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971Y1 - 습도인지형 벽지 - Google Patents

습도인지형 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971Y1
KR200370971Y1 KR20-2004-0026432U KR20040026432U KR200370971Y1 KR 200370971 Y1 KR200370971 Y1 KR 200370971Y1 KR 20040026432 U KR20040026432 U KR 20040026432U KR 200370971 Y1 KR200370971 Y1 KR 200370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wallpaper
layer
red
b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04-0026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9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9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습도 인지가 가능한 벽지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벽지는 습도를 인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물질로 코팅 또는 침적처리한 실리카 겔(Silica gel),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비드(Alumino-silicate bead), 제올라이트(zeolite) 등의 흡방습제를 20 ㎛ 이하의 입자크기로 스캐터링(Scattering)하여 제품의 표면 최상부에 부착함으로써 습도 인지 및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습도인지형 벽지{Humidity-recognizable wallpaper}
본 고안은 습도를 인식하는 벽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습도에 따라 색상(color)의 변화를 일으켜 실내의 미관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실내 습도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한 벽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지는 건축물의 콘크리트 면을 피복함으로써 주거자와 생활용품들이 콘크리트 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단순한 벽지에서 미적인 효과 또는 품질의 고급화를 이루기 위해 여러가지의 화학 약품이 배합된 합성수지 재료를 벽지의 원지 표면에 도포시킨 후 이표면에 여러 형태의 도형이나 그림 등을 인쇄하여 벽지를 제조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핵가족화나 고령화에 따라 특유의 냄새가 주거건물 공간 전체에 확산되고, 구체적으로 생활에 관계되는 부엌, 세면장, 욕실 등과 인간의 거주에 따른 특유의 생활냄새 뿐만 아니라, 내장재나 가구, 일상용품에 이르기까지 나쁜 냄새로부터 벗어날 수 없는 불쾌한 환경으로 변하고 있다.
더구나 밀폐성이 높아짐에 따라 벽면에 현저한 결로가 발생하고, 이 결로의 발생으로 인하여 수반되는 곰팡이나 세균류의 번식이 촉진되는 것과 동시에 진드기 등 해충의 운집도 초래되며, 또한 이들 시체가 알레르기 물질이 되어 소아천식이나 아토피성 피부염을 일으키게 하고, 나아가서는 식품류의 부패나 변질에도 현저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종래의 벽지는 원지 표면에 도형이나 그림 등을 표현하여 실내의 미관을 미려하게 또는 품질의 고급화를 이룰 수 있지만, 표현된 도형이나 그림이 항상 동일한 색상을 지니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지루함을 느껴 벽지를 계절에 따라 교체할 경우 가계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각종 기능성을 가진 벽지는 해당 기능만 추구하였고, 육안으로 확인되어지는 것은 없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벽지의 최상부에 흡습에 따른 색상의 변화가 뚜렷한 다공성 물질을 적용함으로써 습도 인식, 인테리어성 및 유해성분의 흡수능력을 갖춘 습도인지형 벽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인지형 벽지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벽지의 습도에 따른 색상변화 모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원지층 20 : 합성수지 발포층
30 : 인쇄층 40 : 접착제층
50 : 습도인지층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층구조의 벽지의 최상부 표면층으로서 습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습도인지층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인지형 벽지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습도인지층은 코발트 화합물 또는 유기염료를 코팅 또는 침적시킨 다공질 흡습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습도인지층은 코발트 화합물 또는 유기염료를 코팅 또는 침적시킨 다공질 흡습제를 접착제층 상부에 2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의 입자크기로 스캐터링(Scattering)하여 형성시킨 것이다. 입자가 큰 경우에는 완제품의 표면 거칠기가 심하여 접촉시에 떨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안전성 및 디자인성의 저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습도인지층은 코발트 화합물 또는 유기염료를 코팅 또는 침적시킨 다공질 흡습제를 액상화하여 접착제층 상부에 코팅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 가능한 다공질 흡습제는 실리카 겔(Silica gel),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비드(Alumino-silicate bead), 제올라이트(zeoli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 가능한 유기염료는 뉴트랄 레드(Neutral red), 페놀 레드(phenol red), 브로모티몰 블루(bromothymol blue), 페놀프탈레인(phenolphthalein), 크레졸 레드(cresol red), 티몰 블루(thymol blue), 브로모크레졸 그린(bromocresol green), 브로모크레졸 퍼플(bromocresol purple), 브로모크레졸 블루(bromocresol blue), 메틸 레드(methyl red) 중에서 선택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인지형 벽지의 단면도로서, 상기 벽지는 아래로부터 원지층(10), 합성수지 발포층(20), 인쇄층(30), 접착제층(40) 및 습도인지층(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습도인지층(50)은 습도를 인지하는 기능층으로서, 유기염료 또는 염화 코발트와 같은 코발트 화합물을 코팅 또는 침적시킨 다공질 흡습제를 함유한다.
상기 습도인지층(50)은 크게 두가지 방법으로, 즉 코발트 화합물 또는 유기염료를 코팅 또는 침적시킨 다공질 흡습제를 접착제층 상부에 20 ㎛ 이하의 입자크기로 스캐터링하여 형성시키거나, 코발트 화합물 또는 유기염료를 코팅 또는 침적시킨 다공질 흡습제를 액상화하여 접착제층 상부에 코팅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습도인지층(50)을 구성하기 위해 바인더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인더로서 사용가능한 수지로는 아크릴계 수지, PVC 수지, 우레탄계 수지, 페놀계 수지 등 어느 한 가지 또는 두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점도 조절 및 기타 작업에 따라 유기용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다공질 흡습제는 두가지 특수 기능을 갖는데, 첫째, 습도 조절기능(원료에 따라 흡습능력의 차이가 있음) 둘째, 유해물질의 흡수분해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다공질 흡습제는 실내의 유해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역할과 함께, 유기염료나 코발트 화합물의 담체로서 실내의 습기를 흡수하여 변색물질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역할도 하며, 실리카 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비드, 제올라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코발트 화합물 또는 유기염료는 습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변색물질로서, 색상에 따라 뉴트랄 레드, 페놀 레드, 브로모티몰 블루, 페놀프탈레인, 크레졸 레드, 티몰 블루, 브로모크레졸 그린, 브로모크레졸 퍼플, 브로모크레졸 블루, 메틸 레드 등의 다양한 유기염료 지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뉴트랄 레드, 페놀 레드, 브로모티몰 블루는 산성영역에서 상대습도가 10% 이상인 경우 식별 가능한 컬러 변화를 나타내며, 상대습도가 20% 이상인 경우에서는 컬러 변화가 뚜렸해지고, 상대습도가 30% 이상인 경우에서는 확연히 구분되는 색상으로 변한다. 도 2는 흡수하면 레드에서 블루로 변하는 코발트 블루 염료를 사용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뉴트랄 레드의 경우는 건조시 블루에서 흡습하면 레드로 변하고, 페놀 레드와 브로모티몰 블루의 경우는 건조시 레드에서 흡습하면 옐로우로 변한다. 따라서 다공질 흡습제의 습도 인지를 위해 적절한 유기염료가 코팅된 제품을 선정해야 한다.
도 1에 따른 본 고안의 습도인지형 벽지의 제조공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래로부터 원지층(10), 합성수지 발포층(20)을 형성하고, 그 위에 인쇄층(30)을 형성한다.
합성수지 발포층(20)은 합성수지 조성물을 0.3 ㎜의 두께로 나이프 코팅한 후 210℃에서 40 m/min의 속도로 40초 동안 가열하여 겔화시킨 후 발포 시킨다. 겔화시킨 후 발포시키면 고상 조성물로 변하여 합성수지 발포층(20)이 형성된다.
인쇄층(30)은 합성수지 발포층(20) 위에 통상의 그라비아(gravure) 인쇄, 플렉소(flexo)인쇄, 오프셋(offset)인쇄 또는 스크린(screen)인쇄로 소정의 패턴을 형성한 한 것이다.
다음, 상기 인쇄층(30)의 요철 엠보무늬 위에 압착 롤을 이용한 코팅식의 와이핑(Wiping) 공법으로 수성 또는 유성 접착제를 박막으로 코팅하여 접착제층(40)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유기염료 또는 코발트로 코팅 또는 침적시킨 실리카 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비드, 제올라이트 등의 다공질 흡습제를 접착제층(40) 위에 스캐터링하여 최상부에 습도인지층(50)을 형성한다.
이때 습도인지층(50)은 다공질 물질에 유기염료 0.03 내지 0.1 중량부, 알코올 3 내지 10 중량부, H2SO40.3 내지 1 중량부로 구성된 용액을 침지시켜 제작한 습도 인지물질을 균일하게 도포하여 형성시킨다.
본 고안에 따라 습도를 인지하는 물질을 함유하는 벽지는 기본적으로 습도에 따른 칼라의 변화로 인테리어 효과를 부여하여 기존의 단조로운 패턴에서 벗어날 수 있고, 유해물질을 흡수하여 또 다른 기능성을 가진 벽지이다. 즉, 본 고안의 벽지는 건강 기능성과 인테리어성을 동시에 부여함으로써, 습도 변화에 따라 색상의 변화를 알 수 있으며, 유해물질의 흡착도 가능하여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다층구조의 벽지의 최상부 표면층으로서 습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습도인지층이 적층되며,
    상기 습도인지층은 코발트 화합물 또는 유기염료를 코팅 또는 침적시킨 다공질 흡습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인지형 벽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인지층은 코발트 화합물 또는 유기염료를 코팅 또는 침적시킨 다공질 흡습제를 접착제층 상부에 20 ㎛ 이하의 입자크기로 스캐터링(Scattering)하여 형성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인지형 벽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인지층은 코발트 화합물 또는 유기염료를 코팅 또는 침적시킨 다공질 흡습제를 액상화하여 접착제층 상부에 코팅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인지형 벽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흡습제는 실리카 겔(Silica gel),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비드(Alumino-silicate bead), 제올라이트(zeoli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인지형 벽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염료는 뉴트랄 레드(Neutral red), 페놀 레드(phenol red), 브로모티몰 블루(bromothymol blue), 페놀프탈레인(phenolphthalein), 크레졸 레드(cresol red), 티몰 블루(thymol blue), 브로모크레졸 그린(bromocresol green), 브로모크레졸 퍼플(bromocresol purple), 브로모크레졸 블루(bromocresol blue), 메틸 레드(methyl red)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인지형 벽지.
KR20-2004-0026432U 2004-09-15 2004-09-15 습도인지형 벽지 KR200370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432U KR200370971Y1 (ko) 2004-09-15 2004-09-15 습도인지형 벽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432U KR200370971Y1 (ko) 2004-09-15 2004-09-15 습도인지형 벽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971Y1 true KR200370971Y1 (ko) 2004-12-23

Family

ID=4944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432U KR200370971Y1 (ko) 2004-09-15 2004-09-15 습도인지형 벽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971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777B1 (ko) 2004-12-29 2007-02-02 (주)지피엔이 코발트프리 습도지시용액의 제조 및 적용방법
KR100811539B1 (ko) * 2006-04-07 2008-03-07 양재우 열변색 월페이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94629B1 (ko) 2007-10-09 2009-04-24 (주)호성화학 흡습 지시제를 포함하는 방습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120538B1 (ko) * 2011-05-04 2012-03-09 한국아트콘텐츠(주) 전시용 다기능 친환경 패널 및 그의 조립체
KR101165750B1 (ko) 2010-06-15 2012-07-17 조미숙 화분의 수분표시기
KR101413358B1 (ko) * 2007-02-14 2014-07-01 (주)엘지하우시스 감습 및 조습기능을 갖는 타일
KR101440024B1 (ko) * 2012-10-19 2014-09-1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생고분자와 나노점토를 포함하는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흡습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0367B1 (ko) * 2019-11-12 2020-06-08 편용우 결로 및 곰팡이 발생단계에 따라 색이 가변되는 색 가변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하여 결로 및 곰팡이의 발생단계를 예측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
KR20230158726A (ko) 2022-05-12 2023-11-21 김윤경 흡습에 따른 변형 방지성능 및 부착성이 개선된 습도조절용 벽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777B1 (ko) 2004-12-29 2007-02-02 (주)지피엔이 코발트프리 습도지시용액의 제조 및 적용방법
KR100811539B1 (ko) * 2006-04-07 2008-03-07 양재우 열변색 월페이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13358B1 (ko) * 2007-02-14 2014-07-01 (주)엘지하우시스 감습 및 조습기능을 갖는 타일
KR100894629B1 (ko) 2007-10-09 2009-04-24 (주)호성화학 흡습 지시제를 포함하는 방습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165750B1 (ko) 2010-06-15 2012-07-17 조미숙 화분의 수분표시기
KR101120538B1 (ko) * 2011-05-04 2012-03-09 한국아트콘텐츠(주) 전시용 다기능 친환경 패널 및 그의 조립체
KR101440024B1 (ko) * 2012-10-19 2014-09-1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생고분자와 나노점토를 포함하는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흡습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0367B1 (ko) * 2019-11-12 2020-06-08 편용우 결로 및 곰팡이 발생단계에 따라 색이 가변되는 색 가변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하여 결로 및 곰팡이의 발생단계를 예측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
KR20230158726A (ko) 2022-05-12 2023-11-21 김윤경 흡습에 따른 변형 방지성능 및 부착성이 개선된 습도조절용 벽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0971Y1 (ko) 습도인지형 벽지
JP5120895B2 (ja) アレルゲン低減化壁紙
CN101995447A (zh) 具有多级自我指示功能的吸湿剂及其制备方法
KR101111212B1 (ko) 내수성이 향상된 합지벽지용 수성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8878B1 (ko) 흡착중화제를 함유한 기능성 자연벽지
KR101413358B1 (ko) 감습 및 조습기능을 갖는 타일
EP2360025A2 (de) Abdeckbahn zur Imitation von Naturstein
KR20070010107A (ko) 황토층을 구비한 장식판재를 제공하기 위한 황토코팅제의조성방법 및 이를 사용한 황토판재
CN205382659U (zh) 一种防潮墙纸
KR19990015373U (ko) 마이크로 캡슐이 내재된 바닥장식재
KR100458047B1 (ko) 탈취효과를갖는황토가첨가된비닐바닥재의제조방법
JP2003118063A (ja) 化粧板
JP2009002145A (ja) 板状通気体及び積層体
KR100479117B1 (ko) 탈취 및 살균을 위한 점착형 패드
KR100403848B1 (ko) 통기성 부직포 필름
CN106760333A (zh) 一种室外专用防晒墙体pvdf装饰膜
JP4204423B2 (ja) 粒状吸着材および吸着装置
CN109612990B (zh) 一种任意设定干燥剂包指定失效点的方法及产品
KR200297350Y1 (ko) 실내 마감재
CN106703328A (zh) 一种室外专用防晒墙体pvc装饰膜
CN106760332A (zh) 一种防晒、抗菌墙体ptfe装饰膜
CN106703329A (zh) 一种抗紫外线的墙体pp装饰膜
CN106760335A (zh) 一种抗紫外线的墙体ptfe装饰膜
KR20140035023A (ko) 화산토 벽지 및 그 제조방법
CN106703327A (zh) 一种室外专用防晒墙体pe装饰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