카오사 제조 포이즈 시리즈, 산요 화성 공업사 제조 산프렌 시리즈, 호도가야 화학 공업사 제조 아이제락스 시리즈, 제네카사 제조 네오레츠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간섭 무늬 억제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분산액은 수계 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수계 용제는, 물을 함유하는 용제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물, 물과 극성 용제 등의 혼합 용제이며,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수계 수지 조성물 중의 고형분 농도는, 액안정성 및 제막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60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40 질량% 이다. 수계 수지 조성물은, 수지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서, 산화 방지제, 분산제,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 시판되고 있는 수계 수지 조성물을, 물,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PGM) 등의 용제로 희석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수계 수지 조성물로서, 은 함유 성분 및 백금 함유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 함유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수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하지층 (간섭 무늬 억제층) 으로서, 상기 금속 함유층을, 렌즈 기재와 무기층의 사이, 렌즈 기재와 경화성 조성물이 경화된 경화층의 사이 또는 렌즈 기재와 프라이머층의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수계 수지 조성물을 피도포면 (예를 들어 렌즈 기재 표면) 에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고, 건조 처리 등에 의해 적어도 일부의 수계 용제를 건조 제거하여 상기 도포층을 고화시킴으로써, 하지층 (간섭 무늬 억제층) 을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
프라이머층은, 예를 들어, 수지 및 수계 용제를 함유하는 수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수계 수지층일 수 있다. 수계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계 용제는, 예를 들어, 물, 물과 극성 용제 등의 혼합 용제이며,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수계 수지 조성물 중의 고형분 농도는, 액안정성 및 제막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60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40 질량% 이다. 수계 수지 조성물은, 수지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서, 산화 방지제, 분산제,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 시판되고 있는 수계 수지 조성물을, 물,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PGM) 등의 용제로 희석하여 사용해도 된다.
수계 수지 조성물은, 수계 용제에 용해된 상태 또는 입자 (바람직하게는 콜로이드 입자) 로서 분산된 상태로 수지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계 용제 중 (바람직하게는 수중) 에 수지 성분이 미립자상으로 분산된 분산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수지 성분의 입경은, 조성물의 분산 안정성의 관점에서 0.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계 수지 조성물의 pH 는, 25 ℃ 에 있어서, 5.5 ∼ 9.0 정도인 것이 안정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액온 25 ℃ 에서의 점도는 도포 적성의 점에서 5 ∼ 500 mPa·s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50 mPa·s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에 대해서는, 간섭 무늬 억제층의 수지에 관한 앞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수계 수지 조성물로서, 은 함유 성분 및 백금 함유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 함유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수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하지층 (프라이머층) 으로서, 상기 금속 함유층을, 렌즈 기재와 무기층의 사이, 렌즈 기재와 경화성 조성물이 경화된 경화층의 사이, 간섭 무늬 억제층과 무기층의 사이 또는 간섭 무늬 억제층과 경화성 조성물이 경화된 경화층의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수계 수지 조성물을 피도포면 (예를 들어 간섭 무늬 억제층 표면 또는 렌즈 기재 표면) 에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고, 건조 처리 등에 의해 적어도 일부의 수계 용제를 건조 제거하여 상기 도포층을 고화시킴으로써, 하지층 (프라이머층) 을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의 막두께는, 예를 들어 0.01 ∼ 2.0 ㎛ 의 범위일 수 있다.
<렌즈 기재>
안경 렌즈의 렌즈 기재는, 플라스틱 렌즈 기재 또는 유리 렌즈 기재일 수 있다. 유리 렌즈 기재는, 예를 들어 무기 유리제의 렌즈 기재일 수 있다. 렌즈 기재로는, 경량이며 깨지기 어려워 취급이 용이하다는 관점에서, 플라스틱 렌즈 기재가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렌즈 기재로는, (메트)아크릴 수지를 비롯한 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알릴 수지,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 수지 (CR-39) 등의 알릴카보네이트 수지, 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하이드록시 화합물의 반응으로 얻어진 우레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을 반응시킨 티오우레탄 수지, 분자 내에 1 개 이상의 디술파이드 결합을 갖는 (티오)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화물 (일반적으로 투명 수지라고 불린다) 을 들 수 있다. 렌즈 기재로는, 염색되어 있지 않은 것 (무색 렌즈) 을 사용해도 되고, 염색되어 있는 것 (염색 렌즈) 을 사용해도 된다. 렌즈 기재의 굴절률은, 예를 들어, 1.60 ∼ 1.75 정도일 수 있다. 단 렌즈 기재의 굴절률은,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범위 내여도 되고, 상기 범위로부터 상하로 떨어져 있어도 된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 있어서, 굴절률이란, 파장 500 nm 의 광에 대한 굴절률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 렌즈 기재는, 굴절력을 갖는 렌즈 (이른바 도수가 있는 렌즈) 여도 되고, 굴절력이 없는 렌즈 (이른바 도수가 없는 렌즈) 여도 된다.
안경 렌즈는, 단초점 렌즈, 다초점 렌즈, 누진 굴절력 렌즈 등의 각종 렌즈일 수 있다. 렌즈의 종류는, 렌즈 기재의 양면의 면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또, 렌즈 기재 표면은, 볼록면, 오목면, 평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통상적인 렌즈 기재 및 안경 렌즈에서는, 물체측 표면은 볼록면, 안구측 표면은 오목면이다. 단,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기층>
상기 안경 렌즈는, 렌즈 기재 상에 무기층을 갖는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 있어서, 「무기층」이란 무기 물질을 함유하는 층으로, 바람직하게는 무기 물질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층이다. 여기에서 주성분이란, 층에 있어서 가장 많이 차지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은 층의 질량에 대하여 50 질량% 정도 ∼ 100 질량%, 나아가서는 90 질량% 정도 ∼ 100 질량% 를 차지하는 성분이다. 후술하는 주성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무기층은, 적어도 금속 함유층을 개재하여 렌즈 기재 표면 상에 적층된 층일 수 있다.
상기 무기층은, 일 형태에서는, 2 층 이상의 무기층의 다층막일 수 있다. 이러한 다층막으로는,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을 각각 1 층 이상 포함하는 다층막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다층막은, 특정한 파장의 광 혹은 특정한 파장역의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성질을 갖는 반사 방지막, 또는 특정한 파장의 광 혹은 특정한 파장역의 광을 반사하는 성질을 갖는 반사막일 수 있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고굴절률」 및 「저굴절률」에 관한 「고」, 「저」는, 상대적인 표기이다. 즉, 고굴절률층이란, 동일한 다층막에 포함되는 저굴절률층보다 굴절률이 높은 층을 말한다. 바꾸어 말하면, 저굴절률층이란, 동일한 다층막에 포함되는 고굴절률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층을 말한다. 고굴절률층을 구성하는 고굴절률 재료의 굴절률은, 예를 들어 1.60 이상 (예를 들어 1.60 ∼ 2.40 의 범위) 이고, 저굴절률층을 구성하는 저굴절률 재료의 굴절률은, 예를 들어 1.59 이하 (예를 들어 1.37 ∼ 1.59 의 범위) 일 수 있다. 단 상기와 같이, 고굴절률 및 저굴절률에 관한 「고」, 「저」의 표기는 상대적인 것이기 때문에, 고굴절률 재료 및 저굴절률 재료의 굴절률은, 상기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고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고굴절률 재료로는, 산화지르코늄 (예를 들어 ZrO2), 산화탄탈 (예를 들어 Ta2O5), 산화티탄 (예를 들어 TiO2), 산화알루미늄 (예를 들어 Al2O3), 산화이트륨 (예를 들어 Y2O3), 산화하프늄 (예를 들어 HfO2), 및 산화니오브 (예를 들어 Nb2O5)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산화물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한편, 저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저굴절률 재료로는, 산화규소 (예를 들어 SiO2), 불화마그네슘 (예를 들어 MgF2) 및 불화바륨 (예를 들어 BaF2)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산화물 또는 불화물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예시에서는, 편의상, 산화물 및 불화물을 화학양론 조성으로 표시했지만, 화학양론 조성으로부터 산소 또는 불소가 결손 혹은 과다한 상태에 있는 것도, 고굴절률 재료 또는 저굴절률 재료로서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고굴절률층은 고굴절률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막이고, 저굴절률층은 저굴절률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막이다. 상기 고굴절률 재료 또는 저굴절률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성막 재료 (예를 들면 증착 재료) 를 사용하여 성막을 실시함으로써, 그러한 막 (예를 들면 증착막) 을 형성할 수 있다. 막 및 성막 재료에는, 불가피적으로 혼입되는 불순물이 함유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주성분이 완수하는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 예를 들면 다른 무기 물질이나 성막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공지된 첨가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성막은, 공지된 성막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고, 성막의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증착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진공 증착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막은, 예를 들어,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이 교대로 합계 3 ∼ 10 층 적층된 다층막일 수 있다. 고굴절률층의 막두께 및 저굴절률층의 막두께는, 층 구성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다층막에 포함되는 층의 조합 및 각 층의 막두께는,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성막 재료의 굴절률과, 다층막을 형성함으로써 안경 렌즈에 가져오고자 하는 원하는 반사 특성 및 투과 특성에 기초하여, 공지된 수법에 의한 광학 설계 시뮬레이션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또, 다층막에는, 도전성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 (도전성 산화물층),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증착 재료를 사용하는 증착에 의해 형성된 도전성 산화물의 증착막의 1 층 이상이 임의의 위치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다층막에 포함되는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의 각 층의 막두께는, 예를 들어 3 ∼ 500 nm 일 수 있고, 다층막의 총 두께는, 예를 들어 100 ∼ 900 nm 일 수 있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막두께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물리 막두께이다.
상기 안경 렌즈는, 안경 렌즈에 통상 포함될 수 있는 1 층 이상의 층을 임의의 위치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경 렌즈는, 상기 금속 함유층이 항균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항균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 상기 무기층은, 예를 들어 반사 방지막으로서 기능함으로써, 특정한 파장의 광 또는 특정한 파장역의 광에 대한 반사 방지 성능을 안경 렌즈에 가져올 수 있다.
[안경]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이 안경에 포함되는 안경 렌즈의 상세에 대해서는, 앞서 기재한 바와 같다. 상기 안경에 대하여, 프레임 등의 구성에 대해서는, 공지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실시예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 함유 성분]
표 1 의 「금속 함유 성분」의 란에 기재된 「은 입자」는, 입경 2 ∼ 5 nm 의 은 입자 (소위 은 나노 입자) 이다.
표 1 의 「금속 함유 성분」의 란에 기재된 「백금 입자」는, 입경 2 ∼ 5 nm 의 백금 입자 (소위 백금 나노 입자) 이다.
표 1 의 「금속 함유 성분」의 란에 기재된 「은 함유 산화물 입자」는, 닛키 촉매 화성사 제조 ATOMY BALL-(UA) (은 산화물과 규소 산화물과 알루미늄 산화물을 함유하는 입자의 수분산액, 입경 : 15 nm) 이다. 표 1 에 기재된 함유율은, 은 산화물의 함유율이다.
[참조 렌즈 1 의 제작]
<플라스틱 렌즈 기재>
플라스틱 렌즈 기재로서, HOYA 사 제조 안경용 플라스틱 렌즈 (상품명 EYNOA, 굴절률 1.67) 를 사용하였다.
<간섭 무늬 억제층 (λ/4 층)>
메탄올 305.0 g 에 4-하이드록시-4-메틸-2-펜타논 (DAA) 을 126 g, 물을 350.5 g 첨가하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 (다이이치 공업 제약사 제조 슈퍼플렉스 170) 를 217.5 g, 닛산 화학 공업사 제조 HZ-407MH 를 메탄올에 40 질량% 분산시킨 졸 형상의 재료 (ZrO2 졸) 90.0 g, 레벨링제 (도레이·다우코닝사 제조 Y-7006) 1.0 g 을 첨가하여, 액온 20 ℃ 에서 1 시간 교반하고, 필터에 의해 처리하여, λ/4 층용 액을 얻었다.
얻어진 λ/4 층용 액을 스핀 코트법으로 세정한 플라스틱 렌즈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고, 내부 분위기 온도 100 ℃ 의 건조 장치 내에서 20 분간 건조 고화하여, 렌즈 기재의 양면측에 각각 λ/4 층을 형성하였다.
<프라이머층>
메탄올 305.0 g 에 4-하이드록시-4-메틸-2-펜타논 (DAA) 을 126 g, 물을 350.5 g 첨가하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 (다이이치 공업 제약사 제조 슈퍼플렉스 170) 를 217.5 g, 레벨링제 (도레이·다우코닝사 제조 Y-7006) 1.0 g 을 첨가하고, 액온 20 ℃ 에서 24 시간 교반하여 프라이머액을 얻었다.
얻어진 프라이머액을 딥법으로 λ/4 층의 표면에 도포하고, 내부 분위기 온도 100 ℃ 의 건조 장치 내에서 20 분간 건조 고화하여, 렌즈 기재의 양면측에 각각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하드 코트층>
실리카 입자 52 질량부, 실란 커플링제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KBM-403,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4 질량부 및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데나콜 EX-321, 트리메틸올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24 질량부를 혼합하여 하드 코트액을 조제하였다.
조제한 하드 코트액을, 렌즈 기재의 양면측에 형성된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스프레이 코트법에 의해 도포하고, 내부 분위기 온도 75 ℃ 의 가열로에서 20 분간 가열하여 예비 경화를 실시하고, 이어서 가열로의 내부 분위기 온도를 110 ℃ 로 승온하고 동 온도에서 2 시간 가열하여 본 경화를 실시하여, 렌즈 기재의 양면측에 각각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였다.
<무기층 (다층 반사 방지막)>
다음으로, 상기 하드 코트층을 형성한 렌즈 기재를 진공 증착 장치에 넣고, 하드 코트층의 표면 상에, 진공 증착법에 의해, SiO2 층 및 ZrO2 층을 교대로 8 층 적층한 다층 반사 방지막을 형성하였다 (총 두께 : 약 400 ∼ 600 nm). 상기 SiO2 층은 산화규소를 증착 재료로 하여 성막된 증착막이고, 상기 ZrO2 층은 산화지르코늄을 증착 재료로 하여 형성된 증착막이다. 각 증착 재료는, 불가피적으로 혼입되는 불순물을 제외하면, 기재되어 있는 산화물만으로 이루어지는 증착 재료이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렌즈 기재의 양면에 각각 λ/4 층 (막두께 0.18 ㎛), 프라이머층 (막두께 0.70 ㎛), 하드 코트층 (막두께 2.30 ㎛) 및 다층 반사 방지막을 이 순서로 갖는 안경 렌즈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 ∼ 4, 7 ∼ 9]
표 1 의 「금속 함유층」의 란에 「λ/4 층」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실시예 1, 2 에서는, λ/4 층액에 λ/4 층액의 전체 성분의 합계 100 질량% (용제를 제외한다) 에 대해 표 1 에 나타내는 함유율로 표 1 에 나타내는 금속 함유 성분을 함유시킨 점 이외에, 참조 렌즈 1 에 대해 기재한 방법으로 안경 렌즈를 제작하였다.
표 1 의 「금속 함유층」의 란에 「프라이머층」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실시예 3, 4 에서는, 프라이머액에 프라이머액의 전체 성분의 합계 100 질량% (용제를 제외한다) 에 대해 표 1 에 나타내는 함유율로 표 1 에 나타내는 금속 함유 성분을 함유시킨 점 이외에, 참조 렌즈 1 에 대해 기재한 방법으로 안경 렌즈를 제작하였다.
표 1 의 「금속 함유층」의 란에 「하드 코트층」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실시예 7, 8 에서는, 하드 코트액에 하드 코트액의 전체 성분의 합계 100 질량% 에 대해 표 1 에 나타내는 함유율로 표 1 에 나타내는 금속 함유 성분을 함유시킨 점 이외에, 참조 렌즈 1 에 대해 기재한 방법으로 안경 렌즈를 제작하였다.
[참조 렌즈 2]
하드 코트액을, 실리카 입자 44 질량부, 실란 커플링제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KBM-403,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9 질량부 및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데나콜 EX-321, 트리메틸올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17 질량부를 혼합하여 조제한 점 이외에, 참조 렌즈 1 에 대해 기재한 방법으로 안경 렌즈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6]
하드 코트액에 하드 코트액의 전체 성분의 합계 100 질량% 에 대해 표 1 에 나타내는 함유율로 표 1 에 나타내는 금속 함유 성분을 함유시킨 점 이외에, 참조 렌즈 2 에 대해 기재한 방법으로 안경 렌즈를 제작하였다.
[항균성 시험]
JIS Z 2801:2012 에 따라서 항균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 4, 7 ∼ 9 에 대해서는 참조 렌즈 1 을 참조용 샘플로 하고, 실시예 6, 7 에 대해서는 참조 렌즈 2 를 참조용 샘플로 하였다.
표 1 의 「초기」의 란에 나타나 있는 항균성의 평가 결과는, 내광성 시험도 내수성 시험도 실시하지 않은 안경 렌즈로부터 잘라낸 시험편에 대하여, 이하의 방법에 의해 항균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표 1 에 나타내는 항균성의 내광성에 대해서는, 각 안경 렌즈로부터 잘라낸 시험편에 대하여, SIAA (항균 제품 기술 협의회) 의 지속성 시험법 (2018 년도판) 의 내광성 시험의 장에 기재된 구분 1 의 내광성 시험을 실시한 후, 이하의 방법에 의해 항균성을 평가하였다.
항균성의 내수성에 대해서는, 각 안경 렌즈로부터 잘라낸 시험편에 대하여, SIAA (항균 제품 기술 협의회) 의 지속성 시험법 (2018 년도판) 의 내수성 시험의 장에 기재된 구분 1 의 내수성 시험을 실시한 후, 이하의 방법에 의해 항균성을 평가하였다.
50 mm×50 mm 의 시험편 (실시예의 각 안경 렌즈와 그 참조용 샘플로부터 각각 잘라낸 시험편) 을 멸균이 완료된 샬레에 넣은 후, 1.0×105 개 ∼ 4.0×105 개의 시험균 (황색포도구균 또는 대장균) 을 함유하는 균액 0.4 mL 를 시험편의 중앙부에 적하하고, 40 mm×40 mm 로 절단한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피복한다. 이 샬레를 상대 습도 90 % 이상으로 24 시간 배양한 후의 1 cm2 당 생균수를 측정하여, 이하의 항균 활성치를 산출한다.
항균 활성치 = Ut-At ≥ 2.0
Ut : 무가공 시험편 (참조용 샘플) 의 24 시간 배양 후의 1 cm2 당 생균수의 대수값의 평균치
At : 항균 가공 시험편 (실시예 샘플) 의 24 시간 배양 후의 1 cm2 당 생균수의 대수값의 평균치
SIAA (항균 제품 기술 협의회) 는, 항균 활성치가 2 이상인 경우, 그 제품에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래서, 각 안경 렌즈에 대해, 상기에서 구해진 항균 활성치의 값으로부터, 이하의 판정 기준에 의해 항균성에 대해 판정하였다.
OK : 항균 활성치가 2.0 이상
NG : 항균 활성치가 2.0 미만
Figure pct00002
표 1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실시예 1 ∼ 9 의 각 안경 렌즈가 항균성의 내광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은 함유 성분과 백금 함유 성분의 병용에 관한 평가]
<황변 억제에 관한 평가>
백금 함유 성분의 함유율을 0.008 질량%, 0.010 질량%, 0.020 질량%, 0.050 질량%, 0.100 질량% 로 변경한 점 이외에, 실시예 5 에 대해 기재한 방법에 의해 백금 함유 성분의 함유율이 상이한 안경 렌즈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각 안경 렌즈에 대해, YI 값 (초기 YI 값) 을 측정하였다.
그 후, 안경 렌즈를 Q-Lab 사 제조 QUV 자외선 형광관식 촉진 내후성 시험기에 있어서, 0.20 W 자외선 조사를 4 시간 실시한 후에 고습도 환경 (상대 습도 90 %) 하에 4 시간 두는 것을 1 사이클로 하여 21 사이클 반복한 후, YI 값 (QUV 후 YI 값) 을 측정하였다.
YI 값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안경 렌즈의 물체측으로부터, 물체측 표면 (볼록면측) 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의 직입사 투과 분광 특성을 측정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직입사 투과 분광 특성의 측정 결과를 사용하여, JIS K 7373:2006 에 따라 YI 값을 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직입사 투과 분광 특성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투과 스펙트럼으로부터, JIS Z 8701:1999 의 식 (3) 에 따라서 X, Y, Z 를 산출하고, JIS K 7373:2006 의 6.1 절의 계산식에 의해, D65 광원에 대한 YI 값을 산출한다.
은 함유 성분을 함유하고, 백금 함유 성분의 함유율이 상이한 상기 안경 렌즈의 각각에 대해, ΔYI = QUV 후 YI 값-초기 YI 값을 산출하였다. YI 값은 황변의 지표로, ΔYI 의 값이 작을수록, QUV 촉진 내후성 시험 후의 황변이 적다고 할 수 있다.
도 1 은, ΔYI 를 백금 함유 성분의 함유율에 대해 플롯한 그래프이다. 도 1 로부터, 백금 함유 성분을 많이 함유하는 안경 렌즈일수록 ΔYI 의 값이 작아져 있는 것, 즉 은 함유 성분을 함유하는 안경 렌즈에 있어서 황변이 억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막 성능에 관한 평가>
백금 함유 성분의 함유율을 0.008 질량%, 0.010 질량%, 0.020 질량%, 0.050 질량%, 0.100 질량% 로 변경한 점 이외에, 실시예 7 에 대해 기재한 방법에 의해 백금 함유 성분의 함유율이 상이한 안경 렌즈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각 안경 렌즈에 대하여, 표 2 에 나타내는 각종 항목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표 2 에 나타내는 평가 결과로부터, 백금 함유 성분의 첨가 및 첨가량의 증량에 의해 막 성능은 저하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초기의 밀착성)
JIS K5600-5-6 (ISO 2409:1992) 에 기초하여 밀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각 안경 렌즈의 표면에 10 개×10 개의 칸의 칼집을 낸 후에 셀로판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박리 시험을 3 회 실시하고, 100 개 중의 남은 칸을 세었다.
(초기의 내마모성)
하중 1 kg 중(重)을 가한 스틸울 #0000 (닛폰 스틸울사 제조) 을 안경 렌즈의 표면 상에서 20 왕복시킨 후, 안경 렌즈 표면의 상처가 잘 생기지 않는 정도를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판정 기준은 하기와 같이 하였다. 또한, 표 2 중의 「UA-A」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한 복수의 안경 렌즈에 대해 상기 방법으로 내마모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극히 소수의 안경 렌즈에 있어서 판정 결과 A 이고, 나머지 안경 렌즈의 판정 결과는 UA 였던 것을 나타낸다.
UA : 거의 상처가 나지 않는다
A : 1 ∼ 10 개의 상처가 생긴다
B : 11 개 ∼ 30 개의 상처가 생긴다
C : 표면이 흐리다
(항온 항습성 시험 후의 밀착성 및 내마모성)
온도 40 ℃ 또한 상대 습도 90 % 의 환경하에서 168 시간 보관한 후의 안경 렌즈의 밀착성 및 마모성을 상기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온수 침지 후의 밀착성 및 내마모성)
수온 50 ℃ 의 온수 중에 48 시간 침지한 항온 항습성 시험 후의 안경 렌즈의 밀착성 및 마모성을 상기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QUV 촉진 내후성 시험 후의 밀착성 및 내마모성)
안경 렌즈를 Q-Lab 사 제조 QUV 자외선 형광관식 촉진 내후성 시험기에 있어서, 0.20 W 자외선 조사를 4 시간 실시한 후에 고습도 환경 (상대 습도 90 %) 하에 4 시간 두는 것을 1 사이클로 하여 21 사이클 반복한 후, 밀착성을 상기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Figure pct00003
마지막으로, 전술한 각 양태를 총괄한다.
일 양태에 의하면, 렌즈 기재와 무기층을 갖고, 상기 렌즈 기재와 상기 무기층의 사이에 금속 함유층을 추가로 갖고, 상기 금속 함유층에 함유되는 금속은, 은 및 백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금속인 안경 렌즈가 제공된다.
상기 안경 렌즈는, 항균성의 내광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안경 렌즈일 수 있다.
일 형태에서는, 상기 금속 함유층은, 적어도 은 함유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형태에서는, 상기 금속 함유층은, 백금 함유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은 함유 성분을 포함하는 금속 함유층이 백금 함유 성분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안경 렌즈가 장기 사용에 의해 변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일 형태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는, 상기 렌즈 기재,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화층 및 상기 무기층을 이 순서로 가질 수 있고, 이 경화층이 상기 금속 함유층일 수 있다.
일 형태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는, 상기 렌즈 기재, 하지층,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화층 및 상기 무기층을 이 순서로 가질 수 있고, 이 하지층이 상기 금속 함유층일 수 있다.
일 형태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는 상기 하지층을 2 층 이상 가질 수 있고, 적어도 1 층의 하지층이 상기 금속 함유층일 수 있다.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종 양태 및 각종 형태는, 임의의 조합으로 2 개 이상을 조합할 수 있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닌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고,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안경 렌즈 및 안경의 제조 분야에 있어서 유용하다.

Claims (7)

  1. 렌즈 기재와 무기층을 갖고,
    상기 렌즈 기재와 상기 무기층의 사이에 금속 함유층을 추가로 갖고,
    상기 금속 함유층에 함유되는 금속은, 은 및 백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금속인, 안경 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함유층은, 적어도 은 함유 성분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함유층은, 백금 함유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안경 렌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기재,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화층 및 상기 무기층을 이 순서로 갖고,
    상기 금속 함유층은 상기 경화층인, 안경 렌즈.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기재, 하지층,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화층 및 상기 무기층을 이 순서로 갖고,
    상기 금속 함유층은 상기 하지층인, 안경 렌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층을 2 층 이상 갖고, 적어도 1 층의 하지층이 상기 금속 함유층인, 안경 렌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
KR1020237033593A 2021-03-31 2021-12-28 안경 렌즈 및 안경 KR202301626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62100A JP2022157714A (ja) 2021-03-31 2021-03-31 眼鏡レンズ及び眼鏡
JPJP-P-2021-062100 2021-03-31
PCT/JP2021/048729 WO2022209092A1 (ja) 2021-03-31 2021-12-28 眼鏡レンズ及び眼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627A true KR20230162627A (ko) 2023-11-28

Family

ID=83455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593A KR20230162627A (ko) 2021-03-31 2021-12-28 안경 렌즈 및 안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76163A1 (ko)
EP (1) EP4318089A1 (ko)
JP (1) JP2022157714A (ko)
KR (1) KR20230162627A (ko)
CN (1) CN117120914A (ko)
WO (1) WO202220909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7622A (ja) 1996-06-12 1997-12-22 Sumitomo Chem Co Ltd 抗菌性の表面コート剤および合成樹脂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8030B2 (ja) 1994-07-25 2004-03-22 旭電化工業株式会社 水系樹脂組成物
JPH116985A (ja) * 1997-06-18 1999-01-12 Konica Corp 電磁波遮蔽効果を有する眼鏡レンズ
JPH1192655A (ja) 1997-09-22 1999-04-06 Asahi Denka Kogyo Kk 水系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
JPH1192653A (ja) 1997-09-22 1999-04-06 Asahi Denka Kogyo Kk 水系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
JP4989846B2 (ja) * 2004-08-27 2012-08-01 Hoya株式会社 光学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802568B2 (ja) * 2004-11-30 2011-10-26 凸版印刷株式会社 反射防止積層体、光学機能性フィルタ、光学表示装置および光学物品
EP1963891B1 (en) * 2005-12-23 2016-04-27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Optical article having an antistatic, antireflection coa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6481619B2 (ja) * 2013-12-27 2019-03-13 Jnc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積層体
WO2018168244A1 (ja) * 2017-03-17 2018-09-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透明光学膜の製造方法および透明多層膜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7622A (ja) 1996-06-12 1997-12-22 Sumitomo Chem Co Ltd 抗菌性の表面コート剤および合成樹脂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18089A1 (en) 2024-02-07
WO2022209092A1 (ja) 2022-10-06
US20240176163A1 (en) 2024-05-30
CN117120914A (zh) 2023-11-24
JP2022157714A (ja)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9134B2 (en) Optical element having antireflection film
US10234601B2 (en) Spectacle lens
US20050221079A1 (en) Hybrid film, antireflection film comprising it, optical product, and method for restoring the defogging property of hybrid film
US10663625B2 (en) Spectacle lens
JP5285300B2 (ja) 光学部材
US20170139084A1 (en) Spectacle lens
EP3136138A1 (en) Spectacle lens
JP2002129102A (ja)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プラスチック成形物
US20240176163A1 (en) Eyeglass lens and eyeglasses
US20240184018A1 (en)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KR20230162626A (ko) 안경 렌즈 및 안경
WO2023080233A1 (ja)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JP2004224965A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
US20170176646A1 (en) Spectacle l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