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726A - 흡습에 따른 변형 방지성능 및 부착성이 개선된 습도조절용 벽지 - Google Patents

흡습에 따른 변형 방지성능 및 부착성이 개선된 습도조절용 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726A
KR20230158726A KR1020220058192A KR20220058192A KR20230158726A KR 20230158726 A KR20230158726 A KR 20230158726A KR 1020220058192 A KR1020220058192 A KR 1020220058192A KR 20220058192 A KR20220058192 A KR 20220058192A KR 20230158726 A KR20230158726 A KR 20230158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llpaper
humidity control
adhesive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경
Original Assignee
김윤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경 filed Critical 김윤경
Priority to KR1020220058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8726A/ko
Publication of KR20230158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72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particulat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natural stone or artificial ston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B32B2607/02Wall papers, wall covering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는 흡습에 따른 변형 방지성능 및 부착성이 개선된 것이며, 벽지를 벽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점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점착제층(100); 상기 점착제층(100) 위에 구비되어 상기 점착제층(100) 또는 벽면에 함유된 습기가 종이층(300) 또는 습도조절층(4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습기차단층(200); 상기 습기차단층(200) 위에 구비된 종이층(300); 및 상기 종이층(300) 위에 구비되어 벽지가 부착된 외부공간의 습도에 따라 상기 외부공간의 습기를 흡수하거나 상기 외부공간으로 습기를 방출하는 습도조절층(400);을 포함하고, 액상 점착제의 도포에 따라 벽지가 변형되어 구겨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거친 표면을 갖는 벽면 등에도 매우 견고하고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으며, 실내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흡습에 따른 변형 방지성능 및 부착성이 개선된 습도조절용 벽지 {WALL PAPER HAVING IMPROVED ADHESIVENESS AND MOISTURE ABSORBED WRINKLING-PROOF ABILITY}
본 발명은 흡습에 따른 변형 방지성능 및 부착성이 개선된 습도조절용 벽지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액상 점착제의 도포에 따라 벽지가 변형되어 구겨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거친 표면을 갖는 벽면 등에도 매우 견고하고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으며, 실내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습도조절용 벽지에 관한 것이다.
벽지는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된 건물의 주벽 표면을 최종 마감하기 위한 마감재로 사용되며, 이러한 벽지는 통상적으로 보온 및 미려한 외관장식을 위하여 벽면 등에 부착된다.
한편, 최근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기 위하여 방음, 방습, 방오 및 항염 기능 등을 갖는 다양한 벽지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하기 특허문헌 1은 다층구조의 벽지의 최상부 표면층으로서 습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습도인지층이 적층되며, 상기 습도인지층은 코발트 화합물 또는 유기염료를 코팅 또는 침적시킨 다공질 흡습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인지형 벽지를 개시하고 있으나, 특허문헌 1의 벽지는 실내 공간의 습도를 인지하여 특정 색상으로 이를 표시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을 뿐, 실내의 습도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으며, 또한 벽지를 부착하기 위한 점착제의 수분이 종이층에 흡수됨으로써 종이가 변형되고 결과적으로 벽지 전체가 완전한 평면을 유지하지 못한채 변형되어, 이를 벽면에 도포하는 과정이 까다로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실내의 습도를 인지하여 이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액상 점착제의 도포에 따라 벽지가 변형되어 구겨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거친 표면을 갖는 벽면 등에도 매우 견고하고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신규한 습도조절용 벽지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70971호 (2004.12.23)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의 습도를 인지하여 이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액상 점착제의 도포에 따라 벽지가 변형되어 구겨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거친 표면을 갖는 벽면 등에도 매우 견고하고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신규한 습도조절용 벽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는 벽지를 벽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점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점착제층(100); 상기 점착제층(100) 위에 구비되어 상기 점착제층(100) 또는 벽면에 함유된 습기가 종이층(300) 또는 습도조절층(4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습기차단층(200); 상기 습기차단층(200) 위에 구비된 종이층(300); 및 상기 종이층(300) 위에 구비되어 벽지가 부착된 외부공간의 습도에 따라 상기 외부공간의 습기를 흡수하거나 상기 외부공간으로 습기를 방출하는 습도조절층(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는 상기 점착제층(100)과 상기 습기차단층(200) 사이에 벽지가 부착될 벽면의 홈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종이층(300)이 상기 홈과 무관하게 평면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점착제층(100)의 점착제가 흡수될 수 있는 완충층(500)이 더욱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에 있어서, 상기 습기차단층(200)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에 있어서, 상기 습도조절층(400)은 질석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에 있어서, 상기 습도조절층(400)은 1 내지 5㎜의 평균 직경을 갖는 질석편을 상기 종이층(300)에 부착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500)은 부직포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는 상기 점착체층(100)에 접하여 상기 점착체층(100)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필름층(600)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는 액상 점착제의 도포에 따라 벽지가 변형되어 구겨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거친 표면을 갖는 벽면 등에도 매우 견고하고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으며, 실내의 습도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의 개략적인 단면 적층구조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의 개략적인 단면 적층구조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의 평면 사진이며, 도 3에는 질석으로 형성된 습도조절층이 나타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배면 사진이며, 도 4에서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습기차단층을 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배면 사진이며, 도 5에서 흐릿하게 비쳐 보이는 알루미늄 습기차단층 위로 흰색 부직포로 형성된 완충층이 구비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흡습에 따른 변형 방지성능 및 부착성이 개선된 습도조절용 벽지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액상 점착제의 도포에 따라 벽지가 변형되어 구겨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거친 표면을 갖는 벽면 등에도 매우 견고하고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으며, 실내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습도조절용 벽지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의 개략적인 단면 적층구조를 나타내는 그림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의 개략적인 단면 적층구조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의 평면 사진이다.
도 3에는 질석으로 형성된 습도조절층이 나타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배면 사진이며, 도 4에서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습기차단층을 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배면 사진이며, 도 5에서 흐릿하게 비쳐 보이는 알루미늄 습기차단층 위로 흰색 부직포로 형성된 완충층이 구비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우선, 도 1에 개략적인 단면 적층 구조가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는 벽지를 벽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점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점착제층(100); 상기 점착제층(100) 위에 구비되어 상기 점착제층(100) 또는 벽면에 함유된 습기가 종이층(300) 또는 습도조절층(4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습기차단층(200); 상기 습기차단층(200) 위에 구비된 종이층(300); 및 상기 종이층(300) 위에 구비되어 벽지가 부착된 외부공간의 습도에 따라 상기 외부공간의 습기를 흡수하거나 상기 외부공간으로 습기를 방출하는 습도조절층(400);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제층(100)은 벽지를 벽면 등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점착제층(100)을 형성하는 점착제로는 벽지를 콘크리트 또는 벽돌 등의 벽면에 부착시킬 수 있는 공지의 각종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점착제층(100)은 예를 들어 약 10 내지 50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습기차단층(200)은 상기 점착제층(100) 위에 구비되며, 점착제층(100)을 형성하는 점착제의 습기 또는 벽지가 부착되는 벽면 등에 함유된 습기가 후술하는 종이층(300) 또는 습도조절층(4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통상적으로 벽지가 벽면에 부착된 후에 쭈글거리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벽지의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하고 벽지를 벽면에 부착시키기 전에 약 10 내지 20분간 숙성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는 점착제에 포함된 수분이 종이층으로 불균일하게 전달됨으로써 벽지가 벽면에서 우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통상적인 벽지의 경우 이와 같이 벽지가 벽면에서 우는 현상 즉, 불규칙하게 쭈글거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번 점착제가 도포된 벽지를 부착전에 일정 시간 동안 방치시켜 숙성시켜야 하므로, 전체적인 도배작업이 상당히 지연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이와 같이 일정 시간 동안 벽지를 숙성시키는 과정을 거치더라도 점착제의 습기가 종이 등에 완전히 불균일하게 전달될 수 없어 벽지를 쭈글거림 없이 완벽하게 벽면에 부착시키는 작업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벽지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종이층 위에 별도의 기능성층을 구비하기도 하였으나, 점착제에 포함된 수분 또는 벽면이 머금고 있었던 수분 등이 이러한 기능성층에 바람직하지 않게 흡수됨으로써 벽지가 전체적으로 본래의 평면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우는 현상 즉, 벽지가 반반한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쭈글거리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이 습기의 전달로 인하여 발생하는 벽지의 변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점착제층(100)과 종이층(300) 사이에 습기차단층(200)을 구비하였다.
상기 습기차단층(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점착제층(100) 위에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착제층(100)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상기 습기차단층(200) 상에 접하여 도포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점착제는 일정한 점도를 갖는 액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증발, 모세관 현상 또는 중력이동 등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는 수분 또는 유분 등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수분 또는 유분은 인접한 소재층 즉, 종이층(300) 또는 습도조절층(400) 등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과정에서 수분 또는 유분이 완전히 균일하게 이동하는 것이 아니므로 인접한 소재층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이다. 특히, 수분 또는 유분 등이 인접한 소재층으로 완전히 균일하게 이동한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인접 소재층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그 형상이 틀어지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문제는 벽지의 전체적인 시공불량으로 이어지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습기"는 "수분" 및 "유분"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 모세관 현상 또는 중력이동 등에 의하여 이웃한 소재층으로 이동하여 이웃한 소재층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는 모든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습기차단층(200)은 상기 점착제층(100)과 다른 인접 소재층을 물리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점착제층(100)을 형성하는 점착제의 습기 또는 벽지가 부착되는 벽면 등에 함유된 습기가 종이층(300) 또는 습도조절층(4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에 있어서, 상기 습기차단층(200)은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습기차단층(200)으로 알루미늄을 이용하는 경우 박막 알루미늄 즉, 알루미늄 호일 (foil)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알루미늄 호일은 빛의 반사효율이 높고 표면 조도가 낮은 광택면과 빛의 반사효율이 낮고 표면 조도가 높은 무광택면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알루미늄 호일을 상기 습기차단층(200)으로 사용할 경우 광택면이 상기 점착제층(100)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광택면이 상기 점착제층(100)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무광택면이 상기 종이층(300)을 향하도록 배치할 경우 무광택면의 높은 표면 조도에 의하여 상기 습기차단층(200)과 종이층(300) 간의 접착력이 향상되며, 광택면의 낮은 표면 조도에 의하여 접착제층(100) 또는 벽면에 함유된 습기의 이동이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습기차단층(200)은 각각 제1습기차단층(211) 및 제2습기차단층(212)을 구비하며, 상기 제1습기차단층(211) 및 제2습기차단층(212) 사이 공간(S)에는 경화성 접착제가 채워져 있으며, 상기 공간(S)에는 상기 제1습기차단층(211)의 내측 일면에 인접하여 다수의 경화제포낭(21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경화제포낭(213)에는 각각 상기 경화성 접착제와 반응하여 상기 경화성 접착제를 경화시킬 수 있는 경화제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경화제포낭(213)은 예를 들어, 비닐 등과 같은 플라스틱 합성소재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공간(S)에는 상기 제2습기차단층(212)의 내측 일면에 인접하여 다수의 포낭개방구(214)가 구비되어 있으며, 각각의 포낭개방구(214)는 벽지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경화제포낭(213)을 터뜨려 개방함으로써 상기 경화제포낭(213) 내에 구비된 경화제가 상기 공간(S)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하는 뾰족한 개방말단을 구비하며, 각각의 포낭개방구(214)는 상기 개방말단이 각각 상기 경화제포낭(213)의 일면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경화제포낭(213) 및 포낭개방구(214)를 구비함으로써 벽지의 도포시에는 대면적의 벽지가 플렉서블한 상태를 유지하여 벽지의 도포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벽지의 도포과정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경화제포낭(213)에 들어있는 경화제와 상기 공간(S)에 존재하는 경화성 접착제가 반응하여 경화됨으로써 벽지가 탄탄하게 그 원래의 형상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경화제포낭(213) 및 포낭개방구(214)가 제1습기차단층(211) 및 제2습기차단층(212) 사이 공간(S)에 구비됨으로써 경화성 접착제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경화성 접착제에 함유된 습기가 인접한 소재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매우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에 있어서, 상기 습도조절층(400)은 질석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습도조절층(400)은 1 내지 5㎜의 평균 직경을 갖는 질석편을 상기 종이층(300)에 부착하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3에는 이와 같이 다수의 질석편을 종이층(300)에 부착한 형태의 실시예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질석편을 이용하여 상기 습도조절층(400)을 형성하는 경우 벽지의 전체적인 형상을 플레서블하게 유지할 수 있어, 벽지를 원기둥 형태의 실내벽면 공간에도 용이하게 시공 도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질석편을 상기 종이층(300)에 부착한 상태에서 가압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종이층(300)에 부착된 다수의 질석편을 가압함으로써 질석편의 상부 표면이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질석은 외부의 습도에 따라 외부 공간의 습도가 높을 경우 습기를 흡수하고 외부공간의 습도가 낮을 경우 함유하고 있는 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질석을 이용함으로써 실내습도에 따라 이를 능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습도조절용 벽지는 상기 점착제층(100)과 상기 습기차단층(200) 사이에 벽지가 부착될 벽면의 홈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종이층(300)이 상기 홈과 무관하게 평면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점착제층(100)의 점착제가 흡수될 수 있는 완충층(500)이 더욱 구비된다.
상기 완충층(500)은 다양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옷감 등의 섬유소재 또는 부직포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완충층(500)을 부직포로 형성하는 경우 부직포의 그물조직에 따른 미세 공간 형성 및 충격흡수 특성에 의하여 점착제층(100)의 점착제가 상당 부분 부직포로 흡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벽지 시공시 점착제의 도포량을 늘리더라고 부직포로 상당 부분이 흡수되어 점착제가 흘러내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특히, 벽지를 시공할 벽면이 거친 표면을 갖는 경우 상기 부직포 등으로 형성된 완충층(500)으로 인하여 거친 표면으로 부직포 일부가 메꿔지게 되어 최종 시공되는 벽지의 최외면의 균일한 평면 형성을 가능케 한다.
한편, 벽지에 점착제층(100)이 도포된 상태로 시공 전 일정 시간 동안 벽지를 보관할 경우 상기 점착체층(100)에 접하여 상기 점착체층(100)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필름층(600)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형필름층(600)은 비닐 등으로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벽지의 시공 직적에 이를 제거한다.

Claims (7)

  1. 벽지를 벽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점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점착제층(100);
    상기 점착제층(100) 위에 구비되어 상기 점착제층(100) 또는 벽면에 함유된 습기가 종이층(300) 또는 습도조절층(4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습기차단층(200);
    상기 습기차단층(200) 위에 구비된 종이층(300); 및
    상기 종이층(300) 위에 구비되어 벽지가 부착된 외부공간의 습도에 따라 상기 외부공간의 습기를 흡수하거나 상기 외부공간으로 습기를 방출하는 습도조절층(400);을 포함하는 습도조절용 벽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100)과 상기 습기차단층(200) 사이에는
    벽지가 부착될 벽면의 홈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종이층(300)이 상기 홈과 무관하게 평면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점착제층(100)의 점착제가 흡수될 수 있는 완충층(500)이 더욱 구비된 습도조절용 벽지.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습기차단층(200)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것인 습도조절용 벽지.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습도조절층(400)은 질석을 포함하는 것인 습도조절용 벽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습도조절층(400)은 1 내지 5㎜의 평균 직경을 갖는 질석편을 상기 종이층(300)에 부착하여 형성되는 것인 습도조절용 벽지.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500)은 부직포로 형성된 것인 습도조절용 벽지.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점착체층(100)에 접하여 상기 점착체층(100)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필름층(600)이 더욱 포함된 습도조절용 벽지.
KR1020220058192A 2022-05-12 2022-05-12 흡습에 따른 변형 방지성능 및 부착성이 개선된 습도조절용 벽지 KR20230158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192A KR20230158726A (ko) 2022-05-12 2022-05-12 흡습에 따른 변형 방지성능 및 부착성이 개선된 습도조절용 벽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192A KR20230158726A (ko) 2022-05-12 2022-05-12 흡습에 따른 변형 방지성능 및 부착성이 개선된 습도조절용 벽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726A true KR20230158726A (ko) 2023-11-21

Family

ID=88981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192A KR20230158726A (ko) 2022-05-12 2022-05-12 흡습에 따른 변형 방지성능 및 부착성이 개선된 습도조절용 벽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872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971Y1 (ko) 2004-09-15 2004-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습도인지형 벽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971Y1 (ko) 2004-09-15 2004-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습도인지형 벽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1022A (en) Release liner base stock for printed films or labels
JP2017503945A (ja) 表面特性が向上した、ポリエステルが積層された建築板
US20020187314A1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member
KR20230158726A (ko) 흡습에 따른 변형 방지성능 및 부착성이 개선된 습도조절용 벽지
JPWO2013146616A1 (ja) 機能性粘着シート
JPH11300921A (ja) 化粧材
JP6855805B2 (ja) 施工方法および積層体
EP4060142A1 (en) Wall material and wall material-equipped structure
JP7487447B2 (ja) 化粧紙
KR101634601B1 (ko) 특수지
KR101822681B1 (ko) 에어캡층을 갖는 벽지
JP2009041210A (ja) 紙材及びそれを用いたコーナ材
JP2001113638A (ja) 化粧紙
KR970706971A (ko) 전사날염 및 적층 모포(transfer printing and laminating blanket)
JP2012206473A (ja) 化粧板
JP4241082B2 (ja) 化粧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4571665U (zh) 一种防潮的铝箔保温胶带
KR102129868B1 (ko) 친환경 입체 벽지
JP2018164992A (ja) 離型シート及び樹脂製物品
JP4270672B2 (ja) 化粧シート、該化粧シートを使用した化粧材、及び該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4229139B2 (ja) 転写シート
JP3911962B2 (ja) 化粧シート
KR970021574A (ko) 발포시트 층을 가진 건축용 칼라무늬 샌드위치 패널
JP2008095057A (ja) 機能性粘着フイルム、及び、印刷離型紙。
KR200218815Y1 (ko) 종이상자용 합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