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280A -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280A
KR20230161280A KR1020220061132A KR20220061132A KR20230161280A KR 20230161280 A KR20230161280 A KR 20230161280A KR 1020220061132 A KR1020220061132 A KR 1020220061132A KR 20220061132 A KR20220061132 A KR 20220061132A KR 20230161280 A KR20230161280 A KR 20230161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user
terminal
information
user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혁
김서연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220061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1280A/ko
Publication of KR20230161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2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63F13/355Performing operations on behalf of clients with restricted processing capabilities, e.g. servers transform changing game scene into an encoded video stream for transmitting to a mobile phone or a thin cli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1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using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game devices and game servers, e.g. by encrypting game data or authenticating 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2Strategy games; Role-playing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및 게임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임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임 실행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게임 단말이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게임 단말이 상기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AUTOMATIC GAME EXECU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THROUGH USER AUTHENTICATION}
아래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게임은 컴퓨터 게임이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구현된 컴퓨터 게임으로서, 온라인 게임 플레이어는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에 떨어져 있는 타인과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롤플레잉 게임(role-playing game)은 게임 이용자가 게임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한 인물의 역할을 맡아 직접 수행하는 형식으로 된 컴퓨터 게임으로서, 롤플레잉 게임 플레이어는 게임 관리자가 정해 놓은 규칙에 따라 모험과 상상의 세계를 여행하며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므로 마치 게임 속의 주인공이 된 듯한 흥미를 느낄 수 있다.
특히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 다발적으로 참여하여 가상공간에 구현된 게임 맵에서 여러 가지 임무(퀘스트)를 수행하도록 하는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유형의 게임이 인기를 끌고 있다.
클라우드 게임이란 클라우드 서비스의 일종으로 게임을 서버에 저장한 채 게임 이용을 요구하는 사용자 단말에 즉각적으로 스트리밍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스트리밍 방식에 따라 '비디오 스트리밍' 기반의 클라우드 게임과 '파일 스트리밍(픽셀 스트리밍)'기반의 클라우드 게임으로 나뉠 수 있다.
사용자는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고, 스트리밍 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모바일 폰, 콘솔, PC, 태블릿, TV 등의 다양한 기기를 통해 클라우드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신한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자동 접속 및 게임 자동 실행 기능이 별도의 사용자 조작 없이 실행될 수 있는 자동 게임 실행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 생성한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자동 접속 및 게임 자동 실행 기능이 별도의 사용자 조작 없이 실행될 수 있는 자동 게임 실행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 중인 게임이 별도의 사용자 조작없이 게임 단말에서 자동 접속 및 자동 실행될 수 있는 자동 게임 실행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회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게임 단말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 게임 실행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및 게임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임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임 실행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게임 단말이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게임 단말이 상기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 클라이언트를 통해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 실행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게임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인증 클라이언트를 통해 복수의 게임에 대한 선택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게임에 기초하여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 클라이언트를 통해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 실행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게임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인증 클라이언트를 통해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 실행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게임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인증 클라이언트를 통해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 실행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게임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는 동작은, 상기 게임 단말이 인증 클라이언트 실행 정보 및 설치 게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인증 클라이언트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인증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설치 게임 정보와 매칭되는 게임 리스트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게임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에 기초하여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게임 실행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게임을 실행 중인 경우, 상기 게임 단말이 실행 중인 게임에 대한 게임 실행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게임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경우, 상기 게임 단말이 상기 게임 실행 정보와 대응하는 게임 서버에 상기 게임 실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게임 서버에 접속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은, 상기 게임 단말이 별도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 단말이 별도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게임 단말이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별도의 사용자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별도의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별도의 사용자 인증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및 게임 단말을 포함하는 자동 게임 실행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제1 무선통신칩을 포함하고, 상기 게임 단말은 제2 무선통신칩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전송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게임 실행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실행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신한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자동 접속 및 게임 자동 실행 기능이 별도의 사용자 조작 없이 실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서 생성한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자동 접속 및 게임 자동 실행 기능이 별도의 사용자 조작 없이 실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 중인 게임이 별도의 사용자 조작없이 게임 단말에서 자동 접속 및 자동 실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회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게임 단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게임 단말 및 게임 서버가 통신적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의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여 게임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동작 23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게임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동작 24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여 게임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동작 23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게임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동작 24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의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의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게임 단말, 클라우드 게임 서버 및 게임 서버가 통신적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의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의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동작 130의 일실시예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게임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실시예들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게임 단말 및 게임 서버가 통신적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게임 단말, 클라우드 게임 서버 및 게임 서버가 통신적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23) 및 게임 단말(121)은 게임 서버(111)로부터 제공받은 게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게임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123) 및 게임 단말(121)은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에서 실행되는 게임의 클라우드 게임 플레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는 사용자 단말(123) 및 게임 단말(121)을 통해 클라우드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는 클라우드 게임의 배포, 운영,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 게임 단말(121) 및 사용자 단말(123)은 통신적으로 연결되며,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는 통신적으로 연결된 게임 단말(121) 또는 사용자 단말(123)로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는 회원 가입 절차를 진행하여 그에 따라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의 각종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클라우드 게임과 관련된 각종 아이템에 대한 구매 및 결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는 사용자 간에 게임 대전을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사용자 단말(미도시) 각각과 관련된 게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중계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는 게임 서버(111)가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게임 서버(111)는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 게임 단말(121) 또는 사용자 단말(123)이 요청하는 게임을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 게임 단말(121) 또는 사용자 단말(123)로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게임 서버(111)는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 게임 단말(121) 또는 사용자 단말(123)이 요청하는 게임과 관련된 데이터(예컨대,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및 게임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의 게임 정보 등)를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 게임 단말(121) 또는 사용자 단말(123)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게임 서버(111)는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기초로 게임 서버(111)에서 동작하는 게임의 데이터(예컨대, 아이템 소지 캐릭터 변경 등)를 변경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게임 서버(111)는 게임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게임 서버(111)는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 게임 단말(121) 또는 사용자 단말(123)로 제공하는 동일한 게임에 대한 복수개의 서버(예컨대, 구서버, 신서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와 게임 서버(111)는 동일한 플랫폼 내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와 게임 서버(111)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와 게임 서버(111)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상호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와 게임 서버(111)는 하나의 사용자 식별 정보(예컨대, 플랫폼 접속용 아이디)를 이용하여 게임 단말(121) 또는 사용자 단말(123)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 및 게임 서버(111)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왑 서버(WAP Server)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 및 게임 서버(111)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인증 클라이언트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인증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 및 게임 서버(111)는, 전술한 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 및 게임 서버(111)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 또는 외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 이하 "DB"라 칭함)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 및 게임 서버(111)는, 회원 가입 정보와, 게임에 대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분류하여 DB에 저장시키고 관리하는데, 이러한 DB는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 및 게임 서버(111)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게임 단말(121) 또는 사용자 단말(123)을 통하여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 및 게임 서버(111)에 접속할 수 있다. 게임 단말(121) 또는 사용자 단말123)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AP를 포함한 통신 중개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게임 단말(121) 또는 사용자 단말(123)은 AP 및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이며, AP 및 통신망을 경유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을 의미한다. 즉, 게임 단말(121) 또는 사용자 단말(123)은 AP 및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 PDA 등 여하한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한편, 게임 단말(121) 또는 사용자 단말(123)은 사용자의 조작을 통한 입출력을 수행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을 통해 측위 애플리케이션(또는 클라이언트, 미도시)을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측위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측위 애플리케이션은 게임 단말(121) 또는 사용자 단말(123)이 스마트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된 후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을 말하며, 게임 단말(121) 또는 사용자 단말(123)이 피쳐폰(Feature Phone)인 경우 통신사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한 VM(Virtual Machine) 및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일실시예에 따라, 게임 단말(121) 또는 사용자 단말(123)은 비디오 게임용 단말, 오락실용 단말, 휴대용 단말, PC용 단말, 유선 또는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게임 단말(121) 또는 사용자 단말(123)에 구비된 소정의 키입력수단은 키보드, 마우스, 게임조작 유니트, 아날로그 유니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게임 단말(121) 또는 사용자 단말(123)은 사용자 입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게임 단말(121) 또는 사용자 단말(123)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는 지문 인식부, 패턴 인식부, 문자 인식부, 문자 입력부(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등), 게임조작 유니트, 터치 패드 및 아날로그 유니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사용자 입력부가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실시예에 따라, 게임 단말(121) 또는 사용자 단말(123)은 사용자 장비, 모바일, 무선 통신이 가능한 PC, 핸드폰, 키오스크, 셀룰러 폰, 셀룰러, 셀룰러 단말,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단말, 원격국, PDA,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무선 접속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장치, 무선 모뎀과 같은, 무선 접속 매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게임 단말(121) 또는 사용자 단말(123)은 인증 클라이언트 또는 피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 게임 단말(121), 사용자 단말(123) 및 게임 서버(111)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 또는 서버와 인증 클라이언트들을 연결하는 망(Network)을 의미한다. 네트워크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5G,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네트워크는 LAN, WAN 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나,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일실시예에 따라, 게임은 PC(Personal Computer)용 게임, 비디오용 게임, 무선 단말용 게임, 네트워크 게임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게임은 1인용 게임, 및/또는 적어도 2인 이상용 다중 사용자 게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임은 MMORPG, MMOSN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Social Network Game), MMOSL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Simulation Game)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게임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23)은 제1 무선통신칩을 포함하고, 게임 단말(121)은 제2 무선통신칩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무선통신칩은 서로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무선통신칩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로 근접되는 경우, 서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제1 및 제2 무선통신칩이 구성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및 제2 무선통신칩은 어느 하나가 정보 전송부로, 다른 하나가 정보 수신부로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무선통신칩은 내장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으며, 내장 메모리에는 자동 게임 실행을 위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무선통신칩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i-fi 및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제1 및 제2 무선통신칩이 사용할 수 있는 것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실시예에 따라, 게임 단말(121)은 사용자 입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게임 단말(121)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는 지문 인식부, 패턴 인식부, 문자 인식부, 문자 입력부(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등), 게임조작 유니트, 터치 패드 및 아날로그 유니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사용자 입력부가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의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라, 게임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2).
이때, 게임 단말은 제2 무선통신칩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게임 실행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게임 실행 정보는, 현재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게임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나, 게임 실행 정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게임 실행 정보는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게임에 대한 정보(예컨대, 게임의 명칭 등), 접속하고자 하는 계정에 대한 정보(예컨대, 게임 접속용 아이디 및 비밀 번호 등), 플레이하고자 하는 캐릭터에 관한 정보(예컨대, 자동 실행된 게임에서 플레이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캐릭터의 캐릭터 명 등), 사용자가 게임에서 플레이하고자 하는 플레이에 관한 정보(예컨대, 자동 사냥 등)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게임 실행 정보가 포함할 수 있는 정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행하고자 하는 게임이 사용자 혼자 플레이 하는 종류의 게임인 경우, 게임 실행 정보는 게임의 진행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과 게임 단말이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로 근접된 경우, 사용자 단말이 제1 무선통신칩을 통해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를 게임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이 제2 무선통신칩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예컨대, 게임 장치 접속용 아이디 및 패스워드, 생체 정보(예컨대, 지문, 홍채 등), 인증 키 등)를 포함할 수 있으나, 사용자 인증 정보가 포함할 수 있는 정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임 단말이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3).
이때, 사용자 인증 정보가 암호화(예컨대, 공개 키로 암호화 등)되어 전송된 경우, 게임 단말은 사용자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여 사용자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은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은 외부 장치(예컨대, 인증 서버 등)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게임 단말이 수신한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실행한다(4).
또한, 게임 단말은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게임을 실행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 게임 단말은 게임 서버로 클라이언트의 설치를 위한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은 수신한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게임 서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은 수신한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한 게임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은 접속한 게임 서버에 게임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은 접속한 게임 서버가 전송한 게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게임 데이터는 사용자의 캐릭터의 상태(예컨대, 캐릭터 레벨, 캐릭터 보유 아이템 등)에 관한 정보, 캐릭터가 위치한 지역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게임 데이터가 포함할 수 있는 정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게임 단말은 수신한 게임 실행 정보 및 수신한 게임 데이터를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은 수신한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우드 게임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은 게임 실행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가 게임에서 플레이하고자 하는 플레이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게임 플레이를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은 수신한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우드 게임을 진행시킬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여 게임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의 동작 23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3)이 인증 클라이언트를 통해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한다(23).
이때, 인증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나,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에 새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이 인증 클라이언트를 통해 복수의 게임에 대한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231).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이용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게임에 대한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게임 선택을 위하여 인증 클라이언트가 사용자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용하는 게임에 대응되는 계정에 대한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나의 게임에 대해 여러 개의 계정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게임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게임에 대응하는 계정에 대한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용하는 계정에 대응되는 캐릭터에 대한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나의 계정에 대해 여러 개의 캐릭터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계정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계정에 대응하는 캐릭터에 대한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게임, 계정 또는 캐릭터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은 사용자 단말(123)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획득될 수 있으나, 계정 또는 캐릭터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획득하는 수단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3)이 스마트폰인 경우, 사용자의 선택은 터치 디스플레이부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게임에 기초하여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한다(232).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3)이 게임 단말과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로 인접된다(25).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는 제1 및 제2 무선통신칩이 서로 정보교환 가능하도록 설정된 거리일 수 있으나,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는 제1 및 제2 무선통신칩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3)이 제1 무선통신칩을 통해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제2 무선통신칩으로 전송한다(26).
이때,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는 제1 무선통신칩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나,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 곳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임 단말(121)이 게임 단말이 제2 무선통신칩을 통하여 제1 무선통신칩이 전송한 사용자 단말의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28).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게임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5의 동작 24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23)과 동작(25) 사이에, 사용자 단말(123)이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24)이 추가적으로 수행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3)이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 정보를 획득한다(241).
이때, 사용자 입력 정보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될 수 있는 패턴 정보, 생체 인증 정보(예컨대, 지문, 홍채 등) 및 패스워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사용자 입력 정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23)이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의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242).
이때,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입력 정보를 미리 저장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와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불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 단말(123)이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한다(243).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3)이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23)이 게임 단말과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로 인접되고(25), 사용자 단말(123)이 제1 무선통신칩을 통해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제2 무선통신칩으로 전송하면(26), 게임 단말(121)이 게임 단말이 제2 무선통신칩을 통하여 제1 무선통신칩이 전송한 사용자 단말의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28).
동작 23, 동작 25, 동작 26 및 동작 28은 위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도 3 및 도 4에 대한 설명에 갈음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여 게임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8은 도 7의 동작 23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3)이 게임 단말(121)과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로 인접된다(20).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는 제1 및 제2 무선통신칩이 서로 정보교환 가능하도록 설정된 거리일 수 있으나,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는 제1 및 제2 무선통신칩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게임 단말(121)이 제2 무선통신칩을 통해 인증 클라이언트 실행 정보 및 설치 게임 정보를 사용자 단말(123)로 전송한다(21).
이때, 설치 게임 정보는 게임 단말(121)에 설치되어 있는 게임에 대한 정보 또는 설치되어 있지는 않지만 게임 단말(121)에서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게임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나, 설치 게임 정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23)이 인증 클라이언트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클라이언트를 실행한다(22).
이때, 인증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나,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에 새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23)에서 인증 클라이언트를 실행시키기 전에 사용자 단말(123)이 게임 단말(121)에 기준 거리 이내로 인접된 경우, 인증 클라이언트가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3)이 인증 클라이언트를 통해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한다(23).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3)이 수신된 설치 게임 정보와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게임들을 비교하고, 인증 클라이언트를 통해 설치 게임 정보와 매칭되는 게임 리스트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2301).
이때, 복수개의 게임이 매칭된 경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게임을 게임 리스트의 상위에 표시할 수 있으나, 사용자 단말이 게임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23)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게임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에 기초하여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한다(2302).
이때,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게임 리스트에 표시된 게임 이름의 입력부(예컨대, 자판)를 통한 입력 및 게임 리스트에 표시된 게임 이름을 음성으로 발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사용자의 입력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작 26 및 동작 28은 위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도 3 및 도 4에 대한 설명에 갈음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게임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동작 24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23)과 동작(26) 사이에, 사용자 단말(123)이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24)이 추가적으로 수행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3)이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 정보를 획득한다(2401).
이때, 사용자 입력 정보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될 수 있는 패턴 정보, 생체 인증 정보(예컨대, 지문, 홍채 등) 및 패스워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사용자 입력 정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23)이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의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2402).
이때,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입력 정보를 미리 저장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와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불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 단말(123)이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한다(2403).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3)이 제1 무선통신칩을 통해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제2 무선통신칩으로 전송하면(26), 게임 단말(121)이 게임 단말이 제2 무선통신칩을 통하여 제1 무선통신칩이 전송한 사용자 단말의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28).
동작 20, 동작 21, 동작 22, 동작 23, 동작 26 및 동작 28은 위에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도 7 및 도 8에 대한 설명에 갈음한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의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3)이 제1 무선통신칩을 통해 사용자 단말(123)에서 실행 중인 게임에 대한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제2 무선통신칩으로 전송한다(26).
이때, 사용자 단말(123)과 게임 단말(121)이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로 근접된 경우, 사용자 단말(123)이 제1 무선통신칩을 통해 사용자 단말(123)에서 실행 중인 게임에 대한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를 게임 단말(121)로 전송할 수 있다.
게임 단말(121)이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3).
이때, 사용자 인증 정보가 암호화(예컨대, 공개 키로 암호화 등)되어 전송된 경우, 게임 단말(121)은 사용자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여 사용자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121)은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121)은 외부 장치(예컨대, 인증 서버 등)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게임 단말(121)이 수신한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실행한다(4).
또한, 게임 단말(121)은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게임을 실행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 게임 단말(121)은 게임 서버(111)로 클라이언트의 설치를 위한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121)은 수신한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 중인 게임에 대한 게임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게임 서버(111)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121)은 수신한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한 게임 서버(111)에 접속할 수 있다.
게임 단말(121)은 접속한 게임 서버(111)에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 중인 게임에 대한 게임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다(41).
게임 서버(111)는 게임 단말(121)의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 중인 게임에 대한 게임 데이터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게임 단말(121)로 게임 데이터를 전송한다(42).
이때, 게임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 중인 게임에 대한 사용자의 캐릭터의 상태(예컨대, 캐릭터 레벨, 캐릭터 보유 아이템 등)에 관한 정보,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 중인 게임에 대한 캐릭터가 위치한 지역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게임 데이터가 포함할 수 있는 정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임 단말(121)은 수신한 게임 실행 정보 및 수신한 게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5).
이때, 게임 단말(121)은 진행시키는 게임을 게임 단말(121)에 포함된 인터페이스(예컨대, 모니터 등)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의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3)이 제1 무선통신칩을 통해 사용자 단말(123)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게임에 대한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제2 무선통신칩으로 전송한다(26).
이때, 사용자 단말(123)과 게임 단말(121)이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로 근접된 경우, 사용자 단말(123)이 제1 무선통신칩을 통해 사용자 단말(123)에서 실행 중인 게임에 대한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를 게임 단말(121)로 전송할 수 있다.
게임 단말(121)이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3).
이때, 사용자 인증 정보가 암호화(예컨대, 공개 키로 암호화 등)되어 전송된 경우, 게임 단말(121)은 사용자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여 사용자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121)은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121)은 외부 장치(예컨대, 인증 서버 등)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게임 단말(121)이 게임 서버(111)로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41).
이때, 접속 요청은 사용자 단말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게임을 게임 단말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게임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나, 접속 요청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임 서버(111)가 게임 단말(121)로 접속 승인을 전송한다(42).
이때, 접속 승인에는 게임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으나, 접속 승인에 포함될 수 있는 데이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게임 서버는 게임 단말과의 접속(예컨대, 통신적으로 연결 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의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3)이 제1 무선통신칩을 통해 사용자 단말(123)에서 실행 중인 클라우드 게임에 대한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제2 무선통신칩으로 전송한다(26).
이때, 사용자 단말(123)과 게임 단말(121)이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로 근접된 경우, 사용자 단말(123)이 제1 무선통신칩을 통해 사용자 단말(123)에서 실행 중인 클라우드 게임에 대한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를 게임 단말(121)로 전송할 수 있다.
게임 단말(121)이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3).
이때, 사용자 인증 정보가 암호화(예컨대, 공개 키로 암호화 등)되어 전송된 경우, 게임 단말(121)은 사용자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여 사용자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121)은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121)은 외부 장치(예컨대, 인증 서버 등)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게임 단말(121)이 수신한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실행한다(4).
또한, 게임 단말(121)은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우드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게임을 실행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 게임 단말(121)은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로 클라이언트의 설치를 위한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121)은 수신한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 중인 클라우드 게임에 대한 클라우드 게임 플레이 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121)은 수신한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한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에 접속할 수 있다.
게임 단말(121)은 접속한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에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 중인 클라우드 게임에 대한 클라우드 게임 플레이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41).
클라우드 게임 서버(101)는 게임 단말(121)의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 중인 클라우드 게임에 대한 클라우드 게임 플레이 정보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게임 단말(121)로 클라우드 게임 플레이 정보를 전송한다(42).
이때, 클라우드 게임 플레이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 중인 클라우드 게임에 대한 사용자의 캐릭터의 상태(예컨대, 캐릭터 레벨, 캐릭터 보유 아이템 등)에 관한 정보,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 중인 클라우드 게임에 대한 캐릭터가 위치한 지역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클라우드 게임 플레이 정보가 포함할 수 있는 정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임 단말(121)은 수신한 게임 실행 정보 및 수신한 클라우드 게임 플레이 정보를 기초하여 클라우드 게임을 진행시킨다(5).
이때, 게임 단말(121)은 진행시키는 클라우드 게임을 게임 단말(121)에 포함된 인터페이스(예컨대, 모니터 등)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의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라, 게임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310).
이때, 게임 단말이 제2 무선통신칩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게임 실행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과 게임 단말이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로 근접된 경우, 사용자 단말이 제1 무선통신칩을 통해 게임 실행 정보 및 게임 실행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게임 단말이 제2 무선통신칩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게임 단말이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320).
이때, 사용자 인증 정보가 암호화(예컨대, 공개 키로 암호화 등)되어 전송된 경우, 게임 단말은 사용자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여 사용자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은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은 외부 장치(예컨대, 인증 서버 등)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게임 단말이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별도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330).
이때,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게임 단말은 게임 단말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별도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게임 단말이 수신한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실행한다(340).
또한, 게임 단말은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게임을 실행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 게임 단말은 게임 서버로 클라이언트의 설치를 위한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은 수신한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게임 서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은 수신한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한 게임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은 접속한 게임 서버에 게임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은 접속한 게임 서버가 전송한 게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게임 데이터는 사용자의 캐릭터의 상태(예컨대, 캐릭터 레벨, 캐릭터 보유 아이템 등)에 관한 정보, 캐릭터가 위치한 지역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게임 데이터가 포함할 수 있는 정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게임 단말은 수신한 게임 실행 정보 및 수신한 게임 데이터를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은 수신한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우드 게임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은 게임 실행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가 게임에서 플레이하고자 하는 플레이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게임 플레이를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은 수신한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우드 게임을 진행시킬 수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동작 130의 일실시예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다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3)이 인증 클라이언트를 통해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한다(23).
이때, 인증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나,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에 새로 설치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23)이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한다(24).
사용자 단말(123)이 게임 단말과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로 인접된다(25).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는 제1 및 제2 무선통신칩이 서로 정보교환 가능하도록 설정된 거리일 수 있으나,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는 제1 및 제2 무선통신칩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3)이 제1 무선통신칩을 통해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제2 무선통신칩으로 전송한다(26).
이때,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는 제1 무선통신칩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나,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 곳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임 단말(121)이 게임 단말이 제2 무선통신칩을 통하여 제1 무선통신칩이 전송한 사용자 단말의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310).
게임 단말(121)이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320).
이때, 사용자 인증 정보가 암호화(예컨대, 공개 키로 암호화 등)되어 전송된 경우, 게임 단말은 사용자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여 사용자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은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은 외부 장치(예컨대, 인증 서버 등)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게임 단말(121)이 별도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330).
도 17을 참조하면, 게임 단말(121)이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별도의 사용자 입력 정보를 획득한다(3301).
이때, 별도의 사용자 입력 정보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될 수 있는 패턴 정보, 생체 인증 정보(예컨대, 지문, 홍채 등) 및 패스워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별도의 사용자 입력 정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임 단말(121)이 별도의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별도의 사용자 인증의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3302).
이때, 게임 단말은 별도의 사용자 입력 정보를 미리 저장된 별도의 사용자 입력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와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별도의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불일치하는 경우, 별도의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은 별도의 사용자 입력 정보를 외부 장치(예컨대, 인증 서버 등)에 미리 저장된 별도의 사용자 입력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와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별도의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불일치하는 경우, 별도의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23 및 동작 24는 위에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도 7 내지 도 10에 대한 설명에 갈음한다.
도 18은 게임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게임 단말(4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01) 및 메모리(403)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03)는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단말(400)은 제2 무선통신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01)는 제2 무선통신칩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의 제1 무선통신칩이 전송한 사용자 단말의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프로세서(401)는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프로세서(401)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실행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방법들은 상술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동작들 또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방법 동작들 및/또는 단계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서로 상호 교환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동작들 또는 단계들에 대한 특정 순서가 명시되지 않는 한, 특정 동작들 및/또는 단계들의 순서 및/또는 이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수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아이템들의 리스트 중 "그 중 적어도 하나" 를 지칭하는 구절은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여, 이들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일 예로서, "a, b, 또는 c: 중의 적어도 하나" 는 a, b, c, a-b, a-c, b-c, 및 a-b-c 뿐만 아니라 동일한 엘리먼트의 다수의 것들과의 임의의 조합 (예를 들어, a-a, a-a-a, a-a-b, a-a-c, a-b-b, a-c-c, b-b, b-b-b, b-b-c, c-c, 및 c-c-c 또는 a, b, 및 c 의 다른 임의의 순서 화한 것) 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결정하는"는 매우 다양한 동작들을 망라한다. 예를 들어, "결정하는"는 계산하는, 컴퓨팅, 프로세싱, 도출하는, 조사하는, 룩업하는 (예를 들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 룩업하는), 확인하는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정하는"은 수신하는 (예를 들면, 정보를 수신하는), 액세스하는 (메모리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은 해결하는, 선택하는, 고르는, 확립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클라우드 게임 서버
111: 게임 서버
121: 게임 단말
123: 사용자 단말

Claims (14)

  1. 사용자 단말 및 게임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임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게임 실행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게임 단말이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게임 단말이 상기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 클라이언트를 통해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 실행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게임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인증 클라이언트를 통해 복수의 게임에 대한 선택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게임에 기초하여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 클라이언트를 통해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 실행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게임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인증 클라이언트를 통해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 실행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게임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인증 클라이언트를 통해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 실행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게임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는 동작은,
    상기 게임 단말이 인증 클라이언트 실행 정보 및 설치 게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인증 클라이언트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는 동작
    을 포함하고,
    상기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인증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설치 게임 정보와 매칭되는 게임 리스트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게임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에 기초하여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
  8. 제4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게임 실행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게임을 실행 중인 경우, 상기 게임 단말이 실행 중인 게임에 대한 게임 실행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게임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경우, 상기 게임 단말이 상기 게임 실행 정보와 대응하는 게임 서버에 상기 게임 실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게임 서버에 접속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은,
    상기 게임 단말이 별도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단말이 별도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게임 단말이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별도의 사용자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별도의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별도의 사용자 인증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방법.
  13. 사용자 단말 및 게임 단말을 포함하는 자동 게임 실행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제1 무선통신칩을 포함하고,
    상기 게임 단말은 제2 무선통신칩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전송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게임 실행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게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자동 게임 실행 시스템.
  14.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20061132A 2022-05-18 2022-05-18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1612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132A KR20230161280A (ko) 2022-05-18 2022-05-18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132A KR20230161280A (ko) 2022-05-18 2022-05-18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280A true KR20230161280A (ko) 2023-11-27

Family

ID=88968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132A KR20230161280A (ko) 2022-05-18 2022-05-18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12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6240B2 (en) Social networking data augmented gaming kiosk
US8814704B2 (en) Game server that allows online game user to designate proxy to exercise an area limited acquisition right, game controlling method thereof, game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N102016821B (zh) 限制对共享媒体内容的访问
CN103262065A (zh) 传送应用程序状态的方法和系统
JP2007505673A (ja)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ゲーム・システム
CN106164917B (zh) 用于远程会话的用户特定应用激活
KR20090119925A (ko) 게임환경에서 유저의 게임-플레이 행동을 모니터하고 게임플레이 데이터를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801163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2012245054A (ja) ゲームサーバ処理システム
KR20060105366A (ko) 게임 서비스에서의 보너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6782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웹기반의 다자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69645B1 (ko) 게임 수행 방법, 게임 서버 및 게임 시스템
KR20230161280A (ko)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자동 게임 실행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827324B1 (ko) 복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KR20140031446A (ko) Nfc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시스템
KR101183731B1 (ko) 아이템 사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107103B1 (ko) 온라인게임 채널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51096B1 (ko)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19358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95313B1 (ko)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606834B1 (ko)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4210281A1 (en) Dynamic log-in from mobile phone to set-top box
KR20230161264A (ko)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게임 서버
KR101855902B1 (ko) 이동통신단말기로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66382B1 (ko) 게임 컨텐츠 기반 계정 인증 방법 및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