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9588A - 자동차의 폐쇄 부재용 스핀들 드라이브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폐쇄 부재용 스핀들 드라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9588A
KR20230159588A KR1020237036368A KR20237036368A KR20230159588A KR 20230159588 A KR20230159588 A KR 20230159588A KR 1020237036368 A KR1020237036368 A KR 1020237036368A KR 20237036368 A KR20237036368 A KR 20237036368A KR 20230159588 A KR20230159588 A KR 20230159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drive
spindle
movement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6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만프레드 바르텔메쓰
크리스티안 움브라이트
토비아스 쯔보스타
다니엘라 슈바이처
미카엘 슈나이더방어
마르코 쉬쓰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ublication of KR20230159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58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2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05Y2600/528Hooking, e.g. using bayonets; 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05Y2600/53Sna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3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 E05Y2800/232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of motors an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폐쇄 부재용 스핀들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스핀들(7a)과 스핀들 너트(7b)를 가진 스핀들-스핀들 기어 장치(7)를 포함하며, 이 경우 모터 측 구동 섹션(1a)은 구동 모터(3a)를 가진 구동 유닛(2)과 스핀들(7a)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7a)은 구동 모터(3a) 뒤에 배치되고, 스핀들 드라이브(1)의 스핀들 너트 측 구동 섹션(1b)은 스핀들 너트(7b)를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 드라이브(1)는 모터 측 구동 섹션(1a)에 대해 축방향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튜브(14a)를 가진 구동 하우징(14)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튜브(14a)의 방사 방향 내부에는 가이드 튜브(13)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튜브는 모터 측 구동 섹션(1a)에 대해 축방향 고정되고, 구동 이동 동안 스핀들 드라이브(1)의 구동 부품을 축방향으로 안내한다. 모터 측 구동 섹션(1a)에 대해 축방향 고정된 하우징 튜브(14a)와 가이드 튜브(13)는 적어도 2개의 연속하는 부분 이동을 포함하는 조립 이동 시 폼-피팅 결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며, 하나의 부분 이동은 축방향 이동이고 후속하는 부분 이동은 모터 측 구동 섹션(1a)에 대해 축방향 고정된 하우징 튜브(14a)의 가이드 튜브(13)의 튜브 섹션(16)에 대한 방사 방향 또는 접선 방향 이동인 것이 제안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폐쇄 부재용 스핀들 드라이브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의 폐쇄 부재용 스핀들 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공개된 선행 기술(DE 10 2017 117 993 A1호)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의 폐쇄 부재용 스핀들 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해당 스핀들 드라이브는 자동차의 모든 폐쇄 부재의 전동식 조절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폐쇄 부재들은 예컨대 테일 게이트, 트렁크 리드, 엔진 보닛, 트렁크 바닥일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도어, 특히 슬라이딩 도어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폐쇄 부재"라는 용어는 본 경우에 광범위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스핀들 드라이브는 이와 같은 폐쇄 부재의 전동식 조절에 이용된다. 이를 위해 스핀들 드라이브는 구동 모터를 구비한 구동 유닛과 구동 기술적으로 구동 유닛 뒤에 배치된 스핀들-스핀들 너트 기어 장치 장치를 포함하고, 폐쇄 부재의 개폐를 위해 상기 구동 스핀들에 의해 스핀들 측 구동 연결부와 스핀들 너트 측 구동 연결부 사이에 선형 구동 이동이 형성된다. 폐쇄 부재의 개방 위치에서 스핀들 드라이브는 이에 따라 인출 위치에 있는 한편, 폐쇄 부재의 폐쇄 위치에서 스핀들 드라이브는 인입 위치에 있게 된다.
대개 이러한 스핀들 드라이브는 스핀들 너트를 축방향으로, 즉 스핀들 축을 따라 안내하는 데 이용되는 토션 튜브를 구비하는 한편, 스핀들 너트는 스핀들에 의해 구동된다. 즉, 이러한 토션 튜브는 스핀들 측 또는 모터 측 구동 연결부에 대해 스핀들 너트 및 스핀들 너트 측 구동 연결부를 위한 회전 방지부로서 이용된다. 토션 튜브는 추가로 스프링 가이드 튜브의 기능도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구동 연결부 서로에 대해 예비 응력을 가하는 코일 스프링을 방사 방향으로 지지하여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 가이드 튜브는, 해당하는 회전 방지부가 다른 위치에 제공되는 경우, 특히 토션 튜브 대신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일반적으로 "가이드 튜브"라고 하는 이러한 토션- 및/또는 스프링 가이드 튜브를 가능한 한 저렴하게 스핀들 드라이브에 통합하는 것이 당면 과제이다. 특히 모터 측 구동 연결부에 대해 자체로 회전 고정식이어야 하는 토션 튜브의 경우, 토션 튜브의 사용될 재료로 인해 스핀들 드라이브의 비용이 증가한다. 따라서 토션 튜브는 모터 측 구동 섹션에 대해 회전 불가능한 스핀들 드라이브의 하우징 튜브에 일반적으로 접착이나 용접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의 연결로 인해 토션 튜브의 재료 선택은 특정 재료 및 일반적으로 비교적 고가의 재료로 제한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당면 과제와 관련하여 추가로 최적화가 달성되도록, 자동차의 폐쇄 부재를 위한 공개된 스핀들 드라이브를 설계하고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의 대상이다.
특히 토션 튜브인, 또한 기본적으로 스프링 가이드 튜브일 수 있는 가이드 튜브를 구비한 스핀들 드라이브의 경우에, 하우징 튜브에 대해 폼-피팅 결합 방식의 연결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이드 튜브의 재료는, 접착 또는 용접이 가능한 재료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선택될 수 있다. PP(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저렴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가이드 튜브는 다른 플라스틱 재료나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폼-피팅 결합 방식의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가이드 튜브와 하우징 튜브 사이 또는 이들의 섹션들 사이에 조립 이동이 제공된다. 조립 이동은 적어도 2개의 부분 이동을 포함하며, 그 중 하나는 축방향 이동이고 후속 이동은 두 튜브의 2개의 튜브 섹션 사이, 경우에 따라서는 두 튜브 전체 사이의 방사 방향 또는 접선 방향 이동이다.
구체적으로, 모터 측 구동 섹션에 대해 축방향 고정된 하우징 튜브와 가이드 튜브는 적어도 2개의 연속하는 부분 이동을 포함하는 조립 이동 시 폼-피팅 결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과, 하나의 부분 이동은 축방향 이동이고, 후속하는, 특히 바로 후속하는 부분 이동은 모터 측 구동 섹션에 대해 축방향 고정된 하우징 튜브의 튜브 섹션의 가이드 튜브의 튜브 섹션에 대한 방사 방향 또는 접선 방향 이동인 것이 제안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은 실시예만을 도시하는 도면을 참고로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제안된 스핀들 드라이브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스핀들 드라이브의 튜브 섹션의 다양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은 폐쇄 부재, 여기에서 테일 게이트가 장착된 폐쇄 부재 어셈블리, 예를 들어 테일 게이트 어셈블리에 설치된 제안된 스핀들 드라이브(1)를 도시한다. 폐쇄 부재 어셈블리는 자동차에 설치된다.
폐쇄 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다른 폐쇄 부재, 특히 테일 게이트일 수 있고, 슬라이딩 도어일 수 있다. 모든 설명은 다른 폐쇄 부재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은, 폐쇄 부재의 개폐를 위해 스핀들 드라이브(1)가 구동 유닛(2)을 구비하는 것을 도시한다. 구동 유닛(2)은 축방향(X)으로 차례로 배치되어 토크 전달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부품(3, 4, 5)을 포함한다. 계속해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부품(3, 4, 5)은 여기에서 모터 튜브(6a)라고 하는 구동 유닛(2)의 구동 유닛 하우징(6)의 하우징 튜브(6a)에 축방향 고정 방식으로 장착된다.
특히 폐쇄 부재의 개방에 해당하는 제1 조절 방향과 특히 폐쇄 부재의 폐쇄에 해당하는 제2 조절 방향으로 선형 구동 이동을 형성하기 위해 축방향(X)으로 연장되는 기하학적 스핀들 축(A)을 가진 스핀들-스핀들 너트 기어 장치(7)가 구동 기술적으로 구동 유닛(2) 뒤에 배치된다.
스핀들 드라이브(1)의 스핀들-스핀들 너트 기어 장치(7)에는 일반적으로 회전 스핀들(7a) 및 이와 맞물리는 스핀들 너트(7b)가 장착된다. 스핀들(7a)은 여기에서 커플링 장치(8)를 통해 구동 유닛(2)에 결합된다.
스핀들 드라이브(1)는 2개의 구동 섹션(1a, 1b)으로, 즉 구동 유닛(2)과 스핀들(7a)을 가진 모터 측 구동 섹션(1a)과 스핀들 너트(7b)를 가진 스핀들 너트 측의 구동 섹션(1b)으로 나뉜다. 그러한 점에서 스핀들(7a)과 스핀들 너트(7b)는 스핀들 드라이브(1)의 구동 부품을 형성한다.
구동 유닛(2)과 스핀들-스핀들 너트 기어 장치(7)는, 스핀들 측 구동 연결부(10a)로부터 스핀들 너트 측 구동 연결부(10b)까지 연장되는 구동 트레인(9)에 배치된다. 스핀들 측 구동 연결부(10a)는 여기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 축방향 고정 방식으로 및/또는 회전 불가능하게 구동 유닛 하우징(6)에 연결되고, 특히 크림핑(crimping)된다.
스핀들(7a)은 스핀들 가이드 튜브(11) 내에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고, 상기 스핀들 가이드 튜브는 스핀들 너트(7b)에 축방향 고정 방식으로 그리고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스핀들 너트 측 구동 연결부(10b)에 축방향 고정 방식으로, 여기에서도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핀들 너트(7b)는 또한 토션 튜브(12)로서 설계된 스핀들 드라이브(1)의 가이드 튜브(13)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고, 여기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회전 불가능하게 안내되며, 상기 토션 튜브(12)는 스핀들(7a) 주위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고 스핀들 측 구동 연결부(10a)에 축방향 고정 방식으로 및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핀들 너트(7b)를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토션 튜브(12)는 여기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도시 생략)을 갖고, 상기 가이드 홈은 여기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 스핀들 축(a)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스핀들 너트(7b)는 토션 튜브(12)에 의해 회전에 대해 고정되므로, 스핀들(7a)의 회전 운동은 스핀들 너트(7b)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 스핀들 가이드 튜브(11)의 병진 운동으로 스핀들 너트(7b)를 통해 변환된다. 이에 따라 2개의 구동 섹션(1a, 1b) 또는 구동 연결부(10a, 10b)는 축방향(X)으로, 즉 스핀들 축(A)을 따라 서로에 대해 조절될 수 있다.
스핀들 드라이브(1)는 스핀들-스핀들 너트 기어 장치(7)를 수용하는 하우징(14)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튜브(14a), 특히 하우징 외부 튜브, 및 여기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튜브(14a)에 대해 축방향 이동 가능하고 텔레스코프 방식으로 하우징 튜브(14a)에 대해 지지되는 추가 하우징 튜브(14b)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튜브(14a)는 스핀들 측 구동 연결부(10a)에 축방향 고정 방식으로, 여기에서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튜브(14b)는 스핀들 너트 측 구동 연결부(10b)에 축방향 고정 방식으로, 여기에서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우징(14)은 구동 유닛 하우징(6)과 함께 스핀들 드라이브(1)의 구동 하우징을 형성한다.
스핀들 측 구동 연결부(10a)에 축방향 고정 방식으로 결합된 구동 유닛 하우징(6) 또는 모터 튜브(6a)는 여기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 구동 모터 유닛(3), 구동 기술적으로 구동 모터 유닛 뒤에 배치되며 여기에 토크 전달 방식으로 결합된 중간 기어 유닛(4) 및 또한 구동 기술적으로 중간 기어 유닛 뒤에 배치되어 여기에 토크 전달 방식으로 결합된 추가 부품 유닛(5)을 수용하는 데 이용된다. 기본적으로, 구동 유닛(2)은 또한 전술한 부품(3, 4, 5) 중 하나만 또는 둘만을 구비할 수 있다. 구동 모터 유닛(3)은 여기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전기 구동 모터(3a) 및 구동 모터 하우징(3b)을 구비한다. 구동 모터 하우징(3b)에는, 여기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 구동 모터 전자 장치(3c)도 배치되며, 상기 전자 장치는 마찬가지로 구동 모터 유닛(3)의 구성부이다. 중간 기어 유닛(4)은 기어 부품(4a)과 중간 기어 하우징(4b)을 구비한다. 추가 부품 유닛(5)은 여기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부품(5a)과 추가 부품 하우징(5b)을 구비한다. 추가 부품 유닛(5)은 여기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 과부하 커플링- 및/또는 브레이크 유닛이며, 상기 유닛에서 각각의 추가 부품(5a)은 과부하 커플링 및/또는 브레이크에 의해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스핀들 측 구동 연결부(10a), 이어서 구동 모터 유닛(3), 중간 기어 유닛(4), 추가 부품 유닛(5), 스핀들(7a)이 배치된 커플링 어셈블리(8) 및 토션 튜브(12)가 축방향(X)으로 연이어 배치되고, 이 모든 부품은 스핀들 측 구동 연결부(10a)에 대해 축방향 고정된다. 개별 부품들은 각각 커플링, 이 경우 클로 커플링(claw coupling)을 통해 토크 전달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스핀들 측 구동 연결부(10a)에 대해 축방향 고정된 개별 부품[구동 모터 유닛(3), 중간 기어 유닛(4), 추가 부품 유닛(5), 토션 튜브(12)]의 전술한 순서는 예시적일 뿐이며 다를 수 있음이 참조된다.
토션 튜브(12)로서 설계된 가이드 튜브(13)는 여기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 스프링 가이드 튜브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 가이드 튜브는 기하학적 스핀들 축(A)에 대해 동축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스프링(15) 내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은 2개의 구동 연결부(10a, 10b)에 서로에 대해 예비 응력을 가한다. 스프링 가이드 튜브의 기능은, 적어도 하나의 코일 스프링(15)을 방사 방향으로 지지하고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코일 스프링(15) 내에 제공된 이러한 스프링 가이드 튜브는 또한 토션 튜브(12)의 기능 없이 설계될 수 있고, 이 경우 바람직하게 스핀들 너트(7b)는, 구동 섹션(1a, 1b) 사이, 예컨대 2개의 하우징 튜브(14a, 14b) 사이의 다른 곳에 회전 방지부가 제공됨으로써 회전에 대해 고정된다.
도면에 도시되고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는 자동차의 폐쇄 부재용 스핀들 드라이브(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핀들 드라이브(1)는 스핀들-스핀들 너트 기어 장치(7)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장치는 기하학적 스핀들 축(A)을 따라 선형 구동 이동을 형성하기 위해 스핀들 드라이브(1)의 구동 부품으로서 스핀들(7a) 및 이와 맞물리는 스핀들 너트(7b)를 가지며, 상기 스핀들 드라이브(1)의 모터 측 구동 섹션(1a)은 구동 모터(3a)를 가진 구동 유닛(2)과 스핀들(7a)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7a)은 구동 모터(3a) 뒤에 배치되고, 상기 스핀들 드라이브(1)의 스핀들 너트 측 구동 섹션(1b)은 스핀들 너트(7b)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구동 섹션(1a, 1b)은 구동 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스핀들 드라이브(1)의 구동 연결부(10a, 10b)에 각각 연결되고, 구동 유닛(2)과 스핀들-스핀들 너트 기어 장치(7)는 서로 축방향 고정되어 있고 기하학적 스핀들 축(A)을 따라 연이어 배치되며, 상기 스핀들 드라이브(1)는 구동 하우징(14)을 갖고, 상기 구동 하우징은 모터 측 구동 섹션(1a)에 대해 축방향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튜브(14a), 특히 하우징 외부 튜브를 포함하고, 모터 측 구동 섹션(1a)에 대해 축방향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튜브(14a), 특히 하우징 외부 튜브의 방사 방향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이드 튜브(13)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튜브는 모터 측 구동 섹션(1a)에 대해 축방향 고정되고 구동 이동 중에 스핀들 드라이브(1)의 구동 부품을 축방향으로 안내한다.
모터 측 구동 섹션(1a)에 대해 축방향 고정된 하우징 튜브(14a)와 상기 가이드 튜브(13)는 적어도 2개의 연속하는 부분 이동을 포함하는 조립 이동 시 폼-피팅 결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하나의 부분 이동은 축방향 이동이고, 후속하는, 특히 바로 후속하는 부분 이동은 모터 측 구동 섹션(1a)에 대해 축방향 고정된 하우징 튜브(14a)의 튜브 섹션(16)의 가이드 튜브(13)의 상기 튜브 섹션(16)에 대한 방사 방향 또는 접선 방향 이동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축방향", "방사 방향" 및 "접선 방향"이라는 용어는 여기에서 그리고 이하 항상 2개의 튜브의 동축 길이방향 축과 관련되며, 상기 길이방향 축은 스핀들 드라이브(1)의 최종 조립 상태에서 스핀들 축(A)에 대해 길이방향 축으로 연장된다. "접선 방향"이란 여기서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축방향 이동은 주로 축방향 이동 부분을 포함한 이동이고, 즉 축방향 이동 요소가 최대이고, 특히 이동의 유일한 이동 요소이다. 따라서 방사 방향 이동은 주로 방사 방향 이동 부분을 포함한 이동이고, 접선 방향 이동은 따라서 주로 접선 방향 이동 부분을 포함한 이동이다.
조립 이동 시, 즉 연속하는 부분 이동 시, 모터 측 구동 섹션(1a)에 대해 축방향 고정된 하우징 튜브(14a)는, 가이드 튜브(13)를 모터 측 구동 섹션(1a)에 대해 축방향 고정 방식으로 배치하기 위해 가이드 튜브(13)에 대해 이동된다.
한편으로 축방향 부분 이동과 다른 한편으로는 방사 방향 또는 접선 방향 부분 이동은 바로 연속할 수 있고, 즉 방사 방향 또는 접선 방향 부분 이동은 축방향 이동에 직접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축방향 부분 이동 전 또는 후에 및/또는 방사 방향 또는 접선 방향 부분 이동 전 또는 후에 마찬가지로 조립 이동의 부분인 적어도 하나의 다른 축방향, 방사 방향 또는 접선 방향 부분 이동이 제공된다.
각 튜브 섹션(16)은 여기에서 각 튜브(13 또는 14a)의 여기서 축방향 튜브 섹션, 방사 방향 튜브 섹션 및/또는 원주 방향 섹션을 의미한다. 이러한 튜브 섹션(16)은 예를 들어, 래칭 후크(16a)(도 2a) 또는 벤딩 빔(16b)(도 2b)일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튜브(13 또는 14a)의 원주 섹션에 의해 형성된다.
각 튜브 섹션(16), 특히 축방향 튜브 섹션(16)은 각 튜브(13 또는 14a)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각 튜브(13 또는 14a)의 나머지 부분과 별도의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부분은 조립 과정에서야, 예를 들어 접착 또는 용접에 의해, 특히 폼-피팅 결합, 비(非) 폼-피팅 결합 및/또는 재료 결합 방식으로 각 튜브(13 또는 14a)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된다.
도 1에서, 아래 왼쪽 도면에 예시적으로 2개의 부분 섹션(13a 및 13b)을 포함하는 가이드 튜브(13)가 도시되어 있고, 부분 섹션(13a)은 해당 튜브 섹션(16), 특히 축방향 튜브 섹션(16)을 형성하고, 부분 섹션(13b)은 튜브(13)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한다.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개의 부분 섹션(13a, 13b)은 서로 일체형으로 또는 서로 별도로 설계된다.
후자의 경우, 별도의 부분 섹션(13a 및 13b)이면, 부분 섹션(13a)은 모터 측 구동 섹션(1a)에 대해 축방향 고정된 하우징 튜브(14a)에 특히 가이드 튜브(13)의 나머지 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를 형성한다. 이 경우, 2개의 부분 섹션(13a 및 13b)은 예를 들어 왼쪽 도면의 선행하는 조립 단계에서, 특히 폼-피팅 결합 방식으로, 비 폼-피팅 결합 방식으로 및/또는 재료 결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모터 측 구동 섹션(1a)에 대해 축방향 고정된 하우징 튜브(14a)와 튜브 섹션(16) 또는 부분 섹션(13a)이 적어도 2개의 연속하는 부분 이동을 포함하는 상기 조립 이동 시 폼-피팅 결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을 때에만, 2개의 부분 섹션(13a 및 13b)을 서로, 특히 폼-피팅 결합 방식 및/또는 재료 결합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우징 튜브(14a)의 튜브 섹션(16)은 하우징 튜브(14a)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강성이고 및/또는 가이드 튜브(13)의 튜브 섹션(16)은 가이드 튜브(13)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강성이고,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튜브(14a)의 튜브 섹션(16)과 가이드 튜브(13)의 튜브 섹션(16)은 베이어닛 연결(17)을 통해 축방향으로 폼-피팅 결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베이어닛 연결(17)은, 조립 이동 동안 하나의 튜브 섹션(16), 특히 하우징 튜브(14a)의 튜브 섹션(16) 상의 방사 방향 돌출부가 다른 튜브 섹션(16), 특히 가이드 튜브(13)의 튜브 섹션(16) 상의 할당된 리세스에서 제1 부분 이동 시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후속하는, 특히 바로 후속하는 제2 부분 이동 시 접선 방향으로 이동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후속하는, 특히 바로 후속하는 제3 부분 이동 시 축방향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축방향으로 폼-피팅 결합 방식으로"란, 적어도 제1 부분 이동과 반대로, 특히 선택적인 제3 부분 이동과 반대로도 폼-피팅 결합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선 방향 폼-피팅 결합도 제공되며, 여기에서 즉, 제2 부분 이동과 반대로 제공된다. 이는, 2개의 튜브, 상기 가이드 튜브(13) 및 상기 하우징 튜브(14a)가 서로에 대해 회전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한다.
"축방향으로 반대로"란, 제3 부분 이동이 축방향으로, 즉 제1 부분 이동의 축방향과 반대인, 스핀들 축(A)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축방향 및/또는 방사 방향 이동 과정에서 하우징 튜브(14a)의 튜브 섹션(16)은 하우징 튜브(14a)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고 및/또는 가이드 튜브(13)의 튜브 섹션(16)은 가이드 튜브(13)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튜브(14a)의 튜브 섹션(16)과 가이드 튜브(13)의 튜브 섹션(16)은 클립 연결(8)을 통해 축방향으로 폼-피팅 결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클립 연결은, 조립 이동 동안 하우징 튜브(14a) 전체가 가이드 튜브(13)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그리고 하나의 튜브 섹션(16), 특히 가이드 튜브(13)의 튜브 섹션(16)을 형성하는 탄성 래칭 후크(16a)가 제1 부분 이동 시 다른 튜브 섹션(16), 특히 하우징 튜브(14a)의 튜브 섹션(16) 상의 기본 위치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편향된 위치에서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후속하는, 특히 바로 후속하는 제2 부분 이동 시 편향된 위치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기본 위치를 향해, 특히 기본 위치 내에까지 이동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한"이란 여기서 그리고 이하 항상, 각각의 부분 이동 시 각 튜브(13 또는 14a)의 튜브 섹션(16)이 무부하 상태에서 상기 튜브 섹션이 취하는 기본 위치로부터 다른 튜브(14a 또는 13)의 튜브 섹션(13)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편향된 위치로 밀릴 수 있고, 탄성으로 인해, 스스로 다시 그 기본 위치를 향해, 바람직하게는 편향을 일으킨 선행하는 부분 이동이 종료하는 즉시, 다시 그 기본 위치 내에까지 이동할 수 있고, 이전에 가해진 힘은 다시 감소하거나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클립 연결(18)은 할당된 대응 피스, 특히 래칭 후크(16a)마다 할당된 각자의 대응 피스, 예를 들어 래칭 리셉터클을 갖는 개별 래칭 후크(16a)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클립 연결(18)은, 튜브(13, 14a)가 서로에 대해 회전될 수 없는 장점을 갖는다. 스냅링 연결 형태의 클립 연결(18)도 고려될 수 있다.
여기에서 "축방향으로 폼-피팅 결합 방식으로"란, 적어도 제1 부분 이동과 반대로, 특히 제1 부분 이동의 방향으로도 폼-피팅 결합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접선 방향 폼-피팅 결합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또한, 하우징 튜브(14a)의 튜브 섹션(16)은 축방향 및/또는 접선 방향 이동 과정에서 하우징 튜브(14a)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및/또는 가이드 튜브(13)의 튜브 섹션(16)이 가이드 튜브(13)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튜브(4a)의 튜브 섹션(16)과 가이드 튜브(13)의 튜브 섹션(16)은 래칭 연결(19)을 통해 축방향으로 폼-피팅 결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래칭 연결은, 조립 이동 동안 하우징 튜브(14a) 전체가 가이드 튜브(13)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하나의 튜브 섹션(16), 특히 가이드 튜브(13)의 튜브 섹션(16)을 형성하는 탄성 벤딩 빔(16b)의 원위 단부에서 방사 방향으로 돌출하고 조립 이동의 적어도 일부 동안 다른 튜브 섹션(16), 특히 하우징 튜브(14a)의 튜브 섹션(16)의 할당된 핀 가이드 홈(21)에서 작동하는 핀(20)은 제1 부분 이동 시 그 기본 위치에서 다른 튜브 섹션(16), 특히 하우징 튜브(14a)의 튜브 섹션(16)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후속하는, 특히 바로 후속하는 제2 부분 이동 시 그 기본 위치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편향된 위치로 이동되고, 후속하는, 특히 바로 후속하는 제3 부분 이동 시 편향된 위치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그 기본 위치를 향해, 특히 그 기본 위치 내에까지 이동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벤딩 빔(16b)은 각 튜브(13 또는 14a)의 긴, 즉 빔 형상의 탄성적으로 구부릴 수 있는 재료 섹션을 의미한다.
"원위" 단부는 여기에서, 벤딩 빔(16b)이 튜브(13 또는 14a)의 나머지 부분에 고정된 반대쪽 단부와 이격된 단부, 즉 가장 멀리 편향될 수 있는 단부이다. 따라서 다른 단부는 "근위" 단부이다.
"축방향으로 폼-피팅 결합 방식으로"란, 적어도 제1 부분 이동과 반대 방향으로, 특히 제1 부분 이동의 방향으로도 폼-피팅 결합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접선 방향 폼-피팅 결합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빔(16b)의 근위 단부에 또는 근위 단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인접한 튜브 섹션(16) 내에 방사 방향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블록(22)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블록은 최종 부분 이동의 종료 후에 핀 가이드 홈(21) 내에도 삽입되어, 이를 통해 튜브(13, 14a) 사이의 접선 방향 폼-피팅 결합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방사 방향으로 돌출하는 핀(20)을 통해서만 접선 방향 폼-피팅 결합을 달성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핀" 및 "가이드 블록"이라는 용어는 여기에서 광범위하게 이해되어야 하며, 방사 방향 외측 또는 내측으로 돌출하고 핀 가이드 홈(21) 내로 또는 핀 가이드 홈(21)을 통해 안내되도록 하는 데 적합한 돌출부를 의미한다.
또한, 여기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 부분 이동은 스핀들-스핀들 너트 기어 장치(7)가 사전 조립 유닛을 형성하도록 사전 조립되는 사전 조립 단계와 관련해서 수행될 수 있고, 사전 조립된 스핀들-스핀들 너트 기어 장치(7)와 특히 사전 조립 유닛을 형성하도록 사전 조립된 구동 유닛(2) 사이의 축방향 고정식 연결은 부분 이동에 후속하는 최종 조립 단계에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최종 조립 단계에 형성된 축방향 고정식 연결은 재료 결합 방식, 비 폼-피팅 결합 방식 및/또는 폼-피팅 결합 방식의 연결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최종 조립 단계에서 형성된 축방향 고정식 연결은 모터 측 구동 섹션(1a)에 대한 축방향 고정식 하우징 튜브(14a)와 가이드 튜브(13) 사이의 용접 연결 및/또는 접착 연결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모터 측 구동 섹션(1a)에 대한 축방향 고정식 하우징 튜브(14a), 가이드 튜브(13) 및 구동 유닛 하우징(6), 특히 모터 튜브(6a)도 상응하게 설계되므로, 상기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

Claims (5)

  1. 자동차의 폐쇄 부재용 스핀들 드라이브로서, 스핀들 드라이브(1)는 스핀들-스핀들 기어 장치(7)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장치는 기하학적 스핀들 축(A)을 따라 선형 구동 이동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스핀들 드라이브(1)의 구동 부품으로서 스핀들(7a) 및 이와 맞물리는 스핀들 너트(7b)를 가지며, 상기 스핀들 드라이브(1)의 모터 측 구동 섹션(1a)은 구동 모터(3a)를 가진 구동 유닛(2)과 스핀들(7a)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7a)은 상기 구동 모터(3a) 뒤에 배치되고, 상기 스핀들 드라이브(1)의 스핀들 너트 측 구동 섹션(1b)은 스핀들 너트(7b)를 포함하고, 2개의 구동 섹션(1a, 1b)은 구동 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스핀들 드라이브(1)의 구동 연결부(10a, 10b)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구동 유닛(2)과 상기 스핀들-스핀들 기어 장치(7)는 서로 축방향 고정되어 있고 상기 기하학적 스핀들 축(A)을 따라 연이어 배치되고, 상기 스핀들 드라이브(1)는 모터 측 구동 섹션(1a)에 대해 축방향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튜브(14a), 특히 하우징 외부 튜브를 포함하는 구동 하우징(6, 14)을 갖고, 상기 모터 측 구동 섹션(1a)에 대해 축방향 고정된 상기 하우징 튜브(14a)의 방사 방향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이드 튜브(13)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튜브는 상기 모터 측 구동 섹션(1a)에 대해 축방향 고정되고 구동 이동 중에 상기 스핀들 드라이브(1)의 구동 부품을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스핀들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모터 측 구동 섹션(1a)에 대해 축방향 고정된 하우징 튜브(14a)와 가이드 튜브(13)는 적어도 2개의 연속하는 부분 이동을 포함하는 조립 이동 시 폼-피팅 결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며,
    하나의 부분 이동은 축방향 이동이고, 후속하는, 특히 바로 후속하는 부분 이동은 상기 모터 측 구동 섹션(1a)에 대해 축방향 고정된 상기 하우징 튜브(14a)의 튜브 섹션(16)의 상기 가이드 튜브(13)의 튜브 섹션(16)에 대한 방사 방향 또는 접선 방향 이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핀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튜브(14a)의 상기 튜브 섹션(16)은 상기 하우징 튜브(14a)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강성이고 및/또는 상기 가이드 튜브(13)의 상기 튜브 섹션(16)은 상기 가이드 튜브(13)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강성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튜브(14a)의 상기 튜브 섹션(16)과 상기 가이드 튜브(13)의 상기 튜브 섹션(16)은 베이어닛 연결(17)을 통해 축방향으로 폼-피팅 결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어닛 연결(17)은, 조립 이동 동안 하나의 튜브 섹션(16), 특히 상기 하우징 튜브(14a)의 튜브 섹션(16) 상의 방사 방향 돌출부가 다른 튜브 섹션(16), 특히 상기 가이드 튜브(13)의 튜브 섹션(16) 상의 할당된 리세스에서 제1 부분 이동 시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후속하는, 특히 바로 후속하는 제2 부분 이동 시 접선 방향으로 이동되고, 경우에 따라서 후속하는, 특히 바로 후속하는 제3 부분 이동 시 축방향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핀들 드라이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축방향 및/또는 방사 방향 이동 과정에서 상기 하우징 튜브(14a)의 상기 튜브 섹션(16)은 상기 하우징 튜브(14a)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및/또는 상기 가이드 튜브(13)의 튜브 섹션(16)은 상기 가이드 튜브(13)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튜브(14a)의 상기 튜브 섹션(16)과 상기 가이드 튜브(13)의 상기 튜브 섹션(16)은 클립 연결(18)을 통해 축방향으로 폼-피팅 결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클립 연결은, 조립 이동 동안 상기 하우징 튜브(14a) 전체가 상기 가이드 튜브(13)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그리고 하나의 튜브 섹션(16), 특히 상기 가이드 튜브(13)의 튜브 섹션(16)을 형성하는 탄성 래칭 후크(16a)가 제1 부분 이동 시 다른 튜브 섹션(16), 특히 상기 하우징 튜브(14a)의 상기 튜브 섹션(16) 상의 그 기본 위치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편향된 위치에서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후속하는, 특히 바로 후속하는 제2 부분 이동 시 편향된 위치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기본 위치를 향해, 특히 그 기본 위치 내에까지 이동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핀들 드라이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축방향 및/또는 접선 방향 이동 과정에서 상기 하우징 튜브(14a)의 상기 튜브 섹션(16)은 상기 하우징 튜브(14)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고 및/또는 상기 가이드 튜브(13)의 상기 튜브 섹션(16)은 상기 가이드 튜브(13)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튜브(14a)의 상기 튜브 섹션(16)과 상기 가이드 튜브(13)의 상기 튜브 섹션(16)은 래칭 연결(19)을 통해 축방향으로 폼-피팅 결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래칭 연결은, 조립 이동 동안 상기 하우징 튜브(14a) 전체가 상기 가이드 튜브(13)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하나의 튜브 섹션(16), 특히 상기 가이드 튜브(13)의 상기 튜브 섹션(16)을 형성하는 탄성 벤딩 빔(16b)의 원위 단부에서 방사 방향으로 돌출하고 조립 이동의 적어도 일부 동안 다른 튜브 섹션(16), 특히 상기 하우징 튜브(14a)의 튜브 섹션(16)의 할당된 핀 가이드 홈(31)에서 작동하는 핀(20)은, 제1 부분 이동 시 그 기본 위치에서 다른 튜브 섹션(16), 특히 상기 하우징 튜브(14a)의 튜브 섹션(16)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후속하는, 특히 바로 후속하는 제2 부분 이동 시 그 기본 위치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편향된 위치로 이동되고,
    후속하는, 특히 바로 후속하는 제3 부분 이동 시 편향된 위치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그 기본 위치를 향해, 특히 그 기본 위치 내에까지 이동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핀들 드라이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분 이동은, 상기 스핀들-스핀들 너트 기어 장치(7)가 사전 조립 유닛을 형성하도록 사전 조립되는 사전 조립 단계와 관련해서 수행될 수 있고, 사전 조립된 상기 스핀들-스핀들 너트 기어 장치(7)와 특히 사전 조립 유닛을 형성하도록 사전 조립된 상기 구동 유닛(2) 사이의 축방향 고정식 연결은 부분 이동에 후속하는 최종 조립 단계에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최종 조립 단계에서 형성된 축방향 고정식 연결은 재료 결합 방식, 폼-피팅 결합 방식 및/또는 비 폼-피팅 결합 방식의 연결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최종 조립 단계에서 형성된 축방향 고정식 연결은 상기 모터 측 구동 섹션(1a)에 대한 축방향 고정식 하우징 튜브(14a)와 상기 가이드 튜브(13) 사이의 용접 연결 및/또는 접착 연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핀들 드라이브.
KR1020237036368A 2021-03-24 2022-03-24 자동차의 폐쇄 부재용 스핀들 드라이브 KR202301595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07376.6 2021-03-24
DE102021107376.6A DE102021107376A1 (de) 2021-03-24 2021-03-24 Spindelantrieb für ein Verschlusselement eines Kraftfahrzeugs
PCT/EP2022/057788 WO2022200508A1 (de) 2021-03-24 2022-03-24 Spindelantrieb für ein verschlusselement eines kraftfahrzeu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588A true KR20230159588A (ko) 2023-11-21

Family

ID=81326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6368A KR20230159588A (ko) 2021-03-24 2022-03-24 자동차의 폐쇄 부재용 스핀들 드라이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75307A1 (ko)
EP (1) EP4314461A1 (ko)
JP (1) JP2024513361A (ko)
KR (1) KR20230159588A (ko)
CN (1) CN117083444A (ko)
DE (1) DE102021107376A1 (ko)
WO (1) WO20222005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10759B (zh) * 2021-12-22 2023-08-01 信昌機械廠股份有限公司 電動支撐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23116D0 (en) * 1999-10-01 1999-12-01 Franksson Gretar Linear actuator
DE102008062391A1 (de) * 2008-12-17 2010-06-24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Spindelantrieb für ein Verstellelement eines Kraftfahrzeugs
DE102017117993A1 (de) 2017-08-08 2019-02-1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Spindelantrieb für ein Verschlusselement eines Kraftfahrzeugs
DE102019101070A1 (de) * 2019-01-16 2020-07-16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Antriebsanordnung zur Verstellung eines Verstellelements eines Kraftfahrzeugs
DE102019112682A1 (de) * 2019-05-15 2020-11-19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Spindelantrieb für ein Verschlusselement eines Kraft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3361A (ja) 2024-03-25
US20240175307A1 (en) 2024-05-30
CN117083444A (zh) 2023-11-17
WO2022200508A1 (de) 2022-09-29
EP4314461A1 (de) 2024-02-07
DE102021107376A1 (de)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9513B1 (en) Adjusting device having a spindle drive
US8596153B2 (en) Drive device
US7681469B2 (en) Drive device
US9021905B2 (en) Driving device
JP5156213B2 (ja) 組合せ常用及び駐車ブレーキ装置
US11142938B2 (en) Spindle drive assembly and vehicle flap with a spindle drive assembly
WO2014061599A1 (ja) プーリ装置
US11480003B2 (en) Spindle drive assembly and vehicle flap with a spindle drive assembly
JP2007331699A (ja) 自動車の開口の閉鎖部品作動装置
KR20230159588A (ko) 자동차의 폐쇄 부재용 스핀들 드라이브
US11480004B2 (en) Spindle drive assembly and vehicle flap with a spindle drive assembly
JP2015529757A (ja) スピンドル駆動装置
US10965187B2 (en) Motor-transmission arrangement for an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wo components adjustable relative to each other
CN112922980A (zh) 用于机动车的机电的制动装置
CN113677864B (zh) 动力传动系
CN114207238A (zh) 用于机动车辆的封闭元件的主轴驱动器
US20210164282A1 (en) Spindle drive for a closure element of a motor vehicle
US20080041680A1 (en) Bend-resistant piston/cylinder unit
CN115706488A (zh) 用于可调节的车辆翻板的驱动装置
US20230175302A1 (en) Spindle drive for a closure element of a motor vehicle
US20080047201A1 (en) Powered sliding device for vehicle sliding memb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powered sliding device
EP3686461A1 (en) Actuator for a motor vehicle
JP4620096B2 (ja) 車両ドア動作機構
US20230151863A1 (en) Actuator assembly for a vehicle brake and electromechanical vehicle brake
EP3045753B1 (en) Bearing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