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140B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140B1
KR0184140B1 KR1019960049759A KR19960049759A KR0184140B1 KR 0184140 B1 KR0184140 B1 KR 0184140B1 KR 1019960049759 A KR1019960049759 A KR 1019960049759A KR 19960049759 A KR19960049759 A KR 19960049759A KR 0184140 B1 KR0184140 B1 KR 0184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armrest
seat
seat back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9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0370A (ko
Inventor
남춘우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60049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4140B1/ko
Publication of KR19980030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슬라이더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아암레스트의 높이를 상하로 이동시켜 조절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킨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상부 및 하부에 체결공(18a), (18b)을 지니며, 시트 백(14)의 측면에 부착된 시트 백 브라켓(18)과, 상부 및 하부 고정부(22), (24)를 통해 시트 백 브라켓(18)에 고정되며, 내부의 양측벽에는 가이드 홈(20a)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의 일측면상에는 다수의 구속홈(26)을 지닌 가이드 플레이트(20)와, 가이드 플레이트(20)의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 홈(20a)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것으로, 중앙에는 삽입홀(28a)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나사부(32)를 지닌 슬릿(30)이 형성된 슬라이더(28)와, 슬라이더(28)의 나사부(32)와 치합되는 스플라인(44b)을 지닌 손잡이(44)와, 가이드 플레이트(20)의 구속홈(26)에 삽입되는 치부(36)를 구비하며, 고정핀(38)에 의해 슬라이더(2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동기어(34)와, 고정핀(38)에 의해 슬라이더(28)에 고정되는 아암레스트(5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아암레스트의 높이를 상하로 이동시켜 조절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킨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플로어(floor)에는 운전자 및 승객이 앉을 수 있는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가 설치된다. 통상, 차량의 프론트 시트는 운전석과 조수석이 별개로 구성된 분리식을 채용하는 반면, 리어 시트는 좌, 우측 좌석이 일체로 결합된 벤치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들 시트에는 충돌 사고시, 탑승자가 시트로부터 이탈되어 부상을 입는 것을 막기 위한 안전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프론트 시트에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레버가 설치되어 있으며, 시트의 측면에는 등받이 부분인 시트 백(seat back)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시트 백 각도 조절레버가 장치되어 있다. 제1도에는 이러한 구조를 지닌 종래의 프론트 시트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시트는 대체로, 사람이 앉는 부분인 시트 쿠션(2)과 시트 쿠션(2)에 앉아 등을 기대는 부분인 시트 백(4)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시트 백(4)의 상부에는 머리를 기댈 수 있는 헤드레스트(headrest)(10)가 수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탑승자가 팔을 기댈 수 있는 아암레스트(armrest)(6),(6')가 설치되어 있어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구성의 아암레스트를 지닌 종래의 시트에서는 시트 백(4)의 측면에 부착된 아암레스트(6),(6')의 높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아암레스트의 높이를 상하로 이동시켜 고정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및 하부에 체결공을 지니며, 시트 백의 측면에 부착된 시트 백 브라켓과, 상부 및 하부 고정부를 통해 시트 백 브라켓에 고정되며, 내부의 양 측벽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의 일측면상에는 다수의 구속홈을 지닌 된 가이드 플레이트와, 가이드 플레이트의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것으로, 중앙에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나사부를 지닌 슬릿이 형성된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의 나사부와 치합되는 스플라인을 지닌 손잡이와, 가이드 플레이트의 구속홈에 삽입되는 치부를 구비하며, 고정핀에 의해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동기어와, 고정핀에 의해 슬라이더에 고정되는 아암레스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에 의해서 달성된다.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에 장착된 아암레스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시트 쿠션 14 : 시트 백
16 : 헤드 레스트 18 : 시트 백 브라켓
18a,18b : 체결공 20 : 가이드 플레이트
20a : 가이드 홈 22, 24 : 고정부
26 : 구속홈 28 : 슬라이더
28a : 삽입홀 30 : 슬릿
32 : 나사부 34 : 종동기어
36 : 치부 38 : 고정핀
40 : 구동기어 42 : 치부
44 : 손잡이 44a : 고정단
44b : 스플라인
이하. 첨부한 제2도와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암레스트를 지닌 시트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탑승자가 앉는 부분인 시트 쿠션(12)과, 시트 쿠션(12)에 앉아 등을 기대는 부분인 시트 백(14)과, 시트 백(14)에 앉아 머리를 기댈 수 있는 헤드레스트(16)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트 백(14)의 양 측면에는 시트 백 브라켓(18)이 부착되어 있어, 다음과 같은 구성의 슬라이더(28)를 이용하여 아암레스트(50)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암레스트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면, 상부 및 하부에 체결공(18a),(18b)을 지니며, 시트 백(14)의 측면에 부착된 시트 백 브라켓(18)에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가이드 홈(20a)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의 일측면 상에는 다수의 구속홈(26)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20)와, 이 가이드 플레이트(20)의 내부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것으로, 중앙에는 고정핀(38)이 삽입되는 삽입홀(28a)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나사부(32)를 지닌 슬릿(30)이 형성된 슬라이더(28)와, 이 슬라이더(28)의 삽입홀(28)에 결합되는 고정핀(38)에 의해 일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아암레스트(5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 플레이트(20)의 상, 하측에 형성된 상부 고정부(22)와 하부 고정부(24)에는 통상의 체결볼트에 의해 시트 백 브라켓(18)에 형성된 체결공(18a),(18b)에 결합되는 관통공(22a),(24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28)를 상하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슬라이더(28)의 슬릿(30)에 형성된 나사부(32)와 치합되는 스플라인(44b)을 지닌 손잡이(44)와, 중앙에 손잡이(44)의 고정단(44a)에 압입되는 고정홀(40a)을 지니며, 외부에는 치부(42)가 형성된 구동기어(40)와, 고정핀(38)에 의해 슬라이더(2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가이드 플레이트(20)의 구속홈(26)에 삽입되는 치부(36)가 형성되어 있는 종동기어(34)로 구성된다.
또한, 아암레스트(50)에는 고정핀(38)이 압입되는 압입홀(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종동기어(34)에도 고정핀(38)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구멍(3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조립 시에는 먼저, 슬라이더(28)상에 아암레스트(50)를 올려놓고, 아래에는 종동기어를 배치한 다음에, 고정핀(38)을 아암레스트(50)의 압입홀(52)과 슬라이더(28)의 삽입홀(28a)을 차례로 관통시켜 종동기어(34)의 삽입구멍(34a)에 삽입하여 조립한다.
다음에, 손잡이(44)에 형성된 스플라인(44b)을 슬릿(30)의 나사부(32)와 맞물리도록 끼운 후에, 손잡이(44)의 고정단(44a)은 구동기어(40)의 관통홀(40a)에 삽입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그러므로, 손잡이(44)를 회전시키면, 그의 외주부에 형성된 스플라인(44b)이 함께 회전하면서, 슬릿(30)에 형성된 나사부(32)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어, 슬라이더(28)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즉, 구동기어(40)에는 손잡이(44)의 고정단(44a)이 끼워져 있으므로, 구동기어(40)의 회전력은 치부(42)를 통해 종동기어(34)의 치부(36)로 전달됨으로써, 슬라이더(28)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아암레스트(5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제3도에는 이러한 구성을 지닌 아암레스트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여기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20)내에는 슬라이더(28)가 삽입되며, 슬라이더(28)상에는 고정핀(38)에 의해 아암레스트(50)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28)의 슬릿(30)에는 손잡이(44)가 끼워져 있다. 그러므로, 탑승자가 손잡이(44)를 돌리면, 손잡이(44)에 형성된 스플라인(44b)에 의해 슬라이더(28)가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종동기어(34)의 치부(36)는 가이드 플레이트(20)의 구속홈(26)에 삽입되어 슬라이더(28)가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한다.
즉, 각 구성 부품들은 치부들에 의하여 서로 물려져 있는 상태이다. 특히, 외력에 의해 구동기어(4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구동기어(40)에 고정되며, 그 직경이 구동기어(40)보다도 매우 작은 손잡이(44)의 일측이 슬라이더(28)의 슬릿(30)에 치합되어 있으므로 구동기어(40)의 동력이 손잡이(44)로 전달되기는 어렵다. 따라서, 손잡이(44)의 회전에 의해 구동기어(40)의 회전은 쉬우나 구동기어(40)의 회전에 의해 손잡이(44)가 회전되기는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아암레스트(50)가 탑승객에 의해 아무리 강하게 눌려지더라도 상기 아암레스트(50)의 하향 이동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아암레스트(50)의 높이를 낮추려면, 손잡이(44)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된다. 손잡이(44)에 의해 스플라인(44b)과 맞물려 있는 나사부(32)를 통해 슬라이더(28)가 하강하게 되고, 종동기어(34)는 구동기어(40)의 외주부에 형성된 치부(42)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상태까지 하강한 다음, 고정되어 키가 작은 승객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는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아암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상부 및 하부에 체결공(18a),(18b)을 지니며, 시트 백(14)의 측면에 부착된 시트 백 브라켓(18)과, 상부 및 하부 고정부(22),(24)를 통해 상기 시트 백 브라켓(18)에 고정되며, 내부의 양 측벽에는 가이드 홈(20a)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의 일측면상에는 다수의 구속홈(26)을 지닌 된 가이드 플레이트(2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의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 홈(20a)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것으로, 중앙에는 삽입홀(28a)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나사부(32)를 지닌 슬릿(30)이 형성된 슬라이더(28)와, 상기 슬라이더(28)의 나사부(32)와 치합되는 스플라인(44b)을 지닌 손잡이(44)와, 상기 손잡이(44)의 고정단(44a)에 압입되는 구동기어(4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0)의 구속홈(26)에 삽입되는 치부(36)를 구비하며, 고정핀(38)에 의해 슬라이더(2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동기어(34)와, 상기 고정핀(38)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8)에 고정되는 아암레스트(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
KR1019960049759A 1996-10-29 1996-10-29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 KR0184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759A KR0184140B1 (ko) 1996-10-29 1996-10-29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759A KR0184140B1 (ko) 1996-10-29 1996-10-29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370A KR19980030370A (ko) 1998-07-25
KR0184140B1 true KR0184140B1 (ko) 1999-04-01

Family

ID=19479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9759A KR0184140B1 (ko) 1996-10-29 1996-10-29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41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838B1 (ko) * 2019-06-07 2019-11-08 연성은 사륜구동 차량의 헬리컬-베벨 복합 방식 기어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838B1 (ko) * 2019-06-07 2019-11-08 연성은 사륜구동 차량의 헬리컬-베벨 복합 방식 기어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370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70516B1 (en) Vehicle seat with a retractable sub seat
US20100109406A1 (en) Seat
US5462332A (en) High strength vehicle recliner seat
JPH09309362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018414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
JPH05301560A (ja) シートベルトのスルーガイド構造
KR0184139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
KR0178484B1 (ko) 리어시트의 암 레스트 설치구조
KR200147483Y1 (ko) 자동차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KR200145904Y1 (ko) 차량용 프론트시트의 시트 쿠션깊이조절장치
KR100196165B1 (ko) 시트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KR20230155088A (ko) 자동차용 전동식 차일드 시트
KR0140166Y1 (ko) 자동차시트의 요추받침대
JPH0629000B2 (ja) 自動車の座席装置
KR200150390Y1 (ko)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
KR19980022842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헤드레스트
KR19980030369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
KR0131141Y1 (ko) 리어시트백의 헤드레스트 각도 조정장치
KR100786894B1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장치
KR0129198Y1 (ko) 차량용 시이트의 헤드레스트
KR0124696Y1 (ko)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풋 레스트 장치
JPS5849863Y2 (ja) 車輛用シ−ト
KR0128698Y1 (ko) 자동차의 아암 레스트구조
JPH0451629Y2 (ko)
KR970006346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회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