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9009A -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59009A KR20230159009A KR1020220058832A KR20220058832A KR20230159009A KR 20230159009 A KR20230159009 A KR 20230159009A KR 1020220058832 A KR1020220058832 A KR 1020220058832A KR 20220058832 A KR20220058832 A KR 20220058832A KR 20230159009 A KR20230159009 A KR 202301590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rotation
- module
- vehicle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51 empirical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35—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slide as a who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60N2/162—Scissors-lik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실내에 장착된 레일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결합 모듈, 상기 결합 모듈에 마련된 중심 축과 연결되며, 상기 중심 축을 기준으로, 축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모듈, 상기 결합 모듈에 결합되며, 축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 링크를 구비하는 회전 가이드 및 상기 회전 모듈 및 상기 회전 링크와 각각 축 결합되고, 상기 회전 모듈이 축 회전함에 따라 연동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축 회전하는 상기 회전 링크를 통하여, 설정된 초기 위치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유아용 시트 장착 시,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며, 필요에 따라 높이 조절 또한 가능하게 하는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12 인승 또는 9 인승 형태의 RV 차량이 많이 출시되고 있으며, 차량의 고급화 경향에 따라, 2 열의 경우, 한 사람씩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독립 시트들이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2 열 독립 시트들은 차량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를 뒤로 이동시켜 충분한 무릎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레일을 길게 설치하면 다리를 쭉 펼 수 있는 편안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2 열 독립 시트 사이로 이동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독립 시트들을 도어에 가깝게 설치해야 하는 차량의 경우, 특히 도어의 후방에서는 실내가 좁아지는 구조를 가진 차량의 경우에는 레일을 길게 설치한다 하더라도 전, 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2 열 시트용 레일은 3 열 또는 4 열 시트용 레일과 분리되어 바닥에 짧게 설치되나, 2 열 독립 시트들은 도어에 너무 가깝게 설치되어 팔 거동이 불편하고, 겨울철에는 어깨가 추워지는 등 여러 가지 불편을 초래하므로, 기존의 바닥 레일을 뜯어내고, 2 열 독립 시트들 사이에 이동 통로가 없도록 길게 연장된 4 개의 레일을 설치하는 튜닝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기존 레일 바닥을 뜯어내지 않으면서, 시트를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하부 프레임이 설치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 할 수 밖에 없다.
특히, 유아용 시트를 장착하여 영유아가 차량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도어를 향하여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면, 차량의 외부에서 영유아를 탑승시키기 위하여 보호자가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므로, 허리 등의 통증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전후 방향 뿐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은 필요할 수 있다.
아울러, 유아용 시트를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면, 영유아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로 주행 시, 보호자와 가까운 위치로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영유아 케이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실내에 장착된 레일에 결합되는 회전 모듈과, 회전 모듈에 대하여 복수의 링크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이동 플레이트를 장착하여, 이동 플레이트에 대한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며, 이동 플레이트에 유아용 시트를 장착하는 경우, 도어 측으로 이동 플레이트를 회전 이동시켜, 영유아를 탑승시키는 과정에서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자 측으로 이동 플레이트를 회전 이동시킴에 따라서는 영유아에 대한 안정적인 케어가 이루어지게 하는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는 차량 실내에 장착된 레일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결합 모듈, 상기 결합 모듈에 마련된 중심 축과 연결되며, 상기 중심 축을 기준으로, 축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모듈, 상기 결합 모듈에 결합되며, 축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 링크를 구비하는 회전 가이드 및 상기 회전 모듈 및 상기 회전 링크와 각각 축 결합되고, 상기 회전 모듈이 축 회전함에 따라 연동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축 회전하는 상기 회전 링크를 통하여, 설정된 초기 위치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 가이드는 상기 결합 모듈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 링크가 축 결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대한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는 고정 지지 축을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 지지 축과, 상기 회전 모듈에 돌출되게 설치된 결합 가이드 축이 선택적으로 삽입되게 형성되는 가이드 홀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홀은 호 형상을 가진 제1 가이드 홀 및 제2 가이드 홀이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 홀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대한 좌측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 시 상기 고정 지지 축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홀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대한 우측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 시 상기 결합 가이드 축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유아용 시트가 상면에 장착되기 복수의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높이 조절 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 모듈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설치된 장착 플레이트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이 회전 축에 의해 연결되어 절첩되게 형성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와 동일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링크와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가 절첩됨에 따라 대응하며 높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편의 장비가 장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장착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높이 조절 모듈은 상기 제1링크와 동일 구조한 구조를 가지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가 절첩됨에 따라 함께 절첩되게 형성되는 보조 링크 및 상기 제1링크, 상기 제2링크 및 상기 보조 링크에 구비된 각각의 회전 축을 서로 연결하여, 절첩에 따른 높이 조절을 가이드 하는 링크 가이드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높이 조절 모듈은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제1링크와 맞물리도록 결합되고, 구동 시 상기 제1링크의 각도를 가변시켜 상기 제2링크 및 상기 보조 링크가 연속적으로 절첩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은, 차량 실내에 장착된 레일에 결합되는 회전 모듈과, 회전 모듈에 대하여 복수의 링크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이동 플레이트를 장착하여, 이동 플레이트에 대한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며, 이동 플레이트에 유아용 시트를 장착하는 경우, 도어 측으로 이동 플레이트를 회전 이동시켜, 영유아를 탑승시키는 과정에서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자 측으로 이동 플레이트를 회전 이동시킴에 따라서는 영유아에 대한 안정적인 케어가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승객이 탑승하지 않은 시트 위치의 대해서는 그 상부에 높이 조절 플레이트를 장착하여, 테이블, 의류 보관함 등과 같은 각종 편의 장비를 효과적으로 탑재 및 고정시킬 수 있고, 사용자에 맞게 선택적으로 높이를 조절하여, 편의 장비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유아용 시트 장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에 대한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 이동의 일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에 대한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 이동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테이블 장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에 대한 높이 조절 모듈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에 대한 높이 조절 모듈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에 대한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 이동의 일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에 대한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 이동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테이블 장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에 대한 높이 조절 모듈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에 대한 높이 조절 모듈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유아용 시트 장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에 대한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 이동의 일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4a 및 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에 대한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 이동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테이블 장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최근, 운전자가 직접적으로 운전하지 않아도 되는 자율주행 차량의 개발 및 실증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차량이 단순한 교통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을 뛰어넘어, 움직이는 생활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차량의 실내 공간을 활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목적을 가진 시트 모듈이 필수 적용 기술로 부상되고 있다.
특히, 자율주행 차량에 적용되는 시트 모듈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및 보조석에 마련된 레일(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운전자 또는 승객이 탑승하기 위한 시트가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트는 유아용 시트(10)를 장착하여 영유아가 탑승하게 할 수 있지만, 이를 위해 보호자가 아이를 안고 허리를 숙인 상태에서 유아용 시트(10)에 태워야 하기 때문에, 허리 통증을 유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적인 제약에 의해 별도로 추가된 편의 장비의 장착이 어려워, 만일 모든 좌석에 승객이 탑승하지 않을 경우, 미사용 되어 방치된 좌석에 대한 활용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는 복수의 시트 장착 위치 중, 유아용 시트(10)가 장착되기 위한 어느 하나의 장착 위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도 1 참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모듈(100), 회전 모듈(200), 회전 가이드(300) 및 회전 플레이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모듈(100)은 차량 실내에 장착된 레일(1)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 모듈(200)은 결합 모듈(100)에 상부에 장착, 결합 모듈(100)에 마련된 중심 축(100a)과 연결되며, 중심 축(100a)을 기준으로 하여 양방향을 따라 축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회전 모듈(200)의 일측은 중심 축(100a)에 결합되고, 타측은 회전 플레이트(400)의 회전 축(400a)에 결합되어, 각각의 회전 축(100a, 400a)을 따라 축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 가이드(300)는 결합 모듈(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회전 모듈(200)이 중심 축(100a)을 따라 회전하면, 회전 플레이트(400)에 연결되어 축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 링크(310)를 구비함에 따라, 회전 모듈(200)과 함께 회전 링크(310)가 축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즉, 회전 링크(310)는 일측이 회전 가이드(300)에 구비된 회전 축(300a)에 축 결합되고, 타측이 회전 플레이트(400)에서 회전 축(400a)과 이격 배치된 회전 축(400b)에 축 결합된다.
다시 말해, 회전 가이드(300)는 결합 모듈(200)의 일측에 장착되며, 회전 링크(310)가 축 결합되는 본체(320) 및 이러한 본체(320)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회전 플레이트(400)에 삽입되어, 회전 플레이트(400)에 대한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는 고정 지지 축(320)을 구비한다.
그에 따라, 회전 모듈(200)이 축 회전하면, 회전 링크(310) 또한 연동하여 회전 축(300a)을 기준으로 함께 축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각각의 회전 축(400a, 400b)이 회전 플레이트(4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회전 모듈(200)의 축 회전 및 그에 따른 회전 링크(310)의 회전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400) 변위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결국, 회전 플레이트(400)는 회전 모듈(200) 및 회전 링크(310)와 각각 축 결합되고, 회전 모듈(200)이 축 회전함에 따라, 이와 연동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축 회전하는 회전 링크(310)를 통해, 설정된 초기 위치, 더 구체적으로는 레일(1)의 중심에 해당하는 위치를 기준으로(도 2 참조),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 이동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회전 플레이트(400)는 회전 가이드(300)의 본체(310)에 설치된 고정 지지 축(330)과, 회전 모듈(200)에 돌출 설치된 결합 가이드 축(210)이 선택적으로 삽입되게 형성되는 가이드 홀(H)을 구비한다.
이러한 가이드 홀(H)은 회전 플레이트(400)의 회전 이동 반경에 대응하도록 소정 곡률을 가진 호(arc)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 지지 축(330) 및 결합 가이드 축(210)이 이동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내부에 위치될 수 있게 제1 가이드 홀(H1) 및 제2 가이드 홀(H2)이 서로 교차되어 이루어진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1 가이드 홀(H1)은 회전 플레이트(400)에 대한 좌측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 시 고정 지지 축(330)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제2 가이드 홀(H2)은 회전 플레이트(400)에 대한 우측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 시 결합 가이드 축(210)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회전 플레이트(40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어(도 1 참조), 예를 들어 유아용 시트(10)가 상면에 장착되기 위한 복수의 고정수단(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고정수단(미도시)을 통해 유아용 시트(10)가 고정된 상태임을 가정하여, 전술된 구성을 바탕으로, 유아용 시트(10)에 대한 좌우 방향으로 회전 이동에 따른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에서 회전 모듈(200)이 회전 축(100a)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축 회전하게 되면, 회전 축(300a)을 기준으로, 회전 링크(310)가 동일한 방향으로 축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제1회전 축(400a) 및 제2회전 축(400b)을 중심으로 회전 플레이트(400)가 좌측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고, 여기서 고정 지지 축(300)은 제1 가이드 홀(H1)에 삽입된 상태가 되며(결합 가이드 축(210)은 가이드 홀(H)에서 이탈), 따라서 회전 플레이트(400)가 제1 가이드 홀(H1)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회전 플레이트(400)가 초기 위치에서 좌측으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 플레이트(400)가 초기 위치에서 좌측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플레이트(400)에 장착된 유아용 시트(10)가 보호자가 탑승한 시트 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유아용 시트(10)에 탑승한 영유아에 대한 케어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에서 회전 모듈(200)이 회전 축(100a)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축 회전하게 되면, 회전 축(300a)을 기준으로, 회전 링크(310)가 동일한 방향으로 축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제1회전 축(400a) 및 제2회전 축(400b)을 중심으로 회전 플레이트(400)가 우측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고, 여기서 결합 가이드 축(210)은 제2 가이드 홀(H2)에 삽입된 상태가 되며(고정 지지 축(300)은 가이드 홀(H)에서 이탈), 따라서 회전 플레이트(400)가 제2 가이드 홀(H2)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회전 플레이트(400)가 초기 위치에서 우측으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 플레이트(400)가 초기 위치에서 우측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플레이트(400)에 장착된 유아용 시트(10)가 차량 도어 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유아용 시트(10)에 영유아를 용이하게 탑승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차량의 외부에서 영유아를 탑승시키기 위해 보호자가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므로, 허리 등의 통증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400)에는 유아용 시트 외에 다른 복수의 편의 장비가 장착될 수도 있는데,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400)에 테이블(20)이 고정 및 장착되게 함으로써, 자율주행 차량에 적용되는 1 열, 2 열 시트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에서, 테이블(20)을 이용할 수 있게 하여, 탑승자로 하여금 편의성이 향상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400)에 의류 보관함이 고정, 장착되게 함으로써, 탑승자의 의류 및 신발 등의 보관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의류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 의류 보관함을 교체하여 재장착 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면서도, 건조 및 히팅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여 편의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에 대한 높이 조절 모듈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에 대한 높이 조절 모듈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는 회전 플레이트(400)에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높이 조절 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 조절 모듈(500)은 제1링크(510), 제2링크(520) 및 장착 플레이트(P)을 구비한다.
제1링크(510)는 회전 플레이트(400)에 설치된 장착 플레이트(410)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연결 축(510a)을 통해 연결되며, 또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이 회전 축(510a)에 의해 연결되어 절첩되게 형성된다.
제2링크(520)는 제1링크(510)와 동일 구조, 즉 연결 축(520a)을 통해 마주한 각각이 서로 연결되고, 한 쌍이 회전 축(520b)에 의해 연결되어 절첩되게 형성되며, 장착 플레이트(4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제1링크(510)와 교차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장착 플레이트(P)는 제1링크(510) 및 제2링크(520)와 후술 될 보조 링크(53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링크(510) 및 제2링크(520), 보조 링크(530)가 연속적으로 절첩됨에 따라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높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되고, 그 상부에 선택적으로 편의 장비가 장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장착 플레이트(P)에는 유아용 시트(10)가 장착될 수 있어 유아용 시트(10)를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 또한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전술된 바와 같이, 테이블(20) 또는 의류 보관함 등이 장착되어, 탑승자의 요청에 따라 높이를 조절,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높이 조절 모듈(500)는 보조 링크(530), 링크 가이드(540) 및 구동 모터(5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링크(530)는 제1링크(510)와 동일 구조한 구조 및 장착 각도를 가지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링크(510) 및 제2링크(520)가 절첩됨에 따라 함께 절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보조 링크(530)는 제1링크(510) 및 제2링크(520)를 이용한 높이 조절 시, 링크 구조에 의해 좌우 이동이나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구조적으로 보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링크 가이드(540)는 제1링크(510), 제2링크(520) 및 보조 링크(530)에 구비된 각각의 회전 축(510b, 520b, 530a)을 서로 연결하여, 절첩에 따른 높이 조절을 가이드 한다.
다시 말해, 링크 가이드(540)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제1링크(510) 및 보조 링크(530)의 회전 축(510b, 530a)을 함께 고정하며, 장착 플레이트(P)의 높이 조절 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슬롯(540a)을 따라, 제2링크(520)의 회전 축(520b)이 왕복 이동하게 하여, 추가된 보조 링크(530)에 대한 균형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장착 플레이트(P)에 대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아울러, 구동 모터(550)는 장착 플레이트(410)에 장착되어 제1링크(510)와 기어 이(미도시)를 통해 맞물리게 결합되고, 구동 시, 제1링크(510)의 각도를 조절 가이드(550a)를 따라 가변시켜, 장착 가이드(P)의 높이 조절을 위해 제2링크(520) 및 보조 링크(530)가 연속적으로 절첩되도록 동력을 전달한다.
그에 따라, 맞물리게 결합된 기어 이(미도시)에 의해 결합 가이드(P)의 높이 조절 시, 조절 가이드(550a) 내에서 미세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실내에 장착된 레일에 결합되는 회전 모듈과, 회전 모듈에 대하여 복수의 링크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이동 플레이트를 장착하여, 이동 플레이트에 대한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며, 이동 플레이트에 유아용 시트를 장착하는 경우, 도어 측으로 이동 플레이트를 회전 이동시켜, 영유아를 탑승시키는 과정에서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자 측으로 이동 플레이트를 회전 이동시킴에 따라서는 영유아에 대한 안정적인 케어가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승객이 탑승하지 않은 시트 위치의 대해서는 그 상부에 높이 조절 플레이트를 장착하여, 테이블, 의류 보관함 등과 같은 각종 편의 장비를 효과적으로 탑재 및 고정시킬 수 있고, 사용자에 맞게 선택적으로 높이를 조절하여, 편의 장비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 : 레일
10 : 유아용 시트
20 : 테이블 100 : 결합 모듈
200 : 회전 모듈 210 : 결합 가이드 축
300 : 회전 가이드 310 : 회전 링크
320 : 본체 330 : 고정 지지 축
400 : 회전 플레이트 410 : 장착 플레이트
500 : 높이 조절 모듈 510 : 제1링크
520 : 제2링크 530 : 보조 링크
540 : 링크 가이드 550 : 구동 모터
550a : 조절 가이드 H : 가이드 홀
H1 : 제1 가이드 홀 H2 : 제2 가이드 홀
P : 장착 가이드
20 : 테이블 100 : 결합 모듈
200 : 회전 모듈 210 : 결합 가이드 축
300 : 회전 가이드 310 : 회전 링크
320 : 본체 330 : 고정 지지 축
400 : 회전 플레이트 410 : 장착 플레이트
500 : 높이 조절 모듈 510 : 제1링크
520 : 제2링크 530 : 보조 링크
540 : 링크 가이드 550 : 구동 모터
550a : 조절 가이드 H : 가이드 홀
H1 : 제1 가이드 홀 H2 : 제2 가이드 홀
P : 장착 가이드
Claims (10)
- 차량 실내에 장착된 레일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결합 모듈;
상기 결합 모듈에 마련된 중심 축과 연결되며, 상기 중심 축을 기준으로, 축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모듈;
상기 결합 모듈에 결합되며, 축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 링크를 구비하는 회전 가이드; 및
상기 회전 모듈 및 상기 회전 링크와 각각 축 결합되고, 상기 회전 모듈이 축 회전함에 따라 연동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축 회전하는 상기 회전 링크를 통하여, 설정된 초기 위치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는,
상기 결합 모듈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 링크가 축 결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대한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는 고정 지지 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 지지 축과, 상기 회전 모듈에 돌출되게 설치된 결합 가이드 축이 선택적으로 삽입되게 형성되는 가이드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호 형상을 가진 제1 가이드 홀 및 제2 가이드 홀이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홀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대한 좌측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 시 상기 고정 지지 축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홀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대한 우측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 시 상기 결합 가이드 축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유아용 시트가 상면에 장착되기 복수의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높이 조절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모듈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설치된 장착 플레이트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이 회전 축에 의해 연결되어 절첩되게 형성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와 동일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링크와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가 절첩됨에 따라 대응하며 높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편의 장비가 장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장착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모듈은,
상기 제1링크와 동일 구조한 구조를 가지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가 절첩됨에 따라 함께 절첩되게 형성되는 보조 링크; 및
상기 제1링크, 상기 제2링크 및 상기 보조 링크에 구비된 각각의 회전 축을 서로 연결하여, 절첩에 따른 높이 조절을 가이드 하는 링크 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모듈은,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제1링크와 맞물리도록 결합되고, 구동 시 상기 제1링크의 각도를 가변시켜 상기 제2링크 및 상기 보조 링크가 연속적으로 절첩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8832A KR102666720B1 (ko) | 2022-05-13 | 2022-05-13 |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8832A KR102666720B1 (ko) | 2022-05-13 | 2022-05-13 |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59009A true KR20230159009A (ko) | 2023-11-21 |
KR102666720B1 KR102666720B1 (ko) | 2024-05-17 |
Family
ID=88982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58832A KR102666720B1 (ko) | 2022-05-13 | 2022-05-13 |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6720B1 (ko)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29283A (en) * | 1976-02-02 | 1977-06-14 |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 Seat supporting assembly |
JPS5239327B2 (ko) * | 1971-10-16 | 1977-10-04 | ||
JPH03107079U (ko) * | 1990-02-22 | 1991-11-05 | ||
JP3028810B1 (ja) * | 1998-12-11 | 2000-04-04 | トヨタ車体株式会社 | 車両用回転座席のスライドロック装置 |
EP0985576B1 (en) * | 1998-09-10 | 2006-03-22 | Toyota Shatai Kabushiki Kaisha | Rotating vehicle seat |
JP4453030B2 (ja) * | 2003-11-18 | 2010-04-21 | トヨタ車体株式会社 | 揺動装置 |
KR101268464B1 (ko) * | 2011-10-13 | 2013-06-04 | 모터웰 주식회사 | 리프트 시트 |
CN204526878U (zh) * | 2015-01-09 | 2015-08-05 |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 座椅高度调节装置及使用该高度调节装置的汽车座椅 |
KR101570000B1 (ko) * | 2014-06-17 | 2015-11-27 | 이지영 | 카시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아이소픽스 베이스 |
KR20200133454A (ko) * | 2019-05-20 | 2020-11-3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시트의 부분 스위블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239327B2 (ja) | 2007-12-21 | 2013-07-17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乗り物用シート |
-
2022
- 2022-05-13 KR KR1020220058832A patent/KR10266672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39327B2 (ko) * | 1971-10-16 | 1977-10-04 | ||
US4029283A (en) * | 1976-02-02 | 1977-06-14 |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 Seat supporting assembly |
JPH03107079U (ko) * | 1990-02-22 | 1991-11-05 | ||
EP0985576B1 (en) * | 1998-09-10 | 2006-03-22 | Toyota Shatai Kabushiki Kaisha | Rotating vehicle seat |
JP3028810B1 (ja) * | 1998-12-11 | 2000-04-04 | トヨタ車体株式会社 | 車両用回転座席のスライドロック装置 |
JP4453030B2 (ja) * | 2003-11-18 | 2010-04-21 | トヨタ車体株式会社 | 揺動装置 |
KR101268464B1 (ko) * | 2011-10-13 | 2013-06-04 | 모터웰 주식회사 | 리프트 시트 |
KR101570000B1 (ko) * | 2014-06-17 | 2015-11-27 | 이지영 | 카시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아이소픽스 베이스 |
CN204526878U (zh) * | 2015-01-09 | 2015-08-05 |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 座椅高度调节装置及使用该高度调节装置的汽车座椅 |
KR20200133454A (ko) * | 2019-05-20 | 2020-11-3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시트의 부분 스위블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66720B1 (ko) | 2024-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16643B2 (ja) | コンパクトな座席装置 | |
KR100836500B1 (ko) |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 |
CN101495342B (zh) | 车辆座椅装置 | |
KR101034307B1 (ko) | 자동차의 파워 롱 슬라이드 리어시트 | |
CN207972552U (zh) | 用于电动座椅的动力传输装置 | |
CN102371918A (zh) | 育儿器具的座席构造 | |
KR20130032599A (ko) |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 | |
KR102666720B1 (ko) |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 | |
JP4873288B2 (ja) | 車両用シート装置 | |
KR20120004955U (ko) |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 |
KR20110054531A (ko) |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 |
KR100506678B1 (ko) | 차량용 시트 상하 조절장치의 모터 및 기어박스 지지구조 | |
KR20180110599A (ko) | 양발 익스텐션 시트 | |
KR100580000B1 (ko) | 자동차용 시트의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 | |
JPH07352Y2 (ja) | 車両用シートのリフター装置 | |
KR20230155088A (ko) |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 | |
KR100461113B1 (ko) |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장치 | |
KR200213846Y1 (ko) | 자동차용 시트볼스터 | |
KR20120136562A (ko) |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 |
CN101905666B (zh) | 一种多用座椅 | |
KR200238671Y1 (ko) | 자동차용 다리 받침대 | |
JPH06135273A (ja) | 子供用シート付自動車用リヤシート | |
KR100196175B1 (ko) | 자동차용 시트 | |
KR20110002194U (ko) | 보조의자를 구비한 4륜 구동차량 | |
JP4742739B2 (ja) | 車両用シー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