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088A -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088A
KR20230155088A KR1020220054526A KR20220054526A KR20230155088A KR 20230155088 A KR20230155088 A KR 20230155088A KR 1020220054526 A KR1020220054526 A KR 1020220054526A KR 20220054526 A KR20220054526 A KR 20220054526A KR 20230155088 A KR20230155088 A KR 20230155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lining
swivel
child seat
bracke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병선
이태훈
김승현
김지환
나선채
김상호
박상훈
백정인
장용철
이인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폴레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폴레드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4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5088A/ko
Priority to US18/080,541 priority patent/US20230356633A1/en
Priority to CN202310008314.5A priority patent/CN117002355A/zh
Publication of KR20230155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08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69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with a transversal pin displaced by a slot or a cam along a predetermined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블 구동장치에 의한 차일드 시트의 스위블 조절과, 리클라이닝 구동장치에 의한 차일드 시트의 리클라이닝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들의 착석 편의성 및 편안한 자세로의 전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MOTOR DRIVEN CHILD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일드 시트의 리클라이닝 조절 및 스위블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는 유아(예, 6세 미만)의 탑승시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것이 법제화됨에 따라 차일드 시트의 보급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차일드 시트는 시트 포지션 조절이 어려운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성인 입장에서 유아를 안아서 차일드 시트에 착석시키는 동작에서의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또한 유아들이 착석을 거부하거나 착석 후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리어 시트에 차일드 시트가 차량의 정면을 향하여 고정된 상태로 장착됨에 따라, 성인이 아이를 안은 채 허리를 숙이면서 차일드 시트에 착석시켜야 하고, 또 아이의 자세를 차량의 정면 방향을 향하도록 교정시킴과 함께 차일드 시트의 안착부에 맞게 조절해야 하므로, 성인 입장에서 매우 불편함을 느낄 수 밖에 없다.
또한, 기존의 매뉴얼 스위블 기능을 갖는 차일드 시트라 하더라도, 성인이 아이를 안고 있는 상태에서 차일드 시트에 대한 매뉴얼 조작을 하는데 불편함이 있고, 마찬가지로 차일드 시트에 유아를 착석시키는데 불편함을 느낄 수 밖에 없다.
또한, 차량의 주행 중 기존의 차일드 시트에 착석한 유아가 잠을 자거나 한 자세로 계속 유지되는 등의 불편한 점을 감안하여, 유아의 자세를 더 편안한 자세로 변경해주고 싶을 때, 차량을 주정차한 후 운전자인 성인이 뒷좌석에 직접 가서 유아의 자세를 변경해주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일드 시트의 리클라이닝 조절 및 스위블 조절이 전동식의 메커니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들의 착석 편의성 및 편안한 자세로의 전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위에 안착되는 구조로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스위블 구동장치; 상기 스위블 구동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위블 브라켓; 상기 스위블 브라켓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블 플레이트;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의 양측부에 장착되는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 상기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에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차일드 시트의 골격프레임에 장착되는 리클라이닝 프레임; 및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의 리클라이닝 작동을 위하여 상기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 및 리클라이닝 프레임에 걸쳐 장착되는 리클라이닝 구동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판에는 원형의 스위블 플레이트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는 가이드핀이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안착홈 바닥에는 상기 가이드핀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판에는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의 상면쪽으로 절곡되어 배치되는 이탈방지용 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이탈방지용 브라켓의 선단부에서 그 저면부에는 스위블 플레이트의 상면에 밀착되는 유격해소용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블 구동장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판에 장착되는 스위블용 모터; 상기 스위블용 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되는 구동기어; 상기 스위블 브라켓의 중앙부에 체결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스위블 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판에는 구동기어를 위쪽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스위블용 모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모터 마운팅 브라켓이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모터 마운팅 브라켓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기어의 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동기어 보호용 브라켓이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클라이닝 구동장치는: 상기 스위블 브라켓에 제2모터 마운팅 브라켓에 의해 장착되는 리클라이닝용 모터; 상기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에 장착되어, 상기 리클라이닝용 모터의 출력축과 연결되는 감속장치; 및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감속장치의 출력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에는 리클라이닝 방향을 안내하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에는 상기 슬롯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핀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속장치는: 상기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의 내면에 이격되게 장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과 지지프레임 간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리클라이닝용 모터의 출력축과 연결되는 입력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출력기어 간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어열;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스위블 구동장치에 의한 차일드 시트의 스위블 조절과, 리클라이닝 구동장치에 의한 차일드 시트의 리클라이닝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들의 착석 편의성 및 편안한 자세로의 전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차일드 시트에 착석한 유아가 잠을 자거나 한 자세로 계속 유지되는 점을 감안하여 유아의 자세를 더 편안한 자세로 변경해주고 싶을 때, 운전 중인 운전자가 스위치 조작만으로 차일드 시트의 리클라이닝 조절이 가능한 편리한 점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차일드 시트를 승하차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차일드 시트에 대한 유아의 착석 또는 하차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의 스위블 조절을 위한 구성들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의 스위블 구동장치 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의 리클라이닝 조절을 위한 구성들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의 스위블 회전판과 스위블 고정판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의 스위블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의 후방 리클라이닝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의 후방 리클라이닝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 도 2a 및 도 2b,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각 도면에서 도면부호 10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시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차량용 시트(특히, 리어시트의 시트쿠션)에 안착되는 하판(11)과, 중앙에 홀이 형성된 상판(12)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판(11)과 상판(12)의 테두리 부분이 서로 체결되어 하판(11)과 상판(12) 사이에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 위에 원형 링 형상을 갖는 스위블 플레이트(20)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고, 이 스위블 플레이트(20)의 내경부에는 스위블 브라켓(30)이 일체로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판(12)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20)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홈(13)이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20)의 소정 위치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핀(21)이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판(12)에 형성된 안착홈(13)의 바닥에는 상기 가이드핀(21)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14)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20)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안착홈(13)을 따라 회전될 수 있고, 특히 상기 가이드핀(21)이 스위블 플레이트(20)의 회전시 상기 안착홈(13)의 바닥에 형성된 가이드홈(1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됨으로써, 스위블 플레이트(20)의 회전 궤적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판(11)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절곡된 형상을 갖는 이탈방지용 브라켓(15)이 더 장착되고, 이 이탈방지용 브라켓(15)의 선단부는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20)의 상면쪽으로 절곡되어 배치된다.
이에, 상기 이탈방지용 브라켓(15)의 선단부가 스위블 플레이트(20)의 상면에 거의 밀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스위블 플레이트(20)의 상방향 움직임을 구속하게 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로부터 스위블 플레이트(20)가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스위블 플레이트(20)의 회전시 이탈방지용 브라켓(14)과의 상하방향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탈방지용 브라켓(15)의 선단부에서 그 저면부에는 스위블 플레이트(20)의 상면에 밀착되는 유격해소용 돌기(16)가 일체로 사출 형성된다.
이에,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20)의 회전시 이탈방지용 브라켓(14)의 유격해소용 돌기(16)가 스위블 플레이트(20)의 상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스위블 플레이트(20)의 회전시 이탈방지용 브라켓(14)과의 상하방향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스위블 플레이트(20)의 회전 궤적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에는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20)의 내경부에 장착된 스위블 브라켓(3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위블 구동장치(40)가 장착된다.
상기 스위블 구동장치(40)는 도 1,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판(11)에 장착되는 스위블용 모터(41)와, 이 스위블용 모터(41)의 출력축에 장착되는 구동기어(42)와, 상기 스위블 브라켓(30)의 중앙홀에 삽입 체결되는 드럼(43)과, 이 드럼(43)의 하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42)와 맞물리는 스위블 기어(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스위블용 모터(41)가 구동되는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42)가 회전될 때, 이 구동기어(42)와 맞물린 상기 스위블 기어(44)가 회전됨과 함께 스위블 기어(44)가 형성된 드럼(43)도 회전을 하게 되고, 연이어 드럼(43)이 체결된 스위블 브라켓(30)이 회전하는 동시에 스위블 브라켓(30)이 장착된 스위블 플레이트(2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블용 모터(41)의 구동시 진동을 흡수함과 함께 상기 구동기어(42)가 일정한 궤적 내에서 회전되어야만 상기 스위블 기어(44) 및 드럼(43)에 회전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판(11)에는 스위블용 모터(41)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모터 마운팅 브라켓(45)이 장착되고, 상기 제1모터 마운팅 브라켓(45)의 상부에는 구동기어 보호용 브라켓(46)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1모터 마운팅 브라켓(45)은 스위블용 모터(41)의 출력축에 장착된 구동기어(42)가 위쪽으로 통과되는 홀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판(11)에 장착된다.
이에, 상기 스위블용 모터(41)를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판(11)에 안착시킴과 함께 상기 제1모터 마운팅 브라켓(45)의 저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구동기어(42)를 제1모터 마운팅 브라켓(45)의 홀을 통과시켜 위쪽으로 돌출되게 배열시킨 다음, 상기 구동기어의 상단부를 구동기어 보호용 브라켓(46)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킴과 함께 구동기어 보호용 브라켓(46)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제1모터 마운팅 브라켓(45)를 지나 스위블용 모터(41)의 몸체부까지 볼트 등이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위블용 모터(41)가 제1모터 마운팅 브라켓(45)에 지지되며 견고하게 고정되어 스위블용 모터(41)의 구동시 진동 등이 흡수될 수 있고, 또한 상기 구동기어(42)의 상단부가 구동기어 보호용 브라켓(4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구동기어(42)가 일정한 궤적 내에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으므로, 결국 상기 스위블용 모터(41) 및 구동기어(42)의 회전력이 상기 스위블 기어(44) 및 드럼(43)으로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20)의 양측부에는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22)이 장착되고, 이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22)에는 차일드 시트의 골격프레임(80)에 장착되는 리클라이닝 프레임(70)이 리클라이닝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70)의 리클라이닝 작동을 위하여 상기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22) 및 리클라이닝 프레임(70) 간에는 리클라이닝 구동장치(50)가 장착된다.
상기 리클라이닝 구동장치(5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블 브라켓(30)의 전단부에 제2모터 마운팅 브라켓(53)에 의해 장착되는 리클라이닝용 모터(51)와, 상기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22)에 장착되어 상기 리클라이닝용 모터(51)의 출력축(52)과 연결되는 감속장치(60)와,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70)에 장착되어 상기 감속장치(60)의 출력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70)에는 리클라이닝 움직임 방향을 안내하는 슬롯(71)이 형성되고, 상기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22)에는 상기 슬롯(7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핀(23)이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속장치(60)는, 상기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22)의 내면에 이격되게 장착되는 지지프레임(24)과, 상기 리클라이닝용 모터(51)의 출력축(52)과 연결됨과 함께 상기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22)과 지지프레임(24)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입력기어(61)와, 상기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22)의 외측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랙기어(54)와 맞물리는 출력기어(63)와, 상기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22)과 지지프레임(24) 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입력기어(61)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상기 출력기어(63)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감속기어열(62)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리클라이닝용 모터(51)가 구동되어 리클라이닝용 모터(51)의 출력축(52)과 연결된 입력기어(61)가 회전되면, 상기 감속기어열(62)에서 입력기어(61)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출력기어(63)로 출력하고, 이 출력기어(63)의 회전력이 랙기어(54)로 전달됨으로써, 랙기어(54)가 리클라이닝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랙기어(54)가 장착된 리클라이닝 프레임(70)도 리클라이닝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국 리클라이닝 프레임(70)이 장착된 골격프레임(80) 및 이 골격프레임(80)을 갖는 차일드 시트의 리클라이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70)의 리클라이닝 작동시,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70)에 형성된 슬롯(71)을 따라 상기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22)에 장착된 슬라이드핀(23)이 슬라이딩되며 리클라이닝 방향을 안내하게 됨으로써, 리클라이닝 프레임(70) 및 골격프레임(80)이 일정한 리클라이닝 궤적을 따라 안정적으로 리클라이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의 조립이 완료되면, 그 외관상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 상기 골격프레임을 갖는 차일드 시트(100)가 리클라이닝 및 스위블 가능하게 안착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전동식 차일드 시트에 대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일드 시트의 스위블 동작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의 스위블 전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의 스위블 조절된 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사용자가 차일드 시트의 스위블 작동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장착되거나, 운전석 전면의 센터페시아 패널에 장착되거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될 수 있는 스위치의 스위블 작동모드를 조작하면, 상기 스위블용 모터(41)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스위블용 모터(41)가 구동되는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42)가 회전하게 되고, 이 구동기어(42)와 맞물린 상기 스위블 기어(44)가 회전됨과 함께 스위블 기어(44)가 형성된 드럼(43)도 회전을 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드럼(43)이 체결된 스위블 브라켓(30)이 회전하는 동시에 스위블 브라켓(30)이 장착된 스위블 플레이트(2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20)이 회전될 때, 스위블 플레이트(20)의 양측부에 장착된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22)과, 이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22)에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연결되는 리클라이닝 프레임(70)과, 이 리클라이닝 프레임(70)이 장착된 차일드 시트의 골격프레임(80) 등이 함께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결국 차일드 시트의 스위블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을 바라보고 있던 차일드 시트(10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쪽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일드 시트(100)를 승하차를 위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차일드 시트에 대한 유아의 착석 또는 하차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차일드 시트의 리클라이닝 동작
첨부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의 리클라이닝 구동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사용자가 차일드 시트의 리클라이닝 작동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장착되거나, 운전석 전면의 센터페시아 패널에 장착되거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될 수 있는 스위치의 리클라이닝 작동모드를 조작하면, 상기 리클라이닝용 모터(51)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리클라이닝용 모터(51)가 구동되어 리클라이닝용 모터(51)의 출력축(52)과 연결된 입력기어(61)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감속기어열(62)에서 입력기어(61)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출력기어(63)로 출력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출력기어(63)의 회전력이 랙기어(54)로 전달됨으로써, 랙기어(54)가 리클라이닝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랙기어(54)가 장착된 리클라이닝 프레임(70)도 리클라이닝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국 리클라이닝 프레임(70)이 장착된 골격프레임(80) 및 이 골격프레임(80)을 갖는 차일드 시트의 리클라이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00)의 골격프레임(80)의 기울기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완만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70)의 리클라이닝 작동시,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70)에 형성된 슬롯(71)을 따라 상기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22)에 장착된 슬라이드핀(23)이 슬라이딩되며 리클라이닝 방향을 안내하게 됨으로써, 리클라이닝 프레임(70) 및 골격프레임(80)이 일정한 리클라이닝 궤적을 따라 안정적으로 리클라이닝될 수 있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에 착석한 유아가 잠을 자거나 한 자세로 계속 유지되는 점을 감안하여 유아의 자세를 더 편안한 자세로 변경해주고 싶을 때, 운전 중인 운전자가 스위치 조작만으로 차일드 시트의 리클라이닝 조절이 가능한 편리한 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 : 베이스 플레이트 11 : 하판
12 : 상판 13 : 안착홈
14 : 가이드홈 15 : 이탈방지용 브라켓
16 : 유격해소용 돌기
20 : 스위블 플레이트 21 : 가이드핀
22 :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 23 : 슬라이드핀
24 : 지지프레임 30 : 스위블 브라켓
40 : 스위블 구동장치 41 : 스위블용 모터
42 : 구동기어 43 : 드럼
44 : 스위블 기어 45 : 제1모터 마운팅 브라켓
46 : 구동기어 보호용 브라켓 50 : 리클라이닝 구동장치
51 : 리클라이닝용 모터 52 : 출력축
53 : 제2모터 마운팅 브라켓 54 : 랙기어
60 : 감속장치 61 : 입력기어
62 : 감속기어열 63 : 출력기어
70 : 리클라이닝 프레임 71 : 슬롯
80 : 골격프레임 100 : 차일드 시트

Claims (11)

  1. 차량의 시트 위에 안착되는 구조로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스위블 구동장치;
    상기 스위블 구동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위블 브라켓;
    상기 스위블 브라켓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블 플레이트;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의 양측부에 장착되는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
    상기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에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차일드 시트의 골격프레임에 장착되는 리클라이닝 프레임; 및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의 리클라이닝 작동을 위하여 상기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 및 리클라이닝 프레임에 걸쳐 장착되는 리클라이닝 구동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판에는 원형의 스위블 플레이트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는 가이드핀이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안착홈 바닥에는 상기 가이드핀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판에는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의 상면쪽으로 절곡되어 배치되는 이탈방지용 브라켓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구동장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판에 장착되는 스위블용 모터;
    상기 스위블용 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되는 구동기어;
    상기 스위블 브라켓의 중앙부에 체결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스위블 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판에는 구동기어를 위쪽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스위블용 모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모터 마운팅 브라켓이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 마운팅 브라켓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기어의 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동기어 보호용 브라켓이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닝 구동장치는:
    상기 스위블 브라켓에 제2모터 마운팅 브라켓에 의해 장착되는 리클라이닝용 모터;
    상기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에 장착되어, 상기 리클라이닝용 모터의 출력축과 연결되는 감속장치; 및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감속장치의 출력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에는 리클라이닝 방향을 안내하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에는 상기 슬롯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핀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감속장치는:
    상기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의 내면에 이격되게 장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리클라이닝 지지브라켓과 지지프레임 간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리클라이닝용 모터의 출력축과 연결되는 입력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출력기어 간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어열;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용 브라켓(15)의 선단부에서 그 저면부에는 스위블 플레이트(20)의 상면에 밀착되는 유격해소용 돌기(16)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
KR1020220054526A 2022-05-03 2022-05-03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 KR2023015508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526A KR20230155088A (ko) 2022-05-03 2022-05-03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
US18/080,541 US20230356633A1 (en) 2022-05-03 2022-12-13 Motor driven child seat for vehicle
CN202310008314.5A CN117002355A (zh) 2022-05-03 2023-01-04 用于车辆的电机驱动儿童座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526A KR20230155088A (ko) 2022-05-03 2022-05-03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088A true KR20230155088A (ko) 2023-11-10

Family

ID=88566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526A KR20230155088A (ko) 2022-05-03 2022-05-03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56633A1 (ko)
KR (1) KR20230155088A (ko)
CN (1) CN117002355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002355A (zh) 2023-11-07
US20230356633A1 (en)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307B1 (ko) 자동차의 파워 롱 슬라이드 리어시트
US5358310A (en) Seat belt device in an automotive seat
JPH04231228A (ja) フットレスト装置
KR102335479B1 (ko) 승합차용 리어 시트 폴딩 장치
KR20230155088A (ko)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
KR100833319B1 (ko) 헤드레스트 전후이동장치
KR102107413B1 (ko) 가변형 차량용 시트
JP7051239B2 (ja) 車両用シート
JPH05301560A (ja) シートベルトのスルーガイド構造
KR0178484B1 (ko) 리어시트의 암 레스트 설치구조
JPS5911796Y2 (ja) 姿勢調節式パワ−シ−ト
JP2951081B2 (ja) シ−トの格納式フットレスト
KR018414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
CN220973991U (zh) 座椅扶手、座椅总成和车辆
CN114889505B (zh) 车辆后排座椅及车辆
CN113119817B (zh) 集成式儿童座椅及汽车座椅
KR200154689Y1 (ko) 차량용헤드레스트위치조절장치
KR200140918Y1 (ko) 시트 쿠션의 조절장치
CN108454478B (zh) 一种座椅及汽车
KR100297135B1 (ko)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KR0184139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
JPH0130928Y2 (ko)
KR200299184Y1 (ko) 유아용 안전시트
KR0140166Y1 (ko) 자동차시트의 요추받침대
KR19980021055A (ko) 자동차 의자의 헤드레스트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