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464B1 - 리프트 시트 - Google Patents

리프트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464B1
KR101268464B1 KR1020110104762A KR20110104762A KR101268464B1 KR 101268464 B1 KR101268464 B1 KR 101268464B1 KR 1020110104762 A KR1020110104762 A KR 1020110104762A KR 20110104762 A KR20110104762 A KR 20110104762A KR 101268464 B1 KR101268464 B1 KR 101268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redetermined position
rotating
plate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0028A (ko
Inventor
김동우
박보흠
Original Assignee
모터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터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터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4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464B1/ko
Publication of KR20130040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2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connected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32Attachment of seat frame to the slide, e.g. eye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35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slide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35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slide as a whole
    • B60N2/0747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slide as a whole the opening of the cross section being orient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vertical, e.g. transvers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65Hydraulic or pneumatic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트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시트는 차량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후단 양측면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리어링크와, 상기 리어링크의 일단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리프트부재와, 일단이 상기 회전부재의 선단 소정 위치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리어링크의 소정 위치에 힌지결합된 엑츄에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프트 시트{LIFT SEAT}
본 발명은 리프트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장애우 등이 차량에 승, 하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리프트 시트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고령인구 및 후천적 장애인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이들의 이동권 확보를 위한 다양한 차량용 시트 이동장치(복지시트) 및 보조 탑승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차량용 시트 이동장치는 차량시트가 차량의 외부로 진출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 장치와, 차량시트를 고정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시트(1)는 구동모터가 구동하는 경우, 회전축(5)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이때, 차량시트(1)가 차량 내부로 회전하여 탑승 및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차량시트(1)가 회전하는 경우, 차량시트(1)의 하부에 고정된 후크(3)는 차량의 바닥에 배치된 베이스플레이트(2)에 구비된 후크핀(7)이 삽입됨으로써 차량시트(1)를 고정시킨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잠금장치는 단순 끼워 맞춤에 의한 방식으로 후크(3)의 바깥 방향은 개방된 상태로 확실한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승하강장치는 특허출원 제10- 2005-7002388호에 개시된바 있다. 이러한 승하강장치는 시트승강암이 어퍼 링크암과 로어 링크암을 구비하는 4절 링크기구로 이루어져 있어 구성부품의 수가 증가되어 구조가 복잡해지고 중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4절 링크기구의 캠 곡선이 공간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시트가 결합된 보조베이스로부터 슬라이드베이스의 중심거리가 상대적으로 길어 큰 모멘트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가이드롤러, 캠 곡선, 시트승강암 등의 강도가 커짐과 동시에 구동 모터의 초기 부하량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트의 잠금성을 향상시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리프트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성 부품의 수가 감소되고,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프트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체 구조의 간략화 및 작동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프트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후단 양측면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리어링크와, 상기 리어링크의 일단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리프트부재와, 일단이 상기 회전부재의 선단 소정 위치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리어링크의 소정 위치에 힌지결합된 엑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레일부재는 상기 차량의 바닥면 소정 위치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홈이 형성된 한 쌍의 레일과, 상기 절개홈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더와, 상기 한 쌍의 레일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서로 평행하게 마련된 한 쌍의 스크류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의 상면에 결합되고, 일측면 소정 위치에 걸림유닛을 구비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저면 소정 위치에 마련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저면 소정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회전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류가이드를 관통하여 결합된 스크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프트부재는 받침부와 경사부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부의 하부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걸림유닛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후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유닛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걸림후크와 걸림결합되는 회동구와, 일단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일측 소정 위치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구의 일측 소정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때 일단부가 상기 걸림유닛에 면접촉되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마련된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선단 양측면에 서로 대칭되게 구비된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모터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결합된 기어하우징과, 상기 기어하우징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돌출되게 마련된 구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어하우징의 하부면에는 상기 회전모터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저면에 고정시키는 비상해제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해제유닛은 상기 기어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의 일측면은 평편하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일측면은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시트의 잠금성을 향상시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구성 부품의 수가 감소되고,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체 구조의 간략화 및 작동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프트 시트의 고장 발생시 손쉽게 회전모터의 구동기어를 회전기어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어 신뢰성 있는 비상해제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플레이트가 원 위치되고, 이동플레이트가 최초의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회전플레이트의 하부면 소정 위치에 마련된 걸림후크가 자동으로 걸림유닛에 걸림 결합되기 때문에 잠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리프트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시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시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플레이트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걸림유닛과 걸림후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회전모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시트의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시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시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플레이트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걸림유닛과 걸림후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회전모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시트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시트(100)는 레일부재(110), 이동부재(120), 회전부재(150), 리어링크(160), 리프트부재(170), 엑츄에이터(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레일부재(110)는 차량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레일부재(110)는 차량의 바닥면 소정 위치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홈(112a)이 형성된 한 쌍의 레일(112)과, 절개홈(112a)에 삽입, 결합되어 레일(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더(114)와, 한 쌍의 레일(112)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116)와, 연결플레이트(116)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서로 평행하게 마련된 한 쌍의 스크류가이드(1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크류가이드(118)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플레이트(116)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는 돌출부(116a)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부재(120)는 레일부재(110)의 상측에 결합되어 레일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부재(120)는 한 쌍의 슬라이더(114)의 상면에 결합되고, 일측면 소정 위치에 걸림유닛(130)이 구비된 이동플레이트(122)와, 이동플레이트(122)의 저면 소정 위치에 마련된 구동모터(124)와, 구동모터(124)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기어박스(126)와, 구동모터(124)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이동플레이트(122)의 저면 소정 위치에 마련된 회전모터(140)와, 기어박스(126)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전술한 스크류가이드(118)를 관통하여 결합된 스크류(1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동플레이트(122)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면 소정 위치에는 후술하는 회전플레이트(152)의 하부면 소정 위치에 구비된 회전축(153)이 삽입, 결합되는 회전홀(123)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동플레이트(122)의 타측면 소정 위치에는 'ㄱ'자 형상의 스토퍼(125)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스토퍼(125)는 이동플레이트(122)의 상부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후술하는 회전플레이트(152)의 회전범위를 제한하고, 회전플레이트(152)가 이동플레이트(122)의 상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걸림유닛(130)은 이동플레이트(122)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32)과, 고정브라켓(132)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회동구(134)와, 일단이 이동플레이트(122)의 일측 소정 위치에 결합되고 타단이 회동구(134)의 일측 소정 위치에 결합되어 회동구(134)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1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동구(134)는 이동플레이트(122)가 레일부재(110)의 길이 방향 즉, 레일(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때 전술한 연결플레이트(116)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116a)의 일단부와 면접촉됨으로써 회동된다.
스크류(128)는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수나사부(128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크류(128)는 전술한 스크류가이드(118)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된다.
회전모터(140)는 몸체(142)와, 몸체(142)의 일단부에 결합된 기어하우징(144)과, 기어하우징(144)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마련된 구동기어(146)로 이루어진다.
구동기어(146)는 후술하는 회전플레이트(152)가 회전되도록 후술하는 회전기어(154)에 치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한다.
여기서, 기어하우징(144)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하여 제1, 제2 및 제3 체결부(144a, 144b, 144c)가 형성되고, 제1, 제2 및 제3 체결부(144a, 144b, 144c)는 이동플레이트(122)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제2 및 제3 체결홀(122a, 122b, 122c)에 볼트를 통해 결합된다.
이때, 제2 및 제3 체결홀(122b, 122c)은 리프트 시트(100)의 고장 발생시 비상해제가 가능하도록 회전모터(140)가 제1 체결홀(122a)을 중심점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게 만곡지게 형성된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기어하우징(144)의 하부면에는 리프트 시트(100)의 고장 발생시를 제외하고 회전모터(140)가 회전되지 않도록 이동플레이트(122)에 고정시키는 비상해제유닛(148)이 구비된다.
이러한, 비상해제유닛(148)은 제2 및 제3 체결부(144b, 144c)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기어하우징(144)의 하부에 결합되는 브라켓(148a)과, 브라켓(148a)의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동플레이트(122)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나사결합된 고정볼트(148b)로 이루어진다.
회전부재(150)는 이동부재(120)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부재(150)는 이동플레이트(122)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152)와, 회전플레이트(152)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마련된 회전기어(154)와, 회전플레이트(152)의 선단 양측면에 서로 대칭되게 구비된 한 쌍의 롤러(1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리어링크(160)는 회전플레이트(152)의 후단 양측면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평부(162)와 수직부(164)로 이루어진다.
리프트부재(170)는 리어링크(160)의 일단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리프트부재(170)는 회전플레이트(152)의 상부에 안착되며, 받침부(172a)와 경사부(172b)로 이루어진 몸체(172)와, 몸체(172)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17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리프트부재(170)의 하부면 소정 위치 즉, 받침부(172a)의 하부면 소정위치에는 걸림유닛(130)의 회동구(134)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후크(176)가 마련되며, 이 걸림후크(176)는 회전플레이트(152)와 리프트부재(17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충격이 전달되었을 때 회전플레이트(152)와 리프트부재(170)가 이동플레이트(122)의 상부방향으로 들리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걸림유닛(176)에 의해 회전플레이트(152)와 리프트부재(170)가 이동플레이트(122)의 상부향으로 들리게 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유는 리프트부재(170)가 후술하는 엑츄에이터(180)에 의해 회전플레이트(1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회전플레이트(152)의 상부에 위치될 때 자연스럽게 회전플레이트(152)의 일측 하부면 소정 위치에 걸림후크(176)가 위치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받침부(172a)의 일측면은 평편하게 형성되고, 경사부(172b)의 일측면은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받침부(172a)와 경사부(172b)는 리프트부재(170)가 후술하는 엑츄에이터(180)의 구동에 의해 회동할 때 회전플레이트(152)의 선단 양측면에 구비된 롤러(156)의 외주면에 면접촉되어 회전플레이트(1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엑츄에이터(180)는 실린더(182)와 실린더로드(184)로 구성되며, 일단이 회전플레이트(152)의 선단 소정 위치에 설치된 브라켓(152a)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리어링크(160)의 소정 위치에 힌지결합되어 전술한 리프트부재(170)를 회전플레이트(1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리프트 시트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미도시)에서 신호를 받게 되면 이동플레이트(122)의 저면 소정 위치에 설치된 구동모터(124)가 구동을 하게 되고, 구동모터(124)가 구동을 하면 구동모터(124)의 구동력은 구동모터(124)의 양측에 결합된 기어박스(126)를 통해 기어박스(126)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된 스크류(128)를 회전시킨다.
이때, 스크류(128)의 타단부는 연결플레이트(116) 상부면 소정 위치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서로 평행하게 마련된 스크류가이드(118)에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플레이트(122)는 스크큐(128)의 회전 방향에 따라 레일부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플레이트(122)가 레일부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플레이트(122)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구비된 걸림유닛(130)의 회동구(134)는 연결플레이트(116)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형성된 돌출부(116a)의 일단부에 면접촉되어 일측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회동구(134)가 일측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리프트부재(170)의 받침부(172a) 하부면 소정 위치에 마련되어 회동구(134)에 걸림 결합되어 있는 걸림후크(176)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걸림후크(176)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 후, 회전모터(140)가 구동하게 되면, 회전플레이트(152)와 리프트부재(170)는 회전하게 된다.
회전플레이트(152)의 회전이 완료된 후, 엑츄에이터(180)를 구동시키면 회전플레이트(152)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리어링크(160)는 회전플레이트(152)의 상부면을 향해 회동하게 된다. 리어링크(160)가 회전플레이트(152)의 상부면을 향해 회동함과 동시에 리어링크(160)의 일단 즉, 리어링크(160)의 수직부(164) 일단에 타단이 힌지결합된 리프트부재(170)의 몸체(172)는 회전플레이트(1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때, 몸체(172)의 받침부(172a)와 경사부(172b)의 일측면은 회전플레이트(152)의 선단 양측면에 구비된 롤러(156)의 외주면에 면접촉되어 이동된다.
여기서, 롤러(156)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는 받침부(172a)의 일측면은 평편하게 형성되고, 경사부(172b)의 일측면은 만곡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몸체(172)가 지면을 향해 급격하게 하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받침부(172a)의 일측면이 롤러(156)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는 경우에는 몸체(172)가 수평방향으로 차량의 외부로 이동되게 되고, 경사부(172b)의 일측면에 롤러(156)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는 경우에는 몸체(172)가 지면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한편, 리프트 시트(100)의 고장 발생시 회전모터(140)의 비상해제 방법은 이동플레이트(122)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나사결합된 고정볼트(148b)를 푼 다음 이동플레이트(122)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제1, 제2 및 제3 체결홀(122a, 122b, 122c)에 제1, 제2 및 제3 체결부(144a, 144b, 144c)가 결합되도록 하는 볼트를 느슨해지도록 푼 다음 제1 체결부(144a)를 중심점으로 하여 제2 및 제3 체결부(144b, 144c)를 회동시키면 회전기어(154)에 치합되어 있는 구동기어(146)가 회전기어(154)로부터 이탈되고, 이때, 회전플레이트(152)는 자연스럽게 회전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시트에 의하면 시트의 잠금성을 향상시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구성 부품의 수가 감소되고,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체 구조의 간략화 및 작동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프트 시트의 고장 발생시 손쉽게 회전모터(140)의 구동기어(146)를 회전기어(154)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어 신뢰성 있는 비상해제를 할 수 있다.
또한, 회전플레이트(152)가 원 위치되고, 이동플레이트(122)가 원위치로 이동될 때 회전플레이트(152)의 하부면 소정 위치에 마련된 걸림후크(158)가 자동으로 걸림유닛(130)의 회동구(134)에 걸림 결합되기 때문에 잠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레일부재 140: 회전모터
112: 레일 142: 몸체
112a: 절개홈 144: 기어하우징
114: 슬라이더 146: 구동기어
116: 연결플레이트 148: 비상해제유닛
116a: 돌출부 150: 회전부재
118: 스크류가이드 152: 회전플레이트
120: 이동부재 153: 회전축
122: 이동플레이트 154: 회전기어
123: 회전홀 156: 롤러
124: 구동모터 158: 걸림후크
125: 스토퍼 160: 리어링크
126: 기어박스 170: 리프트부재
128: 스크류 180: 엑츄에이터
128a: 수나사부
130: 걸림유닛
132: 고정브라켓
134: 회동구
136: 탄성부재

Claims (10)

  1. 차량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후단 양측면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리어링크;
    상기 리어링크의 일단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리프트부재; 및
    일단이 상기 회전부재의 선단 소정 위치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리어링크의 소정 위치에 힌지결합된 엑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는,
    상기 차량의 바닥면 소정 위치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홈이 형성된 한 쌍의 레일과, 상기 절개홈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더와, 상기 한 쌍의 레일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서로 평행하게 마련된 한 쌍의 스크류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의 상면에 결합되고, 일측면 소정 위치에 걸림유닛을 구비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저면 소정 위치에 마련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저면 소정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회전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류가이드를 관통하여 결합된 스크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재는 받침부와 경사부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부의 하부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걸림유닛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후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걸림유닛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걸림후크와 걸림결합되는 회동구와, 일단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일측 소정 위치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구의 일측 소정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트.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때 일단부가 상기 걸림유닛에 면접촉되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트.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마련된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선단 양측면에 서로 대칭되게 구비된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트.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터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결합된 기어하우징과, 상기 기어하우징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돌출되게 마련된 구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어하우징의 하부면에는 상기 회전모터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비상해제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비상해제유닛은 상기 기어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트.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일측면은 평편하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일측면은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트.
KR1020110104762A 2011-10-13 2011-10-13 리프트 시트 KR101268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762A KR101268464B1 (ko) 2011-10-13 2011-10-13 리프트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762A KR101268464B1 (ko) 2011-10-13 2011-10-13 리프트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028A KR20130040028A (ko) 2013-04-23
KR101268464B1 true KR101268464B1 (ko) 2013-06-04

Family

ID=4844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762A KR101268464B1 (ko) 2011-10-13 2011-10-13 리프트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4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8438A (ja) * 2014-11-10 2016-05-2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2666720B1 (ko) 2022-05-13 2024-05-17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8383B (zh) * 2019-04-08 2024-02-09 浙江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无人驾驶汽车的调节座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1823A (ja) 2000-01-07 2001-07-17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04009849A (ja) 2002-06-05 2004-01-15 Araco Corp 車両用シート
JP2006281962A (ja) 2005-03-31 2006-10-19 Autech Japan Inc 回転スライドシート装置
KR100968741B1 (ko) 2009-11-19 2010-07-08 주식회사 오텍 슬라이딩 리프트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1823A (ja) 2000-01-07 2001-07-17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04009849A (ja) 2002-06-05 2004-01-15 Araco Corp 車両用シート
JP2006281962A (ja) 2005-03-31 2006-10-19 Autech Japan Inc 回転スライドシート装置
KR100968741B1 (ko) 2009-11-19 2010-07-08 주식회사 오텍 슬라이딩 리프트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8438A (ja) * 2014-11-10 2016-05-2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2666720B1 (ko) 2022-05-13 2024-05-17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의 다목적 시트 모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028A (ko) 201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9662B2 (en) Wheeled carriage with brake lock system
EP2764856B1 (en) Movable bed
US8251178B2 (en) Linkage-driven power step
JP4505028B2 (ja) シート
US9585509B2 (en) Cooking appliance
US20120079684A1 (en) Actuating drive for a movable furniture part
KR101449088B1 (ko) 카 도어 잠금 기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시스템
US9004598B2 (en) Seating system for a recumbent stepper
JP2014517166A (ja) 可動家具フラップの家具駆動装置
CN105142590A (zh) 具有轮对准机构的动力上车简易床
JPH01294190A (ja) エレベータ用のロック機構付きドア駆動装置
US20120261216A1 (en) Stairlift with folding track
KR20120042931A (ko) 엘리베이터 카 도어에 의해 샤프트 도어를 동반 이동하는 디바이스
WO2013073964A1 (en) Roller assembly
US20120316478A1 (en) Massage machine
KR101268464B1 (ko) 리프트 시트
JP2010501416A (ja) 特に自動車用のヒンジ構造とサイドミラーユニット
JP2020533251A5 (ko)
KR20140135823A (ko) 평행하게 열어 둘 수 있으며 상기 평행 상태에서 수평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윙을 위한 피팅장치
US20140123410A1 (en) Mechanism for lifting a wheelchair
KR101420862B1 (ko) 고정장치가 구비된 의자
CN103204086B (zh) 一种长度可调节的座椅侧扶手
CN110668144A (zh) 阻挡复位机构及运输系统
KR20110054530A (ko)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
CN215807199U (zh) 一种中央控制刹车系统及具有其的可移动医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